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171A -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171A
KR20210037171A KR1020190119440A KR20190119440A KR20210037171A KR 20210037171 A KR20210037171 A KR 20210037171A KR 1020190119440 A KR1020190119440 A KR 1020190119440A KR 20190119440 A KR20190119440 A KR 20190119440A KR 20210037171 A KR20210037171 A KR 20210037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ntainer
supply
coo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666B1 (ko
Inventor
지영한
Original Assignee
지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영한 filed Critical 지영한
Priority to KR102019011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6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027/006Cooking-vessels e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past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중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는, 조리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액체 저장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조리 액체를 조리할 면이 담긴 용기의 뚜껑을 관통시켜 공급하는 공급수단; 및 상기 공급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조리 액체 공급이 중지되면 상기 용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고순도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면이 담긴 용기 내부에 조리 액체를 공급하고, 스팀발생수단을 통해 증류수가 기화되면서 발생된 스팀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조리 액체를 가열한 후 용기 내에 공급하여 면을 익히므로 미생물이나 물때 등에 의해 스팀발생수단의 연결관 및 기화실 내부에 눌어붙어버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NOODLE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TEAM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류수 기화에 따른 고순도의 순수한 스팀으로 용기 내에 담긴 물을 가열하여 면을 조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길거리나 건물 내부의 작은 공간에서도 무인상태로 각종 상품을 진열 및 판매할 수 있는 기기이다.
특히, 자동판매기는 캔이나 용기에 수용된 음료뿐만 아니라 라면 등의 면 종류도 판매하는 제품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이렇게, 컵라면 등과 같은 용기 식품은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먹기가 간편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이러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5160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물을 사용하여 가열하게 되는데 물(수돗물)에는 미생물이나 물때가 있어 관에서 늘러붙게 되므로 세척이 난해하여 위생상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5160호(2005.12.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면이 담긴 용기 내부에 조리 액체를 먼저 공급한 다음, 스팀발생수단을 통해 증류수가 기화되면서 발생된 스팀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조리 액체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관에 눌어붙지 않게 하면서 쌀국수 등의 면을 조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는, 조리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액체 저장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조리 액체를 조리할 면이 담긴 용기의 뚜껑을 관통시켜 공급하는 공급수단; 및 상기 공급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조리 액체 공급이 중지되면 상기 용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고순도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저장부는 육수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수단은, 밀폐된 내부에 증류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담긴 증류수를 예열하는 예열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분사된 증류수를 열에 의해 가열하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 및 상기 연결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증류수를 상기 기화부로 이송시키는 수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액체 저장부와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스팀발생수단과 연결되도록 분기관이 형성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 중 상기 분기관이 연결된 분기 지점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관 또는 상기 분기관을 연통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공급관을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은, 물과 육수를 혼합하여 조리 액체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조리 액체를 용기 내부에 수용된 면을 조리하도록 상기 용기의 뚜껑을 통해 공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조리 액체의 공급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부에 담긴 조리 액체를 가열하도록 상기 용기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승강 가능한 공급관으로 상기 뚜껑을 관통시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 및 제3 단계 수행시 조리 액체는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고, 스팀 공급시 상기 공급관이 폐쇄되면서 상기 공급관에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면이 담긴 용기 내부에 조리 액체를 공급하고, 스팀발생수단을 통해 증류수가 기화되면서 발생된 스팀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조리 액체를 가열한 후 용기 내에 공급하여 면을 익히므로 미생물이나 물때 등에 의해 스팀발생수단의 연결관 및 기화실 내부에 눌어붙어버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에서 분리관에 설치된 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 중 스팀발생수단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 중 스팀발생수단에서 저장부에 보충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10)는 본체(100), 액체 저장부(200), 공급수단(300), 스팀발생수단(400), 이동수단(5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부(200), 공급수단(300), 스팀발생수단(400), 이동수단(500) 및 제어부가 설치되며, 전면에 설치된 지폐나 동전 투입구 등과 같은 결제수단 등과 연계되어, 면 종류, 온수 온도 및 온수 배출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된다.
액체 저장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리 액체가 저장되는 통을 말한다.
이때, 액체 저장부(200)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에 육수를 혼합한 상태로 저장되거나, 육수 공급부(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여 액체 저장부(200)에서 공급되는 물에 육수 공급부에서 공급된 육수가 혼합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체 저장부(200)에서 공급되는 조리 액체의 공급량은 밸브 등을 통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공급수단(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부(200)의 내부에 저장된 조리 액체를 조리할 면이 담긴 용기(10)의 뚜껑(12)을 관통시켜 공급하며, 공급관(310), 개폐부(320) 및 구동부(330)를 포함한다.
공급관(310)은 직립 설치되어 상단이 액체 저장부(200)와 연결되고, 일측에 연결된 분기관(312)에 스팀발생수단(400)에 구성된 기화실(462)의 배출구와 연결된다.
더욱이, 공급관(310)은 액체 저장부(200)와 플랙시블 관으로 연결되어 액체 저장부(200)와 연통되면서 승강이 가능하며, 용기(10)의 뚜껑(12)을 관통시키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개폐부(320)는 공급관(310) 중 분기관(312)이 연결된 분기 지점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공급관(310) 또는 분기관(312)을 연통시키는 댐퍼이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개폐부(320)는 구동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기관(312)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공급관(310)을 연통시키거나, 공급관(310)의 상측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분기관(312)과 공급관(310)의 하측을 연통시키게 된다.
즉, 개폐부(320)가 분기관(312)을 폐쇄시키면 공급관(310)을 통해 조리 액체가 용기(10) 내부로 공급되고, 개폐부(320)가 공급관(310)의 상측을 폐쇄시키면 분기관(312)을 통해 스팀이 용기(1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리 액체가 공급되면 스팀 공급이 중지되고, 반대로 스팀이 공급되면 조리 액체는 공급이 중지되게 한다.
구동부(330)는 공급관(310)의 하단이 용기(10)의 뚜껑(12)을 관통시키는 위치까지 하강시키도록 한다. 이때, 구동부(330)는 구동모터 또는 실린더 등이 이에 적용된다. 한편, 구동부(330)가 구동모터인 경우 구동축에 피니언이 설치되고 공급관(310)의 외면에 래크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래크에서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공급관(310)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와 다르게 구동부(330)가 실린더인 경우 몸체는 본체(100)에 고정되고 로드의 단부가 공급관(310)에 고정된다.
더욱이, 공급관(310)은 승강시 승강 방향이 안내되도록 본체(100)의 전면에 가이드(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된다.
스팀발생수단(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312)의 단부에 기화실(162)에 형성된 배출구가 연결되어 조리 액체 공급이 중지되면 용기(10) 내부로 공급하도록 고순도의 스팀을 발생시키며, 저장부(410), 예열부(420), 압력발생부(430), 연결관(440), 수송부(450) 및 기화부(460)를 포함한다.
저장부(410)는 상부가 개구된 저장통(412)과, 저장통(412)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뚜껑(414) 및 뚜껑(414)의 일측에 구비되어 저장통(412) 내부로 증류수를 보충하는 보충관(416)을 포함한다.
이때, 저장부(410)에 담기는 액체로 증류수 등이 사용된다. 만약, 일반 물(수돗물)을 사용하게 되면 물에 미생물이나 물때 등이 잔류하여 연결관(440) 및 기화부(460)의 기화실(462) 등의 내부에 눌어붙기 때문에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고순도의 스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저장부(410)에는 증류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보충관(416)은 연결부(418)에 의해 고정되면서 뚜껑(414)에 구비된 고정부(415)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연결부(418)는 일단에 보충관(416)이 결합되도록 설치공이 형성되고, 타단에 고정부(415)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결합공이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부(415)는 연결부(418)의 결합공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머리 부분에 대한 폭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고정부(415)의 머리 부분 양쪽을 절개하고 절개된 내부에 수평 방향의 홀을 형성된 몸체부(4150)와, 몸체부(4150)의 홀 양측에서 출몰하는 제1, 2 출몰부(4160, 4170)를 구비하며, 제1, 2 출몰부(4160, 4170)의 대향된 제1, 2 홈(4162, 4172)의 내벽면에 탄성부(S)를 구비한다.
여기서, 몸체부(4150)의 홀 중 제1 출몰부(41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걸림부(4164)가 걸리는 제1 턱(4152)의 돌출 길이가 제2 출몰부(417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걸림부(4174)가 걸리는 제2 턱(4154)의 돌출 길이보다 작도록 구비된다. 이는 제2 출몰부(4170)가 제1 출몰부(416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출몰부(4160)의 제1 홈(4162)의 크기가 제2 출몰부(4170)의 외부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충관(416)의 분리가 요구되는 경우 제1, 2 출몰부(4160, 4170)를 가압하게 되면 제1, 2 출몰부(4160, 4170)의 간격이 감소되면서 제1, 2 출몰부(4160, 4170)의 폭이 연결부(118)의 결합공보다 작아지면서 연결부(418)의 결합공을 고정부(415)에서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고정부(415)에 연결부(418)의 결합공을 결합시키는 경우 제1, 2 출몰부(4160, 4170)를 가압하게 되면 제1, 2 출몰부(4160, 4170)의 간격이 감소되면서 제1, 2 출몰부(4160, 4170)의 폭이 연결부(418)의 결합공보다 작아지며 그에 연결부(418)의 결합공을 통과시킨 후에 제1, 2 출몰부(4160, 4170)에 가한 압력을 제거하면 탄성부(S)의 복원력에 의해 제1, 2 출몰부(4160, 4170)가 벌어진다.
예열부(420)는 저장부(410)의 저장통(4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통(412)에 담기는 증류수를 예열하며, 예열 온도는 50℃ 정도로 온도를 맞춘다. 이때, 예열 온도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압력발생부(430)는 저장통(412)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통(412)의 내부 압력을 발생시키며, 일예로 밸브 등이 적용된다.
따라서, 예열부(420)에 의해 저장통(412) 내부의 증류수를 가열시키는 과정에서 저장통(412)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는데, 이 경우 압력발생부(430)에 의해 저장통(412)을 밀폐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압력발생부(430)에 의해 출구를 개방시키면 고압이 작용하면서 증류수가 연결관(440)의 끝단까지 배출된다.
연결관(440)은 압력발생부(430)와 기화부(460)를 서로 연결하여 예열된 증류수를 기화부(460)로 공급한다.
수송부(450)는 연결관(440)의 도중에 설치되어 예열된 증류수를 기화부(460)로 강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하며, 일예로 펌프 등이 이에 적용된다.
기화부(460)는 저장부(410)의 저장통(412)과 연결관(440)을 통해 연결되어 분사된 증류수를 열에 의해 가열하면서 기화시키며, 기화실(462), 가열부(464) 및 밸브(466)를 포함한다.
기화실(462)은 연결관(440)이 일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에 스팀이 분사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된다.
가열부(464)는 기화실(462)의 외면에 다수 구비되어 연결관(440)에서 분무된 증류수에 열을 가해 기화될 수 있도록 열을 제공한다.
밸브(466)는 기화실(462)의 배출구에 구비되어 증류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스팀 제공 대상물에 공급 또는 차단한다.
이때, 밸브(466)를 통해 분사되는 스팀의 온도는 180~350℃이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이동수단(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구동 과정에서 면이 담긴 용기(10)가 이동되며, 면 조리시 공급관(310)의 중심에 용기(10)의 뚜껑(12) 중심이 오도록 구동이 제어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수단(500)은 용기(10)가 안착되는 위치마다 보온수단이 구비되어 용기(10) 내부로 스팀이 공급되면서 조리 액체가 가열되어도 조리 액체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공급수단(300), 스팀발생수단(400) 및 이동수단(500) 등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은 조리 액체 제조 단계(S200), 용기 내 조리 액체 공급 단계(S210) 및 용기 내 스팀 공급 단계(S220)를 포함한다.
조리 액체 제조 단계(S200)는 물과 육수 등을 혼합하여 조리 액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조리 액체는 액체 저장부(200)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 육수를 혼합한 상태로 저장되거나, 육수 공급부(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여 액체 저장부(200)에서 공급되는 물에 육수 공급부에서 공급된 육수가 혼합 가능하다.
더욱이, 조리 액체는 액체 저장부(200)의 배출구에 구비된 밸브 등을 통해 배출량이 제어된다.
용기 내 조리 액체 공급 단계(S210)는 조리 액체를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면을 조리하도록 용기(10)의 뚜껑(12)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때, 용기 내 조리 액체 공급 단계(S210)는 공급수단(300)을 통해 수행하게 된다.
즉, 공급관(310)이 구동부(330)에 의해 용기(10)의 뚜껑(12)을 관통시키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때, 개폐부(320)가 구동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기관(312)을 폐쇄시킨 상태이므로 분기관(312)을 통해 스팀이 유입되지 않는다.
결국, 공급관(310)이 용기(10)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액체 저장부(200)의 내부에 저장된 조리 액체가 공급관(310)을 통해 용기(10) 내부로 공급된다.
용기 내 스팀 공급 단계(S220)는 조리 액체의 공급을 중지한 상태에서 용기(10) 내부에 담긴 조리 액체를 가열하도록 용기(1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때, 용기 내 스팀 공급 단계(S220)는 보충관(416)을 통해 저장부(410)의 저장통(412) 내부로 증류수가 보충되고, 저장통(412) 내부에 증류수가 보충되면, 증류수 보충 중지와 함께 예열부(420)의 열원에 의해 저장통(412)에 담기는 증류수의 온도를 50℃ 정도로 예열시킨다.
그리고 압력발생부(430)에 의해 저장통(412) 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저장통(412)이 예열되면서 저장통(412)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며, 순간 압력발생부(430)에 의해 출구를 개방시키면 고압이 작용하면서 증류수가 배출된다.
다음으로, 고압이 작용한 증류수는 수송부(450)의 수송력에 의해 기화부(460)의 기화실(462)로 이동되며, 연결관(440)의 단부에서 분무되는 증류수는 기화실(462)의 외면에 구비된 가열부(464)의 열원에 의해 가열되면서 기화되고, 기화된 증류수가 고순도의 스팀으로 바뀐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스팀 제공 대상물에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스팀 공급시 기화실(462)의 배출구에 구비된 밸브(466)를 개방시키고, 스팀 공급 완료시 밸브(466)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용기(10)의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면서 스팀 공급 전에 용기(10) 내에 담긴 조리 액체를 가열시켜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면을 조리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
100: 본체 200: 액체 저장부
300: 공급수단 310: 공급관
312; 분기관 320: 개폐부
330: 구동부 400: 스팀발생수단
500: 이동수단

Claims (7)

  1. 조리 액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액체 저장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조리 액체를 조리할 면이 담긴 용기의 뚜껑을 관통시켜 공급하는 공급수단; 및
    상기 공급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조리 액체 공급이 중지되면 상기 용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고순도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육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수단은,
    밀폐된 내부에 증류수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담긴 증류수를 예열하는 예열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분사된 증류수를 열에 의해 가열하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 및
    상기 연결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증류수를 상기 기화부로 이송시키는 수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액체 저장부와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스팀발생수단과 연결되도록 분기관이 형성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 중 상기 분기관이 연결된 분기 지점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관 또는 상기 분기관을 연통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공급관을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장치.
  5. 물과 육수를 혼합하여 조리 액체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조리 액체를 용기 내부에 수용된 면을 조리하도록 상기 용기의 뚜껑을 통해 공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조리 액체의 공급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부에 담긴 조리 액체를 가열하도록 상기 용기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승강 가능한 공급관으로 상기 뚜껑을 관통시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및 제3 단계 수행시 조리 액체는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고, 스팀 공급시 상기 공급관이 폐쇄되면서 상기 공급관에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스팀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KR1020190119440A 2019-09-27 2019-09-27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6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440A KR102263666B1 (ko) 2019-09-27 2019-09-27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440A KR102263666B1 (ko) 2019-09-27 2019-09-27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171A true KR20210037171A (ko) 2021-04-06
KR102263666B1 KR102263666B1 (ko) 2021-06-09

Family

ID=7547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440A KR102263666B1 (ko) 2019-09-27 2019-09-27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6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160B1 (ko) 1996-01-10 2004-02-11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낚시용스피닝릴
WO2007063845A1 (ja) * 2005-11-29 2007-06-07 Sanden Corporation 液状食品加熱装置及び液状食品加熱装置用の蒸気噴出ノズル
KR20170056732A (ko) * 2015-11-13 2017-05-24 심동복 복합 가열방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816848B1 (ko) * 2017-07-20 2018-01-11 이주형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KR20180088591A (ko) * 2017-01-26 2018-08-06 박한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160B1 (ko) 1996-01-10 2004-02-11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낚시용스피닝릴
WO2007063845A1 (ja) * 2005-11-29 2007-06-07 Sanden Corporation 液状食品加熱装置及び液状食品加熱装置用の蒸気噴出ノズル
KR20170056732A (ko) * 2015-11-13 2017-05-24 심동복 복합 가열방식 즉석식품 조리장치
KR20180088591A (ko) * 2017-01-26 2018-08-06 박한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KR101816848B1 (ko) * 2017-07-20 2018-01-11 이주형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666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6019B2 (en) Machine to produce coffee or the like and relative method
RU2454164C2 (ru)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способы эксплуатации машин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JP4584996B2 (ja) 飲料作成方法、飲料作成装置
US20090252855A1 (en) Steam injection cooking device and method
CN106714631A (zh) 具有柔性液滴止挡件的饮料制备机器
US20080110348A1 (en) Egg making device
US20200260903A1 (en)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a Hot Beverage
WO2014061121A1 (ja) 飲料抽出装置
CN113453592B (zh) 用于在咖啡机中生产咖啡饮料的方法
KR20210037171A (ko)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US55402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ndividual servings of hot soup from soup concentrate
KR20130064538A (ko) 중탕용 가열장치
KR20190127182A (ko) 압력용기 헹굼수단이 구비된 라면자판기의 온수공급장치
KR102596737B1 (ko) 회전 증발기
KR20170105209A (ko) 열 보유액 충전장치
US1030854A (en) Liquid-dispensing machine.
JP2007289353A (ja) 食品保温装置
JP7315103B2 (ja) 飲料供給装置
KR102314892B1 (ko) 라면 조리 방법
JPH08112204A (ja) 自動販売機の飲料抽出装置
KR102407535B1 (ko) 고순도 스팀발생장치
US20180161741A1 (en) Food processing machine with liquid injection
JPH0478289B2 (ko)
JP3579289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20040013044A (ko) 묵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