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422A -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422A
KR20210033422A KR1020200117917A KR20200117917A KR20210033422A KR 20210033422 A KR20210033422 A KR 20210033422A KR 1020200117917 A KR1020200117917 A KR 1020200117917A KR 20200117917 A KR20200117917 A KR 20200117917A KR 20210033422 A KR20210033422 A KR 20210033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eumhwagyu
wounds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수
박예인
차여은
장민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33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은 세포의 이동을 증가시키고, 정상 세포 및 노화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켜,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를 보인다.

Description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ound-healing comprising Hibiscus abelmoschus L. extract}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의 효과를 가지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에서 피부는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 우리의 몸을 보호하는 장벽 역할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장벽 역할을 하는 피부의 정상적인 구조가 파괴된 상태를 창상 혹은 상처라고 한다.
상처 치료는 일반적으로 크게 염증기, 증식기 그리고 재형성기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상처치유 기전은 상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랫트에서 절개상처 모형과 적출 상처 모형 등 여러 형태의 상처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처치유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염증기는 손상 후 즉시 반응이 나타나는 시기로 상처가 발생하면 혈소판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혈소판은 피브로넥틴(fibronectin), 피브린(fibrin), 비트로넥틴(vitroectin) 및 트롬보스폰딘(thrombospondin) 등이 유리된다. 활성화된 혈소판은 응집되어 혈액을 응고시키고, 혈소판유래 생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형질전환 생장인자-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와 같은 성장인자를 분비한다. 상처 초기에는 혈액에서 유래된 호중구와 단핵구가 나타난다. 단핵구는 손상 후 24 내지 36시간 이내에 상처 부위에 모이게 되고 상피세포가 뻗어나와 상처 표면을 덮고, 48 내지 72시간 후에 대식세포로 대체되어 상처 주위의 세균 및 사멸조직을 제거한다. 더불어 인터루킨-1(interleukin-1)과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TGF-β, PDGF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들과 성장인자들을 분비하여 염증세포 침윤을 촉진하며 섬유아세포의 침윤과 증식, 교원섬유 합성 촉진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처치유에 관여하는 세포로 알려진 비만세포는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손상혈관의 투과성을 증진시키고 호산구 및 호중구 등 염증세포 유주에 관여하며, 염증반응과 혈관신생 및 세포외기질의 재흡수에 관여하여 상처치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환성장인자-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는 생체내(in vivo)에서 연부 조직의 상처치유를 촉진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고, TGF-β1은 혈소판, 대식세포,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며, 교원섬유와 기타 기질 성분의 합성과 분비를 증가시켜 세포외기질의 구성과 양을 조절한다.
증식기는 손상 후 3일째부터 대식세포, 섬유아세포 등이 상처부위로 이동하여 육아조직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특히 이 시기에서는 혈관재생, 콜라겐 침착, 상피조직과 상처수축이 나타난다. 상처가 발생하면 24시간 이내에 상처 변연부에서 각질세포의 이동이 시작되고, 각질세포의 이동에는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와 성장인자 등이 관여한다. MMPs는 손상된 조직에서 세포 이동과 세포외기질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동한 각질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MMP-1은 아연을 포함하고 있는 세포외기질 단백분해효소로 세포외기질 중에서 세포간질이나 기저막 교원질, 단백당, 피브로넥틴, 라미닌 등의 단백질로 구성된 물질을 분해시켜 상처치유 시 결합조직 재형성에 관여한다.
재형성기는 상처 치유의 마지막 단계로 TGF-β에 의해 새로운 콜라겐이 합성되고, PDGF에 의해 기존 콜라겐은 분해되는데 이 과정에서 반흔이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섬유아세포와 각질세포의 수는 감소되고 혈액의 흐름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신속한 조직의 재생은 손상된 조직의 반흔 형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원래의 상태에 가깝게 회복시켜 기능적 또는 심미적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스테로이드 연고는 소염작용, 면역억제기능, 알레르기성 질환 등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으로 곰보자국, 피부주름, 모낭염 등을 유발하며, 무좀 등의 세균성 질환에는 효과가 없다. 또한, 항생제를 포함하는 연고는 내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아이들과 같은 연약한 피부 상처에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합성 의약품을 대신할 수 있는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 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금화규(Hibiscus abelmoschus L.,)의 상처치유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중 금화규(Hibiscus abelmoschus L.,) 추출물이 창상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금화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당업자들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다음의 참고문헌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된 여러 용어들의 일반적인 정의를 갖는 기술(skill)의 하나를 제공한다: Singleton et al., DICTIONARY OF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TY(2th ed. 1994); THE CAMBRIDGE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Walkered., 1988); 및 Hale & Marham, THE HARPER COLLINS DICTIONARY OF BIOLOGY.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도 있고, 유효성분으로서 금화규 추출물로 구성되는 조성물일 수도 있으며,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금화규 추출물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을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함유하는(including)’또는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by)’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 성분 또는 방법의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로 구성되는(consisting of)’이란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단계 또는 성분 등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essentially consisting of)’이란, 조성물 또는 방법의 범위에 있어서, 기재된 물질 또는 단계와 더불어 이의 기본적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 또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금화규”는 단년생 초본식물로, 학명은 Hibiscus abelmoschus L.,이며, 골드 히비스커스, 황금 해바라기 등으로 불린다. 주요성분은 플라본, 단백질, 리놀렌산, 식이섬유, 설레늄, 아연, 철 등이 있으며, 식물성 콜라겐이 풍부한 소재로 인정받고 있다. 더불어 각 부위마다 다른 효과를 보여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금화규의 꽃: <본초강목>에 따르면 금화규의 꽃은 해열해독, 장운동을 돕고,소염진통의 효과가 있으며 피로를 견디고 항암 효과가 있으며 3고(고혈압,고지혈,고혈당)를 낮추고 여성노쇠를 지연하고 미용 등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금화규의 꽃망울: 맛이 달고 냉성 무독하며 배변을 돕고, 해열해독효과가 있다. 현대 의학에서 금화규 꽃망울은 소염, 배변, 혈소판 응집 감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금화규의 껍질: 인체내 필수 아미노산과 미량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웅성호르몬이 높아 식물계의 흥분제로 불린다. 남성 성기능을 높이는데 뚜렷한 효과가 있으며, 장기간 복용하면 남성발기부전, 조루, 성욕저하 등에 치료 효과가 있다.
금화규의 줄기: <본초강목>에 따르면 금화규 줄기는 수면질량을 높이고, 심신을 안정시키고 혈압을 낮추며, 양기를 북돋고 신장을 보신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등 효능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목숨을 구하는 약초”, “장수초”라고도 불린다.
금화규의 뿌리: <본초강목>에 의하면 금화규 뿌리는 해열해독, 양기를 북돋고 신장을 보신하며, 3고(고혈압,고혈지,고혈당)를 낮추고, 면역력을 높이는 작용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은 추출물의 제조시 추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원료에 대한 건조 과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초임계 유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임계추출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및 압착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법으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은 금화규를 식품가공에 적합한 정제수, 에탄올 및 아임계수 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거나, 또는 금화규를 직접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Mpa 이상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금화규를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 MPa 내지 1000 MPa의 초고압 조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과 및/또는 농축하여 액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 통상의 건조 공정을 통하여 고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공정에서는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전 덱스트린 등을 혼합하여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은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질환의 예로는 비-치유 외상성 창상, 방사선조사에 의한 조직의 파괴, 찰과상, 열상, 결출상, 관통상, 총상, 절상, 화상, 동상, 수술상 또는 혈관질환 창상, 타박상, 각막창상, 욕창, 와창, 수술 후 봉합부위, 척추상해성 창상, 부인과적 창상, 피부궤양 및 화학적 창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의 정상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를 10회 이상, 최대 30회 계대 배양한 후(subculture),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반복된 계대 배양으로 인하여 노화된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은 정상 개체뿐만 아니라 노화된 개체의 창상에 대해서도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켜 치유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도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을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상 치유용 조성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창상 치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창상이 발생한 피부의 정상 피부로의 회복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금화규 추출물이 0.01 내지 9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금화규 추출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치유'란 치료되는 개체 또는 세포의 자연적 과정을 변경시키려는 임상적 시술을 의미하며, 임상적 병리의 예방을 위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치료의 바람직한 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 억제, 증상의 완화, 질병의 임의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의 감소, 질병 진행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호전, 완화 또는 개선된 예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는 금화규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5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시는 금화규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금화규 추출물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금화규 추출물을 창상 치유를 위한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은 또한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금화규 추출물에 대하여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피부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상기 금화규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금화규 추출물 또는 이의 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금화규 추출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창상 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 초과에서는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금화규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금화규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금화규 추출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화규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화규 추출물과 창상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금화규 추출물이 창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때, 그 양은 창상 개선용 작용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창상 치유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금화규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금화규 추출물과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창상 치유 또는 개선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긁혀진 세포층에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시 세포의 이동의 증가와 노화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된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상기 금화규 추출물은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사람의 정상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에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하고 세포의 이동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 중 (A)는 HDF 세포에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하고 세포층의 상대적인 간극(Relative Gap distance)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2 중 (B)는 상대적인 상처 치료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다회 계대배양한 HDF 세포에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하고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추출물이 세포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low passage는 젊은 세포에 해당하고, high passage는 노화된 세포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추출물이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노화된 세포들은 세포노화(senescence)의 표지인 senescence associated beta-galactosidase (SA-β-gal)를 발현한다.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SA-β-gal에 의한 염색이 유의하게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 P<0.0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추출물이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EZ-Cytox 세포 증식 분석 키트와 MTT 세포 증식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추출물이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HEK293 세포 증식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추출물이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유세포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금화규 추출물의 제조
금화규는 농장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고, 금화규 꽃 50g을 상온(25 ℃)에서 1,3-Butylene glycol 40% 수용액 0.5 L에 24 시간 침적시키고 추출 후 메쉬 필터와 멤브레인 필터(3㎛와 1㎛)로 1차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멤브레인 필터(0.45㎛)로 다시 여과하는 과정을 거쳐 금화규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세포 이동성 분석
금화규 추출물이 섬유아세포의 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의 정상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를 6 웰 플레이트에 1×106 로 분주하여 10% FBS가 첨가된 DMEM에 24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후 200 μl의 플라스틱 마이크로피펫 팁(plastic micropipette tip)을 이용하여 단일 세포층을 스크래치(scratch)한 후 시료를 농도별로(50, 100, 200 또는 400μg/ml) 처리하고 CO2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하며, 24시간, 48시간 72시간 마다 세포의 이동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처리하지 않은 경우(DMSO로 기재)와 비교하여 세포의 이동성이 급격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와 같이 스크래치난 세포층의 간극이 감소하였으며, 상처 치료율도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금화규 추출물을 50μg/ml 또는 100μg/ml 처리한 경우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3 : 노화세포의 생존율 평가
노화 세포에서의 금화규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DF 세포를 13번 계대배양 또는 30번 계대배양한 후, 금화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반복된 계대 배양으로 인하여 노화된 세포임에도 불구하고, 세포의 생존율이 금화규 추출물에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 노화세포의 노화 표지자 발현 감소
노화 세포에서의 금화규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DF 세포를 30번이상 계대배양한 후, 금화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염색에는 SA-β gal 염색 키트 (Cell Biolabs, USA)를 사용하였다. 먼저 10,000 개의 HDF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이를 금화규추출물을 처리한 후 세포를 고정하고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SA-β gal로 염색했다. 염색 후 Olympus BX53 현미경 (일본)으로 이미지를 캡처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서 SA-β-gal 염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P<0.05).
실시예 5 :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이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사이클린 D(cyclin D)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하였을시 농도의존적으로 사이클린 D(cyclin D)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사이클린 D는 세포주기에 있어서, M기가 끝난 세포를 복제기인 G1기로 진행시키는데 관여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금화규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노화 표지자의 감소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은 세포주기를 촉진시켜 세포 재생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6 :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발명의 금화규 추출물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HDF 세포와 HEK293 세포는 10% 소 태아 혈청 (Gibco, USA)이 보충된 Dulbecco의 Modified Eagle's 배지 (Welgene, Korea)에서 성장되었다. 세포 증식은 EZ-cytox cell viability / cytotoxicity kit (Daeillab service, Korea)로 측정하였다. 동일한 수의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의 웰에 접종했고, 표시된 시간에 EZ-cytox 용액을 세포에 첨가하였다. 그 후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세포를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의 흡광도는 450nm에서 측정되었다. 세포주기 분석을 위해 세포를 인산염 완충 식염수 (PBS)로 세척하고 70 % 에탄올로 고정하였다. 원심 분리 후, 세포를 세척하고 50 μg / ml 요오드화 프로피듐 및 10 mg / ml RNase A를 함유하는 PBS에 재현탁시켰다. 금화규 추출물 처리된 세포는 FACSCalibur 유세포 분석기 (Beckton-Dickson, US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금화규 추출물이 HDF 세포의 세포 증식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금화규 추출물을 HEK293 세포에 투여하여 금화규 추출물이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 참조). 또한 금화규 추출물 처리 후 HDF 세포의 세포주기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금화규 추출물이 S기 및 G2 / M 기에서 세포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8 참조).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금화규 추출물은 세포의 이동을 증가시키고, 정상 세포 및 노화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세포주기를 촉진시켜 세포 재생 및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를 보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금화규 추출물은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7)

  1.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초임계 유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임계추출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및 압착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법을 통해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은 비-치유 외상성 창상, 방사선조사에 의한 조직의 파괴, 찰과상, 열상, 결출상, 관통상, 총상, 절상, 화상, 동상, 수술상 또는 혈관질환 창상, 타박상, 각막창상, 욕창, 와창, 수술 후 봉합부위, 척추상해성 창상, 부인과적 창상, 피부궤양 및 화학적 창상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117917A 2019-09-18 2020-09-14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KR20210033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36 2019-09-18
KR20190114736 2019-09-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422A true KR20210033422A (ko) 2021-03-26

Family

ID=7525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917A KR20210033422A (ko) 2019-09-18 2020-09-14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42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437B1 (ko) * 2021-05-04 2021-12-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20168326A (ko)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바이오케어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1926A (ko) 2022-01-19 2023-07-26 (주)3일애 천연 미세침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5340B1 (ko) 2022-07-11 2023-10-06 (주)바른씨엔씨 금화규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용 위생 패드 제조방법 및 여성용 위생 패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437B1 (ko) * 2021-05-04 2021-12-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US11752187B2 (en) 2021-05-04 2023-09-12 And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nti-obesity composition including Geumhwagyu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220168326A (ko)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바이오케어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1926A (ko) 2022-01-19 2023-07-26 (주)3일애 천연 미세침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5340B1 (ko) 2022-07-11 2023-10-06 (주)바른씨엔씨 금화규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용 위생 패드 제조방법 및 여성용 위생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3422A (ko)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조성물
JP6564134B2 (ja) モルシン、クワノンジ又は桑白皮を含有する筋肉疾患予防及び治療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JP4420358B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US2019021670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phytoestrogen as an active ingredient
JP4420357B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167958B1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6249514A (zh) 包含奶蓟花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防止脱发或促进生发的组合物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44585B1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1527228B1 (ko) 가시오가피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220014372A (ko) 엘라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1032177A (ja) Kit切断抑制剤
KR102411893B1 (ko) 밤나무 총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2070854B1 (ko) 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4765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9483A (ko) 메이스리그난 또는 육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손상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2381A (ko) 투탕카멘 완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09590B1 (ko) 진세노사이드 C-Mx1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70025350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