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240A - 루어 - Google Patents

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240A
KR20210036240A KR1020200026141A KR20200026141A KR20210036240A KR 20210036240 A KR20210036240 A KR 20210036240A KR 1020200026141 A KR1020200026141 A KR 1020200026141A KR 20200026141 A KR20200026141 A KR 20200026141A KR 20210036240 A KR20210036240 A KR 20210036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vable weight
magnet
movab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히로 노모토
Original Assignee
바스데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데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바스데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37Artificial bait for fishing weigh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47Hollow bod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사용 횟수가 많을 경우더라도, 웨이트의 이동에 의한 마그넷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는 루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내부에 중공 영역을 갖는 루어 본체(2)와, 중공 영역에 있어서 꼬리부(22)의 측에서부터 머리부(2)의 측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설치된 규제 영역과, 규제 영역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자성체에 의한 이동형 웨이트(4)와, 규제 영역의 머리부측 선단의 근방에 배치되고, 이동형 웨이트가 머리부측 선단까지 이동했을 때, 이동형 웨이트의 외측 표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에서 자력을 작용시키는 마그넷(5)을 포함한다. 규제 영역은 직선 형상의 와이어(3)에 의해서 구성한다.

Description

루어{LURE}
본 발명은, 루어(lur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공 내부에 있어서 웨이트(weight)가 이동하는 구조의 루어에 관한 것이다.
소위 플러그(plug)라 불리는 루어는, 외견을 작은 물고기와 유사하게 해서 구성된 본체의 내부에 웨이트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 있고(특허문헌 1 참조), 캐스팅 시의 비행 자세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릴링(reeling) 시에는, 웨이트를 이동시켜서 루어 전체의 중심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이 종류의 루어는, 루어 본체의 중공 내부를 웨이트가 롤링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고,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맞춤함으로써 웨이트 위치를 결정시키는 구성(특허문헌 1 참조)의 이외에, 오목부 대신에 자석에 의해서 자착(磁着)시키는 구성인 것이 있었다(특허문헌 2 참조).
JPH10-327708 A JPH11-113449 A JP 2001-299150 A
그런데, 웨이트의 롤링에 의한 이동은, 루어 본체의 중공 내부가 평활하지 않으면 안되고, 제조 시의 버(burr)의 발생이나, 사용 중에 재료의 일부가 내부에서 파손된 것과 같을 경우에는, 롤링면의 평활한 상태를 파괴하는 것이 되어, 웨이트의 원활한 이동에 지장이 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본원의 출원인은, 루어 본체의 내부에 샤프트를 배치하고, 이 샤프트를 따라서 웨이트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개발했다(특허문헌 3 참조).
이 기술의 경우에는, 자성체로 구성된 웨이트를 이동 가능으로 하고, 이 웨이트를 마그넷(magnet)으로 자착함으로써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지만, 마그넷은, 이동하는 영역의 선단에 설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웨이트의 이동을 정지시킬 때, 마그넷에 충돌하는 것으로 되어, 다수회의 사용에 의해, 충격에 의해서 마그넷이 파손될 수 있었다. 마그넷의 파손이 일부로서, 본래의 위치에 머무를 경우에는 사용 가능하지만, 마그넷이 소정 위치에 머무를 수 없을 정도로 파손된 경우에는, 웨이트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없는 사태의 발생이 염려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용 횟수가 많을 경우이어도, 웨이트의 이동에 의한 마그넷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는 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 영역을 갖는 루어 본체와, 상기 중공 영역에 있어서 꼬리부(尾部)측에서부터 머리부(頭部)측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설치된 규제 영역과, 상기 규제 영역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자성체에 의한 이동형 웨이트와, 상기 규제 영역의 머리부측 선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형 웨이트가 머리부측 선단까지 이동했을 때, 해당 이동형 웨이트의 외측 표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에서 자력을 작용시키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따르면, 마그넷은, 이동형 웨이트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에서 자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이며, 이동형 웨이트는 규제 영역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마그넷이 이동형 웨이트와의 접촉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웨이트가 규제 영역을 따라서 이동하고, 마그넷으로부터 적당히 떨어진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당해 마그넷의 자력의 작용을 받을 일은 없지만, 매우 근접한 위치까지 이동할 경우에는, 그 자력의 작용에 의해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 규제 영역은, 직선 형상의 샤프트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해도 된다. 이동 공간을 형성할 경우에는, 전체를 튜브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횡단면에 있어서 3군데 이상이 슬라이딩하는 레일 형상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 영역을 갖는 루어 본체와, 상기 중공 영역에 있어서 꼬리부측에서부터 머리부측을 향해서 축선을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직선 형상의 비자성체에 의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한 자성체에 의한 이동형 웨이트와, 상기 중공 영역의 머리부측 및 꼬리부측에 상기 이동형 웨이트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머리부측의 스토퍼 부재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형 웨이트에 비접촉 상태에서 자력을 작용시키는 마그넷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형 웨이트는,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구성된 봉 형상의 본체부와, 축선과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해당 삽입 통과 구멍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에 관통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이동형 웨이트의 측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대향하는 대향면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대향면은, 상기 이동형 웨이트의 축선방향의 길이 치수와 동일 또는 그 이하의 길이의 대향 영역을 가지고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이동형 웨이트가 머리부측의 상기 스토퍼 부재까지 이동했을 때, 해당 대향면의 중심이 해당 이동형 웨이트의 축선방향 중앙의 위치 또는 그것보다도 머리부측으로 치우친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따르면, 이동형 웨이트는, 봉 형상의 본체부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이 샤프트에 관통 삽입됨으로써, 당해 샤프트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이동형 웨이트에 축선은, 샤프트 축선과 평행하게 되고, 이동형 웨이트가 마그넷의 대향면에 근접할 때, 그 측부가 마그넷의 자력에 의해서 인장되어서 이동을 정지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마그넷의 대향면이, 이동형 웨이트의 축선방향의 길이 치수와 동일 또는 그것 이하로 구성됨으로써, 특히, 대향면을 이동형 웨이트보다도 극단적으로 작게 구성함으로써, 마그넷(대향면)은, 이동형 웨이트의 축선방향 중앙에 있어서 자착하도록(치우침이 없는 안정적인 자력을 작용시킨 상태가 되도록),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정하려고 한다. 이때, 본 발명은, 마그넷의 대향면의 중심의 위치가, 머리부측까지 이동한 이동형 웨이트의 축선방향 중앙의 위치 또는 그것보다도 머리부측으로 치우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형 웨이트는, 그 축선방향 중앙을 마그넷의 접촉면의 중심에 가장 접근하는 위치에 있어서 안정되게 되기 때문에, 마그넷의 위치를 머리부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것은, 마그넷의 대향면의 중앙위치가 머리부방향으로 치우치고 있을 경우에 현저해진다. 따라서, 이동형 웨이트가 스토퍼 부재까지 이동한 상태(웨이트의 선단면이 스토퍼 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안정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웨이트의 본체부는 원주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향면은 원형 또는 원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주형상의 모선 중 대향면에 가장 접근하는 모선, 상기 대향면의 원형 또는 원환 형상의 중심선, 및 샤프트 축선이 동일한 가상 평면 위에 배치되어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는, 원주형상의 이동형 웨이트의 본체부와, 원형 또는 원환 형상의 마그넷의 대향면이 근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부의 모선과 대향면의 중심선이, 가장 긴 거리에서 서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이 되고, 또한, 이동형 웨이트의 삽입 통과 구멍은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에 의한 반력을 최대한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즉, 이동형 웨이트에 대한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마그넷에 의한 웨이트에 대한 흡인력과, 샤프트에 의한 반력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이들 힘이 최대한으로 작용함으로써, 이동형 마그넷은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것으로 된다.
또, 상기 구성의 발명의 경우, 이동형 웨이트의 삽입 통과 구멍은, 원주형상의 본체부의 중심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부의 측부와 대향면의 간극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통과 구멍이 원주형상의 중심선상에 형성됨으로써, 원주형상의 이동형 웨이트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했다고 해도, 상기와 같은 관계는 계속되는 것으로 되고, 본체부의 측부와 대향면의 간극은 균일함에 의해, 마그넷의 자력이 이동형 웨이트에 대해서, 다른 상태로 작용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대향면은, 자극이 되는 부분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성체에 의한 고비중의 이동형 웨이트로 하기 위해서, 텅스텐과 철의 혼합물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공 영역 내를 이동하지 않는 고정형 웨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규제 영역 또는 상기 샤프트는, 상기 루어 본체의 머리부 근방으로부터 꼬리부 근방에 이르는 범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형 웨이트를 상기 루어 본체의 길이방향 중앙보다도 머리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해당 이동형 웨이트가 상기 규제 영역 또는 상기 샤프트의 머리부측 선단까지 이동할 때, 해당 이동형 웨이트와 상기 고정측 웨이트의 쌍방의 중량에 의해 루어 본체 전체의 중심위치를 중앙보다도 머리부측에 배치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루어 본체의 내부에는, 고정형 웨이트와 이동형 웨이트가 존재하는 것이 되고, 양자의 중량 밸런스에 의해 루어 전체의 중심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동형 웨이트를 루어 본체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 시의 비행 자세의 안정과, 릴링 시의 중심위치의 조정 때문이다. 그래서, 고정형 웨이트의 존재에 의해, 루어 본체의 전체의 중심위치를 극단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루어 본체의 머리부 부근인지, 꼬리부 부근인지를 구별시키는 것과 같은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루어 본체의 중심을 꼬리부 부근으로 하는 경우에는, 캐스팅 시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것이 되고, 머리부 부근으로 할 경우에는 릴링 시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고체형 웨이트는, 적어도 루어 본체의 길이방향 중앙보다도 꼬리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고정형 웨이트는, 1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설치해도 되고, 그 중 적어도 1개가 중앙보다도 꼬리부측으로 하고, 당해 고정형 웨이트에 의한 전체의 중심을 꼬리부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동형 웨이트의 이동에 의해 머리부 부근의 중량 밸런스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성체에 의해서 구성되는 웨이트와, 이것을 자착시키기 위한 마그넷은 비접촉 상태가 유지되므로, 충돌에 의한 파손의 염려는 해소되고, 따라서, 다수회의 사용을 견디어낼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고정형 웨이트를 구비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만일 이동형 웨이트가 기능하지 않게 된 경우이더라도, 고정형 웨이트에 의한 중량 밸런스, 적어도 상하 방향의 밸런스는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계속적인 사용은 가능해진다.
또한, 마그넷의 크기를 이동형 웨이트보다도 작게 구성하고, 마그넷의 중심위치를, 이동형 웨이트가 머리부측에서 정지할 때의 중앙보다도 머리부측으로 함으로써, 이동형 웨이트는 머리부형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되는 것이 되므로, 수중에 있어서의 루어의 진동(릴링 시의 흔들림) 등에 의한 이동형 웨이트의 이동을 억제하고, 스토퍼 부재와 이동형 웨이트가 이간과 접촉을 반복함으로써 생기는 충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이동형 웨이트와 마그넷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이동형 웨이트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작동 양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사용 양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어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b)는 모두 중심선을 따른 종단면이고, 양자는 이동형 웨이트의 위치가 다른 것 이외에는 같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루어(1)는, 루어 본체(2)와, 그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 영역(20)에 있어서 머리부(21)로부터 꼬리부(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3)와, 이 샤프트(3)에 관통 삽입되는 이동형 웨이트(4)와, 이 웨이트(4)에 비접촉 상태에서 자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마그넷(5)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하는 루어(1)는, 립(lip) 루어이며, 루어 본체(2)에는, 복수의 아일릿(eyelet)(11, 12, 13)이 장착되는 것이며, 머리부(21)의 측에 설치되는 아일릿(11)은 라인 쪽으로서 사용되고, 꼬리부(22)의 측 및 중앙(23)의 위치에 설치되는 아일릿(12, 13)은 훅(hook) 쪽으로서, 각각 훅(14, 15)이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루어 본체(2)는, 일반적으로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되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1/2부분을 개별적으로 제작하고, 이 중앙에 있어서 접착함으로써, 일체적인 루어 본체(2)의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도시에 있어서, 루어 본체(2)의 단면(斷面)을 나타내는 빗금 부분은, 루어 본체(2)의 전체에 있어서의 절단부 단면이지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1/2부분에 있어서는, 접합해야 할 표면이 된다. 따라서, 중공 영역(20)은, 성형 시에 있어서 캐비티(오목 형상부)가 구성되어 있는 부분이 이용되고, 접합에 의해서 내부에 공간으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내부에 설치되는 각 요소는, 상기 캐비티에 설치한 후, 접합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것이다.
샤프트(3)는, 직선 형상의 봉 형상부재(선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양단부는, 루어 본체(2)의 중공 영역(20)에 형성되는 지지부(6, 7)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부(6, 7)는, 샤프트(3)의 양단부를 포위하는 말단 지지부(61, 71)와, 이 말단 지지부(61, 71)보다도 샤프트(3)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는 벽부(62, 72)를 구비하고 있다. 말단 지지부(61, 71)가, 샤프트(3)의 양단부를 포위하는 것에 의해, 전후 방향(머리부(21)로부터 꼬리부(22)로의 방향) 및 당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벽부(62, 72)는, 적당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동형 웨이트(4)의 접촉을 받는 것이다. 즉, 이동형 웨이트 앞쪽(루어 본체의 머리부측)의 단면(41)은 한쪽 벽부(62)에 접촉하고, 다른 쪽 단면(후측의 단면)(42)은, 다른 쪽 벽부(72)에 접촉해서, 그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당해 이동형 웨이트(4)가 이동 범위를 확정시키는 스토퍼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샤프트(3)는, 비자성체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가 관통 삽입되는 이동형 웨이트(4)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이것이 마그넷(5)의 자력의 작용을 받는 것이 되므로, 당해 자성체가 자화된 경우, 샤프트(3)와 이동형 웨이트(4)가 접촉 부분에 있어서 자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비자성체로서는 스테인리스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한 자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면, 근소한 자성을 나타내는 정도의 자성체이더라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 의미에서, 비자성체란, 강자성체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샤프트(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형 웨이트(4)의 이동 방향 및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정 범위에 있어서 직선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 의미에 있어서, 샤프트(3)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가 규제 영역이 된다. 그래서, 이 샤프트(3) 대신에, 다른 방법에 의해 규제 영역을 형성할 경우에는, 직선 형상의 레일 형상 부재를 3개 이상 배치하고, 그 레일 형상 부재의 선단에 3군데 이상에 있어서 이동형 웨이트가 슬라이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동형 웨이트(4)는, 적당한 길이의 봉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중심선상에 삽입 통과 구멍을 갖고, 해당 삽입 통과 구멍에 샤프트(3)가 관통 삽입(유격 끼워맞춤)됨으로써, 당해 샤프트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샤프트(3)의 관통 삽입 상태는, 근소한 여유를 갖는 유격 끼워맞춤 상태이지만, 극단적인 유격을 생기게 하지 않도록, 샤프트(3)의 외경에 대해서, 삽입 통과 구멍의 내경을 근소하게 크게 돌출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동형 웨이트(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그넷(5)의 자력의 작용에 의해, 샤프트(3)에 따른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자력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이동형 웨이트(4)는 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이 고정형 웨이트(4)가, 추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중량, 특히 고비중인 것으로 하여 소체적으로 대중량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텅스텐과 철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텅스텐은 자성체가 아니므로, 철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전체로서 자성체로 하고 있는 것이다. 텅스텐과 철의 혼합물은, 예를 들면 분말야금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다. 텅스텐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고비중 금속과, 자성체인 다른 금속(철이 아니어도 됨)을 혼합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분말야금법에 의한 혼합물을 제조할 경우에는, 이동형 웨이트(4)의 표면에도 철의 성분이 광범위하게 존재하므로, 철의 혼합 비율이 적어도 자성체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마그넷(5)은, 머리부(21)의 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6)의 근방, 즉,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벽부)(62)의 근방으로서, 그리고 이동형 웨이트(4)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동형 웨이트(4)가 마그넷(5)에 접근한 상태에 있어서도 이동형 웨이트(4)가 마그넷(5)에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간극(H)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마그넷(5)은, 샤프트(3)의 머리부(21)의 측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6)에 일체로 설치되는 마그넷 유지부(63)에 의해서 유지되고, 그리고 마그넷(5)의 일부(대향면)(51)가 이동측 웨이트(4)에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마그넷(5)은, 도면에 있어서, 이동형 웨이트(4)의 위쪽(배후측)에 설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동형 웨이트(4)의 주변에 있어서 비접촉 상태이면, 아래쪽(복부측)이어도 되고, 측방이어도 된다. 단, 측방에 설치할 경우에는, 좌우 양측에 각 1개의 마그넷을 마찬가지로(대칭으로) 설치하는 등, 좌우의 중량 밸런스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마그넷(5)은, 비접촉 상태에 있어서 이동형 웨이트(4)에 자력을 작용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자력이 큰 종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네오디뮴 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마그넷(5)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하는 동시에, 이동형 웨이트(4)와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이동형 웨이트(4)와 마그넷(5)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2(a)는 양자의 투시에 의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은 IIB-IIB선에 의한 단면, 도 2(c)는 IIC-IIC선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웨이트(4)는, 전체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마그넷(5)은,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하는 전체로서 원판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원판 형상으로 한 마그넷(5)은, 상하 양면(51, 52) 모두 원형 표면임과 동시에, 하부면(51)이 이동형 웨이트(4)에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있고, 이 하부면(51)이 대향면(51)이 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한 이동형 웨이트(4)의 최상위에 형성되는 모선(40)과, 원판 형상으로 한 마그넷(5)의 중심선(50)을 평행하게 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의 예시에서는, 마그넷(5)의 중심선(50)은, 이동형 웨이트(4)의 당해 모선(40)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모선(40)은, 샤프트(3)의 축선(30)과 평행하기 때문에, 샤프트(3)의 축선을 포함시켜 모두 평행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마그넷(5)의 배치의 상태를 환언하면, 샤프트(3)의 축선(30), 이동형 웨이트(4)의 최상위의 모선(40) 및 마그넷(5)의 중심선(50)은, 동일한 가상 평면상(특히 도면 중에 있어서 수직평면상)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를 IIB-IIB선에 의한 단면에서는, 도 2(b)와 같이, 연직인 중심선을 경계로 좌우가 대칭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한 이동형 웨이트(4)의 최상위(원형단면의 상단)와, 마그넷(5)의 대향면(51)의 중앙(중심점) 사이가 가장 근접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대향면(51)(및 표면(52))을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한쪽의 자극으로 함으로써, 강력한 자기를 생기게 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이동형 웨이트(4)는, 마그넷(5)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그 자력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이 되고, 특히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자착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이동형 웨이트(4)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동형 웨이트(4)가 자체 중량에 의해 하강하지 않고, 또 자력에 의해서 상승하지 않는 상태를 가정하면, IIC-IIC선에 의한 단면에 있어서, 샤프트(3)의 축선(30)과 이동형 웨이트(4)의 축선은 동일하게 되고, 그 최상위의 모선(도면 중의 절단부 단면에 있어서의 상단 가장자리)(40)은, 샤프트(3)의 축선(30)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마그넷(5)의 중심선(도면 중의 절단부 단면)(50)도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형 웨이트(4)의 최상위의 모선(40)과 마그넷(5)의 대향면(5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H)은, 마그넷(5)의 직경 방향으로 같은 간극(H)이 되므로, 대향면(51)이 이동형 웨이트(4)에 대향하는 범위의 전체가 마찬가지로 자착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형 웨이트(4) 및 마그넷(5)은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므로,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어 본체(2)의 내부에 있어서도 좌우 대칭인 상태로는 위치될 수 있다. 루어 본체(2)가 1/2부분(2a, 2b)을 접합시켜서 구성되므로, 이 접합 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샤프트(3) 및 마그넷(5)을 배치(고정)하면, 좌우 대칭인 루어 본체(2)를 제작하는 동시에, 내부에 있어서도 좌우 대칭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도 2(d)에 있어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한 마그넷(5)은, 중앙에 있어서만 이동형 웨이트(4)와의 간극을 최소로 하므로, 좌우 방향 양단부 근방의 자력의 작용은 작으므로, 당해 좌우 양단 가장자리를 루어 본체(2)의 1/2부분과 함께 양측에서부터 유지부(63)(63a,63b)에 의해서 유지시킴으로써, 마그넷(5)을 위쪽에 있어서 유지하고, 그리고 자착력이 작용할 때에, 당해 마그넷(5)이 이동형 웨이트(4)를 향해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시키고 있다.
또, 마그넷(5)을 배치해야 할 위치는, 샤프트(3) 및 이동형 웨이트(4)의 바로 위로 했지만, 좌우 대칭으로 배치할 경우에는, 바로 아래에 위치시켜도 된다. 이 경우, 대향면(51)은 상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된다. 또한, 이동형 웨이트(4)와 마그넷(5)의 관계에만 착안하면, 좌우 방향의 어느 한쪽에 배치해도 되고, 이때 좌우 대칭으로 하기 위해서는 좌우 양측에 대칭인 위치에 각각 각 1개 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샤프트(3)의 축선방향(루어 본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마그넷(5)의 배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각 요소에 의한 것으로 하고, 마그넷(5)은 이동형 웨이트(4)의 바로 위에 배치할 경우를 예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한 마그넷(5)의 대향면(51)을 자극(예를 들어 N극)으로 할 경우, 마그넷(5)에 의한 자계는, 원판 형상의 주변에 있어서 균등하게 루프 형상으로 작용한다.
이 자계(자착력)가 작용하는 영역에 자성체인 이동형 웨이트(4)가 이동하면, 자착력의 작용에 의해, 이동형 웨이트(4)가 흡착되는 것이 된다. 이때, 이동형 웨이트(4)의 일부만이 흡착된 상태로 되어서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흡착력에 의해, 더 강력하게 흡착된다. 이것은, 보다 강하게 자계가 발생하고 있는 위치로 유도되기 때문임과 동시에, 자계의 밸런스가 균등한 상태가 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형 웨이트(4)의 길이방향 중심선(Y)은, 마그넷(5)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자계의 밸런스가 균등하게 되고, 자착력이 안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된다.
또, 이러한 자계의 밸런스의 균형·불균형인 상태는, 이동형 웨이트(4)의 모선(도면 중 절단부 단면에 있어서의 상단 가장자리)의 길이, 즉, 축선방향의 길이 치수와, 대향면(51)의 직경(길이방향 중앙의 직경방향이 대향 영역이 됨)의 길이 치수가 동일해도 되지만, 쌍방의 치수가 크게 다른 것에 있어서 현저하게 출현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향면(51)의 대향 영역(지름)의 치수는, 이동형 웨이트(4)의 모선의 길이 치수의 1/2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상기와 같은 안정적인 상태에 있어서 이동형 웨이트(4)를 정지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형 웨이트(4)가 정지하는 상태에 있어서 앞쪽(루어 본체의 머리부측)의 단면(41)이 접촉할 수 있도록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벽부)(62)를 설치하는 것이 된다. 이 상태를 도 3(c)에 나타낸다. 이 위치에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62)를 설치하는 이유는, 첫째로, 이동형 웨이트(4)의 정지 위치를 특정 위치에 정지시킴으로써, 루어 전체의 중량 밸런스를 획일적으로 하는 것이며, 둘째로, 사용 중인 루어의 진동 등에 의해서 이동측 웨이트(4)가 미세하게 흔들리는 것에 의해, 이동형 웨이트(4)와 스토퍼 부재(62)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형 웨이트(4)와 스토퍼 부재(62)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형 웨이트(5)의 길이방향 중심선(Y1)이, 마그넷(5)의 중심선(Y2)에 도달하기 직전에 있어서, 당해 이동형 웨이트(4)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바와 같은 위치에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6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술과 같이, 마그넷(5)에 의한 자계의 밸런스를 균등하게 작용시키기 위해서, 이동형 웨이트(4)에 대해서 전방(머리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와 같은 자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며, 이 자력의 작용에 의해, 이동형 웨이트(4)를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62)에 압압하는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압압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루어의 사용 시에, 루어가 진동하는 등의 경우이더라도, 이동형 웨이트가 용이하게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62)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어, 충돌의 발생을 극히 근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넷(5)의 자력에 의해서 이동형 웨이트(4)를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62)에 압압시키기 위해서는, 양자의 중심선(Y1, Y2)을 치우치게 해서 배치하면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넷(5)의 직경의 치수가 이동형 웨이트(4)의 모선의 길이 치수의 1/2로 할 경우, 모선의 1/4만큼 치우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마그넷(5)의 머리부측의 측면은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62)의 표면과 일치시켜서 설치할 수 있다.
<작동 양상>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동 양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이동형 웨이트(4)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4의 (a)는 이동형 웨이트(4)가 꼬리부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c)는 머리부측에 위치하는 상태, (b)은 그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의한 예시에서는, 샤프트(3)에 대해서 이동형 웨이트(4)의 삽입 통과 구멍(43)을 유격 끼워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때의 양자의 간극의 상태가 도면상 이해하기 쉽도록 과장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4(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형 웨이트(4)가 마그넷(5)에 의해서 정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동형 웨이트(4)는, 샤프트(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샤프트(3)는 직선 형상이며, 원주 형상으로 하는 이동형 웨이트(4)의 삽입 통과 구멍(43)은 중심선상에 직선적으로 설치되므로, 직선 형상의 샤프트(3)를 따른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축 둘레에 대한 회전은 자유 자재인 상태이지만, 다른 자유도는 제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샤프트(3)에 대해서 이동형 웨이트(4)의 삽입 통과 구멍(43)은 유격 끼워맞춤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샤프트(3)의 축선을 가로방향(수평)으로 했을 경우, 이동형 웨이트(4)는 자체 중량에 의해서 근소하나마 하강해서 늘어진 상태로 되고, 샤프트(3)의 상부 표면에 이동형 웨이트(4)의 삽입 통과 구멍의 위쪽부분이 슬라이딩하여, 양자가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의 슬라이딩 부분은 극히 미소하기 때문에, 저항(마찰 저항)의 영향을 크게 받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삽입 통과 구멍(43)은, 이동형 웨이트(4)의 중심선상에 설치되므로, 하강하는(늘어지는) 쪽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굳이, 중심선으로부터 일탈시킴으로써 늘어짐 상태를 일정한 방향으로 할 수도 있지만, 축 둘레 회전 시의 마그넷(5)과의 간극이 불균일하게 될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동형 웨이트(4)를 원기둥 형상으로 할 경우에는, 삽입 통과 구멍(43)을 중심선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그넷(5)의 자력이 작용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는, 이동형 웨이트(5)는, 샤프트(3)의 축선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그 이동이 머리부측 선단에 도달할 때, 마그넷(5)의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것으로 된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그넷(5)에 의한 자력이 작용하면, 이동형 웨이트(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의 중심을 마그넷(5)의 중앙에 도달할 때까지 흡인되는 것으로 되므로,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62)에 근접해서 설치되는 마그넷(5)에 의해서, 이동형 웨이트(4)는, 그 전단면(61)을 당해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62)에 접촉시키는 상태까지 흡인시켜지는 것이 된다.
이때, 자력에 의한 흡인에 의해서, 이동형 웨이트(4)는, 샤프트(3)와 삽입 통과 구멍(43)의 유격의 범위에서 근소하지만 상승하여, 마그넷(5)과의 간극은 한층 접근한 상태가 된다. 이 접근에 의해, 마그넷(5)의 자력은 더 강력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동형 웨이트(4)의 이동은 크게 제한되는 것이 된다.
또, 이동형 웨이트(4)는, 마그넷(5)과 접촉하고 있지 않은(비접촉) 상태이기 때문에, 자력이 크게 작용한 상태이어도 양자는 충돌하지 않고, 따라서, 마그넷(5)의 파손을 초래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접촉해서 자착한 상태와 비교하면 분리시키는(이간시키는) 것은 용이해진다. 따라서, 단순히 꼬리부측을 하향으로 샤프트(3)를 연직방향으로 한 정도에서는, 용이하게 이동형 웨이트(4)는 꼬리부측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이지만, 그러한 샤프트(3)의 연직상태에 있어서 가벼운 충격을 가함으로써, 이동형 웨이트(4)는 자체 중량에 의해 꼬리부측으로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 양상>
실제로 루어(1)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아일릿(11)에 연결된 라인(16)에 의해서 매달리게 함으로써, 루어 본체(2)의 내부의 샤프트(3)는, 꼬리부(22) 측의 하향으로 하는 대략 연직방향이 된다. 그래서, 가볍게 루어 본체(2)에 충격을 주거나, 또는 캐스팅의 동작에 의해서 원심력을 주는 것에 의해, 이동형 웨이트(4)는, 꼬리부(22) 측으로 자체중량 또는 원심력에 의해서 이동하는 것이 된다(도 5(a) 참조).
그리고, 캐스팅에 의해서 착수한 루어(1)를 릴링함으로써, 루어(1)는, 수중에 있어서 자세가 안정되고, 또 립(17)의 작용 등에 의해 머리부(21)를 꼬리부(22)보다도 하위가 되는 자세로 된다. 이러한 머리부(21)가 하위가 되는 자세에 의해, 루어 본체(2)의 내부의 샤프트(3)는 당해 자세를 따라서 경사지고, 그 경사를 따라서 이동이 있었던 웨이트(4)는 자체중량에 의해 머리부(2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마그넷(5)의 자력이 작용하는 영역까지 도달하면, 마그넷(5)에 의해 흡인되어, 머리부측 스토퍼 부재(62)에 도달(접촉)한 상태에서 정지하는 것이 된다(도 5(b) 참조). 이 정지된 상태에 있어서, 이동형 웨이트(4)의 위치는 안정적이고, 루어 본체(2)의 전체적인 중량 밸런스가 상정된 상태가 되고, 루어를 작은 물고기와 같이 헤엄치게 해서 대상 물고기를 유혹하는 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지만,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변형예로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어 본체(2)의 내부에 고정형 웨이트(8, 9)를 설치하는 바와 같은 양상이다. 도 6(a)는 루어 본체(2)의 복부에 제1 고정형 웨이트(8)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복부에 고정형 웨이트(8)를 설치함으로써, 복부는 배부보다도 무거워지므로, 수중에 있어서의 루어(1)의 자세는, 복부가 하위가 되고, 배부가 상위가 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전체적인 중량 밸런스로서, 루어 본체(2)의 거의 중앙에 고정형 웨이트(8)가 존재하므로, 이동형 웨이트(4)가 고정형 웨이트(8)보다도 머리부(21)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머리부 부근의 중심이 되기 쉽다. 게다가, 릴링에 의해서 립(17)이 받는 저항은, 고정형 웨이트(8)를 중심으로 해서 머리부의 하향으로 유도하므로, 샤프트(3)의 경사를 신속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부(22)의 근방에 제2 고정형 웨이트(9)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일이 있다. 이것은, 복부에 설치된 제1 고체형 웨이트(8)와의 중량 밸런스의 관계로, 머리부(22)의 중량을 크게 할 경우의 양상이다. 미리 머리부(22)의 근방에 고정형 웨이트(9)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중량 밸런스를 앞쪽(머리부 부근)으로 함으로써, 착수 시에 있어서의 샤프트(3)를 신속하게 경사지게 해서, 이동형 웨이트(4)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또, 고정형 웨이트(8, 9)의 설치·비설치 또는 위치 혹은 수는, 각각의 루어(1)의 종류에 따라서 변화시키면 된다. 예를 들면, 립레스(lipless)의 플러그인 경우에는, 수중에 있어서의 루어(1)가, 전후 방향(길이방향) 중앙을 축으로 해서, 그 전방(머리부측)과 후방(꼬리부측)을 좌우로 진동시키는 바와 같이 동작시키는 것으로부터, 복부에 고정형 웨이트(8)를 설치하고, 이동형 웨이트(4)의 정지 위치도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립 루어의 경우에는, 립의 크기(릴링 시의 물의 저항)에 따라서, 머리부(22)의 심화나 진동을 초래시키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머리부(22)의 근방 또는 꼬리부(21)의 근방에 고정형 웨이트(9)를 설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전술한 바와 같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형태 등으로 한정되는 취지는 아니다. 즉, 전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나타낸 요소를 변경하고, 또는 다른 요소를 추가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샤프트(3)에 의해서 규제 영역을 형성했지만, 다른 구성에 의해서 규제 영역을 형성해도 된다. 이미 설명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레일 형상 부재에 의해서 이동형 웨이트(4)의 원형단면을 3군데 이상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규제 영역을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규제 영역을 레일 형상 부재로 구성할 경우에는, 이동형 웨이트(4)는 원기둥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구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샤프트(3)를 사용할 경우이어도, 이동형 웨이트(4)는 원기둥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구 형상의 추에 대해서 중심을 통과하는 삽입 통과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구 형상이 아니더라도 1축의 중심축에 의한 회전체 형상인 것이라면 원기둥 형상이나 구 형상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마그넷(5)의 형상은, 원판 형상으로 한 것을 예시했지만, 마그넷(5)은, 비접촉 상태에서 이동형 웨이트(4)에 자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을 문제삼지 않는다. 특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면 중에 있어서 비교적 얇은 두께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다른 추나 이동형 웨이트(4) 등에 의한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면, 당해 마그넷(5)이 대중량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설치해야 할 위치에 있어서 소정의 중량이 필요할 경우에는, 두꺼운 두께의 마그넷(5)으로서 중량 밸런스를 조정해도 된다.
또한, 이동형 웨이트(4)는, 극단적인 경우, 중량물을 덩어리 형상으로 한 것이면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샤프트(3)의 축 둘레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마그넷(5)과의 간극이 변화될 경우에는, 2개의 평행한 샤프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2개의 샤프트가 설치되는 영역이 규제 영역이 될 수 있는 것이다.
1: 루어
2: 루어 본체
3: 샤프트
4: 이동형 웨이트
5: 마그넷
6, 7: 지지부
8: 제1 고정형 웨이트
9: 제2 고정형 웨이트
11, 12, 13: 아일릿
14, 15: 훅
16: 라인
17: 립
21: 루어 본체의 머리부
22: 루어 본체의 꼬리부
23: 루어 본체의 중앙
30: 샤프트 축선
40: 이동형 웨이트의 최상위의 모선
41: 이동형 웨이트 앞쪽의 단면
42: 이동형 웨이트의 뒤쪽의 단면
43: 삽입 통과 구멍
50: 마그넷의 중심선
51: 마그넷의 접촉면
61, 71: 말단 지지부
62, 72: 벽부(스토퍼 부재)
63: 마그넷 유지부

Claims (7)

  1. 루어(lure)로서,
    내부에 중공 영역을 갖는 루어 본체;
    상기 중공 영역에 있어서 꼬리부(尾部)측에서부터 머리부(頭部)측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설치된 규제 영역;
    상기 규제 영역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자성체에 의한 이동형 웨이트(movable weight); 및
    상기 규제 영역의 머리부측 선단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형 웨이트가 머리부측 선단까지 이동했을 때, 해당 이동형 웨이트의 외측 표면에 대해서 비접촉 상태에서 자력을 작용시키는 마그넷(magn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
  2. 루어로서,
    내부에 중공 영역을 갖는 루어 본체;
    상기 중공 영역에 있어서 꼬리부측에서부터 머리부측을 향해서 축선을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직선 형상의 비자성체에 의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를 따라서 이동 가능한 자성체에 의한 이동형 웨이트;
    상기 중공 영역의 머리부측 및 꼬리부측에 상기 이동형 웨이트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샤프트의 머리부측의 스토퍼 부재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형 웨이트에 비접촉 상태에서 자력을 작용시키는 마그넷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형 웨이트는,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구성된 봉 형상의 본체부와, 축선과 평행하게 관통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에 관통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이동형 웨이트의 측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대향하는 대향면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대향면은, 상기 이동형 웨이트의 축선방향의 길이 치수와 동일 또는 그 이하의 길이의 대향 영역을 가지고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이동형 웨이트가 머리부측의 상기 스토퍼 부재까지 이동했을 때, 상기 대향면의 중심이 해당 이동형 웨이트의 축선방향 중앙의 위치 또는 그것보다도 머리부측으로 치우친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은 자극이 되는 부분에 의해서 구성되는, 루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웨이트의 본체부는 원주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대향면은 원형 또는 원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주형상의 모선 중 대향면에 가장 접근하는 모선, 상기 대향면의 원형 또는 원환 형상의 중심선 및 샤프트 축선이 동일한 가상 평면 위에 배치되어 있는, 루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웨이트는 텅스텐과 철의 혼합물에 의해서 구성된, 루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영역 내를 이동하지 않는 고정형 웨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규제 영역 또는 상기 샤프트는, 상기 루어 본체의 머리부 근방으로부터 꼬리부 근방에 이르는 범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형 웨이트를 상기 루어 본체의 길이방향 중앙보다도 머리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해당 이동형 웨이트가 상기 규제 영역 또는 상기 샤프트의 머리부측 선단까지 이동할 때, 해당 이동형 웨이트와 상기 고정측 웨이트의 쌍방의 중량에 의해 루어 본체 전체의 중심위치를 중앙보다도 머리부측에 배치시키는, 루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형 웨이트는, 적어도 루어 본체의 길이방향 중앙보다도 꼬리부측에 설치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루어.
KR1020200026141A 2019-09-25 2020-03-02 루어 KR20210036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73938 2019-09-25
JP2019173938A JP7351511B2 (ja) 2019-09-25 2019-09-25 ルア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40A true KR20210036240A (ko) 2021-04-02

Family

ID=7515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141A KR20210036240A (ko) 2019-09-25 2020-03-02 루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351511B2 (ko)
KR (1) KR2021003624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708A (ja) 1997-05-29 1998-12-15 Daiwa Seiko Inc ルアー
JPH11113449A (ja) 1997-10-21 1999-04-27 Tackle House:Kk 重心移動式ルアー
JP2001299150A (ja) 2000-04-21 2001-10-30 Basudei Kk ルア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9184B2 (ja) * 1998-06-08 2002-07-08 株式会社タックルハウス 重心移動式ルアー
JP4636398B2 (ja) * 2001-03-23 2011-02-23 株式会社デプス 重心移動式ルアー
JP4754722B2 (ja) * 2001-06-06 2011-08-24 株式会社シマノ ルアー
US6718684B2 (en) * 2001-12-17 2004-04-13 Bernard Yong-Set Fishing lure with adjustable and movable weight system
US6671996B1 (en) * 2002-07-23 2004-01-06 Bassday Co., Ltd. Lure
JP2005261385A (ja) * 2004-03-22 2005-09-29 Hideki Ito ルアー
WO2019008643A1 (ja) * 2017-07-03 2019-01-10 株式会社デュエル ルア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708A (ja) 1997-05-29 1998-12-15 Daiwa Seiko Inc ルアー
JPH11113449A (ja) 1997-10-21 1999-04-27 Tackle House:Kk 重心移動式ルアー
JP2001299150A (ja) 2000-04-21 2001-10-30 Basudei Kk ルア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51511B2 (ja) 2023-09-27
JP2021048790A (ja)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392B2 (en) Speaker device with a magnetic gap filled with magnetic fluid and changing magnetic flux density in axi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US8169114B2 (en) Large gap horizontal field magnetic levitator
JP5747367B1 (ja) ルアー
KR101166854B1 (ko) 자기베어링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터보기기
CN111561519A (zh) 用于磁悬浮轴承的刚度增益机构、磁悬浮轴承和血泵
CN114930873A (zh) 平板形振动驱动器
KR20210036240A (ko) 루어
EP2529618A1 (en) Lure
US20190267880A1 (en) Actuator and camera device
CN204993114U (zh) 磁悬浮装置
KR20210100047A (ko) 듀얼 진동 장치
JP4969297B2 (ja) ルアー
KR20230092731A (ko) 루어
CN108683363B (zh) 自动精确定位的磁悬浮装置
JP3629402B2 (ja) ルアーの重心移動部材
JP2020170778A (ja) ソレノイド
JP2014001797A (ja) 免震装置
JP7376093B2 (ja) ルアー
JP2017112930A (ja) 重心移動式ルアー
JP2005261385A (ja) ルアー
JP6603106B2 (ja) 直動電動機
EP2830328B1 (en) Headphone driver, spe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dphone driver or speaker
KR101287057B1 (ko) 자기베어링이 구비된 터보기기
JP2005151978A (ja) 釣用浮き
CN205070850U (zh) 永磁感应磁力轴向阻尼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