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552A -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552A
KR20180079552A KR1020160183901A KR20160183901A KR20180079552A KR 20180079552 A KR20180079552 A KR 20180079552A KR 1020160183901 A KR1020160183901 A KR 1020160183901A KR 20160183901 A KR20160183901 A KR 20160183901A KR 20180079552 A KR20180079552 A KR 20180079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bstrate
unit
pai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964B1 (ko
Inventor
천명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9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소켓 커넥터는, 단자부가 형성되는 기판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일단이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단자부에 다중 접접 영역을 형성하여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의 접접부와 안정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기판 삽입시 삽입 상태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가 형성되는 피씨비와 같은 기판의 일단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낵터의 하우징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제조된다.
여기서, 종래의 기판이 삽입되는 커넥터의 하우징은 그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된다.
통상, 상기 터미널 안착부가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그의 내부에는 랜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랜스는 외팔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기판 삽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삽입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기판삽입부에는 일단에 단자부가 형성되는 기판이 삽입된다.
이때, 종래의 기판 삽입부는 상기 기판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기판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술한 터미널 안착부에는 각각 터미널들이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미널은 기판의 단자부와 접속되는 경우, 통상 면접촉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접점 영역이 틀어져 비정상적인 접접을 이루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이를 헤결하기 위해, 기판 삽입부의 형상을 기판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기판의 일부가 압입되거나 걸어져 임의로 기판삽입부에서 기판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우징의 구성을 변경하고 있으나, 이는 전체 하우징의 설계 변경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02160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접접부와 안정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기판 삽입시 삽입 상태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소켓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소켓 커넥터는, 단자부가 형성되는 기판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일단이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단자부에 다중 접접 영역을 형성하여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점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단으로 돌출되는 접점부 몸체와,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점 부재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삽입되는 상기 기판을 그립하도록 한 쌍을 이루도록 분기되어 상기 삽입홈의 입구측을 따라 연장되는 접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점 부재는, 금속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 몸체의 일단에서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설정된 길이를 이루어 연장되어 설정된 탄성을 갖는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의 사이에, 상기 기판이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그그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단위 접점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에 접점되는 다수의 접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는 곡률을 형성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의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 중 상기 단위 접점 부재의 선단에 위치되는 접점 돌기가 삽입 접촉되는 접촉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의 높이는, 상기 단위 접점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는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를 구비한 상태로, 서로 평행 및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접점 부재의 선단에 위치되는 접점 돌기가 해당 위치의 상기 단자부에 형성되는 접촉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단자부가 형성되는 기판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자부와 탄성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기판 삽입 상태 및, 단자 접점 상태를 외부에서 간접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단자부에 다중의 접점을 이루도록 하여 안정적인 접점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단자부에 접촉홈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홈에 해당 단위 접점 부재에 형성되는 접점 돌기가 끼워져 걸리도록 함으로써, 접점 및 단자부를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의 하우징과 기판과의 결합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부호 A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접점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접점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부호 B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소켓 커넥터의 하우징과 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표시 부호 C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의 하우징과 기판과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부호 A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는 하우징(100)과, 접점부(2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르는 기판(300)을 설명한다.
상기 기판(30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판(300)의 단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자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자부(310)는 설정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며,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자부(310) 각각은, 기판(300)의 단면부에 형성되되, 상하 접점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3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단자부(310) 각각은, 한 쌍의 단자면(311)과, 상기 한 쌍의 단자면(311)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 부재(31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단자면(311)은 금속 코팅면으로 형성되되, 기판(300)의 상면 및 하면에 동일한 면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300)에는, 상기 한 쌍의 단자면(311)을 연결시키는 수직 관통홀(h)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관통홀(h)에는 도전성 물질이 충전되어 상기 연결 부재(312)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면(311)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쌍의 단자면(311)에는 설정된 깊이를 갖는 접촉홈(3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접촉홈(313)은 후술되는 접점 돌기(221a,222a)가 끼워지도록 곡률을 형성하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100)에는 상기의 단자부(310)가 형성되는 기판(300)이 삽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10)은, 상기 기판(30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기판(300)의 일단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기판(300)의 일단부 단면이 직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삽입홈(110) 역시 직사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접점부(200)는 상기 단자부(31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되어, 상기 삽입홈(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접점부(200)는 삽입홈(110)에 설치되어, 일단이 삽입되는 상기 기판(300)의 단자부(200)에 다중 접점 영역을 형성하여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접점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접점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표시 부호 A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접점부(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접점부(200)는, 도전체 물질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점부(200)는 접점부 몸체(210)와, 접점 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접점부 몸체(210)는 상기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 부재(220)는 상기 삽입홈(1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점부 몸체(2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삽입되는 상기 기판(300)을 그립하도록 한 쌍을 이루도록 분기되어 상기 삽입홈(110)의 입구측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접점 부재(2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접점 부재(220)는, 금속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 몸체(210)의 일단에서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설정된 길이를 이루어 연장되어 설정된 탄성을 갖는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221,222)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221,222)의 사이에, 상기 300기판()이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그립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221,222)의 일단에는, 상기 단위 접점 부재(221,2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310)에 접점되는 다수의 접점 돌기(221a,221b,222a,222b)가 된다.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221,222)는 접점부 몸체(210)의 일단 상단에서 전방을 따라 연장되는 제 1단위 접점 부재(221)와, 접점부 몸체(210)의 일단 하단에서 전방을 따라 연장되는 제 2단위 접점 부재(22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단위 접점 부재(221,222)는 상하를 따라 설정된 간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 1단위 접점 부재(221)의 선단부 하단에는 제 1,2접점 돌기(221a,221b)가 간격을 이루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단위 접점 부재(222)의 선단부 하단에는 제 1,2접점 돌기(222a,222b)가 간격을 이루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2단위 접점 부재(221,222) 각각의 제 1,2접점 돌기(221a,221b,222a,222b)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접점 돌기(221a,221b,222a,222b)는 곡률을 형성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접점 돌기(221a,222a)는 제 2접점 돌기(221b,222b)의 높이 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2접점 돌기(221a,221b,222a,222b)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 2접점 돌기(221b,222b)의 폭(W1)은 제 1접점 돌기(221a,222a)의 폭(W2)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1접점 돌기(221a,222a)의 정점에서 외측을 따르는 경사도는, 상기 제 2접점 돌기(221b,222b)의 정점에서 내측을 따르는 경사도 보다 급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221a,221b,222a,222b)의 높이는, 상기 단위 접점 부재(221,222)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상술한, 상기 기판(300)의 상기 단자부(310)에는,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221a,221b,222a,222b) 중 상기 단위 접점 부재(221,222)의 선단에 위치되는 접점 돌기(221a,222a)가 삽입 접촉되는 접촉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홈(313)에 삽입되는 접촉 돌기는 제 1접촉 돌기(221a,222a)인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접점부(200)는 하우징(100)의 삽입홈(110)에서, 단자부들(310)의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의 삽입홈에 기판이 삽입되어 기판의 단자부와 하우징에 설치되는 접점부가 접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소켓 커넥터의 하우징과 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표시 부호 C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기판(300)의 일단부는 삽입홈(11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기판(300)에 형성되는 다수의 단자부(310)는 하우징(100)의 삽입홈(110)에 배치되는 다수의 접점부(200)에 슬라이딩 접촉되면서 삽입홈(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단자부(310)가 각 접점부(200)에 접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기판(300)의 일단부는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제 1,2단위 접점 부재(221,222)의 사이로 슬라이딩되면서 유입된다.
이때, 제 1단위 접점 부재(221)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1,2접점 돌기(221a,221b)는 기판(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자면(311)에 슬라이딩 접촉되고, 제 2단위 접점 부재(22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1,2접점 돌기(222a,222b)는 기판(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단자면(311)에 슬라이딩 접촉된다.
이어, 상기 제 1단위 접점 부재(221)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1접점 돌기(221a)는 기판(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자면(311)에 형성된 접촉홀(313)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단위 접점 부재(222)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1접점 돌기(222a)는 기판(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단자면(311)에 형성된 접촉홀(313)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단위 접점 부재(221,222)는 금속편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정의 탄성을 구비하여 상기 각각의 접촉홀(313)에 끼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접점부들(200)은 각각의 단자부(310)에 상기와 같이 탄성적으로 접점됨과 아울러, 해당 단자부들(310)을 탄성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단위 접점 부재(221,222) 각각에 구비되는 제 2접점 돌기들(221b,222b)은 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접촉홀(311)의 후방에서, 각각의 단자면(311)에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각각의 단자부(310)는, 기판(300)의 상면 및 하면에서, 제 1,2접점 돌기들(221a,221b,222a,222b)에 의해 다중 접점을 이룰 수 있다.
즉, 기판(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자면(311)은, 제 1단위 접점 부재(221)에 구비되는 제 1,2접점 돌기들(221a,221b)에 의해 2곳의 접점 위치를 형성하고, 기판(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단자면(311)은, 제 2단위 접점 부재(222)에 구비되는 제 1,2접점 돌기들(222a,222b)에 의해 2곳의 접점 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단자부(300)에서 상하 이중의 단자면(311)을 구비하고, 각 단자면(311)에서 다중의 접점을 이루기 때문에, 접점 오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판(30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서, 제 1접점 돌기들(221a,222a)이 해당 접촉홈(311)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으로 인해, 단자부(310)가 접점부(200)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단위 접점 부재(221,222)의 선단에 위치되는 제 1,2접점 돌기(221a,221b,222a,222b)가 해당 위치의 상기 단자부(310)에 형성되는 접촉홈(31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221,222)는, 서로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접점부(200)는 해당 단자부(310)가 형성되는 기판(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기판의 접접부와 안정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기판 삽입시 삽입 상태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삽입홈
200 : 접점부
210 : 접점부 몸체
220 : 접점 부재
221 : 제 1단위 접점 부재
222 : 제 2단위 접점 부재
221a, 222a : 제 1접점 돌기
221b, 222b : 제 2접점 돌기

Claims (9)

  1. 단자부가 형성되는 기판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어, 일단이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단자부에 다중 접접 영역을 형성하여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단으로 돌출되는 접점부 몸체와,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점 부재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삽입되는 상기 기판을 그립하도록 한 쌍을 이루도록 분기되어 상기 삽입홈의 입구측을 따라 연장되는 접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부재는,
    금속편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 몸체의 일단에서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설정된 길이를 이루어 연장되어 설정된 탄성을 갖는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의 사이에, 상기 기판이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그그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단위 접점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에 접점되는 다수의 접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는 곡률을 형성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 중 상기 단위 접점 부재의 선단에 위치되는 접점 돌기가 삽입 접촉되는 접촉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의 높이는,
    상기 단위 접점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는 상기 다수의 접점 돌기를 구비한 상태로,
    서로 평행 및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접점 부재의 선단에 위치되는 접점 돌기가 해당 위치의 상기 단자부에 형성되는 접촉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위 접점 부재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160183901A 2016-12-30 2016-12-30 소켓 커넥터 KR102644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901A KR102644964B1 (ko) 2016-12-30 2016-12-30 소켓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901A KR102644964B1 (ko) 2016-12-30 2016-12-30 소켓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552A true KR20180079552A (ko) 2018-07-11
KR102644964B1 KR102644964B1 (ko) 2024-03-08

Family

ID=6291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901A KR102644964B1 (ko) 2016-12-30 2016-12-30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74A1 (ko) *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오토닉스 모듈러 디바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365Y1 (ko) * 2002-10-11 2003-01-24 정도수 Pcb 접속 커넥터 핀
KR100852149B1 (ko) * 2007-11-19 2008-08-13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JP2013080622A (ja) * 2011-10-04 2013-05-02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CN204118306U (zh) * 2014-09-15 2015-01-21 昆山宏致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4118318U (zh) * 2014-10-09 2015-01-21 东莞市昶通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365Y1 (ko) * 2002-10-11 2003-01-24 정도수 Pcb 접속 커넥터 핀
KR100852149B1 (ko) * 2007-11-19 2008-08-13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JP2013080622A (ja) * 2011-10-04 2013-05-02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CN204118306U (zh) * 2014-09-15 2015-01-21 昆山宏致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4118318U (zh) * 2014-10-09 2015-01-21 东莞市昶通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074A1 (ko) *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오토닉스 모듈러 디바이스
KR20210031759A (ko) * 2018-10-12 2021-03-22 주식회사 오토닉스 모듈러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964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8113B2 (en) Connector
US7803011B1 (en) Battery connector
US8979551B2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EP2846409A2 (en) Connector
US7833024B2 (en) Board-to-board connector for mounting on a circuit board
US888850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contact halves
US7621755B2 (en) Contact and IC socket using the contact
US905444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CN109950727B (zh) 一种插座连接器及其组件
US980645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zero-insertion-force forminals
US6293805B1 (en) Board to board connector
US9246253B1 (en) Connector with stabilization members and method of assembly
US2008021406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JP2007128876A (ja) 電気コネクタ
US20120045946A1 (en) Socket connector having suitable receiving solder lead from ic package
US7959472B1 (en) Audio jack connector
KR20180079552A (ko) 소켓 커넥터
TW201814973A (zh) 卡緣連接器
US7874876B1 (en) Audio jack connector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TWM499690U (zh) 電連接器
US7101200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ircuit board retention structure
JP3141134U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110086523A1 (en) Battery Connector
JP5629346B2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