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534A -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화장품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화장품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534A
KR20210035534A KR1020190117444A KR20190117444A KR20210035534A KR 20210035534 A KR20210035534 A KR 20210035534A KR 1020190117444 A KR1020190117444 A KR 1020190117444A KR 20190117444 A KR20190117444 A KR 20190117444A KR 20210035534 A KR20210035534 A KR 20210035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opolis
extract
part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수
박나래
Original Assignee
한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5534A/ko
Publication of KR2021003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1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9Solubiliser, Solubilis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항산화능을 위한 화장품용 조성물과 그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피부 항산화 효과가 있지만 난용성 물질인 프로폴리스추출물을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로 가용화 및 마이셀화시켜, 화장품에 포함되는 용매인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여 화장품에 첨가되었을 때 충분한 항산화 효과를 줄 수 있는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과 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화장품 및 제조방법{Cosmetic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include nanoparticle utilities that have made the effective antioxidant propolis available}
본 발명은 피부 항산화능을 위한 화장품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피부 항산화 효과가 있지만 난용성 물질인 프로폴리스추출물을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로 가용화 및 마이셀화시켜, 용매인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여 화장품에 첨가되었을 때 충분한 항산화 효과를 줄 수 있는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발명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두 가지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데 첫 번째로 특별한 환경적 요인 없이 누구에게나 세월과 함게 일어나는 내인성 노화와 두번째로 자외선 조사와 같은 환경요인에 장기간 노출되어 얼굴, 목, 손등과 같은 피부에 나타나는 광 노화(또는 외인성 노화)가 있다.
내인성 노화의 주 원인은 인체의 신진대사과정에서 만들어진 반응성 활성 산소 라디칼에 의하여 우리 몸의 구성 성분에 생기는 손상이 누적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외인성 노화는 유해한 활성산소가 자외선에 의하여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두 가지 노화의 차이가 있다. 일단 활성산소가 만들어진 후에, 체내의 여러 보호 장치에 의하여 활성산소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게 된다면, 일련의 염증반응이 일어나 피부 손상이 초래되며, 상기 피부 손상 중 대표적인 손상으로는 피부 주름형성이 있다.
피부 주름형성과 관련된 주요 메커니즘은 피부가 대기오염,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또는 질병 등과 같은 유해환경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에 계속적으로 노출되어 체내의 라디칼이 증가되고,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에 침하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키고,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또는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주름개선을 위해서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카로티노이드,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등이 자유 라디칼 소거 기능 또는 피부 주름개선을 위한 물질로 화장품에 혼합되어 주름 및 기타 피부 질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장기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화는 체내의 라디칼이 증가되어 산화가 일어나는 방법으로도 이루어 질 수 있지만 여러 가지 과정이 통합되어 이루어진 결과로 나타나기도 한다. 연구에 따르면 자연적인 노화보다 자외선 등 외부요인에 의한 피부노화가 전체 노화의 80%이상을 차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피부는 항시 외부환경과 접촉하고 있어서 자외선에 계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활성산소로 인해 광산화적으로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원인의 주름개선을 위해 아스코르브산, 카로티노이드 등의 비효소적 항산화 물질들이 피부가 산회 되는 것을 방어한다. 그러나 계속적인 자외선 노출로 활성산소가 과잉 생성되면 피부의 효소적 및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가 약화되는데,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가 세포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항산화제를 함유한 식품이나 화장품을 통해 계속적으로 항산화제를 보충하면서 피부 항산화 방어망을 견고히 할 때 피부노화를 지연하고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서, 성분으로는 유기물과 미네랄(무기염류)이 가장 많은데,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지방,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등은 세포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테르펜류 등은 항암 작용을 한다. 주요한 효능으로는 항염, 항산화, 면역증강, 보습 등이 있다.
프로폴리스는 기원전 약 300년 이집트에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오래 전부터 인류가 화농방지제로서 사용해왔다. 최근에는 1965년 프랑스의 의사 레미 쇼방이 꿀벌의 몸에 박테리아가 없음을 연구하던 중 프로폴리스가 천연항생물질임을 알아냈다.
프로폴리스의 주요 효능 중 항염 효과를 내는 것은 사람의 몸에 염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그란딘을 만들어내는 효소를 절반까지 줄이기 때문이다. 또 주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활성산소를 없애기 때문에 항산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프로폴리스는 짙은 황색을 띄며 특유의 향이 있다. 프로폴리스는 물에 잘 녹지 않는 성분으로 주로 에탄올로 추출하여 사용하는데, 에탄올로 추출할 경우 해당 성분은 난용성이 되어 항염, 항산화 등 피부에 좋은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난용성으로 인해 화장품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난용성 물질을 아무런 처리방법 없이 화장품 제형에 첨가하게 될 경우 제형이 불안정해지고 유효성분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에 관한 대표적인 종례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7-0116334호는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항산화, 항균, 노화방지, 피부처짐 개선, 면역 증간 및 피부질병 예방 등의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종례 기술은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조성물을 포함한 화장품은 개시하지만, 난용성인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해 용매인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1633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817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58586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및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매인 물에 대한 난용성인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용해도를 높여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은,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와 용해보조제 1내지 20중량부를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1혼합물을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제1혼합물에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를 5내지 50중량부를 추가한 후 가온 온도 40~80℃ 상태에서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2혼합물을 만드는 제2단계와;
상기 제2혼합물에 정제수 29내지 93중량부를 추가한 후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만드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프로폴리스추출물이 가용화 및 마이셀화된 상태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통하여, 항염, 항산화, 면역증강, 보습등의 효과를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 함유에 따른 관능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2는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항산화능 평가를 위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의 결과는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은,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보조제 1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5내지 50중량부, 정제수 29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투과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0~150nm 입자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항산화 효과에 기인한 피부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이다.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은 난용성이기 때문에 화장품의 주된 성분인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고, 입자가 커서 피부에 투과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에 용해 보조제 및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를 혼합하여 가용성의 마이셀 형태로 유리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들고, 상기와 같이 마이셀화된 프로폴리스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화장품에 첨가되는 유용물로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녹두추출물은 항산화 작용이 탁월한 비텍신과 이소비텍신이 함유되어 있고, 해독작용이 좋은 아미노산, 시스테테인, 글리신, 아스파르트산, 안라닌, 아르긴닌등이 포함되어 있다.
백지추출물은 피부 노화 및 피부개선에 도움을 주며, 소염, 진통, 진정작용을 하고 있다.
고본추출물은 피부 보습, 영양, 항균, 항산화 및 피부노화억제 효과가 있다.
상기 용해 보조제는 프로폴리스추출물을 마이셀화시키기 위하여 용해제인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의 보조제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용해 보조제는 에틸렌글라이콜, 피이지-8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즈, 폴리솔베이트 계열,프로필렌글라이콜카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글라이콜 또는 피이지-8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 보조제는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1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용해 보조제가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의 분산이 불완전하여 추후 화장품에 사용 시 프로폴리스추출물의 방출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고,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의 안정성 개선이 미비하여 시약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는 마이셀 형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록사머 184, 폴록사머 185, 폴록사머 188, 폴록사머 124, 폴록사머 237, 폴록사머 338 또는 폴록사머 407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는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5내지 5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가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의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입자크기가 증가하여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상기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는 상기 범위 내의 혼합비에서 혼합비가 높을수록 만들어진 조성물이 겔 형태의 것으로 만들어지고, 혼합비가 낮아질수록 만들어진 조성물이 액상 형태의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 고본추출물, 용해보조제 및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를 용해시키는 용매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정제수는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29내지 93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정제수가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29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의 마이셀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93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만들어진 조성물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와 용해보조제 1내지 20중량부를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1혼합물을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제1혼합물에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를 5내지 50중량부를 추가한 후 40~80℃ 가온 상태에서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2혼합물을 만드는 제2단계와;
상기 제2혼합물에 정제수 29내지 93중량부를 추가한 후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만드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 용해 보조제,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정제수를 일괄적으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 용해보조제가 교반 혼합되어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1혼합물로 만들고, 이어서 상기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1혼합물에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를 첨가한 이후 가온 상태에서 교반 혼합하어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2혼합물을 만들고, 이어서 상기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2혼합물에 상기 정제수를 혼합하여 상기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최종적인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와 용해보조제 1내지 20중량부를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제1혼합물을 만드는 과정으로서, 난용성의 프로폴리스추출물의 용해를 보조하는 용해보조제를 프로폴리스추출물에 우선적으로 분산 혼합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용해보조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폴리스추출물을 마이셀화시키기 위하여 용해제인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의 보조제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용해 보조제는 에틸렌글라이콜, 피이지-8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즈, 폴리솔베이트 계열,프로필렌글라이콜카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글라이콜 또는 피이지-8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 보조제는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1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용해 보조제가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의 분산이 불완전하여 추후 화장품에 사용 시 프로폴리스추출물의 방출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고,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의 안정성 개선이 미비하여 시약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혼합비의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과 용해보조제를 칭량한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교반 온도는 상온(15~35℃)에서 처리 가능하다.
상기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1혼합물은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과 용해보조제의 교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상기 용해보조제를 우선적으로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에 분산시키며 혼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용해보조제가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에 우선 분산 혼합되면, 마이셀을 주되게 형성시키는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가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과 반응하기 이전에 용해보조제가 먼저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 입자들 사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과를 발휘하여,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의 마이셀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1혼합물에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를 5내지 50중량부를 추가한 후 가온 상태에서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제2혼합물을 만드는 과정으로서, 난용성인 프로폴리스추출물을 상기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로 가용화시키는 과정이다.
즉, 상기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조성물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제1혼합물과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의 교반 혼합은 프로폴리스추출물의 가용화 형성을 위하여 가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가온 온도는 40~8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2혼합물에 정제수 29내지 93중량부를 추가한 후 교반 혼합하여 조성물을 만드는 과정으로서, 상기 제2단계에서 가용화된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을 마이셀 형태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정제수는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 용해보조제 및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를 용해시키는 용매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상술한 화장품용 조성물에 화장품에 필요한 기타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술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서로 다른 기타 성분과 적정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품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은 스킨, 토너, 에센스, 로션, 크림, 겔, 페이스미스트, 파우더, 마스크팩, 바디로션, 클렌징 등과 같은 종류의 것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구분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은 상술한 화장품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각각의 제형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기타 성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제조되는 화장품의 제형이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식물섬유, 왁스, 전분,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제조되는 화장품의 제형이 파우더인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칼슘실리케이트, 폴리아마이드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지응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제조되는 화장품의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칼슘실리케이트, 폴리아마이드파우더, 추진체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체는 클로로 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다이메틸 에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제조되는 화장품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솔비탄의 지방상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제조되는 화장품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액상 희석제,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 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희석제는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하고, 상기 현탁제는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종류의 기타 성분은 제조되는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용 조성물과 다양한 혼합비로 혼합될 수 있고, 그에 대한 바람직한 혼합비는 공지의 기술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1과 비교예1에 대한 관능평가와 항산화능 평가를 위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겔상의 화장품
아래의 각 단계를 거쳐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제조한다.
프로폴리스추출물, 녹두추출물, 백지추출물, 고본추출물 각 1g에 피이지-8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즈 3g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폴록사머 407 6g을 첨가하고 60℃의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제1혼합물을 만든다.
이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만들어진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제1혼합물에 폴록사머 407 6g을 첨가하고, 60℃로 가열하며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제2혼합물을 만든다.
이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만들어진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제2혼합물에 정제수 90g을 첨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액상의 조성물을 만든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77.29g에 프로판다이올 4g, 피이지/피피지/폴리부틸렌글라이콜-8/5/3글리세린 2g, 베타-글루칸 1g, 베타인 1g, 글리세린 1.25g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0.3g, 카프릴릴글라이콜 0.15g ,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1g, 1,2-헥산다이올 0.02g,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g을 첨가하고, 70~75℃로 가열하며 교반 혼합한다.
이어서, 카보머 0.18g을 정제수 8.82g에 분산시킨 것을 첨가하여 70~75℃로 가열하며 교반 혼합한다.
이어서, 포타슘카보네이트 0.11g을 정제수 3g에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70~75℃로 가열하며 교반 혼합한다. 혼합한 것을 40~45℃까지 냉각시킨다.
냉각이 완료되면 프로판다이올 0.8g, 에틸헥실글리세린 0.05g, 카프릴릴글라이콜 0.15g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겔상의 화장품을 만든다.
비교예1.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겔상의 화장품
프로판다이올 4g, 피이지/피피지/폴리부틸렌글라이콜-8/5/3글리세린 2g, 베타-글루칸 1g, 베타인 1g, 글리세린 1.25g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0.3g, 카프릴릴글라이콜 0.15g ,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1g, 1,2-헥산다이올 0.02g,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g과 정제수77.29g을 첨가하고, 70~75℃로 가열하며 교반 혼합한다.
이어서, 카보머 0.18g을 정제수 8.82g에 분산시킨 것을 첨가하여 70~75℃로 가열하며 교반 혼합한다.
이어서, 포타슘카보네이트 0.11g을 정제수 3g에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70~75℃로 가열하며 교반 혼합한다. 혼합한 것을 40~45℃까지 냉각시킨다.
냉각이 완료되면 프로판다이올 0.8g, 에틸헥실글리세린 0.05g, 카프릴릴글라이콜 0.15g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여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겔상의 화장품을 만든다.
실험예1.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 함유에 따른 관능평가
1.실험과정
관능평가는, 피부 건강에 민감한 20대의 여성패널 10명, 30대의 여성패널 10명 및 40대의 여성패널 10명, 총 3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1일 1회 세안 후 바로 사용할 것을 요구하여 1주 동안 사용하게 한 뒤 질의응답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실험예 1에서 사용되는 시험군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겔상의 화장품이고, 대조군은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겔상의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2.실험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래 표1에서와 같은 실험 결과를 얻게 되었다.
시험군
(실시예 1)
대조군
(비교예 1)

프로폴리스추출물
1 -

녹두추출물
1

백지추출물
1

고본추출물
1
피이지-8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즈 3 -
폴록사머407 6 -
정제수 79.11 89.11
프로판다이올 4.8 4.8
피이지/피피지/ 폴리부틸렌글라이콜-8/5/3글리세린 2 2
베타글루칸 1 1
베타인 1 1
글리세린 1.25 1.25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0.3 0.3
카프릴릴글라이콜 0.15 0.15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0.05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1 0.01
1,2-헥산다이올 0.02 0.02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11 0.11
카보머 0.18 0.18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평가)
효능 체감 만족 불만족
사용감 만족 만족
그 결과, 시험군에 따른 패널들의 효능 체감과 사용감은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조군의 경우 사용감은 만족하였으나, 효능체감에서 피부가 밝아지거나 주름이 펴지는 것 같은 것 등의 체감이 느껴지지 않아서 전반적으로 불만족을 표하였다.
실험예2.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항산화능 평가를 위한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겔상의 화장품의 항산화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DPPH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래 표2에서와 같은 실험 결과를 얻게 되었다.
아스코르빅산 1% 실시예 2 비교예 1
DPPH 라디칼 소거능 85.3% 86.7% 20.8%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대상물질의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알려져 있는데, 짙은 보라색을 띄는 DPPH 라디칼이 항산화 물질에 의해 다이페닐파이크릴하이드라진으로 환원되어 옅은 황색으로 변하는 점을 이용하므로, 옅은 황색에 가까워질수록 항산화물질의 항산화력이 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0.2 mM DPPH 용액을 제조하여 96 웰플레이트에 150 μl씩 준비하였고, 대조군으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빅산 1% 용액을 준비하였다. DPPH 용액을 준비한 96 웰플레이트에 대조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각각 50μ씩 처리하고, 96 웰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에 25℃에서 30분 동안 보관한 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492 nm에서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인 아스코르빅산 1% 용액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85.3%이었고,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겔상의 화장품인 실시예 1 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86.7% 이었고,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겔상의 화장품인 비교예 1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0.8%이었다.
상기 결과는,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빅산과 비교할 때, 비교예 1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낮고, 실시예 1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므로,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효능이 더 우수함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이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조성물이 포함된 화장품이 항산화용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보조제는,
    에틸렌글라이콜, 피이지-8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즈, 폴리솔베이트 계열,프로필렌글라이콜카프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는 마이셀 형성의 역할을 수행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는,
    폴록사머 184, 폴록사머 185, 폴록사머 188, 폴록사머 124, 폴록사머 237, 폴록사머 338 또는 폴록사머 407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5.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와 용해보조제 1내지 20중량부를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1혼합물을 만드는 제1단계와;
    상기 제1혼합물에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를 5내지 50중량부를 추가한 후 가온 온도 40~80℃ 상태에서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인 제2혼합물을 만드는 제2단계와;
    상기 제2혼합물에 정제수 29내지 93중량부를 추가한 후 교반 혼합하여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만드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제조방법.
  6.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식물섬유, 왁스, 전분,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을 포함하며,
    제형이 크림 또는 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7.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칼슘실리케이트, 폴리아마이드파우더를 포함하며,
    제형이 파우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8.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칼슘실리케이트, 폴리아마이드파우더, 추진체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체는 클로로 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다이메틸 에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형이 스프레이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9.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솔비탄의 지방상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10.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추출물 1중량부, 녹두추출물 1중량부, 백지추출물 1중량부, 고본추출물 1중량부, 용해 보조제 1 내지 20중량부, 양쪽 친매성의 폴리머 5 내지 50중량부, 보조 성분 1 내지 20중량부, 정제수 29 내지 93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성분은 액상 희석제,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 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 희석제는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하고, 상기 현탁제는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제형이 현탁액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90117444A 2019-09-24 2019-09-24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화장품 및 제조방법 KR20210035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44A KR20210035534A (ko) 2019-09-24 2019-09-24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화장품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44A KR20210035534A (ko) 2019-09-24 2019-09-24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화장품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534A true KR20210035534A (ko) 2021-04-01

Family

ID=7544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444A KR20210035534A (ko) 2019-09-24 2019-09-24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화장품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553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8586A (ko) 2009-08-28 2012-06-07 타바코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인스티튜트 (프러프라이어테리) 리미티드 필터 로드 제조기
KR20160148174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6334A (ko) 2016-04-11 2017-10-19 (주)라파프로폴리스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8586A (ko) 2009-08-28 2012-06-07 타바코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인스티튜트 (프러프라이어테리) 리미티드 필터 로드 제조기
KR20160148174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6334A (ko) 2016-04-11 2017-10-19 (주)라파프로폴리스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7714A (zh) 具有抗蓝光污染和淡化细纹功效的精华乳及其制备与应用
KR101815225B1 (ko) 주름개선 유효물질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624937A (ja) ムコ多糖類断片化抑制剤、活性酸素消去剤、抗酸化剤および化粧料。
KR20180045539A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amel et al. Diosmin/essential oil combination for dermal photo-protection using a lipoid colloidal carrier
KR20190076425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093880A (ja) 抗炎症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化粧料および健康食品
CN104490747B (zh) 具有防辐射、光保护防御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578325A (zh) 一种保湿防晒组合物及其用途
KR101627051B1 (ko) 비타민 c 함유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092179A1 (fr) Complexe actif pour un produit cosmé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é
Waqas et al. Fabrication of Tamarindus indica seeds extract loaded-cream for photo-aged skin: Visioscan® studies
CN107151275A (zh) 茶多糖提取物及其在皮肤外用剂中的应用
EP0949919A1 (en) A process for stabilizing levogyre ascorbic acid (laa) and stable laa compositions
KR102183163B1 (ko) 포도씨 추출물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클렌저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101844A (ja) 多層エマルジョン
KR20210035534A (ko) 항산화 유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가용화한 화장품용 조성물, 화장품 및 제조방법
KR101410042B1 (ko) 프로폴리스 나노 베시클을 함유하는 보습화장품 조성물
KR20200066420A (ko) 소듐 디엔에이와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25902B1 (ko) 하이드록삼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1099B1 (ko) 천연 성분을 이용한 보습과 항산화 기능을 갖는 화장품 제조방법
KR101550309B1 (ko) 미숙 토마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11B1 (ko) 생약 추출물 함포 펙틴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7678B1 (ko) 4-n-부틸리소르시놀 에멀젼 또는 나노분말,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lyduang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Hydrogel containing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Extract for Topic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