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962A -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962A
KR20210028962A KR1020190110167A KR20190110167A KR20210028962A KR 20210028962 A KR20210028962 A KR 20210028962A KR 1020190110167 A KR1020190110167 A KR 1020190110167A KR 20190110167 A KR20190110167 A KR 20190110167A KR 20210028962 A KR20210028962 A KR 20210028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weight
lip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김세진
박선희
심민경
채련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1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8962A/ko
Publication of KR2021002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림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의 스틱 제형으로서 내용물의 수축이나 무너짐 현상 없이 안정성이 우수하며, 부드러운 발림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착색 컬러 및 우수한 착색 지속력을 갖는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OIL-IN-WATER TYPE COSMETIC COMPOSTION FOR LIP}
본 발명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림성과 착색력이 우수한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립스틱은 유분산 또는 유중수형 타입으로 제형의 대부분이 유분으로 이루어져 산뜻함이 적고 착색 컬러가 한정적이며 착색력 또한 현저하게 떨어진다. 액상타입의 틴트의 경우 다양한 착색 컬러 구현 및 컬러 지속은 가능하지만 팁으로 도포하기 때문에 정밀한 도포가 어렵고 제형이 입술에서 쉽게 뭉치는 문제가 있다.
종래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착색력과 수분감이 우수하나,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고형화가 어렵다.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외상이 물이기 때문에, 물이 30% 이상 함유되는 경우에는 내상에 왁스가 일반 립스틱 수준으로 포함되더라도 대부분 크림 또는 겔상으로 구현된다.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스틱 형상으로 고형화 하기 위해 왁스의 함량을 높이게 되면 충진 온도가 올라가게 되어 고온에서의 수분 증발량이 높아지며, 과량의 왁스로 인해 뻑뻑한 사용감을 가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스틱 제형으로서 다양한 착색 컬러 구현이 가능하고 컬러 지속력이 우수한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3206호
본 발명은 수중유형으로서 부드러운 발림을 구현하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한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한 착색 컬러 구현이 가능하고 착색 지속력이 우수한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선형 탄화수소 왁스,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 및 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 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4 중량%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융점이 50 내지 90℃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선형 합성왁스(synthetic wax)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 내지 22 중량%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탄소수가 12 내지 80 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가 20 gf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기 전도도가 10 내지 500 μS/cm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부드러운 발림을 구현하면서도, 내용물의 수축이나 무너짐 현상이 없이 안정화된 스틱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착색 컬러 구현이 가능하고 컬러 지속력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서 스틱 제형 조성물의 컬러 지속력을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선형 탄화수소 왁스,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 및 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4 중량%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또는 8 중량% 이상이면서, 14 중량% 이하, 13.5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5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5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융점이 약 50 내지 90℃ 일 수 있다.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의 융점이 50℃ 미만인 경우에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경도를 충분히 형성하지 못하며 고온 안정도가 떨어지고, 90℃ 초과인 경우에는 충진시 많은 수분이 증발되어 수분감이 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융점이 50℃ 이상, 52℃ 이상, 54℃ 이상, 56℃ 이상, 58℃ 이상, 60℃ 이상, 62℃ 이상, 64℃ 이상, 66℃ 이상, 68℃ 이상 또는 70℃ 이상이며, 90℃ 이하, 88℃ 이하, 86℃ 이하, 84℃ 이하, 82℃ 이하, 80℃ 이하, 78℃ 이하, 76℃ 이하, 74℃ 이하 또는 72℃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직선 형태의 탄화수소 골격을 갖는 선형 탄화수소 왁스일 수 있다.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단단한 고체 스틱 제형으로 형성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예를 들어, 선형 폴리에틸렌 왁스 등과 같은 선형 합성왁스(synthetic wax)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 내지 22 중량%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5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2.5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3.5 중량% 이상 또는 14 중량% 이상이면서, 22 중량% 이하, 21.5 중량% 이하, 21 중량% 이하, 20.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9.5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5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5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5 중량% 이하 또는 16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은 탄소수가 12 내지 8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이 R1COOR2의 화학식을 갖는 경우 R1은 최소 1 내지 77, R2는 최소 2 내지 78일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의 탄소수가 8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경도를 충분히 형성하지 못하며 끈적임이 심해 입술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은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Octyldodecyl Neopentanoate) 및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이상, 33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38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3 중량% 이상 또는 45 중량% 이상이면서, 70 중량% 이하, 68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3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8 중량% 이하 또는 5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레오미터(Rheometer) CR-300으로 측정한 경도가 20 gf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도는 레오미터로 조성물을 절단하는 경우에 필요한 힘의 크기로,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을 수직 20 mm 깊이로 절단하는 경우에 필요한 힘을 의미한다.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경도가 너무 낮으면 제형이 물러져 균일하게 발리지 않고 뭉쳐질 위험이 있으며 고온에서의 안정도도 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가 20 gf 이상, 23 gf 이상, 25 gf 이상, 28 gf 이상, 30 gf 이상, 33 gf 이상, 35 gf 이상, 38 gf 이상, 40 gf 이상, 43 gf 이상, 45 gf 이상, 48 gf 이상, 50 gf 이상, 53 gf 이상, 55 gf 이상, 58 gf 이상 또는 60 gf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기 전도도가 10 내지 500 μS/cm일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도도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내에 측정 프로브를 담그고 전도도계 값이 안정화 되었을 때의 값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도도계는 SevenCompact S230 (Mettler Toledo社)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전기 전도도는 10 μS/cm 이상, 30 μS/cm 이상, 50 μS/cm 이상, 70 μS/cm 이상, 90 μS/cm 이상, 110 μS/cm 이상, 130 μS/cm 이상, 150 μS/cm 이상, 170 μS/cm 이상, 190 μS/cm 이상, 210 μS/cm 이상 또는 230 μS/cm 이상이며, 500 μS/cm 이하, 480 μS/cm 이하, 460 μS/cm 이하, 440 μS/cm 이하, 420 μS/cm 이하, 400 μS/cm 이하, 380 μS/cm 이하, 360 μS/cm 이하, 340 μS/cm 이하, 320 μS/cm 이하, 300 μS/cm 이하, 280 μS/cm 이하 또는 260 μS/c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물이 기름 주변에 위치하는 수중유형(O/W) 제형을 가짐으로써 용해성이 다른 다양한 색소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컬러 지속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선형 탄화수소 왁스와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의 조합을 통해 부드러운 발림성을 구현하면서도, 내용물의 수축이나 무너짐 현상이 없이 안정화된 스틱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의 입술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상기 이외의 유제, 분체, 고분자 화합물, 보습제, 향료, 산화방지제, 방부제, 미용성분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수중유형 립스틱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구체적으로, 유상성분을 90℃로 가온하여 용해하고, Homogenizer로 3500 rpm에서 10분간 교반하였으며, 수상성분은 따로 75℃로 가온하여 Homogenizer로 3000 rpm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된 유상성분을 75℃까지 냉각하고, 교반된 수상성분을 서서히 첨가한 다음 3000 rpm으로 10분간 교반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립스틱 몰드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붓고 냉각하여 스틱형으로 제작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선형 폴리에틸렌 왁스
(분자량 500 g/mol)
9 9 9 9 - 15
다분기 합성왁스
(branched synthetic wax, 융점 70℃)
- - - - 9 -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C25H50O2) 16 - - - 16 16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C77H148O8) - 16 - - - -
펜타에리스리톨 펜타이소스테아레이트(C100H192O12) - - 16 - - -
하이드로 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 - - 16 - -
폴리소르베이트 60 4 4 4 4 4 4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6 6 6 6 6 6
안료 7 7 7 7 7 7
실리콘 오일 20 20 20 20 20 14
35 35 35 35 35 35
염료 1 1 1 1 1 1
보존제 2 2 2 2 2 2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한 경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각 시료들을 12시간 동안 30℃의 항온조에서 보관한 후 꺼내 세운 뒤 중앙에 피아노 줄(두께 0.2 mm)을 위치하고, 상기 피아노 줄을 20 mm/min의 속도로 이동시켜 이동거리 중 10 내지 19.5 mm 지점에서 받는 힘을 Rheometer CR-300(SUN Scientific Co.,LTD)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경도(gf) 40 25 20 측정 불가 측정 불가 60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에스터계 오일이 아닌 하이드로카본 오일(하이드로 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는 비교예 2 및 다분기 합성 왁스를 포함하는 비교예 3은 경도가 너무 낮아 고체 스틱 제형을 형성하지 못한 반면, 선형 합성왁스 및 탄소수 12 내지 80의 에스터계 오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는 안정한 스틱 제형의 경도를 나타내었다. 탄소수 100의 에스터계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경우 경도가 20 gf로 스틱 제형을 형성하였으나 경도가 낮아 도포시 쉽게 무너져 내렸으며 끈적임이 매우 심하였다. 선형 합성왁스를 15 중량%로 포함하는 비교예 4의 경우 경도가 60 gf로 가장 단단하였으나 미용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발림성이 떨어지며, 도포시 뻑뻑한 발림으로 스틱 제형이 쉽게 부러졌다.
[실험예 2: 물 함량에 따른 스틱 제형 형성 여부 및 사용감 확인]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물 함량에 따른 스틱 제형 형성 여부 및 사용감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5, 6 및 실시예 3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비교예 5 비교예 6
선형 폴리에틸렌 왁스
(분자량 500 g/mol)
8 8 8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C25H50O2) 20 20 -
폴리소르베이트 60 4 5 2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6 7 3
안료 4 4 4
실리콘 오일 15 33 -
40 20 80
염료 1 1 1
보존제 2 2 2
합계 100 100 100
비교예 5, 6 및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몰드에 붓고 성형하였을 때 스틱이 형성되는지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5, 6 및 실시예 3을 20대 여성 10명에게 사용하도록 한 후 수분감(도포시 입술에 느껴지는 즉각적인 수분감) 및 착색력(피부에 도포 후 티슈로 닦아냈을 때 컬러가 염착된 수준)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우수, △: 보통, X: 나쁨).
비교예 5 실시예 3 비교예 6
물 함량(중량%) 20 40 80
스틱 형성 여부 X
수분감
착색력
표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물의 함량이 80 중량%인 비교예 6은 스틱으로 형성되지 않았으며, 물의 함량이 20 중량%인 비교예 5는 스틱으로 형성되었으나 수분감 및 착색력이 저조하였다. 반면, 물의 함량이 40 중량%인 실시예 3은 스틱으로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분감 및 착색력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우수한 컬러 지속력]
하기 표 5의 조성(중량%)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종래 유분산 제형의 립스틱(비교예 7)을 제조하여 실시예 1과 컬러 지속력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스틱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 후 티슈로 닦아 컬러 지속력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도 1A는 비교예 7을 관찰한 결과이며, 도 1 B는 실시예 1을 관찰한 결과이다).
성분 비교예 7
폴리에틸렌 10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4
스쿠알란 10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24.9
브이피/헥사데센 코폴리머 2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5
실리카 3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6
염착 색소(Red 27) 0.1
유기색소 10
합계 100
도 1A에서 확인 되듯이, 비교예 7은 티슈로 닦아낸 결과 색이 상당히 옅어져 컬러 지속력이 저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일한 착색 컬러를 나타내었다. 반면, 실시예 1은, 도 1B와 같이, 컬러 지속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착색 컬러를 나타내었다.

Claims (9)

  1.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선형 탄화수소 왁스,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 및 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인,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4 중량%인,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융점이 50 내지 90℃인,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탄화수소 왁스는 선형 합성왁스(synthetic wax)인,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에스터계 오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 내지 22 중량%인,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탄소수가 12 내지 80인,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가 20 gf 이상인,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기 전도도가 10 내지 500 μS/cm 인, 수중유형 스틱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10167A 2019-09-05 2019-09-05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8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67A KR20210028962A (ko) 2019-09-05 2019-09-05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67A KR20210028962A (ko) 2019-09-05 2019-09-05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962A true KR20210028962A (ko) 2021-03-15

Family

ID=7513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167A KR20210028962A (ko) 2019-09-05 2019-09-05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89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206A (ko)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206A (ko)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1421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641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E60126649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heteropolymere und eine feste substanz und anwendungsverfahren
CN102970963A (zh) 含有丙烯酸增稠剂的美容组合物
KR102363452B1 (ko) 고함량 올리고머형 피토스테롤 에스터를 고형 안정화한 립글로스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JP4614620B2 (ja) ヘテロ重合体と油溶性重合体と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組成物を使用する方法
KR1020169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1153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2335B1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5245A (ko) 저온 분산 제조 공정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US6274153B1 (en) Structured cosmetic material comprising κ-carragheen which forms a three-dimensional network
JP5237195B2 (ja) 油性固形化粧料
KR20210028962A (ko) 수중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9444B1 (ko)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9673A (ko) 아마이드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051635A1 (en) SOLID ANHYDROUS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20180121037A (ko)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000057944A (ko) 폴리(히드록시스티렌) 및 지방상 함유 화장용 조성물
JP2001019613A (ja) ペンシル状又はスティック状固形化粧料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2929A (ko)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00001B1 (ko) 오일 겔화제를 함유한 유분산 글로시 스틱형 립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