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965B1 - 청소용 차량 - Google Patents

청소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965B1
KR102234965B1 KR1020200122012A KR20200122012A KR102234965B1 KR 102234965 B1 KR102234965 B1 KR 102234965B1 KR 1020200122012 A KR1020200122012 A KR 1020200122012A KR 20200122012 A KR20200122012 A KR 20200122012A KR 102234965 B1 KR102234965 B1 KR 10223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ction
road surface
baffle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965B9 (ko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강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강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강기업
Priority to KR102020012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65B1/ko
Publication of KR10223496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6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54Apparatus in which the mechanically dislodged dirt is partially sucked-off, e.g. dislodging- sweeping apparatus with dirt collector in brush housing or dirt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 상태에 따라 이물질 흡입 유무/세기/영역을 조절하여 보다 효율적인 노면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청소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빨아들여 방출하는 블로워부; 상기 블로워부와 연결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상기 블로워부로 이송되는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링부; 노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노면정보 획득부; 획득된 노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로워부와 상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용 차량{Cleaning vehicles}
본 발명은 노면 상태에 따라 이물질 흡입 유무/세기/영역을 조절하여 보다 효율적인 노면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청소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PTO축과 조인트축을 매개로 일체화 연결되고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플러머블럭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에 로터가 일체로 결합된 클러치축; 상기 로터의 외측에 로터가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을 매개로 끼움 설치되고 일측에 고정된 고정구가 기대프레임을 관통하여 일체로 고정되며 타측 선단에 코일이 삽입 설치된 마그네트; 상기 클러치축의 외측에 베어링 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로터와 밀착되는 아마추어가 부착된 동력풀리를 구비하여 된 동력단속기; 상기 동력풀리와 밸트를 매개로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블로워축에 일체로 설치된 블로워; 상기 블로워축의 선단에 설치되고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감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회전수 감지판; 상기 감지돌기가 센싱홈을 통과할 때 이를 감지한 후 블로워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과부하시 동력 단속기의 연결을 차단하는 회전수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PTO를 이용한 노면청소차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노면의 슬러지를 부유시키는 고압살수장치; 부유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상기 청소차량의 슬러지 적재함으로 모이게 하는 흡입장치와; 상기 청소차량의 슬러지 적재함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여과시키는 필터장치; 상기 필터장치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장치를 통과한 청정 공기가 상기 청소차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청정공기 배출덕트; 상기 청정공기 배출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청정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청소차량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흡입 팬장치; 를 포함하는 노면의 비점오염 물질 제거용 청소차량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바디; 바디에 구비되고 차량 주행시 터널의 피청소면에 접촉되어 청소하기 위해 회전되는 브러시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청소부; 를 포함하는 터널 청소차량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주행동력을 제공 하는 주동력부; 노면의 이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거부; 흡입력을 통해 노면의 이물을 상기 수거부로 이동시키는 흡입부; 진공원을 발생시켜 상기 흡입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를 구동하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동력부; 를 포함하는 보조동력장치 및 클러치를 구비한 노면청소차량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0891990 B1 (2009년04월08일) KR 10-2069546 B1 (2020년01월28일) KR 10-1597487 B1 (2016년02월25일) KR 10-2019-0031127 A (2019년03월25일)
본 발명은 노면 상태에 따라 이물질 흡입 유무/세기/영역을 조절하여 보다 효율적인 노면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청소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청소용 차량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공기를 빨아들인 후 방출하는 블로워부(100); 상기 블로워부(100)와 연결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부(200); 상기 흡입부(200)를 통하여 상기 블로워부(100)로 이송되는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링부(300); 노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노면정보 획득부(400); 획득된 노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로워부(100)와 상기 흡입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블로워부(100), 상기 흡입부(200), 상기 필터링부(300),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 상기 제어부(5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이동하는 운송몸체(6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흡입부(200)의 단부를 연장하여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는 연장부(7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필터링부(300) 내부에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낙하 필터링하는 배플부(8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필터링부(30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개방부(9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발명이며, 노면과 마주보는 상기 흡입부(200)의 단부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모듈(HM); 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을 빨아들여 노면을 청소하는 청소용 차량에 있어서, 공기를 빨아들인 후 방출하는 블로워부(100); 상기 블로워부(100)와 연결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부(200); 상기 흡입부(200)를 통하여 상기 블로워부(100)로 이송되는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링부(300); 노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노면정보 획득부(400); 획득된 노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로워부(100)와 상기 흡입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500); 상기 흡입부(200)는 유로(201)를 형성하는 덕트부(210); 상기 유로(201) 상에 구비되어 개별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형성 관(230); 각각의 상기 유로형성 관(230)을 개폐하는 흡입 조절밸브(240); 상기 제어부(500)는 노면상태에 따라 상기 흡입 조절밸브(240)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부(200)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 상기 필터링부(300) 내부에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낙하 필터링하는 배플부(800); 상기 배플부(800)는 상기 흡입부(2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배플(810); 상기 필터링부(300)측면에 상기 제1 배플(810)과 대향 배치되는 제3 배플(830); 상기 제1 배플(810)과 상기 제3 배플(830) 사이에 엇갈리게 배치되어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게 만드는 제2 배플(820); 상기 제3 배플(830)은 공기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이클론 형성공(83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면의 상태를 파악한 후 이를 반영하여 블로워부의 작동 유무/세기를 조절 가능하므로 청소에 사용되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노면의 상태를 파악한 후 이를 반영하여 흡입부의 작동 영역을 조절 가능하므로 흡입부의 석션 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노면 상태 판단 정보가 작업자 판단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므로, 보다 정확한 노면 상태 판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부가 연장부에 의해 지면으로 연장형성 되므로, 지면과 석션부의 이격거리가 최소화되어 흡입부의 흡입능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된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경로가 상하방향으로 반복 형성되므로, 공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보다 많이 낙하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개방부의 가장자리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개방부의 밀폐능력을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청소용 차량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흡입부의 측면과 단면 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도 3은 제어부를 이용한 흡입부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흡입부에 연장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은 필터링부 상에 배플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개방부 상에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공기를 빨아들인 후 방출하는 블로워부(100); 상기 블로워부(100)와 연결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부(200); 상기 흡입부(200)를 통하여 상기 블로워부(100)로 이송되는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링부(300); 노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노면정보 획득부(400); 획득된 노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로워부(100)와 상기 흡입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한다.
종래의 청소용 차량은 장치 작동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끝나는 순간까지 동일한 힘으로 노면에 위치된 모든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노면을 청소하였다.
그러나, 이물질의 상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힘으로 이물질을 빨아들일 경우, 밀도가 큰 이물질에 맞춰 흡입력을 조절하게 되면 많은 에너지가 낭비되고, 밀도가 낮은 이물질에 맞춰 흡입력을 조절하면 밀도가 큰 이물질을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위의 문제점을 해소 가능한 새로운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노면정보를 획득 후 이에 맞춰 블로워부(100)의 작동유무/출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흡입부(200)의 작동유무/석션영역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위의 문제점을 해소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노면이 건조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블로워부(100)의 출력을 낮추고, 노면이 젖은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블로워부(100)의 출력을 높이고, 노면에 물웅덩이가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물질 흡입이 어려우므로 블로워부(100) 작동을 정지시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하였고, 노면에 젖은 영역, 건조 영역, 웅덩이 발생 영역 중 2개 이상의 영역이 인접 위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흡입부(220)가 각각의 영역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청소 가능하게 하여 석션 효율을 높여 준 것이다.
이때, 상기 블로워부(100)와 상기 흡입부(200)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제어부(500)가 블로워부(100)와 흡입부(200)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노면의 정보는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에서 영상 촬영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200)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석션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링부(300)에서 제거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블로워부(10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부(100)는 엔진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부(100)는 배터리에서 전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워부(100)는 청소용 차량에 구비된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별도로 구비된 배터리에서 전력을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작동 방식은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1-4)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0)는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 흡입부(200A); 건조한 상태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 흡입부(200B);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0)는 이물질이 통과하는 유로(201)가 복수개로 분리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0)는 유로(201)를 형성하는 덕트부(210); 상기 유로(201) 상에 구비되어 유로(201)를 복수개로 구획하는 유로 구획부(2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0)는 유로(201)를 형성하는 덕트부(210); 상기 유로(201) 상에 구비되어 개별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형성 관(230); 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0)는 흡입 유로 또는 흡입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흡입 조절밸브(240); 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200)는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 흡입부(200A)와, 건조한 상태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 흡입부(200B)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흡입부를 모두 포함할 경우, 상기 제1 흡입부(200A)와 상기 제2 흡입부(200B)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흡입부(200)로 흡입되는 이물질은 먼지, 작은 크기의 자갈, 모래, 낙엽 등의 작고 밀도가 낮은 물질로, 수분이 함유될 경우 밀도가 높아져 흡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수분이 함유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 흡입부(200A)의 직경을 건조한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 흡입부(200B)보다 작게 하여, 보다 원활하게 이물질 흡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상기 제1 흡입부(200A)와 상기 제2 흡입부(200B)는 동일한 상기 블로워부(100)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동일한 흡입력을 가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직경 조절을 통하여 각각의 흡입부가 목적에 적합한 흡입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흡입부(200A)와 상기 제2 흡입부(200B)는 노면에 위치된 이물질의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만 선택 사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만 선택 사용될 경우 블로워부(100)가 동일한 파워로 작동되더라도 흡입력을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흡입부(2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물질이 빨아들여지는 유로(201)가 복수개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로의 분리는 관형의 덕트부(210) 내부에 유로 구획부(220)가 구비되어 유로(201)를 복수개로 분리하는 제1 TYPE과, 덕트부(210)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형성 관(230)이 구비되어 유로(201)를 복수개로 분리하는 제2 TYPE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로 구획부(220) 또는 상기 유로형성 관(230)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유로(201)는 상기 흡입 조절밸브(240)에 의해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웅덩이가 고여있는 노면의 경우 청소 과정에서 흡입부(200)를 통하여 웅덩이에 고여있는 다량의 물이 흡입되며, 이러한 물의 흡입은 장치의 고장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어, 웅덩이를 피하여 청소가 진행되는 것이 권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이 지나가며 청소하는 영역 상에 청소가 필요한 영역과, 웅덩이가 고여 청소 진행이 권장되지 않는 영역이 동시에 위치될 경우,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우려하여 청소를 하지 않고 지나가게 되면 노면 청소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입부(200) 상에 형성된 유로(201)를 상기 유로 구획부(220) 또는 상기 유로형성 관(230)으로 분리한 후,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흡입 조절밸브(240)를 작동시켜 구획된 유로(201)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청소용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의 좌측에 청소를 진행하여야 하는 영역이 위치되고, 우측에 웅덩이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흡입 조절밸부(240)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부(200)의 좌측 제1 영역(A)을 통한 석션을 진행하고, 흡입부(200)의 우측 제2 영역(B)을 통한 석션을 멈출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흡입부(200)의 일부 영역 작동이 멈출 경우, 작동이 멈춘 영역의 흡입력이 작동되는 영역에 더해져 작동 영역의 흡입력이 더욱 강화되므로,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블로워부(100) 모터의 RPM을 낮춰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도 있다.
(실시예 1-9)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300)는 상기 흡입부(200)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을 자중에 의한 낙하 방식으로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310); 상기 제1 필터링부(320)에서 필터링된 이물질을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부(3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0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링부(320)는 이물질을 2차 필터링하는 프리필터(321); 상기 프리필터(321)에서 2차 필터링된 이물질을 3차 필터링하는 미세먼지 필터(322); 를 포함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300)는 상기 제2 필터링부(320)에 공기를 인가하여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 퍼징부(330); 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워부(100)로 이동하는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링부(300)에 의해 분리 제거되어, 블로워부(100)에서는 깨끗한 공기가 배출된다.
그리고, 이물질 필터링은 상대적으로 큰 조대 이물질의 경우 상기 자중에 의한 낙하 방식으로 상기 제1 필터링부(310)에서 제거하고, 크기가 작아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이물질의 경우 상기 제2 필터링부(320)에서 제거한다.
이때, 상기 제1 필터링부(310)는 상기 흡입부(20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블로워부(1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거치게 되는 챔버(311)를 포함하며, 챔버(311) 내부에 수용공간(312)이 형성되어 필터링된 이물질이 보관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링부(320)는 상기 챔버(311)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 퍼징부(330)에서 상기 프리필터(321)와 미세먼지 필터(322)에 압축공기를 인가할 경우, 프리필터(321)와 미세먼지 필터(322)에 부착된 공기가 수용공간(312)으로 낙하 제거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1-12)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는 노면을 촬영하여 노면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13)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노면상태 분류에 사용되는 분류정보가 저장되는 분류정보 저장부(510); 상기 분류정보 저장부(510)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노면상태를 분류하는 노면상태 분류부(520); 상기 노면상태 분류부(520)에서 분류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로워부(100)의 흡입세기와 흡입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블로워 작동 조절부(530); 상기 노면상태 분류부(520)에서 분류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부(200)의 흡입영역을 조절하는 흡입부 작동 조절부(54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14)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에서 획득한 영상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노면상태 분류 판단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550); 상기 노면상태 분류부(520)에서 노면상태 분류 판단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 시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 입력부(550)를 통하여 노면상태 분류를 요청하며, 상기 정보 입력부(5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판단 정보를 상기 분류정보 저장부(510)에 저장하는 학습부(56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15)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1-14에 있어서, 상기 노면상태 분류부(520)는 상기 학습부(560)를 통하여 상기 분류정보 저장부(510)에 저장된 사용자 판단 정보를 1순위로, 상기 분류정보 저장부(510)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2순위로하여 노면상태를 분류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노면 상태에 따른 상기 블로워부(100)의 작동유무 및 RPM 조절과, 상기 흡입부(200)의 흡입영역 조절은 상기 제어부(500)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500)에서 블로워부(100) 및 흡입부(200) 제어 판단을 위한 정보는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에서 노면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노면상태 분류부(520)에서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에서 수신된 영상정보와 상기 분류정보 저장부(51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노면상태를 영역별로 분류하고, 상기 블로워 작동 조절부(530)와 상기 흡입부 작동 조절부(540)가 상기 노면상태 분류부(520)에서 분류된 영역별 노면상태에 대응하여 각각 블로워부(100)의 작동유무 및 세기, 흡입부(200)의 석션영역을 조절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의 영역 분류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노면의 영역별 상태를 청소 가능한 제1 영역(A)과 청소가 불가능한 제2 영역(B)으로 1차 분류하고, 청소가 가능한 제1 영역(A)의 경우 강한 흡입력이 필요한 젖은 상태의 1-1 영역과 약한 흡입력으로도 충분히 청소가 가능한 마른 상태의 1-2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면상태 분류부(520)는 물 웅덩이를 분류하는 물 웅덩이 분류부(521)와, 건조노면을 분류하는 건조노면 분류부(522)와, 젖은 노면을 분류하는 젖은노면 분류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면상태 분류부(520)의 노면상태 분류 판단은 상기 분류정보 저장부(510)에 저장된 영상과의 비교하여, 일치율이 일정 퍼센트지 이상일 경우 비교된 노면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판단되어지나, 상기 분류정보 저장부(510)에 저장된 영상으로 판단이 어려운 노면상태의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550)를 통한 사용자의 판단 정보가 입력되며, 사용자 정보 입력부(5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판단 정보는 상기 학습부(560)를 통하여 상기 분류정보 저장부(510)에 저장되어, 이후 노면상태 분류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류정보 저장부(510)에 모든 노면상태 판단을 위한 모든 정보가 저장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하며 분류 판단이 어려운 정보를 판단하면, 상기 학습부(560)에서 이를 저장하여 이후 분류 판단에 사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부(100), 상기 흡입부(200), 상기 필터링부(300),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 상기 제어부(5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이동하는 운송몸체(6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운송몸체(600)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작동 및 조향을 조절하는 탑승부(6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운송몸체(600)는 노면에 물을 뿌리는 살수부(6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운송몸체(600)는 상기 블로워부(100), 상기 흡입부(200), 상기 필터링부(300),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 상기 제어부(500)와의 접촉면에 위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노면 청소를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노면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이물질 제거에 사용되는 상기 블로워부(100), 흡입부(200). 필터링부(300). 노면정보 획득부(400). 제어부는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운전자에 의해 이동하는 운송몸체(600) 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운송몸체(600) 상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각 구성을 제어 가능한 탑승부(610)가 형성되며, 청소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노면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운송몸체(600)는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로, 엔진이 작동하며 발생하는 진동이 타 구성에 전달될 경우 장치를 파손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운송몸체(600)와 각 구성의 연결부에는 충격흡수부가 형성되어, 진동이 연결면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진동흡수부는 다양한 진동 감쇠장치, 연결면에 위치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 가능한 고무, 스펀지, 스티로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0)의 단부를 연장하여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는 연장부(7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700)는 상기 흡입부(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관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700)는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710); 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200)가 노면의 이격거리가 줄어들수록 흡입부(200)의 흡입능력이 향상되므로, 상기 흡입부(200)의 단부에는 관형의 연장부(700)가 결합되어 흡입부(200)와 노면의 이격거리를 최소화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연장부(700)는 노면과 접할 시 파괴되지 않도록 외력에 대응하여 벤딩 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권장하며, 단부가 지면과 접할 시에도 이물질을 흡입 가능하도록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절개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300) 내부에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낙하 필터링하는 배플부(8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배플부(800)는 상기 흡입부(2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배플(810); 상기 필터링부(300)측면에 상기 제1 배플(810)과 대향 배치되는 제3 배플(830); 상기 제1 배플(810)과 상기 제3 배플(830) 사이에 엇갈리게 배치되어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게 만드는 제2 배플(8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3 배플(830)은 공기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이클론 형성공(831); 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링부(300)중 상기 제2 필터링부(320)는 필터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일정 이상의 이물질이 부착되면 교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필터링부(310) 상에 상기 배플부(800)를 형성하여, 제1 필터링부(310) 상에서 보다 많은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상기 배플(800)은 제1 필터링부(310)를 구성하는 챔버(311)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여, 공기가 하강 후 상승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이물질이 필터링 되도록 하며, 상기 제2 필터링부(320)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 배플(830) 상에는 사이클론 형성공(831)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부딪혀 와류를 형성하게 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조대한 이물질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 필터링 되지만, 미세한 이물질의 경우 공기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2 필터링부(320)를 막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와류를 형성하여 미세먼지가 부딪히며 조대화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30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개방부(9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900)는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절곡부(910); 상기 절곡부(910)에 밀착 결합되는 실링부재(920); 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링부(300) 중 상기 제1 필터링부(310)를 구성하는 챔버(311)는 낙하 필터링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이러한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는 상기 개방부(900)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챔버(311)와 개방부(900)의 결합면이 완벽하게 실링되지 않을 경우, 상기 블로워부(100)로 공기를 빨아들여도, 결합면을 통하여 공기가 챔버(311)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흡입부(200)의 석션 능력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챔버(311)와 결합되는 상기 개방부(900)의 가장자리에 단차진 절곡부(910)를 형성하고, 단차진 절곡부(910) 각각에 실링부재(920)를 결합하여 준 것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청소용 차량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노면과 마주보는 상기 흡입부(200)의 단부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모듈(H); 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인 청소용 차량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모듈(HM)은 상기 흡입부(200)에 결합되어 흡입부(200)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모듈(H1); 상기 흡입부(200)의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모듈(H1)에 결합되어 흡입부(200)의 단부가 노면과 접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2 모듈(H2); 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200)의 단부가 노면과 닿을 경우 흡입부(20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흡입부(200)의 단부는 지면으로부터의 흡입부(200)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높이조절 모듈(HM)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 모듈(HM)은 노면에서 상기 흡입부(200)를 일정거리 이격시켜야 하므로, 흡입부(200)의 단부를 지지하는 제2 모듈(H2)의 지지부(H2-1)는 지면과 접하는 상기 제1 모듈(H1)의 바퀴(H1-1)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권장한다.
100 : 블로워부
200 : 흡입부 200A : 제1 흡입부
200B : 제2 흡입부 201 : 유로
210 : 덕트부 220 : 유로 구획부
230 : 유로형성 관 240 : 흡입 조절밸브
300 : 필터링부 310 : 제1 필터링부
320 : 제2 필터링부 321 : 프리필터
322 : 미세먼지 필터 330 : 에어 퍼징부
400 : 노면정보 획득부
500 : 제어부 510 : 분류정보 저장부
502 : 노면상태 분류부 530 : 블로워 작동 조절부
540 : 흡입부 작동 조절부 550 : 사용자 정보 입력부
560 : 학습부
600 : 운송몸체 610 : 탑승부
620 : 살수부
700 : 연장부 710 : 절개부
800 : 배플부 810 : 제1 배플
820 : 제2 배플 830 : 제3 배플
831 : 사이클론 형성공
900 : 개방부 910 : 절곡부
920 : 실링부재
H : 높이조절 모듈 H1 : 제1 모듈
H2 : 제2 모듈

Claims (5)

  1. 이물질을 빨아들여 노면을 청소하는 청소용 차량에 있어서,
    공기를 빨아들인 후 방출하는 블로워부(100);
    상기 블로워부(100)와 연결되어 노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부(200);
    상기 흡입부(200)를 통하여 상기 블로워부(100)로 이송되는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필터링부(300);
    노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노면정보 획득부(400);
    획득된 노면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로워부(100)와 상기 흡입부(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500);
    상기 흡입부(200)는 유로(201)를 형성하는 덕트부(210); 상기 유로(201) 상에 구비되어 개별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유로형성 관(230); 각각의 상기 유로형성 관(230)을 개폐하는 흡입 조절밸브(240);
    상기 제어부(500)는 노면상태에 따라 상기 흡입 조절밸브(240)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부(200)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
    상기 필터링부(300) 내부에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낙하 필터링하는 배플부(800);
    상기 배플부(800)는 상기 흡입부(2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배플(810); 상기 필터링부(300)측면에 상기 제1 배플(810)과 대향 배치되는 제3 배플(830); 상기 제1 배플(810)과 상기 제3 배플(830) 사이에 엇갈리게 배치되어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게 만드는 제2 배플(820);
    상기 제3 배플(830)은 공기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사이클론 형성공(831);을 포함하는 청소용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부(100), 상기 흡입부(200), 상기 필터링부(300), 상기 노면정보 획득부(400), 상기 제어부(5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이동하는 운송몸체(600); 를 포함하는 청소용 차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0)의 단부를 연장하여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는 연장부(700); 를 포함하는 청소용 차량.
  4. 삭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30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개방부(900); 를 포함하는 청소용 차량.
KR1020200122012A 2020-09-22 2020-09-22 청소용 차량 KR10223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12A KR102234965B1 (ko) 2020-09-22 2020-09-22 청소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012A KR102234965B1 (ko) 2020-09-22 2020-09-22 청소용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965B1 true KR102234965B1 (ko) 2021-04-01
KR102234965B9 KR102234965B9 (ko) 2022-12-05

Family

ID=7544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012A KR102234965B1 (ko) 2020-09-22 2020-09-22 청소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96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634A (ko) * 2005-02-18 2006-08-23 최정희 노면청소차의 동결방지장치
KR100704375B1 (ko) * 2005-12-28 2007-04-06 (주)깨끗한도시 노면 청소 차량
KR100891990B1 (ko) 2007-12-26 2009-04-08 이텍산업 주식회사 차량의 엔진pto를 이용한 노면청소차
KR101103139B1 (ko) * 2009-01-23 2012-01-04 한국도로공사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청소가 가능한 도로청소차량
KR20150109812A (ko) * 2014-03-21 2015-10-02 하종일 노면의 상태에 따라 청소강도를 조절하는 청소차
KR101597487B1 (ko) 2015-04-06 2016-02-25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터널 청소차량
KR101773422B1 (ko) * 2017-04-12 2017-08-31 이텍산업 주식회사 쓰레기의 종류에 따른 흡입성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노면청소차
KR20190031127A (ko) 2017-09-15 2019-03-25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보조동력장치 및 클러치를 구비한 노면청소차량
KR101975035B1 (ko) * 2018-10-30 2019-05-03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KR102069546B1 (ko) 2019-02-14 2020-01-28 (주)깨끗한도시 노면의 비점오염 물질 제거용 청소차량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634A (ko) * 2005-02-18 2006-08-23 최정희 노면청소차의 동결방지장치
KR100704375B1 (ko) * 2005-12-28 2007-04-06 (주)깨끗한도시 노면 청소 차량
KR100891990B1 (ko) 2007-12-26 2009-04-08 이텍산업 주식회사 차량의 엔진pto를 이용한 노면청소차
KR101103139B1 (ko) * 2009-01-23 2012-01-04 한국도로공사 중앙분리대를 이용한 청소가 가능한 도로청소차량
KR20150109812A (ko) * 2014-03-21 2015-10-02 하종일 노면의 상태에 따라 청소강도를 조절하는 청소차
KR101597487B1 (ko) 2015-04-06 2016-02-25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터널 청소차량
KR101773422B1 (ko) * 2017-04-12 2017-08-31 이텍산업 주식회사 쓰레기의 종류에 따른 흡입성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노면청소차
KR20190031127A (ko) 2017-09-15 2019-03-25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보조동력장치 및 클러치를 구비한 노면청소차량
KR101975035B1 (ko) * 2018-10-30 2019-05-03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다단 이물질 처리 방식의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KR102069546B1 (ko) 2019-02-14 2020-01-28 (주)깨끗한도시 노면의 비점오염 물질 제거용 청소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965B9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163B1 (ko) 고효율 건식 노면 청소차
US7662199B2 (en) Cyclonic filter for surface maintenance machine
KR101898100B1 (ko) 건식 청소차
US20190125153A1 (en) Vacuum with integrated filter cleaning device
CN103338689A (zh) 自主真空吸尘器
CN110258409B (zh) 人行道清扫车
KR101578463B1 (ko) 제진된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KR102498701B1 (ko) 사이클론과 필터백을 이용한 초음파 탈진구조의 멀티집진장치
KR102221542B1 (ko) 이물질 필터링 모듈, 이물질 필터링 모듈을 이용하는 청소 차량
KR102234965B1 (ko) 청소용 차량
JP2004267680A (ja) 電気掃除機
WO2012146616A1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 water filter and a cyclone unit
KR102234978B1 (ko) 에너지 절약형 청소 차량
EP2257674B1 (en) Filter shaker assembly for sweeping machine
US8562704B2 (en) Integral vacuum fan housing
JP3783799B2 (ja) 穿孔装置のプレクリーナ
EP2262955B1 (en) Mobile surface maintenance machine
KR200376989Y1 (ko) 소형 청소차의 집진장치
JP3365410B1 (ja) 電気掃除機
JPS58222223A (ja) 土砂の真空排土装置
US20220220682A1 (en) Dry filtration system
JP3015891U (ja) 清掃装置
KR101459629B1 (ko) 공기조화기
CN212853351U (zh) 自移动清洁装置的集尘盒及具有其的自移动清洁装置
KR101980696B1 (ko) 대용량 저농도 분진용 집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