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180A - 렌즈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180A
KR20210032180A KR1020190113631A KR20190113631A KR20210032180A KR 20210032180 A KR20210032180 A KR 20210032180A KR 1020190113631 A KR1020190113631 A KR 1020190113631A KR 20190113631 A KR20190113631 A KR 20190113631A KR 20210032180 A KR20210032180 A KR 20210032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lens barrel
driving unit
lens
straigh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경성
구본석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180A/ko
Priority to CN202080079425.XA priority patent/CN114731361B/zh
Priority to PCT/KR2020/012515 priority patent/WO2021054725A1/ko
Priority to US17/641,263 priority patent/US20220329734A1/en
Priority to EP20864760.2A priority patent/EP4033747A4/en
Priority to JP2022516653A priority patent/JP2022549097A/ja
Publication of KR20210032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제1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구동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고, 광축과 상기 제1구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직선과 상기 광축과 상기 제2구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직선이 형성하는 제1각도는 상기 광축과 상기 제3구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3직선과 상기 제1직선이 형성하는 제2각도 및 상기 제2직선과 상기 제3직선이 형성하는 제3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Lens driving device}
본 발명은 렌즈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최근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auto focus, AF) 및/또는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에서 줌 기능을 위해 렌즈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렌즈군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밍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최상의 광학 특성을 내기 위해 렌즈의 매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렌즈의 무게가 늘어남에 따라 하나의 구동부로 최상의 줌 기능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볼 타입(ball type)의 구동부는 구동력이 작아 고배율, 고중량의 렌즈를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 타입(ppring type)의 구동부는 렌즈의 매수가 늘어남에 따라 스프링의 쳐짐이 발생하여 더 큰 구동력이 필요하고, 스프링의 떨림으로 동영상의 촬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여 고배율, 고중량의 렌즈군을 빠르게 구동 가능한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솔레노이드 타입(solenoid type)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구동력이 증가된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핀 타입(Pin type)의 가이드를 사용하여 렌즈군들 간의 광축 얼라인(align)이 개선된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동부의 수를 늘림으로 인한 렌즈 구동 장치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는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제1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구동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고, 광축과 상기 제1구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직선과 상기 광축과 상기 제2구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직선이 형성하는 제1각도는 상기 광축과 상기 제3구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3직선과 상기 제1직선이 형성하는 제2각도 및 상기 제2직선과 상기 제3직선이 형성하는 제3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렌즈배럴에 배치되는 제1요크와, 상기 제1요크에 배치되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요크는 상기 렌즈배럴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대향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을 연결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제1요크의 상기 제2측판의 둘레에 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2측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요크의 상기 제1측판은 상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배럴에 접촉되어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은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대향하는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을 연결하는 제3측면과 제4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1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2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3측면에 배치되는 제1핀과, 상기 제4측면 배치되는 제2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핀은 상기 제1구동부보다 상기 제3구동부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제2구동부보다 상기 제3구동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핀이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홈은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핀이 배치되는 제1홈과, 상기 제4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핀이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핀과 접촉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2핀과 접촉하는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각도와 상기 제3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기 제2 및 제3각도는 12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직선과 상기 제1직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상기 제3직선과 상기 제2직선이 형성하는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예 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항의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여 고배율, 고중량의 렌즈군을 빠르게 구동 가능한 렌즈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타입(solenoid type)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구동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핀 타입(Pin type)의 가이드를 사용하여 렌즈군들 간의 광축 얼라인(align)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의 수를 늘림으로 인한 렌즈 구동 장치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Optical Axis) 방향'은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되는 렌즈 및/또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수직방향'은 광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수직방향은 'z축 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수평방향'은 수직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즉, 수평방향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 피드백(CLAF, closed-loop auto focus) 제어'는 포커스 조절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렌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피드백(feedback, 되먹임)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념도이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 구동 모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 구동 모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구동 장치(10)는 CLAF 액츄에이터 또는 CLA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렌즈 구동 장치(10)에 렌즈, 이미지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이 조립된 상태가 카메라 모듈로 이해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배럴(1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는 제1구동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는 제2구동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제1구동부(2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는 제3구동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1구동부(2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2구동부(3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제1 내지 제4측면(110, 120, 130, 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측면(110, 120, 130, 140)은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제1측면(110)과, 제1측면(110)과 대향하는 제2측면(120)과, 제1측면(100)과 제2측면(120)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면(130)과 제4측면(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110)에는 제1구동부(200)와 제2구동부(20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측면(120)에는 제3구동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측면(130)은 제1측면(110)과 제2측면(120)을 연결할 수 있다. 제4측면(140)은 제1측면(110)과 제2측면(120)을 연결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홈(111, 112, 121)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1, 112, 121)은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11, 112, 121)은 렌즈배럴(100)의 외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111, 112, 121)은 렌즈배럴(10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111, 112, 121)은 복수의 홈(111, 112, 121)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1, 112, 121)에는 제1 내지 제3구동부(200, 300, 400) 각각이 배치될 수 있다. 홈(111, 112, 121)은 제1구동부(200)가 배치되는 제1홈(111)과, 제2구동부(300)가 배치되는 제2홈(112)과, 제3구동부(400)가 배치되는 제3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1, 112, 121)은 구동부 수용홈 일 수 있다.
제1홈(111)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1)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11)은 제2홈(112)과 이격될 수 있다. 제1홈(111)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보다 제3측면(13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11)에는 제1구동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11)에는 제1구동부(2000의 제1요크(2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11)에는 제1요크(210)의 제1측판(21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홈(112)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12)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12)은 제1홈(111)과 이격될 수 있다. 제2홈(112)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보다 제4측면(14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홈(112)에는 제2요크(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홈(112)에는 제2구동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홈(112)에는 제2구동부(300)의 제2요크(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홈(112)에는 제2요크(310)의 제1측판(311)이 배치될 수 있다.
제3홈(121)은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3홈(121)은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홈(121)에는 제3요크(4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홈(121)에는 제3요크(410)의 제1측판(411)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홈(131, 141)을 포함할 수 있다. 홈(131, 141)은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31, 141)은 렌즈배럴(100)의 외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131, 141)은 렌즈배럴(10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131, 141)은 복수의 홈(131, 141)을 포함할 수 있다. 홈(131, 141)에는 제1 및 제2핀(610, 62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홈(131, 141)은 제1핀(610)이 배치되는 제1홈(131)과, 제2핀(620)이 배치되는 제2홈(141)을 포함할 수 있다. 홈(131, 141)은 가이드 핀 수용홈일 수 있다.
제1홈(131)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31)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31)은 제2홈(141)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3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131)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31)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31)은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31)은 제3측면(13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홈(131)은 광축(A)과 제3측면(130)의 중앙을 연결한 가상의 선보다 제2측면(12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홈(131)은 제1측면(110)보다 제2측면(12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31)에는 제1핀(6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31)에는 제1핀(61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31)에는 제1핀(610)이 광축(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31)은 제1핀(610)의 광축(A)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홈(131)의 내면은 제1핀(610)과 접촉할 수 있다. 제1홈(131)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핀(610)과 접촉할 수 있다. 제1홈(131)의 곡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핀(610)과 접촉할 수 있다.
제2홈(141)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41)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41)은 제1홈(131)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41)은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141)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41)은 제4측면(14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2홈(141)은 광축(A)과 제4측면(140)의 중앙을 연결한 가상의 선보다 제2측면(12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2홈(141)은 제1측면(110)보다 제2측면(12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41)에는 렌즈배럴(100)의 제2핀(6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홈(141)에는 제2핀(62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홈(141)에는 제2핀(620)이 광축(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홈(141)은 제2핀(620)의 광축(A)과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홈(141)의 내면은 제2핀(620)과 접촉할 수 있다. 제2홈(141)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2핀(620)과 접촉할 수 있다. 제2홈(141)의 경사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2핀(620)과 접촉할 수 있다. 제2홈(141)의 2개의 경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은 제2핀(620)과 접촉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홀(150)을 포함할 수 있다. 홀(150)은 중공홀일 수 있다. 홀(150)에는 렌즈가 결합될 수 있다. 홀(150)은 렌즈배럴(100)의 중심부에서 광축(A)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홀(150)은 제1홀과, 제1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의 광축(A)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홀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제1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제2구동부(3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제2구동부(300)와 광축(A)과 제1구동부(2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직선(l1)과 광축(A)과 제2구동부(3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직선(l2)이 형성하는 제1각도(θ1)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직선(l1)은 광축(A)과 제1구동부(200)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이고, 제2직선(l2)은 광축(A)과 제2구동부(300)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제1요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요크(210)는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요크(210)는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요크(210)에는 제1코일(2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요크(210)는 제1마그네트(23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요크(210)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요크(210)의 홀은 제1코일(2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1요크(210)은 제1측판(211)과, 제1측판(211)과 대향하는 제2측판(212)과,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2)를 연결하는 상판(213)과 하판(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판(211)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판(211)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의 제1홈(1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판(211)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의 제1홈(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21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211)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211)의 상단부는 상판(213)과 연결되고 하단부는 하판(21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212)은 제1측판(211)과 대향할 수 있다. 제2측판(212)은 제1측판(21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측판(212)은 제1측판(2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212)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21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212)의 상단부는 상판(213)을 통해 제1측판(211)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212)의 하단부는 하판(213)을 통해 제2측판(212)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212)에는 제1코일(2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측판(212)의 둘레에는 제1코일(220)이 감길 수 있다. 제2측판(212)의 외주에는 제1코일(220)이 권선될 수 있다.
상판(213)은 제1요크(210)의 제1측판(211)의 상단부와 제1요크(210)의 제2측판(212)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판(213)의 적어도 일부는 제1코일(220)과 광축(A)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판(213)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214)는 제1요크(210)의 제1측판(211)의 하단부와 제1요크(210)의 제2측판(212)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하판(214)의 적어도 일부는 제1코일(220)과 광축(A)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하판(214)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제1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220)은 제1요크(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220)은 제1요크(210)의 제2측판(2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220)은 제1요크(210)의 제2측판(212)의 둘레에 감길 수 있다. 제1코일(2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요크(210)의 제2측판(212)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220)은 제1요크(210)의 제1측판(211)과 제2측판(212) 사이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제1부분과 대향하고 제1요크(210)의 제2측판(2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부분과,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는 제3부분과 제4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220)의 제1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제1요크(210)의 상판(213)과 광축(A)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코일(220)은 제1요크(210)의 상판(213)보다 하판(21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220)은 제1요크(210)의 제2측판(212)에 직권선될 수 있다. 제1코일(220)은 제1마그네트(230)와 대향할 수 있다. 제1코일(220)은 제1마그네트(23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코일(220)에 전류가 공급되어 제1코일(220)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면, 제1코일(220)과 제1마그네트(23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코일(220)이 제1마그네트(23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제1마그네트(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230)는 제1코일(220)과 대향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230)은 제1코일(220)의 제2부분과 대향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230)는 제1코일(2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230)는 줌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230)는 플랫(flat) 마그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23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2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230)는 광축(A) 방향으로 제2측판(2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제2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제1구동부(2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제2요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요크(310)는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요크(310)는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요크(310)에는 제2코일(2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요크(310)는 제2마그네트(미도시)와 대향할 수 있다. 제2요크(310)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요크(310)의 홀은 제2코일(3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2요크(310)은 제1측판(311)과, 제1측판(311)과 대향하는 제2측판(312)과, 제1측판(311)과 제2측판(312)를 연결하는 상판(313)과 하판(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판(311)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판(311)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의 제2홈(1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판(311)은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의 제2홈(1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31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311)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311)의 상단부는 상판(313)과 연결되고 하단부는 하판(31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311)은 제1측판(312)과 대향할 수 있다. 제2측판(311)은 제1측판(31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측판(312)은 제1측판(3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312)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31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312)의 상단부는 상판(313)을 통해 제1측판(311)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312)의 하단부는 하판(313)을 통해 제2측판(312)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312)에는 제2코일(3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측판(312)의 둘레에는 제2코일(320)이 감길 수 있다. 제2측판(312)의 외주에는 제2코일(320)이 권선될 수 있다.
상판(313)은 제2요크(310)의 제1측판(311)의 상단부와 제2요크(310)의 제2측판(312)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판(313)의 적어도 일부는 제2코일(320)과 광축(A)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판(313)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314)는 제2요크(310)의 제1측판(311)의 하단부와 제2요크(310)의 제2측판(312)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하판(314)의 적어도 일부는 제2코일(320)과 광축(A)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하판(314)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제2코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코일(320)은 제2요크(3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320)은 제2요크(310)의 제2측판(3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320)은 제2요크(310)의 제2측판(312)의 둘레에 감길 수 있다. 제2코일(320)의 적어도 일부는 제2요크(310)의 제2측판(312)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320)은 제2요크(310)의 제1측판(311)과 제2측판(312) 사이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제1부분과 대향하고 제2요크(310)의 제2측판(3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부분과,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는 제3부분과 제4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코일(320)의 제1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제2요크(310)의 상판(313)과 광축(A)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코일(320)은 제2요크(310)의 상판(313)보다 하판(31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320)은 제2요크(310)의 제2측판(312)에 직권선될 수 있다. 제2코일(320)은 제2마그네트와 대향할 수 있다. 제2코일(320)은 제2마그네트와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코일(320)에 전류가 공급되어 제2코일(320)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면, 제2코일(320)과 제2마그네트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2코일(320)이 제2마그네트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제2마그네트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는 제2코일(320)과 대향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는 제2코일(320)의 제2부분과 대향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는 제2코일(3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2마그네트는 줌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는 플랫(flat) 마그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는 광축(A) 방향으로 제2측판(3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제3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1구동부(2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1구동부(200)와 광축(A)과 3구동부(4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3직선(l3)과 광축(A)과 제1구동부(2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직선(l1)이 형성하는 제2각도(θ2)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직선(l1)은 광축(A)과 제1구동부(200)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이고, 제3직선(l3)은 광축(A)과 제3구동부(400)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2구동부(3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2구동부(300)와 광축(A)과 제3구동부(4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3직선(l3)과 광축(A)과 제2구동부(3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직선(l2)이 형성하는 제3각도(θ3)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2직선(l2)은 광축(A)과 제2구동부(300)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이고, 제3직선(l3)은 광축(A)과 제3구동부(400)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3요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요크(410)는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요크(410)는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요크(410)에는 제3코일(3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요크(410)는 제3마그네트(미도시)와 대향할 수 있다. 제3요크(410)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요크(410)의 홀은 제3코일(4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3요크(410)은 제1측판(411)과, 제1측판(411)과 대향하는 제2측판(412)과, 제1측판(411)과 제2측판(412)를 연결하는 상판(413)과 하판(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판(411)은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판(411)은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의 제3홈(1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측판(411)은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의 제3홈(1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41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411)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판(411)의 상단부는 상판(413)과 연결되고 하단부는 하판(41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412)은 제1측판(411)과 대향할 수 있다. 제2측판(412)은 제1측판(41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측판(412)은 제1측판(4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412)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41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412)의 상단부는 상판(413)을 통해 제1측판(411)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412)의 하단부는 하판(413)을 통해 제2측판(412)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측판(412)에는 제3코일(4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측판(412)의 둘레에는 제3코일(420)이 감길 수 있다. 제2측판(412)의 외주에는 제3코일(420)이 권선될 수 있다.
상판(413)은 제3요크(410)의 제1측판(411)의 상단부와 제3요크(410)의 제2측판(412)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판(413)의 적어도 일부는 제3코일(420)과 광축(A)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판(413)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414)는 제3요크(410)의 제1측판(411)의 하단부와 제3요크(410)의 제2측판(412)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하판(414)의 적어도 일부는 제3코일(420)과 광축(A)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하판(414)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3코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코일(420)은 제3요크(4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코일(420)은 제3요크(410)의 제2측판(4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코일(420)은 제3요크(410)의 제2측판(412)의 둘레에 감길 수 있다. 제3코일(420)의 적어도 일부는 제3요크(410)의 제2측판(412)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코일(420)은 제3요크(410)의 제1측판(411)과 제2측판(412) 사이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제1부분과 대향하고 제3요크(410)의 제2측판(412)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부분과,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는 제3부분과 제4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코일(420)의 제1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제3요크(410)의 상판(413)과 광축(A)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3코일(420)은 제3요크(410)의 상판(413)보다 하판(41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코일(420)은 제3요크(410)의 제2측판(412)에 직권선될 수 있다. 제4코일(420)은 제3마그네트와 대향할 수 있다. 제3코일(420)은 제4마그네트와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3코일(420)에 전류가 공급되어 제3코일(420)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면, 제3코일(420)과 제3마그네트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3코일(420)이 제3마그네트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3마그네트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마그네트는 제3코일(420)과 대향할 수 있다. 제3마그네트는 제3코일(420)의 제2부분과 대향할 수 있다. 제3마그네트는 제3코일(420)과 전자기적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3마그네트는 줌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제3마그네트는 플랫(flat) 마그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마그네트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마그네트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마그네트는 광축(A) 방향으로 제2측판(4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A)과 제1구동부(2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직선(l1)과 광축(A)과 제2구동부(3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직선(l2)는 제1각도(θ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직선(l1)은 광축(A)과 제1구동부(2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고, 제2직선(l2)은 광축(A)과 제2구동부(3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광축(A)과 제3구동부(4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3직선(l3)과 제1직선(l1)은 제2각도(θ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3직선(l3)은 광축(A)과 제3구동부(4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제2직선(l2)과 제3직선(l3)은 제3각도(θ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각도(θ1)는 제2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각도(θ1)는 제3각도(θ3)보다 작을 수 있다. 제2각도(θ2)는 제3각도(θ3)와 동일할 수 있다. 제2각도(θ2)는 12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을 수 있다. 제3각도(θ3)는 12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의 개수가 증가되더라도 렌즈 구동 장치(10)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각도(θ1)는 120°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의 개수가 증가되더라도 렌즈 구동 장치(100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 구동 장치(10)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전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0)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휴대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일 경우, 카메라가 휴대 단말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보다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휴대 단말기의 후면 카메라일 경우, 카메라가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구동부(200)와 제2구동부(300)를 최단 거리로 연결한 직선은 광축(A)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제1구동부(200)의 중심과 제2구동부(300)의 중심을 최단 거리로 연결한 직선은 광축(A)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제1구동부(200)와 제2구동부(300)를 최단 거리로 연결한 직선은 렌즈 구동 장치(10)가 실장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디스플레이와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구동부(200)와 제2구동부(300) 사이 간격에 의해 렌즈 구동 장치(1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구동부(200)와 제2구동부(300)를 최대 거리로 연결한 직선(W)은 렌즈 구동 장치(10)의 두께일 수 있다. 제1구동부(200)와 제2구동부(300)를 최대 거리로 연결한 직선(W)은 제1각도(θ1)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구동부(200)와 제2구동부(300)를 최대 거리로 연결한 직선(W)은 제1각도(θ1)가 작아짐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구동 장치(10)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제3직선(l3)과 제1직선(l1)이 형성하는 각도(θ1-1)와 제3직선(l3)과 제2직선(l2)이 형성하는 각도(θ1-2)는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3직선(l3)과 제1직선(l1)이 형성하는 각도(θ1-1)는 제1직선(l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의 각도일 수 있다. 제3직선(l3)과 제2직선(l2)이 형성하는 각도(θ1-2)는 제2직선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각도일 수 있다. 제3직선(l3)과 제1직선(l1)이 형성하는 각도(θ1-1)와 제3직선(l3)과 제2직선(l2)이 형성하는 각도(θ1-2)는 60°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부의 개수가 증가되더라도 렌즈 구동 장치(10)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다. 즉, 구동부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구동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렌즈 구동 장치(10)의 두께를 감소시켜 모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핀(610, 620)을 포함할 수 있다. 핀(610, 620)은 렌즈배럴(100)에 접촉될 수 있다. 핀(610, 620)은 적어도 일부가 렌즈배럴(100)에 접촉될 수 있다. 핀(610, 620)은 렌즈배럴(100)의 홈(131, 141)에 배치될 수 있다. 핀(610, 620)은 렌즈배럴(100)의 광축(A)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렌즈군의 광축 얼라인을 맞출 수 있다.
핀(610, 620)은 제1핀(6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의 제1홈(13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의 제1홈(13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은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의 제1홈(131)에 광축(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의 적어도 일부는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의 제1홈(131)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1핀(610)은 제1구동부(200)보다 제3구동부(40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은 제2핀(620)과 광축(A)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핀(610, 620)은 제2핀(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의 제2홈(14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의 제2홈(14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의 제2홈(141)에 광축(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의 적어도 일부는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의 제2홈(141)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변형례로, 제2핀(620)은 제2구동부(300)보다 제3구동부(40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제1핀(610)과 광축(A)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해서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와 구동부의 배치, 수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배럴(100), 제1구동부(200), 제2구동부(300), 제3구동부(300), 제4구동부(500), 제1핀(610) 및 제2핀(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제2구동부(3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광축(A)을 기준으로 제3구동부(400)와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제1구동부(2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광축(A)을 기준으로 제4구동부(500)와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제4구동부(5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3구동부(400)는 광축(A)을 기준으로 제1구동부(200)와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4구동부(500)는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4구동부(500)는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4구동부(500)는 제3구동부(400)와 이격될 수 있다. 제4구동부(500)는 광축(A)을 기준으로 제2구동부(300)와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광축(A)과 제1 및 제3구동부(200, 4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4직선(l4)과 광축(A)과 제2 및 제4구동부(300, 500)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5직선(l5)은 제4각도(θ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4직선(l4)은 광축(A)과 제1 및 제3구동부(200, 4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일 수 있다. 제4각도(θ4)는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을 수 있다. 제4각도(θ4)는 제4직선(l4)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의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제4각도(θ4)는 제5직선(l5)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의 각도일 수 있다.
제4직선(l4)과 광축(A)과 렌즈배럴(100)의 제1 및 제2측면(110, 12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이 형성하는 각도(θ4-1)는 제5직선(l5)과 광축(A)과 렌즈배럴(100)의 제1 및 제2측면(110, 12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이 형성하는 각도(θ4-2)는 동일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제1핀(6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제2핀(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해서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와 구동부의 배치, 구동부의 수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배럴(100), 제1구동부(200), 제2구동부(200), 제1핀(610) 및 제2핀(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광축(A)과 렌즈배럴(100)의 제1측면(110)의 중앙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200)의 중심은 광축(A) 방향에 수직한 가상의 제6직선(l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축(A)을 z축 이라 할 때, 제6직선(l6)은 y축을 의미할 수 있다. 제1구동부(200)는 제2구동부(300)와 광축(A)에 수직한 제1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때, 광축(A)을 z축 이라 할 때, 제1방향은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200)는 렌즈배럴(200)의 제2측면(12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200)는 광축(A)과 렌즈배럴(100)의 제2측면(120)의 중앙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의 중심은 제6직선(l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300)는 제1구동부(200)와 제1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00)의 제3측면(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은 렌즈배럴(130)의 제3측면(130)이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핀(610)은 광축(A)과 제1직선에 수직한 가상의 제7직선(l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축(A)을 z축, 제6직선(l6)을 y축이라 할 때, 제7직선(l7)은 x축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핀(610)은 제2핀(620)과 광축(A)과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때, 광축(A)을 z축, 제1방향을 y축 방향이라 할 때, 제7직선(l7)은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핀(610)은 렌즈배럴(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이 제4측면(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렌즈배럴(100)의 제4측면(14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제2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핀(620)은 제1핀(610)과 제2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제1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구동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고,
    광축과 상기 제1구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직선과 상기 광축과 상기 제2구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직선이 형성하는 제1각도는 상기 광축과 상기 제3구동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3직선과 상기 제1직선이 형성하는 제2각도 및 상기 제2직선과 상기 제3직선이 형성하는 제3각도보다 작은 렌즈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렌즈배럴에 배치되는 제1요크와, 상기 제1요크에 배치되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과 대향하는 제1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요크는 상기 렌즈배럴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대향하는 제2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을 연결하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제1요크의 상기 제2측판의 둘레에 감기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2측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요크의 상기 제1측판은 상기 홈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렌즈배럴에 접촉되어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핀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대향하는 제2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을 연결하는 제3측면과 제4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1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2측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제3측면에 배치되는 제1핀과, 상기 제4측면 배치되는 제2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핀은 상기 제1구동부보다 상기 제3구동부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핀은 상기 제2구동부보다 상기 제3구동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핀이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홈은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핀이 배치되는 제1홈과, 상기 제4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핀이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핀과 접촉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2핀과 접촉하는 2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와 상기 제3각도는 동일한 렌즈 구동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각도는 12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렌즈 구동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직선과 상기 제1직선이 형성하는 각도와 상기 제3직선과 상기 제2직선이 형성하는 각도는 동일한 렌즈 구동 장치.
  13. 제1항의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90113631A 2019-09-16 2019-09-16 렌즈 구동 장치 KR20210032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31A KR20210032180A (ko) 2019-09-16 2019-09-16 렌즈 구동 장치
CN202080079425.XA CN114731361B (zh) 2019-09-16 2020-09-16 相机模块
PCT/KR2020/012515 WO2021054725A1 (ko) 2019-09-16 2020-09-16 카메라 모듈
US17/641,263 US20220329734A1 (en) 2019-09-16 2020-09-16 Camera module
EP20864760.2A EP4033747A4 (en) 2019-09-16 2020-09-16 CAMERA MODULE
JP2022516653A JP2022549097A (ja) 2019-09-16 2020-09-16 カメラ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31A KR20210032180A (ko) 2019-09-16 2019-09-16 렌즈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80A true KR20210032180A (ko) 2021-03-24

Family

ID=7525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631A KR20210032180A (ko) 2019-09-16 2019-09-16 렌즈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1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0427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N105589278B (zh) 相机模块
US9632280B2 (en) Lens actuator having autofocus function and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KR20160121298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15986851U (zh) 相机模块以及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KR20190116808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EP4318508A1 (en) Actuator device
KR20230061307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30056649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CN114731361B (zh) 相机模块
CN216351589U (zh) 相机模块
EP3605222B1 (en) Dual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CN114174915B (zh) 相机模块
CN113050340A (zh) 相机模块
KR20150085611A (ko) 카메라 모듈
KR20230152557A (ko) 카메라 모듈
KR20210032180A (ko) 렌즈 구동 장치
CN219329788U (zh) 相机模块
US11985405B2 (en) Camera module
EP4318117A1 (en) Lens driving device
US20240219811A1 (en) Aperture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240231120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20220136827A (ko) 렌즈 구동 장치
KR20220136829A (ko) 렌즈 구동 장치
KR20220136828A (ko) 렌즈 구동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