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195A - 글리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미용적 용도 및 약제학적 용도 - Google Patents

글리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미용적 용도 및 약제학적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195A
KR20210035195A KR1020217002837A KR20217002837A KR20210035195A KR 20210035195 A KR20210035195 A KR 20210035195A KR 1020217002837 A KR1020217002837 A KR 1020217002837A KR 20217002837 A KR20217002837 A KR 20217002837A KR 20210035195 A KR20210035195 A KR 20210035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tsp
glycyrrhiz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알도 산소
Original Assignee
에이티지 20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지 20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에이티지 20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1003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icro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시리진,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증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글리시리진의 생체이용률을 유의적으로 개선하므로 글리시리진이 사용되는 모든 미용적 적응증 및 치료적 적응증에 유리하게 응용된다.

Description

글리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미용적 용도 및 약제학적 용도
본 발명은 글리시리진(glycyrrhiz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및 증점제(viscosizing agent)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글리시리진의 생체이용률을 유의적으로 개선하므로 글리시리진이 사용되는 모든 미용적 적응증 및 치료적 적응증에 유리하게 응용된다.
글리시리진(글리시리즈산 또는 글리시리진산)은 감초 추출물의 활성 성분을 구성하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글리코시드이다:
Figure pct00001
글리시리진은 또한 글리시리즈산 이칼륨(dipotassium glycyrrhizate)[또는 글리시리진산 이칼륨] 및 글리시리진산 (모노) 암모늄[또는 글리시리진산(모노) 암모늄 또는 GA]와 같은 염의 형태로 입수가능(available)하다. 산성 형태에서, 그것은 특히 수용성은 아니지만, 칼륨 염은 수용성이며:
Figure pct00002
한편 (모노)암모늄 염은 희석된 산성 또는 염기성 용액에 가용성이다:
Figure pct00003
글리시리진이 가수분해될 경우, 생성된 아글리콘(aglycone)은 에녹솔론으로도 공지된 18β-글리시레틴산(또는 글리시레트산)이다:
Figure pct00004
식품 분야에서, 글리시리진은 사카로스보다 최대 50배 더 달며, 후자와 비교하여, 감미가 더 늦게 감지되지만 입 안에서 더 오래 지속되므로, 글리시진은 감미제(sweetener)로서 채택된다.
약학 분야에서, 이 화합물은 거담제(expectorant)로서, 그리고 소화성 궤양의 경우에 위장보호제로서 사용된다.
추가로, 글리시리진은 항-염증 및 소염 작용을 가지며; 실제로, 글리시레트산은 11 베타 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 데하이드로게나제에 의해 코리티솔이 코르티손으로 전환되는 것을 저해하고 TNF-α 및 IL-1β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저해한다는 것이 부각되었다(문헌[Xiaoying Huang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onoammonium Glycyrrhizinate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Acute Lung Injury in Mice through Regulating Nuclear Factor-Kappa B Signaling Pathway. EvidBasedComplementAlternatMed. 2015; 2015: 272474]).
최근에, 이 약물의 소염 작용의 원인인 추가의 기전, 즉, 호중구(neutrophil)에 의해, 강력한 항염증제의 부류인, 자유 라디칼이 생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글리시리진의 능력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그 분자는 이들 세포의 식세포작용 및 주화성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백혈구에 의해 생성된 자유 라디칼은 여드름 및 주사비의 경우에 여포 상피에 대한 손상의 주원인 중 하나임에 주목하는 것이 흥미롭다.
추가로, 이 화합물은 만성 간염 및 알레르기 장애의 치료를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된다. 글리시리진 주사는 만성 C형 간염을 가진 환자에게 투여되며, 그의 장기 사용은 간세포 암종의 발생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반복되는 고통스러운 정맥내 주사는 만성 간염을 가진 환자의 삶의 질을 감소시켰다. 주사 요법은 또한 의료인에 대한 감염 위험을 수반한다. 그러므로 경구 투여가 채택되어 왔지만 글리시리진의 생체이용률은 극도로 낮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문헌에는 글리시리진의 생체이용률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의 설명이 제공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사사키(Sasaki) 등(문헌[Improvement in the bioavailability of poorly absorbed glycyrrhizin via various non-vascular administration routes in rats, Int J Pharm. 2003 Oct 20;265(1-2):95-102])은 글리시리진의 투여를 위한 다양한 경로를 비교하여, 특히 국소 투과 촉진제(topical permeation promoter)와 같은 지방산 염의 존재 하에 비강 경로 및 직장 경로가 경구 경로보다 더 양호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투여 경로는 환자에게 다소 불편하며, 어느 경우에나 내부적이든 외부적이든 국소화된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특히 외부 국소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에 글리시리진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제1항에 언급된 바와 같이, 글리시리진,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타마린드 종자 폴리사카라이드(tamarind seed polysaccharide), PVP,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잔탄 검(xanthan 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MC),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HEC),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 및 그의 에스테르, 천연 검 및 그의 에스테르, 펙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그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증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글리시리진"은 글리시리즈산, 그의 염, 바람직하게 칼륨 및 암모늄 염, 그의 가수분해된 형태, 바람직하게 글리시레트산,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고자 한다.
다른 태양(aspect)에서, 본 발명은 안 질환(ocular affection)의 치료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피부과, 부인과, 이비인후과, 또는 치과 병리(pathology)의 국소 치료(topical treatment)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특히 외부 국소 용도를 위한 제품에서 진정제(soothing agent)로서의, 상기 조성물의 미용적 용도(cosmetic use)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글리시리진,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타마린드 종자 폴리사카라이드, PVP,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잔탄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 및 에스테르, 천연 검 및 그들의 에스테르, 펙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증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글리시리진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5.0 중량%의 농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글리시리진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3.0 중량%의 농도이다.
용어 "히알루론산 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철, 히알루론산 칼슘,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히알루론산 암모늄,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또는 그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하기를 포함하고자 한다:
- 제EP0216453B1호에 또한 기재된 바와 같은, 카르복실 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방족, 방향족, 아릴지방족, 지환족, 헤테로사이클릭 시리즈 알코올로 에스테르화된 히알루론산 에스테르,
- 제EP0341745B1호에 또한 기재된 바와 같은, 카르복실 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폴리사카라이드 사슬 또는 추가의 사슬로부터의 알코올성 기로 에스테르화된 자가-가교-결합 히알루론산 에스테르,
- 제EP0265116B1호에 또한 기재된 바와 같은, 카르복실 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방족, 방향족, 아릴지방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시리즈 폴리알코올로 에스테르화되어 스페이서 사슬에 의해 가교-결합을 생성하는, 가교-결합 히알루론산 화합물,
- 제WO96/357207호에 또한 기재된 바와 같은, 히알루론산과의, 또는 부분 또는 전체 히알루론산 에스테르와의 석신산 헤미에스테르 또는 석신산 중금속 염,
- 제WO95/25751호에 또한 기재된 바와 같은 O-설페이트화 유도체, 또는 제WO/1998/04533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N-설페이트화 유도체, 및 그의 혼합물.
바람직하게,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00-1500 kDa, 더욱 바람직하게 600-1000 kDa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5.0 중량%의 농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3.0 중량%의 농도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히알루론산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2.0 중량%의 농도이다.
용어 "타마린드 종자 폴리사카라이드"는 타마린두스 인디카(Tamarindus indica)의 종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폴리사카라이드 모이어티를 의미하며, 간결함을 위해 이하 "TSP"(영문 용어 "타마린두스 인디카 종자 폴리사카라이드(Tamarindus indica Seed Polysaccharide)"로부터)로도 지칭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타마린드 나무는 인도, 아프리카, 및 극동 전체에 걸쳐 통상적이며, 여기에서 그것은 본질적으로 식용 목적으로 재배된다. 원래 부산물이었던 종자는 그 후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그것이 원사용 호제(sizing agent) 및 점착제(gluing agent)로 각각 사용되는 텍스타일 및 종이 산업에서, 그리고 추가의 폴리사카라이드 제품, 예컨대 알기네이트, 펙틴, 구아 검, 또는 메뚜기콩 분말과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모든 종류의 제품에서 그것이 증점제(thickener), 겔화제, 안정화제, 및 결합제로 사용되는 식품 산업에서, 간혹 분말 제품(mealy product)(현재 "조제 타마린드 검" 또는 "타마린드 너트 분말"로서 공지됨)으로 분쇄되었다. 조제 타마린드 검(예를 들어, 일본 오사카 소재의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Glyloid®로서 구매가능함)은 전형적으로 65-73 중량%의 폴리사카라이드에 부가하여, 또한 15-23%의 단백질 재료, 3-8%의 오일 및 지방, 및 2-4%의 회분과 더불어, 미량의 조섬유, 탄닌, 및 추가의 불순물을 함유한다.
유리한 일 태양은,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의 경우에 발생하는 바와는 달리, TSP 용액은 열 분해를 겪지 않으면서 가압멸균기에서의 처리(예를 들어 20 분 동안 120 ℃에서)에 의해 멸균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단순히 가압멸균기 내에서의 처리에 의한 멸균의 가능성은 TSP-계 제제를 제조 관점에서 특히 편리하게 만든다.
추가로, TSP는 유의적인 점막유사성, 점막접착성, 및 생체접착성 특성을 입증하였다.
TSP는 매우 친수성이며 분기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갈락톡실로글루칸의 중합체성 분자를 포함하는 정제된 중성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 분획이며: 글루코스 반복 단위로 형성된 선형 주쇄에는 자일로스의 작은 모노사카라이드 단위 및 자일로스-갈락토스의 디사카라이드 단위가 부착되어 있고, 후자의 경우에, 갈락토스는 측쇄의 단부에 있다. 3개의 단량체는 3:1:2의 몰비로 존재하며, 종자의 구성요소의 대략 65%를 구성한다:
Figure pct00005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뮤신-유사" 분자 구조는 상기 뮤신과의 다양한 종류의 결합의 형성으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사카라이드의 우수한 점막접착성 특성을 결정한다.
TSP는 프로테아제 또는 프로테아제와 고강도 초음파의 조합을 사용하여, 화학적 방법 및 효소적 방법에 의해 단리될 수 있다. 화학적 방법에서는, 20 g의 타마린드 종자 분말을 200 ml의 차가운 증류수에 첨가하여 현탁액을 제조한 후, 이를 800 ml의 끓는 증류수에 붓는다. 그렇게 형성된 용액을 20 분 동안 끓이며 계속 교반하고; 하룻밤 정치한 후에, 상기 용액을 5000 rpm에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상등액을 분리하고 상기 상등액의 양이 2배가 되게 하는 부피의 순수한 알코올에 붓는다. 이렇게 침전을 얻은 후에 이를 순수한 에탄올로 세척하고 공기-건조시킨다. 최종적으로, 건조된 중합체를 분쇄하고, 분급하고, 사용할 때까지 건조기 내에 저장한다. 효소적 방법에서는, 종자로부터 얻어진 분말을 에탄올과 혼합한 후에 프로테아제로 처리하고; 이어서, 상기 분말을 원심분리하고 침전화를 위해 상등액에 에탄올을 첨가한다. 최종적으로, 중합체를 분리하고 건조시킨다.
바람직하게, TSP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50-750 kDa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증점제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5.0 중량%의 농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증점제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3.0 중량%의 농도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증점제는 TSP, CMC, 또는 그의 혼합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2.0 중량%의 농도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증점제는 TSP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2.0 중량%의 농도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증점제는 하기 중 하나 이상과 TSP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PVP,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잔탄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 및 그의 에스테르, 천연 검 및 그의 에스테르, 펙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상기 증점제가 TSP이며,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2.0 중량%의 농도인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글리시리진 및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는 1:1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 1:1 내지 1:10의 중량비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글리시리진 및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는 1:1 내지 1:5의 중량비이다.
바람직하게, 글리시리진 및 증점제는 5:1 내지 1:15, 더욱 바람직하게 3:1 내지 1:10의 중량비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글리시리진 및 증점제는 2:1 내지 1:5의 중량비이다.
바람직하게,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증점제는 1:2 내지 10:1, 더욱 바람직하게 1:1 내지 5:1의 중량비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증점제는 1:1 내지 3:1의 중량비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pH가 4-7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pH가 5.5-6.5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된 pH를 유지하는 작용을 하는 완충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완충액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5 중량%의 농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완충액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2.0-4.0 중량%의 농도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완충액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2.5 중량%의 농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액은 시트르산-시트르산 나트륨, 아세트산-아세트산 나트륨, 붕산-붕산 나트륨, 시트르산-인산 수소 이나트륨('맥바인(McIlvaine) 완충액'으로도 공지됨), 시트르산-인산 일칼륨-붕산-디에틸바르비투르산, TRIS-보레이트, 및 그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완충액은 시트르산-시트르산 나트륨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pH는 대략 6이고 완충액은 시트르산-시트르산 나트륨이다.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25 ℃에서 측정된 0.1-2.0 mS/cm, 바람직하게 0.2-1.5 mS/cm의 전도도를 특징으로 한다. 하기 실시예에 나타낼 바와 같이, 전도도가 높을수록 히알루로니다제의 탈중합 작용이 높은 반면에, 전도도가 낮을수록 히알루로니다제의 탈중합 작용이 낮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요건에 따라, 제품의 투여량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화장품, 생약 제품, 의료 장치, 또는 의약품과 같은 응용에 대해서는 상기 언급된 범위의 하한 부근의 값을 향해, 또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 제제의 빈번한 사용이 필요한 응용에 대해서는 상한 부근의 값을 향해, 전도도를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완충액을 포함하는 경우, 그 안에 함유된 산 화합물과 염분 화합물 사이의 중량비를 변동시킴으로써 전도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액이 시트르산-시트르산 나트륨인 경우, 시트르산과 시트르산 나트륨 사이의 중량비가 변동되며: 시트르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전도도가 감소되고; 시트르산 나트륨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전도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그 안에 존재하는 유일한 용매는 물이다.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존제 또는 착색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pH가 4-7이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 최대 5.0 중량%의 글리시리진,
- 최대 5.0 중량%의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 최대 5.0 중량%의 증점제, 및
- 물.
pH가 5.5-6.5이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 0.05-3.0 중량%의 글리시리진,
- 0.01-3.0 중량%의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 0.01-3.0 중량%의 증점제,
- 최대 5 중량%의 완충액, 및
- 물.
pH가 5.5-6.5이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 0.05-3.0 중량%의 글리시리진,
- 0.01-3.0 중량%의 히알루론산,
- 0.01-3.0 중량%의 TSP, CMC, 또는 그의 혼합물,
- 2.0-4.0 중량%의 완충액 시트르산-시트르산 나트륨, 및
- 물.
pH가 5.5-6.5이며,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더 더욱 더 바람직하다:
- 0.05-3.0 중량%의 글리시리진,
- 0.01-3.0 중량%의 히알루론산,
- 0.01-3.0 중량%의 TSP,
- 2.0-4.0 중량%의 완충액 시트르산-시트르산 나트륨, 및
- 물.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시리진,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타마린드 종자 폴리사카라이드, PVP,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잔탄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 및 에스테르, 천연 검 및 그들의 에스테르, 펙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증점제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표현 "~로 본질적으로 구성되다"는, 상기 열거된 3개의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유일한 활성 성분이지만, 임의의 추가의 구성요소 또는 부형제가 그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으며, 수혼화성이고 수용성임을 의미한다.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시리진,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타마린드 종자 폴리사카라이드, PVP,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잔탄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 및 에스테르, 천연 검 및 그들의 에스테르, 펙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증점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실제로, 예를 들어, 구성요소들을 그 자체로 또는 차례로 첨가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함께 교반 하에 혼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감마선을 이용한 처리 하에, 사용 전에 멸균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안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용어 "안 질환"은 눈의 표면에 영향을 주는 염증성 병태(condition), 예컨대 안구 건조증, 쇼그렌 증후군, 포도막염, 결막염, 각막염, 각결막염, 봄철 각결막염, 각막 궤양, 아토피성 각결막염, 반흔성 결막염, 안검염, 각막염, 토안(lagophthalmos), 내안구염(endophthalmitis), 상공막염, 및 공막염을 의미한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과용 제품은 인공 누액(tear substitute), 세안제(collyrium), 현탁액, 눈 스프레이(eye spray), 포말(foam), 습윤 와이프(wet wipe), 패치 상의 스프레이(spray-on patch), 또는 그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안과용 제품은 인공 누액이다.
하기 제공되는 실시예에 나타낼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리적-화학적 및 유변학적 관점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그의 구성요소의 상승효과로부터 유도되는 효율성의 관점에서 다수의 이점을 제공한다. 실제로, 첫째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시리진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고, 둘째로, 글리시리진 및 증점제의 동시 존재는 눈의 표면 상에 정상적으로 존재하고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효소인 히알루로니다제의 효과를 저해함으로써, 후자의 지속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제품의 반복 투여를 수행할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안과용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증점화제는 TSP, CMC, 또는 그의 혼합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2.0 중량%의 농도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증점제는 TSP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2.0 중량%의 농도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증점제는 하기 중 하나 이상과 TSP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PVP,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잔탄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 및 그의 에스테르, 천연 검 및 그의 에스테르, 펙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상기 증점제가 TSP이며,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2.0 중량%의 농도인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제품은 또한 단위 투여형 내에 안과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안과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눈의 외부 표면에 투여하기 위한 조성물 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또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 종류의 부형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유해 반응을 야기해서도 안되고, 눈의 표면 상의 활성성분의 작용을 유의적으로 저해해서도 안된다.
적합한 부형제는 산화방지제, 겔화제, 격리제, 결합제, 윤활제, 증점제(thickening agent), 장성 조절제(tonicity regulator), 필모젠 물질(filmogenic substance), 및 그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 티오설페이트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베이트 나트륨, 글루코스, 시스테인, 및 그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격리제는 EDTA 및 그의 일나트륨, 이나트륨, 및 칼륨 염,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폰산, 헥사메틸렌 디아민 테트라메틸 포스폰산,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메틸 포스폰산, 아미노 트리메틸렌 포스포네이트, 및 그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격리제는 EDTA, 그의 일나트륨, 이나트륨, 및 칼륨 염, 및 그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장성 조절제는 무기염, 예컨대 나트륨 클로라이드, 칼륨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및 칼슘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올 또는 당, 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에리트리톨, 만니톨, 소르비톨, 및 트레할로스, 또는 아미노산, 예컨대 카르니틴 및 베타인이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피부과, 부인과, 이비인후과, 또는 치과 병리의 국소 치료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특히 외부 국소 용도를 위한 제품에서 진정제로서의, 상기 조성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글리시리진은, 예를 들어, 아동용 제형에서, 애프터쉐이브(aftershave) 및 애프터-선(after-sun) 제품에서, 일반적으로 염증이 있거나, 발적되거나, 아토피성 및 지루성 피부염 및 자극에 취약한 피부를 위한 제품에서 그것이 진정제로서 효과적이므로, 민감하고 연약한 피부의 치료 및 보호를 의도하는 제품에 실제로 유용할 수 있다. 그것은 심지어 작은 용량(0.5 내지 1%)에서도 그의 활성을 수행하며, 이 수준에서 그것은 임의의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것은 낮은 백분율의 18β-글리시레트산을 함유하고 최종 산물에 매력적이지 않은 어두운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 감초 추출물의 사용이 필요 없게 만든다.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을 외부 또는 내부 국소 경로에 의해 투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용액, 로션, 유탁액, 현탁액, 겔, 연고, 크림, 페이스트, 용액 스프레이, 경피 패치, 패치 상의 스프레이, 포말, 또는 습윤 와이프의 형태이며, 여기에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현탁액이거나 하나 이상의 적합한 부형제에 용해된다.
이들 투여 형태에 적합한 부형제의 예는 광유, 액체 파라핀, 백색 바셀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유탁화 왁스(emulsifying wax),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세틸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글리세린,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전분, 카르보폴, 카르보머, 메틸 파라벤, 폴록사머 407, 마크로골 400, 정제 벤토나이트, 프로필 파라벤, 미리스틸 프로피오네이트, 디메티콘, 티타늄 디옥사이드,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물, 및 그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국소 외부 경로에 의해 투여하고자 한다.
상기 보고된 바와 같이, 조성물과 더불어 그를 함유하는 제품의 구성요소, 그들의 제조 및 용도의 바람직한 태양의 모든 조합이 이로써 개시되고 유사하게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함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상기 개시된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 공정, 및 용도의 바람직한 태양의 모든 조합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작업 실시예가 예시적 목적으로 하기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비-제한적 예에 의해 제공되고 이에 부속된 도면에 예시된 실시 형태의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 도 1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의 GA의 1NMR 스펙트럼에 비교하여 0.1% GA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1NMR 스펙트럼(a) 및 0.2% GA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1NMR 스펙트럼(b)을 나타내고;
- 도 2는 물 중에 0.1% GA(a) 및 0.2% GA(b)를 포함하는 조성물들의 1NMR의 이완 시간(relaxation time) T1과 T2 사이의 비교를 나타내며;
- 도 3은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에 0.1% GA(a) 및 0.2% GA(b)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1NMR의 이완 시간 T1과 T2 사이의 비교를 나타낸다.
실시예
재료
화합물 제조사 약어 물리적 상태
히알루론산 Altergon HD HAS 분말
타마린드 추출물 Indena Group TSP 분말
암모늄 글리시리지네이트 Indena Group GA 또는 Glyc. 분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Ashland CMC 분말
모노하이드레이트 시트르산 Sigma Aldrich Citric ac. 분말
3염기성 나트륨 시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Sigma Aldrich 나트륨
시트레이트
분말
만니톨 Sigma Aldrich - 분말
Culligan 탈이온화 시스템에
의해 탈이온화된 물
- d-H2O 액체
99.9%의 중수소화도로
중수소화된 물
Cortecnet D2O 액체
나트륨 니트레이트 Sigma Aldrich NaNO3 분말
나트륨 아지드 Sigma Aldrich NaN3 분말
I-S 유형 소 고환
히알루로니다제, 효소 단위
400-1000 단위/mg 고체
Sigma Aldrich Hya 분말
HAS, TSP, 및 GA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0.4% HAS 및 0.2% TSP의 양이 되게 하는 최종 함량(중량/부피 백분율로서 제공됨)으로 d-H2O 및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에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한편 GA는 상이한 농도(0.05%, 0.1%, 및 0.2% 중량/부피)로 첨가하였다.
단계 1: 100 ml 플라스크 내에서 대략 400 mg의 HAS를 30 ml의 d-H2O에 용해시킨 후, 그의 완전한 용해를 보장하기 위해 실온에서 24 h 동안 교반 하에 정치하였다.
단계 2: 시트레이트 완충액의 구성요소(2.8 g의 만니톨, 0.8 g의 나트륨 시트레이트, 0.01 g의 시트르산)를 칭량하고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킨 후에; 자석 교반 하에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200 mg의 TSP를 첨가하였다. 단계 2에서 완전한 용해시에, 단계 1을 첨가하였다. H2O 중의 조성물의 경우, 200 mg의 TSP를 d-H2O 단독에 용해시켰다.
단계 3: 대략 400 mg을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 내로 칭량하고, 이어서 이를 20 ml의 d-H2O에 가온(오일 중탕에 의해 50 ℃) 용해시킴으로써 2% 중량/부피의 GA를 가진 저장 용액(stock solution)을 제조하였으며; 일단 용액이 냉각되었으면, 하기 샘플을 취하고, 이어서 이를 단계 2에 첨가하였다:
- 0.2% GA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10 ml;
- 0.1% GA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5 ml;
- 0.05% GA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2.5 ml.
첨가 후에, 조성물을 d-H2O로 부피(100 ml)까지 채우고, 제조의 종료시에 pH를 측정하였으며,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조성물의 경우에 대략 6.5, 및 물 중의 조성물의 경우에 대략 5가 얻어졌다.
실시예 1: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 TSP, 및 0.1% GA의 조성물
단계 1: 0.4003 g의 HAS를 칭량하고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단계 2: 시트레이트 완충액의 구성요소를 칭량하고(2.8003 g의 만니톨, 0.8002 g의 나트륨 시트레이트, 0.0103 g의 시트르산)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킨 후에; 0.2004 g의 TSP를 첨가하고, 완전한 용해시에 단계 1을 첨가하였다.
단계 3: 0.4004 g의 GA를 칭량하고 오일 중탕에 의해 50 ℃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2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완전한 가용화시에, 그리고 저장 용액이 냉각되도록 정치한 후에, 5 ml의 단계 3을 단계 2에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용액을 d-H2O로 부피(100 ml)까지 채웠다. 최종 pH: 6.97
실시예 2: 물 중의 HAS, TSP, 및 0.1% GA의 조성물
단계 1: 0.4005 g의 HAS를 칭량하고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단계 2: 0.2002 g의 TSP를 칭량하고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완전한 용해시에, 단계 1을 첨가하였다.
단계 3: 0.4002 g의 GA를 칭량하고 오일 중탕에 의해 50 ℃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20 ml의 H2O에 용해시켰다.
완전한 가용화시에, 그리고 저장 용액이 냉각되도록 정치한 후에, 5 ml의 단계 3을 단계 2에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용액을 d-H2O로 부피(100 ml)까지 채웠다. 최종 pH: 5.70
HAS, CMC, 및 GA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0.4% HAS 및 0.2% CMC의 양이 되게 하는 최종 함량(중량/부피 백분율로서 제공됨)으로 d-H2O 및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에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한편 GA는 상이한 농도(0.05%, 0.1%, 및 0.2% 중량/부피)로 첨가하였다.
단계 1: 100 ml 플라스크 내에서 대략 400 mg의 HAS를 30 ml의 d-H2O에 용해시킨 후, 그의 완전한 용해를 보장하기 위해 실온에서 24 h 동안 교반 하에 정치하였다.
단계 2: 시트레이트 완충액의 구성요소를 칭량하고(2.8 g의 만니톨, 0.8 g의 소듐 시트레이트, 0.01 g의 시트르산) d-H2O에 용해시킨 후에; 자석 교반 하에 실온에서 200 mg의 CMC를 첨가하였다. 완전한 용해시에, 단계 1을 단계 2에 첨가하였다. H2O 중의 조성물의 경우, 200 mg의 CMC를 d-H2O 단독에 용해시켰다.
단계 3: 대략 400 mg을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 내로 칭량하고, 이어서 이를 20 ml의 d-H2O에 가온(오일 중탕에 의해 50 ℃) 용해시킴으로써 2% 중량/부피의 GA를 가진 저장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일단 용액이 냉각되었으면, 하기 샘플을 취하고, 이어서 이를 단계 2에 첨가하였다:
- 0.2% GA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10 ml;
- 0.1% GA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5 ml;
- 0.05% GA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2.5 ml.
첨가 후에, 조성물을 d-H2O로 부피(100 ml)까지 채웠다. 제조의 종료시에 pH를 측정하였으며,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조성물의 경우에 대략 6.5, 및 물 중의 조성물의 경우에 대략 5가 얻어졌다.
실시예 3: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 CMC, 및 0.1% GA의 조성물
단계 1: 0.4007 g의 HAS를 칭량하고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단계 2: 시트레이트 완충액의 구성요소를 칭량하고(2.8001 g의 만니톨, 0.8008 g의 나트륨 시트레이트, 0.0107 g의 시트르산)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그 후에, 0.2004 g의 CMC를 첨가하고, 완전한 용해시에, 단계 1을 첨가하였다.
단계 3: 0.4004 g의 GA를 칭량하고 오일 중탕에 의해 50 ℃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2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완전한 가용화시에, 그리고 저장 용액이 냉각되도록 정치한 후에, 5 ml의 단계 3을 단계 2에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용액을 d-H2O로 부피(100 ml)까지 채웠다. 최종 pH: 6.63
실시예 4: 물 중의 HAS, CMC, 및 0.1% GA의 조성물
단계 1: 0.4006 g의 HAS를 칭량하고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단계 2: 0.2009 g의 CMC를 칭량하고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완전한 용해시에, 단계 1을 첨가하였다.
단계 3: 0.4004 g의 GA를 칭량하고 오일 중탕에 의해 50 ℃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2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완전한 가용화시에, 그리고 저장 용액이 냉각되도록 정치한 후에, 5 ml 단계 2를 단계 1에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조성물을 d-H2O로 부피(100 ml)까지 채웠다. 최종 pH: 5.05
완충액 수정 평가
0.4% HAS 및 0.2% TSP의 양이 되게 하는 최종 함량(중량/부피 백분율로서 제공됨)으로 나트륨 시트레이트의 농도가 수정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한편 GA는 상이한 농도(0.05%, 0.1%, 및 0.2% 중량/부피)로 첨가하였다.
단계 1: 100 ml 플라스크 내에서 대략 400 mg의 HAS를 30 ml의 d-H2O에 용해시킨 후, 그의 완전한 용해를 보장하기 위해 실온에서 24 h 동안 교반 하에 정치하였다.
단계 2: 시트레이트 완충액의 구성요소를 칭량하고(2.8 g의 만니톨, 0.2 g의 나트륨 시트레이트, 0.01 g의 시트르산) d-H2O에 용해시킨 후에; 자석 교반 하에 실온에서 200 mg의 TSP를 첨가하였다. 완전한 용해시에, 단계 1을 단계 2에 첨가하였다. H2O 중의 조성물의 경우, 200 mg의 TSP를 d-H2O 단독에 용해시켰다.
단계 3: 대략 400 mg을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 내로 칭량하고, 이어서 이를 20 ml의 d-H2O에 가온(오일 중탕에 의해 50 ℃) 용해시킴으로써 2% 중량/부피의 GA를 가진 저장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일단 용액이 냉각되었으면, 하기 샘플을 취하고, 이어서 이를 단계 2에 첨가하였다:
- 0.2% GA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10 ml;
- 0.1% GA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5 ml;
- 0.05% GA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2.5 ml.
첨가 후에, 조성물을 d-H2O로 부피(100 ml)까지 채웠다. 제조의 종료시에 pH를 측정하였으며,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조성물의 경우에 대략 6.5, 및 물 중의 조성물의 경우에 대략 5가 얻어졌다.
실시예 5: 수정된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 TSP, 및 0.1% GA의 조성물
단계 1: 0.4004 g의 HAS를 칭량하고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단계 2: 시트레이트 완충액의 구성요소를 칭량하고(2.8009 g의 만니톨, 0.2009 g의 3염기성 나트륨 시트레이트, 0.0108 g의 시트르산) 실온에서 3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그 후에, 0.2007 g의 TSP를 첨가하고, 완전한 용해시에, 단계 1을 첨가하였다.
단계 3: 0.4004 g의 GA를 칭량하고 오일 중탕에 의해 50 ℃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20 ml의 d-H2O에 용해시켰다.
완전한 가용화시에, 그리고 저장 용액이 냉각되도록 정치한 후에, 5 ml의 단계 3을 단계 2에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조성물을 d-H2O로 부피(100 ml)까지 채웠다. 최종 pH: 6.02
특성화: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하기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하에 다중-검출기 시스템과 함께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조성물의, 그리고 - 마지막으로 - 효소적 분해의 산물의, HAS, TSP, GA, CMC의 분자량 분포의 특성화를 수행하였다:
▷ 기기: OmniSEC System(영국 소재의 Malvern Panalytical Instruments);
▷ 검출기: 굴절률, 광산란(90° 및 7°), 및 점도계;
▷ 컬럼: 직렬의 2개 컬럼 TSKGMPWXL(7 mm ID x 30 cm L, 13 ㎛ 입자 크기);
▷ 이동상: NaNO3 0.1 M + NaN3 0.05%;
▷ 온도: 40 ℃;
▷ 유속: 0.6 ml/min;
▷ 주입 부피: 100 ㎕;
▷ 크로마토그래피 처리의 지속기간: 60 min;
데이터를 획득하고, OmniSEC v 10.3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하기 dn/dc 값을 설정하여 가공하였다: HAS에 대해 0.155, TSP에 대해 0.164, CMC에 대해 0.16, 및 조성물에 대해 0.159.
표준 분자량, 및 공지의 다분산 및 고유 점도(PolyCAL-Pul57k, 영국 소재의 MalvernPanalytical Instruments)로 기기를 보정하였다.
샘플의 제조:
HAS, TSP, 및 CMC 샘플을 칭량하고, 각각 대략 4 mg/ml, 2 mg/ml, 및 2 mg/ml의 농도로 이동상에 용해시키고; 주입 전에, 대략 0.5 mg/ml를 이동상에 희석하였다. 조성물 및 효소적 분해의 산물을 0.8 내지 0.6 mg/ml의 최종 농도로 이동상에 희석하였다.
전도도, 동적 광산란(DLS), 및 제타 전위
하기 기기 조건 하에 Zetasizer(MalvernPanalytical)를 이용하여 HAS, TSP, GA, CMC, 및 조성물의 크기 측정(Rh, nm), 및 표면 부하 측정(제타 전위, Zp, mV)을 얻었다:
크기 측정
▷ 비히클(vehicle): 만니톨 0.15(온도: 25.0 ℃; RI 1.334; 점도: 0.9639 mPA*s) 및 만니톨 0.015(온도: 25.0 ℃; RI 1.330; 점도: 0.8975 mPA*s)
▷ 온도: 25 ℃
▷ 최소 부피가 1 ml인 일회용 폴리스티렌 큐벳(polystyrene cuvette)
▷ 측정 각도: 173 ℃ 후방산란(NIBS 내정값)
▷ 측정 횟수: 5
▷ 소프트웨어: Zetasizer 소프트웨어 v 7.12
제타 전위의 측정
▷ 비히클: 만니톨 0.15(온도: 25.0 ℃; RI 1.334; 점도: 0.9639 mPA*s; 유전 상수: 78.5) 및 만니톨 0.015(온도: 25.0 ℃; RI 1.330; 점도: 0.8975 mPA*s; 유전 상수: 78.5)
▷ 측정 모델: 스몰루코프스키(Smoluchowski)(F(ka) 값: 1.50)
▷ 온도: 25 ℃
▷ 확산 장벽 방법(diffusion barrier method) 및 MPT-2 자동적정기와 부합하는, 제타 전위의 측정을 위한 일회용 큐벳
▷ 측정 횟수: 5
▷ 소프트웨어: Zetasizer 소프트웨어 7.12
샘플 제조:
조성물을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분석하고 탈이온수에 1:10으로 희석하였다. HAS, TSP, 및 CMC의 샘플을 칭량하고 시트레이트 완충액에 용해시켜, 대략 4 mg/ml, 2 mg/ml, 및 2 mg/ml의 농도를 수득하고, 변경되지 않은 상태의 조성물의 분석을 위해 교반 하에 2 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조성물을 H2O에 1:10으로 희석하였다.
핵자기 공명(NMR)
1H-NMR
하기 조건 하에 500 MHz(1H)에서 작동하고 5 mm Cryo Probe TCI가 장착된 Avance 분광계로 용액의 1H-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 펄스 시퀀스: zgcppr
▷ 온도: 300 °K
▷ 스캔 횟수: 16
▷ 재순환 시간(Recycle time)(D1): 12 sec
▷ 펄스 각도(P1): 90 ℃
▷ 용매: D2O
▷ 자동 Abs
▷ 기기 기준(Instrumental reference): 0 ppm으로 보정된 TSP
▷ 푸리에 변환을 위한 크기: 132 K
▷ 처리 소프트웨어: Bruker TOPSPIN 4.02
배경 잡음의 감소를 위해 모든 스펙트럼을 EM 함수(지수 함수) 및 LB 0.3 Hz로 처리하였다.
T1-NMR
하기 조건 하에 500 MHz(1H)에서 작동하는 분광계로 T1의 계산을 위한 1H-NMR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 펄스 시퀀스: cpmg(Carr-Purcell-Meiboom-Gill)
▷ 온도: 300 °K
▷ 스캔 횟수: 20
▷ 재순환 시간(D1): 30 sec
▷ 에코 시간(Echo time)(D20): 2 msec
▷ 펄스 각도(P1): 90° 및 180°
▷ 용매: D2O
▷ 기기 기준: 0 ppm으로 보정된 TSP
데이터의 재처리를 위해 T1T2 계산 루틴(calculation routine) 또는 동적 중심(dynamic centre)과 함께 Bruker TOPSPIN 4.02를 소프트웨어로 사용하였다.
T2-NMR
하기 조건 하에 5 mm Cryo Probe TCI가 장착된 500 MHz(1H)에서 작동하는 분광계로, 그리고 500 MHz(1H)에서 작동하는 분광계로, T2의 계산을 위한 1H-NMR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 펄스 시퀀스: T1IR
▷ 온도: 300 °K
▷ 스캔 횟수: 10
▷ 재순환 시간(D1): 30 sec
▷ 펄스 각도 (P1): 180°
▷ 용매: D2O
▷ 기기 기준: 0 ppm으로 보정된 TSP
데이터의 재처리를 위해 T1T2 계산 루틴 또는 동적 중심과 함께 Bruker TOPSPIN 4.02를 소프트웨어로 사용하였다.
1 H, T1, 및 T2 스펙트럼을 위한 샘플 제조:
4 mg(HAS) 및 2 mg(TSP 및 CMC)을 칭량하고 1 ml의 D2O 또는 1 ml의 시트레이트 완충액에 용해시킨 후에; 샘플을 동결건조시키고 다시 한번 1 ml의 D2O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4 mg/ml의 GA 저장 용액을 제조하고 D2O 및 완충액 양자(both) 모두에 희석하여, 2 mg/ml, 1 mg/ml, 및 0.5 mg/ml의 농도를 수득하였다. 조성물 샘플의 제조를 위해, 각각의 샘플로부터 1 ml를 취한 후에, 동결건조시키고 1 ml의 D2O에 용해시켰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샘플로부터 0.6 ml를 취한 후, 5 mm NMR 튜브에 이전하였다.
결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샘플 Mw(kDa) Mn(kDa) Mw/Mn [h](dl/g) Rh(nm)
HAS ~ 750 ~ 600 ~ 1.3 ~ 14 ~ 55
TSP ~ 700 ~ 500 ~ 1.5 ~ 6 ~ 40
CMC ~ 220 ~ 62 ~ 3.6 ~ 6 ~ 25
HAS + TSP ~ 730 ~ 500 ~ 1.5 ~ 12 ~ 50
HAS + CMC ~ 600 ~ 190 ~ 3,0 ~ 12 ~ 46
HAS + TSP + GA 0.05% ~ 700 ~ 490 ~ 1.5 ~ 12 ~ 50
HAS + TSP + GA 0.1% ~ 700 ~ 500 ~ 1.5 ~ 12 ~ 50
HAS + TSP + GA 0.2% ~ 750 ~ 500 ~ 1.5 ~ 12 ~ 50
HAS + CMC + GA 0.1% ~ 570 ~ 190 ~ 3,0 ~ 12 ~ 44
상기 나타낸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GA의 존재는, 실험에 사용된 농도에서, HAS + TSP 복합체 또는 HAS + CMC 복합체의 분자량 및 점도와 같은 화학적-물리적 특성을 변경하지 않는다.
동적 광산란 (DLS) 및 제타 전위
샘플 Z-평균(nm) Zp(mV)
HAS 51 -32
TSP 46 -5
HAS + TSP 50 -16
HAS + CMC
HAS + TSP + GA 0.05% 52 -18
HAS + TSP + GA 0.1% 43 -21
HAS + TSP + GA 0.2% 41 -22
상기 나타낸 데이터로부터, GA의 존재는 중합체 매트릭스의 입체구근(conformation)를 단지 HAS 및 TSP를 가진 조성물에 대해 유의적으로 변경하며: G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력학적 반경 및 표면 부하 양자 모두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핵자기 공명(NMR)
1 NMR 결과:
0 . 05% 초과의 농도에서, GA는 용액보다는 겔과 더 부합하는 스펙트럼을 가진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HAS(0.4%) 및 TSP(0.2%)의 존재 하에, GA의 NMR 프로파일이 변화하며, 이는 특히 물 중에, 그리고 바람직하게 0.05% 초과의 농도에서 2개의 폴리사카라이드가 그의 분산을 더 용이하게 만든다는 것을 시사한다.
NMR은 또한 제형의 특성화 및 정량화를 위한 양호한 분석적 접근법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제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1% 농도(a)로부터 0.2% 농도(b)로 변화시에 GA 신호의 퍼짐이 관찰될 수 있으며, 이는 HAS 및 TSP의 존재 하에 용액 중의 분자의 용해도 및 용해가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T1 및 T2 결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HAS(0.4%) 및 TSP(0.2%)의 존재 하에, 하기와 같이 관찰되었다:
1) 물 및 시트레이트 완충액 양자 모두에서, HAS 단독 또는 TSP 단독의 첨가에 의해 GA 신호의 평균 T2가 증가하였으며, HAS + TSP 혼합물에서는 더 큰 값이 얻어졌다. 이 증가는 HAS+TSP의 존재 하에 GA 분자의 더 큰 이동성 및 용액 중의 더 양호한 분산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2) 물 중에서(도 2), T1 값보다 더 큰 T2 값은 액체보다는 겔의 거동과 더 부합하는 속도를 나타낸다.
3) 물 중에서(도 2), 제형 HAS+TSP+GA 중의 GA 신호의 평균 T1 값은 변경되지 않은 상태의 GA보다 더 작다. 이 결과는 용액보다는 고체/겔의 운동 속도와 부합하는 거동을 확인한다.
4)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에서(도 3), GA 신호의 평균 T1 및 T2 값은 상이한 제형에서 변경되지 않은 상태의 GA에 필적한다.
5) 완충액 중의 T2의 값(도 3)은 물 중의 T2의 값(도 2)보다 더 크며, 이는 이온력(ionic force)의 변화시에 GA 분자의 더 양호한 분산을 나타낸다.
6) 완충액 중에서는(도 3), 물 중에서 확인된 차이(도 2)가 덜 유의적이다.
효소적 분해
이전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d-H2O 및 시트레이트 완충액 양자 모두 중의 조성물에 대해 효소적 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20 mg의 Hya를 칭량하고 실온에서 2 ml의 물에 용해시킨 후; 0.1 ml를 취하고 50 ml의 조성물 샘플에 첨가하였다(HAS/Hya 중량비가 10/0.1이 되게 함). 1 ml의 샘플을 15 분 및 30 분에 취한 후, 최초 6 h 동안 매 시간마다, 그리고 24 시간 후에 1회 취함으로써 분자량의 감소를 모니터링하면서, 38 ℃에서 24 시간의 기간 동안 분해를 실행하였다. 각각의 샘플링 후에, 샘플링한 용액을 100 ℃에서 교반 하에 5 분 동안 정치시켜 효소를 변성시킨 후, 여과하여 효소 침전을 제거하였다(필터: LLG-주사기 필터, CA 기공 크기 0.20 ㎛, Ø 13 mm).
시간 경과에 따른 분자량의 감소(백분율로서)의 계산:
Figure pct00006
결과:
HAS의 분해
시간(h) H 2 O 중의 HAS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
0.25 6% 72%
0.5 6% 87%
1 9% -
2 9% 96%
3 11% -
4 11% 97%
5 - 97%
6 - -
22 86% 99%
HAS+TPS의 분해
시간(h) H 2 O 중의 HAS+TSP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TSP
0.25 5% 1%
0.5 - 26%
1 8% 61%
2 6% 66%
3 9% 66%
4 8% 67%
5 11% 68%
6 17% 68%
22 69% 98%
HAS+TPS+GA 0.1%의 분해
시간(h) H 2 O 중의 HAS+TSP+GA 0.1%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TSP+GA 0.1%
0.25 4% 39%
0.5 4% 60%
1 4% 65%
2 4% 66%
3 3% 67%
4 - 68%
5 4% -
6 2% -
22 4% 98%
HAS+TPS+GA 0.2%의 분해
시간(h) H 2 O 중의 HAS+TSP+GA 0.2%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TSP+GA 0.2%
0.25 5% 7%
0.5 5% 25%
1 - 53%
2 5% 61%
3 5% 63%
4 5% 65%
5 - 66%
6 5% -
22 5% -
상기 나타낸 결과에 기초하여, 상이한 조성물에 대해 관찰된 백분율의 감소를 하기 비교한다:
- H2O 중에서:
시간(h) HAS HAS+TSP HAS+TSP+GA 0.1% HAS+TSP+GA 0.2%
0.25 6% 5% 4% 5%
0.5 6% - 4% 5%
1 9% 8% 4% -
2 9% 6% 4% 5%
3 11% 9% 3% 5%
4 11% 8% - 5%
5 - 11% - -
6 - 17% 4% 5%
7 - - 2% 5%
22 86% 69% 4% 4%
-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에서:
시간(h) HAS HAS+TSP HAS+TSP+GA 0.1% HAS+TSP+GA 0.2%
0.25 72% 1% 39% 7%
0.5 87% 26% 60% 25%
1 - 61% 65% 53%
2 96% 66% 66% 61%
3 - 66% 67% 63%
4 97% 67% 68% 65%
5 97% 68% - 66%
6 - 68% - -
7 - - - -
22 99% 98% 98% 97%
HAS+CMC의 분해
시간(h) H 2 O 중의 HAS+CMC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CMC
0.25 4% 32%
0.5 - 63%
1 4% 77%
2 4% 81%
3 7% 82%
4 6% 83%
5 - 84%
6 10% 83%
22 12% 98%
HAS+CMC+GA 0.1%의 분해
시간(h) H 2 O 중의 HAS+CMC+GA 0.1%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CMC+GA 0.1%
0.25 4% 5%
0.5 5% 42%
1 4% 73%
2 5% 80%
3 6% 82%
4 6% 83%
5 5% 83%
6 7% 83%
22 6% 98%
상기 나타낸 결과에 기초하여, 상이한 조성물에 대해 관찰된 백분율의 감소를 하기 비교한다:
- H2O 중에서:
시간(h) HAS HAS+CMC HAS+CMC+GA 0.1%
0.25 6% 4% 4%
0.5 6% - 5%
1 9% 4% 4%
2 9% 4% 5%
3 11% 7% 6%
4 11% 6% 6%
5 - - 5%
6 - 10% 7%
7 86% 12% 6%
22 6% 4% 4%
-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에서:
시간(h) HAS HAS+TSP HAS+CMC+GA 0.1%
0.25 72% 32% 5%
0.5 87% 63% 42%
1 - 77% 73%
2 96% 81% 80%
3 - 82% 82%
4 97% 83% 83%
5 97% 84% 83%
6 - 83% 83%
7 99% 98% 98%
22 72% 32% 5%
수정된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의 분해
시간(h)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 수정된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
0.25 72% 1%
0.5 87% 4%
1 - 16%
2 96% 32%
3 - 43%
4 97% 54%
5 97% 62%
6 - 69%
22 99% 97%
수정된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TPS의 분해
시간(h)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TSP 수정된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TSP
0.25 1% 1%
0.5 26% 2%
1 61% 5%
2 66% 9%
3 66% 15%
4 67% 21%
5 68% 27%
6 68% 32%
22 98% 57%
수정된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TPS+GA 0.1%의 분해
시간(h)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TSP+GA 0.1% 수정된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HAS+TSP+GA 0.1%
0.25 39% 1%
0.5 60% 2%
1 65% 5%
2 66% 9%
3 67% 15%
4 68% 21%
5 - 27%
6 - 32%
22 98% 57%
상기 나타낸 데이터로부터, 시트레이트 완충액의 농도에 대한 수정은 HAS의 탈중합에 유의적인 감속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HAS + TSP + GA 0.1% 제형에서, 22 h 후에, 분자량의 감소는 단지 57%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상이한 완충액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하기 완충액을 제조하고 사용하였다:
완충액 1: 2.8% 만니톨, 0.8% 나트륨 시트레이트, 0.01% 시트르산
완충액 2: 2.8% 만니톨, 0.2% 나트륨 시트레이트, 0.01% 시트르산
완충액 3: 2.8% 만니톨, 0.2% 나트륨 시트레이트, 0.0025% 시트르산
완충액 4: 2.8% 만니톨, 0.4% 나트륨 시트레이트, 0.005% 시트르산
완충액 5: 2.8% 만니톨, 0.266% 나트륨 시트레이트, 0.0033% 시트르산
완충액 pH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전도도(mS/cm) 물 중의 1:10 희석 후의 전도도(mS/cm)
1 6.996 5.99 0.91
2 6.641 2.04 0.24
3 7.09 2.12 0.25
4 7.09 4.17 0.47
5 7.06 2.79 0.32
이어서, HAS, TSP, GA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언급된 상이한 완충액과 그들을 제형화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이들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크기 Zp 전도도(mS/cm)
완충액 1 0.91
+ HAS 51 -32 1.02
+ HAS+ TSP 50 -16 1.13
+ HAS + TSP + GA 0.05% 52 -18 1.13
+ HAS + TSP + GA 0.1% 43 -21 1.36
+ HAS + TSP + GA 0.2% 41 -22 1.33
완충액 2 0.24
+ HAS ND -39 0.352
+ HAS+TSP 67 -21 0.357
+ HAS + TSP + GA 0.05% 66 -26 0.318
+ HAS + TSP + GA 0.1% 70 -23 0.418
+ HAS + TSP + GA 0.2% 68 -28 0.350
완충액 3 0.25
+ HAS + TSP + GA 0.1% 68 -30 0.318
+ HAS + TSP + GA 0.2% 56 -40 0.314
완충액 4 0.47
+ HAS + TSP + GA 0.1% 55 -20 0.594
+ HAS + TSP + GA 0.2% 45 -25 0.575
완충액 5 0.32
+ HAS + TSP + GA 0.1% 40 -23 0.336
+ HAS + TSP + GA 0.2% 48 -26 0.606
전도도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GA의 존재 하에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고, 일반적으로, 그것이 0.2%로 존재한 경우는 예외이며, 이 경우에는, 한편, 감소하는 것으로 보였다. 나트륨 아세테이트를 감소시키면 전도도가 감소하는 반면에 시트르산에 대해서는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상이한 완충액의 존재 하에, HAS+TSP+GA 0.2%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추가로 시험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분자량 경향을 평가하였다:
HAS+TSP+GA 0.2%
t(sec) +H 2 O +완충액 1 +완충액 2 +완충액 4 +완충액 5
% 감소
0.25 5 7 1 5 2
0.5 5 25 1 4
1 53 3 25 9
2 5 61 6 49 19
3 5 63 6 57 28
4 5 65 8 62 35
5 66 7 63 39
6 5 8 63 40
22 4 97 16 67 47
상기 언급된 데이터로부터, GA 및 TSP의 존재는 시트레이트 완충액 중의 최초 6 시간의 분해 중에 히알루로니다제에 의한 HAS의 탈중합을 감속시켰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22 시간 후에는 탈중합이 완료되었음이 관찰되었다.
한편, 물 중의 제형에서 GA 및 TSP의 조합된 효과는 히알루로니다제의 작용을 거의 완전히 차폐(shielded)했으며, 그 결과로서 HAS의 분자량의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pH 및 이온력 양자 모두, 및 완충액의 존재 또는 부재를 조정하여, 결과적으로 히알루로니다제가 HAS에 미치는 효과에 부가하여 GA의 생체이용률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글리시리진(glycyrrhiz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타마린드 종자 폴리사카라이드(tamarind seed polysaccharide), PVP,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잔탄 검(xanthan 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뮤코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 및 에스테르, 천연 검 및 그들의 에스테르, 펙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증점제(viscosizing agent)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리진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5.0 중량%, 바람직하게 0.05-3.0 중량%의 농도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5.0 중량%, 바람직하게 0.01-3.0 중량%의 농도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viscosity agent)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5.0 중량%, 바람직하게 0.01-3.0 중량%의 농도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타마린드 종자 폴리사카라이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그의 혼합물이며,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2.0 중량%의 농도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시리진 및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가 1:1 내지 1:20, 바람직하게 1:1 내지 1:10, 더욱 바람직하게 1:1 내지 1:5의 중량비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시리진 및 증점제가 5:1 내지 1:15, 바람직하게 3:1 내지 1:10, 더욱 바람직하게 2:1 내지 1:5의 중량비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 및 증점제가 1:2 내지 10:1, 바람직하게 1:1 내지 5: 1, 더욱 바람직하게 1:1 내지 3:1의 중량비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4-7, 바람직하게 5.5-6.5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액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완충액은 시트르산-시트르산나트륨, 아세트산-아세트산나트륨, 붕산-붕산나트륨, 시트르산-인산수소이나트륨('맥바인(McIlvaine) 완충액'으로도 공지됨), 시트르산-인산일칼륨-붕산-디에틸바르비투르산, TRIS-보레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액은 시트르산-시트르산나트륨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 질환(ocular affection)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안과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안과용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인공 누액(tear substitute), 세안제(collyrium), 현탁액, 눈 스프레이(eye spray), 포말(foam), 함침 와이프(impregnated wipe), 스프레이 패치(spray patch), 또는 그의 조합이고, 바람직하게 인공 누액인 안과용 제품.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과, 부인과, 이비인후과, 또는 치과 병리(pathology)의 국소 치료(topical treatment)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5. 외부 국소 용도를 위한 제품에서 진정제(soothing agent)로서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미용적 용도(cosmetic use).
KR1020217002837A 2018-07-18 2019-07-15 글리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미용적 용도 및 약제학적 용도 KR202100351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8000007291 2018-07-18
IT201800007291 2018-07-18
PCT/IB2019/056003 WO2020016732A1 (en) 2018-07-18 2019-07-15 Composition comprising glycyrrhin an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use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195A true KR20210035195A (ko) 2021-03-31

Family

ID=6396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837A KR20210035195A (ko) 2018-07-18 2019-07-15 글리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미용적 용도 및 약제학적 용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406658B2 (ko)
EP (1) EP3823581A1 (ko)
JP (1) JP2021530521A (ko)
KR (1) KR20210035195A (ko)
CN (1) CN112423723B (ko)
AU (1) AU2019305136A1 (ko)
BR (1) BR112021000670A2 (ko)
CA (1) CA3105012A1 (ko)
EA (1) EA202190014A1 (ko)
IL (1) IL280109B1 (ko)
MA (1) MA53171A (ko)
MX (1) MX2021000665A (ko)
PH (1) PH12021550090A1 (ko)
SG (1) SG11202100057TA (ko)
WO (1) WO2020016732A1 (ko)
ZA (1) ZA2021001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1255A1 (en) * 2021-05-14 2022-11-17 Ocumedic, Inc. Extended-wear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0877B2 (ja) * 1995-02-24 2002-11-05 丸善製薬株式会社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および化粧料
JP3230579B2 (ja) * 1999-06-01 2001-11-19 株式会社ファンケル 化粧料
JP5379186B2 (ja) * 2004-04-23 2013-12-2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防腐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水性組成物
CN101484177B (zh) * 2006-06-28 2011-12-28 日本乐敦制药株式会社 含有藻酸或其盐的眼科用组合物
ITRM20070510A1 (it) * 2007-10-02 2009-04-03 Rmfa Trading S A Composizioni oftalmiche a base di polisaccaride del seme di tamarindo e acido ialuronico.
JP4726151B2 (ja) 2008-10-15 2011-07-20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外用剤組成物
JP4781464B2 (ja) * 2009-12-21 2011-09-28 株式会社 資生堂 シート状化粧料
JP2012176903A (ja) * 2011-02-25 2012-09-13 Kracie Home Products Ltd 皮膚外用剤組成物
CN102784095A (zh) * 2011-05-17 2012-11-21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甘草次酸水凝胶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3067580A (ja) 2011-09-22 2013-04-18 Kracie Home Products Ltd しわ改善用化粧料
WO2013190548A2 (en) * 2012-06-17 2013-12-27 Kamedis Ltd Top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JP2015010070A (ja) 2013-06-28 2015-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メラニン分解促進剤およびメラノソームタンパク質分解促進剤
JP2015010071A (ja) 2013-06-28 2015-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美白剤、メラニン分解促進剤およびメラノソームタンパク質分解促進剤
JP6404095B2 (ja) 2014-11-19 2018-10-1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液状化粧料
JP7120018B2 (ja) 2016-10-07 2022-08-17 ライオン株式会社 眼科用製品及び粘度低下抑制方法
CN106560218B (zh) 2016-10-09 2019-10-01 华北理工大学 一种医用修复皮肤高分子生物复合材料
JP7455317B2 (ja) * 2017-06-30 2024-03-26 小林製薬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53171A (fr) 2021-05-26
PH12021550090A1 (en) 2021-09-20
MX2021000665A (es) 2021-03-25
JP2021530521A (ja) 2021-11-11
IL280109A (en) 2021-03-01
CA3105012A1 (en) 2020-01-23
BR112021000670A2 (pt) 2021-04-13
CN112423723A (zh) 2021-02-26
CN112423723B (zh) 2024-03-08
ZA202100166B (en) 2021-09-29
SG11202100057TA (en) 2021-02-25
AU2019305136A1 (en) 2021-01-28
EP3823581A1 (en) 2021-05-26
IL280109B1 (en) 2024-04-01
US11406658B2 (en) 2022-08-09
US20210121497A1 (en) 2021-04-29
EA202190014A1 (ru) 2021-06-29
WO2020016732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434304T2 (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zur intranasalen Verabreichung von Dihydroergotamin
JP4999304B2 (ja) ヒアルロン酸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粘膜適用組成物
KR101669528B1 (ko) 헤파란 술페이트의 정제 방법 및 미용학적 및 피부학적 제제에서 그의 용도
DE10161149B4 (de) Verwendung von Heparin-haltigem Ophthalmikum
KR20100092494A (ko) 산성 다당체의 부티르산-포름산 에스테르 혼합물, 및 그의 제조 및 피부 화장료로서의 용도
JP2011231128A (ja) 角層細胞分化正常化用皮膚外用剤
KR101248503B1 (ko) 녹차 잎의 열수추출물 및 녹차 잎의 에탄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5195A (ko) 글리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미용적 용도 및 약제학적 용도
KR101227758B1 (ko) 폭쇄처리된 굴참나무 목재칩을 용매로 추출한 굴참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9550A (ko) 소피로늄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는 의약
AU2009256524B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ic acid
EP3740191B1 (en) Ophthalmic compositions comprising bilastine, a beta-cyclodextrin and at least one gelling agent
JP4993890B2 (ja) 皮膚外用剤
de Castro et al. Tamarind seed polysaccharide (TSP) uses in ophthalmic drug delivery
Rasool et al. In vitro release study of nystatin from chitosan buccal gel
CN111050777B (zh) 提供改善的眼睛舒适度的组合物
EP3804731A1 (en) Composition for skin wounds
EP3863725B1 (en) Nail compositions having antifungal properties
EP4326229A1 (en) A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cular affections, such as dry eye disease, especially after eye surgery
CN116209427A (zh) 递送亲脂性活性成分的制剂
KR20200063856A (ko) 붉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분비 억제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