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451A -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451A
KR20210036451A KR1020190118333A KR20190118333A KR20210036451A KR 20210036451 A KR20210036451 A KR 20210036451A KR 1020190118333 A KR1020190118333 A KR 1020190118333A KR 20190118333 A KR20190118333 A KR 20190118333A KR 20210036451 A KR20210036451 A KR 20210036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itching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010B1 (ko
Inventor
박성민
이정노
이누림
유화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90118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0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의 발현 촉진, 아쿠아포린-3의 발현 촉진 및 TRPV1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skin itching, moisturizing and skin barrier with the extract of Veronica longifolia}
본 발명은 긴산꼬리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피부 보습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려움증은 긁고 싶어 하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피부 상태를 말하며, 아토피 뿐만 아니라 건선,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자나 민감성 피부 보유자가 흔히 겪는 증상이다.
아토피는 피부염의 일종으로 얼굴, 팔이나 무릎 등의 접히는 부위에 흔히 발생한다. 주로 영유아기에 발병되는데 성인이 되어서도 영향을 미치는 만성질환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아토피성 피부질환은 유전적, 면역적, 환경적 요인 및 피부장벽의 결손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여 피부 건조증, 붉은 반점, 가려움증 및 염증을 동반하는 습진성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에서 가장 큰 증상은 가려움증으로, 긁을 경우 피부에 자극이 일어나고 이로 인한 가려움증은 더 커져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악화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가려움증의 원인이 두뇌로 신호전달 될 때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를 통하게 되는데, 중추신경계로부터 고통과 가려움의 신호전달과정을 서로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가려움증을 느낄 때 고통(예: 긁기)을 가하면 가려움이 완화된다. 그러나, 가렵다고 긁으면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증가하여 자극에 더욱 민감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에 따라, 아토피성 피부염을 해결하기 위해 1차적으로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긁는 횟수를 줄이고,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피부장벽 및 수분유지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좋다.
한편, 세라마이드는 세포간 지질의 핵심 구성성분으로, 각질세포 간 지질의 약 40 ~ 65%를 차지하며 라멜라 액정구조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피부장벽과 수분 유지 기능에 아주 중요한 스핑고지질이다. 세라마이드의 양이 감소하면 수분 손실로 인해 피부 보호막의 약화, 가려움증, 피부 기능저하 등이 수반되어 피부건조증이 유발되고 이를 방치할 때 2차 피부질환으로서 아토피, 건선 등을 야기하여 피부의 질환이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556호(2013.11.01.)에는 오이풀 및 꼬리풀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474호(2018.04.06.)에는 아토피 피부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천연 유래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피부 보습효과가 천연물의 추출물을 발굴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긴산꼬리풀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인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긴산꼬리풀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3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긴산꼬리풀추출물의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 transferase, SPT)의 발현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긴산꼬리풀추출물의 아쿠아포린(AQP)-3의 발현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긴산꼬리풀추출물의 TRPV1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은 쌍떡잎식물 현삼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반그늘과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꽃은 연한 보라색이며 관상용으로 쓰이나, 꽃을 포함한 전초를 약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긴산꼬리풀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긴산꼬리풀추출물은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 후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 및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은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 transferase, SPT)의 발현을 촉진시키고 세라마이드의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장벽 기능의 손상 회복 및 유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은 아쿠아포린(Aquaporin, AQP)-3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은 가려움증을 유도하는 TRPV1의 발현을 억제하여 가려움증을 현저하게 억제 또는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경표피수분손실량을 감소시켜 피부 보습 유지를 통한 피부장벽강화 기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할 경우 긁는 횟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30.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0.001 중량 %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첨가량 대비 유효성분의 효과가 미미하며, 30.0 중량 %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첨가량 대비 효율성이 떨어져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있는데, 상기 피부 가려움증 또는 피부 자극은 피부염, 땀띠, 짓무름, 동상, 접촉성 피부염, 건선, 유건선, 알러지, 민감성 피부질환, 피부장벽의 염증성, 자극성 병리 및 반응에 의한 가려움증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초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색조화장료 제형; 두피용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실시예 1 : 긴산꼬리풀추출물의 제조]
긴산꼬리풀을 음건하여 분쇄한 후 100g을 50%(v/v) 에탄올 수용액 1L와 혼합하고 50℃에서 3시간 추출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logy, RSM)에 따라 에탄올 수용액의 pH는 8로 조절하였다. 추출로 얻은 추출물은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3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실험예 1 : 긴산꼬리풀추출물의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 발현 효과 확인]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 transferase, SPT)는 세라마이드 생합성을 증가시키며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의 가수분해를 가속화시킴으로써 세라마이드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급성 피부 장벽 손상모델에서 SPT가 발현됨에 따라 세라마이드 합성이 촉진되어 피부장벽 기능의 손상 회복 및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다(Holleran WM., et al., Sphingolipids Are Required for Mammalian Epidermal Barrier Function Inhibition of Sphingolipid Synthesis Delays Barrier Recovery After Acute Perturbation.,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Inc. Volume 88, 1991, 1338-1345). 이에 본 실험에서는 긴산꼬리풀추출물이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간 유래 각질 형성(HaCaT) 세포를 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3×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긴산꼬리풀을 정제수와 혼합하여 10, 30 및 100 ㎍/㎖로 처리하고 24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집하였다. 1 x 세포 용해 버퍼(cell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고 BCA assay로 단백질을 정량한 후 일정량의 단백질을 10% SDS-PAGE 겔에서 전기영동 시켰다. Gel상의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에 전이(transfer)시키고 5% 스킴밀크(skim milk)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하였다. 이를 1 x TTBS 용액으로 3 회 세척하고 1차 항체(SPT, Abcam, USA)를 4℃에서 오버나잇(over night) 반응시킨 후, HRP가 결합된 2차 항체를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1 x TTBS로 3 회 세척하고 ECL용액을 반응시켜 Chemi Doc 기기로 밴드를 검출하였다. 베타-액틴(β-actin)의 발현을 기준으로 정량하여 SPT 발현량을 계산하였으며 Image J 1.47 software를 이용하여 수치화하였으며,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듯이, 긴산꼬리풀추출물(실시예 1)은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 transferase, SPT)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긴산꼬리풀추출물 100 ㎍/ml의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41.79%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긴산꼬리풀추출물의 아쿠아포린 3 발현 효과 확인]
아쿠아포린(Aquaporin, AQP)은 MIP(Major Intinstic Protein) family에 속하는 물과 저분자 물질의 세포 내 수송을 담당하는 채널 달백질이다. 포유류에는 13개의 AQP(AQP-0 ~ AQP-12)이 존재하며, 그 중 AQP-3, 7, 9 및 10은 물 뿐만 아니라 글리세롤 및 다른 작은 용질들을 운반하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AQP-3는 표피의 기저층 각질형성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각질형성세포에서 AQP-3이 발현될 경우 피부 세포의 수분 흡수를 증가시켜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긴산꼬리풀추출물이 아쿠아포린-3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간 유래 각질 형성(HaCaT) 세포를 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3×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긴산꼬리풀을 정제수와 혼합하여 30 및 100 ㎍/㎖로 처리하고 6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집하였다. 1 x 세포 용해 버퍼(cell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고 BCA assay로 단백질을 정량한 후 일정량의 단백질을 10% SDS-PAGE 겔에서 전기영동 시켰다. Gel상의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에 전이(transfer)시키고 5% 스킴밀크(skim milk)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_하였다. 이를 1 x TTBS 용액으로 3 회 세척하고 1차 항체(AQP-3, Santa cruz, USA)를 4℃에서 오버나잇(over night) 반응시킨 후, HRP가 결합된 2차 항체를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1 x TTBS로 3 회 세척하고 ECL용액을 반응시켜 Chemi Doc 기기로 밴드를 검출하였다.
베타-액틴(β-actin)의 발현을 기준으로 정량하여 AQP-3 발현량을 계산하였으며 Image J 1.47 software를 이용하여 수치화하였다. 각 밴드의 강도(intensity)는 베타-액틴(β-actin)의 발현을 기준으로 ‘% control’ 하여 정량하여 AQP-3 발현량 (%)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사용하였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아쿠아포린-3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긴산꼬리풀추출물 100 ㎍/ml의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62.72%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긴산꼬리풀추출물의 TRPV1 발현 억제 효과 확인]
가려움증의 신호전달과정은 프로테이나아제-활성화 수용체(proteinase-activated receptor, PAR)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후에 G-단백질을 거쳐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이인산염(phosphatidylinositol diphosphate)과 다이아실글라이세롤(diacylglycerol), 단백질 키나아제 C를 포함하며, 이후에 대뇌 해마 신경 세포막위의 캡사이신 수용체(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type 1, TRPV1)로 신호전달 되어 TRPV1에 의해 더욱 가려움에 민감하게 되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긴산꼬리풀추출물이 TRPV1의 발현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간 유래 각질 형성(HaCaT) 세포를 2x105 cells/ml로 6 웰(well)에 2 ml씩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후 2-aminoethoxydiphenyl borate(APB) 200 μM을 처리하여 TRPV1, V3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긴산꼬리풀을 정제수와 혼합하여 30 및 100 ㎍/㎖로 처리하여 4시간 반응시켰다. 차가운 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얻은 다음 세포 용해 버퍼를 이용해 얼음상에서 30 분간 반응시켜 세포막을 파괴하고 1,200 rpm에서 15 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분리하고 브래드포드법을 이용해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일정량의 단백질을 SDS-gel loading buffer와 혼합하여 100℃에서 3분간 가열하여 불활성화 시키고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SDS-polyacrylamide gel을 60 mM에서 90 분간 PVDF membrane으로 이동시킨뒤, 5% 스킴 밀크(skim milk)에서 1 시간 블로킹(blocking) 하였다. 블로킹(blocking)을 마친 PVDF membrane에 1차 항체를 4℃에서 24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1X TTBS용액을 10 분 간격으로 3번 교환하여 30 분간 세척하였다. 5% 스킴 밀크(skim milk)에서 primary-specific secondary antibody를 2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다시 1X TTBS 용액으로 10 분 간격으로 30 분간 세척하였다. PVDF membrane을 ECL용액으로 반응시키고 Chemi DocTM XRS+ machine을 이용해 밴드(band)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듯이, 긴산꼬리풀추출물은 30 ㎍/ml의 농도부터 55% TRPV1 발현을 억제하여 100 ug/ml 농도에서 최대 100% TRPV1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아래 표 1과 같은 배합비로 제조하였다.
중량 % 실시예 2 비교예 1
스테아릴 알콜 8 8
스테아린산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스쿠알란 4 4
2-옥틸도데실 알콜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 알콜에스테르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 에스테르 2 2
긴산꼬리풀추출물 5 -
프로필렌글리콜 5 5
정제수 to 100 to 100
(나)상을 혼합 및 가열하여 70℃에 보존하였고, (나)상에 (가)상을 혼합하여 예비 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뒤 서서히 냉각하여 상기 실시예 1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를 위한 비교예 1은 긴산꼬리풀추출물 대신 정제수를 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인체의 피부는 공기 중으로 수분이 손실되는데 이를 경피수분손실량(g/m2/h)이라 한다. 피부의 장벽기능이 상실되면 경피수분손실량이 적정량을 넘어서고, 유분과 수분의 균형이 깨져 유분은 많지만 수분은 부족한 상태로 건조함을 느끼게 된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2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테이프를 이용하여 팔하박부 안쪽의 피부 2곳을 스트래핑 방법으로 피부의 각질을 인위적으로 제거한 후,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1을 각각 도포한 후, 도포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후에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기(Tewameter TM 210, Courage and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의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g/m2/h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실시예 2 16.4 15.1 13.5 9.6
비교예 1 18.2 17.4 15.9 14.7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비교예 1에 비해 경표피수분손실량이 현저히 낮은 점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경표피수분손실량이 감소되어 보습 효과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5 :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가려움증 억제 효과 확인]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2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가려움증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평소 아토피 병변을 가지고 있는 피부 질환자 10명을 대상으로, 5명에게는 상기 실시예 2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나머지 5명에게는 상기 비교예 1을 도포 후 3시간 동안 동영상을 촬영하여 긁는 횟수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비교예 1
긁는 횟수 / h 21 63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포한 피부 질환자는 비교예 1을 도포한 피부 질환자에 비해 피부를 긁는 횟수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산꼬리풀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산꼬리풀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3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18333A 2019-09-25 2019-09-25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33A KR102273010B1 (ko) 2019-09-25 2019-09-25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33A KR102273010B1 (ko) 2019-09-25 2019-09-25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451A true KR20210036451A (ko) 2021-04-05
KR102273010B1 KR102273010B1 (ko) 2021-07-06

Family

ID=7546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333A KR102273010B1 (ko) 2019-09-25 2019-09-25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0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80B1 (ko) * 2005-05-30 2008-09-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188682B1 (ko) * 2010-01-21 2012-10-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베로니카 론기폴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
KR101326556B1 (ko) 2013-08-02 2013-11-07 주식회사 더마랩 오이풀 및 꼬리풀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8474B1 (ko) 2017-08-09 2018-04-12 정병곤 아토피 피부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천연 유래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080B1 (ko) * 2005-05-30 2008-09-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188682B1 (ko) * 2010-01-21 2012-10-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베로니카 론기폴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
KR101326556B1 (ko) 2013-08-02 2013-11-07 주식회사 더마랩 오이풀 및 꼬리풀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8474B1 (ko) 2017-08-09 2018-04-12 정병곤 아토피 피부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천연 유래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010B1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0052B1 (en) Novel sebum secretion inhibitory agent
KR102257524B1 (ko)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1285093B2 (en) Cosmetic uses of swertiamarin
US9078838B2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mixture of essential oils, and its uses thereof, particularly for the care of sensitive or sensitized skin
CN111973641B (zh) 去头屑组合物和其使用方法
KR101133549B1 (ko) 사자발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4029A (ko) 알로에베라잎즙 및 할미꽃, 병풀, 쇠비름 및 위치하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0880A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525462A (ja) しわの外観を減少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2010520232A (ja) 玄参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組成物及びその皮膚保湿化粧料としての用途
JP2000198712A (ja) 化粧料組成物
US8216618B2 (en) Cosmetic use of an Ophiopogon japonicus active principle
KR102062854B1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03479A (ko) 오르키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 케어 방법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20044396A (ko) 폭쇄처리된 굴참나무 목재칩을 용매로 추출한 굴참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273010B1 (ko) 긴산꼬리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14947A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501047B1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 하층부 수분 함유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7501A (ko) 갯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reedalikit et al.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l. Leaves extract on melanogenesis and skin whitening efficacy in the underarm whitening product application
KR101942872B1 (ko) 선복화 추출물 유래 검버섯 또는 노인반점 개선용 미백 조성물 및 그의 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