KR20210037225A - 와이어 바인더 - Google Patents

와이어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225A
KR20210037225A KR1020190119579A KR20190119579A KR20210037225A KR 20210037225 A KR20210037225 A KR 20210037225A KR 1020190119579 A KR1020190119579 A KR 1020190119579A KR 20190119579 A KR20190119579 A KR 20190119579A KR 20210037225 A KR20210037225 A KR 20210037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me
seating groove
seating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225A/ko
Publication of KR20210037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2Sling or load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와이어 바인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와이어가 각각 안착되도록 복수의 제1 안착 홈을 구비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안착 홈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 안착 홈을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와이어 바인더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바인더{WIRE BINDER}
본 발명은 와이어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 등에서 선체 블록과 같은 고 중량의 구조물을 리프팅 할 때 크레인이 사용된다. 리프팅 구조물에는 크레인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러그(lug)가 설치되는데, 러그는 안정적인 리프팅을 위해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러그의 설치 위치는 리프팅 구조물의 구조 강도, 사이즈, 무게중심 등을 세심하게 고려하여 선정된다.
이때, 크레인 와이어가 리프팅 구조물의 상부 구조와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단순히 리프팅 구조물의 조그마한 상부 구조 때문에 야기되는 이와 같은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리프팅 포인트(lifting point), 즉 러그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금전적 시간적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리프팅을 불안정하거나 또는 아예 불가능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3941호(2016.10.04, 3차원 모델 기반의 선박 블록 리프팅 안전성 검증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크레인 와이어와 리프팅 구조물의 상부 구조 간 간섭 내지 충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와이어 바인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와이어가 각각 안착되도록 복수의 제1 안착 홈을 구비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안착 홈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 안착 홈을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와이어 바인더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안착 홈의 양단 내주면에서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안착 홈은 서로 인접 배치되는 제1-1 안착 홈 및 제1-2 안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안착 홈 및 상기 제1-2 안착 홈은 각각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 면에서 타단 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1 안착 홈 및 상기 제1-2 안착 홈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 면 및 타단 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간에 근접하도록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 후크; 리프팅 구조물에 상호간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러그; 상기 크레인 후크에서 상기 복수의 러그까지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크레인 후크와 상기 복수의 러그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와이어에 결합되는 와이어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바인더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각각 안착되도록 복수의 제1 안착 홈을 구비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안착 홈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 안착 홈을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안착 홈은 서로 인접 배치되는 제1-1 안착 홈 및 제1-2 안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는 상기 제1-1 안착 홈 및 상기 제1-2 안착 홈에 각각 안착되는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는 각각 상기 와이어 바인더의 상측 및 하측에서의 경사각이 달라지도록 절곡되되, 상기 제1-1 안착 홈 및 상기 제1-2 안착 홈 사이의 수평 방향의 제1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가 각각 연결되는 제1 러그 및 제2 러그 사이의 수평 방향의 제2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러그에 연결되는 복수의 크레인 와이어를 상호간에 구속시킴으로써, 리프팅 구조물의 상부 구조와 간섭을 일으키거나 충돌하는 크레인 와이어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리프팅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변형 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와이어 바인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와이어 바인더를 펼쳐진 상태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리프팅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변형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프팅 장치(10)는 크레인 후크(100), 복수의 러그(200) 및 복수의 와이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후크(100)는 크레인(crane)의 일 구성으로서 윈치, 유압실린더 등의 상하이송수단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복수의 러그(200)는 리프팅 구조물(20)에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러그(200) 상호간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팅 구조물(20)이란 크레인에 의해 리프팅 되는 구조물, 예를 들어 선체 블록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300)는 크레인 후크(100)에서 복수의 러그(200)까지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300)의 양단은 크레인 후크(100) 및 러그(20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300)는 리프팅 구조물(20)의 리프팅 작업 시에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다. 이때, 러그(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와이어(300)와 리프팅 구조물(20)의 상부 구조(20a) 간에 간섭 내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구조(20a)란 리프팅 구조물(20)의 일 부분, 예를 들어 러그(200)보다 높게 배치된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어(300)와 리프팅 구조물(20)의 상부 구조(20a)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내지 충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러그(20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러그(20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금전적 시간적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리프팅을 불안정하거나 또는 아예 불가능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고, 리프팅 구조물(20)의 추락 사고 등의 가능성이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와이어 바인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와이어 바인더를 펼쳐진 상태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10´)는 크레인 후크(100), 복수의 러그(200), 복수의 와이어(300) 및 와이어 바인더(40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후크(100), 복수의 러그(200) 및 복수의 와이어(300)는 도 1과 관련된 설명이 동일 또는 일부 변경을 가하여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와이어 바인더(400)는 상하 방향으로 크레인 후크(100)와 복수의 러그(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와이어 바인더(400)는 크레인 후크(100)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러그(200)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바인더(400)는 리프팅 구조물(20)의 상부 구조(20a)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바인더(400)는 복수의 와이어(300)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와이어(300)가 상호간에 근접하도록 복수의 와이어(300) 각각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 바인더(400)는 제1 프레임(410) 및 제2 프레임(42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베어링(4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410)은 복수의 와이어(300)가 각각 안착되도록 복수의 제1 안착 홈(4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프레임(420)은 제1 프레임(4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2 프레임(420)은 일 측이 예를 들어 힌지(H)를 통해 제1 프레임(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 측이 예를 들어 볼트(B) 및 너트(N)를 통해 제1 프레임(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420)은 복수의 제2 안착 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안착 홈(421)은 복수의 제1 안착 홈(411)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300)는 제1 안착 홈(411) 및 제2 안착 홈(421)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어링(430)은 제1 프레임(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300)를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430)은 제1 안착 홈(411)의 양단 내주면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바인더(400)를 복수의 와이어(300)에 결합한 후에 미세하게 위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와이어 바인더(400)와의 마찰에 의한 와이어(30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안착 홈(411)은 서로 인접 배치되는 제1-1 안착 홈(411a) 및 제1-2 안착 홈(4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안착 홈(411a) 및 제1-2 안착 홈(411b)은 각각 제1 프레임(410)의 일단 면에서 타단 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1 안착 홈(411a) 및 제1-2 안착 홈(411b)은 각각 제1 와이어(300a) 및 제2 와이어(300b)가 안착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와이어(300a)는 제1 러그(200a)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와이어(300b)는 제2 러그(200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와이어(300a) 및 제2 와이어(300b)는 와이어 바인더(400)에 결합됨으로써 상호간에 근접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300a)는 와이어 바인더(400)의 상측 및 하측에서의 경사각이 달라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즉, 제1 와이어(300a)가 와이어 바인더(400)의 상측에서 연직 방향의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는 와이어 바인더(400)의 하측에서 연직 방향의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와 다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와이어(300b)는 와이어 바인더(400)의 상측 및 하측에서의 경사각이 달라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1-1 안착 홈(411a) 및 제1-2 안착 홈(411b) 사이의 수평 방향의 제1 이격 거리(d1)는 제1 러그(200a) 및 제2 러그(200b) 사이의 수평 방향의 제2 이격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러그(200a) 및 제2 러그(200b)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제1 와이어(300a) 또는 제2 와이어(300b)와 리프팅 구조물(20)의 상부 구조(20a)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내지 충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1 안착 홈(411a) 및 제1-2 안착 홈(411b)은 제1 프레임(410)의 일단 면 및 타단 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간에 근접하도록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300)가 와이어 바인더(400) 내에서 한 번 더 절곡됨으로써, 리프팅 구조물(20)의 리프팅 작업 시에 와이어 바인더(400)의 상하 방향의 높이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10´: 리프팅 장치 20: 리프팅 구조물
20a: 상부 구조 100: 크레인 후크
200: 러그 200a: 제1 러그
200b: 제2 러그 300: 와이어
300a: 제1 와이어 300b: 제2 와이어
400: 와이어 바인더 410: 제1 프레임
411: 제1 안착 홈 411a: 제1-1 안착 홈
411b: 제1-2 안착 홈 420: 제2 프레임
421: 제2 안착 홈 430: 베어링

Claims (3)

  1. 복수의 와이어가 각각 안착되도록 복수의 제1 안착 홈을 구비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안착 홈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 안착 홈을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와이어 바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안착 홈의 양단 내주면에서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와이어 바인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안착 홈은 서로 인접 배치되는 제1-1 안착 홈 및 제1-2 안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안착 홈 및 상기 제1-2 안착 홈은 각각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 면에서 타단 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1 안착 홈 및 상기 제1-2 안착 홈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 면 및 타단 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간에 근접하도록 만곡된 형상인 와이어 바인더.
KR1020190119579A 2019-09-27 2019-09-27 와이어 바인더 KR20210037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579A KR20210037225A (ko) 2019-09-27 2019-09-27 와이어 바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579A KR20210037225A (ko) 2019-09-27 2019-09-27 와이어 바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25A true KR20210037225A (ko) 2021-04-06

Family

ID=7547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579A KR20210037225A (ko) 2019-09-27 2019-09-27 와이어 바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22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941A (ko) 2015-03-23 2016-10-04 인포겟시스템 주식회사 3차원 모델 기반의 선박 블록 리프팅 안전성 검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941A (ko) 2015-03-23 2016-10-04 인포겟시스템 주식회사 3차원 모델 기반의 선박 블록 리프팅 안전성 검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3001B2 (ja) 岸壁クレーン
KR20210037225A (ko) 와이어 바인더
JP6275591B2 (ja) 岸壁クレーン
JP2006219265A (ja) 自動調芯吊具、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
JP6752682B2 (ja) 起重機船による吊荷の設置方法
JP5529444B2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のロープ掛け構造
US20140346132A1 (en) Telescopic boom
JP5673134B2 (ja) 昇降装置、揺れ防止治具及び吊り治具
JP2019520283A (ja) 昇降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昇降システムのためのキャリア要素
CN106014297A (zh) 排管机安装于井架的方法
KR102290556B1 (ko)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JP6566440B2 (ja) 岸壁クレーンおよび岸壁クレーンの製造方法
KR102551158B1 (ko) 가변 편심 구체 양중틀
JP6985644B2 (ja) フック
JP2012071947A (ja) 岸壁クレーン
JP2019210060A (ja) ダビット
JP6531505B2 (ja) 伸縮ブームの取付構造
JP2014196151A (ja) 岸壁クレーン
CN110191856A (zh) 电梯装置
KR102418682B1 (ko) 리프팅 비임 및 리프팅 비임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매달린 리프팅 대상물을 리프팅하는 방법
KR20044991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JP2006182507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ーウエイト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6825786B2 (ja) 岸壁クレーンおよび岸壁クレーンの制御方法
JP2011213468A (ja) 平面位置アジャスト吊り治具
JP6809289B2 (ja) エレベーター機器の揚重システムおよび揚重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