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040A -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040A
KR20210036040A KR1020190117949A KR20190117949A KR20210036040A KR 20210036040 A KR20210036040 A KR 20210036040A KR 1020190117949 A KR1020190117949 A KR 1020190117949A KR 20190117949 A KR20190117949 A KR 20190117949A KR 20210036040 A KR20210036040 A KR 2021003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mounting
support
fixing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475B1 (ko
Inventor
박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90117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4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이 안착되어 케이블 타이로 고정되는 케이블 마운팅부재, 상부에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부재,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 상에서 회전되는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블 마운팅 고정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장비 개발 시 장비의 설계 변경이 필요없이 케이블의 과도한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장비의 개발 시 편의성을 확보하며, 케이블 배치 시 구부러짐과 꺽임 발생을 최소화하여 꺾임에 의한 케이블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케이블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장비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VARIABLE CABLE MOUNT APPARATUS}
본 발명은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마운트부재를 회전시켜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장비 개발에 있어 장비간의 전원 및 신호 연결을 위해 많은 케이블을 연결한다.
또한, 설치된 케이블은 장비의 몸체에 케이블 마운트와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144374호 "케이블 마운트"가 제안된 바 있고,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144374호 "케이블 마운트"는 케이블 타이 없이 마운트베이스와 나사축에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마운트 베이스와의 사이에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블럭에는 마운트베이스와 마부조는 위치에 케이블 수납부를 구비한다.
즉,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144374호 "케이블 마운트"는 지지블럭과 베이스마운트 사이에서 케이블을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하며 베이스 마운트는 케이블의 고정을 위한 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나,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144374호 "케이블 마운트" 및 종래의 케이블 마운트는 지면에 고정된 형태로 위치되어 케이블의 방향을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장비 개발 시 개발 기간중에는 케이블의 위치가 확정되지 않아서 케이블이 과도하게 구부러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 이때 기 설계된 케이블 마운트 장착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서는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즉, 케이블 마운트는 개발 중인 장비에 체결류로 체결한 후 케이블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장비에 설계변경을 통해 장비에 추가 홀을 가공하여야 했다.
이는 케이블을 장착하는 방향이 확정시 까지 지속적으로 케이블 마운트 장착홀이 변경되는 사항을 감안해서 업무를 진행 해야된다.
케이블 마운트를 고정하기 이한 추가 홀 가공은 개발 비용 증대 및 가공전까지 상당 시간 소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144374호 "케이블 마운트"(1999.02.03.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장비 개발 시 장비의 설계 변경이 필요없이 케이블의 과도한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배치 시 구부러짐과 꺽임 발생을 최소화하여 꺾임에 의한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비의 개발 기간동안 케이블의 위치를 가변해서 케이블의 장착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케이블의 방향을 최적화된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케이블이 안착되어 케이블 타이로 고정되는 케이블 마운팅부재, 상부에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부재,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 상에서 회전되는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블 마운팅 고정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양 단부 측에 각각 세워진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 각각 케이블 타이가 통과될 수 있는 스트립 통과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마운팅 고정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면에 제1잠금 기어치가 이격되게 위치된 제1잠금 기어부재 및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하부면에 상기 제1잠금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잠금 기어치가 이격되게 위치된 제2잠금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는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 상에 세워져 위치되는 메인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하부 회전축부재 및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회전축부재가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 기어부재와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잠금 기어부재는 내부에 상기 하부 회전축부재가 위치되는 제1중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는 내부에 상기 상부 회전축부재가 위치되는 제2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잠금 기어부재와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어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기어고정부재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제1잠금 기어부재와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를 분리시키는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어고정부재는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상부 회전축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축가압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회전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가압 볼트의 단부 측이 삽입되는 볼트 삽입홈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회전축부재는 중심에 하부 측으로 개방된 축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 회전축부재는 축삽입부 내로 삽입되며, 상기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하부 회전축부재가 내부에 관통되어 위치되고 상기 축삽입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회전 방향과 다른 회전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와 상기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는 볼 조인트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볼조인트 고정구로 회전 위치가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볼 조인트부로 기울어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각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도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는 제1지지 몸체부재, 상기 제1지지 몸체부재의 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 몸체부재, 상기 제2지지 몸체부재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지지 바퀴부재 및 상기 제1지지 몸체부재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지지 몸체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각도 지지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 몸체부재에는 세트 스크류가 위치되어 상기 제2지지 몸체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상기 측면부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 타이의 결속 머리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결속 머리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타이 고정부는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일면에 상기 스트립 통과구멍에 대응되는 스트립 배출구멍이 위치된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 상기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며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결속 머리부재의 양 측면을 잡아 고정하는 제1지그부재와 제2지그부재 및 상기 제1지그부재와 상기 제2지그부재를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서로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그 이동부는 상기 제1지그부재와 상기 제2지그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지그 이동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그 이동 스크류는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외측에 노출되는 스크류 조작 핸들로 수동 조작되거나, 스크류 회전모터에 의해 전동으로 양방향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 조작 핸들로 회전되는 지그 이동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 조작 핸들의 핸들축을 세트 스크류로 고정하여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타이 고정부는 상기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결속 머리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머리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전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이동 슬릿부가 위치되고, 상기 머리 가압부는 상기 이동 슬릿부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타이 고정 볼트부재, 상기 타이 고정 볼트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블 타이의 스트립부재를 가압하는 스트립 가압부재 및 상기 타이 고정 볼트부재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스트립 가압부재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속 머리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지지 브라켓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이 고정 볼트부재는 볼트 머리부의 안쪽면에 탄성 지지부재가 위치되어 상기 스트립 가압부재가 상기 스트립부재의 일면을 가압할 때 상기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상기 볼트 머리부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장비 개발 시 장비의 설계 변경이 필요없이 케이블의 과도한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장비의 개발 시 편의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배치 시 구부러짐과 꺽임 발생을 최소화하여 꺾임에 의한 케이블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케이블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장비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에서 케이블 타이 고정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에서 케이블 타이 고정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케이블이 안착되어 케이블 타이(10)로 고정되는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를 포함한다.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는 하면부(110), 하면부(110)의 양 단부 측에 각각 세워진 측면부(120)를 포함하고, 측면부(120)에 각각 케이블 타이(10)가 통과될 수 있는 스트립 통과구멍(121)이 위치된다.
케이블 타이(10)는 양 측면부(120)에 위치된 스트립 통과구멍(121)을 통과하여 케이블 마운팅부재(100) 상에 위치되는 케이블을 감싸 케이블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케이블 타이(10)는 외측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 스트립부재(11), 스트립부재(11)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고 스트립부재(11)가 통과되는 결속구멍 내에 걸림턱이 걸리는 결속구를 구비한 결속 머리부재(12)를 포함한다.
케이블 타이(10)는 스트립부재(11)의 타단부 측을 결속 머리부재(12)의 결속구멍을 통과시키면서 케이블을 감싸 결속될 수 있다.
케이블 타이(10)는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케이블 마운팅부재(100)의 하부에는 케이블 마운팅부재(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부재(200)가 위치된다.
베이스 몸체부재(200)는 기설정된 위치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양 측에 볼트 구멍이 위치되어 볼트 구멍을 통해 관통되는 케이블 위치 고정볼트(200a)로 기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베이스 몸체부재(200)는 공지의 다양한 고정구조로 기설정된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는 케이블 마운팅부재(100) 상에 세워져 위치되는 메인 회전축부(21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메인 회전축부(210)는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하부 회전축부재(211), 케이블 마운팅부재(100)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며 하부 회전축부재(211)가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회전축부재(212)를 포함한다.
상부 회전축부재(212)는 중심에 하부 측으로 개방된 축삽입부(212a)가 위치되고, 하부 회전축부재(211)는 축삽입부(212a) 내로 삽입된다.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는 하부 회전축부재(211)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회전되어 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케이블 마운팅부재(100)의 위치는 케이블 마운팅 고정구조체(300)에 의해 잠금되고, 잠금 해제되어 다시 하부 회전축부재(21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케이블 마운팅 고정구조체(300)는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면에 제1잠금 기어치가 이격되게 위치된 제1잠금 기어부재(310), 케이블 마운팅부재(100)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하부면에 제1잠금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잠금 기어치가 이격되게 위치된 제2잠금 기어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잠금 기어부재(310)와 제2잠금 기어부재(320)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잠금 기어부재(310)는 내부에 하부 회전축부재(211)가 위치되는 제1중공부(311)를 구비하며, 제2잠금 기어부재(320)는 내부에 상부 회전축부재(212)가 위치되는 제2중공부(321)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마운팅 고정구조체(300)는 제1잠금 기어부재(310)와 제2잠금 기어부재(320)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어고정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기어고정부재(330)는 제2잠금 기어부재(320)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부 회전축부재(21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축가압 볼트(331)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부 회전축부재(212)의 외주면에는 축가압 볼트(331)의 단부 측이 삽입되는 볼트 삽입홈부(212b)가 위치된다.
볼트 삽입홈부(212b)는 상부 회전축부재(212)의 외측 둘레로 형성되어 케이블 마운팅부재(100)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회전된 위치에서 축가압 볼트(33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축가압 볼트(331)는 제2잠금 기어부재(32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단부 측이 볼트 삽입홈부(212b) 내로 삽입됨으로써 상부 회전축부재(212)의 위치를 고정하고, 이로써 제1잠금 기어부재(310)와 제2잠금 기어부재(320)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를 탄성 지지하여 기어고정부재(330)의 잠금이 해제되면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를 들어올려 제1잠금 기어부재(310)와 제2잠금 기어부재(320)를 분리시키는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400)는 코일 스프링이고 하부 회전축부재(211)가 내부에 관통되어 위치되고 상부 회전축부재(212)의 축삽입부(212a) 내에 위치되어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400)가 상부 회전축부재(212)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경우 압축된 상태에서 볼트 삽입홈부(212b)의 위치를 가리게 되므로 상부 회전축부재(212)의 축삽입부(212a) 내에 위치되어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축가압 볼트(331)로 상부 회전축부재(212)를 걸어 지지함으로써 제1잠금 기어부재(310)와 제2잠금 기어부재(320)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도 2는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 마운팅부재(100)가 들어올려져 제1잠금 기어부재(310)와 제2잠금 기어부재(320)가 서로 분리된 상태 즉, 제1잠금 기어치와 제2잠금 기어치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상태이다.
제1잠금 기어부재(310)와 제2잠금 기어부재(320)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는 하부 회전축부재(21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케이블 마운팅부재(100) 상에서 케이블 타이(10)에 의해 고정된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3은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400)를 압축시키면서 제1잠금 기어부재(310)와 제2잠금 기어부재(320)가 서로 맞물려 즉, 즉, 제1잠금 기어치와 제2잠금 기어치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축가압 볼트(331)가 상부 회전축부재(212)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케이블 마운팅부재(1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축가압 볼트(331)를 풀어 즉, 제1잠금 기어치와 제2잠금 기어치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케이블 마운팅부재(100)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고정된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케이블의 방향을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한 후 케이블 마운팅부재(100)를 눌러 제1잠금 기어치와 제2잠금 기어치를 맞물린 상태에서 축가압 볼트(331)를 조여 케이블 마운팅부재(100)의 위치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하부 측에 위치되며 케이블 마운팅부재(100)의 회전 방향과 다른 회전 방향으로 베이스 몸체부재(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몸체부재(200)와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500)는 볼 조인트부(60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볼조인트 고정구(600a)로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볼조인트 고정구(600a)는 세트 스크류로 볼 조인트부(600)의 구체(620)를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볼 조인트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공지의 다른 구조를 적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볼 조인트부(600)는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하부면에 돌출되는 볼축부재(610)와 볼축부재(610)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체(620)를 포함한다.
볼 조인트부(600)는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500)에 체결되는 세트 스크류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베이스 몸체부재(200)는 볼 조인트부(600)를 중심으로 360도 반경으로 회전되면서 기울어질 수 있어 케이블 마운팅부재(100)의 각도 및 방향을 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는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500)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볼 조인트부(600)로 기울어지는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위치를 지지하는 각도 지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지지부(700)는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500)의 상부면에 돌출되는 제1지지 몸체부재(710), 제1지지 몸체부재(710)의 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 몸체부재(720), 제2지지 몸체부재(720)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지지 바퀴부재(730), 제1지지 몸체부재(710) 내에 위치되어 제2지지 몸체부재(720)를 탄성 지지하는 각도 지지 스프링부재(740)를 포함한다.
또한, 제1지지 몸체부재(710)에는 세트 스크류가 위치되어 제2지지 몸체부재(7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각도 지지부(700)는 볼조인트부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어
제2지지 몸체부재(720)는 각도 지지 스프링부재(74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기울어지는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각도에 따라 각도 지지 스프링부재(740)를 압축하면서 하강하거나 각도 지지 스프링부재(7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승강하여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하부면을 지한다.
그리고,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어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각도가 조절된 후 제2지지 몸체부재(720)의 위치를 세트 스크류로 고정함으로써 베이스 몸체부재(200)의 각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에서 케이블 타이 고정부(8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에서 케이블 타이 고정부(8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케이블 타이 고정부(800)의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 내지 도 8은 케이블 타이 고정부(800)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는 케이블 마운팅부재(100)의 측면부(120)에 위치되며 케이블 타이(10)의 결속 머리부재(12)가 삽입되어 결속 머리부재(12)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 고정부(800)를 더 포함한다.
케이블 타이 고정부(800)는 결속 머리부재(12)의 위치를 이블 마운팅부재의 측면부(120)에 고정시켜 케이블 타이(10)로 케이블을 감싸 고정하는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케이블 타이 고정부(800)는 측면부(120)의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일면에 스트립 통과구멍(121)에 대응되는 스트립 배출구멍(811)이 위치된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의 내부에 위치되며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속 머리부재(12)의 양 측면을 잡아 고정하는 제1지그부재(820)와 제2지그부재(830), 제1지그부재(820)와 제2지그부재(830)를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서로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 이동부(840)는 제1지그부재(820)와 제2지그부재(83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지그 이동 스크류(841)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 이동 스크류(841)는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의 외측에 노출되는 스크류 조작 핸들(841a)로 수동 조작 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크류 회전모터에 의해 전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스크류 조작 핸들(841a)로 회전되는 지그 이동 스크류(841)는 스크류 조작 핸들(841a)의 핸들축을 세트 스크류로 고정하여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지그 이동 스크류(841)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된 제1지그부재(820)와 제2지그부재(830)는 지그 이동 스크류(841)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그 이동 스크류(8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속 머리부재(12)를 잡아 고정하거나 서로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이로 결속 머리부재(12)를 삽입할 수 있거나 결속 머리부재(12)를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결속 머리부재(12)는 제1지그부재(820)와 제2지그부재(830)에 의해 양 측이 고정되면서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 내에서 중앙에 위치되면서 결속구멍이 스트립 통과구멍(121)과 스트립 배출구멍(811)과 일치되게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케이블 타이 고정부(800)는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어 결속 머리부재(12)의 상부를 가압하는 머리 가압부(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의 전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이동 슬릿부(812)가 위치되고, 머리 가압부(850)는 이동 슬릿부(812)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스트립부재(11)를 가압하는 스트립 가압부재(852),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스트립 가압부재(852)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결속 머리부재(12)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지지 브라켓트부재(853)를 포함한다.
이동 슬릿부(812)의 폭은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볼트 머리부(851a)가 이동 슬릿부(812)에 걸리도록 위치된다.
상부 지지 브라켓트부재(853)는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가 이동 슬릿부(812)를 따라 하강하여 결속 머리부재(12)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속 머리부재(12)의 상부 측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 브라켓트는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며, 결속 머리부재(1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의 전진 또는 후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는 상부 지지 브라켓트가 결속 머리부재(1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전진하면서 스트립 가압부재(852)가 스트립부재(11)의 일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지지 브라켓트부재(853)는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어 스트립 가압부재(852)가 스트립부재(11)의 일면을 가압함하는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는 볼트 머리부(851a)의 안쪽면에 탄성 재질의 탄성 지지부재(851b)가 위치되어 스트립 가압부재(852)가 스트립부재(11)의 일면을 가압할 때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의 전면에 볼트 머리부(851a)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되어 타이 고정 볼트부재(851)의 위치를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결속 머리부재(12)는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 내에서 제1지그부재(820)와 제2지그부재(830)에 의해 양 측면이 가압되어 고정되고, 상부 측이 머리 가압부(85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 내에서 스트립 가압부재(852)에 의해 스트립부재(11)도 함께 가압되어 고정되므로 결속 머리부재(12)는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 내에서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결속 머리부재(12)가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810)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로 케이블을 감싼 스트립부재(11)만 스트립 통과구멍(121)과 스트립 배출구멍(811)을 통과시키면 자연스럽게 스트립부재(11)가 결속구멍을 통과하면서 결속되게 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장비 개발 시 장비의 설계 변경이 필요없이 케이블의 과도한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장비의 개발 시 편의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배치 시 구부러짐과 꺽임 발생을 최소화하여 꺾임에 의한 케이블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케이블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장비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케이블 타이 11 : 스트립부재
12 : 결속 머리부재 100 : 케이블 마운팅부재
110 : 하면부 120 : 측면부
121 : 스트립 통과구멍 200 : 베이스 몸체부재
200a : 케이블 위치 고정볼트 210 : 메인 회전축부
211 : 하부 회전축부재 212 : 상부 회전축부재
212a : 축삽입부 212b : 볼트 삽입홈부
300 : 케이블 마운팅 고정구조체 310 : 제1잠금 기어부재
311 : 제1중공부 320 : 제2잠금 기어부재
321 : 제2중공부 330 : 기어고정부재
331 : 축가압 볼트 400 :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
500 :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 600 : 볼 조인트부
600a : 볼조인트 고정구 610 : 볼축부재
620 : 구체 700 : 각도 지지부
710 : 제1지지 몸체부재 720 : 제2지지 몸체부재
730 : 지지 바퀴부재 740 : 각도 지지 스프링부재
800 : 케이블 타이 고정부 810 :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
811 : 스트립 배출구멍 812 : 이동 슬릿부
820 : 제1지그부재 830 : 제2지그부재
840 : 지그 이동부 841 : 지그 이동 스크류
841a : 스크류 조작 핸들 850 : 머리 가압부
851 : 타이 고정 볼트부재 851a : 볼트 머리부
851b : 탄성 지지부재 852 : 스트립 가압부재
853 : 상부 지지 브라켓트부재

Claims (22)

  1. 케이블이 안착되어 케이블 타이로 고정되는 케이블 마운팅부재;
    상부에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몸체부재; 및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 상에서 회전되는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블 마운팅 고정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는,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양 단부 측에 각각 세워진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 각각 케이블 타이가 통과될 수 있는 스트립 통과구멍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운팅 고정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면에 제1잠금 기어치가 이격되게 위치된 제1잠금 기어부재; 및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하부면에 상기 제1잠금 기어치에 맞물리는 제2잠금 기어치가 이격되게 위치된 제2잠금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는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 상에 세워져 위치되는 메인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메인 회전축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하부 회전축부재; 및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회전축부재가 내부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 기어부재와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잠금 기어부재는 내부에 상기 하부 회전축부재가 위치되는 제1중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는 내부에 상기 상부 회전축부재가 위치되는 제2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 기어부재와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어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기어고정부재의 잠금이 해제되면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제1잠금 기어부재와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를 분리시키는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어고정부재는 상기 제2잠금 기어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상부 회전축부재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축가압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가압 볼트의 단부 측이 삽입되는 볼트 삽입홈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축부재는 중심에 하부 측으로 개방된 축삽입부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 회전축부재는 축삽입부 내로 삽입되며,
    상기 마운팅 지지 스프링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하부 회전축부재가 내부에 관통되어 위치되고 상기 축삽입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회전 방향과 다른 회전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와 상기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는 볼 조인트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볼조인트 고정구로 회전 위치가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볼 조인트부로 기울어지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각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도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회전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는 제1지지 몸체부재;
    상기 제1지지 몸체부재의 내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 몸체부재;
    상기 제2지지 몸체부재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지지 바퀴부재; 및
    상기 제1지지 몸체부재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지지 몸체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각도 지지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몸체부재에는 세트 스크류가 위치되어 상기 제2지지 몸체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마운팅부재의 상기 측면부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블 타이의 결속 머리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결속 머리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타이 고정부는,
    상기 측면부의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일면에 상기 스트립 통과구멍에 대응되는 스트립 배출구멍이 위치된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
    상기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며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결속 머리부재의 양 측면을 잡아 고정하는 제1지그부재와 제2지그부재; 및
    상기 제1지그부재와 상기 제2지그부재를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서로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이동부는 상기 제1지그부재와 상기 제2지그부재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지그 이동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이동 스크류는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외측에 노출되는 스크류 조작 핸들로 수동 조작되거나, 스크류 회전모터에 의해 전동으로 양방향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조작 핸들로 회전되는 지그 이동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 조작 핸들의 핸들축을 세트 스크류로 고정하여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타이 고정부는 상기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어 상기 결속 머리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머리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전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이동 슬릿부가 위치되고,
    상기 머리 가압부는,
    상기 이동 슬릿부를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타이 고정 볼트부재;
    상기 타이 고정 볼트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블 타이의 스트립부재를 가압하는 스트립 가압부재; 및
    상기 타이 고정 볼트부재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기 스트립 가압부재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속 머리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지지 브라켓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타이 고정 볼트부재는 볼트 머리부의 안쪽면에 탄성 지지부재가 위치되어 상기 스트립 가압부재가 상기 스트립부재의 일면을 가압할 때 상기 타이 고정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상기 볼트 머리부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KR1020190117949A 2019-09-25 2019-09-25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KR102359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949A KR102359475B1 (ko) 2019-09-25 2019-09-25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949A KR102359475B1 (ko) 2019-09-25 2019-09-25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40A true KR20210036040A (ko) 2021-04-02
KR102359475B1 KR102359475B1 (ko) 2022-02-07

Family

ID=7546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949A KR102359475B1 (ko) 2019-09-25 2019-09-25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26391A (zh) * 2023-07-04 2023-08-01 冠诚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医药厂房施工用电缆安装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374B1 (ko) 1995-06-16 1998-07-15 김광호 비데오플러스에 의한 pdc녹화 자동 실행방법
JP2005160223A (ja) * 2003-11-26 2005-06-16 Yazaki Corp 結束バンドの固定構造
JP2005178847A (ja) * 2003-12-19 2005-07-07 Yazaki Corp 結束バンドの固定構造
KR20080043490A (ko) * 2006-11-14 2008-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클립
KR20090109308A (ko) * 2008-04-15 2009-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밴드클립
KR20170075104A (ko) * 2015-12-22 2017-07-03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374B1 (ko) 1995-06-16 1998-07-15 김광호 비데오플러스에 의한 pdc녹화 자동 실행방법
JP2005160223A (ja) * 2003-11-26 2005-06-16 Yazaki Corp 結束バンドの固定構造
JP2005178847A (ja) * 2003-12-19 2005-07-07 Yazaki Corp 結束バンドの固定構造
KR20080043490A (ko) * 2006-11-14 2008-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클립
KR20090109308A (ko) * 2008-04-15 2009-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밴드클립
KR20170075104A (ko) * 2015-12-22 2017-07-03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케이블 이동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26391A (zh) * 2023-07-04 2023-08-01 冠诚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医药厂房施工用电缆安装设备
CN116526391B (zh) * 2023-07-04 2023-09-08 冠诚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医药厂房施工用电缆安装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475B1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8662A (en) Exercise machine weight guide
EP2960492B1 (de) Befestigungssystem für kabel, insbesondere bei windkraftanlagen
DE10159461A1 (de)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Behältern, insbesondere von Getränkebehältern
KR20210036040A (ko) 가변형 케이블 마운트 장치
EP2114702B1 (de) Monta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demontage eines fahrzeugreifens auf einer felge
EP2357060B1 (de) Aufnahmevorrichtung für Werkstückaufnahmen
JPH11136903A (ja) 脚付電動機のベルト張力調整装置
EP3568264B1 (de) Spannvorrichtung zum spannen einer schraubenfeder
US3571884A (en) Sheave flange opening device
DE102007025227B4 (de) Ständer zum Aufspannen von mast- oder stammförmigen Teilen, insbesondere zum Aufspannen von Christbäumen
DE19751415A1 (de) Vorrichtung zum Greifen, Positionieren und Fixieren von Befestigungselementen in Hohlräumen unterschiedlicher Querschnitte
DE102016107106B4 (de) Trägerwerkzeug für schlauchklemmen
KR200395440Y1 (ko) 케이블드럼 고정대
US3987532A (en) Assembling apparatus
WO2020234116A1 (de) Radhalter
DE20320092U1 (de) Christbaumständer
DE102013105204B4 (de) Umwerfer
EP0629474A1 (de) Federspannvorrichtung
DE2501097C3 (de) Sockel zum Befestigen und Zentrieren einer Leuchte
JP3432163B2 (ja) アマチュアコイル成形装置
CN219938104U (zh) 推杆电机防过载磨合辅助装置
DE10033598C1 (de) Vorrichtung zum Montieren von Unterputzschaltern bzw.- steckdosen
CN217087721U (zh) 转子嵌线支架
CN219833699U (zh) 固定支架组件
CN116443319A (zh) 一种抽拉式手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