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558A -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558A
KR20170058558A KR1020150162281A KR20150162281A KR20170058558A KR 20170058558 A KR20170058558 A KR 20170058558A KR 1020150162281 A KR1020150162281 A KR 1020150162281A KR 20150162281 A KR20150162281 A KR 20150162281A KR 20170058558 A KR20170058558 A KR 20170058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port
protrusion
main body
extru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596B1 (ko
Inventor
이점용
Original Assignee
(주)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영 filed Critical (주)우영
Priority to KR102015016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5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 프레임 본체와 투광커버체와 단자 케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마감접속구 간의 끼움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수밀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원터치 체결과 동시에 방수 기능이 부여되도록 한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과 양측이 개방되고 대향하는 측면과 바닥면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진 압출 프레임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며 전원 공급을 위한 암수형태의 커넥터 단자가 양단에 접속 연결되고 다수의 엘이디 소자가 실장되어진 엘이디 기판과, 상기 본체 상측에 장착되어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켜주는 투광커버체와, 상기 엘이디 기판의 암수 형 커넥터 단자에 삽입되며 본체 양측 개방부위에 위치 장착되는 마감접속구로 이루어진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의 내주면 상단으로 장방형의 걸림돌부와 걸림홈부를 연이어 형성하고, 투광커버체는 대향 측면의 걸림돌부와 걸림홈부에 연계한 요철 형태로 끼움 체결되도록 양 측면에 결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투광커버체가 체결된 대향 측면의 걸림홈부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마감접속구는 본체 양측 개방부위에 위치 후 대향 측면과 바닥면과 투광커버체와 연계하여 탄지 끼움 체결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Connect the connection type bar-type lighting fixtures}
본 발명은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압출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투광커버체와 마감접속구의 조립 및 분해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이들 구성물(본체, 투광커버체, 마감접속구)간의 체결과 동시에 연결부위가 방수되도록 하고, 설치 대상물이나 사용용도에 따라 접촉 내지는 일정한 유격을 두고 비접촉 상태로 필요 개수만큼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 광원을 채용한 조명기구는 설치위치 및 용도에 따라 그 형태와 구조가 다양한 것으로, 실외 분위기 연출 및 장식을 위한 옥외등이나 거실등 내지 방등과 같이 천정에 직접 장착 사용하는 직착등이나 식탁등과 같이 천정으로부터 일정거리 유격상태로 설치하는 매다는등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것이며, 이중 옥외등으로 널리 활용되는 바 타입의 연결 접속형 조명등은 건물 외측의 장식용 조명이나 무대조명, 경관 조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바 타입 연결 접속형 조명기구는 등록특허공보 제10-1308590호 내지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6074호와 같이 일정길이 절단 사용하는 압출 프레임 본체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전원 연결을 위한 암수형태의 커넥터 단자와 다수의 엘이디 소자가 실장되어진 엘이디기판을 상기 본체 내에 장착하며, 본체 상측 개방부위에 슬라이딩 장착되어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켜주는 투광커버체를 구비함과 더불어 본체 양측 개방부위에는 단자 케이스가 접속 마감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바 타입 연결 접속형 조명기구는 양측 단자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진 콘센트 모양의 +,- 커넥터 단자와 플러그 모양의 +,- 커넥터 단자를 1:1로 매칭하여 적어도 2개 이상 직렬상태로 연결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빗물과 상시 접촉할 수 있는 실외에 주로 설치사용됨으로 압출 프레임 본체와 투광커버체와 단자 케이스 체결 접속부위에 에폭시 수지를 충진하여 방수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위와 같은 기존의 바 타입 연결 접속형 조명기구는 설치 후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별다른 문제점은 없으나, 압출 프레임 본체를 기준한 상측과 양측에 단순 끼움 체결된 투광커버체와 단자 케이스의 연결부위 틈새(끼움 공차로 인하여 발생된 틈새)를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절연하기 어려워 빗물 유입에 따른 전기 누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압출 프레임 본체와 투광커버체 및 단자 케이스 간의 연결부위에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별도의 수밀패킹을 삽입하거나 에폭시 수지물 등을 충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유지보수 및 부품 교체 과정에서 경화된 에폭시 수지물로 인한 분해 및 재 조립성이 용이치 못할 뿐만 아니라 무리한 탈부착에 따른 스크래치와 같은 외형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부품 추가로 인한 가격 상승으로 경제적이지 못한 것이다.
더욱이, 1:1 대응하여 끼움 체결되는 암수 형 단자 케이스를 이용한 2개 이상의 바 타입 연결 접속형 조명기구를 직렬 방향으로 연결 사용하는 과정에서 단순 면 접촉 상태를 이루는 암수 형 단자 케이스의 접속부위 틈새로부터 빗물 유입이 우려되어 제품 사용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고,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 등의 외력으로부터 단자 케이스 간 연결 접속부위 변형과 이로 인하 수밀성이 저하되는 구조적 문제점이 노출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출 프레임 본체와 투광커버체와 단자 케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마감접속구 간의 끼움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수밀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원터치 체결과 동시에 방수 기능이 부여되도록 하며, 1:1 매칭하여 접속되는 암수 형태의 마감접속구 역시 끼움 결합부위의 구조 개선을 통해 수밀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외력에 대한 긴밀한 결속력을 유지토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양측으로 배치되어진 암수 형태의 마감접속구와 대응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바 타입 조명기구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유격 된 상태에서도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도록 하고, 바 타입 조명기구 간의 다양한 유격 거리에 맞추어 케이블 커넥터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만으로도 호환 사용이 가능토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과 양측이 개방되고 대향하는 측면과 바닥면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진 압출 프레임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며 전원 공급을 위한 암수형태의 커넥터 단자가 양단에 접속 연결되고 다수의 엘이디 소자가 실장되어진 엘이디 기판과, 상기 본체 상측에 장착되어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켜주는 투광커버체와, 상기 엘이디 기판의 암수 형 커넥터 단자에 삽입되며 본체 양측 개방부위에 위치 장착되는 마감접속구로 이루어진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의 내주면 상단으로 장방형의 걸림돌부와 걸림홈부를 연이어 형성하고, 투광커버체는 대향 측면의 걸림돌부와 걸림홈부에 연계한 요철 형태로 끼움 체결되도록 양 측면에 결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투광커버체가 체결된 대향 측면의 걸림홈부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마감접속구는 본체 양측 개방부위에 위치 후 대향 측면과 바닥면과 투광커버체와 연계하여 탄지 끼움 체결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감접속구를 연질의 제 1 접속구와 제 2 접속구로 분할 구성하되, 상기 제 1 접속구는 몸체 내측으로 인입접속공을 형성하고 몸체 양측으로 인입접속공과 연통하는 커넥터 단자 삽입공과 압출 프레임 본체 측면 단부에 밀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속구는 몸체 일측으로 제 1 접속구의 인입접속공에 대응하여 체결되기 위한 접속돌부와 걸림턱을 구별 형성하고 몸체 일측에서부터 타측 접속돌부를 관통하는 커넥터 단자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접속구의 몸체 외주면으로는 압출 프레임 본체 바닥면과 대향 측면의 걸림돌부와 걸림홈부와 투광커버체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가압 체결되기 위한 탄지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출 프레임 본체와 투광커버체와 마감접속구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원터치 체결됨과 동시에 긴밀히 탄지 결합되어 패킹 내지 에폭시 수지와 같은 별도의 수밀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연결부위의 견고한 방수 처리가 가능하여 원가 절감에 따른 경쟁력 향상과 더불어 조립 생산성과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또한, 투광커버체를 압출 프레임 본체 측면이나 전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슬라이딩 체결 및 원터치 가압 체결되도록 하여 방향에 구애받지 않는 원활한 탈부착이 가능하며, 길이가 가변 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하여 바 타입 조명기구들을 유격상태에서도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할 수 있어 설치 다양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 예시를 위한 종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접속구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접속구 전면 및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접속구 체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체결 전 상태이고 (b)는 체결 직전 상태이며 (c)는 체결 후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접속구와 압출 프레임 본체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조립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 예시를 위한 종단면 예시도 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접속구와 제 2 접속구 전면 및 배면 사시도 이고, 도 5 (a)(b)(c)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접속구 체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는 크게 나누어 압출 프레임 본체(100)와 엘이디 기판(200)과 투광커버체(300)와 마감접속구(H)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의 압출 프레임 본체(100)는 일정길이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측과 양측이 개방되고 대향하는 측면(110)과 바닥면(120)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대향 측면(110)의 내주면 상단으로 장방형의 걸림돌부(111)와 걸림홈부(112)가 연이어 형성되는 한편, 대향 측면의 외주면으로는 부착대상물에 볼트 체결되어진 고정클립(114)과 탄지 결합하기 위한 클립체결홈(113)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의 엘이디 기판(200)은 양면에 접착층이 도포 된 방열테이프(201)를 이용하여 압출 프레임 본체 바닥면(120) 상측으로 부착 되어지되, 전원 공급을 위한 암수 형태의 플러그 모양 커넥터 단자(210) 및 콘센트 모양 커넥터 단자(220)를 양단에 접속 연결하고, 상면으로 다수의 엘이디 소자(202)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투광커버체(300)는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110)의 걸림돌부(111)와 걸림홈부(112)에 연계하여 요철 형태로 끼움 체결되도록 양 측면에 결합홈부(301)와 걸림턱(302)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턱(302)의 두께를 조정하여 대향 측면 걸림홈부(112)에 틈새(112a)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 예의 마감접속구(H)는 엘이디 기판(200)의 암수 형 커넥터 단자(210)(220)에 삽입되며 본체 양측 개방부위에 위치 장착되는 마감부재로 활용되어지되, 본체 양측 개방부위에 위치 후 대향 측면(110)과 바닥면(120)과 투광커버체(300)와 연계하여 탄지 끼움 체결되는 것이다.
위 예시의 마감접속구(H)는 연질의 절연성 합성 수지물로 성형되어진 제 1 접속구(400)와 제 2 접속구(500)로 분할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 1 접속구(400) 몸체(401) 내측으로 인입접속공(402)을 형성하고 몸체 양측으로 인입접속공과 연통하는 커넥터 단자 삽입공(403)과 압출 프레임 본체 측면(110) 단부에 밀착되는 걸림턱(404)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접속구(500) 몸체(501) 일측으로 제 1 접속구의 인입접속공(402)에 대응하여 체결되기 위한 접속돌부(502)와 걸림턱(504)을 구별 형성하고 몸체(501) 일측에서부터 타측 접속돌부(502)를 관통하는 커넥터 단자 삽입공(503)을 구비하게 된다.
아울러, 제 1 접속구의 인입접속공(402) 내주면으로 환형돌기(402a)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로 형성하고, 제 2 접속구의 접속돌부(502) 외주면으로 복수 개의 환형홈부(502a)를 대응 형성하여 상기 인입접속공(402)과 접속돌부(502) 간의 끼움 결속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접속구(400)(500)의 몸체(401)(501) 외주면으로는 압출 프레임 본체 바닥면(120)과 대향 측면(110)의 걸림돌부(111)와 걸림홈부(112) 및 투광커버체(300)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가압 체결되기 위한 탄지결합부(410)(5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지결합부(410)(510)는 투광커버체(300) 측면 단부에 밀착 접촉되는 스톱퍼(411)(511)와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 걸림홈부(112)를 수밀하기 위한 밀폐돌기(412)(512)와 투광커버체(300) 하측으로 삽입되어 탄성 가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압면(413)(513)과 커넥터 단자(210)(220)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414)(514)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탄지결합부(410)(510)의 가압면(413)(513) 선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투광커버체(300) 하측으로 원활한 삽입이 가능토록 하고, 밀폐돌기(412)(512)는 스톱퍼(411)(511)와 가압면(413)(513)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이어지도록 돌출 형성하되 스톱퍼(411)(511) 해당 면적 내에 위치한 밀폐돌기와 가압면(413)(513) 해당면적 내에 위치한 밀폐돌기를 단턱지게 구성하며, 상기 밀폐돌기 선단 양 측면으로 압지돌편(412a)(512a)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마감접속구(H)에 대응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600)를 사용하여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들이 유격 된 상태에서도 전기적 접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 내에 코일형 길이가변부(601)를 추가 형성하여 유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광커버체(300)는 양측 상단으로 상향 경사상의 안치턱(310)을 형성하고, 안치턱 하측으로 반구형의 텐션돌부(311)를 형성하며,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110)의 상단과 내주면으로는 상기 안치턱(310)과 텐션돌부(311)에 대응 체결되기 위한 경사 안치면(115)과 반구형 체결홈부(116)를 형성하여 압출 프레임 본체 측면 내지 전면 방향으로부터 투광커버체(300)가 슬라이딩 체결되거나 또는 원터치 가압 체결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5, 505는 제 1 접속구와 제 2 접속구의 몸체 양 측면과 바닥면으로 연이어 형성된 용융 수지물 충진홈을 도시한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압출 프레임 본체(100)와 엘이디 기판(200)과 투광커버체(300)와 마감접속구(H) 간의 유기적 결합관계 및 그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우선적으로, 도 2와 같이 압출 프레임 본체 바닥면(120) 상측으로 방열테이프(201)를 이용하여 엘이디 기판(200)을 부착한 다음 본체 측면 방향으로부터 투광커버체(300)를 슬라이딩 체결하되, 이때 대향 측면(110) 상단 내주면의 걸림돌부(111) 및 걸림홈부(112)와 이에 대응하는 투광커버체(300)의 결합홈부(301)와 걸림턱(302) 간의 긴밀한 밀착력과 더불어 지그재그 형태의 빗물 유입 차단 경로가 확보되어 투광커버체(300)와 대향 측면 상단 결합부위를 통한 빗물 유입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출 프레임 본체(100)에 엘이디 기판(200)과 투광커버체(300)를 장착한 이후에는 밀폐성과 탄성이 우수한 연질의 합성수지물로 성형 된 마감접속구(H)의 제 1 접속구(400)와 제 2 접속구(500)를 압출 프레임 본체(100) 양측 개방부위에 각각 원터치 체결하는 것으로 방수 기능이 부여된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가 조립 완성되는 것이며, 도 5 (a)(b)(c)와 도 7을 참조하여 제 1 접속구 및 제 2 접속구의 탄지 끼움 결합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a)와 같이 제 1 접속구(400) 및 제 2 접속구(500) 몸체(401)(501) 일측의 커넥터 단자 삽입공(403)(503)을 엘이디 기판 양단의 커넥터 단자(210)(220)에 끼움 가능한 상태로 수평 위치시킴과 더불어 이들 접속구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탄지결합부의 밀폐돌기(412)(512) 역시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 걸림홈부(112)에 끼움 가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속구 몸체(401)(501)를 밀어 넣으면 도 5 (c)와 같이 몸체 외면이 압출 프레임 본체 바닥면(120)과 대향 측면(110) 내주면과 투광커버체(300) 하측으로 긴밀히 밀착 삽입되며, 이러한 원터치 체결과 동시에 탄지결합부(410)(510)의 밀폐돌기(412)(512)와 스톱퍼(411)(511)와 가압면(413)(513)과 지지돌기(414)(514)와 걸림턱(404)(504)과 압지돌편(412a)(512a)의 유기적 연계 작용에 의하여 압출 프레임 본체(100)와 제 1, 제 2 접속구(400)(500) 간의 연결부위가 효율적으로 방수 처리되는 것이다.
즉, 제 1 접속구(400)와 제 2 접속구(500)가 압출 프레임 본체(100)에 원터치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지결합부의 밀폐돌기(412)(512)가 대향 측면(110)의 노출 걸림홈부(112)(투광커버체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걸림홈부)를 탄력적으로 밀폐시켜 걸림홈부(112)를 통한 빗물 유입을 차단하고, 스톱퍼(411)(511)는 투광커버체 측면 단부에 밀착되어 투광커버체(300) 측면으로부터의 빗물 유입을 원천 봉쇄하며, 몸체 일측의 걸림턱(404)(504)은 본체 대향 측면(110)과 바닥면(120) 양측 단부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본체(100) 측면으로부터의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가압면(413)(513)은 투광커버체(300) 하측에 탄지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스톱퍼(411)(511)와 연계한 투광커버체 측면을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투광커버체(300) 하측에 압축 상태로 끼워진 가압면(413)(513)의 탄발 작용에 따라 커넥터 단자(210)(220) 일단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돌기(414)(514)의 탄지력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제 1, 제 2 접속구(400)(500)의 밀폐돌기(412)(512)가 스톱퍼(411)(511)와 가압면(413)(513)의 양 측면으로부터 두께 차이를 두고 단턱지게 연이어 형성되어 있어 대향 측면 걸림홈부(112)는 물론 걸림홈부 하측 틈새(112a)를 경유하여 투광커버체(300) 하측까지 밀폐돌기(412)(512)가 연장 삽입되어 노출 상태의 걸림홈부(112)와 함께 투광커버체(300) 측면 연결부위를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밀폐돌기 선단에 돌출 형성되어진 압지돌편(412a)(512a)이 걸림홈부(112) 또는 틈새(112a) 내에서 압착되어 마치 쐐기와 같은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접속구(400)의 인입접속공(402)과 제 2 접속구(500)의 접속돌부(502)는 대응 결합 관계의 환형돌기(402a)와 환형홈부(502a)로부터 견고한 고정력을 추가적으로 제공받게 되어 흔들림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긴밀한 끼움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도 8과 같이 투광커버체(300) 양측 상단으로 형성된 상향 경사상의 안치턱(310)과, 안치턱 하측의 반구형 텐션돌부(311)와,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110)의 상단과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 안치면(115)과 반구형 체결홈부(116) 간의 유기적 결합 관계로부터 압출 프레임 본체(100) 측면 내지 전면 방향으로부터 투광커버체(300)가 슬라이딩 체결되거나 또는 원터치 가압 체결될 수 있어 방향에 구애받지 않는 원활한 탈부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및 부품 교체 과정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며, 이에 더하여 투광커버체와 대향 측면의 안치턱(310)과 안치면(115)이 상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어 미세하게 빗물이 스며들더라도 본체 내 유입이 억제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와 같이 마감접속구(H)에 대응 접속 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600)를 이용하여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들이 유격 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연결 사용되도록 하며, 특히 코일형 길이가변부(601)를 통한 조명기구들 간의 유격 거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설치대상물의 형태 및 사용용도와 무관하게 호환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 되며, 특허청구범위를 기준 한 모든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압출 프레임 본체, 110 : 대향 측면,
111 : 걸림돌부, 112 : 걸림홈부,
112a : 틈새, 120 : 바닥면,
200 : 엘이디 기판, 210,220 : 커넥터 단자,
300 : 투광커버체, 301 : 결합홈부,
H : 마감접속구, 400 : 제 1 접속구,
401,501 : 몸체, 402 : 인입접속공,
403,503 : 커넥터 단자 삽입공, 410,510 : 탄지결합부,
411,511 : 스톱퍼, 412,512 : 밀폐돌기,
412a,512a : 압지돌편, 413,513 : 가압면,
414:514 : 지지돌기, 500 : 제 2 접속구,
502 : 접속돌부, 502a : 환형홈부,
600 : 케이블 커넥터, 601 : 길이가변부

Claims (7)

  1. 상측과 양측이 개방되고 대향하는 측면(110)과 바닥면(120)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진 압출 프레임 본체(100)와,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며 전원 공급을 위한 암수형태의 커넥터 단자(210)(220)가 양단에 접속 연결되고 다수의 엘이디 소자(202)가 실장되어진 엘이디 기판(200)과, 상기 본체(100) 상측에 장착되어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켜주는 투광커버체(300)와, 상기 엘이디 기판의 암수 형 커넥터 단자(210)(220)에 삽입되며 본체 양측 개방부위에 위치 장착되는 마감접속구(H)로 이루어진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110)의 내주면 상단으로 장방형의 걸림돌부(111)와 걸림홈부(112)를 연이어 형성하고, 투광커버체(300)는 대향 측면의 걸림돌부(111)와 걸림홈부(112)에 연계한 요철 형태로 끼움 체결되도록 양 측면에 결합홈부(301)와 걸림턱(302)을 형성하며, 상기 투광커버체(300)가 체결된 대향 측면의 걸림홈부에 틈새(112a)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마감접속구(H)는 본체 양측 개방부위에 위치 후 대향 측면(110)과 바닥면(120)과 투광커버체(300)와 연계하여 탄지 끼움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접속구(H)를 연질의 제 1 접속구(400)와 제 2 접속구(500)로 분할 구성하되, 상기 제 1 접속구(400)는 몸체(401) 내측으로 인입접속공(402)을 형성하고 몸체 양측으로 인입접속공과 연통하는 커넥터 단자 삽입공(403)과 압출 프레임 본체 측면 단부에 밀착되는 걸림턱(404)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속구(500)는 몸체(501) 일측으로 제 1 접속구의 인입접속공(402)에 대응하여 체결되기 위한 접속돌부(502)와 걸림턱(504)을 구별 형성하고 몸체(501) 일측에서부터 타측 접속돌부(502)를 관통하는 커넥터 단자 삽입공(503)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접속구(400)(500)의 몸체(401)(501) 외주면으로는 압출 프레임 본체 바닥면(120)과 대향 측면(110)의 걸림돌부(111)와 걸림홈부(112) 및 투광커버체(300)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가압 체결되기 위한 탄지결합부(410)(5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결합부(410)(510)는 투광커버체(300) 측면 단부에 밀착 접촉되는 스톱퍼(411)(511)와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 걸림홈부(112)를 수밀하기 위한 밀폐돌기(412)(512)와 투광커버체 하측으로 삽입되어 탄성 가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압면(413)(513)과 커넥터 단자(210)(220)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414)(5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결합부(410)(510)의 가압면(413)(513) 선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투광커버체 하측으로 원활한 삽입이 가능토록 하고, 밀폐돌기(412)(512)는 스톱퍼(411)(511)와 가압면(413)(513)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이어지도록 돌출 형성하되 스톱퍼(411)(511) 해당 면적 내에 위치한 밀폐돌기와 가압면(413)(513) 해당면적 내에 위치한 밀폐돌기를 단턱지게 구성하며, 밀폐돌기 선단 양 측면으로 압지돌편(412a)(512a)을 일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구의 인입접속공(402) 내주면으로 환형돌기(402a)를 형성하고, 제 2 접속구의 접속돌부(502) 외주면으로 환형홈부(502a)를 대응 형성하여 인입접속공(402)과 접속돌부(502) 간의 끼움 결속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접속구(H)에 대응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600)를 사용하여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들이 유격 상태에서도 접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케이블 커넥터(600) 내에 코일형 길이가변부(601)를 추가 형성하여 유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체(300)는 양측 상단으로 상향 경사상의 안치턱(310)을 형성하고, 안치턱 하측으로 반구형의 텐션돌부(311)를 형성하며, 압출 프레임 본체 대향 측면(110)의 상단과 내주면으로는 상기 안치턱(310)과 텐션돌부(311)에 대응 체결되기 위한 경사 안치면(115)과 반구형 체결홈부(116)를 형성하여 압출 프레임 본체 측면 내지 전면 방향으로부터 투광커버체(300)가 슬라이딩 체결되거나 또는 원터치 가압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KR1020150162281A 2015-11-19 2015-11-19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KR101781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281A KR101781596B1 (ko) 2015-11-19 2015-11-19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281A KR101781596B1 (ko) 2015-11-19 2015-11-19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558A true KR20170058558A (ko) 2017-05-29
KR101781596B1 KR101781596B1 (ko) 2017-09-25

Family

ID=5905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281A KR101781596B1 (ko) 2015-11-19 2015-11-19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5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353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필룩스 접속단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KR20210031352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KR102341303B1 (ko) * 2021-04-29 2021-12-23 주식회사 글로우원 살균 기능을 갖는 평판조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20B1 (ko) * 2009-05-21 2010-08-12 주식회사 중일전기 방열구조를 갖는 엘이디 조명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353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필룩스 접속단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KR20210031352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KR102341303B1 (ko) * 2021-04-29 2021-12-23 주식회사 글로우원 살균 기능을 갖는 평판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596B1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4580B1 (en) Waterproof lighting fixture with interconnection ports
CN103511868A (zh) Led改型灯及其制造方法
KR101781596B1 (ko)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US10436976B2 (en) Ribs for sealing and aligning an outdoor lightguide luminaire
KR101435949B1 (ko) 투광등
CN110043812A (zh) 一种互联灯具
CN108458291A (zh) 筒射灯模组及其制作方法及筒射灯组合
KR101068912B1 (ko) 투광판의 용이 체결구조를 갖는 조명등용 커버틀체
CN103925572B (zh) 一种灯具的接线端盖及应用该端盖的灯具
CN204141318U (zh) 一种led线性灯及其组合透镜装置
EP3356734B1 (en) Cable entry for outdoor led module
KR101050081B1 (ko) 엘이디 가로등의 방수 시스템
KR101339198B1 (ko) Led 가로등용 방수장치
US10627102B1 (en) Sealing linear edge of lighting enclosure against water and dust
CN102563449A (zh) Led穿孔灯
KR10164414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9915420B2 (en) Illuminating device with sealed optics
CN208907554U (zh) 一种防水面板灯
KR200421158Y1 (ko) 엘이디 조명모듈
CN105465661A (zh) 一种led线性灯及其组合透镜装置
GB2475874A (en) Festoon lighting
JP5630885B1 (ja) 照明器具
CN202101057U (zh) Led穿孔灯
CN110603652A (zh) 具有led条的发光装置
CN203836914U (zh) 一种led光引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