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759A - 모듈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듈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759A
KR20210031759A KR1020217006866A KR20217006866A KR20210031759A KR 20210031759 A KR20210031759 A KR 20210031759A KR 1020217006866 A KR1020217006866 A KR 1020217006866A KR 20217006866 A KR20217006866 A KR 20217006866A KR 20210031759 A KR20210031759 A KR 2021003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rib
terminal
case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633B1 (ko
Inventor
양성대
윤형석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ublication of KR2021003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68Mechanical features of input/output (I/O)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2Maintenance of line connector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모듈러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PCB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바디; 그리고,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제1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바디와 마주하는 제1 면;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지 않는 모듈러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러 디바이스
본 발명은 모듈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I/O 모듈은 입력 및/또는 출력을 제어하는 모듈을 말하며, 입출력 모듈은 내부에 PCB기판이 장착되고, 외부에 터미널 블록이 장착될 수 있다. 터미널 블록은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출력 단자가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 단자에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여 외부 기기와 PCB 간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I/O 모듈의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모듈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모듈러 구성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모듈러 구성품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시, 오조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모듈러 구성품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시 구성품의 매칭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모듈러 구성품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시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PCB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바디; 그리고,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제1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바디와 마주하는 제1 면;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바디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지 않는 모듈러 디바이스(modular devic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PCB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바디; 그리고,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제1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바디와 마주하는 제1 면;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제1 리브; 그리고, 상기 제2 슬릿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잔류물(remains or debris)을 포함하는 모듈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리브는, 하부에 상기 제1 리브의 두께 보다 작은 넥(neck)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PCB는, 내측으로 컷팅되어 상기 제1 리브가 삽입되는 하단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제3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3 슬릿에 삽입되는 제3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PCB는: 내측으로 컷팅되어 상기 제1 리브가 삽입되는 제1 하단 수용부; 그리고, 내측으로 컷팅되어 상기 제3 리브가 삽입되고, 상기 제1 하단 수용부로부터 이격되는 제2 하단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PCB가 삽입되는 슬롯; 하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제1 사이드 월; 그리고, 하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슬롯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이드 월과 대향하는 제2 사이드 월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이드 월 및 상기 제2 사이드 월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사이드 월과 상기 제2 사이드 월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PCB는, 내측으로 컷팅되어 상기 브릿지가 삽입되는 상단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사이드 월 및 상기 제2 사이드 월에 인접하고, 상기 터미널의 내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월 및 상기 제2 사이드 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미널 단자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듈러 구성품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듈러 구성품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시, 오조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듈러 구성품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시 구성품의 매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모듈러 구성품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시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디바이스의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듈러 디바이스(10)는 베이스(100), 바디(200), 그리고 터미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들(TE)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들(TE)에 의해 복수개의 모듈러 디바이스(1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디(200)는 베이스(100) 상에 장착될 수 있고, 터미널(300)은 바디(20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터미널(300)은 케이스(310), 그리고 단자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10)는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단자대(320)는 케이스(3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케이스(310) 외부에서 복수개의 케이블이 단자대(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대(320)는 PCB(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대(320)는 포트(320)라 칭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디(200)는 케이스(210), 그리고 PCB(220)를 포함할 수 있다. PCB(220)는 케이스(210)내부에 수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PCB(220)는 베이스(100)에 구비된 슬롯(152,154,156)에 삽입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PCB(220)는 접속단자(T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제1 케이스(120), 그리고 제2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20)는 제2 케이스(110)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20)는 바디(200, 도 3 참조)와 마주하는 제1 면(120S1)을 구비할 수 있다. 슬릿들(122,124,126)은 제1 면(120S1)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들(122,124,126)은 제1 슬릿(122), 제2 슬릿(124), 그리고 제3 슬릿(126)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들(122,124,126)의 개수는 변형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10)는 리브들(112,114,116)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들(112,114,116)은 제1 리브(112), 제2 리브(114), 그리고 제3 리브(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가 결합하면, 제1 리브(112)는 제1 슬릿(122)에, 제2 리브(114)는 제2 슬릿(124)에, 제3 리브(116)는 제3 슬릿(126)에 삽입될 수 있다.
리브(112,114,116)는 넥(113,115,117)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112,114,116)의 두께(T1)는 넥(113,115,117)의 두께(T2) 보다 클 수 있다. 리브(112,114,116)는 넥(113,115,117)에 의해 절단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리브(112,114,116)를 넥(113,115,117)을 중심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절단된 리브(112,114,116)는 잔류물이 남을 수 있다. 여기서 잔류물은 절단되고 남은 리브(112,114,116)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작업자 또는 자동화 기기는 레이저 컷팅 머신에 의해 리브(112,114,116)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절단된 리브(112,114,116)는 잔류물 없이 깨끗하게 삭제될 수 있다. 이 경우, 넥(113,115,117)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요구되는 스펙(AC, DC 등)에 따라서 PCB(220)는 일정한 전압 및/또는 전류 및/또는 신호처리 용량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PCB(220)의 스펙에 따라서, PCB(220)가 구비하는 수용부(222,224,226)가 다를 수 있다. 수용부(222,224,226)는 PCB(220) 내측으로 컷팅되어 함입될 수 있다. 수용부(222,224,226)는 PCB(220)의 하단 수용부(222,224,226)라 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PCB(220)는 제1 수용부(222), 제2 수용부(224), 그리고 제3 수용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리브(112)는 제1 수용부(222)에, 제2 리브(114)는 제2 수용부(224)에, 제3 리브(116)는 제3 수용부(226)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PCB(220)는 제1 수용부(222), 그리고 제2 수용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리브(112)는 제1 수용부(222)에, 제2 리브(114)는 제2 수용부(224)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리브(116, 도 5 참조)는 절단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PCB(220)는 제1 수용부(222), 그리고 제3 수용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리브(112)는 제1 수용부(222)에, 제3 리브(116)는 제3 수용부(226)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리브(114, 도 5 참조)는 절단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PCB(220)는 제2 수용부(224), 그리고 제3 수용부(2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리브(114)는 제2 수용부(224)에, 제3 리브(116)는 제3 수용부(226)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리브(112, 도 5 참조)는 절단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리브들(112,114,116)의 절단 또는 삭제는 모듈러 디바이스(10)의 생산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러 디바이스(10)를 설치 및/또는 교체 및/또는 유지관리 하는 현장에서 작업자는 오류 없이 일정한 스펙을 요구하는 PCB(220)와 베이스(10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오결합에 의한 모듈러 디바이스(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9 및 10을 참조하면, 슬롯(330)은 터미널(300)의 하부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롯(330)은 길게 연장되어 PCB(220, 도 3 참조)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월(340)은 터미널(30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슬롯(3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이드 월(350)은 터미널(30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슬롯(3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되, 제1 사이드 월(340)과 슬롯(330)에 대하여 대향하거나 대칭일 수 있다. 즉, 슬롯(330)은 제1 사이드 월(340)과 제2 사이드 월(3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브릿지(360)는 제1 사이드 월(340)과 제2 사이드 월(350)을 연결할 수 있다. 브릿지(360)는 제1 사이드 월(340) 및 제2 사이드 월(35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월(340)은 수직부(342), 그리고 수평부(344)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부(342)는 단자대(320)에 구비된 전극(EL1)의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수평부(344)는 전극(EL1)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수평부(344)는 전극(EL1)의 하단을 커버할 수 있다. 수평부(344)는 수직부(342)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부(342)와 수평부(344)는 전체적으로 ㄱ 또는 ㄴ 형상일 수 있다. 전극(EL1)은 터미널 단자(EL1)라 칭할 수 있다.
제2 사이드 월(350)은 수직부(352), 그리고 수평부(354)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부(352)는 단자대(320)에 구비된 전극(EL2)의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수평부(354)는 전극(EL2)의 하단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수평부(354)는 전극(EL2)의 하단을 커버할 수 있다. 수평부(354)는 수직부(352)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부(352)와 수평부(354)는 전체적으로 ㄱ 또는 ㄴ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극(EL1,EL2)은 터미널(300)의 케이스(310)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작업자가 현장에서 터미널(300)을 교체하는 작업 중 전극(EL1,EL2)을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특징들에 의해, 작업자는 모듈러 디바이스가 작동 중이거나 모듈러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이들의 설치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PCB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바디; 그리고,
    상기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제1 케이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바디와 마주하는 제1 면; 그리고,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바디를 향해 연장되고, 각각이 상기 복수개의 슬릿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지 않는 모듈러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제1 리브; 그리고,
    상기 제2 슬릿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잔류물(remains or debris)을 포함하는 모듈러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하부에 상기 제1 리브의 두께 보다 작은 넥(neck)이 형성되는 모듈러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내측으로 컷팅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가 삽입되는 하단 수용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PCB가 삽입되는 슬롯;
    하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제1 사이드 월; 그리고,
    하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슬롯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이드 월과 대향하는 제2 사이드 월을 포함하는 모듈러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월 및 상기 제2 사이드 월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사이드 월과 상기 제2 사이드 월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내측으로 컷팅되어 상기 브릿지가 삽입되는 상단 수용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사이드 월 및 상기 제2 사이드 월에 인접하고, 상기 터미널의 내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이드 월 및 상기 제2 사이드 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터미널 단자를 커버하는 모듈러 디바이스.
KR1020217006866A 2018-10-12 2019-10-08 모듈러 디바이스 KR102585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43 2018-10-12
KR20180121643 2018-10-12
PCT/KR2019/013242 WO2020076074A1 (ko) 2018-10-12 2019-10-08 모듈러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759A true KR20210031759A (ko) 2021-03-22
KR102585633B1 KR102585633B1 (ko) 2023-10-06

Family

ID=7016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866A KR102585633B1 (ko) 2018-10-12 2019-10-08 모듈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866268A4 (ko)
KR (1) KR102585633B1 (ko)
CN (1) CN112868139B (ko)
WO (1) WO202007607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8683A (ko) * 1973-09-25 1975-05-21
JPH0558683U (ja) * 1992-01-09 1993-08-0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収納トレイ
KR19990002070U (ko) * 1997-06-25 1999-01-15 배순훈 실드 케이스의 피씨비 조립체 결합구조
KR200293300Y1 (ko) * 2002-07-22 2002-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스 플레이트와 인쇄회로기판 조립장치
KR20160074491A (ko) * 2013-10-21 2016-06-28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자 장치
KR20180079552A (ko) * 2016-12-30 2018-07-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9229A1 (en) * 2000-01-07 2001-07-25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Coded electrical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8683A (ko) * 1973-09-25 1975-05-21
JPH0558683U (ja) * 1992-01-09 1993-08-0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収納トレイ
KR19990002070U (ko) * 1997-06-25 1999-01-15 배순훈 실드 케이스의 피씨비 조립체 결합구조
KR200293300Y1 (ko) * 2002-07-22 2002-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페이스 플레이트와 인쇄회로기판 조립장치
KR20160074491A (ko) * 2013-10-21 2016-06-28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전자 장치
KR20180079552A (ko) * 2016-12-30 2018-07-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6268A1 (en) 2021-08-18
CN112868139B (zh) 2023-02-21
KR102585633B1 (ko) 2023-10-06
CN112868139A (zh) 2021-05-28
EP3866268A4 (en) 2022-07-06
WO2020076074A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591B1 (ko) 소켓 및 커넥터
KR101744511B1 (ko)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
IL262812A (en) A series of plug contacts and a method for testing its perception
US11239580B2 (en) Plug-in connection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terminal block
KR101652383B1 (ko) 커넥터
US20180261934A1 (en) Electric terminal block
US10283918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CN102498621A (zh) 电力安装系统及方法
CN113678327A (zh) 模块化电路板插接连接组件
KR101739193B1 (ko) 소켓 모듈, 전기 수술 장치, 및 소켓 모듈을 가지는 세트
KR20210031759A (ko) 모듈러 디바이스
CN105428891B (zh) 用于可插式连接器的绝缘体及可插式连接器
CN107666071B (zh) 用于耦联高压接头的插接装置和具有该插接装置的系统
JP6533701B2 (ja) 端子板装置およびアダプタ装置
RU2561917C2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машина с приводным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KR101404637B1 (ko) 차량용 컨벤셔널 박스
CN105722305A (zh) 具有改进的端子的印刷电路板组件
KR101389065B1 (ko) 커넥터
JP5502212B1 (ja) 端子台および切り離し器具
US7901223B2 (en) Electronics module for an installation module
KR20210098693A (ko) 전기 접속 커넥터
US10218096B2 (en) Short bar, short bar unit, and motor drive device
CN105575741A (zh) 熔丝安装单元及具有该熔丝安装单元的熔丝盒模块
US20200328580A1 (en) Gas-insulated switchgear
KR200474847Y1 (ko) 커넥터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