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699A -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 Google Patents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699A
KR20210026699A KR1020190107860A KR20190107860A KR20210026699A KR 20210026699 A KR20210026699 A KR 20210026699A KR 1020190107860 A KR1020190107860 A KR 1020190107860A KR 20190107860 A KR20190107860 A KR 20190107860A KR 20210026699 A KR20210026699 A KR 2021002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air
outer skin
bed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411B1 (ko
Inventor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덕 filed Critical 이재덕
Priority to KR102019010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4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45Attachment of spring inlays to coverings; Use of stiffening sheets, lattices or grids in, on, or under spring inlay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켜 청결과 쾌적감을 유지시키는 침구용 매트 기술이다.
상면부와 측면부의 공기통로를 개폐 조절하는데 따라서 인체가 체감하는 냉온 효과를 다르게 하며, 취침 중 침상에서 이불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매트리스 형상을 구성하는 외곽 형틀;
매트리스 상단부를 구성하는 상면부;
매트리스 하단부를 구성하는 하면부;
매트리스의 쿠션부재를 구성하는 쿠션부;
매트리스 쿠션부를 감싸는 외피부;
상기 쿠션부에는 일정한 간격 및 크기로 통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부는 상단부 및 측면부에 공기의 소통을 제어하는 통풍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는 공기의 흐름을 각각 소통 및 억제하는 부재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Seasonal adaptive mattress}
본 발명은 계절에 따라 다르게 매트리스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켜 청결과 쾌적감을 유지시키는 침구용 매트 기술이다. 상면부와 측면부의 공기통로를 개폐 조절하는데 따라서 인체가 체감하는 냉온 효과가 다르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침구는 본디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쿠션을 확보하거나 온기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주로 침대와 같은 침상의 보조 쿠션용이거나 온돌과 같은 방바닥의 보온용으로 잠자리의 편안함과 안락감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특히 솜 등으로 속을 채워 넣고 만든 침상용 요는 겨울철에 보온을 위해 침대의 매트리스 상단을 감싸는 형태로 사용된다. 하지만 그와 반대로 여름철에 땀이나 습기를 예방하는 쾌적함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망사 형태의 3D 매쉬 매트도 있다.
침대용 매트는 주로 금속재 사각틀의 골조 내에 옵셋 또는 포켓 형태의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여 이를 침대 기본골격으로 한 후에 그 외면으로 쿠션재와 보료 커버를 덧씌우는 형태로 제조된다. 여기서 쿠션재는 안락감을 향상하기 위한 부재로서 스프링의 탄성을 부드럽게 보조하는 스펀지 폼 타입의 소재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제 스프링과 같은 단단한 골격을 하드골격이라 하고 그 외면에 쿠션재와 보료를 수용하기 위하여 주로 천으로 된 소재의 외주면 틀을 소프트골격이라 칭하기로 한다.
쿠션재는 침상 위에서 안락감을 제공하는 소재로서 주로 합성수지 등을 발포시킨 스펀지나 천연고무를 발포시킨 라텍스 또는 섬유를 이용해 제조된다. 이러한 쿠션 소재들은 물성의 조절이 용이하여 밀도, 경도, 반발쿠션감 등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커버는 바람을 차단하는 보료 형태의 외피 기능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침구가 이불과 요로 구성되듯이 이와 같은 매트는 보온 기능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더운 여름철에는 그 위에서 사람이 잠이 들었을 때 원하지 않는 땀을 유발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스펀지가 바닥면과 단열작용을 하므로 보료와 스펀지의 합성작용이 일어나면 비록 바닥은 서늘하더라도 매트 위의 사람은 인체로부터의 온기가 외부로 발산되지 못하여 더위를 느끼게 된다. 선풍기나 에어컨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바닥면으로는 공기가 소통되지 못하여 피부와 닿은 아래 측 매트 부분과 공기가 닿는 위 측 대기층은 온도 차이가 커질 수 있다.
3D 매쉬형 매트는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진 직물판을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하고 두 판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사를 이용하여 상판과 하판 사이를 접결함으로써, 탄력성과 통기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입체 직물형 쿠션재이다. 여름에 이러한 3D 매쉬형 매트를 침구 위에 얹어서 사용하면 더위가 어느 정도 개선되지만 효과적인 공기순환을 위한 3D 매쉬 매트는 일정한 부피가 필요하므로 여름 이외의 계절에는 3D 매쉬 매트를 철거하여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3D 매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켜놓고 장시간 수면을 할 때는 입체적인 공기순환 때문에 지나치게 기온이 하강함으로써 자칫 냉방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려고 보온을 하려면 반드시 그 위의 사람이 일어나야 하는 불편이 있다. 즉, 수면중인 상태에서 망사형 매트 위에 보온 조치를 할 수는 없는 것이다.
한편, 매트리스를 이용하는 침상에서는 야간의 취침을 하는 도중 뒤척임에 의해 이불이 흘러내리거나 뒤집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캄캄한 심야에 뒤집어진 이불을 바로 펴거나 흘러내린 이불을 끌어올려 덮는 것은 매우 불편한 일이다.
요컨대 일반적인 보료 등으로 된 침대용 매트리스 커버는 겨울용으로는 적합하지만 여름철에는 침구와 맞닿은 부분의 땀은 식힐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반면에 3D 매쉬형 매트는 더운 여름철에 유익하지만 겨울철에 보온 기능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며, 나아가 여름철의 경우에도 냉방질환을 방지하려면 사용상 어느 시점에서 그 기능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를 위해 3D 매쉬 매트를 제거해서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방법밖에는 없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수면 중인 상태에서 매트에 대한 조치는 할 수는 없기 때문에 고정된 형태의 3D 매트는 일정부분 불편함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와 편의적 요구에 착안하여 하나의 매트로서 여름용 내지 겨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착상하고, 나아가 매트리스 구조를 이불을 고정하는 데까지 확장 발상한 발명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6-0078303(2016년06월22일)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여름용으로 시원함 및 겨울용으로 따뜻함을 조절하면서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코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매트 위 사람의 수면 중인 상태에서 통풍용 커버 기능과 보온용 커버 기능을 전환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함과 아울러 침상에서 이불이 흘러내리지 않는 편의 수단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매트리스 형상을 구성하는 외곽 형틀;
매트리스 상단부를 구성하는 상면부;
매트리스 하단부를 구성하는 하면부;
매트리스의 쿠션부재를 구성하는 쿠션부;
매트리스 쿠션부를 감싸는 외피부;
상기 쿠션부에는 일정한 간격 및 크기로 통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부는 상단부 및 측면부에 공기의 소통을 제어하는 통풍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하는 부재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외곽 형틀;은 금속성 스프링 및 프레임으로 된 하드골격부를 포함하며, 프레임에는 외피부를 탈착할 수 있는 소프트골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프트골격부에는 지퍼 등으로 된 커버 탈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 및 측면부;는 상기 통기부가 형성된 쿠션부가 내장되고, 상기 통기부는 스펀지 폼에 펀칭으로 구멍을 뚫는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부는 상기 쿠션부의 외측으로 망사형의 부재로 커버링하는 제1외피층부 및 상기 제1외피층부의 외면으로 밀폐형 부재로 커버링하는 제2외피층부를 구성하되, 상기 제1외피층부 또는 제2외피층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소프트골격부로부터 탈착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외피층부가 상기 소프트골격부로부터 탈거될 때는 상부 또는 하부의 일정한 면적만큼 취사선택적으로 양을 조절 개방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에 부착되는 통기부에는 선풍기 등으로부터의 바람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통기부로의 공기 유입구가 자동으로 열리고 바람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자동으로 닫혀서 매트리스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억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에 부착되는 통기부는 온도 및 사람의 중량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골격부 내지 매트리스 상면부에 위치하는 요의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방향에는 이불을 고정하는 수단을 부가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매트를 여름철에는 시원한 용도로, 겨울철에는 따뜻한 용도로 선택 사용하면서도 수면 중 체감기온이 달라질 때 침대에서 수면 중인 사람을 깨우지 않고도 인체가 닿는 침대 아래쪽의 공기 순환을 차단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본 발명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에 적응하여 편의하게 사용하는 침대 매트리스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나아가 선풍기의 바람과 측면부 통기부의 개폐조절 작용을 이용하면 별도의 구조적 수단을 가하지 않고도 통상적인 선풍기의 타이머만으로 필요한 때에 매트리스 내부에 바람을 불어넣고 불필요한 때에 입구를 차단하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측면부 통기부는 여름철에 시원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계절 어느 때라도 사람이 눕거나 일어나는데 따른 펌핑으로 침구 내부에 공기 소통을 제공하므로, 매트리스 내부의 습기를 해소하여 침대 내부에 진드기 등의 유해충 서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 내부에 향훈 재료를 넣어두면 사람이 일어날 때마다 펌핑 작용으로 향기를 품어내는 작용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 중 뒤척임에도 침상에서 이불이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침대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공기순환 또는 보온용으로 전체 내지 부분 조절을 하면서 사용하는 일례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드골격과 소프트골격을 분해하는 한편 매트리스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모습을 설명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매트리스를 구성하는 하드골격과 그를 감싸는 소프트골격의 기반 위에서 공기 통기부를 구비한 쿠션부재와 망사부재와 보온부재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여름, 봄가을 내지 겨울용으로 계절에 적응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매트리스의 사용 일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부가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선풍기의 바람에 통기부가 열리는 작용을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소프트골격에 취부되는 탈착수단을 좀 더 상세히 묘사함과 아울러 상기 탈착수단을 이불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확장 구성한 실시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하는 외에도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하 개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이 구성요소들을 제1, 제2 등으로 용어를 붙여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마찬가지의 원리로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칙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침대 매트리스(10)를 도시한 사시도(A) 및 측단면도(B)이다.
도 1에서 11은 수직면부 침상 골조, 12는 수평면부 침상 골조, 13은 침상 골조 위의 매트리스, 14는 침상 골조를 지탱하는 다리를 나타낸다. 16은 쿠션 기능의 매트리스 상면부를 나타낸다. 각각의 구조는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침상에서 매트리스의 상면부(16)가 쿠션을 제공하는 개념이다. 이에 대하여는 이 분야 널리 알려져 있는 구조와 기능이므로 구체적인 세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은 침상 위 뿐만 아니라 방바닥에 전개되는 구조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전제한다.
도 2는 본 발명 침대 매트리스(20)를 도시한 사시도(A) 및 측단면도(B)이다.
특히 도 2는 침상에 얹어지는 매트리스에 있어서 매트리스의 상면부(26-1)와 측면부(27-1)가 매트리스의 내외부를 통해 인체에 공기가 닫는 공기소통 커버 구조로 구성된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주로 측면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면부로 빠져나오면서 상면부에 누운 사람의 인체를 시원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입체적 공기 순환형 침대 매트리스가 제공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여름철에 매트리스와 맞닿은 피부에 땀이 맺히는 불쾌감을 방지하여 시원한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매트리스 내부에 공기가 직접 소통되므로 습기를 예방하고 매트리스 내부에 진드기와 같은 유해생물이 서식할 가능성을 낮추게 된다. 향훈 재료를 내장할 경우 누운 자세의 인체에 향기가 효과적으로 베일 수도 있다.
도 2에서 21은 수직면 침상 골조, 22는 수평면 침상 골조, 23은 수평면 침상 골조 위의 매트리스, 24는 침상 골조를 지탱하는 다리를 나타낸다. 23-2는 후술하는 바의 상면부(26-1)와 측면부(27-1)를 결합하는 소프트골격부를 나타낸다. 소프트골격부(23-2)와 공기소통커버(26-1, 27-1)는 봉제 또는 탈착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 지퍼, 파스너 등으로 접결될 수 있다.
도 2의 구성은 매트리스(23)의 측면과 상면으로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될 수 있으므로 이에 안착한 사람은 마치 망사 구조의 해먹(hammock)을 이용하는 것처럼 공기 중에 부양된 상태의 시원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다.
도 3은 매트리스(23) 측면부를 망사형 커버 그대로 둔 채 상면부를 보온재료 내지 공기차단 커버(26-2)로 덮어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보온을 위한 부재 커버를 보온커버(26-2, 27-2)라고 칭하고 망사 형태 등의 부재로 공기를 통기시키는 커버를 공기소통커버(26-1, 27-1)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때 소프트골격부(23-2)는 상기 보온커버(26-2, 27-2)를 탈부착하는 기초가 되는 골격이다. 예를 들어 지퍼를 이용하여 상기 보온커버(26-2, 27-2)가 여기에 결착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공기소통커버(26-1, 27-1)도 동일한 요령으로 탈부착 될 수도 있다.
도 3의 (B)에 따르면 인체가 눕는 상면부는 보온커버(26-2)가 인체에 닿되, 그 하단부가 공기소통커버(27-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므로 이것을 사용하는 사람은 마치 천으로 된 해먹 위에 누운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즉 침대 내부로 공기가 소통됨에 따른 청결성과 침대 내부에 위해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면서 일정부분 보온커버를 아래쪽에서 방열하여 인체가 접촉되는 부위를 적정한 온도로 조절하는 것이다.
도 4는 상면부를 공기소통커버(26-1)로 배치하고, 측면부는 보온커버(27-2)로 차등 적용한 사용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공기는 위아래로 유통되지 않고 일정 부분 매트리스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상면부는 땀으로부터 예방하는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봄, 가을에 마땅한 사용 방법이다.
도 5는 상면부와 측면부 모두 보온커버(27-2)로 적용한 사용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공기는 모두 차단되므로 겨울에 적합한 보온용 매트리스가 된다.
여기서 상면부의 보온커버(26-2) 또는 측면부의 보온커버(27-2)는 부분 개방조절도 가능하므로, 환절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매트리스 내외부를 분해 도식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가장 내부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주로 금속성으로 된 외곽 프레임(23-1) 내에 옵셋 또는 포켓 스프링을 내장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에는 포켓 스프링(28)을 수용한 경우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23-1)은 본 발명에서 하드골격부라고 칭한다.
도 6의 (B)는 금속성 하드골격부 외곽으로 쿠션재(29-1, 29-2)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쿠션재에는 통풍이 가능한 통기부(29-1a, 29-2a)가 일정 내지 비(非)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간격은 5Cm~15Cm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6의 (C)는 측면부를 예를 든 경우로서 하드골격부 위에 부착되는 측면부 쿠션재(29-2) 및 통기부(29-2a)를 나타낸다.
도 6의 (D)는 하드골격부에 쿠션재를 부착하고 그 외곽으로 소프트골격부(23-2)를 감싸서 하드골격부와 소프트골격부의 사이에 쿠션재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 6의 (A) 내지 (D)의 구성으로서 공기가 소통될 쿠션 기능의 침대 매트리스 기본 구조가 만들어진다.
도 7은 상기 기본 구조의 매트리스 소프트골격부(23-2)에 공기소통커버(26-1, 27-1)와 보온커버(26-2, 27-2)가 순차적으로 접결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내부로부터 순서는 하드골격부에 장설된 스프링(28), 통기부(29-1a)를 포함하는 쿠션재(29-1), 공기소통커버(26-1, 27-1) 및/또는 보온커버(26-2, 27-2)가 접결된 소프트골격부(23-2)의 순서로 결합되며, 여기서 특히 보온커버(26-2, 27-2)는 부분 개방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소프트골격부(23-2)로부터 일정부분 개방 조작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탈거와 부착은 지퍼, 벨크로 테프, 자석 단추 등의 파스너는 물론이고, 당김줄 등에 의한 커튼식 개방조절로서 달성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동일한 용도 하에 다양한 수단이 채택될 수 있지만 원리적인 설명을 기하고자 기타 다른 실시예들은 도시설명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의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보온커버(26-2, 27-2)를 탈거 제거하고 공기소통커버(26-1, 27-1)만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사계절 중 여름용으로 적합한 방법이다. 이때 탈거되는 보온커버(27-2)는 일부만 걷거나 전체를 걷는 경우에도 매트리스의 종단부 측면에 말아 둘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관장소를 마련해야 할 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8의 (A)와 (B)에서 23-2는 소프트골격부를 나타내고, 23-2a는 그중에서 보온커버를 탈착하는 지퍼의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의 (B)는 보온커버가 탈거된 상태의 상면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이 경우는 소프트골격부(23-2)가 비교적 넓게 중앙의 부위까지 분포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공기소통면적이 중앙 부분만을 담당함으로써 침대 부재를 감싸는 힘이 커지도록 형상화 한 실시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상단부 보온커버(26-2)를 탈거하여 도 4와 같은 상태로 사용됨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상단부 및 측면부 보온커버를 모두 설치하여 도 5와 같은 상태로 사용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의 (B)는 상면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침대 매트리스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비(非) 전원방식의 공기소통 조절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 구조에서는 매트리스 내부의 측면부 쿠션재(29-2)에 부가되는 통기부(29-2a)의 공기소통 작용을 개폐 제어하는 개폐조절구(30b)를 더 포함하는데, 이 개폐제어부(30b)는 평상시에는 폐쇄((A) 참조)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선풍기(31)로 바람을 불어 넣으면 개방((B) 참조)되어 내부로 공기가 흘러들어가 순환되는 구조적 특성을 지닌다.
이 구성에 의하여 선풍기의 타이머 등을 이용할 수 있어 사람이 장시간 수면 시에도 적정한 시간만큼만 공기를 소통시키고 기타 나머지 시간동안은 자연스럽게 매트 내부의 순환으로만 은은한 공기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바람막이 기능의 개폐조절구(30b)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닫힌((A) 참조) 채로 유지하다가 사람이 침상으로 올라갈 때마다 펌핑이 일어나게 되므로 매트리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부의 습기를 예방하는 등의 위생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소프트골격부(23-2)에 취부되는 탈착수단(23-2a)을 좀 더 상세히 묘사함과 아울러 상기 탈착수단을 이불을 고정하는 이불고정수단(33)으로 확장 구성한 실시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서 23-2a는 소프트골격부(23-2)의 내측 엣지에 형성된 지퍼 등 제1접결구(23-2a)이다. 이 제1접결구로서 도 12의 (B)와 같이 측면부에 보온커버(27-2)를 부착하거나 이를 제거하여 도 12의 (C)와 같이 측면부를 공기소통커버(27-1) 상태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2의 종측 단부(즉 발이 위치하는 방향의 끝 부분)에는 이불을 고착할 수 있는 지퍼 등 제2접결구(33)가 설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 제2접결구는 취침 중 뒤척임에 이불이 바닥으로 흘러내리거나 이불이 위아래로 뒤집히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12에서 미설명부호 32는 침대 위의 이불을 나타낸다.
상기 소프트골격부(23-2)의 내측 엣지에 형성되어 커버를 탈착하는 제1접결구(23-2a) 및/또는 이불을 고착하는 제2접결구는 지퍼 외에도 벨크로 테이프나 단추 등의 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으며, 벨크로 테이프나 파스너를 이용할 때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 배치하면 사용상 편이도가 향상된다. 제2접결구(33)의 위치는 도시된 매트리스의 상면부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의 종측 내지 횡측 측면부에 위치하거나 매트리스 상면부에 까는 요와 한 벌로 구성할 수도 있는 바, 이를 묘사한 것이 도 13이다.
특히 제1접결구 및 제2접결구는 지퍼, 벨크로 테이프, 단추, 후크, 자석식 버튼, 파스너 등을 활용할 수 있는데, 도 13은 제2접결구(33)를 벨크로테프와 고리로 치합되는 구성을 대표적인 실시일례의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즉, 소프트골격부 또는 침대의 상면부에 까는 요의 모서리에 벨크로테이프(33)를 설치하고 그에 치합되는 이불의 모서리에 고리(33a)를 부착하여 서로를 파스너 개념으로 묶을 수 있도록 구성하면 심야 등 취침 상태에서 이불이 침대 매트리스로부터 방바닥으로 흘러내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의 (A)는 소프트골격부에 벨크로테이프(33)을 고정하고 이불 측에 부착된 고리(33a)를 서로 끼워서 파스너 개념으로 사용토록 한 벌의 기구로 구성한 실시일례를 나타내며, 도 13의 (B)는 요 측(33)과 이불 측(33a)이 서로 치합되도록 제2접결구를 한 벌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제2접결구는 이불과 소프트골격부 또는 이불과 요에 한 벌의 개념으로 치합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공기소통커버(26-1, 27-1)란 공기의 흐름이 비교적 원활한 상태의 부재를 말하고 이를 제1외피층부라고 칭한다.
본 발명에서 보온커버(26-2, 27-2)란 공기의 흐름을 저해하는 보온 부재를 말하며 이를 제2외피층부라고 칭한다.
본 발명에서 측면부의 보온커버(27-2)를 개방 조절하여 상면부에 누운 사람의 시원함을 조절하는 구성은 수면중인 사람을 깨우지 않으면서도 측면부의 보온커버(27-2)를 일부 열거나 개방하여 공기의 소통량을 임의로 제어하여 상면부에 누운 사람의 보온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소통커버(26-1, 27-1)는 3D 매쉬형 커버뿐만 아니라 단면 망사형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하드골격부란 주로 금속성 부재로 구성되고, 소프트골격부란 주로 직물 내지 합성섬유 타입의 부드러운 부재이되 침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외각에서 형틀을 구성하는 부재를 말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계절에 적응하는 매트리스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를 청구범위에 기재될 문언으로 다시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문언적으로,
“매트리스 형상을 구성하는 외곽 형틀;
매트리스 상단부를 구성하는 상면부;
매트리스 하단부를 구성하는 하면부;
매트리스의 쿠션부재를 구성하는 쿠션부;
매트리스 쿠션부를 감싸는 외피부;
상기 쿠션부에는 일정한 간격 및 크기로 통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부는 상단부 및 측면부에 공기의 소통을 제어하는 통풍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하는 부재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할 수 있는 소프트골격부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로 정리된다.
여기서 상기 외곽 형틀;은 금속성 스프링 및 프레임으로 된 하드골격부를 포함하며, 프레임에는 외피부를 탈착할 수 있는 소프트골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프트골격부에는 지퍼 등으로 된 커버 탈착수단인 제1접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 및 측면부;는 상기 통기부가 형성된 쿠션부가 내장되고, 상기 통기부는 스펀지 폼에 펀칭으로 구멍을 뚫는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부는 상기 쿠션부의 외측으로 망사형의 부재로 커버링하는 제1외피층부 및 상기 제1외피층부의 외면으로 밀폐형 부재로 커버링하는 제2외피층부를 구성하되, 상기 제1외피층부 또는 제2외피층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소프트골격부로부터 탈착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외피층부가 상기 소프트골격부로부터 탈거될 때는 상부 또는 하부의 일정한 면적만큼 취사선택적으로 양을 조절 개방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에 부착되는 통기부에는 선풍기 등으로부터의 바람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통기부로의 공기 유입구가 자동으로 열리고 바람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자동으로 닫혀서 매트리스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억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에 부착되는 통기부는 사람의 중량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골격부의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방향에는 이불을 고정하는 제2접결구 및 이에 치합되는 이불을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침대 매트리스뿐만 아니라 상기 소프트골격부에 형성된 제2접결구에 치합될 수 있는 매트리스용 이불로도 산업상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접결구를 이용하는 구성은 한 벌의 요와 이불 또는 한 벌의 소프트골격부와 이불로서 산업화도 가능하다.
11, 21 ; 수직면부 침상 골조
12, 22 ; 수평면부 침상 골조
13, 23 ; 침상 골조 위의 매트리스
14, 24 ; 침상 골조를 지탱하는 다리
16, 26 ; 쿠션 기능의 매트리스 상면부
26-1 ; 상면부 공기소통 커버
27-1 ; 측면부 공기소통 커버
26-2 ; 상면부 보온커버
27-2 ; 측면부 보온커버
23-1 ; (금속성) 하드골격부
23-2 ; (직물성) 소프트골격부
28 ; 스프링
29-1 ; 쿠션재
29-1a ; 통기부
23-2a ; 커버 탈착수단, 제1접결구
30b ; 개폐조절구
31 ; 선풍기
32 ; 이불
33, 33a ; 이불 고정수단, 제2접결구

Claims (9)

  1. 매트리스 형상을 구성하는 외곽 형틀;
    매트리스 상단부를 구성하는 상면부;
    매트리스 하단부를 구성하는 하면부;
    매트리스의 쿠션부재를 구성하는 쿠션부;
    매트리스 쿠션부를 감싸는 외피부;
    상기 쿠션부에는 일정한 간격 및 크기로 통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부는 상단부 및 측면부에 공기의 소통을 제어하는 통풍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단부와 측면부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하는 부재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할 수 있는 소프트골격부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2. 상기 외곽 형틀;은 금속성 스프링 및 프레임으로 된 하드골격부를 포함하며, 프레임에는 외피부를 탈착할 수 있는 소프트골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프트골격부에는 커버 탈착수단인 제1접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3. 상기 상면부; 및 측면부;는 상기 통기부가 형성된 쿠션부가 내장되고, 상기 통기부는 스펀지 폼에 펀칭으로 구멍을 뚫는 공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4. 상기 외피부는 상기 쿠션부의 외측으로 망사형의 부재로 커버링하는 제1외피층부 및 상기 제1외피층부의 외면으로 밀폐형 부재로 커버링하는 제2외피층부를 구성하되, 상기 제1외피층부 또는 제2외피층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소프트골격부로부터 탈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5. 상기 제2외피층부가 상기 소프트골격부로부터 탈거될 때는 상부 또는 하부의 일정한 면적만큼 취사선택적으로 양을 조절 개방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6. 상기 측면부에 부착되는 통기부에는 선풍기 등으로부터의 바람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통기부로의 공기 유입구가 자동으로 열리고 바람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자동으로 닫혀서 매트리스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억제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7. 상기 측면부에 부착되는 통기부는 사람의 중량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8. 상기 소프트골격부 또는 매트리스 상단에 까는 요의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방향에는 이불을 고정하는 제2접결구를 부가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결구에 치합될 수 있는 이불 고정수단을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용 이불.
KR1020190107860A 2019-08-31 2019-08-31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KR102345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860A KR102345411B1 (ko) 2019-08-31 2019-08-31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860A KR102345411B1 (ko) 2019-08-31 2019-08-31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699A true KR20210026699A (ko) 2021-03-10
KR102345411B1 KR102345411B1 (ko) 2021-12-29

Family

ID=7514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860A KR102345411B1 (ko) 2019-08-31 2019-08-31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4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967A (ko) * 2003-02-27 2004-09-04 김덕린 침대용 매트리스
JP2010252969A (ja) * 2009-04-23 2010-11-11 Takara:Kk 寝装用敷物
KR200462482Y1 (ko) * 2012-03-08 2012-09-14 주식회사 대명테라페딕침대 침대용 매트리스 커버
KR20160078303A (ko) 2016-04-29 2016-07-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틸팅 패드 스러스트 베어링 및 틸팅 패드 스러스트 베어링 조립체
KR101909580B1 (ko) * 2017-02-27 2018-10-18 박준엽 휴대용 침대
JP2019021292A (ja) * 2017-07-20 2019-02-07 上海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967A (ko) * 2003-02-27 2004-09-04 김덕린 침대용 매트리스
JP2010252969A (ja) * 2009-04-23 2010-11-11 Takara:Kk 寝装用敷物
KR200462482Y1 (ko) * 2012-03-08 2012-09-14 주식회사 대명테라페딕침대 침대용 매트리스 커버
KR20160078303A (ko) 2016-04-29 2016-07-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틸팅 패드 스러스트 베어링 및 틸팅 패드 스러스트 베어링 조립체
KR101909580B1 (ko) * 2017-02-27 2018-10-18 박준엽 휴대용 침대
JP2019021292A (ja) * 2017-07-20 2019-02-07 上海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411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7312C2 (ru) Покрывало
US20210076833A1 (en) Mattress topper
US20170295961A1 (en) Vented blanket
EP3319487B1 (en) Pillow with multi-layer sleep surfaces and multi-chamber inner body core
US20030070232A1 (en) Quick change bedsheet set
CN102755212A (zh) 保冷用具
US10548419B2 (en) Air multiplier pad
JP3061360B2 (ja) エアーコントロール敷ふとんカバー
KR102345411B1 (ko) 계절 적응형 매트리스 구조체
KR20100095922A (ko) 탄성쿳션부재 침구용 커버
JP6420382B2 (ja) 就寝用頭部カバー
CN211883226U (zh) 一种保暖冬被
KR20190143331A (ko) 냉온 겸용 쿠션매트
CA2070373C (en) Foot comforter
CN219762945U (zh) 一种便于拆卸的床垫结构
CA2290164A1 (en) Mattress system with insertable inside panel
KR20010069177A (ko) 침구
JPH0527900Y2 (ko)
KR200188512Y1 (ko) 침구
JP3086075U (ja) 冷温通風式マット
JP2003144274A (ja) 敷布団
JP2835458B2 (ja) 腰・椅子包囲暖房具
JPH052139Y2 (ko)
JP3042505U (ja)
CN111772418A (zh) 一种可水洗高透气3d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