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677A -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677A
KR20210033677A KR1020190115253A KR20190115253A KR20210033677A KR 20210033677 A KR20210033677 A KR 20210033677A KR 1020190115253 A KR1020190115253 A KR 1020190115253A KR 20190115253 A KR20190115253 A KR 20190115253A KR 20210033677 A KR20210033677 A KR 20210033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outlet
air
drone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095B1 (ko
Inventor
양승환
손현식
김덕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1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0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04N5/2252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유속과 사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무동력 또는 동력으로 작동됨으로써 드론 비행 중에 카메라 렌즈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eventing a pollution of drone camera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 비행 중에 카메라와 카메라 주변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카메라 렌즈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무동력 또는 동력으로 작동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 오염 방지 방법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항공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 uninhabited aerial vehicle)를 의미한다. 드론은 군사용으로 최초에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군사용 뿐만 아니라 지리 정보, 날씨, 작물 생육, 재난 관리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가 오염되면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농업용 방제 또는 재난 관리 등에 사용되는 드론은 공기 중에 포함된 가스, 먼지, 분무액, 물방울 등으로 인해 카메라 렌즈가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482759호는 감시카메라의 투명창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수분 등을 와이퍼로 제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와이퍼가 작동하여 투명창을 닦아내는 방식으로 이물질 등을 제거하므로 카메라 렌즈에 적용하기에 부적절하다는 문제점과, 와이퍼의 작동을 위해 전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장치는 투명창에 이미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이고 이물질이 투명창에 부착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드론 비행 중에 이물질 등이 카메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 렌즈에 이미 부착된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동력 또는 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렌즈에 흠집을 내지 않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100)는,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 속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는 사이클론 유닛; 및, 사이클론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카메라(1)는 배출구(12) 또는 배출구(12)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깨끗한 공기는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카메라(1)와 카메라(1) 주변의 이물질을 함께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유입구(16)는 드론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입구(16)는 배출구(12)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유입구(16)가 형성되고 사이클론 유닛이 설치된 하부 공간(15); 및, 상기 깨끗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14)와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카메라(1)가 설치된 상부 공간(1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깨끗한 공기는 통로(14)와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2)는 드론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14)에서 카메라(1)의 상류측에는 송풍팬(3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송풍팬(30)은 사이클론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상기 사이클론 유닛은 상부 먼지수집통(50)과 하부 먼지수집통(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먼지수집통(50)은 유입구(16)와 통하고 원기둥(52)과 필터(5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54)는 원기둥(52)에 설치된다.
하부 먼지수집통(70)은 그 윗면에 관통공(72)이 형성되고 관통공(72)의 주변은 관통공(72)을 향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구(16)를 통해 상부 먼지수집통(50)에 유입된 공기는 원기둥(52)의 둘레를 나선형 궤도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되, 공기 속의 이물질은 관통공(72)을 통해 하부 먼지수집통(70)으로 이동하고 깨끗한 공기는 필터(54)와 원기둥(52)을 통과하여 통로(14)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먼지수집통(50)의 측면에는 가이드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51)는 유입구(16)와 상부 먼지수집통(50)을 경사면 또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연결하되 유입구(16)에서 상부 먼지수집통(50)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로 감소하고, 가이드부(51)는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부 먼지수집통(50)의 내부로 유도한다.
가이드부(51)는 상부 먼지수집통(50)의 측면 중앙에서 측방향으로 편심된 부분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51)를 통해 상부 먼지수집통(50)에 유입된 공기가 원기둥(52)의 둘레를 나선형 궤도를 따라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0)은 드론의 비행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고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이용하여 이물질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비행 속도가 상기 소정속도 미만인 경우에는 송풍팬(30)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2)에는 덮개(12a)가 설치될 수 있다. 덮개(12a)에는 배출구(12)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배출구(12)를 향한 공기 유속이 일정 속도 미만인 경우에는 덮개(12a)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공기 유속이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덮개(12a)가 열릴 수 있다.
카메라(1)는 배출구(12)의 상류에 설치되고, 카메라(1)가 설치된 곳의 하우징 벽면에는 공기 흐름을 카메라 렌즈 또는 카메라 렌즈의 앞쪽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경사면(13)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 렌즈 또는 카메라 렌즈 근처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방법은, (a) 드론의 비행 중에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단계; 및, (b)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는 배출구(12) 또는 배출구(12)의 상류에 설치되며, 상기 (b) 단계에서 깨끗한 공기가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카메라(1)와 카메라(1) 주변의 이물질을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드론은 농업용 방제 또는 재난 관리에 이용되고, 상기 이물질은 가스, 먼지, 분무액, 물방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드론 비행 중에 이물질 등이 카메라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 렌즈에 이미 부착된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 촬영이 목적인 무인항공기에 활용될 수 있고, 특히 대기 환경이 취약하거나 안개 등의 부유물질이 많은 조건에서 촬영을 해야 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둘째, 무동력 또는 동력으로 작동되므로 드론의 전원 소비를 최소화하고 무게 증가를 줄일 수 있다.
셋째, 공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카메라 렌즈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V-V'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100)는 하우징에 설치된 사이클론 유닛을 포함한다. 이물질을 포함하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에 유입되면 사이클론 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후 깨끗한 공기가 하우징에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카메라와 카메라 주변의 이물질을 함께 배출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이물질'은 드론 비행 중에 카메라 렌즈에 부착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가스, 분무액, 물방울 등을 의미한다.
하우징은 상부 공간(11)과 하부 공간(15) 및 앞면부재(19)를 포함한다. 상부 공간(11)과 하부 공간(15)은 분리되어 있되, 연결공(18a)(18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사이클론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깨끗한 공기는 원기둥(52)과 연결공(18a)(18b)을 통해서 상부 공간(11)에 유입된다.
상부 공간(11)은 깨끗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14)와, 통로(14)의 끝단에 형성된 배출구(12)를 포함한다. 카메라(1)는 통로(14)에서 배출구(12)의 상류에 설치되거나 배출구(12)에 설치된다. 여기서, '카메라(1)가 통로(14)에서 배출구(12)의 상류에 설치된다'는 것은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깨끗한 공기가 카메라(1)를 통과하여 배출구(12)에 도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배출구(12)는 깨끗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배출구(12)는 드론의 비행 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12), 바람직하게는 앞면부재(19)에 덮개(12a)가 설치될 수 있다. 덮개(12a)에는 배출구(12)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는데, 배출구(12)를 향한 공기 유속이 일정 속도 미만인 경우, 예를 들어 1m/s 미만인 경우에는 덮개(12a)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공기 유속이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1m/s 이상 때에는 덮개(12a)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드론이 비행을 하지 않거나 보관 상태인 경우에 카메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구(12)를 닫는 방향으로 덮개(12a)에 힘이 인가되는 구성은 스프링(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한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카메라(1)는 배출구(12)와 근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는데, 카메라(1)가 설치된 곳의 하우징 벽면에는 가이드 경사면(1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경사면(13)은 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통로(14) 중심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면으로서 공기 흐름을 카메라 렌즈 또는 카메라 렌즈의 앞쪽으로 유도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 렌즈 또는 카메라 렌즈 근처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부 공간(15)은 사이클론 유닛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사이클론 유닛은 상부 먼지수집통(50)과 하부 먼지수집통(70)을 포함한다.
상부 먼지수집통(50)은 원형 단면의 내부공간을 갖는 통으로서, 그 아랫면이 개방되고 윗면은 밀폐되어 있다. 상부 먼지수집통(50)은 원기둥(52)과 필터(54)와 유입구(16) 및 가이드부(51)를 포함한다.
원기둥(52)은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으로서, 그 하단에는 필터(54)가 설치된다. 필터(54)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즉, 필터(54)에 의해서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는 원기둥(52)의 내부에서 상승한 후 연결공(18a)(18b)을 통해서 통로(14)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원기둥(52)의 상단에는 송풍팬(30)이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드론 내부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원기둥(52) 속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12) 쪽으로 배출함으로써 통로(14)의 공기 이동속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드론의 비행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인 경우에는 송풍팬(30)을 이용하여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드론의 비행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송풍팬(30)을 작동하지 않고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100)가 1 m/s의 공기 유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드론의 비행속도가 1 m/s 이상일 경우에는 송풍팬(30)이 작동하지 않고 1 m/s 미만인 경우에는 송풍팬(30)이 작동한다. 그리고, 드론의 비행속도는 드론의 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별도의 속도 센서를 장착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유입구(16)는 드론의 진행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유입구(16)는 배출구(12) 보다 그 단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구(16)는 가이드부(51)에 의해 상부 먼지수집통(5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부(51)가 상부 먼지수집통(50)의 측면 중앙에서 측방향으로 편심된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가이드부(51)가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면 가이드부(51)를 통해 상부 먼지수집통(50)에 유입된 공기가 원기둥(52)의 둘레를 나선형 궤도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이드부(51)는 유입구(16)에서 상부 먼지수집통(50)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로 감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부(51)는, 공기의 속도 저감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입구(16)와 상부 먼지수집통(50)을 경사면 또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먼지수집통(70)은 상부 먼지수집통(50)의 하단에 결합되어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하부 먼지수집통(70)과 상부 먼지수집통(50)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 먼지수집통(70)의 아랫면은 뚜껑판(74)으로 밀폐되어 있다. 하부 먼지수집통(70)에 수집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뚜껑판(74)은 하부 먼지수집통(7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먼지수집통(70)의 중앙에는 관통공(72)이 형성되고, 관통공(72)의 주변은 관통공(72)을 향한 하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가이드부(51)를 통해 상부 먼지수집통(5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원기둥(52)의 둘레를 나선형 궤도를 따라 아래로 이동한 후, 공기 속의 이물질은 관통공(72)을 통해 하부 먼지수집통(70)으로 이동하고 깨끗한 공기는 필터(54)와 원기둥(52) 및 연결공(18a)(18b)을 통과하여 통로(14)로 이동한다.
앞면부재(19)는 하우징의 앞면에 설치되어 배출구(12) 및 유입구(16)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밀폐한다.
그러면, 아래에서는 상기 장치(100)를 이용한 드론용 카메라의 오염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드론 비행 중에 외부 공기가 유입구(16)와 가이드부(51)를 통해 상부 먼지수집통(50)에 유입된다. 가이드부(51)는 유입구(16)에서 상부 먼지수집통(50)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로 줄어들기 때문에 공기 유속이 빨라진다.
그리고, 가이드부(51)가 상부 먼지수집통(50)의 측면 중앙에서 측방향으로 편심된 부분에 연결되므로, 외부 공기는 상부 먼지수집통(50)의 내부에서 원기둥(52)의 둘레를 나선형 궤도록 따라 아래로 이동한다. 공기 중의 이물질, 예를 들어 가스, 먼지, 분무액, 물방울 등은 관통공(72)을 통해 하부 먼지수집통(70)으로 이동되고 깨끗한 공기는 필터(54)와 원기둥(52) 및 연결공(18a)(18b)를 통해 통로(14)로 이동된다.
송풍팬(30)은 드론의 비행 속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의 비행 속도가 1m/s 이상인 경우에는 송풍팬(30)이 작동하지 않고 공기 유속만으로 장치(100)가 작동되고 드론의 비행 속도가 1m/s 미만인 경우에는 송풍팬(30)이 작동한다.
한편, 통로(14)로 이동된 깨끗한 공기는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카메라(1) 및 카메라(1) 주변의 이물질을 함께 외부로 배출한다. 예를 들어, 먼지가 많은 곳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장치(100)가 작동하면 배출구(12)를 통해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면서 카메라(1) 및 카메라(1) 주변의 먼지를 제거하므로 카메라 렌즈가 오염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이미 렌즈에 부착된 먼지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오염을 방지하므로 농업용 방제, 재난 관리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카메라 11 : 상부 공간
12 : 배출구 12a : 덮개
13 : 가이드 경사면 14 : 통로
15 : 하부 공간 16 : 유입구
18a, 18b : 연결공 19 : 앞면부재
30 : 송풍팬 50 : 상부 먼지수집통
51 : 가이드부 52 : 원기둥
54 : 필터 70 : 하부 먼지수집통
72 : 관통공 74 : 뚜껑판
100 :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Claims (13)

  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 속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는 사이클론 유닛; 및,
    사이클론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카메라는 배출구 또는 배출구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깨끗한 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카메라와 카메라 주변의 이물질을 함께 배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구는 드론의 진행방향을 향하고,
    유입구는 배출구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유입구가 형성되고, 사이클론 유닛이 설치된 하부 공간; 및,
    상기 깨끗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14)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카메라가 설치된 상부 공간;을 포함하고,
    사이클론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깨끗한 공기는 통로(14)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배출구는 드론의 진행방향을 향하고,
    상기 통로(14)에서 카메라의 상류측에는 송풍팬이 설치되고, 송풍팬은 사이클론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유속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사이클론 유닛은 상부 먼지수집통과 하부 먼지수집통을 포함하고,
    상부 먼지수집통은 유입구와 통하고 원기둥과 필터를 포함하되, 필터는 원기둥에 설치되고,
    하부 먼지수집통은 그 윗면에 관통공(72)이 형성되고 관통공(72)의 주변은 관통공(72)을 향한 하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유입구를 통해 상부 먼지수집통에 유입된 공기는 원기둥의 둘레를 나선형 궤도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되, 공기 속의 이물질은 관통공(72)을 통해 하부 먼지수집통으로 이동하고 깨끗한 공기는 필터와 원기둥을 통과하여 통로(14)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부 먼지수집통의 측면에는 가이드부(51)가 구비되고,
    가이드부(51)는 유입구와 상부 먼지수집통을 경사면 또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연결하되 유입구에서 상부 먼지수집통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로 감소하고, 가이드부(51)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부 먼지수집통의 내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가이드부(51)는 상부 먼지수집통의 측면 중앙에서 측방향으로 편심된 부분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부(51)를 통해 상부 먼지수집통에 유입된 공기가 원기둥의 둘레를 나선형 궤도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송풍팬은 드론의 비행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고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이용하여 이물질 필터링이 이루어지며,
    비행속도가 상기 소정속도 미만인 경우에는 송풍팬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구에는 덮개가 설치되고,
    덮개에는 배출구를 닫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배출구를 향한 공기 유속이 일정속도 미만인 경우에는 덮개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공기 유속이 일정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덮개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카메라는 배출구의 상류에 설치되고, 카메라가 설치된 곳의 하우징 벽면에는 공기 흐름을 카메라 렌즈 또는 카메라 렌즈의 앞쪽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경사면(13)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 렌즈 또는 카메라 렌즈 근처의 이물질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11. (a) 드론의 비행 중에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 중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단계; 및,
    (b)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카메라가 배출구 또는 배출구의 상류에 설치되며,
    상기 (b) 단계에서 깨끗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카메라와 카메라 주변의 이물질을 함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드론의 비행속도가 소정 속도 미만인 경우에는 송풍팬을 이용하여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드론의 비행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송풍팬을 작동하지 않고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농업용 방제 또는 재난 관리에 이용되고, 상기 이물질은 가스, 먼지, 분무액, 물방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방법.
KR1020190115253A 2019-09-19 2019-09-19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244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253A KR102244095B1 (ko) 2019-09-19 2019-09-19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253A KR102244095B1 (ko) 2019-09-19 2019-09-19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677A true KR20210033677A (ko) 2021-03-29
KR102244095B1 KR102244095B1 (ko) 2021-04-23

Family

ID=7524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253A KR102244095B1 (ko) 2019-09-19 2019-09-19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426B1 (ko) * 2022-12-02 2023-07-12 정민권 카메라 렌즈의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드론
KR102657049B1 (ko) * 2023-08-26 2024-04-12 주식회사 비욘더게임 인공지능에 기반한 실시간 스포츠 하이라이트 영상 편집 및 생성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6095A (ja) * 2003-04-10 2004-11-18 Canon Inc 撮像装置用清掃装置
JP2008170808A (ja) * 2007-01-12 2008-07-24 Sharp Corp 集塵機構並びに投射型映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00054247A (ko) * 2008-11-14 2010-05-25 김문섭 실외 공기 주입식 프로젝터 공기정화장치
KR20120139332A (ko) * 2011-06-17 2012-12-27 (주)신도계전 공랭식 카메라용 하우징
KR20170044887A (ko) * 2015-10-16 2017-04-26 강다혜 바람을 이용한 비행 드론의 카메라 렌즈 이물질 제거용 송풍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6095A (ja) * 2003-04-10 2004-11-18 Canon Inc 撮像装置用清掃装置
JP2008170808A (ja) * 2007-01-12 2008-07-24 Sharp Corp 集塵機構並びに投射型映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00054247A (ko) * 2008-11-14 2010-05-25 김문섭 실외 공기 주입식 프로젝터 공기정화장치
KR20120139332A (ko) * 2011-06-17 2012-12-27 (주)신도계전 공랭식 카메라용 하우징
KR20170044887A (ko) * 2015-10-16 2017-04-26 강다혜 바람을 이용한 비행 드론의 카메라 렌즈 이물질 제거용 송풍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426B1 (ko) * 2022-12-02 2023-07-12 정민권 카메라 렌즈의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드론
KR102657049B1 (ko) * 2023-08-26 2024-04-12 주식회사 비욘더게임 인공지능에 기반한 실시간 스포츠 하이라이트 영상 편집 및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095B1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095B1 (ko) 드론용 카메라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US11052434B2 (en) Positive air pressure system (PAPS) for camera enclosures in dirty environments
US5040424A (en) High volume PM10 sampling inlet
US4461183A (en) Ambient aerosol sampler inlet
JPH0240212A (ja) Pm10サンプル用入口装置およびサンプル装置
US4385912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liquid and foam from gas
DK0556626T3 (da) Indretning til fjernelse af støv fra støvholdig luft bortsuget fra en emnebearbejdningsmaskine
KR102099117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가로등 분전반
EP0337940A1 (en) Filter
KR102242696B1 (ko) 운행중인 차량을 활용한 대기 중 미세먼지 제거장치
CN210614356U (zh) 一种建筑工程用砂石筛选装置
EP3269952B1 (en) Oil mist filter and oil separator
EP0188250A2 (en) Liquid aspirator vacuum attachment
FI67039B (fi) Dekanteringscyklon foer avskiljning av luft fraon laetta aemnen
US7096749B2 (en) Air sampling device and method
CN106823635B (zh) 仿生动物鼻腔结构的粘液毛柱式防雾霾装置
JPS59225719A (ja) 空気濾過装置
JP3323843B2 (ja) 洗浄装置
JPH0120914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RU2299414C1 (ru) Персональный пробоотборник
US6206943B1 (en) Separator system for aircraft waste system
CN114368478A (zh) 一种具有角度调节机构的测绘实景的无人机
US4242908A (en) Particulate sampler shield
KR102554426B1 (ko) 카메라 렌즈의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드론
KR102234965B1 (ko) 청소용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