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698A - 매트리스 위에 결합되는 평상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위에 결합되는 평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698A
KR20210026698A KR1020190107859A KR20190107859A KR20210026698A KR 20210026698 A KR20210026698 A KR 20210026698A KR 1020190107859 A KR1020190107859 A KR 1020190107859A KR 20190107859 A KR20190107859 A KR 20190107859A KR 20210026698 A KR20210026698 A KR 2021002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flat top
flat
be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 영 정
Original Assignee
석 영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 영 정 filed Critical 석 영 정
Priority to KR102019010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698A/ko
Publication of KR2021002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47C19/202Stacking or nest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부재인 매트리스 위에 평상을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침상 기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 공간을 평상 설치 공간으로 선택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펼쳐서 사용하고 접어서 보관하는 평상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침상의 골조와 베이스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
상기 평상을 지탱하는 평상 다리;
상기 평상은 측면의 록킹부재를 통해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평상 다리는 힌지를 통해 상기 평상을 펼칠 때 상기 평상과 직각으로 전개되어 상기 평상을 지탱하고 상기 평상을 접을 때는 상기 평상의 어느 한 면과 평행하게 꺾어지는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평상은 상기 매트리스 위에서 전개되어 사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을 개시하는 바,
이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제1실시일례로서 상기 평상 다리는 바닥 위로부터 기립되도록 상기 베이스 외곽의 폭에 치합되면서 바닥에서부터 매트리스의 높이 보다 큰 칫수로 형성된다. 또한 이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제2실시일례로서 상기 평상 다리는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도록 상기 매트리스 폭에 치합되면서 상기 매트리스 높이보다 큰 칫수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만 제공하던 기존 침대 공간을 여름철 시원한 평상의 용도로 선택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 공간을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효율 향상 및 다목적 침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트리스 위에 결합되는 평상{Wooden bed combined on mattress}
본 발명은 쿠션부재인 매트리스 위에 평상을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침상 기술이다.
침대는 서양으로부터 유래된 것이지만 현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침구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동양에 전파되면서 침대는 황토, 원적외선, 근적외선, 온돌 침대 등 기능성 침구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특히 침대는 사람이 잠을 자는 동안 편안함을 제공한다.
평상은 집 마당 등 한정된 장소에서 가족들이 모여 담소를 하거나 여름철에 낮잠을 즐기기에 알맞은 형태로 이용되어 왔다.
각각의 용도가 말해주듯이 침대는 사람이 장시간 머무는 특성에 부합하도록 스프링 등 쿠션을 포함한 매트리스를 함께 제공하며, 평상은 단시간 앉아서 다용도로 사용함에 알맞게 주로 나무로 제작된 딱딱한 바닥면을 제공한다. 평상은 침대를 오랫동안 사용하는데 따라 틀어진 자세를 교정하는 용도로도 사용되는데 평상은 바닥면이 비통풍 평면 형태인 널평상과 통풍 형태인 살평상이 있다.
마당 한 가운데서 가족 간에 사용하던 재래식 평상의 용도와 달리, 현대의 아파트 거실에는 평상 대신 소파가 자리 잡고 있어 아파트에서는 평상이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아파트에도 평상이 있다면 방바닥과는 또 다르게 일정한 높이에서의 시원한 침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위에 적정한 두께의 요를 펼쳐 침대로 사용하거나 특히 여름철에 망사 형태의 요를 깔아서 시원하게 낮잠을 즐기는 침대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실버 세대에게는 유용하다. 하지만 거실에 평상을 설치하는 것은 공간적인 면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며, 그렇다고 침대가 있는 안방에 또 하나의 침상을 설치하는 것도 여러 측면에서 고려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에 착안하여 기존 침대의 공간을 활용하여 필요시 평상을 설치토록 착상하되 매트리스와의 공간 내지 기능에서 융합적 작용을 얻도록 창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침대 공간을 평상 설치 공간으로 선택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침상 구조의 기술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펼쳐서 사용하고 접어서 보관하는 평상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침대 매트리스와 융합적으로 결합하여 매트리스에서의 쿠션과 평상에서의 딱딱하거나 통풍에 의한 시원한 감촉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침상 기술을 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침상의 골조와 베이스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
상기 평상을 지탱하는 평상 다리;
상기 평상은 측면의 록킹부재를 통해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평상 다리는 힌지를 통해 상기 평상을 펼칠 때 상기 평상과 직각으로 전개되어 상기 평상을 지탱하고 상기 평상을 접을 때는 상기 평상의 어느 한 면과 평행하게 꺾어지는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평상은 상기 매트리스 위에서 전개되어 사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을 개시하는 바,
이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제1실시일례로서 상기 평상 다리는 바닥 위로부터 기립되도록 상기 베이스 외곽의 폭에 치합되면서 바닥에서부터 매트리스의 높이 보다 큰 칫수로 형성된다.
또한 이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제2실시일례로서 상기 평상 다리는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도록 상기 매트리스 폭에 치합되면서 상기 매트리스 높이보다 큰 칫수로 형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3실시일례로서,
침상의 골조와 베이스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
상기 평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평상 외곽턱;
상기 평상은 복수개의 널평상으로서 측면의 록킹부재를 통해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평상 외곽턱은 상기 매트리스의 외폭과 치합되어 평상이 펼쳐진 후 상기 매트리스의 좌우폭을 중심으로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평상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매트리스의 쿠션으로 상기 평상 및 상기 평상 위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실시일례로서,
침상의 골조와 베이스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
상기 평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평상 외곽턱;
상기 평상은 복수개의 살을 엮어 묶은 살평상으로서 역음줄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되, 여기에는 제3실시일례에서처럼 록킹부재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평상 외곽턱은 상기 매트리스의 외폭과 치합되어 평상이 펼쳐진 후 상기 매트리스의 좌우폭을 중심으로 안착되며,
상기 평상은 상기 매트리스 위에 전개되어 상기 매트리스의 쿠션으로 상기 평상 및 상기 평상 위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만 제공하던 기존 침대 공간을 여름철 시원한 평상의 용도로 선택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 공간을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효율 향상 및 다목적 침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장소의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평상은 매트리스 위에 겹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살평상이든 널평상이든 매트리스의 유연성과 부합하여 형태적 견고성에서 융통성이 있으며, 나아가 매트리스 쿠션과 부합하여 표면적으로 딱딱함 내지 통풍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침구로서의 안락감을 제공하므로, 특히 노인성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에서 평상이 철거 보관될 때에도 하나의 집단화 된 구조적 결속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개별적 낱개로 분산되어 각 부재가 망실되는 문제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는 도 1b의 평상이 전개될 때의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도 1b의 평상이 접철 보관될 때의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c는 도 1b의 평상에서 다리가 접철 될 때의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4a 또는 도 5a에 부가되는 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4a 또는 도 5a에 부가되는 또 다른 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원리를 설명하려는 것이므로, 이하 개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침상의 골조(11)와 베이스(12)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10);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13);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20);
상기 평상을 지탱하는 평상 다리(22);
상기 평상은 측면의 록킹부재(23)를 통해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평상 다리(22)는 힌지(22e)를 통해 상기 평상을 펼칠 때 상기 평상과 직각으로 전개되어 상기 평상을 지탱하고 상기 평상을 접을 때는 상기 평상의 어느 한 면과 평행하게 꺾어지는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평상(20)은 상기 매트리스(13) 위에서 전개되어 사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을 개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상기 평상(20)은 복수개의 패널(21-1, 21-2, 21-3, 21-4)로 구성된 널평상을 예로든 것이지만, 록킹부재(23)를 2개 이상의 홀에 끼우는 형태로 형성하면 상기 패널들보다 훨씬 좁은 형태의 살평상(도 5a, 5b 참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부재(23)와 평상 다리에 대하여 도 2a, 도 2b, 도 2c를 보조적으로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록킹부재(23)는 살평상의 측면 또는 널평상의 측면에 형성된 홀(23-1)과 이에 치합되는 돌기 형상의 쐐기(23-2a)로 구성된다. 도 2b의 23-1은 육각형 홀을 나타낸 것이고, 23-2a는 육각형 홀에 치합되어 끼워지는 돌기부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돌기부(23-2)는 (A)처럼 개별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되 일단 (C)처럼 홀(23-1)에 끼워지면 평상의 일부 부재인 (21-1)과 (21-2)가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접혀져서 고착된다. 도 2b의 (C)는 이처럼 평상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지만 마찬가지로 도 2c로 보듯이 평상이 펼쳐진 상태에서도 홀(23-1)에 돌기부(23-2)가 치합되어 (21-1)과 (21-2)가 서로 평행하게 펼쳐져서 고착된다. 즉 평상이 접철된 상태에서 록킹부재는 평상의 상부면과 직각인 상태로 홀을 고착하고, 평상이 펼쳐진 상태에서 록킹부재는 평상의 상부면과 평행인 상태로 홀을 고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관하여, 도 2b의 (B)는 돌기부(23-2)의 쐐기 형태(23-2a)를 단면도로서 원리적인 측면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b에서 (24)는 널평상의 패널마다 닿는 부분에서 마찰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이다. 예를 들면 압착을 견디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 재질의 부재가 채택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완충부를 배제하고 그 부분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서 고의적으로 격리시키는 통풍 구조로 실시될 수도 있다.
요컨대, 상기 평상(20)은 펼쳐진 상태(도 2c)와 접혀진 상태(도 2b) 모두 단일 록킹부재(23, 23-1, 23-2)에 의해 접철 형상이 고착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2b 및 도 2c는 힌지(22e)를 이용하여 평상 다리가 회전하면서 접철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매트리스(13) 위에 펼쳐질 때는 평상(20)의 상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펼쳐짐으로써 평상으로부터 가해지는 중력을 지탱하며, 접어서 보관할 때는 접혀서 부피를 최소화 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이때 평상 다리(22)는 제1부재(22a)와 제2부재(22b)로 구분하여 각각은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기구부(22a, 22b)를 부가할 수 있으며, 이 높이조절기구부(22a, 22b)는 나사식(도시생략)으로 돌려서 높이를 조절하거나 슬라이딩으로 높이를 조절하면서 일정한 높이에서 클립 형태의 핀(22ba)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 채택될 수도 있다. 평상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매트리스(13)의 높이 위에 부양되거나 또는 매트리스 위에 닿아서 안착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나무 내지 대나무처럼 딱딱한 소재로 된 평상을 사용할 때 너무 딱딱함만 중요시하면 노인들에게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도 2c의 22c는 이를 고려한 쿠션기구부(22c)이며, 특히 노인들이 오르내릴 때 약간의 유동성으로 쿠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쿠션기구부(22c)는 평상의 위에서 힘을 가할 때 약간의 탄성을 지니는 쿠션으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일정한 하우징 속에 스프링 등 탄성부재를 봉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을 구비함에 따라 평상의 재질은 소나무, 편백나무, 향나무 등 다양한 친환경적인 소재를 채택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일례에서 상기 평상 다리(22)는 바닥 위로부터 기립되도록 상기 베이스(12) 외곽의 폭에 치합되면서 바닥에서부터 매트리스(13)의 높이 보다 큰 칫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베이스(12) 외곽의 폭에 치합된다는 것은 침대프레임에 밀착되되 방바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무게를 지탱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침대가 없어도 독립적인 평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이때의 평상 다리 높이는 필요에 따라 상기 매트리스 높이보다 낮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4는 침대 골조에 부가되는 침대 다리이다.
참고로 도 1a 내지 도 2c에서 평상은 (21-1, 21-2, 21-3, 21-4)로서 4개의 널판으로 된 널평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평상 다리(22) 4개소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 널평상의 패널 수는 더 적거나 많을 수 있으며, 특히 평상 다리는 가운데에 추가적으로 보강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설명한 제1실시일례의 구성을 포함하되,
상기 평상 다리(22)는 상기 베이스(12) 위에 설치되도록 상기 매트리스(13) 폭에 치합되면서 상기 매트리스 높이보다 큰 칫수로 형성되는 구성을 실시일례로 개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2실시일례는 특히 침대의 베이스(12) 위에 안착될 수 있는 침대 융합형태의 평상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바닥에 평상을 펼칠 경우는 제1실시예보다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 외 다른 구성은 모두 제1실시일례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침상의 골조(11)와 베이스(12)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10);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13);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20);
상기 평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평상 외곽턱(25);
상기 평상은 복수개의 널평상(21-1,... 21-n)으로서 측면의 록킹부재(23)를 통해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평상 외곽턱(25)은 상기 매트리스의 외폭과 치합되어 평상이 펼쳐진 후 상기 매트리스의 좌우폭 내에서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평상(20)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매트리스(13)의 쿠션으로 상기 평상 및 상기 평상 위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을 개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로 묘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일례는 외곽턱(25)에 의하여 평상이 매트리스 위에서 밀려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 제3실시일례는 상기 제1 내지 제2실시일례에서와 같은 평상 다리(22)가 없이 매트리스(13)가 중력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기에 사람이 사용하면서 오르내리는 무게 이동에 따라 평상이 미끄러지는 위험성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부설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일례에서는 평상 다리(22)가 무게를 지탱하지 않고 매트리스 쿠션으로 지탱하므로 중력은 매트리스가 감당하고 감촉은 평상의 표면으로 제공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외곽턱(25)의 기능에 따라 접철보관 시에 다리를 꺾어 접는 수고를 덜게 하고 재료 원가를 절감하면서 매트리스와 상호작용으로 융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일례에서 설명한 바 있어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침상의 골조(11)와 베이스(12)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10);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13);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30);
상기 평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평상 외곽턱(33);
상기 평상은 복수개의 살을 엮어 묶은 살평상(31-1,... 31-n)으로서 역음줄(32)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평상 외곽턱(33)은 상기 매트리스의 외폭과 치합되어 평상이 펼쳐진 후 상기 매트리스의 좌우폭을 중심으로 안착되며,
상기 평상(30)은 상기 매트리스(13) 위에 전개되어 상기 매트리스(13)의 쿠션으로 상기 평상 및 상기 평상 위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을 개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로 나타낸 본 발명 제4실시일례의 특징은 여러 개의 좁은 패널들을 역음줄(32)로 묶어서 매트리스 위에 안착시킴으로써 그 여러 개의 패널 간 간극을 이용하여 통풍과 유연성을 높인 것이다. 미설명부호 32a는 역음줄의 끝 부분인 매듭을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재료를 포함하여 접거나 펼칠 때 신축성이 일어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역음줄(32)은 낚시줄처럼 함성섬유로 된 부재 내지 실리콘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평상(30)의 외곽에 설치된 외곽턱(33)은 제3실시일례에서의 외곽턱(25)과 동일한 목적으로 부설된 구성이므로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 제4실시일례는 접철 시 상기 평상을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둘 수 있는 접에서 접철 조작이 쉬운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이 다양한 용도로 응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부가적인 실시일례이다.
먼저 도 6a 및 도 6b는 상기 평상 위에 망사형(40) 보조 매트리스를 펼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한 망사형 매트리스는 입체적 쿠션으로 통풍을 이루되 매끄러운 평상의 상부면에서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실리콘 등 사물에 밀착되는 특성의 부재로 하거나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 상부에 접착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착 또는 비접착으로 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밀착 구조가 바람직한 것이다. 망사형(40) 매트리스가 펼쳐질 기초로서의 평상은 앞에서 설명한 널평상(20) 또는 살평상(30)의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망사형(40) 쿠션보조재는 제1, 2, 3실시일례와 결합되면서 쿠션 매트리스의 기능, 딱딱한 평상의 기능, 그리고 시원한 망사형 통풍 기능을 아우르는 다양한 목적 하에 각각의 부재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결합하면서 선택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도 7b는 평상이 설치된 침대의 단면도이고 도 7a는 그 중에서 평상 부분을 직각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특히 상기 널평상(21-1, 21-...)을 매우 얇게 하는 등의 실시일례를 원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평상의 상면부(21-1, 21-2, 21-3, 21-4)를 제1실시일례보다도 얇은 부재로 구성한 다음에, 그 측면부에 외곽턱을 형성하면서 상기 평상 상면부로부터의 중력을 받치는 수직면프레임(26)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면프레임(26)에 록킹부재(23-2)의 쐐기(23-2a)가 삽입될 홀(23-1)을 형성한 것이다. 즉 비록 널평상(20) 또는 살평상(30)의 두께가 얇더라도 외곽에서 버팀목의 역할을 하는 수직면프레임(26)에 의하여 상기 널평상이나 살평상은 수평적으로 안정된 형상이 유지되는 것이다. 그 외 상기 록킹 핀에 상당하는 쐐기(23-2a)와 홀(23-1)에 대하여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어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의 수직면프레임(26)은 상기 평상의 상면부가 위에서 아래로 눌려지는 중력 무게를 지탱하므로 상기 평상의 두께는 더욱 얇은 부재로 간략화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수직면프레임(26)의 외측면 만곡부(26)가 상기 제3실시일례 내지 제4실시일례에서의 외곽턱(25)의 기능을 겸용하는 특징도 있다. 도 7b는 상기 제3, 4실시일례에서의 외곽턱(25)이 없어도 상기 수직면프레임(26)에 의하여 그 기능이 대체됨을 나타내는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일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시 생략하였지만 특히 제4실시일례의 역음줄(32)과 제3실시일례의 록킹부재(23)를 혼합 적용할 경우 평상의 무게와 부피를 경감하면서 매트리스 위에서 수평력과 통풍성이 강화되는 결합 구조가 된다. 즉 엮음줄로 간격을 띄워 통풍력을 강화하면서도 록킹부재에 의하여 평상이 수평면상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평상을 접철하여 철거 보관하는 경우에도 상기 엮음줄에 의하여 집단화 된 묶음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부재 간 흩어져 망실될 우려가 해소되는 것이다.
도 1a 등에서는 4단 접이식을 일실시예로서 개시하였지만 2단 내지 3단 접이식도 당연히 가능하다.
동일한 역음줄(32)을 사용하더라도 제3실시일례는 널평상에 적용한 것이어서 평면 형상의 평상으로 제공되어 상판에 엎드려서 필기 등 작업이 가능하고, 제4실시일례는 살평상에 가까운 형상의 평상으로 제공되므로 여름철 누웠을 때 시원한 느낌으로의 통풍성이 강화된다.
침상 골조(11)
침상 베이스(12)
침대프레임(10);
매트리스(13);
평상(20, 30);
평상 다리(22);
록킹부재(23)
힌지(22e)
패널들(21-1, 21-2, 21-3, 21-4)
쐐기(23-2a)
돌기부(23-2)
홀(23-1)
완충부재(24)
평상 다리(22)의 제1부재(22a)와 제2부재(22b)
높이조절기구부(22a, 22b)
쿠션기구부(22c)
침대 다리(14)
외곽턱(25, 33)
역음줄(32)
평상의 외곽부에 둘러진 수직면프레임(26)
망사형 쿠션보조재(40)

Claims (8)

  1. 침상의 골조와 베이스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
    상기 평상을 지탱하는 평상 다리;
    상기 평상은 측면의 록킹부재를 통해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평상 다리는 힌지를 통해 상기 평상을 펼칠 때 상기 평상과 직각으로 전개되어 상기 평상을 지탱하고 상기 평상을 접을 때는 상기 평상의 어느 한 면과 평행하게 꺾어지는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평상은 상기 매트리스 위에서 전개되어 사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상은 살평상 또는 널평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살평상 또는 널평상의 측면에 형성된 홀과 이에 치합되는 돌기 형상의 쐐기로 구성되되,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 모두 단일 록킹부재에 의해 접철 형상이 고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상 다리는 침대 높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또는 나사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기구부를 구비하는 한편, 평상의 상단으로부터 가해지는 무게에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기구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상 다리는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도록 상기 매트리스 폭에 치합되면서 상기 매트리스 높이보다 큰 칫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상 다리는 바닥 위로부터 기립되도록 상기 베이스 외곽의 폭에 치합되면서 바닥에서부터 매트리스의 높이 보다 큰 칫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
  6. 침상의 골조와 베이스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
    상기 평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평상 외곽턱;
    상기 평상은 복수개의 널평상으로서 측면의 록킹부재를 통해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평상 외곽턱은 상기 매트리스의 외폭과 치합되어 평상이 펼쳐진 후 상기 매트리스의 좌우폭을 중심으로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평상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매트리스의 쿠션으로 상기 평상 및 상기 평상 위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
  7. 침상의 골조와 베이스를 형성하는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베이스 위에 쿠션재로 안착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 위에 설치되는 평상;
    상기 평상의 위치를 지정하는 평상 외곽턱;
    상기 평상은 복수개의 살을 엮어 묶은 살평상으로서 역음줄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평상 외곽턱은 상기 매트리스의 외폭과 치합되어 평상이 펼쳐진 후 상기 매트리스의 좌우폭을 중심으로 안착되며,
    상기 평상은 상기 매트리스 위에 전개되어 상기 매트리스의 쿠션으로 상기 평상 및 상기 평상 위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살평상의 측면부에는 평상으로서의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록킹부재로서 결착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위의 평상.
KR1020190107859A 2019-08-31 2019-08-31 매트리스 위에 결합되는 평상 KR20210026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859A KR20210026698A (ko) 2019-08-31 2019-08-31 매트리스 위에 결합되는 평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859A KR20210026698A (ko) 2019-08-31 2019-08-31 매트리스 위에 결합되는 평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698A true KR20210026698A (ko) 2021-03-10

Family

ID=7514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859A KR20210026698A (ko) 2019-08-31 2019-08-31 매트리스 위에 결합되는 평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6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468B1 (ko) 소파 침대 겸용 매트리스
KR20210026698A (ko) 매트리스 위에 결합되는 평상
KR200459159Y1 (ko)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JP3182080U (ja) 布団干し兼用敷布団敷板装置及びベンチ装置
KR20170001977U (ko) 소파
JP2004195209A (ja) ベッド
KR102366492B1 (ko) 접이식 매트리스
TWI589252B (zh) 躺椅裝置
JP2015073573A (ja) 区画構造体
CN218419087U (zh) 一种多功能床椅
JP3238023U (ja) 家具
CN213605441U (zh) 一种方便轻巧型折叠沙发床架
JP7250342B2 (ja) ソファーベッド
US8555435B1 (en) Box spring support for mattresses
RU93642U1 (ru) Диван-кровать с ортопедическим матрацем
JP3084039U (ja) 折り畳みマットレス
TWM560325U (zh) 戶外用墊體構造
KR20220072584A (ko) 기능성 매트리스
JP2021112472A (ja) 屋外設置家具
JP2007307401A (ja) 指圧効果用用具
TWM429411U (en) Foldable spring bed
JP2023055517A (ja) 敷き寝具
JP2004121566A (ja) 足載せ枕
JP2005007142A (ja) 指圧効果用用具
KR200331788Y1 (ko) 휴대용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