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026A - 에어로졸 생성 물품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026A
KR20210034026A KR1020217004465A KR20217004465A KR20210034026A KR 20210034026 A KR20210034026 A KR 20210034026A KR 1020217004465 A KR1020217004465 A KR 1020217004465A KR 20217004465 A KR20217004465 A KR 20217004465A KR 20210034026 A KR20210034026 A KR 20210034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up
generating article
heating elemen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로버트 존 로건
마크 길
타케시 아키야마
케이스케 마츠자카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1003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1Making cigarettes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3/00Tobacco for pipes, for cigars, e.g. cigar inserts, or for cigarettes; Chewing tobacco; Snuf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A24B15/14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made of tobacco and a binding agent not derived from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4Forming reconstituted tobacco products, e.g. wrapper materials, sheets, imitation leaves, rods, cakes; Forms of such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65B61/207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for inserting partitions between packag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07Feed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물품(1)은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 및 적어도 하나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컵(10)을 포함한다. 컵(10)은 개방 단부(16) 및 하단벽(12)을 포함한다. 컵(10)은 자가-지지형의 성형된 형태를 갖고 개방 단부(16)에서의 플랜지(20) 및 플랜지(20)에 부착된 클로저(18)를 포함한다. 클로저(18) 및/또는 하단벽(12)은 다공성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물품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aerosol generating article),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연소시키는 대신에 가열하는 디바이스가 소비자에게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열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상이한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방식은 유도 가열 시스템을 채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사용자에 의해 착탈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유도 코일이 디바이스에 제공되고, 유도 가열식 발열체(inductively heatable susceptor)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제공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키는 경우, 전기 에너지가 유도 코일에 공급되어, 결과적으로 교류 전자기장을 생성한다. 발열체는 전자기장과 결합되고, 예를 들어, 전도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 전달되는 열을 생성하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증기 또는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특성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구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인자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물품의 사용 동안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제공되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plant-based aerosol generating material) 및 적어도 하나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inductively heatable susceptor element)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컵으로서, 개방 단부 및 하단벽을 포함하는, 상기 컵을 포함하되,
상기 컵은 자가-지지형의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부착된 클로저(closure)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저 및/또는 상기 하단벽은 다공성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연소시키는 일 없이,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과 함께 사용되어,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켜서 냉각되고 응결되는 증기를 생성하여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용어에서, 증기는 증기의 임계 온도 미만인 온도에서 기상의 물질이고, 이는 증기가 온도를 감소시키는 일 없이 증기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액체로 응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면에 에어로졸은 공기 또는 또 다른 기체 내, 미세한 고체 입자 또는 액체 액적의 부유물이다. 그러나, 용어 '에어로졸'과 '증기'가 이 명세서에서, 특히,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해 생성되는 흡입성 매체의 형태에 관하여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의 사용은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편리한, 효과적인 그리고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배치되고 교류 전자기장에 노출될 때, 열이 전자기로부터 열로의 에너지 변환을 발생시키는 자기 이력 손실 및 와상 전류에 기인하여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에서 생성된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에서 생성된 열이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 전달되고 그 결과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어 냉각되고 응결되는 증기를 생성하여 원하는 특성을 가진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컵이 실질적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벽이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클로저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 발생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원통형 형태는 다수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패키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있거나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이에 대응하여 성형된 가열칸으로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플랜지는 측벽으로부터 멀리 외향으로, 예를 들어, 방사상 외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가 컵의 개방 단부에 걸쳐 연장되지 않아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용 동안 컵을 통한 유체(예를 들어, 공기 및/또는 증기 및/또는 에어로졸)의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측벽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실시형태에서, 플랜지는 실질적으로 원형 립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벽이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단벽이 천공될 수 있다. 개구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고 0.5 ㎜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5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단벽은 1.2 ㎜ 내지 2.5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는 제1 개구 및 중심 개구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내에 배치될 때 온도 센서의 삽입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개구가 중심 개구일 수 있고 제2 개구가 주변 개구일 수 있다. 제1 개구가 또한 생략될 수 있다. 하단벽이 5 내지 10개의 상기 제2 또는 주변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또는 주변 개구가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고 0.5 ㎜ 내지 1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는 일반적으로 제1 개구보다 더 작다.
공기 및/또는 향료 흐름 통로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개구, 즉, 제2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입자 크기(D90)보다 더 작게 크기 설정된다. 그 결과, 컵의 하단벽을 통한 물질의 상당한 손실이 관찰되지 않는다. 용적의 입자 크기(D90)는 Malvern Mastersizer 3000을 사용하는 레이저 굴절측정법 및 샘플의 건조 분산에 의해 결정된다.
하단벽은 공기가 하단벽을 통해 흐르게 하도록 다공성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벽은 공기-저항성인 물질, 예를 들어, 비-다공성 벽 구조를 갖지만, 공기가 제어된 크기의 개구를 통해 흐르게 하도록 천공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벽은 하나 이상의 상기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벽 및 하단벽을 포함하는 컵 본체는 공기-저항성인 물질을 포함한다. 플랜지가 또한 이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는 공기가 하단벽을 통해 흐르게 하는 데 필요하다. 공기-투과성 하단벽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통한 공기 흐름을 촉진하여 에어로졸 생성 및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를 통한, 사용자로의 전달을 최적화한다.
클로저는 다공성이고/이거나 공기 및 증기가 클로저를 통해 흐르게 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클로저는 다공성 종이, 부직포, 폴리머 시트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클로저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클로저가 공기에 대해 자체 저항성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어서, 개구 또는 구멍이 공기(그리고 증기 및 에어로졸을 포함하는 다른 유체)가 클로저를 통해 흐르게 하는 데 필요하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컵 내에 유지하는 것에 더하여, 공기-투과성 클로저가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통한 공기 흐름을 촉진하여 에어로졸 생성 및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를 통한, 사용자로의 전달을 최적화한다. 클로저는 하단벽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저항성"은 저장 동안 산소를 반드시 차단하지 않는 물질이지만 적어도 사용 동안 공기 및 증기의 흐름을 허용하지 않는 물질을 의미한다.
컵은 종이, 셀룰로스 섬유 및 바인더, 목화, 비단, 다당류 고분자, 녹말, 또는 퇴비성 폴리에스터(EN13432에 따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물질은 예컨대, 물질의 조성에 의해 또는 표면 코팅 또는 적층에 의해 공기-저항성일 수 있고 구멍 또는 개구에 의해 투과성일 수 있다. 컵은 저렴하고 제작하기 쉽고 심지어 고온에서 사용하는 데 안전하다. 컵의 자가-지지형의 성형된 형태는 컵이 컵의 형상을 유지하게 하고 예를 들어, 제작 동안 그리고/또는 사용자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컵 및/또는 클로저는 담배 및/또는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및/또는 향료는 포장재 성분, 예를 들어, 종이의 맛을 개선시킬 수 있거나 또는 감출 수 있고 종이가 더 좋은 맛이 나게 할 수 있다. 향료는 담배, 과일, 식물, 견과, 꽃 등일 수 있다. 담배 및/또는 향료는 종이의 성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담배는 종이에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코팅 또는 적층에 의해 종이 상에 적용될 수 있다. 담배는 입자, 플레이크(flake), 잎 파편, 스트립(strip)(들), 층(들) 및 이들의 조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컵의 축방향에서, 즉, 하단벽과 개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컵 축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실질적으로 평면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실질적으로 평면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는 하단벽 및 컵의 개방 단부에서의 클로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로부터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의 최대 열 전달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용 동안 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는 컵의 방사 방향에서 평면이고 바람직하게는 환형이다. 이것은 복수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가 컵 내에 배치되게 한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는 균일한 거리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사이의 균일한 간격은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용 동안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을 보장한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층은 인접한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층을 인접한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사이에 배치하는 것은 열의 최대량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용 동안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결국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임의의 유형의 고체 또는 반고체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가루 또는 부스러기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고체의 다른 예시적인 유형은 과립, 펠릿, 슈레드, 스트랜드, 입자, 젤, 스트립, 느슨한 잎, 잘린 잎, 잘린 필러, 다공성 물질, 발포 물질 또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유리하게는 재생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 물질은 복수의 미세한 입자(예를 들어, 담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입자는 50 내지 18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 ㎛, 더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25 ㎛,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10 ㎛,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0 ㎛의 입자 크기(D90)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80 ㎛의 입자 크기(D90)를 갖는다. 발포 물질은 에어로졸 형성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형태 내 물이 사용자의 입에 화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물이 포함되지 않는다. 물은 발포 물질의 중량의 0 내지 15 wt.%, 예를 들어, 5 내지 10 wt.%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발포 물질은 용매 및/또는 산 및/또는 에스터를 발포 물질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최대 15 wt.%, 바람직하게는 최대 5 wt.%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포 물질은 발포 형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포 형성제는 비단백질 함유 다당류일 수 있다. 발포 형성제는 한천, 젤란 검(gellan gum), 레시틴, 지방산의 폴리글리세롤 에스터,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터, 지방산의 소르비탄 에스터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발포 형성제는 젤란 검이다. 발포 물질은 발포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 안정화제는 셀룰로스 검, 하이드록시알킬레이티드 카보하이드레이트,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이들의 염,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이들의 나트륨 및/또는 칼륨 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스 검과 하이드록시알킬레이티드 카보하이드레이트 둘 다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포 안정화제는 셀룰로스 검, 특히,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이들의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바람직한 셀룰로스 검은 각각 CEKOL(등록상표) 2000 및/또는 Ceroga 4550C(C.E. Roeper GmbH), 정제된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이다. 적합한 발포 안정화제의 또 다른 부류는 하이드록시알킬레이티드 카보하이드레이트, 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 에테르 및 이들의 유도체이다. 사용될 수 있는 셀룰로스 에테르 또는 이들의 유도체는 메틸기, 에틸기, 하이드록시에틸기 및 하이드록시프로필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선형 또는 분기형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 라디칼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아랄킬 라디칼로 더 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라디칼은 바람직하게는 에테르 결합에 의해 부착된다. 적합한 치환기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기,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카복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셀룰로스 에테르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특정 용적의 물 및/또는 수분 첨가제, 예컨대, 습윤제로부터 선택된다. 발포 물질은 다공성일 수 있고, 구멍 개방된 상태이고, 발포 물질을 통한 공기 및/또는 증기의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발포 물질은 발포 물질의 총 용적에 기초하여, 적어도 4 vol.%의 통기율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vol.%, 예를 들어, 5 내지 7 vol.%의 통기율을 갖는다. 제1 예에서, 발포 물질은 16 wt.%의 담배 가루, 28 wt.%의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G), 42 wt.%의 글리세린(glycerine: G), 2 wt.%의 정제수, 4 wt.%의 젤란 검, 8 wt.%의 Ceroga 4550C를 포함한다. 제2 예에서, 발포 물질은 33 wt.%의 담배 가루, 16 wt.%의 프로필렌 글리콜, 24 wt.%의 글리세린, 4 wt.%의 정제수, 7 wt.%의 젤란 검 및 16 wt.%의 Ceroga 4550를 포함한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담배 물질과 에어로졸 형성자를 0.2:1 내지 4:1, 바람직하게는 0.52:1 내지 2:1로 이루어진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로서 역할을 하는 에어로졸 형성자는 다가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건조 중량에 기초하여 대략 5% 내지 대략 50%의 에어로졸-형성자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시,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다. 휘발성 화합물은 니코틴 또는 향료 화합물, 예컨대, 담배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2 ㎜ 미만, 바람직하게는 1.7 ㎜ 미만의, 입자 크기, 예를 들어, 걸러진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컵 내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밀도는 300 g/ℓ 내지 450 g/ℓ, 바람직하게는 350 g/ℓ 내지 400 g/ℓ,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80 g/ℓ일 수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우수한 특성을 가진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용 동안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약 15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의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또는 각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는 알루미늄, 철, 니켈, 스테인레스강 및 이들의 합금, 예를 들어, 니켈 크롬 또는 니켈 구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또는 각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는 원반 또는 링 형상의 발열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링 형상의 발열체 요소의 사용은 발열체 요소 내 중심 개구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용 동안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통한 유체(즉, 공기 및/또는 증기 및/또는 에어로졸)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링 형상의 발열체 요소 또는 각각의 링 형상의 발열체 요소는 6 ㎜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약 8 ㎜의 외경, 1 ㎜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약 3 ㎜의 내경, 및 3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약 5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컵은 0.3 ㎜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0.4 ㎜ 내지 0.6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의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컵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부 공동부를 가질 수 있다. 원통형 내부 공동부의 사용은 원반 형상의 또는 링 형상의 발열체 요소를 수용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컵은 9 ㎜ 내지 10 ㎜의 높이, 10 ㎜ 내지 11 ㎜의 본체 직경, 및 13 ㎜ 내지 15 ㎜의 플랜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컵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또는 각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를 하단벽으로부터 그리고 컵의 개방 단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배치하고/하거나 복수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를 서로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배치하기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부재(position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들)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대한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컵 내에 쉽게 그리고 신뢰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어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균일한 가열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위치설정 부재의 사용이 또한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용 동안 전자기장과 결합되기 위해 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어서, 최대 열 생성이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에서 달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위치설정 부재는 컵의 내벽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고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는 그 주변부 주위에서 신뢰할 수 있게 지지된다. 위치설정 부재는 컵의 내부의 원주에서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별개의 고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의 주변부가 별개의 원주 위치에서 지지되어, 그 주변부 주위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와 에어로졸 생성 물질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의 열 전달량을 최대화한다.
위치설정 부재 또는 각각의 위치설정 부재는 원주 단차 또는 복수의 원주에서 불연속적인 방사 부분 또는 컵에 부착되거나 또는 컵에 내장된 복수의 원주에서 불연속적인 방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컵 내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들)의 신뢰할 수 있는 배치는 위치설정 부재(들)에 의해 보장된다.
컵은 개방 단부와 하단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컵 축, 및 컵 축을 따른 상이한 위치에서의 상기 위치설정 부재 중 적어도 2개의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단부와 가장 가깝게 컵 축을 따라 위치된 위치설정 부재는 다른 위치설정 부재(들)보다 컵의 내벽에 더 가까울 수 있다. 위치설정 부재는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 전반에 걸친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의 균일한 분포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이것은 결국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사용 동안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로부터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의 균일한 열 전달을 보장한다.
컵은 측벽으로부터 방사상 내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stop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컵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방사 방향으로 컵 내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의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원주 단차 또는 각각의 상기 불연속적인 방사 부분은 스토퍼 및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하고 단단한 구조를 제공한다.
하나의 양상에서, 클로저는 스냅-피트 연결(snap-fit connection)에 의해 플랜지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클로저는 플랜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로저는 플랜지에 대해 풀칠될 수 있거나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로저가 플랜지에 단단히 그리고 신뢰할 수 있게 부착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과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들)가 컵 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스냅-피트 연결부는 플랜지와 협력하는 클로저의 주변 에지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원주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스냅-피트 연결부는 플랜지와 협력하는 클로저의 주변 에지에서 복수의 원주에서 이격되는 후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에서, 스냅-피트 연결부는 컵의 주변 에지에서, 예를 들어, 클로저와 협력하는 플랜지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원주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스냅-피트 연결부는 대안적으로 컵의 주변 에지에서, 예를 들어, 클로저와 협력하는 플랜지에서 복수의 원주에서 이격되는 후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는 컵의 개방 단부에 걸쳐 내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상부 플랜지 부분 및 하부 플랜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플랜지 부분과 하부 플랜지 부분은 이들 사이에 오목부를 획정할 수 있다. 클로저의 주변부가 오목부에 위치 가능하여 상기 스냅-피트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 부분과 하부 플랜지 부분은 연속적인 원주 플랜지 부분일 수 있고 오목부는 클로저의 주변부가 스냅-피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위치 가능할 수 있는 연속적인 원주 오목부일 수 있다.
도 1은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복수의 링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를 포함하는 컵의 제1 예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하나의 링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컵의 제2 예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라인(A-A)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a 및 도 3b의 컵의 측면도이다;
도 3d는 도 3a 내지 도 3c의 컵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개략적인 측단면도와 유사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컵과 클로저 사이의 스냅-피트 연결의 제1 예를 보여준다;
도 5a는 도 4a 및 도 4b의 스냅-피트 연결의 제1 예와 함께 사용되는 대안적인 클로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도 5a의 클로저의 양측으로부터의 도면이다;
도 6a는 도 4a 및 도 4b의 스냅-피트 연결의 제1 예와 함께 사용되는 또 다른 대안적인 클로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도 6a의 클로저의 양측으로부터의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개략적인 측단면도와 유사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컵과 클로저 사이의 스냅-피트 연결의 제2 예를 보여준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컵의 측벽의 내부면 주위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컵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 및 도 8b의 컵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9a는 컵의 측벽의 내부면 주위의 별개의 원주 위치에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컵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b 및 도 9c는 각각, 컵을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로 충전한 후의 도 9a의 라인(A-A 및 B-B)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오로지 예로서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처음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기장 생성기(예를 들어,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시스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1)의 제1 예가 도시된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1)은 실질적으로 원형 하단벽(12), 실질적으로 원통형 측벽(14) 및 컵(10)의 개방 단부(16)에서 플랜지(20)에 부착된 실질적으로 원형 클로저(18)에 의해 밀봉되는 실질적으로 원형 개방 단부(16)를 가진 원통형 컵(10)의 제1 예를 포함한다.
원통형 컵(10)은 일반적으로 종이컵, 예를 들어, 자가-지지형의 성형된 형태를 가진 성형된 종이컵이다. 하단벽(12)은 통기성이 있고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개구 또는 구멍(2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컵(10)을 제작하는 종이(또는 다른 물질)는 공기가 개구 또는 구멍(22)의 필요 없이 하단벽(12)을 통해 흐르게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컵(10)은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 예를 들어, 1.7 ㎜ 미만의 걸러진 입자 크기를 가진 가루 또는 부스러기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고체 또는 반고체 물질을 포함한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은 또한 습윤제로서 역할을 하는, 에어로졸-형성자, 예컨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은 건조 중량에 기초하여 대략 30% 내지 대략 50%, 가능하게는 건조 중량에 기초하여 대략 40%의 에어로졸-형성자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될 때,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은 가능하게는 니코틴 또는 향료 화합물, 예컨대, 담배 향료를 포함하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한다.
컵(10)은 또한 복수의 링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를 포함한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는 하단벽(12)과 개방 단부(16) 사이에서 연장되는 컵 축에 대해 동축으로 원통형 컵(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컵 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교류 전자기장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서 물품(1)의 사용 동안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의 부근에 인가될 때, 열이 와상 전류 및 자기 이력 손실에 기인하여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에서 생성되고 열이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로부터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로 전달되어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을 연소시키는 일 없이 가열하여, 냉각되고 응결되는 증기를 생성해서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가 실질적으로 요소의 전체 표면에 걸쳐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과 접촉하여, 따라서 열이 직접적으로, 따라서 효율적으로,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로부터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로 전달되게 한다.
개방 단부(16)에서의 클로저(18)는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를 컵(10)의 내부에 유지한다. 당업자라면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의 가열에 기인하여 생성된 증기 또는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1)의 사용 동안 원통형 컵(10)으로부터 흐를 수 있도록 클로저(18)가 통기성이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에 예시된 예에서, 클로저(18)는 공기 및 증기가 흐를 수 있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한다. 플랜지(20)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립(28)을 포함하고 클로저(18)는 접착제에 의해 또는 용접에 의해,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기법 또는 고온 프레스를 사용하여 원형 립(28)에 부착된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컵(10)과 유사한 원통형 컵(110)의 제2 예가 도시되고 그 대응하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지정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하단벽(12)은 중심 개구(32)의 형태인 제1 개구 및 중심 개구(32) 주위에 배치되는 원주에서 이격된 주변 개구(30)의 형태인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한다. 주변 개구(30)는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일반적으로 0.5 ㎜ 내지 1 ㎜의 직경을 갖는다. 중심 개구(32)가 또한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일반적으로 1.2 ㎜ 내지 2.5 ㎜의, 주변 개구(3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이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과 유사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의 제2 예가 도시되고 그 대응하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지정된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스냅-피트 연결부(34)를 가진 클로저(18)를 포함한다. 스냅-피트 연결부(34)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0)를 단단히 위치시킬 수 있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원주 오목부(38)를 형성하는 원주에서 연장되는 후크(36)를 포함한다. 후크(36)는 클로저(18)가 도 4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4b에 도시된 위치로 컵 축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후크가 플랜지(20)를 지나 미끄러지게 하는 테이퍼 형상 표면(40)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후크(36) 및/또는 개방 단부(16)에 가장 가까운 컵(10)의 측벽(14)이 이들 부품 중 하나 또는 둘 다가 그들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클로저(18)가 플랜지(20) 상에 압압됨(pressed)에 따라서 휘어질 수 있어, 플랜지(20)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오목부(38)에 수용되고 단단히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위에서 설명된 컵(1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스냅-피트 연결부(34)를 가진 대안적인 클로저(18)를 예시한다. 스냅-피트 연결부(34)가 클로저(18)의 하부면(92)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원주에서-이격된 후크 부재(90)를 포함하여 클로저(18)의 주변 에지(94)가 클로저(18)를 상단부에서 볼 때(도 5b를 참조) 평활한 에지 윤곽을 갖는다. 각각의 후크 부재(90)는 플랜지(20)가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후크 부재(90)는 후크 부재(9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클로저(18)가 플랜지(20) 상에 압압됨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휘어져서, 플랜지(20)가 오목부에 수용되고 단단히 유지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위에서 설명된 컵(1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스냅-피트 연결부(34)를 가진 대안적인 클로저(18)를 예시한다. 스냅-피트 연결부(34)는 클로저(18)를 상단부에서 볼 때(도 6b를 참조) 총안 무늬의 에지 윤곽을 제공하기 위해 클로저(18)의 주변 에지(94)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원주에서-이격된 후크 부재(90)를 포함한다. 각각의 후크 부재(90)는 플랜지(20)가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후크 부재(90)는 후크 부재(9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클로저(18)가 플랜지(20) 상에 압압됨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휘어져서, 플랜지(20)가 오목부에 수용되고 단단히 유지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클로저(18)가 공기 및 증기가 클로저(18)를 통해 흐르게 하는 복수의 원주에 배치된 개구(98)를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할 것이다. 그러나, 개구(98)는 클로저(18)가 공기 및 증기가 클로저를 통해 흐르게 하는 데 충분히 다공성 구조를 갖는다면 생략될 수 있다.
이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1, 2)과 유사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3)의 제3 예가 도시되고 그 대응하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지정된다.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24)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지 않은 것을 재차 유의해야 할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3)은 방사상 내향 방향으로 돌출되고 스냅-피트 연결부(42)를 형성하는 플랜지(20)를 가진 컵(210)을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 스냅-피트 연결부(42)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상부 원주 플랜지 부분(44) 및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하부 원주 플랜지 부분(46)을 포함하고 상부 원주 플랜지 부분과 하부 원주 플랜지 부분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저(18)의 주변부를 단단히 유지할 수 있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원주 오목부(48)를 이들 사이에 획정한다. 상부 원주 플랜지 부분(44)은 도 7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주 오목부(48)로 클로저(18)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 형상 표면(50)을 포함한다. 특히, 당업자라면, 클로저(18)가 테이퍼 형상 표면(50) 상에 압압됨에 따라서 개방 단부(16)에 가장 가까운 컵(210)의 측벽(14)이 방사상 외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그리고 상부 원주 플랜지 부분(44)은 또한 이들 부품이 그들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기 전에 외향으로 그리고/또는 하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클로저(18)의 주변부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오목부(48)에 수용될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측벽(14)이 복수의 단차(54a 내지 54c)를 포함하는 단차형 내부면(52)을 가진 컵(310)의 예가 도시된다.
단차(54a 내지 54c)는 컵(310)의 내벽(58)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면(56a 내지 56c)을 획정한다. 고정면(56a 내지 56c)은 도 8c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컵 축을 따라, 컵(310) 내에 축방향으로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를 배치하기 위한 위치설정 부재(56)로서 역할을 한다. 내부면(52)의 단차형 구성에 기인하여, 개방 단부(16)와 가장 가깝게 컵 축을 따라 배치된 고정면(56c)은 그 아래의 고정면(56a, 56b)보다 측벽(14)과 더 가깝다. 유사하게, 고정면(56b)은 그 아래의 고정면(56a)보다 측벽(14)과 더 가깝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고정면(56a 내지 56c)은 균일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단차(54a 내지 54c)는 또한 컵(310)의 내벽(58)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접면(60a 내지 60c)을 획정한다. 인접면(60a 내지 60c)은 도 8c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인접면이 컵 축과 동축에 있도록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를 컵(310) 내에 방사상으로 배치하기 위한 스토퍼(60)로서 역할을 한다. 내부면(52)의 단차형 구성에 기인하여, 개방 단부(16)와 가장 가깝게 컵 축을 따라 배치된 인접면(60c)은 그 아래의 인접면(60a, 60b)보다 측벽(14)과 더 가깝다. 유사하게, 인접면(60b)은 그 아래의 인접면(60a)보다 측벽(14)과 더 가깝다.
이제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면, 컵의 내부의 원주에서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단차형 부분(62)을 포함하는 컵(410)의 예가 도시된다. 각각의 단차형 부분(62)은 복수의 단차(64a 내지 64c)를 포함한다.
단차(64a 내지 64c)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를 컵 축을 따라 컵(410) 내에 축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한 위치설정 부재(66)로서 역할을 하는 복수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면(66a 내지 66c)을 획정한다. 단차(64a 내지 64c)는 또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26)를 컵(410) 내에 방사상으로 배치하기 위한 스토퍼(68)로서 역할을 하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접면(68a 내지 68c)을 획정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이전의 단락들에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의 폭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는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이의 모든 가능한 변형에서 전술한 특징의 임의의 조합은 본 개시내용에 의해 포함된다.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요구되지 않는 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포함한다", "포함하는" 등의 단어는 배타적이거나 총망라한 의미가 아니라, 포괄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9)

  1. 에어로졸 생성 물품으로서,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plant-based aerosol generating material) 및 적어도 하나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inductively heatable susceptor element)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컵으로서, 개방 단부 및 하단벽을 포함하는, 상기 컵을 포함하되,
    상기 컵은 자가-지지형의 성형된 형태를 갖고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부착된 클로저(closure)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저 및/또는 상기 하단벽은 다공성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벽은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는 0.5 ㎜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5 ㎜의 직경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는 다공성 종이, 부직포 또는 폴리머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종이, 셀룰로스 섬유 및 바인더(binder), 목화, 비단, 다당류 고분자, 녹말, 또는 퇴비성 폴리에스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및/또는 상기 클로저의 상기 물질은 담배 및/또는 향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상기 컵의 축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하단벽 및 상기 컵의 상기 개방 단부에서의 상기 클로저로부터 이격되는, 적어도 2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실질적으로 평면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는 상기 컵의 방사 방향에서 평면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는 균일한 거리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층은 인접한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루 또는 부스러기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담배 물질과 에어로졸 형성자를 0.2:1 내지 4:1, 바람직하게는 0.5:1 내지 2:1로 이루어진 중량비로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2 ㎜ 미만, 바람직하게는 1.7 ㎜ 미만의 걸러진 입자 크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내 상기 식물-기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밀도는 300 g/ℓ 내지 450 g/ℓ, 바람직하게는 350 g/ℓ 내지 400 g/ℓ,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80 g/ℓ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또는 각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또는 각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는 원반 또는 링 형상의 발열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의 발열체 요소 또는 각각의 링 형상의 발열체 요소는 6 ㎜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약 8 ㎜의 외경, 1 ㎜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약 3 ㎜의 내경, 및 3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약 50 ㎛의 두께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0.3 ㎜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0.4 ㎜ 내지 0.6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의 벽 두께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부 공동부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9 ㎜ 내지 10 ㎜의 높이, 10 ㎜ 내지 11 ㎜의 본체 직경, 및 13 ㎜ 내지 15 ㎜의 플랜지 직경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 또는 각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를 상기 하단벽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컵의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배치하고/하거나 복수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요소를 서로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배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부재(positioning member)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부재 또는 각각의 위치설정 부재는 원주 단차 또는 복수의 원주에서 불연속적인 방사 부분 또는 상기 컵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컵에 내장된 복수의 원주에서 불연속적인 방사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측벽으로부터 방사상 내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단차는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저는 스냅-피트 연결(snap-fit connection)에 의해 상기 플랜지에 부착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피트 연결부는 상기 플랜지와 협력하는 상기 클로저의 주변 에지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원주 후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피트 연결부는 상기 플랜지와 협력하는 상기 클로저의 주변 에지에서 복수의 원주에서 이격되는 후크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내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플랜지 부분 및 하부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 부분과 상기 하부 플랜지 부분은 이들 사이에 오목부를 획정하고, 상기 클로저의 주변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 가능하여 상기 스냅-피트 연결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 부분과 상기 하부 플랜지 부분은 연속적인 원주 플랜지 부분이고 상기 오목부는 연속적인 원주 오목부인,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1020217004465A 2018-07-26 2019-07-05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202100340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5821.8 2018-07-26
EP18185821 2018-07-26
PCT/EP2019/068104 WO2020020604A1 (en) 2018-07-26 2019-07-05 Aerosol generating art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026A true KR20210034026A (ko) 2021-03-29

Family

ID=630777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465A KR20210034026A (ko) 2018-07-26 2019-07-05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1020217004464A KR20210033015A (ko) 2018-07-26 2019-07-05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217004618A KR20210035834A (ko) 2018-07-26 2019-07-24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464A KR20210033015A (ko) 2018-07-26 2019-07-05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217004618A KR20210035834A (ko) 2018-07-26 2019-07-24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작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20210282457A1 (ko)
EP (3) EP3826483A1 (ko)
JP (4) JP7348265B2 (ko)
KR (3) KR20210034026A (ko)
CN (3) CN112469292A (ko)
CA (3) CA3106826A1 (ko)
EA (3) EA202190381A1 (ko)
TW (3) TW202011844A (ko)
WO (3) WO2020020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830B1 (ko) * 2019-04-25 2021-10-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46449A (ko) * 2020-02-27 2022-11-01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반고체 기재를 포함하는 베이핑용 에어로졸 생성 기재
EP4114217A1 (en) * 2020-03-03 2023-01-11 JT International S.A. Mousse consumables with integrated heater
WO2022263466A1 (en) 2021-06-14 2022-12-22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tubular support
EP4140330A1 (en) * 2021-08-26 2023-03-01 Shenzhen Eigate Technology Co., Ltd.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14568743A (zh) * 2022-03-15 2022-06-03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卡封式颗粒型气溶胶生成制品
CN114796736A (zh) * 2022-03-18 2022-07-29 杭州玉壶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气溶胶发生器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214A (en) * 1991-03-11 1996-04-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DK0503767T3 (da) * 1991-03-11 1995-09-11 Philip Morris Prod Duft/smag-dannende artikel
US5613505A (en) * 1992-09-11 1997-03-25 Philip Morris Incorporated Inductive heating systems for smoking articles
CR4906A (es) * 1993-09-10 1994-09-09 Philip Morris Prod Sistema electrico de fumar para distribuir sabores y metodopara su fabricacion
JPH11178562A (ja) * 1997-12-19 1999-07-06 Japan Tobacco Inc 非燃焼型香味発生品
US7726320B2 (en) * 2006-10-18 2010-06-0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containing smoking article
MY170381A (en) * 2011-12-30 2019-07-27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front-plug and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method
TWI603682B (zh) * 2012-05-31 2017-11-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氣溶膠產生物品之功能性桿
GB201217067D0 (en) * 2012-09-25 2012-11-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Heating smokable material
CN203353690U (zh) * 2013-07-25 2013-12-25 刘秋明 电子烟
GB201314917D0 (en) * 2013-08-21 2013-10-02 British American Tobacco Co Treated Tobacco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GB201408922D0 (en) * 2014-05-20 2014-07-02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pparatus comprising a tipping paper suction drum
CA2940927C (en) * 2014-05-21 2023-08-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internal susceptor
TWI697289B (zh) * 2014-05-21 2020-07-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形成製品、電熱氣溶膠產生裝置及系統、及操作該系統之方法
GB2527597B (en) * 2014-06-27 2016-11-23 Relco Induction Dev Ltd Electronic Vapour Inhalers
PL3160271T3 (pl) * 2014-06-27 2020-05-18 Philip Morris Products S.A. Układ wytwarzania aerozolu z ulepszonym elementem przebijającym
GB2546934B (en) * 2014-11-11 2018-04-11 Jt Int Sa Electronic vapour inhalers
WO2016162933A1 (ja) * 2015-04-06 2016-10-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及び内側保持部材
EP3297458B2 (en) * 2015-05-21 2024-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for manufacturing inductively heatable tobacco rods
GB201511349D0 (en) * 2015-06-29 2015-08-12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GB201511358D0 (en) * 2015-06-29 2015-08-12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CN107734982B (zh) * 2015-06-29 2021-07-13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筒和装置
US20170055575A1 (en) *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Material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US20170055574A1 (en) *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Cartridge for use with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ITUB20153803A1 (it) * 2015-09-22 2017-03-22 Gd Sp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cartucce per sigarette elettroniche.
ITUB20153811A1 (it) * 2015-09-22 2017-03-22 Gd Sp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cartucce per sigarette elettroniche e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confezioni contenenti dette cartucce per sigarette elettroniche.
MX2018003277A (es) * 2015-09-24 2018-05-16 Philip Morris Products Sa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con capacitor.
US11445747B2 (en) * 2015-10-22 2022-09-2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JP7037479B2 (ja) * 2015-10-22 2022-03-1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物品、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およびエアロゾル発生物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TW201714534A (zh) * 2015-10-22 2017-05-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輸送系統及操作該氣溶膠輸送系統的方法
EP3364792B1 (en) * 2015-10-22 2021-03-03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generating article, aerosol-gen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MX2018004465A (es) * 2015-10-22 2018-05-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generador de aerosol, pildora generadora de aerosol, metodo para formar pildoras generadoras de aerosol y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que comprende pildoras generadoras de aerosol.
RU2020124954A (ru) * 2015-10-22 2020-08-28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и капсул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CA3002712A1 (en) * 2015-10-22 2017-04-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erosol-generating articl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system
ES2691521T3 (es) * 2015-12-22 2018-11-27 Philip Morris Products S.A. Un cartucho para un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y un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que comprende un cartucho
WO2017182485A1 (en) * 2016-04-20 2017-10-26 Philip Morris Products S.A. Hybrid aerosol-genera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ybrid aerosol-generating element
WO2017187556A1 (ja) * 2016-04-27 2017-11-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
JP6930804B2 (ja) * 2016-06-29 2021-09-01 ニコベンチャーズ トレーディング リミテッド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物品
CA3031241A1 (en) * 2016-07-29 2018-02-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heated gel container
GB2553773A (en) * 2016-09-09 2018-03-21 Rucker Simon Vapour producing device with a removable container and a removable container for use with such a device
CN206119181U (zh) * 2016-10-17 2017-04-26 深圳市博迪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拔插锁紧式烟嘴、电子烟雾化器及电子烟
EP3720303A1 (en) * 2017-12-07 2020-10-14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erosol-generating substrate with dual pl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2190337A1 (ru) 2021-05-31
KR20210033015A (ko) 2021-03-25
US20210227875A1 (en) 2021-07-29
JP2021531774A (ja) 2021-11-25
JP7368393B2 (ja) 2023-10-24
EA202190381A1 (ru) 2021-04-29
CN112469290A (zh) 2021-03-09
EP3826484A1 (en) 2021-06-02
CA3106826A1 (en) 2020-01-30
CA3107206A1 (en) 2020-01-30
US20210282457A1 (en) 2021-09-16
CN112469290B (zh) 2022-12-13
EP3826483A1 (en) 2021-06-02
JP2023100909A (ja) 2023-07-19
CA3106874A1 (en) 2020-01-30
EP3826482A1 (en) 2021-06-02
TW202011846A (zh) 2020-04-01
CN112469291A (zh) 2021-03-09
WO2020020603A1 (en) 2020-01-30
US20210251301A1 (en) 2021-08-19
CN112469292A (zh) 2021-03-09
WO2020020604A1 (en) 2020-01-30
KR20210035834A (ko) 2021-04-01
WO2020020964A1 (en) 2020-01-30
EA202190384A1 (ru) 2021-05-13
TW202011844A (zh) 2020-04-01
JP2021531740A (ja) 2021-11-25
CN112469291B (zh) 2022-12-27
JP2021531012A (ja) 2021-11-18
JP7348265B2 (ja) 2023-09-20
TWI821327B (zh) 2023-11-11
TW202012011A (zh)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4026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102630967B1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캡슐
KR102627050B1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N109152427B (zh) 气溶胶生成系统的热扩散器
RU2685029C2 (ru) Картридж, образующий аэрозоль, который содержит содержащий табак материал
WO2017207586A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heated aerosol-generating article
CN109195462B (zh) 用于气溶胶生成系统的热扩散器
JP2023516468A (ja) 空気進入ゾーン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JP2023517068A (ja) 複数の空気進入ゾーン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CA3181107A1 (en) A cartridge for a vapour generating device
EA041347B1 (ru)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ие аэрозоль
WO2023237399A1 (en)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JP2024514787A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
JP2023552272A (ja) エアロゾル発生装置
JP2023517915A (ja) 複数の空気進入ゾーン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物品
WO2024017790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susceptor and thick wrapper
CN115460936A (zh) 具有多个空气进入区的气溶胶生成制品
KR20230142531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유도 가열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