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139A - 현관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현관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139A
KR20210030139A KR1020190111718A KR20190111718A KR20210030139A KR 20210030139 A KR20210030139 A KR 20210030139A KR 1020190111718 A KR1020190111718 A KR 1020190111718A KR 20190111718 A KR20190111718 A KR 20190111718A KR 20210030139 A KR20210030139 A KR 20210030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outdoor
cabine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진
명유진
서미영
이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0139A/ko
Publication of KR2021003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05B47/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the magnets acting directly on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05B65/005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with sliding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현관 도어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전자석과, 상기 실외측 도어의 배면에 제공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관용 냉장고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본 발명은 현관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품을 소정의 장소에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식품이 상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달 차량에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저장하고 배달한다.
식품은 냉각 또는 보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에 담겨져 배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장재는 스티로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로 구성되어, 최근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
한편, 배달시간에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에 없는 경우 또는 배달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게 되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고, 식품이 사용자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상하거나 식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정 장소의 입구(현관)에 냉장고를 설치하여 배달원은 상기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하여 신선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편한 시간에 냉장고에 접근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가 개시된다.
현관용 냉장고의 실외측 도어의 전면에는 도어 핸들이 돌출 형성되지 않는 것이 보안 측면에서 유리하다. 다시 말하면, 범죄의 의도를 가진 외부인이 실외측 도어를 강제로 잡아당겨서 개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안전성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측 도어의 측면부가 캐비닛 내부로 수용되고, 실외측 도어의 전면은 캐비닛의 전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실외측 도어를 강제로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 택배 기사가 배달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실외측 도어의 잠금 장치가 해제되면, 실외측 도어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개방되고, 실외측 도어를 완전히 닫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완전히 닫히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선행 기술 :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3394호(2011년03월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캐비닛과 실외측 도어에는 도어 개폐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전자석과, 상기 실외측 도어의 배면에 제공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의 배면에는 잠금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전자석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방 후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전자석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방 후 닫힘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의하면, 도어 잠금 장치가 해제되면 도어 개폐 장치가 작동하여 실외측 도어의 배면을 자동으로 밀어준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 개폐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실외측 도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힌지축이 구비된 측면의 반대 쪽 측면이 캐비닛으로부터 튀어나온다.
그 결과, 사용자가 양 손을 사용하기 불편한 상황에서도 실외측 도어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실외측 도어를 캐비닛에 완전히 밀어넣지 않은 상황에서도, 상기 도어 개폐 장치가 상기 실외측 도어의 배면을 끌어당겨서 실외측 도어가 완전히 닫히도록 한다.
따라서, 실외측 도어의 닫힘과 잠금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므로, 보안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도.
도 2는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실외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7은 실내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3의 9-9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10-10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11은 도 3의 11-11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
도 12는 잠금 장치가 구비된 실외측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가 구비된 실외측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14-14를 따라 절개되는 실외측 도어의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프런트 마운트(42)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드럼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시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데드볼트의 전면 사시도.
도 18은 상기 데드볼트의 배면 사시도.
도 19는 실외측 도어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횡단면도.
도 20은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횡단면도.
도 21은 도 3의 21-21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도이고, 도 2는 현관 도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주택의 현관 도어(1) 또는 현관 벽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현관 도어(1)의 손잡이(2)로부터 이격되는 지점, 일례로 현관 도어(1)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서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2m 이내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현관 도어의 하단으로부터 1.5m ~ 1.7m 범위의 높이에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전면은 실외(O)에 노출되고, 후면은 실내(I)에 노출된다. 즉,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실외(O)에 노출되는 면이 전면으로 정의되고, 실내(I)에 노출되는 면이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캐비닛(11)과, 실외측 도어(12)와, 실내측 도어(13)와, 하우징(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은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고,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는 택배 기사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개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물품 인출을 위해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라 함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을 주문한 사람 또는 상기 물품의 출고 권한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실내측 도어(13)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에는 디스플레이부(14)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에는 현관용 냉장고(10)의 운전 상태, 내부 온도, 물품 존재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하여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가 상기 실외측 도어(12)를 개방하기 위한 비밀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일측에는 배송 물품 주문서 또는 배송 물품 포장 박스에 구비된 암호화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스캐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드 스캐너는 QR코드 스캐너 또는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12)와 상기 캐비닛(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장치(50)는,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측단부 상측과 하측 영역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측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실외측 도어(12)에 구비되는 도어 개폐 장치(50)의 구성 요소와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도 상기 도어 개폐 장치(50)의 구성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 도어(13)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을 사용자가 실내에서 출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실내에서 상기 실내측 도어(13)를 개방하여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도어(13)의 일측에는 안내등(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등(13)은, 현관용 냉장고(10)에 현재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물품이 보관되어 있을 때 상기 안내등(13)의 색깔과 현관용 냉장고(10)가 비어 있을 때 상기 안내등(13)의 색깔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실내측 도어(13)를 개방하지 않아도 현재 보관 중인 물품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은, 상기 캐비닛(11)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5)의 내부에는 냉기 공급 장치(후술함)가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 또는 벽에 장착되었을 때, 현관 도어 또는 벽의 후면에 밀착되어 편심 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상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세히, 본 발명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실내에 노출되는 부분의 부피가 현관 도어(10)에 삽입되는 부분보다 큰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현관용 냉장고(10)의 무게 중심이 현관용 냉장고(10)의 중심으로부터 후면 쪽으로 편심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그 결과, 현관용 냉장고(10)의 하중 및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멘트에 의하여 상기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로부터 빠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이 현관 도어(1) 또는 벽의 후면에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상쇄시켜서, 현관용 냉장고(10)가 현관 도어(1)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의 저면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가이드 덕트(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16)의 전단부에는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상기 냉기 공급 장치로 유입되어 방열 기능을 수행한 실외 공기가 다시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캐비닛(11)의 저면과 상기 하우징(15)의 전면이 이루는 절곡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8)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8)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5)의 저면에는 실외 공기 흡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석션 플레이트(1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에는 다수의 관통홀(17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관통홀(171)을 통해서 실외 공기가 상기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5)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덕트(16)의 배출구(161)를 통해서 실외로 다시 배출된다.
도 6은 실외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실내측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본체로 정의될 수 있는 캐비닛(11)의 내부에는 물품 저장을 위한 저장실(111)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11)의 바닥에는 물품 적재를 위한 트레이(19)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 리브(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5)는, 상기 캐비닛(11)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고, 상기 캐비닛(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5)는, 상기 하우징(15)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실내측 도어(13)의 배면에 둘러지는 씰러(sealer)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9-9를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10-10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11)과, 실내측 도어(13)와, 실외측 도어(14)와, 하우징(15)과, 가이드 덕트(16)와, 석션 플레이트(17)와 트레이(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9)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측에 놓일 수 있다. 상기 트레이(19)의 바닥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하우징(15) 내부에 수용되는 냉기 공급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열전 소자가 적용된 냉기 공급 수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 냉각 사이클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전 소자는, 전류가 공급되면 일 면은 온도가 떨어지는 흡열면으로 작용하고, 반대면은 온도가 증가하는 발열면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열전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상기 흡열면과 발열면이 바뀌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는, 상기 열전 소자(31)와,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32)와, 상기 콜드 싱크(32)의 전방(또는 상측)에 배치되는 흡열팬(33)과, 상기 열전 소자(31)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34)와, 상기 히트 싱크(34)의 후방(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방열팬(35)과,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 간의 열전달을 방지하는 단열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35)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단열재(35)의 전면에는 상기 콜드 싱크(32)가 접촉하고, 상기 단열재(35)의 후면에는 상기 히트 싱크(34)가 접촉한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32)와 히트 싱크(34)는, 상기 열전 소자(31)의 흡열면 또는 발열면에 직접 부착되는 열전도체와, 상기 열전도체의 표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열팬(33)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발열팬(36)은 상기 석션 플레이트(17)의 직상방에 놓인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바닥에 장착되는 마운트 플레이트(24)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상면에 안착되는 유동 가이드(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는, 사각형 플레이트가 다수 회 절곡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23)가 안착되는 유동 가이드 안착부(241)가 소정 깊이로 함몰 또는 단차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 안착부(241)를 정의하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24)의 바닥부에는 관통홀(242)이 형성되고, 상기 냉기 공급 장치(30)의 일부분이 상기 관통홀(242)을 통과하여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3)는 상기 흡열팬(33)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저장실(111) 내부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상기 유동 가이드(23)의 상부에 놓여서 상기 유동 가이드923)에 이물질이 직접 낙하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아우터 실러(outer sealer)(21)가 장착되고, 상기 실내측 도어(13)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인너 실러(inner sealer)(22)가 장착된다. 상기 아우터 실러(21)와 인너 실러(21)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111)의 냉기가 현관용 냉장고(10)의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50)는, 캐비닛(51)에 구비되는 전자석(51)과, 상기 전자석(51)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 자석(52)은,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배면 측단부 또는 상기 아우터 실러(2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11-11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이고, 도 12는 잠금 장치가 구비된 실외측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외측 도어(12)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40)가 실외측 도어(12)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측면에는 로킹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장치(40)로부터 후술하게 될 데드볼트(deadbolt)가 돌출되어 상기 로킹홈(112)에 삽입되면, 상기 실외측 도어(12)는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잠금 장치(40)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데드볼트가 상기 로킹홈(112)에서 벗어나면, 상기 실외측 도어(12)는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잠금 장치(40)의 작동 여부는, 현관용 냉장고(10)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잠금 장치(40)로 전송하는 잠금 신호 또는 개방 신호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세히, 상기 코드 스캐너를 통한 인증 완료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면, 제어부에서는 상기 잠금 장치(40)로 도어 개방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잠금 장치(40)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12)가 닫히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잠금 장치(40)로 도어 폐쇄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잠금 장치(40)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닫힘 여부는, 일반적인 냉장고에 제공되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 장치(40)는,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힌지(123)가 장착되는 측면의 반대 쪽 측면에 가까운 지점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가 구비된 실외측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14-14를 따라 절개되는 실외측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측 도어(12)는, 도어 커버(121)(또는 아우터 도어)와, 상기 도어 커버(121)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21)(또는 인너 도어), 상기 도어 커버(121)의 배면 가장자리 상측과 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힌지(123), 및 상기 도어 커버(121)와 도어 라이너(122)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121)의 배면에는 실외측 도어(12)의 강도 보강을 위해서 보강 리브(124)가 격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배면에는 볼록부(122b)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122b)는 상기 캐비닛(11)의 저장실(111)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저장실(111)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일 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힌지(123)가 통과하기 위한 힌지홀(122a)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홀(122a)은 상기 볼록부(122b)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가장자리,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홀(122a)이 형성되는 쪽의 반대 쪽 측면 가장자리에 커버부(122c)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22c)는 상기 잠금 장치(40)가 저장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22c)의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볼록부(122b)의 측면에는 상기 데드볼트의 인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슬릿(122d)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 장치(40)의 두께가 충분히 얇게 설계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122c)가 돌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 장치(40)는, 마운트 커버(41)와, 상기 마운트 커버(41)와 상기 커버부(122c)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잠금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부품들은, 프런트 마운트(42), 리어 마운트(43), 회전 드럼(44), 드럼 모터(48), 데드볼트(45), 볼 베어링(46), 및 스프링(4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드럼(44)과, 드럼 모터(48) 및 상기 데드볼트(45)는 상기 잠금 장치(40)의 기능이 구현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필수 부품(indispensable components)이고, 그 외의 부품들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다른 부품으로 치환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세히, 리어 마운트(43)는, 마운트 플레이트(431)와, 축홀(433) 및 하나 또는 다수의 가이드 홀(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홀(433)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31)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 모터(48)의 회전축은 상기 축홀(433)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드럼(44)에 연결된다.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가이드 홀(432)은, 상기 축홀(433)과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31)의 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31)의 좌우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마운트 커버(41)는 상기 도어 커버(121)의 배면(또는 안쪽 면) 또는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배면(또는 안쪽 면)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커버(41)는 상기 도어 라이너(122)의 커버부(122c)와 마주보는 위치에 놓인다. 그러면, 상기 커버부(122c)와 상기 마운트 커버(41)에 의하여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마운트(42)는 상기 마운트 커버(41)에 안착되고, 상기 리어 마운트(43)는 상기 커버부(122c)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마운트(42)와 상기 리어 마운트(43)는 서로 밀착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 마운트(42)와 상기 리어 마운트(43)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상기 회전 드럼(44), 데드볼트(45), 볼베어링(46), 및 스프링(47)이 수용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프런트 마운트(42)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40)를 구성하는 프런트 마운트(42)는, 마운트 플레이트(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21)는, 상기 리어 마운트(43)의 마운트 플레이트(43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21,431)는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히,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421)의 일면, 구체적으로 상기 미어 마운트(43)의 마운트 플레이트(431)와 맞닿는 면에는 드럼 지지 리브(422)와 베어링 지지 리브(423)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 리브(422)와 베어링 지지 리브(423)는 서로 연결되는 단일의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럼 수용부(424)는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측에 개구부(4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 리브(422)의 내측에 상기 회전 드럼(44)이 수용되는 드럼 수용부(424)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지지 리브(423)의 내측에 베어링 수용부(425)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드럼(44)은, 상기 드럼 수용부(424)의 내측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수용부(425)에는 상기 볼 베어링(46)과 스프링(47)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볼 베어링(46)은 상기 회전 드럼(44) 쪽으로 가압된다.
상기 드럼 지지 리브(422)의 일 측면에 개구부(426)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회전 드럼(44)의 내부에 장착된 마그넷(후술함)으로부터 방출되는 자력이 상기 데드볼트(45)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리브와 같은 장애물이 상기 마그넷과 데드볼트(45)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자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구부(426)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드럼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40)를 구성하는 회전 드럼(44)은,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드럼 본체(441)와, 상기 드럼 본체(441)의 중심에 형성되는 축홀(4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홀(442)(또는 축홈)에는 상기 드럼 모터(48)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드럼 모터(48)가 상기 회전 드럼(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 드럼(44)의 일측 가장자리, 구체적으로는 상기 드럼 본체(441)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 1 베어링 홈(443)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어링 홈(443)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θ) 이격되는 지점에 제 2 베어링 홈(4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어링 홈(443)과 제 2 베어링 홈(444)은 원주 방향으로 90도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 본체(441)의 내부에는 마그넷(49)이 장착되어, 상기 데드볼트(45)에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마그넷(49)은 개방 마그넷(49b)과 잠금 마그넷(49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 마그넷(49b)은, 상기 제 1 베어링 홈(443)과 제 2 베어링 홈(444) 중 어느 하나의 맞은 편에 해당하는 상기 드럼 본체(441)의 내부 가장자리에 매립 설치되 될 수 있다. 상기 잠금 마그넷(49a)은, 상기 제 1 베어링 홈(443)과 제 2 베어링 홈(444) 중 다른 하나의 맞은 편에 해당하는 상기 드럼 본체(441)의 내부 가장자리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베어링 홈(443)의 맞은 편에 상기 개방 마그넷(49b)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베어링 홈(444)에 상기 잠금 마그넷(49a)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마그넷들(49a,49b)의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잠금 마그넷(49a)은 상기 데드볼트(45)에 대하여 척력이 작용하는 자력을 발생시켜서, 상기 데드볼트(45)의 단부가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로킹홈(112)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방 마그넷(49b)은 상기 데드볼트(45)에 대하여 인력이 작용하는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데드볼트(45)가 상기 로킹홈(112)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시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데드볼트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데드볼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40)를 구성하는 데드볼트(45)는, 볼트 바디(451)와, 상기 볼트 바디(451)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전면 슬라이드 돌기(452) 및 상기 볼트 바디(451)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후면 슬라이드 돌기(4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볼트 바디(451)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설계 조건에 따라서, 상기 마그넷(49)에 인접하는 일 단부의 폭이 상기 로킹 홈(112)에 인접하는 타 단부의 폭과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넷(49)에 가까운 단부의 폭이 로킹홈(112)에 가까운 단부의 폭보다 작은 구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면 슬라이드 돌기(452)와 후면 슬라이드 돌기(453)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타원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전면 슬라이드 돌기(452) 또는 상기 후면 슬라이드 돌기(453)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의 돌기 또는 세개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9는 실외측 도어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횡단면도이고, 도 20은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현관용 냉장고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택배 기사가 배송 주문서 또는 제품의 포장 박스에 인쇄된 암호화 코드를 코드 스캐너에 갖다대어 인증을 완료하고, 상기 코드 스캐너를 통한 인증 완료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면, 제어부에서는 상기 잠금 장치(40)로 도어 개방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잠금 장치(40)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드럼 모터(48)로 잠금 해제를 위한 구동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드럼 모터(48)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데드볼트(45)의 일 단부와 마주보는 지점에 상기 개방 마그넷(49b)이 위치하게 된다. 즉, 잠금 마그넷(49a)이 상기 데드볼트(45)에 척력을 작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 드럼(44)이 회전하여 상기 잠금 마그넷(49a)이 상기 데드볼트(45)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개방 마그넷(49b)이 상기 데드볼트(45)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개방 마그넷(49b)이 상기 데드볼트(45)에 인력을 작용하여, 상기 데드볼트(45)의 타 단부가 상기 로킹홈(11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택배 기사가 배송 물품의 저장을 완료하고 상기 실외측 도어(12)를 닫으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닫힘을 감지하고, 상기 잠금 장치(40)로 잠금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드럼 모터(48)는 이전과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 또는 같은 방향으로 270도 회전하여 상기 잠금 마그넷(49a)이 상기 데드볼트(45)와 마주보도록 한다. 그러면, 척력에 의하여 상기 데드볼트(45)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로킹홈(11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배송 물품의 인증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상기 실외측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물품 보관 후 실외측 도어가 닫히면, 상기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상기 실외측 도어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45)가 로킹 홈(11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실외측 도어(12)의 개방 권한이 없는 자가 실외측 도어(12)를 쉽게 개방시킬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도 21은 도 3의 21-21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횡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의 캐비닛(11)을 정의하는 좌측벽과 우측벽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좌측 단부 또는 우측 단부 중 어느 하나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우측 가장자리는 상기 캐비닛(11)의 우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좌측 가장자리와 상기 캐비닛(11)의 좌측벽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측벽과 우측벽의 전면에는 후측으로 단차지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배면 가장자리에 상기 아우터 실러(21)가 둘러진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실러(21)는, 상기 실외측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에 밀착된다.
상기 단차부에 전자석(51)이 매립 설치되고, 상기 전자석(51)과 맞닿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아우터 실러(21)의 내부에는 영구 자석(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실러(21)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마그넷(52)은 상기 실외측 도어(21)의 배면 가장자리에 매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외측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51)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전자석(51)은 상기 영구 자석(52)에 대해서 인력 또는 척력을 작용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실외측 도어(12)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석(51)과 영구 자석(52)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전자석(51)에 정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실외측 도어(12)를 완전히 닫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석(51)에 역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전자석(51)과 상기 영구 자석(52)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도어 개폐 장치(50)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잠금 장치(40)가 먼저 작동하여야 한다.
상기 잠금 장치(40)에 의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2)가 잠금 상태에 있는 상황에서는, 상기 도어 개폐 장치(50)로 전원 공급을 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도어 개폐 장치(50)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암호화 코드 스캐닝을 통하여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실외측 도어(12)의 개방 명령이 현관용 냉장고(10)의 제어부에서 생성되고, 상기 개방 명령은 상기 잠금 장치(40)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50)로 동시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잠금 장치(40)가 먼저 작동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전자석(51)으로 정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영구 자석(52)과의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척력에 의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2)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택배 기사는 상기 실외측 도어(12)의 측면을 잡고 전방으로 더 잡아당길 수 있다.
한편, 물품 보관 작업이 완료되어 택배 기사가 상기 실외측 도어(12)를 캐비닛(11) 쪽으로 밀면 상기 실외측 도어(12)가 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캐비닛(11)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에 구비되는 도어 스위치(미도시)에 의하여 실외측 도어(12)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석(51)에 역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실외측 도어(12)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실외측 도어(12)를 완전히 닫지 않았더라도 상기 도어 개폐 장치(50)에 의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2)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잠금 장치(40)가 작동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2)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도어 스위치는 도면에 개시되지 않았으나, 냉장고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해서 캐비닛에 장착되는 감지 장치이며, 이러한 도어 스위치는 일반적인 냉장고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상기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전자석과, 상기 실외측 도어의 배면에 제공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는, 상기 실외측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실외측 도어가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잠금 장치와, 상기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잠금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 간에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방 후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는, 상기 실외측 도어의 배면 가장자리와 맞닿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방 후 닫힘이 감지된다.

Claims (16)

  1. 현관 도어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품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전자석과,
    상기 실외측 도어의 배면에 제공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실외측 도어가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잠금 장치와,
    상기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잠금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도어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 간에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방 후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 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도어의 배면 가장자리와 맞닿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방 후 닫힘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회전 드럼 내부에 매립되는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데드볼트의 일 단부에 대하여 인력을 작용하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개방 마그넷과,
    상기 데드 볼트의 일 단부에 대하여 척력을 작용하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잠금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데드볼트에 척력이 작용할 때, 상기 데드볼트의 타 단부는 상기 실외측 도어 또는 실내측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로킹홈에 삽입되고,
    상기 데드볼트에 인력이 작용할 때, 상기 데드볼트의 타 단부는 상기 로킹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마그넷과 상기 잠금 마그넷은 상기 회전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회전축이 상기 회전 드럼의 중앙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드럼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드럼 모터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마그넷 및 상기 잠금 마그넷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회전 드럼의 가장자리에 제 1 베어링 홈 및 제 2 베어링 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회전 드럼의 측방에 배치되는 볼 베어링과,
    상기 볼 베어링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볼 베어링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베어링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볼 베어링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회전 드럼과, 상기 데드 볼트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볼 베어링, 및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프런트 마운트와,
    상기 프런트 마운트를 덮는 리어 마운트를 더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방을 위한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저장실에 보관되는 물품에 설정된 암호화 코드를 스캐닝하는 코드 스캐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드 스캐너에 의하여 스캐닝된 암호화 코드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암호화 코드가 일치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잠금 장치 및 상기 도어 개폐 장치로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도어의 개방 신호가 상기 잠금 장치로 전송되면, 상기 드럼 모터는 상기 개방 마그넷이 상기 데드볼트의 일단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과 상기 마그넷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드럼 모터는 상기 잠금 마그넷이 상기 데드볼트의 일단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KR1020190111718A 2019-09-09 2019-09-09 현관용 냉장고 KR20210030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718A KR20210030139A (ko) 2019-09-09 2019-09-09 현관용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718A KR20210030139A (ko) 2019-09-09 2019-09-09 현관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139A true KR20210030139A (ko) 2021-03-17

Family

ID=7524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718A KR20210030139A (ko) 2019-09-09 2019-09-09 현관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01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11977A (ja) 内扉付き貯蔵庫
KR20210026661A (ko) 현관용 냉장고
JPH09329382A (ja) 宅配物保管用ボックス装置
KR20210030139A (ko) 현관용 냉장고
US11859894B2 (en) Refrigerator
US11378329B2 (en) Entrance refrigerator
US11525609B2 (en) Entrance refrigerator
EP3699525B1 (en) Entrance refrigerator
KR20210026663A (ko) 현관용 냉장고
JP4727101B2 (ja) ロッカー
KR20210087158A (ko) 현관용 물품 보관 시스템
EP3699530A1 (en) Entrance refrigerator
CN113160497B (zh) 智能入口通道
KR20210026662A (ko) 현관용 냉장고
WO2022180765A1 (ja) 冷蔵機能付き宅配ロッカー
JP4889171B2 (ja) ロッカー
CN113906265A (zh) 遮蔽装置及具有该遮蔽装置的冰箱
US20240200856A1 (en) Refrigerator
JP2004116817A (ja) 貯蔵庫のドア装置
KR101195252B1 (ko) 냉장고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용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JP4301682B2 (ja) 保冷庫
JP2003135169A (ja) 配膳車
JPH06347157A (ja) 冷却貯蔵庫
KR20200139052A (ko) 현관 냉장고용 수납 박스
KR200168020Y1 (ko) 냉장고용 도어잠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