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968A -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968A
KR20210033968A KR1020210035828A KR20210035828A KR20210033968A KR 20210033968 A KR20210033968 A KR 20210033968A KR 1020210035828 A KR1020210035828 A KR 1020210035828A KR 20210035828 A KR20210035828 A KR 20210035828A KR 20210033968 A KR20210033968 A KR 20210033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low path
docking station
motor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416B1 (ko
Inventor
조윤경
김시현
김종순
이기형
이선구
이아영
정재식
차승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3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9Emptying means; Reusable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집진통이 결합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에서 도킹 스테이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도킹 스테이션 내부에서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흡입 유로; 상기 흡입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유량 조절 장치; 및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결합되면 상기 흡입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상기 흡입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유량 조절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를 포함하여, 팬 모터에서 발생한 흡입력을 통해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고, 흡입된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집진함으로써,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를 위해, 진공 청소기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통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집진된 이물질을 집집통으로부터 제거해 주어야 한다. 다만, 사용자가 이물질을 집진통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 이물질이 재 비산되어 실내의 먼지 농도를 높일 수 있다.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이 도킹되는 경우,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제공하여 집진통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집진통이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집진통에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흡입 유로; 상기 흡입 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흡입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유로 제어 장치; 및 상기 집진통과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연결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동작 명령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정지 명령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한 이후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따라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한 이후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는, 흡입 팬; 및 상기 흡입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장치가 동작하는 중에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장치의 정지 이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이 삽입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제어 장치는, 상기 안착부 및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포집부의 포화 여부를 감지하는 포집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집부가 포화되는 경우 상기 포집부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집진통이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집진통과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연결 및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입력부를 통한 동작 명령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흡입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흡입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집진통에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정지 명령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한 이후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는지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따라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한 이후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장치는, 흡입 팬; 및 상기 흡입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흡입 장치가 동작하는 중에 상기,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이 삽입되는 안착부; 및 상기 흡입 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제어 장치는, 상기 안착부 및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포집부의 포화 여부를 감지하는 포집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포집부가 포화되는 경우 상기 포집부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흡입 장치의 정지 이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의하면, 진공 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는 경우,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제공함으로써, 집진통의 이물질을 자동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이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집진통 연결 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동작 명령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외부 전원 주파수에 따라 흡입 유로의 폐쇄를 판단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흡입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지 명령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흡입 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정지 명령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터의 시간에 따른 온오프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터의 온이 반복되는 될 때마다 서로 다른 회전 속도를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터가 진동하여 집진통에 진동을 전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밸브의 동작에 따른 제1 모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흡입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표시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포집부의 포화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집진통 연결 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동작 명령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정지 명령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제1 모터를 제어하여 흡입 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유로 밸브의 동작에 따라 제1 모터를 제어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흡입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표시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중 포집부의 포화를 표시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이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는, 흡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집진통(15)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0)와, 집진통(15)과 연결되어 집진통(15)에 수용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집진통(15)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0)는, 본체(11)와,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관(미도시)과, 연장관(미도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유닛(미도시)과,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통(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와,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집진통(15)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통(15)은 흡입모터보다 공기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흡입유닛(미도시)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어 모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진통(15)은 본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0)는, 필터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2)은 대략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필터(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일례로, 헤파 필터(hepa filter)가 필터 하우징(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집진통(15)에서 걸러지지 않은 초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2)은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진공 청소기(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4)을 잡고, 청소기(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11)는 청소기(1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16)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6)는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체(11)는 조작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7)에 마련된 전원버튼 등을 조작하여 진공 청소기(10)를 온/오프시키거나 흡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체(11)는 집진통(15)과 연장관(미도시) 및 흡입유닛(미도시)을 연결시켜 집진통(15)으로 이물질을 가이드 하는 집진 가이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가이드(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을 집진통(15)으로 가이드하면서 상술한 연장관(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집진 가이드(30)는 연장관(미도시) 외 흡입유닛(미도시)과 직접 결합되거나 보조 흡입 유닛과 같은 다른 구성들과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집진 가이드(30)와 결합시켜 청소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와 진공 청소기(10)의 집진통(15)이 도킹되도록 마련되는 도킹 하우징(1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하우징(102)은, 집진통(15)이 안착되는 안착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100)은, 본체(101) 상측에 배치되고 도킹 하우징(102)을 개폐하는 커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100)의 상측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스위치 등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입력부(120)의 위치 및 유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 및 유형이면, 제한이 없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100)은, 본체(101) 전면에 배치되고 본체(10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104)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04)은 본체(101)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어 본체(101)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패널(104)이 본체(101)로부터 분리되면서 사용자는 후술할 포집부를 개방할 수 있고 포집부의 더스트 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100)은, 전면에 마련되어, 도킹 스테이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조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70)의 위치 및 유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 및 유형이면, 제한이 없다.
이 때, 도킹 스테이션(100)은, 진공 청소기(10)의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기류를 변화시켜 집진통(15)의 이물질이 자동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 가이드(30)가 도킹되는 구성이 없으며, 집진통(15)만 도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도킹 스테이션(100)에 진공 청소기(10)의 집진통(15)만 도킹 되어도 도킹 스테이션(100)의 자동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10) 전체를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시키지 않고 집진통(15)만 진공 청소기(10)에서 분리시켜 집진통(15)만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킹 스테이션(1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집진통(15)을 분리시켜 집진통(15)의 먼지를 자동 배출시킬 수 있다.
다만, 도킹 스테이션(100)의 유형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집진 가이드(30)가 도킹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여, 진공 청소기(10) 전체가 도킹될 수 있으며, 진공 청소기(10) 전체가 도킹된 상태에서 집진통(15)에 흡입 기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집진통(15)을 분리하여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설명은, 진공 청소기(10) 전체가 도킹되는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장치(150)를 포함하여 집진통(15)에 집진된 이물질을 집진통(15)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흡입 장치(150)는 본체(1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기를 이동 시키는 흡입 팬(153)과, 흡입 팬(153)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15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190)는 본체(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190)는 흡입 장치(150)보다 공기 유동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과 연결되는 일단과 흡입 장치(150)와 연결되는 타단을 포함하고, 흡입 장치(150)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1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유로(180)는, 도킹 하우징(102)과 흡입 장치(15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포집부(190)는, 흡입 유로(18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흡입 유로(180)는, 도킹 하우징(102)과 포집부(190)를 연결함으로써, 집진통(15)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도킹 하우징(102)을 통해 포집부(190)로 흡입되도록 한다.
도킹 하우징(102)은 흡입 유로(180)와 연통되고 집진통(15) 안착되는 안착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81)는 도킹 하우징(102)에서 외부로 개방되는 공간으로 집진통(15)이 삽입되어 안착부(181)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통(15)이 안착부(181)에 안착될 시 집진통(15)과 도킹 스테이션(100)의 도킹이 완료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착부(181)의 내부에는 집진통(15)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통(15)이 안착부(181)에 안착될 시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과 도킹 스테이션(100)이 도킹된 상태를 센서(110)의 출력 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집진통(15) 내부에는 멀티 사이클론(18)이 배치될 수 있다. 집진통(15)은 멀티 사이클론(18)의 하측(18a)으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통(15)은 1차적으로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 1집진부(15a)와 멀티 사이클론(18)에 의해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 2집진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집진부(15a)와 제 2집진부(15b)는 모두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될 시 외부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통(15)의 하부에 배치되는 집진통 도어(19)가 개방될 시 집진통(15)에 포집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안착부(181)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진통(15)은, 도킹 스테이션(100)과 연결될 시 집진통(15)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집진통 도어(19)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과 연결될 시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하도록 집진통 도어(19)의 일측을 가압하는 개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가이드는 안착부(181)의 내주면의 일부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방 가이드는 안착부(181)의 내주면에서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일 영역이나 내주면에서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리브 등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개방 가이드의 위치 및 유형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집진통(15)의 안착 시 집진통 도어(19)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제한없이 개방 가이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통(15)이 안착부(181)에 도킹될 시 자동적으로 푸시부가 개방 가이드에 가압되어 집진통 도어(19)가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흡입 유로(180)는 도킹 하우징(102)에서부터 본체(101)를 관통하여 흡입 장치(150)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 유로(180)는 흡입 장치(150)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의 흐름을 집진통(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흡입 장치(150)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 기류가 흡입 유로(180)를 통해 포집부(190) 및 안착부(181)를 따라 집진통(15) 내부로 전달되고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15) 내부의 이물질이 기류의 흐름에 따라 집진통(15)에서 안착부(181)로 배출된 후 흡입 유로(180)를 통해 포집부(190)에 포집될 수 있다.
포집부(190)는 포집부 하우징(191)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 하우징(191)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포집부 하우징(191)은, 흡입 유로(180)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한다.
포집부(190)는 포집부 커버(192)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 커버(192)는 포집부 하우징(19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포집부 커버(192)는 패널(104)이 분리된 상태에서 포집부(19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포집부 하우징(191)을 개폐할 수 있다.
포집부(190)는 포집부 하우징(19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흡입 유로(180)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더스트 백(193)을 포함할 수 있다.
더스트 백(193)은 공기는 투과되고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되어 집진통(15)에서부터 포집부(190)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
더스트 백(193)은 흡입 유로(18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더스트 백(193)은 포집부(190)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0)이 구동되어 더스트 백(193)에 이물질이 포집될 시 사용자는 패널(104)을 분리하고 포집부 커버(192)를 개방하여 더스트 백(193)을 포집부(190)와 분리하고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포집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흡입 장치(150)는, 흡입 팬(153)과 흡입 팬(153)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151)를 포함하고, 흡입 팬(153)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흡입 장치 하우징(106)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장치 하우징(106)은 본체(101)에 배치되고 흡입 장치(150)의 내부를 개폐하는 흡입 장치 커버(107)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장치 커버(107)는 흡입 팬(15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팬(153)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는 흡입 장치 하우징(106)의 내부 공간에서 흡입 유로(180)를 통하여 포집부(190)를 거쳐 집진통(15)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 장치(150)는, 흡입 팬(153)을 회전시킴으로써,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흡입 팬(153)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집진통(15)에서 포집부(190)를 거쳐 도킹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0)은,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량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량 조절 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조절 장치(160)는, 흡입 유로(18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유로 밸브(163)와, 유로 밸브(163)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16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조절 장치(160)는 본체(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량 조절 장치(160)는 포집부(190)와 흡입 장치(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유로 밸브(163)는 포집부(190)와 흡입 장치(150)를 연결시키고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연결 유로(흡입 유로)(1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로 밸브(163)는 포집부(190)와 안착부(181)가 연결되는 연결 유로(흡입 유로)(180)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유로 밸브(163)는, 제2 모터(161)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기초하여 흡입 유로(18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로 밸브(163)는, 흡입 유로(18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밸브(16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디부의 왕복 이동을 통해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로 밸브(163)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원통 형상과,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중심측을 중심으로 바디부의 양측이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바디부와 절개부가 회전되면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유로 밸브(163)의 유형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모터(16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기초하여 흡입 유로(180)를 개폐할 수 있는 유형의 밸브이면, 제한없이 유로 밸브(163)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청소 장치(1)의 구조적인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집진통(15)에 흡입 기류를 변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구성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20)와, 유량 조절 장치(160)의 유로 밸브(163)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130)와, 포집부(190)의 포화 여부를 감지하는 포집부 센서(195)와, 집진통(15)에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제공하기 위해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제1 모터(151) 및 흡입 팬(153)을 포함하여, 집진통(15)으로 공급되는 흡입 기류를 생성하는 흡입 장치(150)와, 제2 모터(161) 및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는 유로 밸브(163)를 포함하여 집진통(15)으로 공급되는 흡입 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장치(160)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0)와,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도킹 스테이션(100)의 각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100)은, 실시예에 따라, 도5에 도시된 구성 외의 구성(예: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예: flash memory, RAM, HDD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10)는, 집진통(15)의 연결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110)는, 집진통(15)이 연결되는 흡입 유로(180)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집진통(15)이 연결되는 경우 집진통(15)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출력과는 다른 출력 값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진통(15)은, 안착부(181)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적외선 센서, 압전 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집진통(15)의 연결 여부에 따라 출력 값을 달리할 수 있는 센서이면 제한없이 센서(110)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본체(101)에 마련될 수 있으며, 물리 버튼, 스위치, 노브, 터치 패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버튼 또는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입력부(120)의 위치 및 유형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에 대한 동작 명령 또는 정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흡입 모드 또는 표시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드에 대한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 센서(130)는, 유량 조절 장치(16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감지 센서(130)는, 유량 조절 장치(160)의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지 아니면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 센서(130)는, 유로 밸브(163)의 움직임에 따라 가압되어,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할 때는 제1 값을 출력하며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할 때는 제2 값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위치 감지 센서(130)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로 밸브(163)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161)의 위치를 측정하여,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할 때는 제1 값을 출력하며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할 때는 제2 값을 출력하는 모터 위치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치 감지 센서(130)는, 제2 모터(161)에 포함된 회전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 모터(161)의 회전축과 마주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 센서(130)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출력 신호를 달리하는 센서이면 제한없이 위치 감지 센서(130)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는 경우, 집진통(15)의 이물질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었는지 결정하고,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는 경우, 제1 모터(151)의 동작 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40)는, 센서(110)의 출력 값 외에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명령이 있는 경우에만, 제1 모터(151)의 동작 개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모터(151)가 지속적으로 온이 됨에 따라 동일한 흡입 기류가 집진통(15)에 공급되는 경우, 이물질 중 일부는 집진통(15)의 내부 구성에 걸려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집진통(15) 내부 구성에 걸려, 흡입 기류에도 불구하고,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집진통(15) 내부에 잔존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 내부에 전달되는 흡입 기류는 동일한 방향으로만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이물질은 흡입 기류가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질 수 있어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집진통(15) 내부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팬(153)에 의해 집진통(15)에 흡입 기류가 공급되어 집진통(15)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동안, 흡입 기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집진통(15) 내부의 유량을 변화시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으로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동안(제1 모터(151)가 지속적으로 온되는 동안), 흡입 유로(180)를 주기적으로 개폐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제1 모터(151)로 지속적으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으며,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동안, 유량 조절 장치(160)의 제2 모터(161)에도 지속적으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 장치(150)는, 흡입 팬(153)을 통하여 흡입 기류를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유량 조절 장치(160)는, 흡입 유로(180)를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흡입 장치(1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 때, 집진통(15)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질은, 흡입 팬(153)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흡입 유로(180)에 마련된 포집부(190)에 집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유량 조절 장치(160)가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여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흡입 장치(150)(제1 모터(151)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동안, 유량 조절 장치(160)가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는 실시예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으로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흡입 장치(150)의 제1 모터(151)의 온오프를 반복하면서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 마다 제1 모터(151)가 온이 되는 시간 또는 제1 모터(151)가 오프가 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 마다 제1 모터(151)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의 펄스폭(pulse width)을 조정함으로써,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팬(153)은,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의 변화에 따라, 제1 모터(151)가 온오프 될 때마다 흡입력이 상이한 흡입 기류를 집진통(15)에 제공할 수 있으며, 집진통(15)의 이물질은, 변칙적인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15)의 내부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집진통(15)으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 내부의 공기 유량이 변하면서 집진통(15) 내부 공간에서 공기가 사방으로 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집진통(15) 내부에서의 기류가 다양한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 때, 집진통(15)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질은, 흡입 팬(153)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흡입 유로(180)에 마련된 포집부(190)에 집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의 온오프 제어를 통하여 집진통(15)으로의 흡입 기류의 공급 및 중단을 반복하고, 흡입 기류의 공급 시 공급 시간 또는 흡입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주기적으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진동하도록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되는 각 시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 내에서 공급 전압의 각 펄스에 대해 서로 다른 펄스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어 제1 모터(151)가 온이 되는 시간 내에서, 공급 전압의 각 펄스의 펄스폭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제1 모터(15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 내에서 공급 전압의 펄스가 진행함에 따라, 제1 펄스폭 및 제2 펄스폭이 교대로 제공되도록 공급 전압의 펄스폭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모터(151)는, 공급 전압의 각 펄스의 펄스폭 차이에 기초하여 회전 속도가 급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모터(151)는, 진동할 수 있다.
제1 모터(151)의 진동은, 도킹 스테이션(100)의 본체 및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집진통(1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은, 제1 모터(151)의 진동에 따라 진동할 수 있으며, 집진통(15)의 이물질은, 진동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기류에도 불구하고, 집진통(15) 내부 구성에 걸려 집진통(15)으로부터 배출되지 못한 이물질의 경우에도, 집진통(15)의 진동에 따라, 흡입 기류와 함께 집진통(1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의 온오프 제어를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정지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또는 제1 모터(151)의 온이 미리 설정된 횟수(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만큼 수행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이후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포집부(190)로 포집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모터(151)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의 구동에 따라 흡입 팬(153)에 의한 흡입 기류가 공급되는 동안, 제1 모터(151)에 대한 제어에 더하여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유로 밸브(16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하여 집진통(15)으로의 흡입 기류의 공급 및 중단을 반복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 밸브(163)는, 흡입 팬(153)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 시에 잔존할 수 있는 흡입 기류를 완전히 중단함으로써,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위치 감지 센서(13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흡입 유로(180)의 유로 밸브(163)에 의한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흡입 유로(180)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제1 모터(151)를 구동함으로써, 소음 및 제1 모터(151)의 과부하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 경우 온이 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하고,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경우 오프가 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 및 제2 모터(161)를 연동하여 제어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공급 및 반복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흡입 유로(180)가 폐쇄됨에도 불구하고 흡입 팬(153)이 회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며, 제1 모터(151)의 과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개폐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마다 변경되는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에 대응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는 온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 시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온 시간 및 오프 시간에 대응하여 유로 밸브(163)가 작동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로 밸브(16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유로(180)의 폐쇄는, 실시예에 따라,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포집부(190)로 포집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모터(151)가 구동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흡입 장치(150)(제1 모터(151))가 온오프를 반복하는 실시예에 대하여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흡입 모드에 대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의 폐쇄없이 지속적으로 흡입 팬(153)이 회전하도록, 흡입 장치(150)로 전압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하고,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포집부 센서(195)의 출력에 기초하여 포집부(190)의 포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포집부(1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190)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자외선 조사부(185)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경우 자외선 조사를 위해 자외선 조사부(185)를 제어할 수 있으며,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외선 조사를 위해 자외선 조사부(185)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표시 모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광을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150)는, 집진통(15)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흡입 팬(153)과, 흡입 팬(153)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 모터(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151)는, 공급 전압에 따라 회전하여 회전력을 흡입 팬(153)으로 전달할 수 있다.
흡입 팬(153)은, 제1 모터(151)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기초하여 회전함으로써, 집진통(15)에서 도킹 스테이션(100)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입 팬(153)은, 집진통(15)과 연결되는 일단을 갖는 흡입 유로(180)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모터(151)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1 모터(151)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 장치(160)는, 전압을 공급받는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량 조절 장치(160)는, 흡입 유로(180)를 개폐할 수 있는 유로 밸브(163)를 포함하여, 유로 밸브(163)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모터(161)를 포함한다.
제2 모터(161)는,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유로 밸브(163)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모터(16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기로 유로 밸브(163)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마다 변경되는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에 대응하도록 유로 밸브(163)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밸브(163)는, 제2 모터(161)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에 기초하여 흡입 유로(18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로 밸브(163)는, 흡입 유로(18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밸브(16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디부의 왕복 이동을 통해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로 밸브(163)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원통 형상과,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중심측을 중심으로 바디부의 양측이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바디부와 절개부가 회전되면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유로 밸브(163)의 유형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모터(16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기초하여 흡입 유로(180)를 개폐할 수 있는 유형의 밸브이면, 제한없이 유로 밸브(163)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70)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는, 광을 조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도킹 스테이션(100)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킹 스테이션(100)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전면 디스플레이와, 안착부(181)에 마련되어 안착부(181) 내부에서 집진통(15)으로 광을 조사하는 내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안착부(18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안착부(181) 내부에서 집진통(15)으로 광을 조사하는 LED 패널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70)의 위치 및 유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 및 유형이면, 제한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부(185)는,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외선 조사부(185)는, 안착부(18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185)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집진통(15)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흡입 유로(180)를 통하여 포집부(190)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85)는, 실시예에 따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조사 각도를 기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85)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열을 이루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 각각의 조사 세기를 조절하여 조사 각도를 전자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85)는,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15)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안착부(181)에 마련되는 자외선 램프와,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포집부 하우징(191)에 마련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부 센서(195)는, 포집부(190)의 포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부 센서(195)는, 압력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포집부(190)가 포화되어 흡입 장치(150)의 흡입 기류를 방해하는 경우, 정상 동작 시와 상이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포집부 센서(195)가 정상 동작과 상이한 압력을 출력하는 경우, 포집부(190)가 포화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포집부 센서(195)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 센서 또는 카메라 등 포집부(190)의 포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의 유형이면 제한이 없다.
이상에서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집진통(15)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집진통(15)에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적으로, 집진통(15)에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흡입 장치(150)를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유량 조절 장치(160)가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집진통(15) 연결 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동작 명령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외부 전원 주파수에 따라 흡입 유로(180)의 폐쇄를 판단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15)이 연결되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로 전압을 공급하여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의 안착부(181)에 도킹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을 개시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로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15)이 연결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로 전압을 공급하여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20)에 대응하는 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집진통(15)의 연결로 개시하든,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명령 입력으로 개시하든,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 내용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 모두를 참조하여,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의 연결 또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의 입력으로 동작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먼지 제거를 위해 동작하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흡입 팬(153)을 구동하여 흡입 기류를 형성하도록 흡입 장치(150)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 장치(150)는, 흡입 팬(153)을 통하여 흡입 기류를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유량 조절 장치(160)는, 흡입 유로(180)를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흡입 장치(1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 때, 집진통(15)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질은, 흡입 팬(153)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흡입 유로(180)에 마련된 포집부(190)에 집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유량 조절 장치(160)가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여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가 동작을 개시한 이후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 경과 시 먼지 배출 동작을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집진통(15)으로부터 이물질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 동안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동작 개시 이후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 경과 시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로의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 때, 유량 조절 장치(160)는,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예: 5회)로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은, 유량 조절 장치(160)의 개폐 주기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횟수(예: 5회)로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 주파수가 낮을수록 동작 시간(TO)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외부 전원 주파수가 낮을수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구동하는 제2 모터(151)의 시간당 회전수가 낮아짐에 따라, 유량 조절 장치(160)가 개폐되는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 주파수가 달라지더라도,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는 횟수가 일정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가 동작 시간(TO)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 주파수가 60Hz일 때, 유량 조절 장치(160)의 개폐 주기는, 3.3초에 해당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 주파수가 50Hz 일 때, 유량 조절 장치(160)의 개폐 주기는, 3.9초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 주파수가 50Hz인 경우 외부 전원 주파수가 60Hz일 때의 동작 시간(예: 18초) 보다 긴 동작 시간(예: 21초)으로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킹 스테이션(100)은, 외부 전원 주파수에 무관하게, 흡입 유로(180)의 개폐 횟수를 보장함으로써,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유량 조절 장치(160)의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유량 조절 장치(160)가 정지 시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동작 시간(TO)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동작 시간(TO) 이후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로의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다만, 흡입 장치(150)로 공급 전압이 없는 경우에도, 흡입 팬(153)은, 관성에 의해 회전을 지속할 수 있다.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흡입 유로(180) 상의 흡입 기류가 감소하는 상태로 잔존할 수 있으며, 흡입 기류의 변화로 인한 기압 변화 상황에서 유량 조절 장치(160)에 의해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다면, 순간적인 기압 변화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동작 개시 이후 동작 시간(TO) 경과 시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로 정지할 수 있도록, 동작 시간(TO)을 설정함으로써,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회전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한 상태에서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 유량 조절 장치(160)의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폐 주기를 고려하여, 개폐 주기의 절반에 대한 홀수배를 동작 시간(TO)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동작 시간(TO) 이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TW)(예: 2.5초)이 경과하면,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동작 시간(TO) 경과 이후,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하여 흡입 유로(180)를 폐쇄함으로써, 흡입 유로(180) 상에 잔존하는 이물질로부터 흡입 장치(150)를 보호하고, 동작 개시 시 흡입 장치(150)가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상황에서 온될 수 있도록 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제어부(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 시간(TO) 이후 대기 시간(TW) 동안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며 이후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작 시간(TO) 이후 대기 시간(TW)이 경과하여 흡입 팬(153)이 완전히 멈춘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집진통(15)으로부터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의 정지 이후 잔존하는 회전력에 의한 흡입 기류 변화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대기 시간 동안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대기 시간 이후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함으로써,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로부터 흡입 장치(15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 개시 시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상황에서 흡입 장치(15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 주파수에 따라, 흡입 유로(180)에 대한 폐쇄를 결정하는 시점을 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전원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제2 모터(161)의 회전수 감소에 따라 유량 조절 장치(160)의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폐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시간 또한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에서의 폐쇄 시간은 0.8초일 수 있으며, 50Hz에서의 폐쇄 시간은, 1.05초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대기 시간(TW) 이후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하는 경우, 외부 전원 주파수가 낮을수록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 것으로 결정하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 주파수가 60Hz인 경우, 대기 시간(TW) 이후, 위치 감지 센서(130)가 흡입 유로(180) 폐쇄를 나타내는 제1 값을 출력한 시점으로부터 Ta1(예: 0.1초) 이후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 주파수가 50Hz인 경우, 대기 시간(TW) 이후, 위치 감지 센서(130)가 흡입 유로(180) 폐쇄를 나타내는 제1 값을 출력한 시점으로부터 Ta2(예: 0.5초) 이후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흡입 유로(180)의 폐쇄 시간이 길어지는 만큼, 외부 전원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위치 감지 센서(130)의 제1 값 출력 개시 이후 흡입 유로(180)에 대한 폐쇄를 결정하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이 새로이 개시되는 경우, 외부 전원 주파수에 상관없이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상황에서 흡입 장치(150)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위치 감지 센서(130)의 제1 값 출력 개시 이후 흡입 유로(180)에 대한 폐쇄 결정 시점을 지연시킴으로써, 새로운 동작이 개시되는 경우 외부 전원 주파수에 상관없이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을 개시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차이가 없게 함으로써, 외부 전원 주파수에 의한 소음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 주파수가 60Hz일 때의 흡입 유로(180) 개방까지 소요되는 시간(Tb1) 및, 외부 전원 주파수가 50Hz 일 때의 흡입 유로(180) 개방까지 소요되는 시간(Tb2)은 동일하거나 차이가 미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 주파수가 50Hz인 경우 외부 전원 주파수가 60Hz인 경우에 비하여 흡입 유로(180)의 폐쇄 시간이 긴 점을 고려하여, 외부 전원 주파수가 50Hz인 경우 폐쇄 결정 시점을 60Hz일 때 보다 지연시켜 유량 조절 장치(160)가 지연된 시간만큼 더 동작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외부 전원 주파수가 50Hz 이든 60 Hz 이든, 남은 폐쇄 시간은, 동일하거나 차이가 미미하게 되어, 새로운 동작이 개시되는 경우 소음 발생에 차이가 미미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동작을 개시하도록 흡입 장치(150)로 전압을 공급하는 경우, 소프트 스타트 시간 동안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소프트 스타트 시간이 경과하는 시점부터 목표 전압의 크기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즉, 흡입 장치(150)로 공급되는 전압은, 소프트 스타트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목표 전압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후 동작 시간(TO)이 도래할 때까지 목표 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제1 모터(151)에 순간적으로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제1 모터(151)가 크게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모터(151)의 진동으로 인한 도킹 스테이션(100)의 진동과, 이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흡입 장치(150)로 공급되는 전압이 증가하는 소프트 스타트 시간 동안에는, 흡입 장치(150)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 기류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흡입 기류의 유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다면, 흡입 유로(180)에서의 급격한 기압 변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 장치(150)로 공급되는 전압이 목표 전압으로 증가하는 소프트 스타트 시간 동안,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조절 장치(160)의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폐 주기(Tf)를 고려하여 개폐 주기(Tf) 중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시간(Tf1)에 대응하도록 소프트 스타트 시간(TSS)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소프트 스타트 시간(TSS)은, 유량 조절 장치(160)가 지속적으로 동작하여 흡입 유로(180)의 개방이 개시되는 시점부터, 흡입 유로(180)의 폐쇄가 개시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소프트 스타트 시간(TSS)을 유량 조절 장치(160)의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폐 주기(Tf)와 무관하게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소프트 스타트 시간(Tss)을 유량 조절 장치(160)의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폐 주기(Tf)에서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시간(Tf1) 보다 더 길게 설정함으로써, 도킹 스테이션(100)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 스타트 시간(TSS) 동안 흡입 유로(180)를 개방할 수 있도록, 소프트 스타트 시간(TSS) 및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시간(Tf1)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시간(Tf3) 동안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흡입 유로(180)가 개방된 상태에서,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 소프트 스타트 시간(Tss) 동안 흡입 유로(180)를 개방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 동안 유량 조절 장치(16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소프트 스타트 시간(Tss) 경과 이후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장치(150)로 공급되는 전압이 증가하는 소프트 스타트 시간 동안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집진통(15)에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흡입 장치(150)를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유량 조절 장치(160)가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흡입 장치(150)가 지속적으로 동작하고, 유량 조절 장치(160)가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는 동작 중 사용자로부터 정지 명령을 입력받는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흡입 유로(18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지 명령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정지 명령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가 먼지 배출을 위해 동작하던 중 입력부(120)를 통하여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하고,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 이후 제1 대기 시간(TW1)(예: 1초) 이후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 장치(150)로 공급 전압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흡입 팬(153)은, 관성에 의해 회전을 지속할 수 있다.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흡입 유로(180) 상의 흡입 기류가 감소하는 상태로 잔존할 수 있으며, 흡입 기류의 변화로 인한 기압 변화 상황에서 유량 조절 장치(160)에 의해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다면, 순간적인 기압 변화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먼지 배출을 위한 동작 개시 이후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을 입력 받는 경우,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로 정지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함으로써,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회전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유로(180)가 개방된 상태에서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의 개방을 유지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유량 조절 장치(160)가 동작하는 중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의 개방을 유지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에 대한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 시점으로부터 제1 대기 시간(TW1) 이후 흡입 장치(150)가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로의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 시점으로부터 제2 대기 시간(TW2)(예: 2.5초) 이후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회전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 상태에서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의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유량 조절 장치(160)가 동작하는 중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 시점으로부터 제1 대기 시간(Tw1) 동안 유량 조절 장치(160)에 대한 전압 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대기 시간(Tw1)은,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 시점으로부터 제1 대기 시간(TW1) 이후 흡입 장치(150)가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로의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으며, 흡입 장치(150)로의 전압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유량 조절 장치(160)에 대한 전압 공급 역시 중단함으로써,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에서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대기 시간(Tw1)을 카운트하여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위치 감지 센서(13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먼지 배출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100)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이 입력된 이후 위치 감지 센서(13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흡입 유로(18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흡입 장치(150)로의 전압 공급이 중단된 시점으로부터 제2 대기 시간(TW2)(예: 2.5초) 이후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회전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 이후 최종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것으로 행정을 종료함으로써,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로부터 흡입 장치(15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이 새로이 시작되는 경우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상황에서 흡입 장치(15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흡입 장치(150)가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상황에서 유량 조절 장치(160)를 통하여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를 변경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흡입 장치(150)의 제1 모터(151)의 온오프를 변경함으로써, 집진통(15)에 공급되는 흡입 기류를 변경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터(151)의 시간에 따른 온오프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터(151)의 온이 반복되는 될 때마다 서로 다른 회전 속도를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진공 청소기(10)의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는 경우, 집진통(15)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킹 스테이션(100)은, 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었는지 결정하고,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는 경우, 제1 모터(151)에 대한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40)는, 센서(110)의 출력 값 외에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명령이 있는 경우에만, 제1 모터(151)에 대한 제어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모터(151)가 지속적으로 온이 됨에 따라 동일한 흡입 기류가 집진통(15)에 공급되는 경우, 이물질 중 일부는 집진통(15)의 내부 구성에 걸려 외부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집진통(15) 내부 구성에 걸려, 흡입 기류에도 불구하고,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집진통(15) 내부에 잔존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 내부에 전달되는 흡입 기류는 동일한 방향으로만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이물질은 흡입 기류가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질 수 있어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집진통(15) 내부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팬(153)에 의해 집진통(15)에 흡입 기류가 공급되어 집진통(15)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동안, 흡입 기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집진통(15) 내부의 유량을 변화시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집진통(15)에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모터(151)의 온오프를 반복하면서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151)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시구간 각각에서 제1 모터(151)가 온이 된 이후 오프가 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터(151)는, 시구간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를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시구간은, 제1 모터(151)에 정격 전압이 공급되어 제1 모터(151)가 온이 되는 온 시간과, 제1 모터(151)에 정격 전압이 공급되지 않아 제1 모터(151)가 오프가 되는 오프 시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시구간 초반의 회전 속도를 달리 하기 위하여, 제1 모터(151)에 공급되는 전압이 정격 전압(목표 전압)까지 승압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소프트 스타트 시간)은, 각 시구간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 마다 즉, 시구간이 변경될 때 마다 제1 모터(151)가 온이 되는 시간 또는 제1 모터(151)가 오프가 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구간에서의 온 시간은, 제2 시구간에서의 온 시간에 비해 길 수 있으며, 제1 시구간에서의 오프 시간은, 제3 시구간에서의 오프 시간에 비해 짧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 마다 제1 모터(151)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의 펄스폭(pulse width)을 조정함으로써,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구간의 온 시간에서는 제1 모터(151)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의 펄스폭을 80%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시구간 이후의 제2 시구간의 온 시간에서는 제1 모터(151)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의 펄스폭을 65%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는, 제1 시구간에서 제2 시구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팬(153)은,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의 변화에 따라, 제1 모터(151)가 온오프 될 때마다 흡입력이 상이한 흡입 기류를 집진통(15)에 제공할 수 있으며, 집진통(15)의 이물질은, 변칙적인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15)의 내부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집진통(15)으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 내부의 공기 유량이 변하면서 집진통(15) 내부 공간에서 공기가 사방으로 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집진통(15) 내부에서의 기류가 다양한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 때, 집진통(15)으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된 이물질은, 흡입 팬(153)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흡입 유로(180)에 마련된 포집부(190)에 집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의 온오프 제어를 통하여 집진통(15)으로의 흡입 기류의 공급 및 중단을 반복하고, 흡입 기류의 공급 시 공급 시간 또는 흡입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주기적으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집진통(15)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흡입 장치(150)의 제1 모터(151)를 반복적으로 온오프함으로써 집진통(15)에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공급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집진통(15)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집진통(15)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터(151)가 진동하여 집진통(15)에 진동을 전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의 제1 모터(151)가 진동하도록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되는 각 시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 내에서 공급 전압의 각 펄스에 대해 서로 다른 펄스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어 제1 모터(151)가 온이 되는 온 시간 내에서, 공급 전압의 각 펄스의 펄스폭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제1 모터(15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시구간 내에서 공급 전압의 펄스가 진행함에 따라, 제1 펄스폭(①) 및 제2 펄스폭(②)이 교대로 제공되도록 공급 전압의 펄스폭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모터(151)는, 공급 전압의 각 펄스의 펄스폭 차이에 기초하여 회전 속도가 급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모터(151)는, 진동할 수 있다.
제1 모터(151)의 진동은, 도킹 스테이션(100)의 본체 및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집진통(1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은, 제1 모터(151)의 진동에 따라 진동할 수 있으며, 집진통(15)의 이물질은, 진동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기류에도 불구하고, 집진통(15) 내부 구성에 걸려 집진통(15)으로부터 배출되지 못한 이물질의 경우에도, 집진통(15)의 진동에 따라, 흡입 기류와 함께 집진통(1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은, 제1 모터(151)의 온오프 제어를 통하여 집진통(15)으로의 흡입 기류의 공급 및 중단을 반복하고, 동일한 시구간 내에서 흡입 기류의 공급 시 펄스폭을 조정하여 집진통(15)의 진동을 유발함으로써, 집진통(15)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의 온오프 제어를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또는 제1 모터(151)의 온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이후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포집부(190)로 포집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모터(151)를 구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집진통(15)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집진통(15)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위하여, 제1 모터(151)의 제어와 연동하여 유량 조절 장치(160)를 통한 흡입 유로(180)의 개폐를 위해 제2 모터(161)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밸브(163)의 동작에 따른 제1 모터(151)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의 구동에 따라 흡입 팬(153)에 의한 흡입 기류가 공급되는 동안, 제1 모터(151)에 대한 제어에 더하여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하여 집진통(15)으로의 흡입 기류의 공급 및 중단을 반복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 밸브(163)는, 흡입 팬(153)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 시에 잔존할 수 있는 흡입 기류를 완전히 중단함으로써,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위치 감지 센서(13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흡입 유로(180)의 유로 밸브(163)에 의한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흡입 유로(180)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제1 모터(151)를 구동함으로써, 소음 및 제1 모터(151)의 과부하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 경우 온이 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하고,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경우 오프가 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 및 제2 모터(161)를 연동하여 제어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공급 및 반복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흡입 유로(180)가 폐쇄됨에도 불구하고 흡입 팬(153)이 회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며, 제1 모터(151)의 과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개폐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마다 변경되는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에 대응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는 온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 시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온 시간 및 오프 시간에 대응하여 유로 밸브(163)가 작동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로 밸브(16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유로(180)의 폐쇄는, 실시예에 따라,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포집부(190)로 포집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모터(151)가 구동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로 흡입 장치(150)가 계속적으로 동작하는 흡입 모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흡입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흡입 모드에 대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에서 흡입 기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흡입 모드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흡입 모드를 수행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의 도킹 스테이션(100)에의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입력부(120)의 출력에 기초하여 흡입 모드에 대한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흡입 모드는, 흡입 장치(150)의 흡입력을 확인하기 위한 모드로,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에서 흡입 기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행정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흡입 모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모드 입력 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 경우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으며,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경우 유량 조절 장치(160)로의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달리, 흡입 모드 입력 시 흡입 유로(180)가 개방된 경우 흡입 유로(180)의 개방이 유지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흡입 모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흡입 장치(150)의 제1 모터(151)로의 전압 공급을 지속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흡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흡입 모드에 대한 정지 명령을 입력 받으면,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만 흡입 모드를 수행하고, 동작 시간 경과 시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흡입 모드의 종료 이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로의 전압 공급이 중단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이후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하여 흡입 유로(180)를 폐쇄함으로써,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회전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흡입 모드 종료 이후 최종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것으로 행정을 종료함으로써,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로부터 흡입 장치(15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이 새로이 시작되는 경우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상황에서 흡입 장치(15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70)가 계속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표시 모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표시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표시 모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광을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함으로써, 표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표시 모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광을 조사하도록 도킹 스테이션(100)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킹 스테이션(100)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전면 디스플레이(170a) 또는 안착부(181)에 마련되어 안착부(181) 내부에서 집진통(15)으로 광을 조사하는 내부 디스플레이(170b)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흡입 장치(150)의 동작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 공급이 중단될 때까지 표시 모드 수행을 지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포집부(190)의 포화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가 포집부(190)의 포집 여부를 표시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포집부(190)의 포화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포집부 센서(195)의 출력에 기초하여 포집부(190)의 포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포집부(190)가 포화된 경우 포집부(190)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포집부(190)가 포화된 경우 "빨간색" 광을 출력하도록 전면 디스플레이(170a)를 제어할 수 있으며, 포집부(190)의 더스트 백(193)이 교체될 때까지 "빨간색" 광의 출력을 지속하도록 전면 디스플레이(170a)를 제어할 수 있다.
포집부 센서(195)는, 실시예에 따라, 흡입 유로(180)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부 센서(195)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부 하우징(191)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입 기류의 압력 측정을 위한 위치이면 포집부 센서(195)의 위치에는 한정이 없으며, 흡입 장치 하우징(106)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집부 센서(195)는, 포집부(190)가 포화되어 흡입 장치(150)의 흡입 기류를 방해하는 경우, 정상 동작 시와 상이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포집부 센서(195)가 정상 동작과 상이한 압력을 출력하는 경우, 포집부(190)가 포화됨을 결정할 수 있으며, 포집부(190)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포집부 센서(195)는,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집부 하우징(191)에 마련되어 포집부(190)의 포화를 감지할 수 있는 광 센서 또는 카메라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100)은, 포집부(190)가 포화되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포집부(190)의 더스트 백(193)에 대한 교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를 살균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이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자외선 조사부(18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부(185)는,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외선 조사부(185)는, 안착부(18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조사부(185)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집진통(15)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흡입 유로(180)를 통하여 포집부(190)로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85)는, 실시예에 따라,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조사 각도를 기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85)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열을 이루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 각각의 조사 세기를 조절하여 조사 각도를 전자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집진통(15) 또는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185)는,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15)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안착부(181)에 마련되는 자외선 램프와,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포집부 하우징(191)에 마련되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경우 자외선 조사를 위해 자외선 조사부(18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20)를 통해 자외선 조사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자외선 조사를 조사하도록 자외선 조사부(185)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과 포집부(190)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집진통(15) 및 포집부(190)를 살균할 수 있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집진통(15) 연결 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이 연결되면(2010의 예), 먼지 배출을 위해 동작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020).
즉, 제어부(140)는,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의 안착부(181)에 도킹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을 개시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로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의 연결로 동작 개시를 결정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흡입 팬(153)을 구동하여 흡입 기류를 형성하도록 흡입 장치(150)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 장치(150)는, 흡입 팬(153)을 통하여 흡입 기류를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유량 조절 장치(160)는, 흡입 유로(180)를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흡입 장치(15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의 유량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장치(150)가 동작을 개시한 이후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 경과 시(2030의 예), 먼지 배출 동작을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040).
즉, 제어부(140)는, 집진통(15)으로부터 이물질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 동안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동작 개시 이후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 경과 시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로의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 때, 유량 조절 장치(160)는,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 동안 미리 설정된 횟수(예: 5회)로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은, 유량 조절 장치(160)의 개폐 주기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횟수(예: 5회)로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방 및 폐쇄를 반복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유량 조절 장치(160)의 흡입 유로(180)에 대한 개폐 주기에 기초하여 유량 조절 장치(160)가 정지 시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동작 시간(TO)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동작 개시 이후 동작 시간(TO) 경과 시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로 정지할 수 있도록, 동작 시간(TO)을 설정함으로써,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회전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동작 시간(TO) 이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TW)(예: 2.5초)이 경과하면(2050의 예),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060).
즉, 제어부(140)는, 집진통(15)으로부터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의 정지 이후 잔존하는 회전력에 의한 흡입 기류 변화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대기 시간 동안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대기 시간 이후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함으로써,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로부터 흡입 장치(15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 개시 시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상황에서 흡입 장치(15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동작 명령에 대한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이 연결된 상태에서(2110의 예),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2120의 예), 먼지 배출을 위해 동작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130).
이후,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장치(150)가 동작을 개시한 이후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TO) 경과 시(2140의 예), 먼지 배출 동작을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15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동작 시간(TO) 이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TW)(예: 2.5초)이 경과하면(2160의 예),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170).
2130 내지 2170의 동작은, 도 20의 2030 내지 2060의 동작에 대응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정지 명령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의 연결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명령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먼지 배출을 위해 동작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210).
이 때,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이 입력되고(2220의 예)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 경우(2230의 예), 정지 명령 입력 후 제1 대기 시간(TW1)이 경과하여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면(2240의 예) 먼지 배출 동작을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250).
즉, 제어부(140)는,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의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유량 조절 장치(160)가 동작하는 중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 시점으로부터 제1 대기 시간(Tw1) 동안 유량 조절 장치(160)에 대한 전압 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대기 시간(Tw1)은,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 시점으로부터 제1 대기 시간(TW1) 이후 흡입 장치(150)가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로의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으며, 흡입 장치(150)로의 전압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유량 조절 장치(160)에 대한 전압 공급 역시 중단함으로써,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에서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대기 시간(Tw1)을 카운트하여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위치 감지 센서(13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먼지 배출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100)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이 입력된 이후 위치 감지 센서(13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흡입 유로(18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회전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 장치(150)로 공급 전압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흡입 팬(153)은, 관성에 의해 회전을 지속할 수 있다.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흡입 유로(180) 상의 흡입 기류가 감소하는 상태로 잔존할 수 있으며, 흡입 기류의 변화로 인한 기압 변화 상황에서 유량 조절 장치(160)에 의해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다면, 순간적인 기압 변화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먼지 배출을 위한 동작 개시 이후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로 정지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함으로써,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회전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이 입력되고(2220의 예) 흡입 유로(180)가 개방된 경우(2230의 아니오), 유량 조절 장치(16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2260). 이후,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정지 명령 입력 후 제1 대기 시간(TW1)이 경과하면(2270의 예), 흡입 장치(1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2280).
즉, 제어부(140)는, 흡입 유로(18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의 개방을 유지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0)는, 유량 조절 장치(160)가 동작하는 중 유량 조절 장치(160)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의 개방을 유지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에 대한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흡입 장치(150)로의 공급 전압이 중단된 이후 흡입 팬(153)이 회전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유량 조절 장치(160)가 정지된 시점으로부터 제2 대기 시간(TW2)(예: 2.5초) 이후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29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먼지 배출 동작에 대한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 이후 최종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것으로 행정을 종료함으로써,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로부터 흡입 장치(15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를 위한 동작이 새로이 시작되는 경우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상황에서 흡입 장치(15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제1 모터(151)를 제어하여 흡입 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2310).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이 연결되는 경우(2320의 예), 제1 모터(151)가 온이 된 후 오프가 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킹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40)는, 진공 청소기(10)의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는 경우, 집진통(15)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었는지 결정하고,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는 경우, 제1 모터(151)에 대한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40)는, 센서(110)의 출력 값 외에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이 있는 경우에만, 제1 모터(151)에 대한 제어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제1 모터(151)의 구동에 따라 흡입 팬(153)에 의해 집진통(15)에 흡입 기류가 공급되어 집진통(15)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동안, 흡입 기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집진통(15) 내부의 유량을 변화시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이 분리되지 않고(2340의 아니오), 미리 설정된 횟수로 제1 모터(151)가 온이 되지 않은 경우(2350의 아니오),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2360). 이후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조정된 구동 시간 및/또는 조정된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제1 모터(151)가 온이 된 후 오프가 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2330).
이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40)는, 집진통(15)에 변칙적인 흡입 기류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모터(151)의 온오프를 반복하면서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 마다 제1 모터(151)가 온이 되는 시간 또는 제1 모터(151)가 오프가 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 마다 제1 모터(151)에 공급되는 공급 전압의 펄스폭(pulse width)을 조정함으로써,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팬(153)은,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의 회전 속도의 변화에 따라, 제1 모터(151)가 온오프 될 때마다 흡입력이 상이한 흡입 기류를 집진통(15)에 제공할 수 있으며, 집진통(15)의 이물질은, 변칙적인 흡입 기류에 의해 집진통(15)의 내부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집진통(15)으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 내부의 공기 유량이 변하면서 집진통(15) 내부 공간에서 공기가 사방으로 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집진통(15) 내부에서의 기류가 다양한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기류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해 저항력을 가지던 일부 이물질은, 다른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저항력을 잃고 기류와 함께 집진통(15)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의 온오프 제어를 통하여 집진통(15)으로의 흡입 기류의 공급 및 중단을 반복하고, 흡입 기류의 공급 시 공급 시간 또는 흡입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주기적으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가 진동하도록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되는 각 시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구간 내에서 공급 전압의 각 펄스에 대해 서로 다른 펄스폭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모터(151)는, 공급 전압의 각 펄스의 펄스폭 차이에 기초하여 회전 속도가 급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모터(151)는, 진동할 수 있다.
제1 모터(151)의 진동은, 도킹 스테이션(100)의 본체 및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집진통(1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집진통(15)은, 제1 모터(151)의 진동에 따라 진동할 수 있으며, 집진통(15)의 이물질은, 진동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제1 모터(151)의 온오프 제어를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2340의 예) 또는 제1 모터(151)의 온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될 때까지(2350의 예)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횟수는, 청소 장치(1)의 설계 단계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입력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설정된 횟수는, 센서 등에 의해 획득된 집진통(15)에 집진된 이물질의 양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4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이후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흡입 유로(180)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포집부(190)로 포집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모터(151)를 구동할 수 있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유로 밸브(163)의 동작에 따라 제1 모터(151)를 제어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센서(11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2410).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이 연결되는 경우(2420의 예),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주기적으로 개폐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 있다(2430).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의 구동에 따라 흡입 팬(153)에 의한 흡입 기류가 공급되는 동안, 제1 모터(151)에 대한 제어에 더하여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유로 밸브(16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주기적으로 흡입 유로(180)를 개폐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하여 집진통(15)으로의 흡입 기류의 공급 및 중단을 반복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 밸브(163)는, 흡입 팬(153)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 시에 잔존할 수 있는 흡입 기류를 완전히 중단함으로써, 집진통(15) 내부의 공기의 흐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유로(180)의 개폐에 대응하여 제1 모터(151)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2440).
다시 말해, 도킹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40)는, 위치 감지 센서(13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흡입 유로(180)의 유로 밸브(163)에 의한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흡입 유로(180)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제1 모터(151)를 구동함으로써, 소음 및 제1 모터(151)의 과부하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는 경우 온이 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하고,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는 경우 오프가 되도록 제1 모터(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 및 제2 모터(161)를 연동하여 제어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공급 및 반복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흡입 유로(180)가 폐쇄됨에도 불구하고 흡입 팬(153)이 회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며, 제1 모터(151)의 과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유로 밸브(163)가 흡입 유로(180)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개폐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모터(151)가 온오프될 때마다 변경되는 제1 모터(151)의 구동 시간에 대응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는 온 시간 또는 제1 모터(151)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 시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온 시간 및 오프 시간에 대응하여 유로 밸브(163)가 작동하도록 제2 모터(16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흡입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이 연결되고(2510의 예), 흡입 모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2520의 예),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하고(2530),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2540).
즉,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흡입 모드에 대한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에서 흡입 기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흡입 모드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흡입 모드를 수행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110)의 출력에 기초하여 집진통(15)의 도킹 스테이션(100)에의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입력부(120)의 출력에 기초하여 흡입 모드에 대한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흡입 모드는, 흡입 장치(150)의 흡입력을 확인하기 위한 모드로, 흡입 유로(180)를 개방한 상태에서 흡입 기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행정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흡입 모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흡입 모드 입력 시 흡입 유로(180)가 폐쇄된 경우 흡입 유로(180)를 개방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으며, 흡입 유로(180)가 개방되는 경우 유량 조절 장치(160)로의 전압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흡입 모드 입력 시 흡입 유로(180)가 개방된 경우 흡입 유로(180)의 개방이 유지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흡입 모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흡입 장치(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흡입 장치(150)의 제1 모터(151)로의 전압 공급을 지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이 분리되거나(2550의 예), 입력부(120)를 통하여 흡입 모드에 대한 정지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2560의 예), 흡입 장치(1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2570).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때까지 흡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집진통(15)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정지 명령에 대한 입력을 수신되면, 흡입 장치(150)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40)는, 실시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만 흡입 모드를 수행하고, 동작 시간 경과 시 정지하도록 흡입 장치(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모드의 종료 이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흡입 유로(180)를 폐쇄하도록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표시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표시 모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2610), 광을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으며(2620), 외부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2630의 예), 표시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표시 모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광을 조사하도록 도킹 스테이션(100)의 전면에 마련되어 도킹 스테이션(100)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전면 디스플레이(170a) 또는 안착부(181)에 마련되어 안착부(181) 내부에서 집진통(15)으로 광을 조사하는 내부 디스플레이(170b)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흡입 장치(150)의 동작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 공급이 중단될 때까지 표시 모드 수행을 지속할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제어 방법 중 포집부(190)의 포화를 표시하는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집진통(15)의 연결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명령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먼지 배출을 위해 동작하도록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2710).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포집부가 포화된 경우(2720의 예), 포집부 포화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273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장치(1)의 도킹 스테이션(100)은, 흡입 장치(150) 및 유량 조절 장치(160)가 먼지 배출을 위해 재동작하는 경우(2740의 예), 포집부(190)가 포화되었는지 여부를 다시 결정하여, 포집부(190)가 불포화된 경우(2750의 예), 포집부 포화 여부가 표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2760).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포집부(190)가 포화된 경우 "빨간색" 광을 출력하도록 전면 디스플레이(170a)를 제어할 수 있으며, 포집부(190)의 더스트 백(193)이 교체될 때까지 "빨간색" 광의 출력을 지속하도록 전면 디스플레이(170a)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100)은, 포집부(190)가 포화되어, 집진통(15)에서의 이물질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포집부(190)의 더스트 백(193)에 대한 교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청소 장치 10: 진공 청소기
15: 집진통 100: 도킹 스테이션
110: 센서 120: 입력부
130: 위치 감지 센서 140: 제어부
150: 흡입 장치 151: 제1 모터
153: 흡입 팬 160: 유량 조절 장치
161: 제2 모터 163: 유로 밸브
170: 디스플레이부 180: 흡입 유로
185: 자외선 조사부 190: 포집부
195: 포집부 센서

Claims (14)

  1.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집진통이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집진통에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에서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흡입 유로;
    상기 흡입 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
    상기 흡입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유로 제어 장치; 및
    상기 집진통과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연결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동작 명령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정지 명령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한 이후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는지 결정하는 청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따라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한 이후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는,
    흡입 팬; 및
    상기 흡입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장치가 동작하는 중에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청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장치의 정지 이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이 삽입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제어 장치는,
    상기 안착부 및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포집부의 포화 여부를 감지하는 포집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집부가 포화되는 경우 상기 포집부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청소 장치.
  8.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상기 집진통이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과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연결 및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입력부를 통한 동작 명령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에서 공기가 이동하는 흡입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흡입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 기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집진통에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한 정지 명령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한 이후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되는지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출력 값에 따라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정지한 이후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는,
    흡입 팬; 및
    상기 흡입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장치가 동작하는 중에 상기,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이 삽입되는 안착부; 및
    상기 흡입 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제어 장치는,
    상기 안착부 및 상기 포집부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포집부의 포화 여부를 감지하는 포집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가 포화되는 경우 상기 포집부의 포화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흡입 장치의 정지 이후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유로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10035828A 2019-09-05 2021-03-19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5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380 2019-09-05
KR20190110380 2019-09-05
KR1020210005340A KR102489657B1 (ko) 2019-09-05 2021-01-14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340A Division KR102489657B1 (ko) 2019-09-05 2021-01-14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968A true KR20210033968A (ko) 2021-03-29
KR102315416B1 KR102315416B1 (ko) 2021-10-21

Family

ID=74239278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265A KR102208334B1 (ko) 2019-09-05 2020-06-10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05340A KR102489657B1 (ko) 2019-09-05 2021-01-14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35828A KR102315416B1 (ko) 2019-09-05 2021-03-19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35804A KR102315412B1 (ko) 2019-09-05 2021-03-19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62183A KR102468166B1 (ko) 2019-09-05 2021-05-13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04990A KR20230013144A (ko) 2019-09-05 2023-01-12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04991A KR20230013145A (ko) 2019-09-05 2023-01-12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40016118A KR20240019201A (ko) 2019-09-05 2024-02-01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265A KR102208334B1 (ko) 2019-09-05 2020-06-10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05340A KR102489657B1 (ko) 2019-09-05 2021-01-14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804A KR102315412B1 (ko) 2019-09-05 2021-03-19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062183A KR102468166B1 (ko) 2019-09-05 2021-05-13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04990A KR20230013144A (ko) 2019-09-05 2023-01-12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04991A KR20230013145A (ko) 2019-09-05 2023-01-12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40016118A KR20240019201A (ko) 2019-09-05 2024-02-01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8) US11503969B2 (ko)
EP (4) EP4023127A3 (ko)
KR (8) KR102208334B1 (ko)
CN (4) CN116035469A (ko)
AU (1) AU2020341224A1 (ko)
DE (1) DE202020005872U1 (ko)
WO (1) WO20210454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59A1 (ko) * 2021-09-15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0745B2 (en) 2014-12-17 2024-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794141B2 (en) * 2021-01-25 2023-10-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use home station
USD948821S1 (en) * 2019-09-03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for dust canister
USD948820S1 (en) * 2019-09-03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for dust canister
USD930296S1 (en) * 2020-07-01 2021-09-07 Jiazhe Song Vacuum cleaner
USD945093S1 (en) * 2020-07-13 2022-03-01 Suzhou Aza Clean Electric Technology Co., Ltd. Vacuum cleaner
USD959070S1 (en) * 2020-09-02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D959071S1 (en) * 2020-09-02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D992226S1 (en) * 2020-12-11 202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WO2022192742A1 (en) * 2021-03-11 2022-09-15 Techtronic Cordless Gp Vacuum cleaner docking station
USD957767S1 (en) * 2021-03-31 2022-07-12 Fornice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Vacuum cleaner
CN113576358B (zh) * 2021-08-13 2022-11-29 无锡睿米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集尘分离组件及清洁设备的基站
KR20230040176A (ko) * 2021-09-15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40552A (ko) 2021-09-16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13827143B (zh) * 2021-10-08 2023-08-01 北京顺造科技有限公司 用于处理主动湿式表面清洁设备的方法、系统和接口底座
KR20230108194A (ko) 2022-01-10 202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30255420A1 (en) * 2022-02-16 2023-08-17 Irobot Corporation Maintenance alerts for autonomous cleaning robots
WO2023158856A2 (en) * 2022-02-21 2023-08-24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docking station
WO2023234639A1 (ko) * 2022-05-31 2023-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테이션 장치 및 스테이션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83752A1 (en) * 2014-12-24 2016-06-30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JP2017189453A (ja) * 2016-04-14 2017-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ごみ回収装置、電気掃除機及び掃除機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161A (en) 1981-05-18 1982-05-11 Jack Osborn Valve system for vacuum cleaner
JP3301452B2 (ja) * 1993-06-02 2002-07-15 株式会社松井製作所 除塵装置
KR960011002B1 (ko) * 1994-07-27 1996-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순간 흡입 장치 및 방법
US5837207A (en) 1997-04-17 1998-11-17 Engineering Dynamics Limited Portable germicidal air filter
AU6327299A (en) * 1998-11-03 2000-05-22 Nilfisk-Advance A/S Separation device for a suction gathering device
JP3831675B2 (ja) * 2002-04-01 2006-10-1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437114B1 (ko) 2002-05-29 2004-06-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KR200382160Y1 (ko) 2005-02-04 2005-04-19 정미진 오존 램프를 이용한 살균 진공 청소기
US20060278088A1 (en) * 2005-06-10 2006-12-14 Helsel Darin R Vacuum apparatus and method using ultraviolet radiation for sanitization
KR100715774B1 (ko) * 2005-07-22 2007-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충전대와 청소 시스템
KR20070074146A (ko)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KR20070094288A (ko) * 2006-03-17 200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시스템
EP2027806A1 (en) * 2006-04-04 2009-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20070099359A (ko) * 2006-04-04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KR20070103248A (ko) * 2006-04-18 2007-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KR20070104989A (ko) * 2006-04-24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시스템 및 그 먼지제거 방법
US8087117B2 (en) * 2006-05-19 2012-01-03 Irobot Corporation Cleaning robot roller processing
KR101204440B1 (ko) * 2007-02-26 2012-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시스템
KR101330734B1 (ko) * 2007-08-24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JP2009082542A (ja) * 2007-10-01 2009-04-23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KR101010422B1 (ko) * 2008-07-04 201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청소기의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WO2011008961A1 (en) * 2009-07-15 2011-01-20 Allegiance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483541B1 (ko) 2010-07-15 2015-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KR101496913B1 (ko) * 2010-11-03 2015-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자동배출 스테이션 및 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RU2532017C1 (ru) * 2011-02-11 2014-10-27 Альфред Кэрхер Гмбх Унд Ко. Кг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фильтра пылесоса, а также пылесос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20120246863A1 (en) 2011-04-01 2012-10-04 Douglas Ryan J Control systems for uvc light source temperature and function in sanitizing device
US9192272B2 (en) * 2011-08-01 2015-11-24 Life Labo Corp. Robot cleaner and dust discharge station
EP2775893A4 (en) 2011-11-10 2015-09-02 Stryker Corp CLEANING SYSTEM AND EQUIPMENT THEREFOR
DE102012100048B4 (de) * 2012-01-04 2014-06-12 Miele & Cie. Kg Externer Staubsammelbehälter für einen Akkutischsauger
JP2014128393A (ja) 2012-12-28 2014-07-10 Toshiba Corp 電気掃除機、および塵埃分離装置
DE102013103086B4 (de) * 2013-03-26 2023-06-29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Absaugstation für ein selbsttätig verfahrbares Bodenreinigungsgerät sowie Kombination einer Absaugstation mit einem solchen Gerät
KR101494380B1 (ko) * 2013-04-19 2015-02-23 김병미 진공청소기
CA2833555C (en) * 2013-11-18 2020-03-10 Canplas Industries Ltd. Handheld vacuum cleaner and docking assembly for connecting to a central vacuum system
DE102014111868A1 (de) * 2014-08-20 2016-02-25 Miele & Cie. Kg Ortsfeste Basisstation für einen Saugroboter
KR20160023120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20160095486A1 (en) * 2014-10-03 2016-04-07 Umm Al-Qura University Vacuum cleaner head including insufflation and pulling fans
US9788698B2 (en) * 2014-12-10 2017-10-17 Irobot Corporation Debris evacuation for cleaning robots
DE102014119191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JP6974931B2 (ja) * 2015-12-18 2021-12-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集塵装置
CN205729241U (zh) * 2016-01-04 2016-11-30 德国福维克控股公司 吸尘器以及由吸尘器和基站构成的系统
KR101742489B1 (ko) 2016-02-11 2017-06-02 전자부품연구원 자외선 살균 이동로봇 장치 및 시스템
US20180078107A1 (en) * 2016-09-22 2018-03-22 Martin Gagnon Docking station for coupling autonomous vacuum to central vacuum
CN110291024B (zh) * 2016-12-28 2022-06-21 奥马克罗知识产权有限公司 用于表面清洁装置的粉尘和过敏原控制
US10464746B2 (en) * 2016-12-28 2019-1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19005153A (ja) * 2017-06-23 2019-01-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装置
DE102017126393A1 (de) * 2017-11-10 2019-05-16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Regenerierbarer Staubsauger
US10779695B2 (en) 2017-12-29 2020-09-22 Irobot Corporation Debris bins and mobile cleaning robots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83752A1 (en) * 2014-12-24 2016-06-30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JP2017189453A (ja) * 2016-04-14 2017-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ごみ回収装置、電気掃除機及び掃除機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59A1 (ko) * 2021-09-15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78235B (zh) 2024-04-26
DE202020005872U1 (de) 2023-01-09
EP4023127A2 (en) 2022-07-06
KR102489657B1 (ko) 2023-01-18
US11497365B2 (en) 2022-11-15
KR102315416B1 (ko) 2021-10-21
US20210068603A1 (en) 2021-03-11
US11903552B2 (en) 2024-02-20
US11357374B2 (en) 2022-06-14
CN112438650A (zh) 2021-03-05
CN116035469A (zh) 2023-05-02
US20230157499A1 (en) 2023-05-25
KR20210058786A (ko) 2021-05-24
EP4049573A1 (en) 2022-08-31
WO2021045436A1 (en) 2021-03-11
EP4183300A2 (en) 2023-05-24
US20210282610A1 (en) 2021-09-16
CN115844252A (zh) 2023-03-28
KR20240019201A (ko) 2024-02-14
EP4023127A3 (en) 2022-10-19
US11503969B2 (en) 2022-11-22
KR20210033966A (ko) 2021-03-29
CN115778235A (zh) 2023-03-14
EP4049573C0 (en) 2024-02-07
EP4049573B1 (en) 2024-02-07
KR102315412B1 (ko) 2021-10-21
US20240090723A1 (en) 2024-03-21
EP4183300A3 (en) 2023-10-04
US20210259487A1 (en) 2021-08-26
US20210259488A1 (en) 2021-08-26
KR20210029166A (ko) 2021-03-15
US11864718B2 (en) 2024-01-09
AU2020341224A1 (en) 2022-02-10
US20220287524A1 (en) 2022-09-15
KR102468166B1 (ko) 2022-11-18
EP3795046A1 (en) 2021-03-24
US11484168B2 (en) 2022-11-01
KR20230013144A (ko) 2023-01-26
KR20230013145A (ko) 2023-01-26
US20230111023A1 (en) 2023-04-13
KR102208334B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334B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169428A1 (en)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54485B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20220071810A (ko) 로봇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71811A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12749A (ko) 진공청소기
JP2007236470A (ja) 空気清浄装置
JP2010029239A (ja) 電気掃除機
JP6981333B2 (ja) 電気掃除機
JP2022097646A (ja) 電気掃除機
JP2009183579A (ja) 電気掃除機
JP2014161542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