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419A -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419A
KR20210028419A KR1020190109472A KR20190109472A KR20210028419A KR 20210028419 A KR20210028419 A KR 20210028419A KR 1020190109472 A KR1020190109472 A KR 1020190109472A KR 20190109472 A KR20190109472 A KR 20190109472A KR 20210028419 A KR20210028419 A KR 2021002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reinforcing bar
coupler
housing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467B1 (ko
Inventor
왕도현
Original Assignee
왕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도현 filed Critical 왕도현
Priority to KR102019010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4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건축을 위한 배근작업 시에 철근들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상호 연결시켜, 배근 작업능률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특히, 커플러하우징에 나사결합된 콜렛가압부재의 체결에 따라 배근된 철근을 콜렛잠금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작업편의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제1실시예는, 원통형 형상의 내부에 중앙격벽(111)이 형성되어, 양측에 수용공간(112)이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2) 내경면에 하우징나사부(113)가 형성된 커플러하우징(110)과;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123)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경사진 콜렛가이드면(122)이 형성된 복수개의 콜렛부재(121)를 한 조로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112)에 각각 삽입시켜 중앙격벽(111)에 안착되는 콜렛잠금수단(120)과;
중앙에 철근삽입구멍(1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1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110)의 하우징나사부(1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133)가 구비되며, 상기 콜렛잠금수단(120)과 마주하는 내경면에는 콜렛가이드면(122)에 대응하는 콜렛가압면(134)이 성형된 콜렛가압부재(130)를 포함해 구성된다.

Description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Key Coupler for Rebar Connection}
본 발명은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건축을 위한 배근작업 시에 철근들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상호 연결시켜, 배근 작업능률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특히, 커플러하우징에 나사결합된 콜렛가압부재의 체결에 따라 배근된 철근을 콜렛잠금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작업편의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 등이 적합한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조성물이며, 압축강도는 비교적 높지만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하여 매우 낮아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바, 상기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안에는 철근을 결속(배근)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압축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물적적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각종 건축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되는 철근은, 보강근(補强筋)으로 원형철근(圓形鐵筋)과 이형철근(異形鐵筋)이 있는데, 원형철근은 철근 표면에 마디가 없는 것을 말하며, 이형철근은 마디와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형철근은 원형철근 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크며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길 때는 균열 폭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주철근(主鐵筋)에는 원형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이형철근을 사용한다.
그리고, 통상의 배근작업 시에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겹 이음방법, 용접 이음방법, 나사 이음방법, 연결장치 이음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상기 겹 이음방법은 서로 겹쳐진 이형철근의 단부에 와이어를 감아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배근작업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지만 이형철근마다 와이어를 감아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연결 부분의 굽힘강도가 취약하여 안전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용접 이음방법은 철근의 단부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는 방법으로, 연결 부분의 강도는 양호하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려 공사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으며, 나사 이음방법은 이형철근의 연결단부에 나사를 가공하여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연결단부의 가공을 위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고 나사 가공시간의 추가 및 결합작업 등에 따른 능률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며, 그 하나의 예로서 특허문헌 1과 같은 철근 커플러가 게시되었으며, 그 구성으로는 중공원통형의 관으로 상기 한 쌍의 철근이 양측의 외측단부로부터 각각 내부로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러 캡과,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조임 스프링이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하지만, 상기 철근 커플러는 조임스프링과 접촉되는 각 부위에 집중적인 응력을 받게 되면서 파지부위에서 전단되는 문제점과 함께, 조임 스프링의 제작 및 조립 작업에 불편함을 주어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술(前述)된 다양한 철근에 대응하게 각각의 철근 커플러를 구비해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의 증가와 함게 작업효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0579호. 철근 커풀러(등록일자 2011년 04월 14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커플러하우징의 내부에 콜렛잠금부재를 조립하고, 상기 콜렛잠금부재를 콜렛가압부재가 컬플러하우징에 체결되면서 가압하여 콜렛잠금부재에 근입된 철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플러하우징에 조립된 콜렛가압부재의 체결 방향에 따라서 콜렛잠금부재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콜렛잠금부재의 내부에 다양한 형상을 갖는 철근의 근입이 가능하고, 상기 근입된 철근을 간편하게 고정시켜 배근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커플러하우징의 외면에 굴곡부를 형성하여 몰탈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고, 철근을 고정하는 커플러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원통형 형상의 내부에 중앙격벽(111)이 형성되어, 양측에 수용공간(112)이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2) 내경면에 하우징나사부(113)가 형성된 커플러하우징(110)과;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123)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경사진 콜렛가이드면(122)이 형성된 복수개의 콜렛부재(121)를 한 조로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112)에 각각 삽입시켜 중앙격벽(111)에 안착되는 콜렛잠금수단(120)과;
중앙에 철근삽입구멍(1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1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110)의 하우징나사부(1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133)가 구비되며, 상기 콜렛잠금수단(120)과 마주하는 내경면에는 콜렛가이드면(122)에 대응하는 콜렛가압면(134)이 성형된 콜렛가압부재(130)를 포함해 구성된다.
그리고, 제2실시예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측에 수용공간(212)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212)의 양측 내경면에 하우징나사부(213)가 형성된 커플러하우징(210)과;
한 쌍의 콜렛받침판(241) 사이에 리턴스프링(243)이 구비되어, 상기 커플러하우징(210)의 수용공간(212)에 삽입되는 중앙받침부재(240)와;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223)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경사진 콜렛가이드면(222)이 형성된 복수개의 콜렛부재(221)를 한 조로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212)에 위치한 콜렛받침판(241)에 각각 안착되는 콜렛잠금수단(220)과;
중앙에 철근삽입구멍(2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2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210)의 하우징나사부(2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233)가 구비되며, 상기 콜렛잠금수단(220)과 마주하는 내경면에는 콜렛가이드면(222)에 대응하는 콜렛가압면(234)이 성형된 콜렛가압부재(230)를 포함해 구성된다.
그리고, 제3실시예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측에 수용공간(312)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312)의 양측 내경면에 하우징나사부(313)가 형성된 커플러하우징(310)과;
내부에 중앙받침판(324)이 구비되고, 양측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323)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중앙에서 양측 단부방향으로 경사진 콜렛가이드면(322)이 형성된 복수개의 콜렛부재(321)를 한 조로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312)에 삽입하는 콜렛잠금수단(320)과;
중앙에 철근삽입구멍(3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3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310)의 하우징나사부(3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333)가 구비되며, 상기 콜렛잠금수단(320)과 마주하는 내경면에는 콜렛가이드면(322)에 대응하는 콜렛가압면(334)이 성형된 콜렛가압부재(330)를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의 콜렛부재(121,221,321)는 내경면에 링끼움홈(121a,221a,321a)이 각각 형성되어, 한 조로 구성된 콜렛잠금수단(120,220,320)의 내측에서 탄성을 갖는 간격고정링(127,227,327)이 상기 링끼움홈(121a,221a,321a)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콜렛부재(121,221,321)가 간격을 두고 수용공간(112,212,312)에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의 커플러하우징(110,210,310)의 외면은 굴곡형상, 나선형상 또는 철근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하우징성형부(115,215,315)가 성형되어 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플러하우징의 내부에 콜렛잠금수단이 장착된 상태에서 철근을 근입한 다음에 콜렛가압부재를 회전시켜 콜렛잠금수단이 오므려지면서 근입된 철근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철근도 작업현장에 사용가능하여 제품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커플러하우징에 삽입되는 콜렛잠금수단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 가능하면서, 상기 구성을 단순화시켜 고장발생을 방지하고 제조단가를 절감시켜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플러하우징의 외면에 하우징성형부를 형성하여 몰탈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부착력이 증대됨으로써, 몰탈의 파손을 방지하고 견고한 건축물을 제공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제1실시예인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의 조립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제2실시예인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의 조립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인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제3실시예인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의 조립 순서도.
본 발명인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는 건축물의 건축을 위한 배근작업 시에 철근들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상호 연결시켜, 배근 작업능률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특히, 커플러하우징에 나사결합된 콜렛가압부재의 체결에 따라 배근된 철근을 콜렛잠금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작업편의성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는 다양한 구성을 갖고 제작 가능하며, 상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1)
먼저,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100)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크게 커플러하우징(110)의 상,하부에 콜렛잠금수단(120)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하우징(110)에 콜렛가압부재(130)가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플러하우징(110)은, 원통형 형상의 내부 중앙에는 도면 상 상부와 하부를 구획할 수 있도록 중앙격벽(111)이 형성되어, 양측에 수용공간(112)이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2) 내경면에 하우징나사부(113)가 형성된다.
또, 상기 커플러하우징(110)의 외면은 굴곡형상, 나선형상 또는 철근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하우징성형부(115)가 성형되어, 몰탈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부착력을 증대시킴으로서 견고한 건축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콜렛잠금수단(120)은, 복수개의 콜렛부재(121)를 한 조로 구성시켜 상기 커플러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하나의 콜렛부재(121)에 대해 설명하면,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123)이 형성되어, 철근(10)의 근입은 용이하지만 역방향으로 철근(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면 일측은 상기 중앙격벽(111)에 안착되는 하측에서 커플러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 방향인 상측으로 오목하게 경사진 콜렛가이드면(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복수개의 콜렛부재(121)는 내경면에 링끼움홈(121a)이 각각 형성되어, 한 조를 구성하는 콜렛잠금수단(120)의 내측에서 탄성을 갖는 간격고정링(127)이 상기 링끼움홈(121a)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콜렛부재(121)는 커플러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간격고정링(127)의탄력으로 콜렛부재(121)를 외측으로 밀어 콜렛부재와 콜렛부재 사이에 간격이 구비되며 수용공간(112)에 지지된다.
그리고, 콜렛가압부재(130)는 중앙에 철근삽입구멍(1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1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110)의 하우징나사부(1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133)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나사(133)를 하우징나사부(113)에 체결조립힌다.
이때, 상기 콜렛가압부재(130)는 콜렛잠금수단(120)과 마주하는 일측에서 철근삽입구멍(131)이 형성된 타측 내경면을 향해 콜렛가이드면(122)과 대응하는 콜렛가압면(134)이 경사지게 성형되어, 상기 콜렛가압부재(130)가 커플러하우징(110)에 선단 일부를 체결 조립하면 내측의 콜렛잠금수단(120)은 도 2에서와 같이 수용공간(112)에서 간격고정링(127)에 의해 벌어져 수용공간(112) 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커플러하우징(110)의 상부와 하부에 콜렛가압부재(130)를 일부 체결 조립한 상태에서, 철근(10) 상부에 키 커플러(100)를 위치시키고 하측 콜렛가압부재(130)의 철근삽입구멍(131)을 통해 철근(10)이 끼워지게 하향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철근(10)이 삽입된 하측 콜렛가압부재(130)의 잠금헤드(132)를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 나사체결 방향으로 콜렛가압부재(130)를 회전시켜 도면상 상부로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콜렛가압부재(13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수용공간(112)에 위치한 콜렛잠금수단(120)의 콜렛가이드면(122)을 콜렛가압면(134)이 철근(10)이 위치한 중심방향으로 밀게 되면서 철근고정래칫(123)이 철근(10)을 물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10)의 배근작업을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상측 콜렛가압부재(130)의 철근삽입구멍(131)으로 신규의 철근(10) 단부를 삽입하여 전술(前述)된 콜렛가압부재(130)의 잠금헤드(132)를 체결하여 키 커플러(100)의 하부와 상부로 철근(10)이 견고히 고정 연결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콜렛가압부재(130)의 철근삽입구멍(131)에는 외측으로 직경을 확장시킨 경사진 철근유도면(미부호)을 더 형성시켜 작업자가 철근의 선단을 끼워 넣는 작업에서 철근유도면을 통해 철근삽입구멍(131)으로 보다 정확하게 유도해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시예2)
그리고,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200)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도 5에서와 같이 크게 커플러하우징(210)의 수용공간(212) 상,하부에 중앙받침부재(240)에 지지되는 콜렛잠금수단(220)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하우징(210)에 콜렛가압부재(230)가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플러하우징(210)은,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212)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212)의 상,하부에 하우징나사부(213)가 형성된다.
또, 상기 커플러하우징(210)의 외면은 굴곡형상, 나선형상 또는 철근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하우징성형부(215)가 성형되어, 몰탈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부착력을 증대시킴으로서 견고한 건축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212)에는, 탄력을갖는 리턴스프링(243)의 양측으로 콜렛받침판(241)이 구비된 중앙받침부재(240)가 조립되는데, 상기 콜렛받침판(241)은 리턴스프링(243)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턴스프링의 형상에 맞춰 중앙부와 테두리를 절곡 성형한다.
즉, 콜렛받침판(241)의 중앙에는 요(凹)홈 형상을 갖는 철근받침면(242)이 형성되고, 외측테두리로 스프링이탈방지턱(미부호)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철근(10) 배근 작업 중에 철근 단부가 중앙받침부재(240)를 가압하여도 상기 철근받침면(242)과 스프링이탈방지턱 사이에 위치한 리턴스프링(243)의 유동 및 분리를 방지해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콜렛잠금수단(220)은, 복수개의 콜렛부재(221)를 한 조로 구성시켜 상기 커플러하우징(210)의 수용공간(2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하나의 콜렛부재(221)에 대해 설명하면,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223)이 형성되어, 철근(10)의 근입은 용이하지만 역방향으로 철근(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콜렛받침판(241)에 안착되는 하측에서 커플러하우징(210)의 개구된 일측 방향인 상측으로 오목하게 경사진 콜렛가이드면(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복수개의 콜렛부재(221)는 내경면에 링끼움홈(221a)이 각각 형성되어, 한 조를 구성하는 콜렛잠금수단(220)의 내측에서 탄성을 갖는 간격고정링(227)이 상기 링끼움홈(221a)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콜렛부재(221)는 커플러하우징(210)의 수용공간(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간격고정링(227)의탄력으로 콜렛부재(221)를 외측으로 밀어 콜렛부재와 콜렛부재 사이에 간격이 구비되며 수용공간(212)에 지지된다.
그리고, 콜렛가압부재(230)는 중앙에 철근삽입구멍(2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2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210)의 하우징나사부(2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233)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나사(133)를 하우징나사부(113)에 체결조립힌다.
이때, 상기 콜렛가압부재(230)는 콜렛잠금수단(220)과 마주하는 일측에서 철근삽입구멍(231)이 형성된 타측 내경면을 향해 콜렛가이드면(222)과 대응하는 콜렛가압면(234)이 경사지게 성형되어, 상기 콜렛가압부재(230)가 커플러하우징(210)에 선단 일부를 체결 조립하면 내측의 콜렛잠금수단(220)은 도 6에서와 같이 수용공간(212)에서 간격고정링(227)에 의해 벌어져 수용공간(212) 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커플러하우징(210)의 상부와 하부에 콜렛가압부재(230)를 일부 체결 조립한 상태에서, 철근(10) 상부에 키 커플러(200)를 위치시키고 하측 콜렛가압부재(230)의 철근삽입구멍(231)을 통해 철근(10)이 끼워지게 하향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철근(10)이 삽입된 하측 콜렛가압부재(230)의 잠금헤드(232)를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 나사체결 방향으로 콜렛가압부재(230)를 회전시켜 도면상 상부로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콜렛가압부재(23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수용공간(212)에 위치한 콜렛잠금수단(220)의 콜렛가이드면(222)을 콜렛가압면(234)이 철근(10)이 위치한 중심방향으로 밀게 되면서 철근고정래칫(223)이 철근(10)을 물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10)의 배근작업을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상측 콜렛가압부재(230)의 철근삽입구멍(231)으로 신규의 철근(10) 단부를 삽입하여 전술(前述)된 콜렛가압부재(230)의 잠금헤드(232)를 체결하여 키 커플러(200)의 하부와 상부로 철근(10)이 견고히 고정 연결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콜렛가압부재(230)의 철근삽입구멍(231)에는 외측으로 직경을 확장시킨 경사진 철근유도면(미부호)을 더 형성시켜 작업자가 철근의 선단을 끼워 넣는 작업에서 철근유도면을 통해 철근삽입구멍(231)으로 보다 정확하게 유도해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시예3)
그리고,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300)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도 9에서와 같이 크게 커플러하우징(310)의 수용공간(312)에 상,하부 철근고정래칫(323)이 일체 형성된 콜렛잠금수단(320)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하우징(310)에 콜렛가압부재(330)가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커플러하우징(310)은,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312)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312)의 상,하부에 하우징나사부(313)가 형성되며, 외면은 굴곡형상, 나선형상 또는 철근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하우징성형부(315)가 성형되어, 몰탈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부착력을 증대시킴으로서 견고한 건축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콜렛잠금수단(320)은, 복수개의 콜렛부재(321)를 한 조로 구성시켜 상기 커플러하우징(310)의 수용공간(3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가장 큰 특징으로 내부에 중앙받침판(324)이 구비되고, 상,하부 양측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323)이 형성된 일체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콜렛잠금수단(320)을 구성하는 하나의 콜렛부재(321)에 대해 설명하면, 상,하측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323)이 각각 형성되어, 철근(10)의 근입은 용이하지만 역방향으로 철근(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면에는 중앙에서 양측 단부방향으로 오목하게 경사진 콜렛가이드면(3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복수개의 콜렛부재(321)는 상,하측 내경면에 링끼움홈(321a)이 각각 형성되어, 한 조를 구성하는 콜렛잠금수단(320)의 내측에서 탄성을 갖는 간격고정링(327)이 상기 링끼움홈(321a)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콜렛부재(321)는 커플러하우징(310)의 수용공간(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간격고정링(327)의탄력으로 콜렛부재(321)를 외측으로 밀어 콜렛부재와 콜렛부재 사이에 간격이 구비되며 수용공간(312) 내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콜렛가압부재(330)는 중앙에 철근삽입구멍(3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3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310)의 하우징나사부(3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333)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나사(333)를 하우징나사부(313)에 체결조립힌다.
이때, 상기 콜렛가압부재(330)는 콜렛잠금수단(320)과 마주하는 일측에서 철근삽입구멍(331)이 형성된 타측 내경면을 향해 콜렛가이드면(322)과 대응하는 콜렛가압면(334)이 경사지게 성형되어, 상기 콜렛가압부재(330)가 커플러하우징(310)에 선단 일부를 체결 조립하면 내측의 콜렛잠금수단(320)은 도 11에서와 같이 수용공간(312)에서 간격고정링(327)에 의해 벌어져 수용공간(312) 내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커플러하우징(310)의 상부와 하부에 콜렛가압부재(330)를 일부 체결 조립한 상태에서, 철근(10) 상부에 키 커플러(300)를 위치시키고 상,하측 콜렛가압부재(330)의 철근삽입구멍(331)을 통해 철근(10)이 끼워지면서 중앙받침판(324)에 안착되도록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12에서와 같이 철근(10)이 삽입된 상,하측 콜렛가압부재(330)의 잠금헤드(332)를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 나사체결 방향으로 콜렛가압부재(33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콜렛가압부재(330)가 체결되면서 수용공간(312)에 위치한 콜렛잠금수단(320)의 콜렛가이드면(322)을 콜렛가압면(334)이 철근(10)이 위치한 중심방향으로 밀어 철근고정래칫(323)이 철근(10)을 물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콜렛가압부재(330)의 철근삽입구멍(331)에는 외측으로 직경을 확장시킨 경사진 철근유도면(미부호)을 더 형성시켜 작업자가 철근의 선단을 끼워 넣는 작업에서 철근유도면을 통해 철근삽입구멍(331)으로 보다 정확하게 유도해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0. 키 커플러 110. 커플러하우징
111. 중앙격벽 112. 수용공간
120. 콜렛잠금수단 121. 콜렛부재
122. 콜렛가이드면 123. 철근고정래칫
127. 간격고정링 130. 콜렛가압부재
132. 잠금헤드 134. 콜렛가압면
200. 키 커플러 210. 커플러하우징
212. 수용공간 220. 콜렛잠금수단
221. 콜렛부재 222. 콜렛가이드면
223. 철근고정래칫 227. 간격고정링
230. 콜렛가압부재 232. 잠금헤드
234. 콜렛가압면 240. 중앙받침부재
241. 콜렛받침판 243. 리턴스프링
300. 키 커플러 310. 커플러하우징
312. 수용공간 320. 콜렛잠금수단
321. 콜렛부재 322. 콜렛가이드면
323. 철근고정래칫 324. 중앙받침판
327. 간격고정링 330. 콜렛가압부재
332. 잠금헤드 334. 콜렛가압면

Claims (5)

  1. 원통형 형상의 내부에 중앙격벽(111)이 형성되어, 양측에 수용공간(112)이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2)의 내경면에 하우징나사부(113)가 형성된 커플러하우징(110)과;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123)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경사진 콜렛가이드면(122)이 형성된 복수개의 콜렛부재(121)를 한 조로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112)에 각각 삽입시켜 중앙격벽(111)에 안착되는 콜렛잠금수단(120)과;
    중앙에 철근삽입구멍(1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1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110)의 하우징나사부(1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133)가 구비되며, 상기 콜렛잠금수단(120)과 마주하는 내경면에는 콜렛가이드면(122)에 대응하는 콜렛가압면(134)이 성형된 콜렛가압부재(130)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2.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측에 수용공간(212)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212)의 양측 내경면에 하우징나사부(213)가 형성된 커플러하우징(210)과;
    한 쌍의 콜렛받침판(241) 사이에 리턴스프링(243)이 구비되어, 상기 커플러하우징(210)의 수용공간(212)에 삽입되는 중앙받침부재(240)와;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223)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경사진 콜렛가이드면(222)이 형성된 복수개의 콜렛부재(221)를 한 조로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212)에 위치한 콜렛받침판(241)에 각각 안착되는 콜렛잠금수단(220)과;
    중앙에 철근삽입구멍(2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2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210)의 하우징나사부(2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233)가 구비되며, 상기 콜렛잠금수단(220)과 마주하는 내경면에는 콜렛가이드면(222)에 대응하는 콜렛가압면(234)이 성형된 콜렛가압부재(230)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3. 원통형 형상을 갖고 내측에 수용공간(312)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312)의 양측 내경면에 하우징나사부(313)가 형성된 커플러하우징(310)과;
    내부에 중앙받침판(324)이 구비되고, 양측 내경면에 철근고정래칫(323)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중앙에서 양측 단부방향으로 경사진 콜렛가이드면(322)이 형성된 복수개의 콜렛부재(321)를 한 조로 구성하여 상기 수용공간(312)에 삽입하는 콜렛잠금수단(320)과;
    중앙에 철근삽입구멍(331)이 관통 성형되고, 외경면에는 잠금헤드(332)와 상기 커플러하우징(310)의 하우징나사부(313)에 대응하는 가압나사(333)가 구비되며, 상기 콜렛잠금수단(320)과 마주하는 내경면에는 콜렛가이드면(322)에 대응하는 콜렛가압면(334)이 성형된 콜렛가압부재(330)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4. 제 1항, 제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부재(121,221,321)는 내경면에 링끼움홈(121a,221a,321a)이 각각 형성되어, 한 조로 구성된 콜렛잠금수단(120,220,320)의 내측에서 탄성을 갖는 간격고정링(127,227,327)이 상기 링끼움홈(121a,221a,321a)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콜렛부재(121,221,321)가 간격을 두고 수용공간(112,212,312)에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5. 제 1항, 제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하우징(110,210,310)의 외면은 굴곡형상, 나선형상 또는 철근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하우징성형부(115,215,315)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KR1020190109472A 2019-09-04 2019-09-04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KR10239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472A KR102392467B1 (ko) 2019-09-04 2019-09-04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472A KR102392467B1 (ko) 2019-09-04 2019-09-04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19A true KR20210028419A (ko) 2021-03-12
KR102392467B1 KR102392467B1 (ko) 2022-04-29

Family

ID=7517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472A KR102392467B1 (ko) 2019-09-04 2019-09-04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5609A1 (en) * 2020-11-06 2022-05-12 L&W Industries, LLC Connector for elongate support memb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88A (ja) * 1991-03-26 1995-01-20 Anderson Technology Kk Pc鋼撚り線接続具及び接続方法
KR200178957Y1 (ko) * 1999-11-09 2000-04-15 강동윤 철강 조각을 재활용한 철근 이음장치
KR200386336Y1 (ko) * 2005-03-24 2005-06-10 거진공업 주식회사 철근 연결구
KR101030579B1 (ko) 2010-11-04 2011-04-21 홍만기 철근 커플러
KR101403040B1 (ko) * 2012-11-09 2014-06-05 태연기계주식회사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1851104B1 (ko) * 2017-07-18 2018-04-20 (주) 유니플로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KR101860698B1 (ko) * 2018-01-09 2018-05-23 조석현 철근 커플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88A (ja) * 1991-03-26 1995-01-20 Anderson Technology Kk Pc鋼撚り線接続具及び接続方法
KR200178957Y1 (ko) * 1999-11-09 2000-04-15 강동윤 철강 조각을 재활용한 철근 이음장치
KR200386336Y1 (ko) * 2005-03-24 2005-06-10 거진공업 주식회사 철근 연결구
KR101030579B1 (ko) 2010-11-04 2011-04-21 홍만기 철근 커플러
KR101403040B1 (ko) * 2012-11-09 2014-06-05 태연기계주식회사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1851104B1 (ko) * 2017-07-18 2018-04-20 (주) 유니플로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KR101860698B1 (ko) * 2018-01-09 2018-05-23 조석현 철근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5609A1 (en) * 2020-11-06 2022-05-12 L&W Industries, LLC Connector for elongate support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467B1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KR102203490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988611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KR100732554B1 (ko)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거의 연결구조와 그연결방법
US20060228170A1 (en) Joint equipment for steel reinforcing
KR102175306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180047130A (ko) 철근 이음 장치
KR20210028419A (ko)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102341669B1 (ko) 소성변형 유도형 철근연결구
KR20060059763A (ko) 철근연결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피씨부재
JP6117898B1 (ja) 構造物緊結一体化工法
KR200457831Y1 (ko) 정착구(定着具) 헤드가 부분 매입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과 그 정착구의 구조
KR200311872Y1 (ko) 개량된 소일 네일
KR102203495B1 (ko) 요철형 판스프링을 이용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2565226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2205728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404477B1 (ko) 종방향 분절형 거더
KR200377253Y1 (ko) 철근연결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피씨부재
KR102401533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090110021A (ko) 건축용 서포터
KR102189193B1 (ko) 철근 커플러
KR102062152B1 (ko) 철근 이음용 원터치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