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341A - 복합 브로칭 머신 - Google Patents

복합 브로칭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341A
KR20210033341A KR1020190114953A KR20190114953A KR20210033341A KR 20210033341 A KR20210033341 A KR 20210033341A KR 1020190114953 A KR1020190114953 A KR 1020190114953A KR 20190114953 A KR20190114953 A KR 20190114953A KR 20210033341 A KR20210033341 A KR 2021003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ming
plate
cylinder
broaching
diago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유승
Original Assignee
(주)동우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로테크 filed Critical (주)동우로테크
Priority to KR102019011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341A/ko
Publication of KR2021003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34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7/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 B23D37/08Broaching machines with vertically-arranged work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76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브로칭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사출물의 센터 세레이션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사출물의 주연부에 불필요한 부분을 트리밍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밍머신이 함께 형성되어 있어서 한번에 여러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 브로칭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복합 브로칭 머신에 의하면 전,후방에 작동실린더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구멍가공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제품의 구멍을 가공한 후에 제품을 이동하지 않고 곧바로 트리밍 가공을 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올라가고, 복잡한 공정이 간단히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복합 브로칭 머신{MULITIPLE BROACHING MACHINE}
본 발명은 복합 브로칭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사출물의 센터 세레이션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사출물의 주연부에 불필요한 부분을 트리밍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밍머신이 함께 형성되어 있어서 한번에 여러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 브로칭 머신에 관한 것이다.
브로칭머신(Broaching machine) 이란 브로치(Broach)라는 공구를 사용해서 공작물의 표면, 내면을 필요한 모양으로 절삭가공하는 기계로서 주로 구멍절삭시 사용한다.
상기 브로칭 머신은 1회 통과로 제품을 완성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절삭속도는 5~20m/min, 귀환속도는 15~40m/min 정도가 일반적이다.
종래의 브로칭머신의 구조를 보면, 자루부는 고정대에 고정되어 있고 절삭부는 거친날, 중간날, 다듬날로 구성되며 날끝이 차츰 커지면서 공작물을 절삭하며 평행부는 절삭이 끝날때까지 브로치를 지지하고 있고 후단부는 뒤쪽의 물림부로 구성된다.
상기 브로칭머신의 작업종류는 둥근 구멍에 키홈, 스플라인 구멍, 다각형 구멍 등을 절삭하는 내면브로칭과 세그먼트기어 치형, 홈, 특수모양의 면을 절삭가공하는 외면브로칭이 있다.
종래의 브로칭 머신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165926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자제품을 비롯한 산업전반에 걸쳐 주조품과 단조품이 사용되고 있다. 주조품의 경우 주물사를 이용한 거친 제품은 물론 다이캐스팅을 이용한 정밀한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다이캐스팅 등과 같이 상하부 금형들이 맞물린 상태에서 용융물을 주입하여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 중에 금형들 사이의 틈새로 재료가 침투하여 플래시(flash)가 생성되어 이를 제거해야 된다.
또한 단조품의 경우 특히 얇은 판재에 있어서 펀칭이나 절단가공시 재료의 일부가 설정된 치수를 벗어나 돌출되어 버어(burr)가 생성되어 이도 제거해야 한다.
이와 같은 플래시와 버어는 제품의 조립과 작동에 있어서 결함을 유발할 뿐아니라 사용자에게 상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장치를 트리밍머신이라고 하고, 트리밍머신은 트리밍금형으로 사출제품의 주연부를 강하게 압착하여 플래시 또는 버어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트리밍머신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5946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브로칭머신과 트리밍머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종래의 브로칭 머신은 동작구성이 복잡하고, 장치가 복잡해서 비용이 높다.
(2) 트리밍 머신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품을 가공할 때 브로칭과 트리밍을 따로 가공해야하여 가공비가 상승하고, 기계비용이 높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고, 가운데에 제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트리밍몰드와 대응되는 하부몰드가 형성되며, 가운데에 사각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대각방향으로 두개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상단으로 이격되고, 상단에 상부작동실린더가 형성되며,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작동실린더의 실린더암이 하단으로 내려와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암의 끝단에는 브로치클램프가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대각방향으로 지지대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브쉬가 형성되며, 하단에 트리밍몰드가 고정되고,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트리밍작동실린더에 의해서 상하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트리밍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좌우측 가운데에 형성되는 브로칭실린더의 하단에 고정되고, 가운데에 하부브로치클램프가 형성되는 하부작동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복합 브로칭 머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전,후방에 작동실린더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구멍가공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2) 제품의 구멍을 가공한 후에 제품을 이동하지 않고 곧바로 트리밍 가공을 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올라가고, 복잡한 공정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복합 브로칭 머신의 정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복합 브로칭 머신의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복합 브로칭 머신의 평면 개념도.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단에 형성되고, 가운데에 제품(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트리밍몰드(410)와 대응되는 하부몰드(210)가 형성되며, 가운데에 사각형상의 공간부(202)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대각방향으로 두개의 지지대(110)가 형성되어 상단으로 이격되고, 상단에 상부작동실린더(310)가 형성되며,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작동실린더(310)의 실린더암(312)이 하단으로 내려와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암(312)의 끝단에는 브로치클램프(610)가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3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대각방향으로 지지대(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브쉬가 형성되며, 하단에 트리밍몰드(410)가 고정되고,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트리밍작동실린더(420)에 의해서 상하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트리밍플레이트(4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의 좌우측 가운데에 형성되는 브로칭실린더(520)의 하단에 고정되고, 가운데에 하부브로치클램프(620)가 형성되는 하부작동플레이트(5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브로치툴(600)이 하단으로 충분히 빠질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고, 작업자에게는 발판이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는 대각방향으로 모두 홀이 형성되고, 일정대각방향에는 두개의 지지대(110)가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300)를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제품이나 몰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이식 거치대(104)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가운데는 뚫려서 형성되고, 하부에 일정 공간부(202)가 형성되어 하부작동플레이트(500)의 상승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하부몰드(210)는 제품(1)의 하부 주연부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트리밍몰드(410)와 대응하여 주연부의 버(Bur) 등을 제거하는 트리밍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00)는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지지대(110)에 의해서 이격되어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의 상단에는 상부작동실린더(3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작동실린더(310)의 하단에 실린더암(312)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암(312)은 상부플레이트(300)의 가운데를 관통하여 하부로 형성되고, 실린더암(312)의 끝단에는 브로치클램프(610)가 형성된다.
상기 브로치클램프(610)는 브로치툴(600)의 상단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브로치클램프(610)는 하기 트리밍플레이트(400)의 가운데를 관통하여 하부로 내려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리밍플레이트(400)는 지지대(110)와 볼브쉬로 서로 고정되는데, 상기 트리밍플레이트(400)가 상하로 이송되는데 자유롭게 형성된다.
상기 트리밍플레이트(400)의 다른 대각 방향에는 트리밍작동실린더(420)가 형성된다.
상기 트리밍플레이트(400)의 하단에는 트리밍몰드(410)가 형성되고, 상기 트리밍몰드(410)는 하부몰드(210)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작동플레이트(500)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좌,우측 가운데에 상부플레이트(300)의 좌우측 가운데에 형성되는 브로칭실린더(520)의 끝단에 고정된다.
상기 브로칭실린더(520)는 하부작동플레이트(500)를 하부로 내리면서 하부브로치클램프(620)가 브로칭툴의 하부를 파지하고 내려오면서 제품(1)의 홀을 가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10)의 일측에는 컨트롤박스(108)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작동을 주관한다.
상기 트리밍몰드(410)과 하부몰드(210)는 제거할 수 있는데 탈착가능하여 브로칭 머신만으로도 활용하거나, 상부작동실린더(310)와 하부작동플레이트(500)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트리밍 머신 만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작동플레이트(500)와 트리밍플레이트(400)는 동일한 실린더에 묶여서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복합 브로칭 머신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사출된 제품(1)을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단에 형성된 하부몰드(210)에 올려놓는다.
이후, 브로치툴(600)을 브로치클램프(620)에 고정하고, 상부작동실린더(310)를 작동시키면, 제품(1)의 홀의 가운데를 브로치툴(600)이 관통하면서 하향한다.
상기와 같이 브로치툴(600)의 하부가 제품(1)을 통과하기 시작하면, 하단에 대기하고 있던 하부브로치클램프(610)가 브로치툴(600)의 하부를 잡고 하향하면서 제품(1)의 홀을 끝까지 가공한다.
이와 동시에 트리밍플레이트(400)가 하강하면서 제품(1)의 주연부를 트리밍한다.
이후, 작업자는 트리임플레이트(400)를 상승시킨 후 제품을 꺼내고, 하부작동플레이트(500)를 상승시켜서 브로치클램프(620)로 브로치툴(600)의 상부를 보낸다.
상기와 같이, 브로칭과 트리밍을 동시에 작동할 수 있고, 트리밍 또는 브로칭 만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서 장치의 활용성이 매우 높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복합 브로칭 머신에 의하면 전,후방에 작동실린더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구멍가공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제품의 구멍을 가공한 후에 제품을 이동하지 않고 곧바로 트리밍 가공을 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이 올라가고, 복잡한 공정이 간단히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 : 제품 100 : 베이스프레임
104 : 거치대 108 : 컨트롤박스
110 : 지지대 200 : 베이스플레이트
202 : 공간부 210 : 하부몰드
300 : 상부플레이트 310 : 상부작동실린더
312 : 실린더암 400 : 트리밍플레이트
410 : 트리밍몰드 420 : 트리밍작동실린더
500 : 하부작동플레이트 520 : 브로칭실린더
600 : 브로치툴 610 : 브로치클램프
620 : 하부브로치클램프

Claims (4)

  1.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단에 형성되고, 가운데에 제품(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트리밍몰드(410)와 대응되는 하부몰드(210)가 형성되며, 가운데에 사각형상의 공간부(202)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대각방향으로 두개의 지지대(110)가 형성되어 상단으로 이격되고, 상단에 상부작동실린더(310)가 형성되며,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작동실린더(310)의 실린더암(312)이 하단으로 내려와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암(312)의 끝단에는 브로치클램프(610)가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3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대각방향으로 지지대(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브쉬가 형성되며, 하단에 트리밍몰드(410)가 고정되고,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트리밍작동실린더(420)에 의해서 상하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트리밍플레이트(4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의 좌우측 가운데에 형성되는 브로칭실린더(520)의 하단에 고정되고, 가운데에 하부브로치클램프(620)가 형성되는 하부작동플레이트(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브로칭 머신.
  2. 일정높이로 형성되는 사각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단에 형성되고, 가운데에 사각형상의 공간부(202)가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대각방향으로 두개의 지지대(110)가 형성되어 상단으로 이격되고, 상단에 상부작동실린더(310)가 형성되며, 가운데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작동실린더(310)의 실린더암(312)이 하단으로 내려와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암(312)의 끝단에는 브로치클램프(610)가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3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대각방향으로 지지대(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브쉬가 형성되며,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트리밍작동실린더(420)에 의해서 상하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트리밍플레이트(4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00)의 좌우측 가운데에 형성되는 브로칭실린더(520)의 하단에 고정되고, 가운데에 하부브로치클램프(620)가 형성되는 하부작동플레이트(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브로칭 머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하부몰드(210)는 제품(1)의 하부 주연부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트리밍몰드(410)와 대응하여 주연부의 버(Bur) 등을 제거하는 트리밍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브로칭 머신.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트리밍작동실린더는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브로칭 머신.
KR1020190114953A 2019-09-18 2019-09-18 복합 브로칭 머신 Ceased KR20210033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953A KR20210033341A (ko) 2019-09-18 2019-09-18 복합 브로칭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953A KR20210033341A (ko) 2019-09-18 2019-09-18 복합 브로칭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41A true KR20210033341A (ko) 2021-03-26

Family

ID=7525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953A Ceased KR20210033341A (ko) 2019-09-18 2019-09-18 복합 브로칭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33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405A (ko) * 2019-10-11 2021-04-21 (주)두성로보텍 스티어링 휠 가공장치
CN115475924A (zh) * 2022-08-31 2022-12-16 丰汉电子(上海)有限公司 多品种通用伺服去渣包装置夹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405A (ko) * 2019-10-11 2021-04-21 (주)두성로보텍 스티어링 휠 가공장치
CN115475924A (zh) * 2022-08-31 2022-12-16 丰汉电子(上海)有限公司 多品种通用伺服去渣包装置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3341A (ko) 복합 브로칭 머신
CN104439896B (zh) 偏心外圆带凸台两端有法兰结构的异型管件的加工方法
JP2001347362A (ja) ワークのバリ取り仕上げ方法及びバリ取り仕上げ装置
CN212764409U (zh) 注塑件毛边去除工装
CN210450934U (zh) 一种电饼铛铝坯浇冒口专用数控切割机床
CN115971902B (zh) 切断机
JP3378191B2 (ja) ゲート部打ち抜き方法及び装置
CN208146738U (zh) 一种剖切侧冲孔模具
CN112620618B (zh) 铸件开模器
CN210908620U (zh) 一种钢管成型去屑装置
KR20180020349A (ko) 주조물에 형성된 불용물 제거장치
CN220880701U (zh) 一种铝压铸产品的切边模具
JP2000153320A (ja) ダイの芯出し調整機構
CN210080707U (zh) 一种自动浇口切割设备
CN217192199U (zh) 快速成型模具
CN211763756U (zh) 一种模具加工用辅助支撑装置
CN217570520U (zh) 一种磁体加工模具分离装置
CN218312091U (zh) 一种用于生产精密零部件加工模具的雕刻装置
CN214133944U (zh) 切除浇冒口用的玻璃模具夹具
CN212551839U (zh) 一种高速气涡轮牙钻手机机头的钻孔装置
CN205362350U (zh) 一种用于去除铸铝件浇口废料的切边模
CN113306205B (zh) 一种偏心旋转包边机
CN221715718U (zh) 一种用于铸件的毛边去除装置
CN115673300B (zh) 一种无线充电支架切边模
CN218139669U (zh) 一种塑胶件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