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848A - 차량 제한 시스템용 수직 부재 - Google Patents

차량 제한 시스템용 수직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848A
KR20210035848A KR1020217005035A KR20217005035A KR20210035848A KR 20210035848 A KR20210035848 A KR 20210035848A KR 1020217005035 A KR1020217005035 A KR 1020217005035A KR 20217005035 A KR20217005035 A KR 20217005035A KR 20210035848 A KR20210035848 A KR 20210035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member
profiled
reinforcing
profi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에들
스테픈 레흐만
Original Assignee
델타 블록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4410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1003584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델타 블록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델타 블록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3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01F15/0469Covers, e.g. of ground surface around the foo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Abstract

차량 제한 시스템(2)용 수직 부재(1)이 개시되며, 이 수직 부재(1)는 차량 제한 시스템(2)의 가드 레일(4)을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부재(1)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 및 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배치되는 보강 지지부(6)를 포함하고, 보강 지지부(6)의 길이방향 축선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Description

차량 제한 시스템용 수직 부재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제한 시스템용 수직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제한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도로에 인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땅 속으로 밀어 넣어지는 다수의 수직 부재를 가지며, 통상적으로 강으로 만들어지는 가드 레일이 그 수직 부재에 부착된다. 충돌시에, 특히 차량 충돌시에, 가드 레일이 변형되어, 이 가드 레일과 연결되어 있는 수직 부재에 지지되며, 땅에서 시작하는 수직 부재는 그의 길이 대부분을 따라 변형된다. 심한 충돌시에, 수직 부재가 특정한 각도로 변형된 후에 일반적으로 가드 레일이 그 수직 부재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차량의 충격에 대한 가드 레일의 저항 정도는 주로 배리어 사이의 거리 및 각각의 배리어의 굽힘 및 비틀림 강성에 달려 있다.
보통, 충격에 대한 가드 레일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별 수직 부재 사이의 거리를 줄이고 중실 프로파일 또는 적어도 더 높은 강 등급의 폐쇄형 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부재가 사용된다.
이의 단점은, 수직 부재를 특정한 깊이로 땅 속으로 박아 넣기 위해서는 높은 힘이 가해져야 하므로, 재료비가 높고 또한 관련된 재료비가 증가하며 수직 부재를 땅에 체결할 때 상당히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중실 프로파일은 특히 수직 부재에서 가드 레일의 복잡한 복잡한 설치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언급된 단점이 회피되고, 충격에 대한 가드 레일의 저항성이 낮은 재료비로도 증가하며 또한 수직 부재를 기층에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가드 레일을 하나 이상의 수직 부재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처음에 언급한 종류의 수직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청구항 1의 특징적 내용으로 달성된다.
이로써, 한편으로, 충격에 대한 수직 부재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실 프로파일드 지지부가 필요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충격에 대한 가드 레일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직 부재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보강 지지부는 개별적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수직 부재의 복합 단면은, 시간에 따라 방향이 변하는 복잡한 동적 다축 하중 작용 과정시에 중실 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부재에 대해 상당한 이점을 준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다.
청구 범위의 기재 사항을 명확히 참조하며, 그래서 이때 청구 범위는 참조로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정확히 말 그대로 재현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며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만 예로서 나타나 있다.
도 1은 차량 제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일부분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 2는 수직 부재의 제 1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배면도로 나타낸다.
도 3은 수직 부재의 제 2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배면도로 나타낸다.
도 4는 수직 부재의 제 3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배면도로 나타낸다.
도 5는 수직 부재의 제 4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도 6은 수직 부재의 제 5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도 7은 수직 부재의 제 6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도 8은 수직 부재의 제 7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도 9는 수직 부재의 제 8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도 10은 수직 부재의 제 9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10은 차량 제한 시스템(2)용 수직 부재(1)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적어도 일부분을 나타내며, 수직 부재(1)는 차량 제한 시스템(2)의 가드 레일(4)을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3)를 갖는다.
수직 부재(1)는 기층(11)에 고정되게, 특히 바닥 안으로 박아 넣어지거나 밀어 넣어지도록 제공되며, 가드 레일(4)을 유지하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제한 시스템(2)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서로 이격된 수직 부재(1) 및 하나 이상의 가드 레일(4)을 가지며, 심각한 사고를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도로의 경계를 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드 레일(4)을 수직 부재(1)에 체결하기 위해, 수직 부재(1)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3), 특히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또는 나사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개구(12)를 갖는다. 스크류 또는 나사 볼트는, 가드 레일(4)을 수직 부재(1)에 체결하기 위해 가드 레일(4) 및 수직 부재(1)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개구(12)를 통해 안내되고 나사 결합된다. 또한, 가드 레일(4)은 훅크 또는 클팸프에 의해 수직 부재(1)에 체결될 수도 있다.
수직 부재(1)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 및 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배치되는 보강 지지부(6)를 포함하고, 또한 보강 지지부(6)의 길이방향 축선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를 위한 보강 요소로서 작용한다. 다시 말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배치되는 보강 지지부(6)는 수직 부재(1)의 저항 모멘트 또는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켜 준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폭 보다 약간만 더 작은 폭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프로파일은 그의 길이를 따라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보강 지지부(6)의 프로파일도 그의 길이에 걸쳐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리하여, 한편으로, 충격에 대한 수직 부재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실 프로파일을 갖는 프로파일드 지지부가 필요치 않으며 또한 충격에 대한 가드 레일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직 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줄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그래서 보강 지지부는 개별적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수직 부재의 복합 단면은, 시간에 따라 방향이 변하는 복잡한 동적 다축 하중 작용 과정시에 중실 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부재에 대해 상당한 이점을 준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부재(1)를 포함하는 차량 제한 시스템(2)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드 레일(4)은 체결 장치(3)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수직 부재(1)에 부착된다.
도 1은 복수의 수직 부재(1)를 포함하는 차량 제한 시스템(2)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일부분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각 수직 부재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 및 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배치되는 보강 지지부(6)로 이루어지며, 수직 부재(1)는 기층(11)과 가드 레일(4)에 체결되며, 각각의 수직 부재(1)의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각각의 단부 영역(9)에 있는 체결 장치(3)에 가드 레일이 볼트 및 대응하는 너트로 체결된다. 스크류는 각각의 가드 레일(4) 및 수직 부재(1)의 각각의 정렬된 체결 장치(3), 특히 체결 개구(12)를 통과해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 부재(1)의 길이의 절반 이상은 조립 상태에서 기층(11)에 위치된다. 기층(11)은 이 경우 바닥, 특히 도로의 가장자리에 있는 바닥, 또는 예컨대, 특히 양방향 교통이 있는 다차선 고속도로에서 2개의 차선을 분리하는 중앙 스트립을 의미한다.
가드 레일(4)은 예컨대 A 프로파일 또는 B 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부재(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수직 부재(1), 특히 수직 부재(1)의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언더라이드(underride) 가드가 체결될 수 있는 추가 체결 개구(12)를 가질 수 있다. 언더라이드 가드는, 사고시에 충돌 배리어(4) 아래에서 미끄질 수 있는 오토바이 타는 사람에 대한 심각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프로파일드 지지부(5) 및/또는 보강 지지부(6)는 가드 레일(4)을 체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 장치(3)를 가질 수 있다.
충격이 일어나는 동안에 수직 부재(1)의 비틀림에 의해, 체결 장치(3)가 경사져 체결 개구(12) 안으로 걸릴 수 있고, 그 결과, 가드 레일(4)이 수직 부재(1)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굽힘 응력이 작용하는 동안에 수직 부재(1)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2개의 좁은 측부(7) 및 2개의 넓은 측부(8)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3)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좁은 측부(7)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충격시에 수직 부재(1)의 비틀림 가능성을 더 최소화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 장치(10)에 의해 서로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양 지지부(5, 6)를 서로 쉽게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정해진 예인장으로, 특히 정해진 조임 토크로 그들 지지부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장치(3)와 연결 장치(10)는 상이하다. 보강 지지부(6)에 대한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분리 가능한 체결에 의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가 변형되고 보강 지지부(6)는 온전한 경우에, 그 보강 지지부(6)를 새로운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추가 이점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는 서로 개별적으로 땅 속으로 밀어 넣어지거나 박아 넣어질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양 지지부(5, 6)가 함께 땅속으로 밀어 넣어지거나 박아 넣어지는 경우 보다 힘 덜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 제한 시스템(2)의 각각의 수직 부재의 각각의 프로파일드 지지부(5) 및 보강 지지부(6)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10)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거나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 사이에 틈이 있을 수 있고, 보강 지지부(6)가 연결 장치(10)에 의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체결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보강 지지부(6)는 큰 힘 없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10)가 보강 지지부(6)와 프로파일드 지지부(5)를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서로에 연결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개구를 가지며 보강 지지부(6)는 스프링 핀을 가지며, 스프링 핀은 개구에 결합한다.
연결 장치(10)에 의해 지지부(5, 6)를 분리 가능하게 서로에 체결함으로써, 지지부(5, 6) 사이에 내전단성(shear-resistant) 연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부(5, 6)의 저항성이 상당히 증가하고 또한 그에 따라 굽힘 및 비틀림에 대한 수직 부재(1)의 저항성, 특히 수직 부재(1)의 굽힘 강성이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 충격시에 수직 부재(1)는 연결 장치(10)가 없는 경우 보다 상당히 더 안정적이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9 및 10에 예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강 지지부(6) 및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정렬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연결 개구들을 가지며 또한 연결 장치(10)는 양 연결 개구를 통과한다. 그러나,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6 및 8에 예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는 양 좁은 측부(7)에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는 연결 개구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또한 연결 장치(10)는 모든 4개의 연결 개구를 통과한다. 또한, 연결 장치(10)를 양 연결 개구에 통과시킬 수 있도록 보강 지지부(6)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개구를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연결 개구와 정렬되게 배치하기 위해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장치(10)에 의해, 특히 연결 장치(10)가 함께 나사 결합되면, 지지부(5, 6)가 서로에 체결될 때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좁은 측부(7), 특히 좁은 측부(7)의 프로파일 다리부가 보강 지지부(6)에 가압되며, 그 결과, 복합 비임, 소위 복합 거더(girder)가 포지티브 잠금으로 형성된다.
또한, 보강 지지부(6)와 프로파일드 지지부(5) 각각은,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연결 개구를 가지며, 복수의 연결 장치(10)가 지지부(5, 6)를 해제 가능하게 서로에 체결하기 위해 그 연결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5, 6)는 2개, 3개 또는 3개 보다 많은 연결 장치(10)로 서로에 체결될 수 있다.
특히, 보강 지지부(6) 및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비포지티브식으로 또는 마찰식으로 서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5 내지 10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의 좁은 측부(7)와 넓은 측부(8)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에 평평하게 접촉해 있게 된다. 각각의 지지부(5, 6)의 좁은 측부(7) 및/또는 넓은 측부(8)의 적어도 일부분의 평평한 접촉은 지지부(5, 6)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고 또한 그에 따라 수직 부재(1)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준다.
더 바람직하게는, 보강 지지부(6)는 미리 정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 장치(10)에 의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클램핑될 수 있다. 보강 지지부(6)를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클램핑시킴으로써, 보강 지지부(6)와 프로파일드 지지부(5) 사이의 마찰이 증가된다. 연결 장치(10)에 의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특히,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측부(7)에 있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다리부에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지부(5, 6)의 좁은 측부의 대응하는 연결 개구를 통과하는 스크류가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좁은 측부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대응하는 너트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스크류 클램프에 의해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클램핑된다. 결국,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하나 또는 양 프로파일 다리부로부터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프로파일 안에 위치되어 있는 보강 지지부(6)에 압력이 가해지며, 그렇게해서 보강 지지부(6)가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클램핑된다.
연결 장치(10)에 의해, 보강 지지부(6)에 가해지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압력은 예컨대 스크류 및 대응하는 너트 또는 예컨대 스크류 클램프를 조여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지지부(6)의 길이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고, 그래서 한편으로 재료비가 절감되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수직 부재(1)의 굽힘 및 비틀림 강성이 보강 지지부(6)의 길이에 근거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보강 지지부(6)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수직 부재의 길이의 절반 이상이 기층(11)에 고정된다.
또한, 프로파일드 지지부(5) 및/또는 보강 지지부(6)는 연속적인 일정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기층(11)에서 또는 기층의 근처에서 수직 부재(1)의 굽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 둘 모두는 기층(11)(도 1에 예시되어 있음)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의 절반 이상 및 보강 지지부(6)의 길이의 적어도 1/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절반이 기층(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 지지부(6)의 최대 50%, 특히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0%가 기층(11)에 체결될 수도 있다.
놀랍게도, 수직 부재(1)의 비틀림 및 굽힘 강성의 상당한 증가를 이루기 위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전체 길이를 보강 지지부(6)로 보강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았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주로 상측 영역에서, 즉 기층(11) 위쪽의 영역에서 보강 지지부(6)로 보강되며, 보강 지지부(6)의 일부분만이 기층(11) 안으로 돌출하면 된다. 충격에 대한 수직 부재(1)의 저항성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조립된 상태에서 특히 그의 길이의 최소 30%, 바람직하게는 최소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소 70%에 걸쳐 기층(11) 안으로 돌출한다. 도 3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배치되는 보강 지지부(6)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의 절반 보다 다소 더 길게 되어 있고, 보강 지지부(6)의 길이의 대략 1/3 미만이 기층(11) 안으로 들어간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의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90%에 걸쳐 연장될 수 잇다. 또한,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의 최소 40%, 바람직하게는 최소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소 80%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장치(3)가 배치되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영역에는 보강 지지부(6)가 없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없다는 것은, 체결 장치(3)가 배치되어 있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영역 안으로 보강 지지부(6)가 들어가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4는 수직 부재(1)의 일 예를 배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넓은 측부(8) 및 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배치되어 있는 보강 지지부(6)가 나타나 있고, 수직 부재(1)는 기층(11) 안으로 박아 넣어지고, 체결 장치(3)가 배치되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영역에는 보강 지지부(6)가 없다. 체결 장치(3)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한 또는 양 좁은 측부(7)에 배치되므로 도 4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스크류 또는 나사 볼트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체결 장치(3), 특히 체결 개구(12)를 통해 안내될 수 있고, 너트가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단면 내부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하게는, 가드 레일(4)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개구(12)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류가 미리 정해질 수 있는 방식으로 느슨하게 될 수 있는 확장 영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지지부(6)가 없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영역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단부 영역(9)에 또는 적어도 그 근처에 위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개방형 프로파일, 특히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강 지지부(6)는 개방형 프로파일, 특히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개방형 프로파일은, 프로파일이 그 프로파일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목적으로,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개방형 프로파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강 지지부(6)를 위한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 및/또는 보강 지지부(6)의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로 인해, 도 5 내지 10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강 지지부(6)가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드 지지부(5) 및/또는 보강 지지부(6)는 G-프로파일을 가질 수도 있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가 U-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U-프로파일이 개방되어 있을 때 보강 지지부(6)는 옆에서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가 C-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끝면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C-프로파일의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유지되며, 그 결과, 비틀림에 대한 수직 부재(1)의 양호한 저항성 또는 양호한 강성이 얻어진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개방형 프로파일로 인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땅 속으로 쉽게 박아 넣어질 수 있는데, 왜냐하면, 중실 프로파일 또는 폐쇄형 프로파일과는 대조적으로, 땅 속으로 박아 넣어지는 데에 대한 저항을 주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표면적이 더 작기 때문이다. 또한, 프로파일드 지지부(5), 특히 수직 부재(1)의 개방형 프로파일로 인해, 가드 레일(4)이 쉽게 또한 어려움 없이 수직 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프로파일의 개구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넓은 측부(8) 중의 하나에 위치된다. 이렇게 해서, 충격시에,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직접적인 대체로 낮은 비틀림 굽힘이 나타나게 되며, 그 결과, 스크류는 제어된 방식으로 체결 개구(12)로부터 풀리고 그래서 가드 레일(4)이 또한 제어된 방식으로 수직 부재(1)로부터 풀리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장치(3)가 배치되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영역에는 보강 지지부(6)가 없을 수 있다. 여기서, 없다는 것은, 체결 장치(3)가 배치되어 있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영역 안으로 보강 지지부(6)가 들어가지 않음을 의미한다. 스크류 또는 나사 볼트가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체결 장치(3), 특히 체결 개구(12)를 통해 안내될 수 있고, 너트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프로파일 내부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하게, 가드 레일(4)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간단히 장착될 수 있다. 체결 개구(12)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류가 미리 정해질 수 있는 방식으로 느슨하게 될 수 있는 확장 영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지지부(6)가 없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영역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단부 영역(9)에 또는 적어도 그 근처에 위치된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개방형 프로파일 및 보강 지지부(6)가 없는 체결 개구(12)의 영역으로 인해 시너지 효과가 얻어지는데, 즉 가드 레일(4)이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특히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지지부(6)의 적어도 하나의 벽 표면이 개방형 프로파일로 인해 생긴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이로써, 오물 및 다른 환경적 영향이 어렵게 또한 직접적이지 않게 덮힌 지점에서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의 내벽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지는데, 이는 특히 감소된 부식을 통해 수직 부재(1)의 내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도 5는 각기 U-프로파일을 갖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프로파일 안에서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대해 180°만큼 회전되어 배치되고, 보강 지지부(6)는 벽 표면으로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개구를 덮는다.
도 6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C-프로파일 안에 배치되는 U-프로파일을 갖는 보강 지지부(6)의 일 예를 나타낸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 각각은 양 좁은 측부(7)에서 정렬되어 배치되는 연결 개구를 가지며, 특히 스크류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연결 장치(10)가 모든 4개의 연결 개구를 통해 결합한다. 정렬되어 배치되는 연결 개구는 도 1 내지 1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배향에 대해 180°만큼 회전되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배치되고, 보강 지지부(6)는 적어도 하나의 벽 표면으로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프로파일의 개구를 덮는다.
도 7은 각기 C-프로파일을 갖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보강 지지부(5)의 일부분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서 포지티브하게 또한 프로파일드 지지부의 정렬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보강 지지부(6)의 C-프로파일의 개구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C-프로파일의 개구에 평행하다.
도 8은 C-프로파일을 보강 지지부(6)의 일 예를 나타내고, 이 보강 지지부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U-프로파일 안에 배치된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 각각은 양 좁은 측부(7)에서 정렬되어 배치되는 연결 개구를 가지며, 특히 스크류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연결 장치(10)가 모든 4개의 연결 개구를 통해 결합한다.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프로파일 안에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대해 180°만큼 회전되어 배치되며, 보강 지지부(6)는 벽 표면으로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개구를 덮는다.
도 9는 각기 U-프로파일을 갖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의 일 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보강 지지부(5)의 프로파일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서 포지티브하게 또한 프로파일드 지지부의 정렬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보강 지지부(6)의 U-프로파일의 개구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U-프로파일의 개구에 평행하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 각각은 좁은 측부(7) 중의 하나에서 정렬되어 배치되는 연결 개구를 가지며, 특히 스크류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연결 장치(10)가 지지부(5, 6)의 정렬된 연결 개구를 통해 결합한다. 너트는 양 지지부(5, 6)의 프로파일의 내부에서 나사 결합된다.
도 10은 C-프로파일을 보강 지지부(6)의 일 예를 나타내고, 이 보강 지지부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C-프로파일 안에 배치된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 각각은 양 좁은 측부(7)에서 정렬되어 배치되는 연결 개구를 갖는다.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에 대해 180°만큼 회전되어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프로파일 안에 배치되며, 보강 지지부(6)는 벽 표면으로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프로파일의 개구를 덮는다. 지지부(5, 6)의 개방형 프로파일이 서로 반대로 배치됨으로써, 충격시에 지지부(5, 6), 특히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특히 직접적이고 낮은 비틀림 굽힘이 얻어질 수 있다.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 각각은 좁은 측부(7) 중의 하나에서 정렬되어 배치되는 연결 개구를 가지며, 특히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연결 장치(10)가 지지부(5, 6)의 정렬된 연결 개구를 통해 결합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보강 지지부(6)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 보다 낮은 강 등급을 가지며, 그래서 비용이 절감된다. 예컨대, 보강 지지부(6)의 재료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재료 보다 낮은 항복 강도 및/또는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Claims (15)

  1. 차량 제한 시스템(2)용 수직 부재(1)로서, 수직 부재(1)는 차량 제한 시스템(2)의 가드 레일(4)을 체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수직 부재(1)는 프로파일드 지지부(5) 및 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배치되는 보강 지지부(6)를 포함하고, 보강 지지부(6)의 길이방향 축선은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차량 제한 시스템용 수직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2개의 좁은 측부(7) 및 2개의 넓은 측부(8)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3)가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좁은 측부(7)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수직 부재(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 장치(10)에 의해 서로에 체결되는, 수직 부재(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와 보강 지지부(6) 사이에 틈이 있고, 보강 지지부(6)는 상기 연결 장치(10)에 의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고정되는, 수직 부재(1).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10)는 상기 보강 지지부(6)와 프로파일드 지지부(5)를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서로에 연결하는, 수직 부재(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지부(6) 및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정렬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개구들을 가지며, 상기 연결 장치(10)는 양 개구를 통과하는, 수직 부재(1).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지부(6)는 미리 정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 장치(10)에 의해 프로파일드 지지부(5) 안에 클램핑되는, 수직 부재(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지부(6)의 길이는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 보다 짧은, 수직 부재(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지부(6)는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길이의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7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90%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수직 부재(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어느 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3)가 배치되는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영역에는 상기 보강 지지부(6)가 없는, 수직 부재(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어느 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는 개방형 프로파일, 특히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부재(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지부(6)의 적어도 하나의 벽 표면은 개방형 프로파일로 인해 생긴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의 개구를 덮는, 수직 부재(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어느 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지부(6)는 개방형 프로파일, 특히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을 갖는, 수직 부재(1).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어느 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지지부(6)는 상기 프로파일드 지지부(5) 보다 낮은 강 등급을 갖는, 수직 부재(1).
  15. 차량 제한 시스템(2)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수직 부재(1)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드 레일(4)이 체결 장치(3)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부재(1)에 부착되는, 차량 제한 시스템.
KR1020217005035A 2018-07-24 2019-07-22 차량 제한 시스템용 수직 부재 KR20210035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645/2018A AT521770B1 (de) 2018-07-24 2018-07-24 Steher für ein fahrzeugrückhaltesystem
ATA50645/2018 2018-07-24
PCT/EP2019/069695 WO2020020833A1 (de) 2018-07-24 2019-07-22 Steher für ein fahrzeugrückhalte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848A true KR20210035848A (ko) 2021-04-01

Family

ID=6744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035A KR20210035848A (ko) 2018-07-24 2019-07-22 차량 제한 시스템용 수직 부재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1) US11512440B2 (ko)
EP (1) EP3827128B1 (ko)
JP (1) JP7008869B2 (ko)
KR (1) KR20210035848A (ko)
CN (1) CN112703292A (ko)
AT (1) AT521770B1 (ko)
AU (1) AU2019310775B2 (ko)
BR (1) BR112021001161A2 (ko)
CA (1) CA3108255C (ko)
CL (1) CL2021000187A1 (ko)
DK (1) DK3827128T3 (ko)
EA (1) EA202190029A1 (ko)
ES (1) ES2938051T3 (ko)
FI (1) FI3827128T3 (ko)
GE (1) GEP20237471B (ko)
HR (1) HRP20230110T1 (ko)
HU (1) HUE061480T2 (ko)
IL (1) IL279909B (ko)
MA (1) MA53374A (ko)
MX (1) MX2021000867A (ko)
PE (1) PE20210688A1 (ko)
PL (1) PL3827128T3 (ko)
PT (1) PT3827128T (ko)
RS (1) RS63993B1 (ko)
SI (1) SI3827128T1 (ko)
WO (1) WO2020020833A1 (ko)
ZA (1) ZA202101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3142A1 (de) 2020-02-07 2021-08-12 Sps Schutzplanken Gmbh Aufstell- und Verankerungsfläche eines Anpralldämpfers an Verkehrswegen
BR112022023819A2 (pt) * 2020-06-05 2022-12-20 Valtir Llc Amortecedor de choque
DE102021112502A1 (de) 2021-05-12 2022-11-17 Meiser Straßenausstattung GmbH Schutzeinrichtung für Einmündungsbereiche von Verkehrswegen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20711B (de) * 1973-03-01 1975-02-25 Baumann Ernst Hinterspannte Leitschiene
US4126403A (en) * 1976-10-04 1978-11-21 Franklin Steel Company Post construction
US4330106A (en) * 1979-05-02 1982-05-18 Chisholm Douglas B Guard rail construction
FR2555622A1 (fr) * 1983-11-30 1985-05-31 Est Profiles Tubes Renfort pour un support de glissiere de securite routiere et support renforce correspondant
US5125194A (en) * 1991-05-08 1992-06-30 Marion Steel Company Safety sign post with breakaway connection
FR2704012A1 (fr) * 1993-04-16 1994-10-21 Solosar Agencement de glissière de sécurité.
AUPN408495A0 (en) * 1995-07-10 1995-08-03 Bhp Steel (Jla) Pty Limited Breakaway post connector
US5794910A (en) * 1996-04-01 1998-08-18 Granger; Mark S. Sign post with breakaway splice
DK0924347T3 (da) * 1997-12-22 2004-07-26 Autostrada Del Brennero S P A Sikkerhedsbarriere-endestykke til et motorvejsautoværn
ITTO980044A1 (it) * 1998-01-19 1999-07-19 Ilva Pali Dalmine S R L Perfezionamenti ad una barriera stradale semirigida a dissipazione del l'energia d'urto con correzione d'assetto.
US6516573B1 (en) * 1999-01-06 2003-02-11 Tyco Flow Services Ag Integrated breakaway for support posts
FR2793501B1 (fr) * 1999-05-12 2001-07-13 Profiles Du Ct Dispositif de montage d'une glissiere de securite sur des supports verticaux de fixation au sol
FR2793822B1 (fr) * 1999-05-21 2001-06-22 Gaillard Rondino Glissiere de securite bois sur appuis a entraxes variables
JP3193356B2 (ja) * 1999-06-08 2001-07-30 大都技研株式会社 仮設防護柵及び仮設防護柵組立工法
US8517349B1 (en) * 2000-10-05 2013-08-27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Guardrail terminals
EP1486614A1 (de) * 2003-06-12 2004-12-15 SPIG Schutzplanken-Produktions-Gesellschaft mbH & Co.KG Schutzplankenstrang
DE10326414B3 (de) * 2003-06-12 2004-08-26 Spig Schutzplanken-Produktions-Gesellschaft Mbh & Co Kg Schutzplankenstrang
SE527825C2 (sv) * 2004-05-27 2006-06-13 Volvo Lastvagnar Ab Anordning vid ett sidoskydd för fordon, samt ett fordon försett med ett sådant sidoskydd
ES2220238B2 (es) * 2004-08-04 2006-02-16 Hierros Y Aplanaciones, S.A. (Hiasa) Sistema de contencion de impactos laterales de vehiculos, con alta capacidad de contencion y de absorcion energetica.
FR2874955B1 (fr) * 2004-09-08 2008-04-11 Sfp Security Fence Perimeter S Poteau, cloture munie de celui-ci et son procede de montage
ES2238199B1 (es) * 2005-04-07 2006-06-16 Hierros Y Aplanaciones, S.A. (Hiasa) Dispositivo separador deformable para barrera de seguridad carretera para impacto de vehiculos de los utilizados entre un elemento vertical de sujecion-soporte o poste y un elemento horizontal de impacto o baranda.
KR20080031063A (ko) * 2005-07-04 2008-04-08 케이.에스스틸 주식회사 충격흡수기능이 우수한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DE202006004364U1 (de) * 2005-08-19 2006-06-08 SGGT Straßenausstattungen GmbH Schutzplankenstrang
KR20050111539A (ko) 2005-09-01 2005-11-25 복 성 김 차량방호책
DE202006015149U1 (de) * 2006-09-29 2006-12-14 Spig Schutzplanken-Produktions-Gesellschaft Mbh & Co. Kg Schutzplankenanordnung
ES2279734B2 (es) * 2007-01-19 2008-11-01 Hierros Y Aplanaciones, S.A. (Hiasa) Barrera de seguridad para carreteras mixta de madera y metal para contencion de impacto lateral de vehiculos, con cualidades esteticas y capacidad de contencion y redireccionamiento.
JP5247320B2 (ja) * 2008-09-12 2013-07-24 Jfe建材株式会社 支柱用基礎
US8215619B2 (en) * 2009-03-31 2012-07-10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Guardrail assembly, breakaway support post for a guardrail and methods for the assembly and use thereof
AT509872B1 (de) * 2010-05-06 2011-12-15 Redlberger Alfred Rückhaltesystem für fahrzeuge im bereich von strassen
KR101007728B1 (ko) * 2010-07-19 2011-01-13 윤재경 가드레일
KR20120001028U (ko) * 2010-08-03 2012-02-13 안현숙 높이 조절식 보강 가드레일
KR101134563B1 (ko) * 2011-03-02 2012-04-13 한국도로공사 가드레일 장치
AU2012200982A1 (en) * 2012-02-20 2013-09-05 Nicholas Holden Pty Ltd A Wall or Fence System
US9200417B2 (en) 2012-11-27 2015-12-01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Guardrail system with a releasable post
JP2016006274A (ja) * 2014-05-28 2016-01-14 エコ ジャパン株式会社 支柱体、及び、砂防堰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7128A1 (de) 2021-06-02
AU2019310775A1 (en) 2021-01-28
MX2021000867A (es) 2022-01-06
WO2020020833A1 (de) 2020-01-30
IL279909A (en) 2021-03-01
DK3827128T3 (da) 2023-02-13
EP3827128B1 (de) 2022-11-30
CN112703292A (zh) 2021-04-23
JP7008869B2 (ja) 2022-01-25
CL2021000187A1 (es) 2021-06-18
PL3827128T3 (pl) 2023-05-15
AU2019310775B2 (en) 2021-02-11
PT3827128T (pt) 2023-02-22
HRP20230110T1 (hr) 2023-03-31
SI3827128T1 (sl) 2023-04-28
IL279909B (en) 2021-07-29
AT521770A4 (de) 2020-05-15
CA3108255C (en) 2021-11-23
BR112021001161A2 (pt) 2021-04-27
FI3827128T3 (fi) 2023-03-15
AT521770B1 (de) 2020-05-15
ES2938051T3 (es) 2023-04-04
CA3108255A1 (en) 2020-01-30
GEP20237471B (en) 2023-02-10
ZA202101081B (en) 2022-07-27
RS63993B1 (sr) 2023-03-31
MA53374A (fr) 2021-06-02
PE20210688A1 (es) 2021-04-12
US11512440B2 (en) 2022-11-29
EA202190029A1 (ru) 2021-03-18
JP2021524552A (ja) 2021-09-13
HUE061480T2 (hu) 2023-07-28
US20210246619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5848A (ko) 차량 제한 시스템용 수직 부재
US5797591A (en) Guardrail with improved ground anchor assembly
US8353499B2 (en) Roadway guardrail system
CA2697037C (en) Roadway guardrail system
US7604221B2 (en) Guardrail run
KR100666462B1 (ko) 가드레일판 차량방호책
US5720470A (en) Barrier
CS198371B1 (en) Railing
US6595715B1 (en) Guiderail post
KR102057202B1 (ko) 도로 방호블록 연결기구
GB2512118A (en) Barrier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EP1167628A2 (en) A road crash barrier
KR101001199B1 (ko) 이종소재로 이루어진 방호 울타리
JP4410765B2 (ja) 道路用防護柵
EA041090B1 (ru) Стойка для системы удержа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1406423B1 (ko) 방호울타리용 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101041364B1 (ko) 충격 방호 구조물
AU2011101260B4 (en) Roadway guardrail system
SE544956C2 (en) Guiderail for a roadway barrier system
WO2002027104A1 (en) Crash barrier
EP2110479B1 (en) Transition arrangement for vehicle safety barriers
KR20160050099A (ko)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