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526A -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 Google Patents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526A
KR20210034526A KR1020200120433A KR20200120433A KR20210034526A KR 20210034526 A KR20210034526 A KR 20210034526A KR 1020200120433 A KR1020200120433 A KR 1020200120433A KR 20200120433 A KR20200120433 A KR 20200120433A KR 20210034526 A KR20210034526 A KR 2021003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rifices
interface
drainage
drain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뤼노 두뽕뜨
테회 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1003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with 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를 위한, 특히 전기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의 전기 커넥터를 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며, 이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의 핀들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16, 18, 20) 및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22, 24, 26, 28, 30, 32)을 포함하며, 오리피스들(16, 18, 20, 22, 24, 26, 28, 30, 32)은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12)로부터 하우징의 제2 인터페이스(14)를 향해 연결 방향(E)으로 하우징을 통과하는 홀들이고,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12)는 연결 방향(E)으로 정합(mating)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커플링되도록 설계된다. 하우징은, 하우징이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16, 18, 20)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는데 적합한 제1 배수 수단을 포함하며 그리고 하우징이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는데 적합한 제2 배수 수단을 포함하여, 제1 배수 수단 및 제2 배수 수단이 서로 격리되어,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16, 18, 20)로부터 들어오는 유체와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22, 24, 26, 28, 30, 32)로부터 들어오는 유체 사이에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HOUSING FOR A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이러한 유형의 충전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을 사용하여 충전을 위한 이러한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전기 차량들의 추진은 하나 이상의 전동기들(electric motors)에 의해 독점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전동기는 그의 에너지를 전기 저장 수단, 예컨대 재충전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로부터 뽑아낸다.
이러한 유형의 전기 차량의 예는 도 1에서 예시된다. 도 1의 차량(1)은 전기 인렛(electric inlet)(3)을 포함하며, 전기 인렛을 통해, 차량(1)의 배터리들(batteries)(도 1에서 보이지 않음)은 충전 케이블(5)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충전 케이블(charging cable)(5)은, 핸들(11) 및 연결 방향(E)으로 전기 인렛(3)에 연결되기 위한 부분(13)이 제공되는 충전 노즐(9)을 일 단부(7)에 포함한다. 일 단부(7)에 반대편에 있는, 충전 케이블(5)의 다른 단부(15)는 충전소(charging station)(17)에 연결된다.
충전 커넥터들에 대해 존재하는 많은 표준들은, 차량이 판매되고 있는 지리학적 영역의 기능이다. 예로써, 직류(direct current, DC)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전기 차량을 충전할 수 있기 위해 조합된 충전 시스템(combined charging system) 또는 CCS 유형의 충전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충전 커넥터는 직류(DC)를 위한 핀들 및 단상(single phase) 또는 3상(three phase)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를 위한 핀들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DC) 공급 장치는, 배터리들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충전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그리고 이에 따라 유리하게는, 적어도 150kW의 그의 전력 출력 및 400V 초과의 전압 때문에 신속하게 충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오는 상태들에서 전기 차량 충전을 수용하기 위해, 이러한 유형의 공지된 충전 커넥터들에는, 충전 커넥터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해 핀들이 수납된 공동들의 높이에 있는 배수 홀들(drainage holes)로서 작용하는 배수구들(drains)이 제공된다. 그러나, 폭우의 경우에, 배수구들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전기를 위한 전도 경로를 생성할 수 있고 그리고 이에 따라 고전압 직류 또는 교류 단자들로부터 누설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충전 커넥터들의 현재 공지된 설계로, 습기를 위한 가장 짧은 경로가 누설 전류를 충전 노즐을 향해 지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충전 노즐의 핸들을 조종할 때, 폐회로(closed circuit)가 생성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사용자에 대한 위험은, 전압이 400V 초과인 고전압 직류 단자들에서 전기 전력과 함께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 차량을 충전할 때, 특히, 폭우가 존재하는 상태들에서, 특히 고전압 직류 핀들을 포함하는 충전 커넥터에 대한 전기 안전성을 개선시키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커넥터를 위한, 특히 전기 차량의 충전 디바이스의 전기 커넥터를 위한 하우징에 의해 달성되며, 이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의 제1 핀들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orifices), 및 전기 커넥터의 제2 핀들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을 포함하며, 제2 핀들은, 이들의 단자들에서 제1 핀들의 단자들에서의 전압보다 더 큰, 전압을 가지고, 오리피스들은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로부터 하우징의 제2 인터페이스를 향해 연결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과하는 홀들(holes)이며,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는 정합(mating)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연결 방향으로 커플링되도록 설계되고, 하우징은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는데 적합한 제1 배수 수단(draining means)을 포함하며, 그리고 하우징은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는데 적합한 제2 배수 수단을 포함하여, 제1 배수 수단 및 제2 배수 수단은 서로 격리되고,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와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 사이에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유체가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또는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이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의 핀들의 전력 출력보다 더 낮은 전력 출력을 가지는 커넥터의 핀들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배수 수단 및 제2 배수 수단은 상이한 전위들(potentials)을 가지는 유체들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유리하게는 유체 관점에서, 예를 들어 고전압 직류 커넥터의 단자들과 접촉할 수 있는 유체를 격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를 위한 하우징에 관한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추가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수 수단 및 제2 배수 수단은 배출 덕트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가능하게는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은 또한, 서로에 대해 상이한 방향들로 유체들 각각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설계되며, 이는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와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 사이의 유체 연통이 더욱더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제1 인터페이스를 향해 또는 상기 하우징의 저부를 향해 중력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정합 커넥터, 예를 들어 전기 차량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노즐의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측면으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유체를 차량으로부터 멀리 배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하우징의 제2 인터페이스를 향해, 특히 하우징의 제2 인터페이스를 넘어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제2 인터페이스로부터 연결 방향에 평행하고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에 반대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유체를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차량으로부터, 즉, 차량을 충전할 때 사용자가 위치되는 측면으로부터 멀리 유체를 배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고전압(특히 400V 초과) 단자들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가 차량으로부터 멀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들의 차량을 충전할 때 폐회로가 상기 유체의 유동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위험은 최소화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에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덕트들은, 2개의 세트들의 오리피스들 각각으로부터 유래하는 유체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배출 덕트들을 따라 차량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별도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배출 덕트들을 위한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종래 기술의 공지된 하우징에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의 구현은 간소화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배수 수단은 하우징의 제2 인터페이스로부터 연장하는 벽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배수 공동(draining cavity)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공동은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과 유체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 공동은 배수 공동에 대한 치수들을 갖는 밀봉 플러그(sealing plug)에 의해 폐쇄될 수 있어,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가 배수 공동과 밀봉 플러그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플러그는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의 유동 경로를 따라 시일(seal)을 배수 공동에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배수 공동으로부터 들어오는 유체가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를 향해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밀봉 플러그에 제공되는 홀(hole)과 정렬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고 그리고 배수 공동에 수집되는 유체는 배수 공동으로부터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 공동은 실질적으로 “Y”의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Y 형상은 특히, Y 형상의 윤곽에 의해 규정되는 3개의 영역들의 각각의 측면 상에 오리피스들을 배치시킴으로써,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 중 오리피스들, 특히 고전압 공급 단자들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오리피스들이 서로 격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연결 방향으로 서로 인터로킹될(interlocked) 수 있거나 스냅 결합될(snap fitted) 수 있는 2개의 서브-하우징들(sub-housings), 즉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1 서브-하우징 및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를 포함하는 제2 서브-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그리고 조립을 위한 또는 장착을 위한 나사들 또는 너트들과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들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 발명 및 그의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보조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전기 차량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하우징, 시일, 및 밀봉 플러그의 제2 인터페이스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하우징 및 밀봉 플러그의 제2 인터페이스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4b는 하우징 및 시일의 제2 인터페이스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과 충전 노즐 사이의 연결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제, 예로써 그리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유리한 실시예들의 보조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단순히 가능한 구성들이며,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개별적인 특징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본 발명을 실행할 때 완전히 생략될 수 있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도 2a 및 도 2b는 전기 커넥터를 위한, 특히 전기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의 전기 커넥터를 위한 하우징(10)을 나타낸다. 하우징(10)은 전기 절연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도 2a의 화살표(D)에 의해 표시되는 연결 방향으로 정합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커플링되도록 설계되는 제1 인터페이스(12)를 포함한다. 제1 인터페이스(12)는 특히, 도 1에서 도시되고 그리고 도면 부호 9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 차량용 충전 노즐의 정합 전기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제1 인터페이스(12)의 반대편에 있고 그리고 이에 평행한 제2 인터페이스(14)를 포함하며, 제2 인터페이스는 도 2a 및 도 2b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도 3에 도시된다.
하우징(10)은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16, 18, 20)(아래에서 약어 “16 내지 20”에 의해 표시되는 부호들) 및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22, 24, 26, 28, 30, 32)(아래에서 약어 “22 내지 32”에 의해 표시되는 부호들)을 포함한다. 오리피스들(16 내지 32)은 관통 홀들이며, 관통 홀들은 하우징을 통해 한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통과해서, 관통 홀들이 한편으로는 제1 인터페이스(12)의 높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2 인터페이스(14)의 높이에서 개방된다.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16, 18, 20) 및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22, 24, 26, 28, 30, 32)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해 배수구들(drains)(16a, 18a, 20a, 22a, 24a, 26a, 28a, 30a, 32a)이 제공된다. 배수구들은, 중력 방향으로 하우징(10)의 최상부를 향해 배향되는 공동들에 고일(stagnate) 수 있는 유체를 수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한 세트의 홀들, 공동들, 또는 튜브들이다.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16, 18, 20)은 저전압 핀들(pins)(즉, 전기 접점들)(예를 들어 12V)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반면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 중 오리피스들(22 내지 32)은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보다 더 높은 전압에서 핀들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 중 오리피스들(30, 32)은, 특히 400V 초과의 전압을 갖는 특히 고전압 직류 전력 공급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콤보 유형의 커넥터를 위해 구성된다.
하우징(10)의 제1 인터페이스(12)는, 벽(34)과 오리피스들의 세트들(E1, E2) 사이에 배수 챔버(36)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인터페이스(12)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벽(34)을 포함한다.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16, 18, 20)로부터의 배수구들은 단지, 상기 오리피스들로부터 배수 챔버(36)를 향해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이러한 유체는 중력 방향(G)으로 하우징(10)의 최저부 지점에 위치되는 배출 덕트(38)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수 챔버(36)는 충전 노즐의 카운터파트(counterpart)에 대응한다.
하우징(10)은,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물과 같은 유체를 하우징(10)의 제1 인터페이스(12)의 배수 챔버(36)를 향해 배출하는데 적합한 제1 배수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위한 유동 경로는 도 2b에서 윤곽(T1)에 의해 나타낸다. 배수 챔버(36)는, 제1 인터페이스(12)의 반대편에 있고 그리고 이에 평행한 하우징(10)의 제2 인터페이스(14) 상에 배치되는 시일에 의해 구성되며, 시일은 도 2a 및 도 2b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도 3에 나타나 있고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배수 수단은, 시일, 특히 고무로 제조된 시일에 의해 구성되는 배수 챔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10)은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으로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는데 적합한 제2 배수 수단을 포함한다.
제2 배수 수단은 특히 도 3,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전술된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 및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이 제공되는 하우징(10)의 제2 인터페이스(14)를 예시한다. 위에서 언급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을 지니는 참조 요소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며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우징(10)의 제2 인터페이스(14)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수직하게 연장하고 그리고 배수 공동(42)의 범위를 정하는 벽(40)을 포함한다. 도 3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배수 공동(42)은 실질적으로 Y의 형상이다. 발명의 변형예에서, 배수 공동은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전압 직류 단자들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오리피스들(30 및 32)은 배수 공동(42)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배수 공동(42)은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 중 오리피스들(22 내지 32)과 유체 연통한다. 따라서, 오리피스들(22 내지 32)로부터 들어오는, 특히 오리피스들(22 내지 32)의 배수구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는 배수 공동(42)에서 회수될 수 있다. 제1 세트(E2)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위한 유동 경로는 도 3에서 윤곽(T2)에 의해 도시된다.
변형예에서, 배수 공동(42)은, 오리피스들(30, 32)의 고전압 직류 핀들과 접촉하는 유체가 오리피스들(22, 24, 26, 28)의 고전압 교류 핀들과 접촉하는 유체로부터 유체적으로 격리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서로 독립적인 적어도 2개의 공동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배수 공동은 오리피스들(30, 32)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회수하기 위한 제1 공동 및 오리피스들(22, 24, 26, 28)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회수하기 위한, 제1 공동으로부터 격리된 제2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제1 공동은 오리피스(30)의 고전압 직류 핀과 접촉하는 유체를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공동은 오리피스(32)의 고전압 직류 핀과 접촉하는 유체를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제3 공동은 오리피스들(22, 24, 26, 28)의 고전압 교류 핀들과 접촉하는 유체를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공동, 제2 공동 및 제3 공동은, 유체적으로 서로 격리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배출 공동(42)은,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로 제조된 밀봉 플러그(100)에 의해 폐쇄된다. 도 4a는, 밀봉 플러그(100)가 배수 공동(42)에 배치되는 도면을 예시한다. 밀봉 플러그(100)의 치수들은,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 중 오리피스들(22 내지 32)의 배수구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가 중력 방향(G)으로 제2 인터페이스(14)를 따라 배수 공동(42)에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유체가 배수 공동(42)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밀봉 플러그(100)에는 중력 방향(G)으로 밀봉 플러그(100)의 최저부 지점에 배출 홀(102)이 제공된다.
도 3은 또한, 배수 챔버(36)(인터페이스(12)의 높이에 있음, 도 2b에서 보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시일(50)을 예시한다. 그의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 상에서, 시일(50)은, 도시되는 예에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그리고 하우징(10)의 인터페이스(14)의 높이에서 공동(44)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돌기(protuberance)(52)를 포함한다. 게다가, 시일(50)은, 하우징(10)의 오리피스들(16, 28, 20, 22, 24, 26, 28)의 기능인 치수들 및 배치들을 갖는 복수의 홀들(54a 내지 54g)을 포함한다. 홀들(54a 내지 54g)은 각각, 돌기(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시일(50)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벽(56a 내지 56g)을 포함한다.
도 4b는, 시일(50)이 하우징(10)의 인터페이스(14)의 높이에 배치되는, 즉, 시일(50)이 하우징(10)과 조립되는 상태의 도면을 예시한다. 도 4b에 예시되는 이러한 조립된 상태에서, 시일(50)의 돌기(52)는 하우징(10)의 인터페이스(14)의 대응하는 공동(44)에 삽입되었다. 따라서, 시일(50)은,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16, 18, 20)의 배수구들(도 2b의 부호들 16a, 18a, 20a을 참고)을 하우징(10)의 인터페이스(12)의 높이에 위치되는 배수 챔버(36)에 밀봉된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리고 도 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2개의 서브-하우징들(10a, 10b)을 포함한다. 제1 서브-하우징(10a)은 도 2a 및 도 2b에서 예시되는 하우징에 대응하고 그리고 배출 덕트(38)뿐만 아니라 오리피스들(E1 및 E2)의 세트들을 포함한다. 제2 서브-하우징(10b)은 제1 서브-하우징(10a)의 제2 인터페이스(14) 상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서브-하우징들(10a, 10b)은 인터로킹(interlocking)에 의해 또는 스냅 결합(snap fitting)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제2 서브-하우징(10b)은 배출 덕트(evacuation duct)(202)를 포함한다. 도 3에 예시되는 배출 덕트(202)는 형상이 튜브형이다. 변형예에서, 배출 덕트는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출 덕트(202)는, 하우징(10)이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배출 덕트(202)의 중공형 부분(hollow portion)(204)이 밀봉 플러그(100)의 배출 홀(102)과 연통하게 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유체는 중공형 부분(204)을 통해 배수 공동(42)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배출 덕트(38)는 오리피스들(E1)의 제1 세트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반면, 제2 배출 덕트(202)는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하우징(200)의 제2 부분의 제2 배출 덕트(202)는 배출 덕트(38)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2 배출 덕트(202)는, 제1 인터페이스(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D1)으로 제2 인터페이스(14)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 ─ 잠재적으로 고전압 직류 단자들과 접촉함 ─ 로부터 들어오는 유체와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 사이의 유체 연통이 방지된다.
또한, 도 5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제2 배출 덕트(202)에는 제2 배출 덕트(202)의 길이(L1)를 추가적으로 증가시키는 연장부(206)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206)의 길이만큼 선택적으로 증가되는 제2 배출 덕트(202)의 길이(L1)는,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22 내지 32)과 충전 노즐(300) 사이에 인터페이스(12)의 측면 상에 생성될 수 있는 수분 경로(moisture pathway)의 길이보다 더 길다.
이러한 배치는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보다 더 긴,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가 이동되는 경로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는, 누설 전류가 고전압 직류 오리피스들(E1)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로 생성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누설 전류는 잠재적으로, 인터페이스(12) 상에 있을 것인 가장 짧은 수분 경로에 걸쳐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전압 직류 및 교류 오리피스들(E2)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보다 낮은 전압을 갖는 단자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로부터 그리고 인터페이스(10)로부터 분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충전 노즐(300)을 인터페이스(10)에 연결시킬 수 있다(도 5를 참조). 도 5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도 5에서 부분적으로 예시되는 차체(bodywork)(402)가 제공되는 차량(400)에 대해 배치된다. 차체(402)는 차량(400)의 외부 공간(406)으로부터 내부 공간(404)을 묘사한다.
유리하게는, 제2 배출 덕트(202, 206)는 차량(400)의 내부 공간(404)에 배치되어, 따라서 인터페이스(12)로부터 그리고 충전 노즐(300)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차량(400)의 내부 구역으로의 방향(D1)으로 유체를 배수하는 것을 허용한다(도 5에서 보이지 않음). 그 후, 유체는 차량으로부터 멀어지게, 지면을 향해 배출된다. 따라서, 보다 높은 전압에 있는 유체는 누설 전류가 사용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충전 노즐(300)의 핸들에 도달하기 위해 취해질 수 있는 경로들 중 가장 긴 경로들에 대응하는 경로를 따라 제거되고 그리고 배출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오리피스들(16-18-20-22-24-26-28-30-32)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는, 유체가 제1 세트(E1)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또는 제2 세트(E2)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차량(400)의 차체(402)의 요소의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 판매되고 있는 지리학적 영역에 특정한 충전 소켓을 위해 채택되는 표준들 중 임의의 표준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간단히 가능한 구성들이며, 그리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개별적인 특성들이 함께 조합될 수 있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1: 차량
3: 전기 인렛
5: 충전 케이블
7: 단부
9: 충전 노즐
11: 핸들
13: 연결 부분
15: 단부
17: 충전 단자들
10: 하우징
10a, 10b: 서브-하우징
12: 제1 인터페이스
14: 제2 인터페이스
16, 18, 20, E1: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
22, 24, 26, 28, 30, 32, E2: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
34: 벽
36: 배수 챔버
38: 배출 덕트
40: 벽
42: 배수 공동
44: 공동
50: 시일
52: 돌기
54a 내지 54g: 홀
56a 내지 56g: 벽
100: 밀봉 플러그
102: 홀
202: 배출 덕트
204: 중공형 부분
206: 배출 덕트의 연장부
300: 충전 노즐
400: 차량
402: 차체
404: 차량의 내부 공간
406: 차량의 외부 공간
D: 연결 방향
D1: 배수 방향
G: 중력 방향
L1: 배출 덕트의 길이
T1; T2: 유동 경로

Claims (11)

  1.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를 위한, 특히 전기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charging device)의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를 위한, 하우징(housing)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의 제1 핀들(pins)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제1 세트(set)의 오리피스들(orifices)(16, 18, 20), 및
    전기 커넥터의 제2 핀들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22, 24, 26, 28, 30, 3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핀들은, 이들의 단자들에서 상기 제1 핀들의 단자들에서의 전압보다 더 큰, 전압을 가지고,
    상기 오리피스들(16, 18, 20, 22, 24, 26, 28, 30, 32)은 상기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12)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제2 인터페이스(14)를 향해 연결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홀들(holes)이며,
    상기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12)는 정합(mating)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연결 방향으로 커플링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16, 18, 20)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는데 적합한 제1 배수 수단(draining means)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22, 24, 26, 28, 30, 32)로부터 들어오는 유체를 배출하는데 적합한 제2 배수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배수 수단 및 상기 제2 배수 수단이 서로 격리되고, 상기 제1 세트의 오리피스들(16, 18, 20)로부터 들어오는 유체와 상기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22, 24, 26, 28, 30, 32)로부터 들어오는 유체 사이에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 수단 및 상기 제2 배수 수단은 배출 덕트(38, 202)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38)는 상기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202)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우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38)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12)를 향해 또는 상기 하우징의 저부를 향해 중력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하우징.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202)는 상기 하우징의 제2 인터페이스(14)를 향해, 특히 상기 하우징의 제2 인터페이스(14)를 넘어 연장하는,
    하우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202)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14)로부터 연결 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12)에 반대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우징.
  6.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38)는 상기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202)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하우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수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제2 인터페이스(14)로부터 연장하는 벽(40)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배수 공동(draining cavity)(42)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공동(42)은 상기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과 유체 접촉하는,
    하우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공동(42)은 상기 배수 공동(42)에 대한 치수들을 갖는 밀봉 플러그(sealing plug)(100)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제2 세트의 오리피스들로부터 들어오는 유체가 상기 배수 공동(42)과 상기 밀봉 플러그(10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하우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는, 상기 배수 공동(42)으로부터 들어오는 유체가 상기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202, 204)를 향해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밀봉 플러그(100)에 제공되는 홀(102)과 정렬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하우징.
  10. 제7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공동(42)은 실질적으로 “Y”의 형상인,
    하우징.
  11. 제3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방향으로 서로 인터로킹될(interlocked) 수 있거나 스냅 결합될(snap fitted) 수 있는 2개의 서브-하우징들(sub-housings)(10a, 10b), 즉 상기 하우징의 제1 인터페이스(12)를 포함하는 제1 서브-하우징(10a) 및 상기 제2 배수 수단의 배출 덕트(202, 204)를 포함하는 제2 서브-하우징(10b)을 포함하는,
    하우징.
KR1020200120433A 2019-09-20 2020-09-18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KR202100345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10377A FR3101203B1 (fr) 2019-09-20 2019-09-20 Boîtier pour un dispositif de chargement d’un véhicule
FR1910377 2019-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526A true KR20210034526A (ko) 2021-03-30

Family

ID=6910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433A KR20210034526A (ko) 2019-09-20 2020-09-18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25488B2 (ko)
EP (1) EP3796478B1 (ko)
JP (1) JP2021052577A (ko)
KR (1) KR20210034526A (ko)
CN (1) CN112542726A (ko)
FR (1) FR3101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47690A1 (ko) * 2023-01-05 2024-07-11 주식회사 유라 차량용 전원공급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754308U (zh) * 2021-05-21 2021-11-16 万帮数字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用可更换端子组件的充电座
KR102590201B1 (ko) * 2021-05-24 2023-10-17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 충전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2370B2 (ja) * 2010-02-23 2013-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レット組立体
US20130175989A1 (en) * 2010-03-08 2013-07-11 Aerovironment,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nclosure and mounting apparatus
US20130175083A1 (en) * 2010-03-08 2013-07-11 Aerovironment, Inc. Double wall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nclosure
GB201116284D0 (en) 2011-09-21 2011-11-02 Delphi Tech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drainage system
DE102012019605A1 (de) 2012-10-05 2014-04-10 Audi Ag Modulsystem für eine Ladevorrichtung, Ladevorrichtung sowie Fahrzeug mit einer aus dem Modulsystem erstellten Ladevorrichtung
DE102013213336B4 (de) * 2013-07-08 2024-02-0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ladedose und steckverbindersystem für ein elektro- oder hybridfahrzeug
DE102013110547B4 (de) 2013-09-24 2020-02-06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teil mit einer Entwässerung
JP2015225771A (ja) * 2014-05-28 2015-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複合型充電用インレット
DE102015113519A1 (de) * 2015-08-17 2017-02-23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teil mit einer Entwässerung
US10374211B2 (en) * 2016-09-12 2019-08-06 Cps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modules having terminal block assemblies with drainage chann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47690A1 (ko) * 2023-01-05 2024-07-11 주식회사 유라 차량용 전원공급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52577A (ja) 2021-04-01
EP3796478B1 (en) 2023-08-23
US20210086632A1 (en) 2021-03-25
FR3101203A1 (fr) 2021-03-26
EP3796478A1 (en) 2021-03-24
FR3101203B1 (fr) 2023-04-07
CN112542726A (zh) 2021-03-23
US11325488B2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4526A (ko) 차량용 충전 디바이스를 위한 하우징
US9673564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part with a drain and an intermediate chamber
US10044133B2 (en) Electrical plug type connector and plug type connector system for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US10321594B2 (en) Electric protective cover and receptacle
US10290969B2 (en) Sealing element, seal assembly and receptacle
US10522952B2 (en) Receptacle housing assembly with heat conducting element
US9601864B2 (en) Charging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CN111180930B (zh) 车辆连接器
EP2390959A1 (en) Vehicle-side connector
US10263356B2 (en) Secondary lock and receptacle
US20180331453A1 (en) Receptacle housing and receptacle
US20180331463A1 (en) Receptacle housing and receptacle
CN107004513A (zh) 蓄电模块
KR102662704B1 (ko) 배터리 시스템용 수동 서비스 분리 장치
KR20170003870U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디스커넥티드 유닛
US20220285956A1 (en) Power Tool Battery Charger
CN210326250U (zh) 电动摩托车电池放电插头连接结构
KR101591373B1 (ko) 단자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가로등 접속함
CN208173676U (zh) 一种电池盒的防水安装结构
KR102232824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200143939A (ko) 배터리 팩
CN217435944U (zh) 电动摩托车
CN209249796U (zh) 一种充电孔结构
CN219717292U (zh) 端子组件和充电设备
CN212277528U (zh) 插头及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