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440Y1 - 케이블드럼 고정대 - Google Patents

케이블드럼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440Y1
KR200395440Y1 KR20-2005-0016577U KR20050016577U KR200395440Y1 KR 200395440 Y1 KR200395440 Y1 KR 200395440Y1 KR 20050016577 U KR20050016577 U KR 20050016577U KR 200395440 Y1 KR200395440 Y1 KR 200395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drum
cable drum
cabl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무
이현길
임영삼
Original Assignee
권용무
이현길
임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무, 이현길, 임영삼 filed Critical 권용무
Priority to KR20-2005-0016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2Stand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드럼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블드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드럼의 양측 회전축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케이블드럼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드럼고정부와, 상기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를 상기 케이블드럼을 향해 가압하는 회전식 가압손잡이부와,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를 각각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대해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가변형 컬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케이블드럼의 회전속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케이블이 풀리는 속도 및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 케이블드럼의 회전을 저지하여 함부로 케이블이 풀리지 않도록 한 케이블드럼 고정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드럼 고정대{Supporter for cable drum}
본 고안은, 케이블드럼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드럼의 회전속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케이블이 풀리는 속도 및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 케이블드럼의 회전을 저지하여 함부로 케이블이 풀리지 않도록 한 케이블드럼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전기공사 등에 사용하는 케이블은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 뿐만 아니라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인력으로 운반, 사용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단면 "H"형상의 케이블드럼에 권취하여 공사현장까지 운반되는 것이 보통이며, 사용시에는 케이블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케이블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풀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케이블드럼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드럼을 회전시켜 케이블을 푸는 과정에서 필요한 만큼 이상의 케이블이 풀리게 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별도의 고정대에 케이블드럼을 장착하고, 이 고정대를 통해 필요에 따라 케이블드럼의 회전속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케이블이 풀리는 속도 및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 케이블드럼의 회전을 저지하여 함부로 케이블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강구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드럼의 회전속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케이블이 풀리는 속도 및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 케이블드럼의 회전을 저지하여 함부로 케이블이 풀리지 않도록 한 케이블드럼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케이블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블드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드럼의 양측 회전축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케이블드럼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드럼고정부와, 상기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를 상기 케이블드럼을 향해 가압하는 회전식 가압손잡이부와,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를 각각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대해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가변형 컬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드럼 고정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 각각은,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하우징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디스크판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본체 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높이가변형 컬럼부 각각은, 하단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측을 향해 기립배치되어 있는 축부와, 상단은 상기 제1하우징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는 상기 축부의 내부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축부에 대해 승강하는 스크루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루에는 높이조정너트가 더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축부의 하단이 고정되는 판체와, 상기 판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막대형 푸트와, 상기 판체 및 상기 푸트에 일체로 삽입되어 상기 판체에 대해 상기 푸트를 회전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푸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푸트고정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드럼 고정대에 케이블드럼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케이블드럼 고정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지지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드럼(D) 고정대(10)는, 크게 회전축(11), 한 쌍의 드럼고정부(12), 한 쌍의 회전식 가압손잡이부(14), 한 쌍의 지지부(16), 한 쌍의 높이가변형 컬럼부(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럼고정부(12), 회전식 가압손잡이부(14), 지지부(16), 높이가변형 컬럼부(24)는 모두가 한 쌍씩 마련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회전축(11)에는 케이블(C)이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드럼(D)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드럼(D)은 회전축(11)에 대해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축(11)에서 케이블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케이블(C)이 풀리고 역방향으로 돌리면 케이블(C)이 다시 권취된다.
드럼고정부(12)는 케이블드럼(D)을 사이에 두고 케이블드럼(D)의 양측 회전축(11)에 각각 축결합되어 케이블드럼(D)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된다. 이러한 드럼고정부(12)는,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하우징본체(12a,12b)와, 제1 및 제2하우징본체(12a,12b) 사이에 마련되는 디스크판(12c)과, 제1 및 제2하우징본체(12a,12b) 내에 마련되어 회전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12d)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제2하우징본체(12b)는 제1하우징본체(12a)의 외측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로써 제1하우징본체(12a)에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크판(12c)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디스크판(12c)은 드럼고정부(12)를 가압할 경우, 드럼고정부(12)에 대한 가압력을 배가시키는 수단으로 석면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금속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베어링(12d)에 의해 드럼고정부(12)가 회전축(11)에 축결합되어 회전축(11)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데 반해서 회전식 가압손잡이부(14)는 회전축(11)에 나사결합되어 드럼고정부(12)를 케이블드럼(D)을 향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식 가압손잡이부(14)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스크루 방식으로 전진하면서 드럼고정부(12)를 밀어 드럼고정부(12)가 케이블드럼(D)에 접촉되어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높이가변형 컬럼부(24)는 하단이 지지부(16)에 고정되고 상측을 향해 기립배치되어 있는 축부(24a)와, 상단은 제1하우징본체(12a)에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는 축부(24a)의 내부로 나사결합되어 축부(24a)에 대해 승강하는 스크루(24b)를 갖는다. 따라서 축부(24a)상에 배치된 높이조정너트(25)를 돌리면 스크루(24b)가 축부(24a)에 대해 승강하면서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스크루(24b)에는 스크루(24b)를 승강구동시키는 높이조정 너트(25)가 나사결합 되어 있다.
지지부(16)는 축부(24a)의 하단이 고정되는 판체(18)와, 판체(18)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막대형 푸트(19)와, 판체(18) 및 푸트(19)에 일체로 삽입되어 판체(18)에 대해 푸트(19)를 회전시키는 힌지부(20)와, 힌지부(20)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힌지부(2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한 푸트(19)의 위치를 고정하는 푸트고정부(22)를 포함한다.
힌지부(20)는 힌지공(20a), 힌지핀(20b) 및 힌지너트(20c)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힌지핀(20b)을 힌지공(20a)에 삽입하여 힌지너트(20c)로 체결하면 힌지핀(20b)을 축으로 하여 푸트(19)가 회전할 수 있다. 푸트고정부(22)는 힌지부(20)와 마찬가지로써 복수개의 푸트고정공(22a), 푸트고정핀(22b) 및 푸트고정너트(22c)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힌지부(20)에 의해 푸트(19)의 위치를 회전시킨 후, 복수개의 푸트고정공(22a)들 중 해당하는 곳으로 푸트고정핀(22b)을 삽입하여 푸트고정너트(22c)로 체결하면 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던 푸트(19)가 도 3 및 도 5와 같이, 거의 삼각형 형상으로 변형된다. 그러면 그 만큼 지면에 대해 높이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케이블드럼(D)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큰 케이블드럼(미도시)일지라도 본 고정대(10)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본 고정대(10)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도 6과 같은 상태로 푸트(19)를 완전히 접어 보관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에 케이블드럼(D)을 배치하고, 케이블드럼(D)의 양측으로 한 쌍의 드럼고정부(12), 한 쌍의 회전식 가압손잡이부(14), 한 쌍의 지지부(16), 한 쌍의 높이가변형 컬럼부(24)를 조립한다.
케이블드럼(D)의 회전을 구속하려 하면, 한 쌍의 회전식 가압손잡이부(14)를 나사식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가압손잡이부(14)에 의해 밀려 이동한 한 쌍의 드럼고정부(12)가 케이블드럼(D)의 양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만일, 가압손잡이부(14)를 완전히 돌리면 한 쌍의 드럼고정부(12)가 케이블드럼(D)의 양측면을 강제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회전축(11) 상에서 드럼고정부(12)의 회전은 저지된다. 따라서 케이블(D)은 풀리지 않는다.
만일, 케이블(D)을 풀고자 하면, 한 쌍의 회전식 가압손잡이부(14)를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케이블드럼(D)에 접촉가압되어 있는 한 쌍의 드럼고정부(12)를 케이블드럼(D)으로 이격시키면 된다. 그러면 케이블드럼(D)을 구속하던 힘이 제거되기 때문에 회전축(11) 상에서 케이블드럼(D)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블드럼(D)의 회전속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케이블(C)이 풀리는 속도 및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 케이블드럼(D)의 회전을 저지하여 함부로 케이블(C)이 풀리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블드럼의 회전속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케이블이 풀리는 속도 및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 케이블드럼의 회전을 저지하여 함부로 케이블이 풀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드럼 고정대에 케이블드럼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케이블드럼 고정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지지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블드럼 고정대 11 : 회전축
12 : 가압손잡이부 16 : 지지부
20 : 힌지부 22 : 푸트고정부
24 : 컬럼

Claims (4)

  1. 케이블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블드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드럼의 양측 회전축에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케이블드럼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드럼고정부와,
    상기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를 상기 케이블드럼을 향해 가압하는 회전식 가압손잡이부와,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를 각각 연결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대해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가변형 컬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드럼 고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드럼고정부 각각은,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하우징본체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디스크판과,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본체 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드럼 고정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높이가변형 컬럼부 각각은, 하단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측을 향해 기립배치되어 있는 축부와, 상단은 상기 제1하우징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는 상기 축부의 내부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축부에 대해 승강하는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루에는 상기 스크루를 승강구동시키는 높이조정너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드럼 고정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 각각은, 상기 축부의 하단이 고정되는 판체와, 상기 판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막대형 푸트와, 상기 판체 및 상기 푸트에 일체로 삽입되어 상기 판체에 대해 상기 푸트를 회전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푸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푸트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드럼 고정대.
KR20-2005-0016577U 2005-06-10 2005-06-10 케이블드럼 고정대 KR200395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577U KR200395440Y1 (ko) 2005-06-10 2005-06-10 케이블드럼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577U KR200395440Y1 (ko) 2005-06-10 2005-06-10 케이블드럼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440Y1 true KR200395440Y1 (ko) 2005-09-14

Family

ID=4369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577U KR200395440Y1 (ko) 2005-06-10 2005-06-10 케이블드럼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4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653B1 (ko) * 2016-02-23 2016-09-30 케스코물산(주) 케이블 드럼용 릴 스탠드
CN108275508A (zh) * 2018-03-02 2018-07-13 张广山 一种使用方便的光纤线缆放线架
CN109205400A (zh) * 2018-08-07 2019-01-15 深圳市诚朗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收放线缆的移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653B1 (ko) * 2016-02-23 2016-09-30 케스코물산(주) 케이블 드럼용 릴 스탠드
CN108275508A (zh) * 2018-03-02 2018-07-13 张广山 一种使用方便的光纤线缆放线架
CN109205400A (zh) * 2018-08-07 2019-01-15 深圳市诚朗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收放线缆的移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440Y1 (ko) 케이블드럼 고정대
US8297808B2 (en) Illumination device
EP0276178B1 (fr) Plateau orientable notamment pour l'entraînement au golf
CH666446A5 (fr) Dispositif pour le reglage de la position d'outils pour le travail de materiaux en feuilles.
EP1905664A3 (en) Electrically adjustable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CA2523334A1 (en) Universal foot switch contact port
EP1609693A3 (en) Steering device
ES2683201T3 (es) Tensor de correa para prensa de barrena
CN1040556A (zh) 辊筒
EP0204637B1 (fr) Etabli mobile à moyens de manoeuvre exclusivement mécaniques
CA2037180A1 (fr) Colonne de direction reglable
US11643229B2 (en) Portable wrapping machine
FR2560864A1 (fr) Montage de fleches telescopiques
JPH11343073A (ja) ケーブルドラム自動回転装置
KR101987273B1 (ko) 고소 작업 장치
JP2018043311A (ja) ローラ交換支援装置
FR2640345A1 (fr) Structure a came, notamment pour appareil d'exercices sportifs et de reeducation
JP4190147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ための運搬装置と運搬アセンブリ
JP4708880B2 (ja) アンダーローラ式ドラム架台装置
CN210096853U (zh) 一种新型移动式篮球架前轮支撑转向机构
US4836010A (en) Floor puller to straighten a bent member
EP0185826B1 (fr) Dispositif élévateur pour chargeurs de tracteurs agricoles
JPH0546808Y2 (ko)
JPH0632478U (ja) ワイヤーロープの緊張巻取装置
CN108480786A (zh) 一种双齿轮配合齿条传动的单刀铜排开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