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135A -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135A
KR20210030135A KR1020190111711A KR20190111711A KR20210030135A KR 20210030135 A KR20210030135 A KR 20210030135A KR 1020190111711 A KR1020190111711 A KR 1020190111711A KR 20190111711 A KR20190111711 A KR 20190111711A KR 20210030135 A KR20210030135 A KR 2021003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information
time
vehicle
to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0135A/ko
Publication of KR2021003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9Fuel consumption; Energy use; Emission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4Landmark guidance, e.g. using POIs or conspicuous oth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애프터서비스(이하, A/S) 센터 서버, 차량 단말기 및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A/S 센터 서버 및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A/S 센터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A/S 센터별 교통량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량 예측부, 및 상기 A/S 센터 정보,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최적 A/S 센터를 선정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에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NAVIGATION SYSTEM AND SERVICE CENTER GUIDAN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고장 시 차량 소유주는 자신의 현재 위치, 집 또는 회사 등에 가까운 애프터서비스(after service, A/S) 센터(즉, 서비스 센터)를 찾아 A/S를 받는다. 그런데, 서비스 센터 방문 시 A/S를 받기 위해 대기하는 차량들이 많아 오랜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특정 위치 예컨대, 차량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A/S 센터만을 표시한다. 따라서, A/S 센터 내 혼잡도를 예측할 수 없다.
KR 101305844 B1
본 발명은 빅데이터(big data)를 기반으로 차량 A/S(after service)에 소요되는 시간 및/또는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서비스 센터를 선정하여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애프터서비스(이하, A/S) 센터 서버, 차량 단말기 및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A/S 센터 서버 및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A/S 센터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A/S 센터별 교통량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량 예측부, 및 상기 A/S 센터 정보,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최적 A/S 센터를 선정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에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 센터 정보는 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예약 현황, A/S별 수리 비용, 및 A/S별 수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정보는 출발지, 목적지, 고장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는 각 A/S 센터를 기준으로 연결되는 도로구간들 각각에 대한 요일별 및 시간대별 소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S 이용 차량 대수, 상기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상기 대기 차량 대수, 상기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및 상기 예약 현황을 기반으로 총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상기 총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총 소요 시간을 상기 스케줄 정보에 매칭하여 A/S 센터 후보목록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상기 총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상기 최적 A/S 센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에 따른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S별 수리 비용 및 상기 고장 정보를 토대로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 및 상기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총 비용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상기 최적 A/S 센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은 A/S 센터 서버 및 차량 단말기로부터 A/S 센터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A/S 센터 정보, 상기 차량 정보 및 교통량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최적 A/S 센터를 상기 차량 단말기에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S 센터 정보는 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예약 현황, A/S별 수리 비용, 및 A/S별 수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정보는 출발지, 목적지, 고장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는 각 A/S 센터를 기준으로 연결되는 도로구간들 각각에 대한 요일별 및 시간대별 소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A/S 이용 차량 대수, 상기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상기 대기 차량 대수, 상기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및 상기 예약 현황을 기반으로 총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상기 총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총 소요 시간을 상기 스케줄 정보에 매칭하여 A/S 센터 후보목록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상기 총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상기 최적 A/S 센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에 따른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A/S별 수리 비용 및 상기 고장 정보를 토대로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 및 상기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총 비용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상기 최적 A/S 센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 A/S에 소요되는 시간 및/또는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서비스 센터를 선정하여 안내하므로, 차량의 효율적인 A/S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A/S에 소요되는 시간 및/또는 비용의 낭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S 센터 서버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제 서버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S 센터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A/S 센터 서버(100), 차량 단말기(200) 및 관제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망 및/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은 WLAN(Wireless LAN)(Wi-Fi) 및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 및/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및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20 등의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유선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및/또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등의 유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S 센터 서버(100)는 각 A/S 센터에 설치될 수 있으며, A/S 센터 정보를 관제 서버(300)에 송신한다. A/S 센터 서버(100)는 A/S 센터 정보를 실시간 또는 정해진 주기로 송신한다. A/S 센터 정보는 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A/S별 수리 비용 및 예약 현황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S 이용 차량은 A/S를 받고 있는 차량으로, 점검 중인 차량 및 수리 중인 차량 등을 의미하고, 대기 차량은 A/S 센터 내 A/S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차량을 의미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차량에 탑재되며, 차량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또는 점검이 필요한 경우 A/S 센터 검색을 관제 서버(300)에 요청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관제 서버(300)에 의해 선정된 최적 A/S 센터에 대한 정보 즉, 최적 A/S 센터 정보를 수신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최적 A/S 센터에 매칭되는 A/S 센터 서버(100)에 접속하여 A/S 예약을 수행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관제 서버(300)에 전송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실시간으로 차량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정해진 주기로 차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A/S 센터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A/S 센터 정보, 차량 단말기(200)의 A/S 센터 검색 요청에 포함된 차량 정보, 및 후술되는 교통량 예측부(310)로부터 제공받은 A/S 센터별 교통량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최적 A/S 센터를 선정한다. 관제 서버(300)는 선정된 최적 A/S 센터에 대한 정보 즉, 최적 A/S 센터 정보를 차량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S 센터 서버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S 센터 서버(100)는 빅데이터 수집부(110), 빅데이터 저장부(120), 제1통신부(130), 제1사용자 입력부(140), 제1메모리(150), 제1출력부(160) 및 제1처리부(170)를 포함한다.
빅데이터 수집부(110)는 A/S 센터와 관련한 정보들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수집부(110)는 수리가 완료된 차량의 고장 원인, 수리에 소요된 시간(즉, 수리 시간) 및 수리 비용 등을 수집한다.
빅데이터 수집부(110)는 수집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A/S 센터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빅데이터 수집부(110)는 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및 예약 현황 등을 고려하여 예상 대기 시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수집부(110)는 A/S가 완료된 차량들의 고장 원인, 수리 시간 및 수리 비용 등을 기반으로 고장별 수리 시간 및 수리 비용을 산출할 수도 있다.
빅데이터 저장부(120)는 빅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출력되는 A/S 센터 정보를 저장한다. A/S 센터 정보는 A/S를 받고 있는 차량 대수(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A/S별 수리 비용, A/S별 수리 시간, 및 예약 현황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빅데이터 저장부(120)는 A/S 센터의 식별정보, 위치 정보, 및 운영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 수집부(110)는 하드디스크(hard disk), 착탈형 디스크 및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1통신부(130)는 차량 단말기(200) 및/또는 관제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망 및/또는 유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200) 및/또는 관제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1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즉, A/S 센터에 소속된 직원 및/또는 관리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 키패드, 버튼, 스위치, 터치 패드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A/S 예약 정보 및/또는 수리 정보 등의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제1메모리(150)는 제1처리부(170)가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제1메모리(150)는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1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및 레지스터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출력부(160)는 제1처리부(170)의 동작에 따른 진행상황 및/또는 결과를 시각 정보, 청각 정보 및/또는 촉각 정보 등으로 출력한다. 제1출력부(160)는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모듈, 및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부(170)는 빅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A/S 센터 정보를 제1통신부(130)를 통해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제1처리부(170)는 실시간 또는 기정해진 전송 주기로 A/S 센터 정보를 송신한다.
제1처리부(170)는 제1통신부(130)를 통해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A/S 예약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1처리부(170)는 A/S 예약 요청에 따라 차량 단말기(200)가 탑재되는 차량이 A/S를 받을 수 있도록 예약 처리한다. 제1처리부(170)는 A/S 예약이 완료되면 예약 정보를 차량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예약 정보는 예약 날짜, 예약 시간, 예약된 A/S 센터의 명칭 및 위치, 및 정비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부(27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다.
도 3에 따르면, 차량 단말기(200)는 측위부(210), 지도 저장부(220), 제2통신부(230), 제2사용자 입력부(240), 제2메모리(250), 제2출력부(260), 및 제2처리부(270)를 포함한다.
측위부(210)는 차량 단말기(200)가 탑재된 차량의 현재 위치(차량 위치)를 측정한다. 측위부(2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DR(Dead Reckoning), DGPS(Differential GPS) 및 CDGPS(Carrier phase Differential GPS) 등의 측위 기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차량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지도 저장부(220)는 항법지도, ADAS 지도 및/또는 정밀지도 등의 지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일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지도 저장부(22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및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의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2통신부(230)는 차량이 A/S 센터 서버(100) 및/또는 관제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제2통신부(230)는 차량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통신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V2X 기술로는 차량간 통신(Vehicle to Vehicle, V2V),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차량과 모바일 기기 간 통신(Vehicle-to-Nomadic Devices, V2N), 및/또는 차량 내 통신(In-Vehicle Network, IVN)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2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예: 운전자 등)의 조작에 따른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제2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A/S 센터 검색을 요청하는 데이터 또는 A/S를 받을 A/S 센터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제2사용자 입력부(240)는 키보드, 키패드, 버튼, 스위치, 터치 패드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메모리(250)는 제2처리부(2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2메모리(250)는 길안내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2메모리(250)는 차량 식별정보, 차량 상태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메모리(25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및 착탈형 디스크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출력부(260)는 제2처리부(270)의 동작에 따른 진행상황 및/또는 결과 등을 시각 정보, 청각 정보 및/또는 촉각 정보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2출력부(260)는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모듈 및/또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터치스크린 및 클러스터(cluster)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제2메모리(2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진동자의 진동 세기 및 진동 패턴 등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촉각 신호(예: 진동)를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출력장치 뿐만 아니라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2처리부(270)는 차량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2처리부(27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처리부(270)는 차량에 장착되는 각종 센서들(예: 충격센서, 속도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 및/또는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 등을 통해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속도, 변속레버 위치(기어 정보), 및 조향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처리부(270)는 제2통신부(2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 상태 정보를 관제 서버(300)에 전송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처리부(270)가 차량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정해진 전송 주기에 따라 차량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2처리부(270)는 차량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또는 제2사용자 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A/S 센터 검색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관제 서버(300)에 요청한다. 제2처리부(270)는 A/S 센터 검색 요청 시 차량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차량 정보는 출발지, 목적지 및 고장 정보(서비스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발지는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목적지는 A/S를 받은 후 이동할 위치를 의미하며, 출발지와 목적지가 일치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정보는 예상 출발 시간 및/또는 목표 목적지 도착 시간 등의 스케줄(schedule)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제 서버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300)는 교통량 예측부(310), 제3통신부(320), 제3메모리(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교통량 예측부(310)는 기정해진 기간 동안의 교통 상황을 분석 및 통계를 내어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미래의 교통량을 예측한다. 교통량 예측부(310)는 각 A/S 센터를 기준으로 교통량을 실시간을 모니터링하며 데이터 수집을 한다.
교통량 예측부(310)는 제3통신부(320)를 통해 차량 단말기(200), 노변 단말기(미도시) 및 날씨 제공 시스템(미도시) 등으로부터 정보들을 제공받는다. 교통량 예측부(310)는 제공받은 정보들을 기반으로 A/S 센터별 교통량 예측 정보를 생성한다. A/S 센터별 교통량 예측 정보는 각 A/S 센터를 기준으로 연결되는 도로구간별로 요일별 및 시간대별 소요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통량 예측부(310)는 각 A/S 센터를 기준(기점)으로 각 지역의 대표지점(예: 서울시청 등)에 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를 생성한다. 교통량 예측부(310)는 각 경로를 구성하는 도로구간별로 해당 도로구간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교통량 예측부(310)는 획득된 시간 정보를 누적 및 평균하여 각 도로구간에 대한 요일별 및 시간대별 소요 시간 정보를 산출한다.
제3통신부(320)는 A/S 센터 서버(100) 및/ 또는 차량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3통신부(320)는 A/S 센터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A/S 센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3통신부(320)는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제3메모리(330)는 제어부(3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3메모리(330)는 제3통신부(32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3메모리(33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착탈형 디스크 및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관제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A/S 센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A/S 센터 정보, 차량 정보 및 A/S 센터별 교통량 예측 정보(이하, 교통량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최적 A/S 센터를 선정하여 차량 단말기(200)에 안내한다.
제어부(340)는 A/S 센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A/S 센터 검색 요청과 함께 수신된 차량 정보와 교통량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A/S 센터별 도착 예상 시간 및 A/S 후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340)는 교통량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차량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A/S 센터 정보에 포함되는 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및 예약 현황 등을 토대로 차량의 총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도착 예상 시간, A/S 후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간 및 총 대기 시간 등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도착 예상 시간, A/S 후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간 및 총 대기 시간을 합하여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 중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선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차량 정보 내 스케줄 정보에 매칭하여 A/S 센터 후보목록을 생성(도출)한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과 스케줄 정보 간의 매칭율에 근거하여 A/S 센터 후보목록 중 매칭율이 가장 높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후 6시 약속이 있는 경우,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기반으로 A/S 후 약속 시간에 늦지 않게 약속 장소에 도착 가능한 A/S 센터를 추출하여 후보목록을 생성한다. 제어부(340)는 후보목록 중 약속 시간에 가장 근접하게 도착 가능한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교통량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를 산출한다. 제어부(240)는 산출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에 따른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을 연산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A/S 센터 정보에 포함된 고장별 수리 비용 및 차량 정보에 포함된 고장 정보를 토대로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추정(예측)한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 및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토대로 A/S 센터별 총 비용을 산출한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총 비용 중 총 비용이 최소가 되는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시간과 비용 중 어느 쪽에 우선순위를 두느냐에 따라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 또는 총 비용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340)는 시간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우,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한다. 한편, 제어부(340)는 비용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우, 총 비용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한다.
제어부(340)는 선택된 최적 A/S 센터에 대한 정보를 차량에 제공(안내)한다. 제어부(340)는 최적 A/S 센터의 고유정보, 센터명 및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최적 A/S 센터 정보를 차량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S 센터 서버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A/S 센터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A/S 센터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110). A/S 센터 서버(100)는 빅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해 A/S 센터와 관련하여 데이터(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빅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 A/S 센터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A/S 센터 서버(100)는 업데이트된 A/S 센터 정보를 수집한다(S120). 예를 들어, A/S 센터 서버(100)의 제1처리부(170)는 A/S 센터 정보 중 대기 차량 대수, 예약 현황 및 수리 비용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대기 차량 대수, 예약 현황 및 수리 비용을 수집한다.
A/S 센터 서버(100)는 수집된 A/S 센터 정보를 관제 서버(300)에 전송한다(S130). 예컨대, A/S 센터 서버(100)의 제1처리부(170)는 업데이트된 대기 차량 대수, 예약 현황 및 수리 비용을 포함하는 A/S 센터 정보를 생성하여 제1통신부(130)를 통해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차량 단말기(200)가 탑재된 차량에 고장이 발생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A/S 센터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기(200)는 차량 위치를 획득한다(S210). 차량 단말기(200)의 제2처리부(270)는 A/S 센터 검색 요청이 필요한 경우 측위부(210)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를 획득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A/S 센터 검색 요청을 관제 서버(300)에 전송한다(S220). 이때, 차량 단말기(200)의 제2처리부(270)는 A/S 센터 검색 요청 시 차량 위치(출발지), A/S 후 목적지 및 고장 정보를 함께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단말기(200)는 관제 서버(300)로부터 A/S 센터 정보를 수신한다(S230). 이때, 관제 서버(300)는 A/S 센터 검색 요청에 따라 차량 단말기(200)가 탑재된 차량의 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A/S 센터를 선정하고 선정된 A/S 센터에 대한 정보 즉, A/S 센터 정보를 송신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관제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A/S 센터 정보를 수신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수신된 A/S 센터 정보를 기반으로 A/S 센터에 서비스 예약을 수행한다(S240). 제2처리부(270)는 수신된 A/S 센터 정보를 토대로 제2통신부(230)를 통해 A/S 센터 서버(100)에 접속하여 A/S 예약을 요청한다. 이어서, 제2처리부(270)는 A/S 센터 서버(100)로부터 예약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A/S 예약을 완료한다.
이후, 차량 단말기(200)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A/S 센터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경로를 따라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관제 서버(300)는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A/S 센터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S310). 즉, 관제 서버(300)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200)가 전송하는 A/S 센터 검색 요청을 한다.
관제 서버(300)는 A/S 센터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S320). 관제 서버(300)는 A/S 센터 서버(100) 및 차량 단말기(200)에 요청하여 A/S 센터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A/S 센터 서버(100)는 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A/S별 수리 비용, 및 A/S별 수리 시간 등을 포함한 A/S 센터 정보를 전송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출발지, 목적지 및 고장 정보 등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전송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 단말기(200)가 관제 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A/S 센터 검색 요청 시 차량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관제 서버(300)는 A/S 센터 정보, 차량 정보 및 교통량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토대로 최적 A/S 센터를 선정한다(S330). 여기서, 교통량 예측 정보는 각 A/S 센터를 기준으로 연결되는 도로구간별로 요일별 및 시간대별 소요 시간 정보로, 교통량 예측부(310)가 일정 기간 동안의 교통 상황을 분석 및 통계를 낸 결과이다.
관제 서버(300)의 제어부(340)는 교통량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차량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A/S 센터 정보에 포함되는 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및 예약 현황 등을 토대로 차량의 총 대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도착 예상 시간, A/S 후 목적지 도착 예상 시간 및 총 대기 시간 등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 중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선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교통량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를 산출한다. 제어부(240)는 산출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에 따른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을 연산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A/S 센터 정보에 포함된 고장별 수리 비용 및 차량 정보에 포함된 고장 정보를 토대로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추정(예측)한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 및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토대로 A/S 센터별 총 비용을 산출한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총 비용 중 총 비용이 최소가 되는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시간 및 비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 또는 총 비용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340)는 비용에 비하여 시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하고, 시간에 비하여 비용의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총 비용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택한다.
한편,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차량 정보의 스케줄 정보에 매칭하여 A/S 센터 후보목록을 생성한다. 제어부(340)는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과 스케줄 정보 간의 매칭율에 근거하여 A/S 센터 후보목록 중 매칭율이 가장 높은 A/S 센터를 최적 A/S 센터로 선정한다.
관제 서버(300)는 선정된 최적 A/S 센터를 차량에 안내한다(S340). 관제 서버(300)는 최적 A/S 센터에 대한 정보를 차량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A/S 센터 서버 110: 빅데이터 수집부
120: 빅데이터 저장부 130: 제1통신부
140: 제1사용자 입력부 150: 제1메모리
160: 제1출력부 170: 제1처리부
200: 차량 단말기 210: 측위부
220: 지도 저장부 230: 제2통신부
240: 제2사용자 입력부 250: 제2메모리
260: 제2출력부 270: 제2처리부
300: 관제 서버 310: 교통량 예측부
320: 제3통신부 330: 제3메모리
340: 제어부

Claims (22)

  1.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애프터서비스(이하, A/S) 센터 서버, 차량 단말기 및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A/S 센터 서버 및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A/S 센터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A/S 센터별 교통량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량 예측부, 및
    상기 A/S 센터 정보,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최적 A/S 센터를 선정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에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 정보는 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예약 현황, A/S별 수리 비용, 및 A/S별 수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출발지, 목적지, 고장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는 각 A/S 센터를 기준으로 연결되는 도로구간들 각각에 대한 요일별 및 시간대별 소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S 이용 차량 대수, 상기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상기 대기 차량 대수, 상기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및 상기 예약 현황을 기반으로 총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상기 총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총 소요 시간을 상기 스케줄 정보에 매칭하여 A/S 센터 후보목록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상기 총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상기 최적 A/S 센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에 따른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S별 수리 비용 및 상기 고장 정보를 토대로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 및 상기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총 비용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상기 최적 A/S 센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12. A/S 센터 서버 및 차량 단말기로부터 A/S 센터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A/S 센터 정보, 상기 차량 정보 및 교통량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최적 A/S 센터를 상기 차량 단말기에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 정보는 A/S 이용 차량 대수,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대기 차량 대수,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예약 현황, A/S별 수리 비용, 및 A/S별 수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출발지, 목적지, 고장 정보 및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는 각 A/S 센터를 기준으로 연결되는 도로구간들 각각에 대한 요일별 및 시간대별 소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A/S 이용 차량 대수, 상기 A/S 이용 차량별 고장 정보 및 남은 수리 시간, 상기 대기 차량 대수, 상기 대기 차량별 고장 정보 및 수리 시간 및 상기 예약 현황을 기반으로 총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상기 총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총 소요 시간을 상기 스케줄 정보에 매칭하여 A/S 센터 후보목록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 및 상기 총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총 소요 시간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상기 최적 A/S 센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교통량 예측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출발지로부터 각 A/S 센터까지의 주행 거리 및 A/S 후 각 A/S 센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거리에 따른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A/S별 수리 비용 및 상기 고장 정보를 토대로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S 센터를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A/S 센터별 연료 소모 비용 및 상기 A/S 센터별 수리 비용을 고려하여 A/S 센터별 총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총 비용이 가장 작은 A/S 센터를 상기 최적 A/S 센터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KR1020190111711A 2019-09-09 2019-09-09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KR20210030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711A KR20210030135A (ko) 2019-09-09 2019-09-09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711A KR20210030135A (ko) 2019-09-09 2019-09-09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135A true KR20210030135A (ko) 2021-03-17

Family

ID=7524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711A KR20210030135A (ko) 2019-09-09 2019-09-09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01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44B1 (ko) 2007-12-12 201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장 코드에 따른 정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844B1 (ko) 2007-12-12 201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장 코드에 따른 정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61025B (zh) 分层路线生成、提供和选择
CN111260948B (zh) 交通信息服务装置和方法
JP6094543B2 (ja) 出発地・目的地抽出装置、出発地・目的地抽出方法
CN101253388B (zh) 用于时间相关的路线计划的方法和导航装置
US20190051174A1 (en) Travel path and location predictions
CA2832568C (en) System for transmitting, processing, receiving, and displaying traffic information
JP472800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85214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a person reaches a destination on time
KR20200111978A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경로 탐색 방법
JP2006337182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交通情報提供装置、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交通情報提供方法および交通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02027321A (zh) 导航装置及方法
JP2019197067A (ja) 交通管理決定に基づく車両交通支援
EP2658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ownloading of data to a user's mobile device which is travelling along a travel route
JP2010210284A (ja) 交通管理装置および交通管理方法
US107319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public and/or private transportation service
WO2019117047A1 (ja) 車載装置、情報提示方法
JP3966321B2 (ja) 自動車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30039923A (ko) 차량용 실시간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9446A (ko)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0135A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센터 안내 방법
JP4898140B2 (ja) 交通誘導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サーバ装置
KR20130061439A (ko) 최적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 정보 제공 서버, 교통 정보 제공 단말 및 그 방법
JP4910885B2 (ja) 渋滞予測装置、渋滞予測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104817A (ko) 실시간 버스 위치 조회 시스템
US106526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selective transmission of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