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143A -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 - Google Patents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143A
KR20210037143A KR1020190119382A KR20190119382A KR20210037143A KR 20210037143 A KR20210037143 A KR 20210037143A KR 1020190119382 A KR1020190119382 A KR 1020190119382A KR 20190119382 A KR20190119382 A KR 20190119382A KR 20210037143 A KR20210037143 A KR 20210037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breast shield
soft layer
soft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586B1 (ko
Inventor
최흥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님
Priority to KR102019011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586B1/ko
Priority to EP19947127.7A priority patent/EP4035701A4/en
Priority to PCT/KR2019/014549 priority patent/WO2021060608A1/ko
Priority to CN201980087808.9A priority patent/CN113260390A/zh
Priority to US16/682,662 priority patent/US20210093760A1/en
Publication of KR20210037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61H7/008Suction 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 A61M1/066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9Means for improving milking yield
    • A61M1/0697Means for improving milking yield having means for massaging the br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7Breast; mamm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에 관한 것으로서, 인간 모유를 유착하기 위한 유축기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breast shield)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中空)이 구비되도록 양단 및 양단을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며, 양단이 개방되어 양단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인간의 유방이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강성의 베이스부, 측벽을 관통하는 관통홀 및 베이스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감싸며, 관통홀을 통한 공기 이동을 차단하는 가용성을 가지는 연질부를 포함하는 브레스트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BREAST PUMP APPARATUS AND BREAST SHIELD THEREFOR}
본 발명은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모의 가슴을 마사지할 수 있는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축기는 인간의 유두에 음압을 가하여 인간의 모유를 유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유축기는 수동으로 또는 전기 모터로 작동되는 진공 펌프, 가슴 상에 위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스트쉴드(BREAST SHIELD), 어댑터 및 유축된 모유가 수집되는 모유 수집 용기를 포함한다. 브레스트 쉴드는 직접 또는 흡입 라인에 의해 진공 펌프에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음압이 가슴으로부터 모유를 짜내기 위하여 브레스트 쉴드에 있는 가슴에 가해질 수 있다. 어댑터는 브레스트 쉴드를 지지하고 브레스트 쉴드를 진공 펌프 또는 흡입 라인에 연결한다. 어댑터는 또한 용기를 어댑터에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모유 라인에 의해 모유 수집 용기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브레스트 쉴드는 깔때기 및 어댑터로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깔때기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뿔 형태로 구현되고, 강성 또는 연성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부는 관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브레스트 쉴드는 가슴을 자극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가슴 내부의 유선을 마사지하여 뭉치지 않고 모유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이러한 마사지를 위한 종래의 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511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마사지를 위해서는 연질의 재질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연질로 구성된 부분은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오그라들면서 연질부분과 경질부분에 틈이 생기면서 모유가 대략 깔대기형상의 브레스트쉴드 밖으로 역류하여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가해질 때 브레스트쉴드에 의해 가슴의 좁은 면적이 강하게 가압되어야 가슴 마사지의 효과가 높다. 하지만 기존의 기술에 의하면,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가해질 때 브레스트쉴드 전체가 오그라들어 가압에 의한 힘이 가슴의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어 마사지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가해질 때 브레스트쉴드의 특정된 일부 영역이 가슴을 가압하여 마사지 할 수 있는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가해질 때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지 않는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통하여,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가해질 때 브레스트쉴드로부터 모유가 누출되지 않는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 모유를 유착하기 위한 유축기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breast shield)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中空)이 구비되도록 양단 및 상기 양단을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양단이 개방되어 상기 양단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인간의 유방이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강성의 베이스부;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감싸며, 상기 관통홀을 통한 공기 이동을 차단하는 가용성을 가지는 연질부;를 포함하는 브레스트쉴드를 제공한다.
상기 연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에 밀착하는 제1연질층;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제2연질층; 및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연질층 및 상기 제2연질층 각각에 연결되는 제3연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질층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질층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신장되어 상기 확장부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질부는 상기 확장부의 말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인간의 가슴에 밀착하는 접촉에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에지는 상기 제1연질층 및 상기 제2연질층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에지는 접촉하는 인간의 가슴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질부는 인서트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의 가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브레스트쉴드(breast shield); 인간 모유가 유착되도록 상기 브레스트쉴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 및 유착된 모유가 저장되는 유착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스트쉴드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구비된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된 강성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벽을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덮는 단일 층 영역과 상기 단일 층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이중 층 영역을 포함하며, 가용성을 가지는 연질부;를 포함하는 유축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가해질 때 브레스트쉴드의 특정된 일부 영역이 가슴을 가압하여 마사지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가해질 때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브레스트쉴드 내부에 음압이 가해질 때 브레스트쉴드로부터 모유가 누출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브레스트쉴드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브레스트쉴드의 연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브레스트쉴드의 베이스부 및 연질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축기(1)는 여성의 가슴에 착용되는 브레스트쉴드 (breast shield: 10), 브레스트쉴드(10)에 연결되는 기류차단부(30), 유착된 모유를 저장하는 유착저장부(40), 브레스트쉴드(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20)를 포함한다.
브레스트쉴드(10)는 여성의 가슴에 착용되며, 압력조절장치(20)에 의해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여성의 가슴에 밀착하여 유두에 음압이 가해지도록 한다. 유두에 음압이 가해지면 유착(乳搾)된다. 브레스트쉴드(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기류차단부(30)는 압력조절장치(20)와 연결튜브(51)에 의해 연결되며, 압력조절장치(20)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이 효과적으로 브레스트쉴드(10)에 전달되도록 하며, 브레스트쉴드(10)와 압력조절장치(20)간의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압력조절장치(20)는 유착을 위해 브레스트쉴드(10)의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압력조절장치(20)는 공기 압력을 조절하는 피스톤(미도시), 실린더(미도시)및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미도시) 등이 구비되며, 연결튜브(51)를 통해 기류차단부(30)와 연결된다.
유착저장부(40) 유착된 모유를 저장하기 위해 브레스트쉴드(10)와 연결관(52)을 통해 연결된다. 유착된 모유는 브레스트쉴드(10)를 통해 흘러나온 후 연결관(52)에 의해 유착저장부(40)로 안내된다.
한편, 연결관(52)은 기류차단부(30), 브레스트쉴드(10) 및 유착저장부(4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경우 압력조절장치(20)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면, 브레스트쉴드(10)의 내부 공기 일부가 기류차단부(30)를 통해 압력조절장치(20)를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유착된 모유가 브레스트쉴드(10)에서 유착저장부(40)로 안내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브레스트쉴드 (breast shield: 10)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브레스트쉴드(10)의 베이스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브레스트쉴드(10)의 연질부(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레스트쉴드(10)는 압력조절장치(20)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음압을 이용하여 여성의 가슴으로부터 모유를 펌핑해내기 위한 것이며, 여성의 가슴에 밀착되어 내부에 여성의 가슴이 일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브레스트쉴드(10)는 유방의 일부분 및 유두 위에 배치되는 흡입 컵과 유사한 깔때기 또는 포물선 형태의 컵 등을 포함하며, 유방 실드로 지칭도기도 한다. 여성의 가슴에 밀착되도록 주로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브레스트쉴드(10)는 인간의 유방이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강성의 베이스부(100) 및 베이스부(100)를 감싸는 연질부(3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압력조절장치(20)에 의해 음압이 내부에 전달되어도 인간의 가슴에 음압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형태의 변화가 최소화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00)는 내부에 중공(中空)이 형성되며, 중공을 정의할 수 있도록 양단 및 양단 증 어느 하나로부터 나머지를 향해 연장되는 측벽(139)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양단이 개방되어 중공이 베이스부(100)의 외부와 연통된다. 베이스부(100) 양단 중 어느 하나는 인간의 가슴을 통과시켜 중공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부(100)는 측벽(139)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37)이 구비된다.
베이스부(100)는 인간의 가슴에 보다 효과적으로 음압을 전달하기 위해, 양단 중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면적이 더 큰 타단을 통해 인간의 가슴이 삽입된다.
베이스부(100)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구비된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깔대기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인간의 가슴을 수용하기 적합하다.
한편, 베이스부(100)는 관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100)는 관부(110) 및 관부(110)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확장부(130)로 이루어지게 된다. 확장부(130)는 인간의 가슴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가슴에 착용된다.
확장부(1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제1단부(131), 제1단부(131)보다 단면적이 더 큰 제2단부(133) 및 제1단부(131) 및 제2단부(133)를 연결하는 측벽(139)을 포함한다.
제1단부(131) 및 제2단부(133)는 개방되어 중공을 외부와 연통시킨다. 제1단부(131)는 관부(110)와 연결되어 관부(110)의 내부공간과 중공을 연통시킨다. 제2단부(133)은 인간의 가슴이 통과하여 중공에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단면적을 가진다.
확장부(130)의 측벽(139)은 상술한 베이스부(100)의 측벽(139)을 이루며, 단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확장부(130)의 외부 및 내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137)이 하나 이상 구비된다.
한편 확장부(130)의 제1단부(131) 외측면에는 제1단부(131)의 둘레를 따라 결합홀(135)이 복수개 구비된다. 결합홀(135)은 후술하는 연질부(300)의 표면 일부가 삽입되어 연질부(300)가 베이스부(100) 즉 확장부(13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관부(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압력조절장치(20)에 의해 음압 형성 시 브레스트쉴드(10)의 내부 공기 일부가 관부(110)를 통해 압력조절장치(20)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관부(110)는 하나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미리 제작된 기류차단부(30)와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확장부(130)의 제1단부(131)에 연결되는 제1관부(110) 및 제1관부(110)에 연결되되 제1관부(110)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제2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질부(30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가용성을 가진다. 연질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질부(300)는 관통홀(137)을 차단하여 관통홀(137)을 통한 공기 이동까지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연질부(300)는 베이스부(100)의 내측면에 밀착하는 제1연질층(310), 베이스부(100)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제2연질층(330) 및 관통홀(137)에 구비되는 제3연질층(350)을 포함한다.
제1연질층(310)은 베이스부(100) 즉 확장부(130)의 내부에 구비되어 확장부(130)의 내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제1연질층(310)은 내부연질층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2연질층(330)은 베이스부(100) 즉 확장부(130)의 외부에 구비되어 확장부(130)의 외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제2연질층(330)은 외부연질층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3연질층(350)은 관통홀(137)에 구비되어 가장자리가 제1연질층(310) 및 제2연질층(330) 각각에 연결된다. 제3연질층(350)은 베이스부(100) 즉 확장부(130)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가장자리와 연결된 제1연질층(310) 및 제2연질층(330)의 일부와 함께 신장되어 확장부(13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한 제3연질층(350)은 인간의 가슴을 가압하여 자극한다. 가압된 가슴 즉 여성의 유방은 유선이 마사지 되어 유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연질층(350)은 음압에 의한 신장 시 보다 내부 깊숙이 이동하여 가슴을 자극할 수 있도록 미리 확장부(130)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작은 크기의 음압에 의해서도 제3연질층(350)이 충분히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연질부(300)는 관통홀(137)을 덮는 단일 층 영역과 단일 층과 연결되며 베이스부(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이중 층 영역을 포함하게 된다.
한편, 연질부(300)는 확장부(130)의 말단 즉 제2단부(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접촉에지(370)를 더 포함한다.
접촉에지(370)는 인간의 가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며, 인간의 가슴과 접촉에지(370)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브레스트쉴드(10)가 가슴에 밀착되면 밀착되는 부위를 통해 공기가 브레스트쉴드(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접촉에지(370)는 가슴 밀착을 위해 가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일 예로 접촉에지(370)는 도 3에서의 연질부(30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후 다시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면서 연질부(30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하향은 도 3의 중심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이며 상향은 도 3의 중심에서 상단을 향하는 방향이다.
이러한 접촉에지(370)는 제1연질층(310) 및 제2연질층(330)과 연결된다.
연질부(300)는 베이스부(100)를 금형(미도시)에 인서트하여 사출하는 인서트사출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인서트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경우 수지 등이 녹아서 형성된 고온의 용탕이 결합홀(135)에 쉽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 연질부(300)는 제2연질층(330)이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질층(310) 및 제3연질층(350)이 상호 연결된다. 제1연질층은 베이스부(100) 내측면 즉, 확장부(130)의 내측면에 초음파에 의해 용착되어 접합될 수 있다. 초음파 용착은 초음파 진동에 발열, 연화, 용융현상에 의해 연질부(300)를 이루는 수지가 용착되는 현상이다.
초음파 접합은 접착제나 용제가 필요 없고 용착속도가 매우 빠르며 용착물 표면에 변형이나 손상이 없다. 강력한 용착으로 인하여 수밀성 및 기밀성이 좋고 전처리 및 후처리가 필요 없으며 작업환경이 깨끗하고 생산능률이 향상되느 장점이 있다.
이하, 브레스트쉴드(10)의 연질부(300)의 작용에 대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브레스트쉴드(10)의 베이스부(100) 및 연질부(300)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B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확장부(130)는 외측면이 제2연질층(330)에 접하고 내측면이 제1연질층(310)에 접한다. 또한 확장부(130)는 관통홀(137)이 제3연질층(350)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 이 때 압력조절장치(20)에 의해 형성된 음압이 브래스트쉴드 즉 확장부(130)의 내부에 전달되면, 제3연질층(350)이 신장되면서 확정부의 내부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제2연질층(330)이 구비되지 않았다. 따라서 제3연질층(350)이 신장하면서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에 연질부(300)가 음압에 의해 오그라드는 등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1연질층(310)가 확장부(13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었다.
이러한 이격이 발생하면, 확장부(13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 음압의 크기가 감소하고 나아가 내부의 모유가 외부로 누출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스트쉴드(10)는 확장부(130)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제2연질층(330)과 제1연질층(310)이 결합함에 따라, 제3연질층(350)이 신장하여 내부로 이동하여도 제1연질층(310)이 확장부(130)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연질부(300)는 확장부(130)의 제1단부(131)에 인접한 X영역을 통해 제1연질층(310), 제2연질층(330) 및 제3연질층(350)이 상호 연결된다.
제3연질층(350)이 신장되어 확장부(130)의 내부로 이동하면, 제1연질층(310)은 X영역을 통해 대략 확장부(130)의 내부를 향하는 힘을 받는다. 확장부(130)의 내부를 향하는 힘은 제1연질층(310)을 확장부(130)의 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작용하는 힘이다.
X영역 역시 제3연질층(350)과 연결되어 확장부(130)의 내부를 향하는 힘을 받지만, 제2연질층(330)에 의해 확장부(130)의 내부를 향하는 이동이 최소화된다. 제2연질층(330)과 확장부(130)의 외측면간의 마찰력에 의해 제2연질층(330)의 이동이 최소화되면서 X영역 역시 이동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즉, 제2연질층(330)은 X영역을 통해 제3연질층(350)으로부터 확장부(130)의 표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의 힘을 받게 되지만, 확장부(130)의 표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X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 경우 제2연질층(330)은 일부가 상술한 결합홀(135)에 삽입된 상태라면 마찰력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연질층(310)은 X영역에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확장부(130)의 내부로 오그라드는 등의 변화를 하면서 확장부(13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연질부(300)는 확장부(130)의 제2단부(133)에 인접한 Y영역 및 Z영역을 포함한다.연질부(300)는 Y영역을 통해 제1연질층(310), 제2연질층(330) 및 제3연질층(350)이 상호 연결되며, Z영역을 통해 제1연질층(310), 제2연질층(330) 및 접촉에지(370)가 상호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3연질층(350)이 신장되어 확장부(130)의 내부로 이동하면,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제1연질층(310)이 Y영역에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제1연질층(310)이 확장부(13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이때 Y영역은 제2연질층(330)과 확장부(130)의 외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이동이 최소화된다.
한편, 제1연질층(310)은 Z영역에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확장부(13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 때 Z영역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힘은 제2연질층(330)과 확장부(130)의 외측면과의 마찰력뿐만 아니라 접촉에지(370)와 가슴간의 마찰력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브레스트쉴드(10)가 인간의 가슴에 착용된다. 착용되면 인간의 가슴 즉 여성의 유방이 브레스트쉴드(10) 내부에 수용된다.
접촉에지(370)는 가슴 또는 가슴 주위에 밀착하여 공기가 밀착한 부위를 통해 스며들지 못하도록 한다.
압력조절장치(20)가 작동하면, 음압이 발생한다.
음압이 발생하면 브레스트쉴드(10)의 내부 즉, 확장부(130) 내부의 공기가 관부(110)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면서 유착이 개시된다.
유착이 개시되면 모유가 유착저장부(40)에 저장된다.
이 경우 브레스트쉴드(10) 즉 확장부(130)의 내부에도 음압이 형성된다. 제1연질층(310)은 X영역, Y영역 및 Z영역을 통해 지지되므로, 음압이 형성되어도 확장부(13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유축기
100: 베이스부
110: 관부
130: 확장부
135: 결합홀
137: 관통홀
300: 연질부
310: 제1연질층
330: 제2연질층
350: 제3연질층
370: 접촉에지

Claims (9)

  1. 인간 모유를 유착하기 위한 유축기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breast shield)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中空)이 구비되도록 양단 및 상기 양단을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양단이 개방되어 상기 양단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인간의 유방이 상기 중공에 수용되는 강성의 베이스부;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감싸며, 상기 관통홀을 통한 공기 이동을 차단하는 가용성을 가지는 연질부;를 포함하는 브레스트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면에 밀착하는 제1연질층;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제2연질층; 및
    상기 관통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연질층 및 상기 제2연질층 각각에 연결되는 제3연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스트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질층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스트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질층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면, 신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스트쉴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말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인간의 가슴에 밀착하는 접촉에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스트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에지는 상기 제1연질층 및 상기 제2연질층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스트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에지는 접촉하는 인간의 가슴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스트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부는 인서트사출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스트쉴드.
  9. 인간의 가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브레스트쉴드(breast shield);
    인간 모유가 유착되도록 상기 브레스트쉴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 및
    유착된 모유가 저장되는 유착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스트쉴드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이 구비된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된 강성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벽을 관통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덮는 단일 층 영역과 상기 단일 층과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이중 층 영역을 포함하며, 가용성을 가지는 연질부;를 포함하는 유축기.
KR1020190119382A 2019-09-27 2019-09-27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 KR10233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82A KR102339586B1 (ko) 2019-09-27 2019-09-27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
EP19947127.7A EP4035701A4 (en) 2019-09-27 2019-10-31 BREAST PUMP AND BREAST SHIELD THEREOF
PCT/KR2019/014549 WO2021060608A1 (ko) 2019-09-27 2019-10-31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
CN201980087808.9A CN113260390A (zh) 2019-09-27 2019-10-31 吸奶器及用于该吸奶器的吸乳罩
US16/682,662 US20210093760A1 (en) 2019-09-27 2019-11-13 Breast pump and breast shield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82A KR102339586B1 (ko) 2019-09-27 2019-09-27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143A true KR20210037143A (ko) 2021-04-06
KR102339586B1 KR102339586B1 (ko) 2021-12-17

Family

ID=7516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382A KR102339586B1 (ko) 2019-09-27 2019-09-27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93760A1 (ko)
EP (1) EP4035701A4 (ko)
KR (1) KR102339586B1 (ko)
CN (1) CN113260390A (ko)
WO (1) WO2021060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5836S1 (en) * 2019-11-26 2023-01-17 Koninklijke Philips N.V. Breast pump
USD963835S1 (en) * 2020-10-30 2022-09-13 Hygeia Ii Medical Group, Inc. Breast pump
CN113367966B (zh) * 2021-06-08 2022-08-09 崔秀霞 一种可调节仿生催乳按摩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2907A (ko) * 1998-08-24 2001-07-31 추후제출 모유펌프 삽입물
KR20100006511U (ko) * 2010-06-07 2010-06-25 이성훈 모유 착유기용 흡입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654A (ja) * 2000-06-12 2002-04-16 Clute Lorne Jason 搾乳機
US6663587B2 (en) * 2001-06-22 2003-12-16 Medela Holding Ag Breastshield with multi-pressure and expansible chamber construction, related breastpump and method
GB2399022B (en) * 2001-12-27 2006-10-04 Playtex Products Inc Breast cup
JP4647495B2 (ja) * 2003-10-30 2011-03-09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US8152754B2 (en) * 2004-04-01 2012-04-10 Medela Holding Ag Soft breastshield
JP4467498B2 (ja) * 2005-09-29 2010-05-26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US8480451B2 (en) * 2007-05-16 2013-07-09 Medela Holding Ag Adhesively supporting a breastshield
EP2964285B1 (en) * 2013-03-05 2019-07-17 Koninklijke Philips N.V. Easily assemblable breast interface for a breast pump
KR101660366B1 (ko) * 2015-03-27 2016-09-27 (주)비스토스 마사지 기능을 포함하는 깔때기부재가 구비되는 유축기
CN109641088A (zh) * 2016-09-02 2019-04-16 美德乐控股公司 吸乳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2907A (ko) * 1998-08-24 2001-07-31 추후제출 모유펌프 삽입물
KR20100006511U (ko) * 2010-06-07 2010-06-25 이성훈 모유 착유기용 흡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608A1 (ko) 2021-04-01
EP4035701A4 (en) 2022-11-09
KR102339586B1 (ko) 2021-12-17
US20210093760A1 (en) 2021-04-01
CN113260390A (zh) 2021-08-13
EP4035701A1 (en)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7143A (ko) 유축기 및 그에 사용되는 브레스트쉴드
US10493188B2 (en) Highly efficient breastpump and system for expressing breastmilk
CN103338811B (zh) 用于从伤口部位除去分泌液的方法及系统
CN101616638A (zh) 医用牙科仪器
JP5815629B2 (ja) イヤ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とイヤチップを備えるイヤホン
CA2885870C (en) Fluidic methods and devices
RU2708572C2 (ru) Накладка на молочную железу с гибким краем
WO2005016409A3 (en) Breast pump system
ES2168118T3 (es) Acoplamiento postizo para bomba de extraccion de leche materna.
RU2015148335A (ru) Принимающий жидкость контейнер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вакуумирования, используемого в медицин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тейне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акуумирования
CN106654142A (zh) 注液装置
WO2018006630A1 (zh) 乳垫、罩体及吸奶器
CN107825318B (zh) 真空装夹治具
CN105592392B (zh) 一种扬声器模组及扬声器模组的制造方法
JP2023099978A (ja) 搾乳器
CN205924731U (zh) 去脂减肥装置
WO2018184278A1 (zh) 一种电动按摩吸奶器
KR102061702B1 (ko) 마사지 유축깔대기
JP2007075293A (ja) 搾乳器
CN103190859A (zh) 用于吸尘器吸管的密封系统
CN219208358U (zh) 吸奶器的按摩杯及吸奶器
CN220002538U (zh) 一种免手扶吸奶器
CN215134380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吸奶器
CN211485558U (zh) 一种眼轴运动仪
CN209809148U (zh) 一种吸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