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176A -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176A
KR20210032176A KR1020190113626A KR20190113626A KR20210032176A KR 20210032176 A KR20210032176 A KR 20210032176A KR 1020190113626 A KR1020190113626 A KR 1020190113626A KR 20190113626 A KR20190113626 A KR 20190113626A KR 20210032176 A KR20210032176 A KR 2021003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aby bottle
temperature
warm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우
김나영
김진수
손자희
유현우
최혜진
원효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176A/ko
Publication of KR2021003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11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 A47J36/2433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47J36/2438Baby bottle warmers; Devices for warming baby food in jar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for warming a water-bath or -jac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은, 몸체 내에 젖병을 삽입하면, 무게센서와 온도센서가 젖병의 무게와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는 무게센서와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액체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추정한다. 인디케이터는 가열시간을 출력한다. 히터는 몸체의 내부공간에 스팀을 공급한다.

Description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OPERATION METHOD OF BOTTLE WARMER}
본 발명은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병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유 수유의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직접 젖을 물리는 방식이다. 그러나 워킹맘이거나 직접 수유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유축한 모유를 젖병에 담아서 먹여야 한다. 성숙유의 경우 유축한 젖은 25℃ 미만의 실내 온도에서 4시간 내외로 보관 가능하다. 그러나 4시간 이후에 먹일 모유는 냉장 보관이나 냉동 보관하여야 부패를 막을 수 있다.
모유의 영양소 파괴는 40℃부터 시작돼 45℃ 이상부터 빠르게 진행된다. 유축한 모유를 전자레인지에 데우면, 모유가 균일하게 데워지지 않아 아기가 화상을 입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모유의 단백질, 비타민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냉장 및 냉동 보관한 모유는 중탕(bath)과 같이 젖병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조건에서 40~45℃ 이하로 데워져야 과도한 영양소 파괴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6397139호(이하 '선행문헌 1')는 젖병 가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1의 젖병 가열 장치는 몸체, 가열 유닛, 온도 측정 유닛, 산출 유닛 및 추정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는 젖병과 유체(물)를 수용한다. 가열 유닛은 몸체에 설치되어 유체를 가열한다. 유체의 열은 젖병에 전달된다. 온도 측정 유닛은 유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추정 유닛은 유체의 온도 측정값을 통해 젖병 내 모유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이하 '완료시간')을 추정한다.
완료시간을 정확하게 추정하려면, 현재 젖병 내 모유의 온도를 알아야 한다. 그러나 모유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면, 모유가 세균에 오염될 위험성이 있다. 모유 온도의 직접 측정은 지양되어야 한다. 따라서 완료시간 추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려면, 젖병의 온도를 측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완료시간을 정확하게 추정하려면, 젖병에 담긴 모유의 양을 측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선행문헌 1의 젖병 가열 장치는 중탕에 의해 젖병을 가열한다. 가열 유닛의 열에너지는 먼저 유체에 전달된다. 그리고 유체의 열에너지는 젖병에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젖병의 열에너지는 젖병 내의 모유(분유, 우유)에 전달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젖병 가열 장치는 젖병의 상부가 대기 중에 노출된다. 따라서, 유체로부터 젖병으로 전달된 열에너지의 일부는 대기 중으로 지속적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젖병의 열에너지 누출은 완료시간을 연장시키는 주요한 요인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94717호(이하 '선행문헌 2')는 젖병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의 젖병거치대는 안착부, 온도센서부 및 온도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젖병은 안착부에 안착된다. 온도센서부는 안착부에 안착된 젖병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표시부는 온도센서부에서 측정된 온도를 표시한다.
선행문헌 2의 젖병거치대는 온도센서부가 안착부의 측면에 설치된다. 안착부는 젖병이 삽입되는 홈 형태를 형성한다. 온도센서부가 젖병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온도센서부는 젖병의 측면에 밀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선행문헌 2의 젖병거치대는 홈에 꼭 맞게 삽입되는 젖병의 온도만을 측정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 1의 젖병 가열 장치는 젖병 내 모유의 온도 및 완료시간을 표시하는 장치를 개시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 2의 온도표시부는 온도센서부가 측정한 젖병의 현재온도만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젖병 내 모유의 온도 및 완료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의 구체화가 요구된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6397139호 (등록일: 2018.09.0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94717호 (공개일: 2012.08.27)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젖병의 온도 및 무게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모유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시간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사용자가 젖병 내 모유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모유를 설정온도로 데우는 동안 젖병의 열에너지 누출이 차단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은, 몸체 내에 젖병을 삽입하면, 인디케이터가 가열시간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젖병 내 모유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는, 하우징, 몸체, 무게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상기 인디케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위쪽에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몸체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은, 측정하는 단계, 추정하는 단계, 가열시간을 출력하는 단계 및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젖병을 삽입하면, 상기 측정하는 단계가 개시된다. 상기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게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젖병의 무게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젖병의 온도 및 무게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추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게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액체가 상기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가열시간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가열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젖병 내 모유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은, 작동완료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완료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액체가 상기 설정온도로 데워졌다고 판단하면, 상기 인디케이터가 작동완료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는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상부몸체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는 구동유닛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젖병은 상기 히터의 상면에 올려놓일 수 있다.
상기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부몸체는 상승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부몸체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젖병 워머는 복수의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젖병의 옆면과 상기 개구 사이 공간을 막거나 열도록, 상기 회전부재들은 상기 개구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부몸체는 하강상태에 있고, 상기 회전부재들은 상기 젖병의 옆면과 상기 개구 사이 공간을 막도록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모유를 설정온도로 데우는 동안 젖병의 열에너지 누출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은, 재추정하는 단계 및 공급하는 재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추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젖병의 온도를 시간간격을 두고 복수회 재측정하여 상기 액체가 상기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재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유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시간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재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디케이터에 상기 가열시간을 재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젖병 내 모유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안착판, 수용부재 및 히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은 스팀이 통과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안착판의 아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에는 제1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과홀에는 안착부재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젖병은 상기 안착부재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안착부재와 상기 몸체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착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안착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젖병 밑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작동완료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회전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회전하는 단계에서 상기 젖병의 옆면과 상기 개구 사이 공간을 열도록, 상기 회전부재들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측정하는 단계에서 무게센서와 온도센서가 젖병의 무게와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몸체 내에 젖병을 삽입하기만 하면 젖병의 온도 및 무게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젖병에 담긴 액체의 온도 및 부피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추정하는 단계에서 무게센서와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액체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추정함으로써, 모유의 온도와 부피를 변수로 하여 모유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시간을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액체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추정한 다음, 인디케이터가 가열시간을 출력함으로써, 하우징에 표시되는 문자와 심볼을 통해 사용자가 젖병 내 모유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가 몸체의 내부공간에 스팀을 공급하기 전에, 회전부재들은 젖병의 옆면과 개구 사이 공간을 막도록 회전함으로써, 젖병 바디의 상부까지 대기와 접촉이 차단되어 모유를 설정온도로 데우는 동안 젖병의 열에너지 누출이 차단됨은 물론, 스팀의 누출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젖병 워머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젖병 워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젖병 워머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의 젖병 워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단면도.
도 7은 도 1의 젖병 워머의 하우징과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단면도.
도 8은 도 7의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인디케이터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1의 젖병 워머의 하우징, 가이드 및 커버의 도시를 생략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젖병 워머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회전부재의 저면도.
도 13은 도 3의 젖병 워머의 평면도.
도 14는 도 4의 젖병 워머의 평면도.
도 15는 도 3의 젖병 워머의 부분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의 순서도.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의 젖병 워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의 순서도.
도 22는 도 1의 젖병 워머에 의해 데워지고 있는 젖병의 온도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S100)을 설명하기에 앞서 작동방법(S100)의 주체가 되는 젖병 워머(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젖병 워머(10)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10)는 젖병(1)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장치로서, 손잡이(710)를 잡고 커버(700)를 들면, 하우징(400)의 내부가 노출된다. 하우징(400) 내부에는 몸체(100)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젖병 워머(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젖병(1)을 몸체(100) 내부에 삽입한다. 이후 젖병 워머(10)를 작동시키면, 회전부재(300)가 젖병(1) 외면에 밀착된다. 회전부재(300)는 젖병(1)의 옆면과 개구(111) 사이 공간을 막는다.
이후 몸체(100) 내부에 스팀이 유입된다. 스팀은 회전부재(300)에 의해 몸체(100) 외부로 누출이 차단된다. 스팀의 열에너지는 몸체(100) 내에서 젖병(1)의 옆면에 균일하게 전달된다. 젖병(1) 내부의 모유(분유, 우유)는 회전부재(300) 아래쪽에서 스팀의 열에너지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된다.
도 5는 도 1의 젖병 워머(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젖병 워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10)는, 몸체(100), 히터(200), 회전부재(300), 하우징(400), 가이드(500), 물통(600), 커버(700), 제1 구동유닛(800), 제2 구동유닛(900), 제어부, 인디케이터(1000), 터치패널(1100), 충전기(1200), 무게센서(1300) 및 온도센서(1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은 젖병 워머(10)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한다. 하우징(400)은 위쪽에 개구홀(401)을 형성한다. 하우징(400)은 위쪽이 개방된 원통형태를 형성한다. 개구홀(401)은 커버(700)에 의해 개폐된다. 사용자는 커버(700)의 손잡이(710)를 잡고 커버(7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내부에는 복수의 거치부(410), 한 쌍의 가이드부재(420) 및 한 쌍의 레일(430)이 구비된다.
도 5에서 하우징(400)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거치부(410), 가이드부재(420) 및 레일(430)은 하우징(400)의 세로방향 중심선(CL)을 중심으로 대칭형태로 배치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410)들은 상부몸체(110)를 지지하는 부분들이다. 거치부(410)들은 하우징(400)의 상부 내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거치부(410)들에는 돌기(411)가 형성된다. 돌기(411)는 안착부(112)의 홀(112H)에 삽입된다.
가이드부재(420)는 래크(91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가이드부재(420)는 상하방향으로 긴 가이드홈(421)을 형성한다. 래크(910)에는 가이드홈(421)에 삽입되는 돌출부(911)가 형성된다.
레일(430)은 하부몸체(12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레일(430)은 상하방향으로 긴 홈을 형성한다. 하부몸체(120)의 외면에는 레일(430)의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더(122)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에는 물통(600)이 장착되는 장착부(450)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장착부(450)에서 물통(600)을 뺄 수 있다.
물통(600)에는 뚜껑(610)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뚜껑(610)을 열고 물통(600)에 물을 담을 수 있다. 물통(600)에 담긴 물은 튜브(620)를 통해 수용부재(220)로 이동한다. 물통(600)에 담긴 물은 중력에 의해 수용부재(22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1000)는 젖병 워머(10)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인디케이터(1000)는 LED의 빛을 발하여 젖병 워머(10)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7은 도 1의 젖병 워머의 하우징과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1000)는 하우징(400)의 내면에 결합된다. 하우징(400)의 내면에는 인디케이터(1000)가 삽입되는 설치홈(460)이 형성된다. 하우징(400)의 하단부에는 LED모듈(LP)이 삽입되는 홀(403)이 형성될 수 있다. LED모듈(LP)은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하여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빛을 투과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하우징(400)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400)의 내면 또는 외면은 빛을 투과하는 도료로 도장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인디케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1000)는 LED모듈(1010) 및 차폐판(10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LED모듈(1010)의 전면에는 다수의 LED가 실장된다. 제어부는 LED모듈(10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수의 LED의 점멸을 제어한다.
차폐판(1020)은 LED모듈(10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차폐판(1020)은 제1 차폐판(1021) 및 제2 차폐판(10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차폐판(1021) 및 제2 차폐판(1022)에는 각각 숫자 및 심볼 형태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된다.
제2 차폐판(1022)에 형성된 홀은 제1 차폐판(1021)에 형성된 홀보다 작다. LED의 빛은 제1 차폐판(1021)과 제2 차폐판(1022)에 형성된 홀을 차례대로 통과하며 숫자 및 심볼 형태로 집광되어 하우징(400)의 내면을 비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외면에는 차폐판(1020)의 홀 형태에 대응하는 숫자 및 심볼이 빛의 형태로 표시된다. 하우징(400)에 표시된 숫자는 젖병(1)에 담긴 모유(분유, 우유)의 현재온도, 설정온도 및 가열시간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의 40은 설정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하우징(400)에 표시된 심볼은 모유(분유, 우유)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400)에 표시된 심볼은 원 형태 또는 하트 형태일 수 있다. 모유(분유, 우유)가 설정온도에 가까워지면 심볼의 색이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모유의 최초 온도는 20℃이고 설정온도는 40℃라고 가정하면, 모유의 최초 온도 20℃에서 심볼의 색은 빨간색을 나타낼 수 있다. 모유의 온도가 40℃가 되면, 심볼의 색은 초록색을 나타낼 수 있다. 모유의 온도가 30℃가 되면, 심볼의 색은 노란색을 나타낼 수 있다.
하우징(400)에는 터치패널(110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패널(1100)을 눌러서 젖병 워머(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터치패널(1100)은 전원버튼(○), 온도조절버튼(△▽), 시작버튼(▷), 정지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패널(1100)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761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0)은 충전기(1200) 위에 안착된다. 충전기(1200)는 무선충전기로 구비될 수 있다. 충전기(1200)에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단자(1210)가 형성된다.
충전기(1200)는 전자기 유도 또는 자기공명에 의해 젖병 워머(1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시키게 된다. 충전기(1200)에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1차 코일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400)의 하단부에는 유도전류를 수신하는 2차 코일이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778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스팀의 열에너지가 젖병 바디(1A)에 전달되는 공간(이하 '내부공간(101)')을 형성한다. 몸체(100)는 위쪽에 개구(111)를 형성한다. 몸체(100)는 위쪽이 개방된 원통형태를 형성한다. 젖병(1)은 개구(111)를 통해 몸체(100) 내부에 삽입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몸체(110)는 위쪽에 개구(111)를 형성한다. 상부몸체(110)는 위쪽과 아래쪽이 개방된 원통형태를 형성한다. 상부몸체(110)의 상단부에는 안착부(112)가 형성된다.
안착부(112)는 상부몸체(110)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안착부(112)는 거치부(410)의 상면에 안착된다. 안착부(112)에는 거치부(410)의 돌기(411)가 삽입되는 홀(112H)이 형성된다.
하부몸체(120)는 하우징(4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몸체(120)는 위쪽이 개방된 원통형태를 형성한다. 하부몸체(120)의 상단부 안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거치부(123)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치부(123)에는 별도의 안착판이 안착될 수 있다. 거치부(123)에 별도의 안착판을 안착시키면, 높이가 낮은 젖병(1)이나 이유식 용기를 별도의 안착판 상면에 올려놓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20)의 하부에는 단턱(121)이 형성된다. 안착판(210)의 가장자리는 단턱(121)에 안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20)의 측면에는 제1 체결부(124) 및 제2 체결부(125)가 형성된다.
제1 체결부(124)들은 래크(910)가 결합되는 부분들이다. 제1 체결부(124)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제1 체결부(124)들은 하부몸체(120)의 외면에 형성된다. 래크(910)들은 볼트에 의해 제1 체결부(124)들에 결합된다. 제1 체결부(124)들에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래크(910)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볼트는 홀에 삽입되어 나사홀에 나사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125)들은 슬라이더(122)가 결합되는 부분들이다. 제2 체결부(125)들은 한 쌍으로 구비된다. 제2 체결부(125)들은 하부몸체(120)의 외면에 형성된다.
슬라이더(122)들은 볼트에 의해 제2 체결부(125)들에 결합된다. 제2 체결부(125)들에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슬라이더(122)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볼트는 홀에 삽입되어 나사홀에 나사결합된다.
래크(910)의 돌출부(911)는 가이드부재(420)의 가이드홈(42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슬라이더(122)는 레일(430)의 레일(430)홈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하부몸체(120)는 하우징(4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몸체(120)는 상부몸체(110)와 함께 내부공간(101)을 형성한다.
몸체(100)는 하부몸체(1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내부공간(101)의 깊이가 조절된다. 하부몸체(120)가 하강하면, 내부공간(101)의 깊이가 증가한다. 하부몸체(120)가 상승하면, 내부공간(101)의 깊이가 감소한다.
도 10은 도 1의 젖병 워머의 하우징, 가이드 및 커버의 도시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유닛(900)은 하부몸체(120)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서, 래크(910), 피니언(920) 및 모터(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크(910)들은 하부몸체(120)의 측면에 결합된다. 래크(910)에는 세로방향의 이가 형성된다. 하우징(400)에는 장착축(440)이 형성된다. 피니언(920)은 장착축(4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모터(930)는 하우징(4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모터(930)의 회전축(811)에는 주동기어(931)가 장착된다. 주동기어(931)는 피니언(920)과 맞물린다. 슬라이더(122)가 레일(430)의 홈에 삽입될 때 래크(910)의 돌출부(911)는 가이드부재(420)의 가이드홈(42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래크(910)는 피니언(920)과 맞물린다.
따라서, 하부몸체(120)는 하우징(4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어부는 제2 구동유닛(900)을 제어한다. 모터(930)가 양방향으로 회전하면, 하부몸체(120)는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500)는 개구홀(401)과 개구(111) 사이에 경사면(501)을 형성한다. 가이드(500)는 개구홀(401) 안쪽에 구비된다. 하우징(400)의 상단부에는 가이드(500)가 안착되는 단턱(402)이 형성된다. 가이드(500)의 가장자리는 단턱(402)에 안착된다.
가이드(500)는 하우징(400)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면(501)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젖병(1)을 잡고 하강시켜 몸체(100) 내부로 진입시킨다. 가이드(500)의 경사면(501)은 하강하는 젖병(1)을 몸체(100)의 내부공간(101)으로 안내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들은 젖병(1)의 옆면과 개구(111) 사이 공간을 막거나 여는 구성으로서, 개구(111)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부재(300)들은 개구(111)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5는 5개의 회전부재(300)들을 도시하고 있다. 회전부재(300)들의 개수는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젖병 워머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유닛(800)은 회전부재(300)들을 양방향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액추에이터(810)로 구성된다. 액추에이터(810)는 전동기(electric motor)일 수 있다. 상부몸체(110)의 외면에는 복수의 장착부(113)가 형성된다.
장착부(113)들은 액추에이터(810)가 결합되는 부분들이다. 장착부(113)들은 상부몸체(110)의 상부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액추에이터(810)들은 볼트에 의해 장착부(113)들에 결합될 수 있다. 안착부(112)에는 삽입홀(H)들이 형성된다. 삽입홀(H)들에는 액추에이터(810)들의 회전축(811)이 삽입된다.
제어부는 제1 구동유닛(800)을 제어한다. 액추에이터(810)들이 양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부재(300)들은 회전하여 젖병(1)의 옆면과 개구(111) 사이 공간을 막거나 열게 된다.
도 12는 도 11의 회전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들 각각은 심재(310) 및 변형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심재(310)는 액추에이터(810)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탄성 변형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다. 심재(310)는 축부(311) 및 바(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311)는 삽입홀(H)에 삽입되면서 액추에이터(810)의 회전축(811)에 결합된다. 축부(311)에는 홀(311H)이 형성된다. 액추에이터(810)의 회전축(811)은 축부(311)의 홀(311H)에 삽입된다. 축부(311)는 액추에이터(810)의 회전축(811)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바(312)는 축부(311)로부터 회전축(811)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312)는 젖병 바디(1A)의 반력에 의해 탄성 휨 변형(elastic bending deformation)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재(320)는 심재(310)에 부착된다. 변형재(320)는 바(312)의 상면 및 측면을 에워싼다. 변형재(320)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변형재(320)는 젖병 바디(1A)의 반력에 의해 탄성 변형(elastic deformation)할 수 있다.
도 13은 도 3의 젖병 워머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4의 젖병 워머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들은 몸체(100)의 중앙(CT)을 중심으로 회전대칭(rotational symmetry) 형태를 형성한다. 제어부는 액추에이터(810)들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회전부재(300)들은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 각각에서 몸체(100)의 중앙(CT)을 중심으로 회전대칭 형태를 형성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림상태에서 회전부재(300)들은 가이드(500) 아래쪽에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상태에서 회전부재(300)들은 젖병(1)의 옆면과 개구(111)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회전부재(300)들이 닫힘상태로 회전하면, 변형재(320)들은 젖병(1)의 옆면에 밀착되며 젖병 바디(1A)의 반력에 의해 탄성 압축 변형한다.
도 15는 도 3의 젖병 워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200)는 몸체(100)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한다. 히터(200)는 하부몸체(120)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히터(200)는 안착판(210), 수용부재(220), 히팅부재(230) 및 안착부재(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판(210)에는 스팀이 통과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안착판(210)의 가장자리는 단턱(121)에 안착된다. 안착판(210)은 몸체(100)의 바닥면과 이격된다.
안착판(210)의 중앙에는 제1 통과홀(211)이 형성된다. 제1 통과홀(211)에는 안착부재(212)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안착부재(212)는 제1 통과홀(21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안착부재(212)의 상면은 안착판(210)의 상면보다 높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220)는 안착판(210)의 아래에 결합된다. 수용부재(220)는 물통(60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한다. 물통(600)에 담긴 물은 튜브(620)를 통해 수용부재(220)로 이동한다.
수용부재(220)에는 제2 통과홀(221)이 형성된다. 제2 통과홀(221)은 수용부재(220)의 중앙에 형성된다. 무게센서(1300)는 제2 통과홀(221)의 안쪽에서 안착부재(212)를 지지한다.
수용부재에는 수위감지센서(222)가 설치된다. 튜브(620)에는 물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621)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수위감지센서(222)의 신호를 수신하여 밸브(621)를 제어한다. 수위감지센서(222)는 물의 최저 수위와 최고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감지센서(222)가 최저 수위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밸브(621)를 연다. 밸브(621)가 열리면, 물통(600)에 담긴 물은 튜브(620)를 통해 수용부재(220)로 이동한다. 수위감지센서(222)가 최고 수위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밸브(621)를 닫는다. 물통(600)과 수용부재(220) 사이의 물의 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수용부재(220) 내의 물은 최저 수위와 최고 수위 사이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히팅부재(230)는 수용부재(22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구성으로서, 전열선(electric heating wire)으로 구비될 수 있다. 히팅부재(230)는 수용부재(220)에 결합된다. 히팅부재(230)에 연결되는 전선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센서(1300)는 안착부재(212)와 하부몸체(120)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안착부재(212)를 지지한다. 안착부재(212)의 상면은 안착판(210)의 상면보다 높다. 따라서 젖병(1)은 안착부재(212)의 상면에 안착된다.
안착부재(212)의 상면에 젖병(1)이 올려놓이면, 무게센서(1300)는 젖병(1)의 무게를 감지하게 된다. 젖병 바디(1A)의 밑면과 접촉면이 증가하도록, 안착부재(212)의 상단부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200)에는 온도센서(1400)가 결합된다. 안착판(210) 및 수용부재(220)에는 온도센서(140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온도센서(1400)는 젖병 바디(1A)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센서(1400)는 접촉식 온도센서(1400)로 구비된다. 온도센서(1400)의 헤드(1410)는 안착판(210)의 위쪽으로 돌출된다. 젖병(1)이 안착부재(212)에 올려놓이면, 헤드(1410)는 젖병(1)의 하중에 의해 눌린다. 헤드(1410)의 상면은 젖병(1)의 밑면에 밀착된다. 헤드(1410)는 서미스터(thermistor)와 연결된다.
온도센서(1400)의 측정값은 제어부에 전달된다. 물품의 바닥면에 닿아서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932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S100)의 순서도이다.
도 17은 젖병 워머(10)의 미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젖병 워머(10)의 미작동상태에서 하부몸체(120)는 하강상태에 있다. 하부몸체(120)는 하강상태에서 상부몸체(110)와 함께 내부공간(101)을 형성한다.
도 18은 젖병 워머(10)의 준비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전원버튼(○)을 누르면, 젖병 워머(10)는 준비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전원버튼(○)을 누르면, 하부몸체(120)가 상승(S111)한다.
하부몸체(120)가 상승(S111)하면, 히터(200)가 상승한다. 준비 상태에서 회전부재(300)는 열림상태에 있다. 사용자는 젖병 바디(1A)의 상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몸체(100) 내부에 젖병(1)을 삽입할 수 있다.
젖병(1)이 안착부재(212)에 안착되면, 무게센서(1300)는 젖병(1)의 무게를 측정(S110)한다. 또한, 젖병(1)이 안착부재(212)에 안착되면, 온도센서(1400)는 젖병 바디(1A)의 온도를 측정(S110)한다. 무게센서(1300) 및 온도센서(1400)의 측정값은 제어부에 전달된다.
도 19 및 도 20은 젖병 워머(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시작버튼(▷)을 누르면, 젖병 워머(10)는 작동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시작버튼(▷)을 누르면, 하부몸체(120)는 하강(S112)한다. 또는, 무게센서(1300)가 젖병(1)의 무게를 감지하면, 하부몸체(120)는 하강(S112)한다.
하부몸체(120)가 하강(S112)하면, 젖병(1)이 올려놓아진 히터(200)가 하강한다. 하부몸체(120)가 하강(S112)하면, 젖병 바디(1A) 상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회전부재(300)보다 낮아진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는 무게센서(1300) 및 온도센서(1400)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젖병(1)에 담긴 액체(모유, 분유, 우유)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추정(S120)하게 된다. 가열시간 추정(S120)에는 아래의 [수학식 1]이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V : 액체의 체적,
Figure pat00002
: 액체의 밀도, CP : 액체의 비열, T1-T0 : 액체의 온도변화, A : 액체의 표면적, q : 열유속(스팀), t0 : 현재시각, t1-t0 : 가열시간, T1 : 설정온도, T0 : 현재온도
액체(모유, 분유, 우유)를 모유로 특정하면, 액체의 밀도(
Figure pat00003
) 및 비열(CP)은 특정된다. 액체의 밀도(
Figure pat00004
)와 무게센서(1300)의 측정값에 의해 액체의 체적(V)이 구해진다. 젖병(1)을 표준사이즈로 특정하면, 액체의 체적(V)에 의해 액체의 표면적(A)이 구해진다. 열유속(q)은 스팀의 열유속을 의미한다.
액체의 현재온도는 온도센서(1400)의 측정값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액체의 온도변화(T1-T0)는 설정온도와 온도센서(1400)의 측정값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열시간의 추정값(t1-t0)이 구해진다.(S120)
액체는 젖병(1)에 담겨 있다. 스팀의 열유속은 젖병(1)을 통해 액체로 유입된다. [수학식 1]은 젖병(1)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식이다. 따라서 실제 액체의 온도변화(T1-T0)와 다소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열유속(q)을 제외한 변수들은 젖병(1)의 영향을 고려한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가열시간의 추정값이 구해지면(S120), 인디케이터(1000)는 가열시간(t1-t0) 또는 가열시각(t1)을 출력(S130)하게 된다. 인디케이터(1000)는 액체의 현재온도 및 설정온도(T1)를 더 출력할 수도 있다.
이후 회전부재(300)들은 회전하여 젖병 바디(1A)의 옆면과 개구(111) 사이 공간을 막게 된다.(S141) 회전부재(300)들은 탄성 변형하여 젖병 바디(1A)의 옆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회전부재(300)들은 탄성 변형하며 서로 밀착된다. 따라서, 젖병 바디(1A) 옆면과 개구(111) 사이 공간을 통한 스팀의 누출이 차단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상태에서 히터(200)는 내부공간(101)에 스팀을 공급(S140)하게 된다. 히팅부재(230)의 온도가 상승하면, 수용부재(220)에 담긴 물이 끓으면서 스팀이 발생한다. 온도센서(1400)는 주기적으로 젖병 바디(1A) 밑면의 온도를 측정한다.
스팀은 안착판(210)의 홀을 통과하여 내부공간(101)으로 유입된다. 내부공간(101)으로 유입된 스팀은 상승 후 하강하는 순환 흐름을 형성한다. 내부공간(101)에서 스팀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내부공간(101)으로 유입된 스팀은 상승하며 젖병 바디(1A)의 상부까지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회전부재(300)들은 젖병 바디(1A)에서 대기로의 열에너지 누출을 차단한다.
열에너지를 잃은 스팀은 하강하면서 젖병 바디(1A)의 외면 또는 몸체(100)의 내면에서 액화된다. 젖병 바디(1A)의 외면 또는 몸체(100) 내면에 붙은 물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수용부재(220) 내부로 유입된다.
스팀의 열에너지는 젖병 바디(1A)를 통해 모유(분유, 우유)로 전달된다. 모유(분유, 우유)의 온도는 스팀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상승한다. 모유(분유, 우유)는 바디(1A) 내부에서 대류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형성한다.
스팀 공급이 시작(S140)되면, 온도센서(1400)는 주기적으로 젖병 바디(1A) 밑면의 온도를 측정한다. 젖병(1)에 담긴 모유(분유, 우유)의 온도가 설정온도(T1)로 데워졌다고 판단하면, 인디케이터(1000)는 작동완료를 표시(S150)하게 된다.
하우징(400)에 표시된 심볼은 모유(분유, 우유)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400)에 표시된 심볼은 원 형태 또는 하트 형태일 수 있다. 모유(분유, 우유)가 설정온도에 가까워지면 심볼의 색이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모유의 최초 온도(T0)는 20℃이고 설정온도(T1)는 40℃라고 가정하면, 모유의 최초 온도 20℃에서 심볼의 색은 빨간색을 나타낼 수 있다. 모유의 온도가 30℃가 되면, 심볼의 색은 노란색을 나타낼 수 있다. 모유의 온도가 설정온도(T1)로 데워졌다고 판단하면, 심볼의 색은 초록색을 나타낼 수 있다.(S150)
젖병(1)에 담긴 모유(분유, 우유)의 온도가 설정온도(T1)로 데워졌다고 판단하면, 스팀 공급이 조절(S160)된다. 모유(분유, 우유)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히팅부재(230)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감소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정지버튼(□)을 누르면, 하부몸체(120)가 상승(S161)한다. 그리고 나서 회전부재(300)들은 회전(S162)하여 젖병 바디(1A)의 옆면과 개구 사이 공간을 개방한다. 하부몸체(120)가 상승하면, 젖병(1)이 올려놓인 히터(200)가 상승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젖병 바디(1A)의 상부를 파지하여 젖병(1)을 꺼낼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S200)의 순서도이다. 도 22는 도 1의 젖병 워머(10)에 의해 데워지고 있는 젖병(1)의 온도 그래프이다.
도 17은 젖병 워머(10)의 미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젖병 워머(10)의 미작동상태에서 하부몸체(120)는 하강상태에 있다. 하부몸체(120)는 하강상태에서 상부몸체(110)와 함께 내부공간(101)을 형성한다.
도 18은 젖병 워머(10)의 준비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전원버튼(○)을 누르면, 젖병 워머(10)는 준비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전원버튼(○)을 누르면, 하부몸체(120)가 상승(S211)한다.
하부몸체(120)가 상승(S211)하면, 히터(200)가 상승한다. 준비 상태에서 회전부재(300)는 열림상태에 있다. 사용자는 젖병 바디(1A)의 상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몸체(100) 내부에 젖병(1)을 삽입할 수 있다.
젖병(1)이 안착부재(212)에 안착되면, 무게센서(1300)는 젖병(1)의 무게를 측정(S210)한다. 또한, 젖병(1)이 안착부재(212)에 안착되면, 온도센서(1400)는 젖병 바디(1A)의 온도를 측정(S210)한다. 무게센서(1300) 및 온도센서(1400)의 측정값은 제어부에 전달된다.
도 19 및 도 20은 젖병 워머(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시작버튼(▷)을 누르면, 젖병 워머(10)는 작동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시작버튼(▷)을 누르면, 하부몸체(120)는 하강(S212)한다. 또는, 무게센서(1300)가 젖병(1)의 무게를 감지하면, 하부몸체(120)는 하강(S212)한다.
하부몸체(120)가 하강(S212)하면, 젖병(1)이 올려놓아진 히터(200)가 하강한다. 하부몸체(120)가 하강(S212)하면, 젖병 바디(1A) 상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회전부재(300)보다 낮아진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는 무게센서(1300) 및 온도센서(1400)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젖병(1)에 담긴 액체(모유, 분유, 우유)가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추정(S220)하게 된다. 가열시간 추정(S220)에는 상술한 [수학식 1]이 이용될 수 있다.
액체(모유, 분유, 우유)를 모유로 특정하면, 액체의 밀도(
Figure pat00005
) 및 비열(CP)은 특정된다. 액체의 밀도(
Figure pat00006
)와 무게센서(1300)의 측정값에 의해 액체의 체적(V)이 구해진다. 젖병(1)을 표준사이즈로 특정하면, 액체의 체적(V)에 의해 액체의 표면적(A)이 구해진다. 열유속(q)은 스팀의 열유속을 의미한다.
액체의 현재온도는 온도센서(1400)의 측정값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액체의 온도변화(T1-T0)는 설정온도(T1)와 온도센서(1400)의 측정값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열시간의 추정값이 구해진다.(S220)
액체는 젖병(1)에 담겨 있다. 스팀의 열유속은 젖병(1)을 통해 액체로 유입된다. [수학식 1]은 젖병(1)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식이다. 따라서 실제 액체의 온도변화(T1-T0)와 다소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열유속(q)을 제외한 변수들은 젖병(1)의 영향을 고려한 값으로 조정될 수 있다.
가열시간의 추정값이 구해지면(S220), 인디케이터(1000)는 가열시간(t1-t0) 또는 가열시각(t1)을 출력(S230)하게 된다. 인디케이터(1000)는 액체의 현재온도 및 설정온도(T1)를 더 출력할 수도 있다.
이후 회전부재(300)들은 회전하여 젖병 바디(1A)의 옆면과 개구(111) 사이 공간을 막게 된다.(S241) 회전부재(300)들은 탄성 변형하여 젖병 바디(1A)의 옆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회전부재(300)들은 탄성 변형하며 서로 밀착된다. 따라서, 젖병 바디(1A) 옆면과 개구(111) 사이 공간을 통한 스팀의 누출이 차단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상태에서 히터(200)는 내부공간(101)에 스팀을 공급(S240)하게 된다. 히팅부재(230)의 온도가 상승하면, 수용부재(220)에 담긴 물이 끓으면서 스팀이 발생한다. 온도센서(1400)는 주기적으로 젖병 바디(1A) 밑면의 온도를 측정한다.
스팀은 안착판(210)의 홀을 통과하여 내부공간(101)으로 유입된다. 내부공간(101)으로 유입된 스팀은 상승 후 하강하는 순환 흐름을 형성한다. 내부공간(101)에서 스팀의 대류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내부공간(101)으로 유입된 스팀은 상승하며 젖병 바디(1A)의 상부까지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회전부재(300)들은 젖병 바디(1A)에서 대기로의 열에너지 누출을 차단한다.
열에너지를 잃은 스팀은 하강하면서 젖병 바디(1A)의 외면 또는 몸체(100)의 내면에서 액화된다. 젖병 바디(1A)의 외면 또는 몸체(100) 내면에 붙은 물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수용부재(220) 내부로 유입된다.
스팀의 열에너지는 젖병 바디(1A)를 통해 모유(분유, 우유)로 전달된다. 모유(분유, 우유)의 온도는 스팀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상승한다. 모유(분유, 우유)는 바디(1A) 내부에서 대류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형성한다.
스팀 공급이 시작(S240)되면, 온도센서(1400)는 모유의 현재온도가 설정온도(T1)가 되지 전까지 주기적으로 젖병 바디(1A) 밑면의 온도를 측정(S250)한다.
도 22에서 실선은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 가열시간(t1-t0)과 온도변화(T1-T0)를 의미한다. 도 22에 도시된 점들은 온도센서가 시간간격을 두고 젖병 바디(1A) 밑면의 온도를 재측정한 측정값들을 의미한다.
제어부는 재측정한 측정값들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추세선을 생성한다. 도 22에서 일점쇄선은 추세선을 의미한다. 제어부는 추세선을 통해 액체가 설정온도(T1)로 데워지는 가열시간(t2-t0) 또는 가열시각(t2)을 재추정(S260)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인디케이터(1000)에 가열시간(t2-t0) 또는 가열시각(t2)을 재출력(S270)하게 된다. 인디케이터(1000)는 액체의 현재온도 및 설정온도(T1)를 더 출력할 수도 있다.
젖병(1)에 담긴 모유(분유, 우유)의 온도가 설정온도(T1)로 데워졌다고 판단하면, 인디케이터(1000)는 작동완료를 표시(S280)하게 된다.
하우징(400)에 표시된 심볼은 모유(분유, 우유)가 설정온도(T1)에 도달한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400)에 표시된 심볼은 원 형태 또는 하트 형태일 수 있다. 모유(분유, 우유)가 설정온도(T1)에 가까워지면 심볼의 색이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모유의 최초 온도는 20℃이고 설정온도는 40℃라고 가정하면, 모유의 최초 온도 20℃에서 심볼의 색은 빨간색을 나타낼 수 있다. 모유의 온도가 30℃가 되면, 심볼의 색은 노란색을 나타낼 수 있다. 모유의 온도가 설정온도(T1)로 데워졌다고 판단하면, 심볼의 색은 초록색을 나타낼 수 있다.(S280)
젖병(1)에 담긴 모유(분유, 우유)의 온도가 설정온도(T1)로 데워졌다고 판단하면, 스팀 공급이 조절(S290)된다. 모유(분유, 우유)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히팅부재(230)에 공급되는 전류량이 감소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패널(1100)의 정지버튼(□)을 누르면, 하부몸체(120)가 상승(S291)한다. 그리고 나서 회전부재(300)들은 회전(S292)하여 젖병 바디(1A)의 옆면과 개구 사이 공간을 개방한다. 하부몸체(120)가 상승하면, 젖병(1)이 올려놓인 히터(200)가 상승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젖병 바디(1A)의 상부를 파지하여 젖병(1)을 꺼낼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젖병 워머
100 : 몸체 400 : 하우징
101 : 내부공간 401 : 개구홀
110 : 상부몸체 402 : 단턱
111 : 개구 410 : 거치부
112 : 안착부 411 : 돌기
H : 삽입홀 420 : 가이드부재
112H : 홀 421 : 가이드홈
113 : 장착부 430 : 레일
120 : 하부몸체 440 : 장착축
121 : 단턱 450 : 장착부
122 : 슬라이더 460 : 설치홈
123 : 거치부 403 : 홀
124 : 제1 체결부 LP : LED모듈
125 : 제2 체결부 CL : 중심선
200 : 히터 500 : 가이드
210 : 안착판 501 : 경사면
211 : 제1 통과홀 600 : 물통
212 : 안착부재 610 : 뚜껑
220 : 수용부재 620 : 튜브
221 : 제2 통과홀 621 : 밸브
222 : 수위감지센서 700 : 커버
230 : 히팅부재 710 : 손잡이
300 : 회전부재 800 : 제1 구동유닛
310 : 심재 810 : 액추에이터
311 : 축부 811 : 회전축
311H : 홀 1100 : 터치패널
312 : 바 1200 : 충전기
320 : 변형재 1210 : 전원단자
900 : 제2 구동유닛 1300 : 무게센서
910 : 래크 1400 : 온도센서
911 : 돌출부 1410 : 헤드
920 : 피니언 1 : 젖병
930 : 모터 1A : 바디
931 : 주동기어
1000 : 인디케이터
1010 : LED모듈
1020 : 차폐판
1021 : 제1 차폐판
1022 : 제2 차폐판

Claims (11)

  1. 젖병 내 액체를 설정온도로 데우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으로서,
    상기 젖병 워머는,
    인디케이터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위쪽에 개구를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에 구비되는 히터, 무게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젖병을 삽입하면, 상기 무게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젖병의 무게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무게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액체가 상기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가열시간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상기 설정온도로 데워졌다고 판단하면, 상기 인디케이터가 작동완료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개구를 형성하고, 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구동유닛에 의해 승강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젖병은 상기 히터의 상면에 올려놓이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부몸체는 상승상태에 있고,
    상기 공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부몸체는 하강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 워머는 복수의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젖병의 옆면과 상기 개구 사이 공간을 막거나 열도록, 상기 회전부재들은 상기 개구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공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부몸체는 하강상태에 있고, 상기 회전부재들은 상기 젖병의 옆면과 상기 개구 사이 공간을 막도록 회전하는,
    젖병 워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젖병의 온도를 시간간격을 두고 복수회 재측정하여 상기 액체가 상기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재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상기 가열시간을 재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히터는,
    스팀이 통과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아래에 결합되고,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젖병은 상기 안착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센서는 상기 안착판과 상기 몸체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착판을 지지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안착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젖병 밑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10. 젖병 내 액체를 설정온도로 데우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으로서,
    상기 젖병 워머는,
    인디케이터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위쪽에 개구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젖병의 옆면과 상기 개구 사이 공간을 막거나 열도록, 상기 개구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몸체 내에 구비되는 히터, 무게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내에 상기 젖병을 삽입하면, 상기 무게센서와 상기 온도센서가 상기 젖병의 무게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무게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액체가 상기 설정온도로 데워지는 가열시간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가열시간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젖병의 옆면과 상기 개구 사이 공간을 막도록, 상기 회전부재들이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상기 설정온도로 데워졌다고 판단하면, 상기 인디케이터에 작동완료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젖병의 옆면과 상기 개구 사이 공간을 열도록, 상기 회전부재들이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KR1020190113626A 2019-09-16 2019-09-16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KR20210032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26A KR20210032176A (ko) 2019-09-16 2019-09-16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26A KR20210032176A (ko) 2019-09-16 2019-09-16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76A true KR20210032176A (ko) 2021-03-24

Family

ID=7525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626A KR20210032176A (ko) 2019-09-16 2019-09-16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1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20525A1 (en) * 2019-09-17 2023-10-12 Baby Brezza Enterprises LLC Baby bottle warmer and mix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717A (ko) 2011-02-17 2012-08-27 김종철 젖병거치대
JP6397139B2 (ja) 2015-03-13 2018-09-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容器の中の食品、特に哺乳瓶の中のミルクを加熱するための加熱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717A (ko) 2011-02-17 2012-08-27 김종철 젖병거치대
JP6397139B2 (ja) 2015-03-13 2018-09-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容器の中の食品、特に哺乳瓶の中のミルクを加熱するための加熱装置及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20525A1 (en) * 2019-09-17 2023-10-12 Baby Brezza Enterprises LLC Baby bottle warmer and mixer
US11986125B2 (en) * 2019-09-17 2024-05-21 Baby Brezza Enterprises LLC Baby bottle warmer and mix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080B2 (en) Thermal management for a wireless cooking probe
EP2749190B1 (en) Sous-vide cooker
EP0704188B1 (en) A microwave fryer
ES2815577T3 (es) Aparato de cocina accionado por electricidad
AU2009333536B2 (en) Rethermalizing apparatus
US20170138798A1 (en) Thermal Management for a Wireless Cooking Probe
CN103108576B (zh) 多功能烹调器
BR112014017526B1 (pt) processo de acionamento de um aparelho de cozimento de alimentos e aparelho associado
KR101400108B1 (ko) 밥물자동공급 전기밥솥
KR20210032176A (ko) 젖병 워머의 작동방법
JP2010172557A (ja) 電気湯沸し器
KR100297066B1 (ko) 취반기
US8466393B2 (en) Device for tempering a test fluid
KR20210032178A (ko) 젖병 워머
GB2552534A (en) Induction heated cooking vessel
US11782464B2 (en) Adaptive closed loop control method for a cooking appliance
KR20210032179A (ko) 젖병 워머
US201601007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rispy rice
CN208735680U (zh) 一种基于温敏变色玻璃的电磁灶
GB2552531A (en) Temperature sensor in induction cooker
US20200353178A1 (en) Intravenous Fluid Warmer Using Uniform Thermal Field
JPH07275124A (ja) 調乳器
JP4149958B2 (ja) 調乳ポット
EP3344009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CN221265930U (zh) 蒸烤设备的焯水容器、焯水控制装置及蒸烤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