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352A -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352A
KR20210031352A KR1020200019837A KR20200019837A KR20210031352A KR 20210031352 A KR20210031352 A KR 20210031352A KR 1020200019837 A KR1020200019837 A KR 1020200019837A KR 20200019837 A KR20200019837 A KR 20200019837A KR 20210031352 A KR20210031352 A KR 20210031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ighting device
substrate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828B1 (ko
Inventor
조범연
장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ublication of KR2021003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5Details of bases or housing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end cap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기판 및 기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접속장치는, 조명장치의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기판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단자부, 접속단자부와 결합된 기판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접속바디부, 및 접속바디부의 내부에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마련되는 몰딩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전자 장비의 경량화 및 소형화의 추세가 증가함에 따라, LED(Light Emitting Diode) 칩을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연성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LED 칩을 연성회로기판에 실장한 조명 장치는 플렉서블 조명장치로서, 플렉서블 조명장치는 일정 길이마다 FPCB 기판에 배선 패턴의 여유 부분을 형성하고, 여유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플렉서블 조명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조명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그리고 플렉서블 조명장치와 논플렉서블(Non Flexible) 조명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접속장치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1547호(2013.06.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장치 간 안정적인 연결을 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기판은, 상기 조명장치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접속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의 일단부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기판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접속단자부;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접속바디부; 및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내부에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마련되는 제1몰딩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속바디부는,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상부로 마련되는 제1측면플레이트;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후단에 마련되고, 상기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다른 조명장치의 제2접속장치와 결합하는 제1접속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바디부는, 상기 제1접속바디부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몰딩 재료가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내부 또는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몰딩 삽입홀 및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내면 및 외면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고, 상기 몰딩 재료가 충진되는 몰딩 충진홈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자부는, 상기 기판의 양측과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기판결합부; 및 상기 제1기판결합부의 후단에서 상기 제1접속결합부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연장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제1 타입의 플렉서블 조명 장치이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단부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연장단자부는,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접속결합부 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단자부는, 상기 제1기판결합부와 높이차를 두고 마련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는, 상기 제1기판결합부와 상기 제1연장단자부 사이에서 상기 제1기판결합부와 상기 제1연장단자부를 연결하는 제1단차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단차연결부와 대응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장치는, 상기 제1연장단자부와 결합되고, 보조 조명수단을 구비하는 보조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제2 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상기 제1접속바디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광 조사 방향과 대응되는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상기 광 조사 방향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상부로 마련되고, 상기 제1접속바디부는,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와 대면하여 마련되는 제1상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제2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를 연결하며 마련되는 제1-1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1-1연결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2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자부는, 상기 기판의 양측과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기판결합부; 및 상기 제1기판결합부의 후단에서 상기 제1접속결합부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연장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1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연장단자부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단자부는, 상기 제1-2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기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 및 상기 제1몰딩커버부는, 각각 몰딩 공정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기판은, 상기 조명장치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접속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의 타단부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기판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접속단자부;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접속바디부; 및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에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마련되는 제2몰딩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상부로 마련되는 제2측면플레이트;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의 후단에 마련되고, 상기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다른 조명장치의 제1접속장치와 결합하는 제2접속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제2접속바디부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몰딩 재료가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 또는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몰딩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내면 및 외면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고, 상기 몰딩 재료가 충진되는 몰딩 충진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단자부는, 상기 기판의 양측과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기판결합부; 및 상기 제2기판결합부의 후단에서 상기 제2접속결합부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연장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제1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광 조사 방향과 대응되는 상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2연장단자부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단자부는, 상기 제2접속결합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제2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광 조사 방향과 대응되는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상기 광 조사 방향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상부로 마련되고,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대면하여 마련되는 제2상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접속장치, 및 상기 기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기판은, 상기 조명장치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서 각각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접속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의 일단부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기판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접속단자부;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일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접속바디부; 및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내부에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마련되는 제1몰딩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의 타단부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기판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접속단자부;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타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접속바디부; 및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에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마련되는 제2몰딩커버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제1기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조명장치; 상기 플렉서블 조명장치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기판과 결합되는 제1접속장치;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논플렉서블 조명장치; 및 상기 논플렉서블 조명장치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1접속장치와 결합되는 제2접속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장치의 단부에서 기판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기판의 양측이 접속단자부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기판이 접속바디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몰딩 공정을 통해 몰딩커버부를 형성함으로써, 조명장치의 단부에 결합되는 접속장치를 견고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 간 접속장치를 통한 결합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판의 양측이 접속단자부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몰딩커버부의 형성 시 몰딩 재료가 주입될 때 기판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명장치들이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단자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바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바디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바디부의 내부에 제1접속단자부가 결합된 기판의 일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바디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에 제2접속단자부가 결합된 기판의 일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조명장치의 제1접속장치와 제2조명장치의 제2접속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장치의 분해도 및 분해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바디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에 제2접속단자부가 결합된 기판의 일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명장치(102)는 제1접속장치(104) 및 제2접속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명장치(102)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 타입(Bar-Type)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명장치(102)는 플렉서블(Flexible)하게 마련되는 조명기구일 수 있다. 즉, 조명장치(102)는 플렉서블 조명장치일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102)는 기판(111), 보호부(113), 광 차단부(115), 및 조명수단(11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1)은 조명장치(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판(111)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가 사용될 수 있다. 조명장치(102)에서 기판(111)은 조명장치(102)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기판(111)의 양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113)는 기판(111)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호부(113)는 기판(111)의 일면에서 기판(111)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113)는 절연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13)는 광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113)는 조명수단(117)에서 발생된 광이 투과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13)는 기판(111)의 상부에 몰딩 공정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부(113)는 PVC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을 몰딩하여 마련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차단부(115)는 보호부(113)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광 차단부(115)는 광이 투과되지 못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광 차단부(115)는 광이 투과되지 못하고 반사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광 차단부(115)는 조명수단(117)에서 발생된 광의 조사 방향이 조명수단(117)이 향하는 방향(도 3에서는 상부 방향)과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광 차단부(115)는 조명수단(117)에서 발생된 광이 상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광은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 차단부(115)는 보호부(113)의 양측면 및 기판(111)의 하면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부(113)의 상면은 광 차단부(115)가 형성되지 않게 되며, 조명수단(117)에서 발생된 광은 광 차단부(115)가 형성되지 않은 보호부(113)의 상면으로 조사되게 된다.
즉, 조명장치(102)에서 조명수단(117)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광 조사 방향도 상부 방향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명수단(117)의 방향과 광의 조사 방향이 일치하는 플렉서블 조명장치를 "제1 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로 지칭할 수 있다.
조명수단(117)은 기판(111)의 일면에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조명수단(117)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조명수단(117)이 기판(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11)의 타면에는 조명수단(1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패턴(119)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속장치(104)는 조명장치(102)의 일단부에서 조명장치(102)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접속장치(106)는 조명장치(102)의 타단부에서 조명장치(102)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접속장치(104) 및 제2접속장치(106)는 조명장치(102)를 다른 조명장치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명장치들이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조명장치(102-1)와 제2조명장치(102-2)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1조명장치(102-1)와 제2조명장치(102-2)는 수직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조명장치(102-1)의 일단부가 제2조명장치(102-2)의 타단부 상부에 놓이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조명장치(102-1)의 제1접속장치(104)와 제2조명장치(102-2)의 제2접속장치(106)가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조명장치(102-1)를 하부로 가압(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조명장치(102-1)의 제1접속장치(104)와 제2조명장치(102-2)의 제2접속장치(106)가 결합되면서 제1조명장치(102-1)와 제2조명장치(102-2)가 물리적 및 전기적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제1조명장치(102-1)와 제2조명장치(102-2)는 일렬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조명장치(102-1)는 플렉서블 조명장치일 수 있다. 제2조명장치(102-2)는 플렉서블 조명장치 또는 논플렉서블(Non-Flexible) 조명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플렉서블 조명장치는 기판으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사용하는 조명장치일 수 있다. 논플렉서블 조명장치는 기판으로 일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사용하는 조명장치일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조명장치들의 결합으로 조명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접속장치(104)는 제1접속단자부(121), 보조기판(123), 제1접속바디부(125), 및 제1몰딩커버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단자부(121)는 조명장치(102)의 일단부에 노출된 기판(111)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접속단자부(12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접속단자부(121)는 제1-1접속단자부(121-1) 및 제1-2접속단자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접속단자부(121-1)와 제1-2접속단자부(121-2)는 기판(111)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속단자부(121)는 기판(111)의 양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기판(111)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1접속단자부(121-1)가 기판(111)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기판(111)과 결합되고, 제1-2접속단자부(121-2)가 기판(111)의 타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기판(111)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속단자부(121)는 기판(111)에 형성된 배선패턴(119)과 접속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단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접속단자부(121)는 제1기판결합부(121a), 제1연장단자부(121b), 및 제1단차연결부(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단자부(121)는 조명장치(102)의 기판(111)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면서 조명장치(102)와 이웃하는 다른 조명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장치일 수 있다.
제1기판결합부(121a)는 기판(111)과 결합될 수 있다. 제1기판결합부(121a)는 내부에 기판(111)이 삽입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기판결합부(121a)는 제1접속플레이트(121a-1) 및 제2접속플레이트(121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플레이트(121a-1)는 제1접속단자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기판(111)과 결합 시 제1접속플레이트(121a-1)는 기판(111)의 하면과 대면할 수 있다.
제2접속플레이트(121a-2)는 제1접속플레이트(121a-1)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결되고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접속플레이트(121a-2)는 제1접속플레이트(121a-1)의 상부에서 제1접속플레이트(121a-1)와 마주보며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접속플레이트(121a-1)와 제2접속플레이트(121a-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기판(111)은 제1접속플레이트(121a-1)와 제2접속플레이트(121a-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게 된다. 제2접속플레이트(121a-2)는 기판(111)의 상면과 대면할 수 있다.
제1접속플레이트(121a-1)에는 제1탄성가압부(121d)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탄성가압부(121d)는 제1기판결합부(121a)의 내부로 삽입되는 기판(111)을 가압하여 기판(111)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탄성가압부(121d)는 탄성개구(121d-1) 및 탄성바(121d-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개구(121d-1)는 제1접속플레이트(121a-1)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탄성바(121d-2)는 탄성개구(121d-1)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바(121d-2)는 일단이 제1접속플레이트(121a-1)와 연결되고, 양 측면 및 타단이 탄성개구(121d-1)에 의해 제1접속플레이트(121a-1)와 이격될 수 있다. 탄성바(121d-2)는 제1기판결합부(121a)의 후단을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11)의 삽입 시 제1탄성가압부(121d)가 기판(111)의 하부를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제1접속단자부(121)는 기판(111)과 물리적 및 전기적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는, 제1탄성가압부(121d)가 제1접속플레이트(121a-1)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접속플레이트(121a-2)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연장단자부(121b)는 제1기판결합부(121a)의 후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연장단자부(121b)는 제1기판결합부(121a)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연장단자부(121b)는 제1기판결합부(121a)와 높이차(즉, 단차)를 두고 마련될 수 있다. 제1연장단자부(121b)는 조명장치(102)와 결합되는 다른 조명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장단자부(121b)에는 보조기판 결합부(121b-1)가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장단자부(121b)를 제1기판결합부(121a)와 높이차를 두고 형성하는 것은, 조명장치(102)의 배선패턴(119)의 높이와 다른 조명장치의 배선패턴의 높이가 다른 경우, 그 높이를 맞추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장치(102)가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다른 조명장치가 논플렉서블 조명장치인 경우, 두 조명장치 간에 배선패턴의 높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제1연장단자부(121b)는 배선패턴의 높이차를 맞추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차연결부(121c)는 제1기판결합부(121a)와 제1연장단자부(121b)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단차연결부(121c)는 제1기판결합부(121a)와 제1연장단자부(121b)를 수직하게 연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여기서는 조명장치(102)의 배선패턴(119)과 다른 조명장치의 배선패턴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조명장치(102)의 배선패턴(119)과 다른 조명장치의 배선패턴의 높이가 같은 경우(예를 들어, 조명장치(102)와 다른 조명장치가 모두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거나 논플렉서블 조명장치인 경우 또는 조명 장치(102) 및 다른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는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논플렉서블 조명장치이지만 배선 패턴의 높이가 같은 경우 등)는 그에 맞게 제1접속단자(121) 등의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판결합부(121a)와 제1연장단자부(121b)는 단차 없이 동일한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보조기판(123)은 제1접속단자부(12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기판(123)은 제1연장단자부(121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기판(123)에는 보조기판 결합부(121b-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23a)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기판(123)은 보조기판 결합부(121b-1)가 삽입홀(123a)에 끼움 삽입되어 제1접속단자부(121)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조기판(123)은 조명장치(102)와 연결되는 다른 조명장치의 기판과 대응되는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기판(123)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 조명수단(123b)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조명수단(123b)은 조명장치(102)가 다른 조명장치와 연결될 때 다크 존(Dark Zone)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조기판(123)의 양측에는 걸림돌기부(123c)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속단자부(121)와 결합된 보조기판(123)은 제1접속바디부(125)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접속바디부(125)는 기판(111)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기판(111)에 제1접속단자부(121)가 결합되고, 제1접속단자부(121)에 보조기판(123)이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111)의 일단부는 제1접속바디부(125)의 내부에 수납되고 안착될 수 있다. 제1접속바디부(125)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1몰딩커버부(127)는 제1접속바디부(125)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몰딩커버부(127)는 기판(111)의 일단부 및 보조기판(123)을 덮으며 마련될 수 있다. 제1몰딩커버부(127)는 몰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몰딩커버부(127)는 실리콘 몰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몰딩커버부(127)는 성형 틀 내에 제1접속바디부(125)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리콘이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몰딩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기판(111)의 일단부 및 제1접속단자부(121)는 제1몰딩커버부(127)에 의해 밀봉되게 된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몰딩커버부(127)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제1몰딩커버부(127)는 몰딩 공정을 통해 제1접속바디부(12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몰딩커버부(127)의 형상은 기판(111)(제1접속단자부(121) 및 보조기판(123)을 포함)의 일단부가 수납된 제1 접속바디부(125)의 내부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1)의 양측이 제1접속단자부(121)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몰딩 공정 시 기판(111)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접속단자부(121)가 기판(111)의 양측을 꽉 잡아주고 있는 상태에서 제1접속바디부(125)에 안착되기 때문에, 몰딩 재료가 주입되더라도 기판(111)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장치(102)의 일단부에서 기판(111)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기판(111)의 양측이 제1접속단자부(121)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기판(111)이 제1접속바디부(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몰딩 공정을 통해 제1몰딩커버부(127)를 형성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바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바디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바디부의 내부에 제1접속단자부가 결합된 기판의 일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접속바디부(125)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31), 제1측면플레이트(133), 제1연결플레이트(135), 및 제1접속결합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플레이트(131)는 제1접속바디부(1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에는 하나 이상의 몰딩 삽입홀(131a)이 제1베이스플레이트(131)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몰딩커버부(127)의 형성 시 주입되는 몰딩 재료가 몰딩 삽입홀(131a)을 통해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하부로도 충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하부에는 제1몰딩 충진홈(131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몰딩 충진홈(131b)은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몰딩 삽입홀(131a)을 통해 삽입되는 몰딩 재료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하부에서 제1몰딩 충진홈(131b)에 충진되어 제1몰딩커버부(127)와 제1접속바디부(125)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1측면플레이트(133)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양측에서 상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측면플레이트(133)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일측에서 상부로 마련되는 제1-1측면플레이트(133-1) 및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타측에서 상부로 마련되는 제1-2측면플레이트(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플레이트(133)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몰딩 충진홈(133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몰딩 충진홈(133a)은 제1측면플레이트(133)의 내면에서 제1측면플레이트(133)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몰딩 충진홈(133a)은 제1측면플레이트(1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몰딩커버부(127)의 형성 시 몰딩 재료가 제2몰딩 충진홈(133a)에 충진됨에 따라, 제1몰딩커버부(127)와 제1접속바디부(125)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몰딩 삽입홀(131a), 제1몰딩 충진홈(131b), 및 제2몰딩 충진홈(133a)의 형상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몰딩 삽입홀(131a)은 제1측면플레이트(13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몰딩 충진홈(133a)은 제1측면플레이트(133)의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135)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종단에서 제1-1측면플레이트(133-1)와 제1-2측면플레이트(133-2)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135)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31) 보다 높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135)는 제1단차연결부(121c)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조명장치(102)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기판(111)은 제1접속단자부(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단차연결부(121c)는 제1연결플레이트(135)의 전면에 안착되고, 제1연장단자부(121b)는 제1연결플레이트(135)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연결플레이트(135)의 전면 및 상면에는 각각 단자안착홈(135a)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연장단자부(121b)는 제1접속결합부(137) 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보조기판(123)은 제1접속단자부(1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연결플레이트(135)의 상단에 안착되고,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1측면플레이트(133)의 내면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보조기판(123)의 걸림돌기부(123c)는 제1연결플레이트(135)의 전단에 마련되는 걸림턱(135b)에 걸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기판(123)이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접속결합부(137)는 제1측면플레이트(133)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접속결합부(137)는 제1-1측면플레이트(133-1) 및 제1-2측면플레이트(133-2)의 후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접속결합부(137)는 좌우 대칭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베이스플레이트(131)의 후방에는 일정 공간(S)이 형성되게 된다. 즉, 제1접속결합부(137)의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제1접속결합부(137)에는 결합 삽입홈(137a)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삽입홈(137a)은 제1접속결합부(137)의 하단에서 제1접속결합부(137)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속결합부(137)에는 결합돌기(137b)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기(137b)는 제1접속결합부(137)의 내면에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삽입홈(137a) 및 결합돌기(137b)는 다른 조명장치의 제2접속장치와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속결합부(137)에는 폭 조절홈(137c)이 마련될 수 있다. 폭 조절홈(137c)은 제1측면플레이트(133) 보다 제1접속결합부(137)의 폭이 좁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결합부(137)가 다른 조명장치의 제2접속장치와 결합할 때 탄성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여 쉽게 결합 및 분리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접속결합부(137)의 후단에는 보조연결부(139)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연결부(139)는 제1접속결합부(137)의 상단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보조연결부(139)는 제1접속결합부(137)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바디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에 제2접속단자부가 결합된 기판의 일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제1접속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접속장치(106)는 제2접속단자부(141), 제2접속바디부(145), 및 제2몰딩커버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속단자부(141)는 조명장치(102)의 타단부에 노출된 기판(111)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접속단자부(141)는 제2-1접속단자부(141-1) 및 제2-2접속단자부(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접속단자부(141-1)는 기판(111)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기판(111)과 결합되고, 제2-2접속단자부(141-2)는 기판(111)의 타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기판(111)과 결합될 수 있다. 제2접속단자부(141)는 조명장치(102)의 기판(111)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면서 조명장치(102)와 이웃하는 다른 조명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장치일 수 있다.
제2접속단자부(141)는 제2기판결합부(141a), 제2연장단자부(141b), 및 제2단차연결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기판결합부(141a) 및 제2단차연결부(141c)는 도 7에 도시된 제1기판결합부(121a) 및 제1단차연결부(121c)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연장단자부(141b)는 제2기판결합부(141a)의 후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연장단자부(141b)는 제2-1연장단자(141b-1) 및 제2-2연장단자(141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연장단자(141b-1)는 제2기판결합부(141a)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2연장단자(141b-2)는 제2-1연장단자(141b-1)의 종단에서 제2-1연장단자(141b-1)의 연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2연장단자(141b-2)는 상부로 굴곡지게 마련됨에 따라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접속바디부(145)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51), 제2측면플레이트(153), 제2연결플레이트(155), 및 제2접속결합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이스플레이트(151)는 제2접속바디부(1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베이스플레이트(151)에는 하나 이상의 몰딩 삽입홀(151a)이 제2베이스플레이트(151)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베이스플레이트(151)의 하부에는 제1몰딩 충진홈(151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몰딩 충진홈(151b)은 제2베이스플레이트(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측면플레이트(153)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51)의 양측에서 상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측면플레이트(153)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51)와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측면플레이트(153)는 제2-1측면플레이트(153-1) 및 제2-2측면플레이트(15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측면플레이트(153)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2몰딩 충진홈(153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몰딩커버부(147)의 형성 시 몰딩 삽입홀(151a)을 통해 삽입되는 몰딩 재료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51)의 하부에서 제1몰딩 충진홈(151b)에 충진되고, 제2몰딩 충진홈(153a)에 각각 충진됨에 따라, 제2몰딩커버부(147)와 제2접속바디부(145)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연결플레이트(155)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51)의 종단에서 제2-1측면플레이트(153-1)와 제2-2측면플레이트(153-2)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연결플레이트(155)는 제2측면플레이트(153)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연결플레이트(155)에는 제2연장단자부(141b)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155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157)는 제2연결플레이트(155)의 후단에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157)는 다른 조명장치의 제1접속장치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157)는 제2연결플레이트(155)보다 좁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157)의 상면에는 제2연장단자부(141b)가 안착되는 단자안착홈(157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157)의 양측면에는 결합날개부(157b)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날개부(157b)는 제2접속결합부(157)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접속결합부(157)의 양측면에는 결합홈(157c)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157)를 통해 다른 조명장치의 제1접속장치와 결합되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조명장치(102)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기판(111)은 제2접속단자부(14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베이스플레이트(15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2연장단자부(141b)는 단자삽입홀(155a)에 삽입되고 단자안착홈(157a)에 안착될 수 있다.
제2몰딩커버부(147)는 제2접속바디부(145)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몰딩커버부(147)는 기판(111)의 타단부 및 제2접속단자부(141)를 덮으며 마련될 수 있다. 제2몰딩커버부(147)는 성형 틀 내에 제2접속바디부(145)가 수용된 상태에서 몰딩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등)가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조명장치(102)의 타단부에서 기판(111)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기판(111)의 양측이 제2접속단자부(141)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며, 기판(111)이 제2접속바디부(145)에 안착된 상태에서 몰딩 공정을 통해 제2몰딩커버부(147)를 형성하기 때문에, 몰딩 재료 주입 시 기판(111)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명 장치(102)의 보호부(113)도 몰딩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제1몰딩커버부(127) 및 제2 몰딩커버부(147)도 몰딩 공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호부(113)와 제1몰딩커버부(127) 및 제2몰딩커버부(147)는 외관상 연속적으로 보일 수 있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호부(113)와 제1몰딩커버부(127) 및 제2몰딩커버부(147)는 동일한 몰딩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조명장치의 제1접속장치와 제2조명장치의 제2접속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조명장치(102-1)의 제1접속장치(104)는 제2조명장치(102-2)의 제2접속장치(106)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조명장치(102-1)의 제1접속결합부(137)가 제2조명장치(102-2)의 제2접속결합부(157)와 대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조명장치(102-1)를 하부로 강압하여 누르면, 제2조명장치(102-2)의 결합날개부(157b)가 제1조명장치(102-1)의 결합 삽입홈(137a)에 끼움 삽입되면서 1차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명장치(102-1)의 결합돌기(137b)가 제2조명장치(102-2)의 결합홈(157c)에 걸림되면서 2차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조명장치(102-1)의 제1연장단자부(121b)가 제2조명장치(102-2)의 제2연장단자부(141b)에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조명장치(202)는 제1접속장치(204) 및 제2접속장치(2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명장치(202)는 플렉서블 조명장치일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202)는 기판(211), 보호부(213), 광 차단부(215), 및 조명수단(21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1)은 조명장치(202)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213)는 기판(211)의 일면에서 기판(211)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보호부(213)는 기판(211)의 상부에 몰딩 공정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부(213)는 PVC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을 몰딩하여 마련될 수 있으나,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차단부(215)는 보호부(213)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광 차단부(215)는 조명수단(217)에서 발생된 광이 보호부(213)의 일면(즉, 광 차단부(215)가 형성되지 않은 면)으로 조사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 차단부(215)는 조명수단(217)에서 발생된 광의 조사 방향이 조명수단(217)이 향하는 방향(도 16에서는 상부 방향)과 다른 방향(예를 들어, 수직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 차단부(215)는 보호부(213)의 일측면 및 상면과 기판(211)의 하면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부(213)의 타측면은 광 차단부(215)가 형성되지 않게 되며, 조명수단(217)에서 발생된 광은 광 차단부(215)가 형성되지 않은 보호부(213)의 타측면으로 조사되게 된다.
즉, 조명장치(202)에서 조명수단(217)은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광 조사 방향은 조명장치(202)의 측면 방향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명수단(217)의 방향과 광의 조사 방향이 다른 플렉서블 조명장치를 "제2 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로 지칭할 수 있다.
조명수단(217)은 기판(211)의 일면에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판(211)의 타면에는 조명수단(217)과 전기적으로 연결디는 배선패턴(219)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속장치(204)는 조명장치(202)의 일단부에서 조명장치(202)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접속장치(206)는 조명장치(202)의 타단부에서 조명장치(202)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접속장치(204) 및 제2접속장치(206)는 조명장치(202)를 다른 조명장치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장치의 분해도 및 분해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몰딩커버부를 생략하였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1접속장치(204)는 제1접속단자부(221), 제1접속바디부(225), 및 제1몰딩커버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단자부(221)는 조명장치(202)의 일단부에 노출된 기판(211)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접속단자부(221)는 기판(211)의 양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기판(211)과 결합되고, 기판(211)에 형성된 배선패턴(219)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접속단자부(221)는 제1기판결합부(221a), 제1연장단자부(221b), 및 제1단차연결부(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결합부(221a)는 기판(211)의 측부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 시 제1기판결합부(221a)는 기판(211)에 형성된 배선패턴(219)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제1연장단자부(221b)는 제1기판결합부(221a)의 후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연장단자부(221b)는 제1접속바디부(225)와 결합되고, 제1접속바디부(225)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연장단자부(221b)는 제1기판결합부(221a)와 높이차(즉, 단차)를 두고 마련될 수 있다.
제1단차연결부(221c)는 제1기판결합부(221a)와 제1연장단자부(221b)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단차연결부(221c)는 도 7에 도시된 제1단차연결부(121c)와 높이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단차연결부(221c)는 도 7에 도시된 제1단차연결부(121c) 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접속단자부(221)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다른 조명 장치와 연결될 때 다크 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기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접속바디부(225)는 기판(211)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접속바디부(225)는 제1베이스플레이트(231), 제1측면플레이트(233), 제1연결플레이트(235), 제1접속결합부(237), 및 제1상부플레이트(2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바디부(225)는 광 조사 방향과 대응하는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베이스플레이트(231)는 제1접속바디부(2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베이스플레이트(231)에는 하나 이상의 몰딩 삽입홀(231a)이 제1 베이스플레이트(231)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측면플레이트(233)는 제1베이스플레이트(231)의 일측에서 상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측면플레이트(233)는 광 조사 방향과 반대되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몰딩 삽입홀(231a)은 제1측면플레이트(233)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235)는 제1베이스플레이트(231)의 후단에서 제1베이스플레이트(231)와 제1측면플레이트(233)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235)는 제1베이스플레이트(231)와 제1상부플레이트(239)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플레이트(235)는 제1-1연결플레이트(235-1) 및 제1-2연결플레이트(2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연결플레이트(235-1)는 제1베이스플레이트(231)의 후단에서 제1베이스플레이트(231)와 제1측면플레이트(233)를 연결할 수 있다. 제1-1연결플레이트(235-1)는 제1베이스플레이트(231) 및 제1측면플레이트(233)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1연결플레이트(235-1)에는 단자삽입홀(235-1a)이 제1-1연결플레이트(235-1)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2연결플레이트(235-2)는 제1-1연결플레이트(235-1)의 후단에서 제1접속바디부(2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속결합부(237)는 제1연결플레이트(235)의 양측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접속결합부(237)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S)이 형성되게 된다. 제1접속결합부(237)에는 결합 삽입홈(237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속결합부(237)에는 결합돌기(237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상부플레이트(239)는 제1측면플레이트(233)의 상단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상부플레이트(239)는 제1베이스플레이트(231)와 대면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상부플레이트(239)에는 하나 이상의 몰딩 삽입홀(239a)이 마련될 수 있다. 몰딩 삽입홀(239a)은 제1측면플레이트(233)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상부플레이트(239)의 후단에는 제1상부플레이트(239)를 제1접속결합부(237)와 연결하는 보조연결부(239b)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장치(202)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기판(211)은 제1접속단자부(2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접속바디부(22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1연장단자부(221b)는 단자삽입홀(235-1a)로 삽입되어 제1-2연결플레이트(235-2)의 하부에서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몰딩커버부(227)는 제1접속바디부(225)의 내부를 충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몰딩커버부(227)의 형성 시 주입되는 몰딩 재료는 몰딩 삽입홀(239a)을 통해 제1접속바디부(225)의 내부로 유입되고, 몰딩 삽입홀(231a)을 통해 제1접속바디부(225)의 하부를 충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접속바디부(225)의 내부 전체가 몰딩 삽입홀(231a, 239a)을 통해 충진되므로 제1몰딩커버부(227)와 제1접속바디부(22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바디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에 제2접속단자부가 결합된 기판의 일단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제1접속장치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제2접속장치(206)는 제2접속단자부(241), 제2접속바디부(245), 및 제2몰딩커버부(2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속단자부(241)는 조명장치(202)의 타단부에 노출된 기판(211)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접속단자부(241)는 조명장치(202)의 양측에 슬라이드 되면서 기판(211)과 결합되고, 기판(211)에 형성된 배선패턴(219)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2접속단자부(241)는 제2기판결합부(241a), 제2연장단자부(241b), 및 제2단차연결부(24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장단자부(241b)는 제2기판결합부(241a)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1연장단자(241b-1) 및 제2-1연장단자(241b-1)의 종단에서 제2-1연장단자(241b-1)의 연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2연장단자(241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속바디부(245)는 제2베이스플레이트(251), 제2측면플레이트(253), 제2연결플레이트(255), 제2접속결합부(257), 및 제2상부플레이트(25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속바디부(245)는 광 조사 방향과 대응하는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베이스플레이트(251)는 제2접속바디부(2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베이스플레이트(251)에는 하나 이상의 몰딩 삽입홀(251a)이 제2 베이스플레이트(251)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측면플레이트(253)는 제2베이스플레이트(251)의 일측에서 상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측면플레이트(253)는 광 조사 방향과 반대되는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몰딩 삽입홀(251a)은 제2측면플레이트(253)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플레이트(255)는 제2베이스플레이트(251)의 종단에서 제2베이스플레이트(251), 제2측면플레이트(253), 및 제2상부플레이트(259)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연결플레이트(255)에는 제2연장단자부(241b)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255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257)는 제2연결플레이트(255)의 후단에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257)는 다른 조명장치의 제1접속장치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257)는 제2연결플레이트(255)보다 좁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257)의 상면에는 제2연장단자부(241b)가 안착되는 단자안착홈(257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결합부(257)의 양측면에는 결합날개부(257b)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날개부(257b)는 제2접속결합부(257)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접속결합부(257)의 양측면에는 결합홈(257c)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상부플레이트(259)는 제2측면플레이트(253)의 상단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상부플레이트(259)는 제2베이스플레이트(251)와 대면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상부플레이트(259)에는 하나 이상의 몰딩 삽입홀(259a)이 마련될 수 있다. 몰딩 삽입홀(259a)은 제2측면플레이트(253)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명장치(202)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기판(211)은 제2접속단자부(24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베이스플레이트(25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2연장단자부(241b)는 단자삽입홀(255a)에 삽입되고 단자안착홈(257a)에 안착될 수 있다.
제2몰딩커버부(247)는 제2접속바디부(245)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몰딩커버부(247)는 기판(211)의 타단부 및 제2접속단자부(241)를 덮으며 마련될 수 있다. 제2몰딩커버부(247)는 성형 틀 내에 제2접속바디부(245)가 수용된 상태에서 몰딩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등)가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조명장치의 제1접속장치와 제2조명장치의 제2접속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는 도 14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조명 장치(202)의 보호부(213)도 몰딩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제1몰딩커버부(227) 및 제2 몰딩커버부(247)도 몰딩 공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호부(213)와 제1몰딩커버부(227) 및 제2몰딩커버부(247)는 외관상 연속적으로 보일 수 있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호부(213)와 제1몰딩커버부(227) 및 제2몰딩커버부(247)는 동일한 몰딩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2, 202 : 조명장치
104, 204 : 제1접속장치
106, 206 : 제2접속장치
111, 211 : 기판
113, 213 : 보호부
115, 215 : 광 차단부
117, 217 : 조명수단
119, 219 : 배선패턴
121, 221 : 제1접속단자부
121-1 : 제1-1접속단자부
121-2 : 제1-2접속단자부
121a, 221a : 제1기판결합부
121a-1 : 제1접속플레이트
121a-2 : 제2접속플레이트
121b, 221b : 제1연장단자부
121b-1 : 보조기판 결합부
121c, 221c : 제1단차연결부
121d : 제1탄성가압부
121d-1 : 탄성개구
121d-2 : 탄성바
123 : 보조기판
123a : 삽입홀
123b : 보조 조명수단
123c : 걸림돌기부
125, 225 : 제1접속바디부
127, 227 : 제1몰딩커버부
131, 231 : 제1베이스플레이트
131a, 231a : 몰딩 삽입홀
131b : 제1몰딩 충진홈
133, 233 : 제1측면플레이트
133-1 : 제1-1측면플레이트
133-2 : 제1-2측면플레이트
133a : 제2몰딩 충진홈
135, 235 : 제1연결플레이트
135b : 걸림턱
135a : 단자안착홈
137, 237 : 제1접속결합부
137a, 237a : 결합 삽입홈
137b, 237b : 결합돌기
137c : 폭 조절홈
141, 241 : 제2접속단자부
141-1 : 제2-1접속단자부
141-2 : 제2-2접속단자부
141a, 241a : 제2기판결합부
141b, 241b : 제2연장단자부
141b-1, 241b-1 : 제2-1연장단자
141b-2, 241b-2 : 제2-2연장단자
141c, 241c : 제2단차연결부
145, 245 : 제2접속바디부
147, 247 : 제2몰딩커버부
151, 251 : 제2베이스플레이트
151a, 251a : 몰딩 삽입홀
151b : 제1몰딩 충진홈
153, 253 : 제2측면플레이트
153-1 : 제2-1측면플레이트
153-2 : 제2-2측면플레이트
153a : 제2몰딩 충진홈
155, 255 : 제2연결플레이트
155a, 255a : 단자삽입홀
157, 257 : 제2접속결합부
157a, 257a : 단자안착홈
157b, 257b : 결합날개부
157c, 257c : 결합홈
235-1 : 제1-1연결플레이트
235-1a : 단자삽입홀
235-2 : 제1-2연결플레이트
239 : 제1상부플레이트
239a : 몰딩 삽입홀
239b : 보조연결부
259 : 제2상부플레이트
259a : 몰딩 삽입홀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기판은, 상기 조명장치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접속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의 일단부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기판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접속단자부;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접속바디부; 및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내부에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마련되는 제1몰딩커버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바디부는,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상부로 마련되는 제1측면플레이트;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후단에 마련되고, 상기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다른 조명장치의 제2접속장치와 결합하는 제1접속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바디부는,
    상기 제1접속바디부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몰딩 재료가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내부 또는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몰딩 삽입홀 및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내면 및 외면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고, 상기 몰딩 재료가 충진되는 몰딩 충진홈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단자부는,
    상기 기판의 양측과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기판결합부; 및
    상기 제1기판결합부의 후단에서 상기 제1접속결합부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연장단자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1 타입의 플렉서블 조명 장치이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단부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연장단자부는,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접속결합부 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조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단자부는, 상기 제1기판결합부와 높이차를 두고 마련되고,
    상기 제1접속단자부는, 상기 제1기판결합부와 상기 제1연장단자부 사이에서 상기 제1기판결합부와 상기 제1연장단자부를 연결하는 제1단차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단차연결부와 대응하는 높이로 마련되는, 조명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장치는,
    상기 제1연장단자부와 결합되고, 보조 조명수단을 구비하는 보조기판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2 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상기 제1접속바디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광 조사 방향과 대응되는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상기 광 조사 방향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상부로 마련되고,
    상기 제1접속바디부는,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와 대면하여 마련되는 제1상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2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를 연결하며 마련되는 제1-1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1-1연결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2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단자부는,
    상기 기판의 양측과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기판결합부; 및
    상기 제1기판결합부의 후단에서 상기 제1접속결합부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연장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1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연장단자부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단자부는, 상기 제1-2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조명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기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 및 상기 제1몰딩커버부는, 각각 몰딩 공정을 통해 마련되는, 조명장치.
  12.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기판은, 상기 조명장치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접속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의 타단부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기판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접속단자부;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접속바디부; 및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에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마련되는 제2몰딩커버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상부로 마련되는 제2측면플레이트;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연결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의 후단에 마련되고, 상기 조명장치와 이웃하는 다른 조명장치의 제1접속장치와 결합하는 제2접속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제2접속바디부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몰딩 재료가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 또는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몰딩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내면 및 외면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고, 상기 몰딩 재료가 충진되는 몰딩 충진홈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단자부는,
    상기 기판의 양측과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배선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기판결합부; 및
    상기 제2기판결합부의 후단에서 상기 제2접속결합부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2연장단자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1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광 조사 방향과 대응되는 상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2연장단자부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단자부는, 상기 제2접속결합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조명장치.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제2타입의 플렉서블 조명장치이고,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광 조사 방향과 대응되는 측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상기 광 조사 방향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상부로 마련되고,
    상기 제2접속바디부는,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대면하여 마련되는 제2상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9.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접속장치, 및 상기 기판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기판은, 상기 조명장치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서 각각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접속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의 일단부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기판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접속단자부;
    상기 제1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일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접속바디부; 및
    상기 제1접속바디부의 내부에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마련되는 제1몰딩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장치는,
    상기 조명장치의 타단부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된 기판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접속단자부;
    상기 제2접속단자부와 결합된 상기 기판의 타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접속바디부; 및
    상기 제2접속바디부의 내부에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마련되는 제2몰딩커버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0.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제1기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조명장치;
    상기 플렉서블 조명장치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기판과 결합되는 제1접속장치;
    하나 이상의 조명수단이 형성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논플렉서블 조명장치; 및
    상기 논플렉서블 조명장치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2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제1접속장치와 결합되는 제2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KR1020200019837A 2019-09-11 2020-02-18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KR102382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2904 2019-09-11
KR1020190112904 2019-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352A true KR20210031352A (ko) 2021-03-19
KR102382828B1 KR102382828B1 (ko) 2022-04-05

Family

ID=7526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837A KR102382828B1 (ko) 2019-09-11 2020-02-18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8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547B1 (ko) 2012-09-03 2013-07-03 주식회사 디에스피 플렉서블 led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792B1 (ko) * 2013-01-22 2015-05-20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블럭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엘이디 바
KR20160042158A (ko) * 2010-09-06 2016-04-18 헤레우스 노블라이트 게엠베하 광전자 칩-온-보드 모듈을 위한 코팅 방법
CN205579505U (zh) * 2016-02-16 2016-09-14 鹤山市银雨照明有限公司 一种柔性灯条接头结构
KR20170058558A (ko) * 2015-11-19 2017-05-29 (주)우영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KR20190101279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158A (ko) * 2010-09-06 2016-04-18 헤레우스 노블라이트 게엠베하 광전자 칩-온-보드 모듈을 위한 코팅 방법
KR101281547B1 (ko) 2012-09-03 2013-07-03 주식회사 디에스피 플렉서블 led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792B1 (ko) * 2013-01-22 2015-05-20 주식회사 아이티앤티 블럭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엘이디 바
KR20170058558A (ko) * 2015-11-19 2017-05-29 (주)우영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CN205579505U (zh) * 2016-02-16 2016-09-14 鹤山市银雨照明有限公司 一种柔性灯条接头结构
KR20190101279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828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21075B (zh) 卡缘连接器
KR102012026B1 (ko) 커넥터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EP2285195B1 (en) Socket, circuit board assembly,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818788B1 (en) Illumination device and connector
EP2570721B1 (en) LED socket
CN202100985U (zh) 一种led日光灯管
CN112186447B (zh) 防水型电子零件及其组装方法
US8961192B2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US20140369056A1 (en) Light-emitting diode lamp assembly
TWM492563U (zh) 連接器
US8714997B2 (en) Terminal and terminal connecting construction
US20110230065A1 (en) Connector housing with light guide element
KR102382828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KR102382829B1 (ko) 접속단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US7220931B2 (en) Switching device with integrated light source
ATE519256T1 (de) Steckverbinder
KR101240943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부착용 모듈, 반도체 발광소자 모듈, 반도체 발광소자 부착용 모듈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발광소자 모듈의 제조방법
KR101420043B1 (ko) 커넥터
KR102315451B1 (ko)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조명시스템
KR101593585B1 (ko) 엘시디 모듈에 직접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피시비
US20200240618A1 (en) Connection device and flexible lighting system with the same
CN1174450C (zh) 开关装置
KR102409789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US20120195014A1 (en) Terminal mounting construction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