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583A -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583A
KR20210026583A KR1020190107577A KR20190107577A KR20210026583A KR 20210026583 A KR20210026583 A KR 20210026583A KR 1020190107577 A KR1020190107577 A KR 1020190107577A KR 20190107577 A KR20190107577 A KR 20190107577A KR 20210026583 A KR20210026583 A KR 2021002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compartment
arc
switchboard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229B1 (ko
Inventor
마지훈
고재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10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29B1/ko
Priority to CN202010355886.7A priority patent/CN112448298B/zh
Publication of KR2021002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 배출 작용과 연동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은 전력기기를 수용하는 제1 격실; 상기 제1 격실의 일면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환기를 위해 개방되고 상기 전력기기의 아크 사고시에는 상기 아크의 차단을 위해 폐쇄되는 통기용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통기용 도어는, 다수의 제1 통기홀을 갖는 고정판; 및 다수의 제2 통기홀을 갖는 이동판;을 포함하고, 아크 사고시, 상기 이동판을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정상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통기홀은 상기 다수의 제1 통기홀에 연통되고, 아크 사고시 상기 이동판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통기홀과 제2 통기홀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of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 배출 작용과 연동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전력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배전반에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하여 차단기, 변류기 등 여러 전기 기기가 수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배전반 내부에서 단락이나 지락, 절연 파괴 등에 의해 아크(Arc)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배전반 내부에 고온, 고압의 아크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배전반은 이와 같은 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아크 가스를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하여 배전반의 전력 기기 및 인명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배전반에는 아크 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된다. 배전반의 내부에서 발생한 아크 가스는 배전반에 마련된 덕트 또는 배출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아크 배출 통로를 통해 아크 가스를 냉각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고압 배전반의 경우 다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일례로 도 1에는 하단에 마련되는 변압기실(2), 중간단에 마련되는 차단기실(3), 상단에 마련되는 저압기기실(4), 그리고, 이들의 후단에 마련되는 모선 및 케이블실(5) 등으로 구성된배전반(1)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차단기실(3)의 상부, 즉, 저압기기실(4)과 모선 및 케이블실(5) 사이에는 아크 배출실(6)이 마련된다. 아크 배출실(6)에는 하면 및 측면이 개방되어 차단기실(3)에서 발생하는 아크가 유입되고 배전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아크 배출실(6)과 모선 및 케이블실(5) 사이에는 통기를 위한 통기용 도어(9)이 구비된다. 통기용 도어(9)은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모선 및 케이블실(5)에 환기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고 전류에 의한 아크 발생시에는 닫혀서 모선 및 케이블실(5)에 아크에 의한 피해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2에는 차단기실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기실(3)에는 차단기(7)가 삽입 설치된다. 차단기(7)는 주회로부(통전부)(7a)와 조작부(7b)를 포함하며, 조작부(7b)에는 상,하면과 좌,우측면의 4면을 둘러싸는 방호판(7c)이 형성되어 IP 등급(International Protection Marking)에 적합한 보호 및 아크 차단을 하고 있다.
차단기(7)는 차단기실(3)에 인입되어 On 작동시 차단기 터미널(7d)이 배전반 터미널(3a)(정확하게는 터미널 부싱 내부의 배전반 터미널)에 결합되어 통전을 이룬다.
차단기(7)의 차단 작동시 차단기 터미널(7d)이 배전반 터미널(3a)로부터 분리되면서 아크가 발생한다. 물론, 아크는 단락이나 지락 또는 절연 파괴 등의 사고전류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 아크는 대부분 상부의 아크 배출실(6)로 이동하여 배기구(8)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주변 아크 배출 통로가 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격실들이 폐쇄되어 아크에 의한 주변 부품의 피해가 없어야 한다.
예를 들면, 케이블실(5)에 형성된 통기용 도어(9)는 폐쇄되어야 한다.
한편, 전술하였듯이 배전반 내부에 발생하는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 시스템도 필요하다. 즉, 배전반(1) 내부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통풍구(환기구)나 통풍을 위한 개방문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통기용 도어(9)는 개방되어야 한다.
즉, 배전반은 아크 사고를 대비한 관점에서는 차단 상태에서 통기용 도어(9)는 차단되어야 하고, 내부 환기의 관점에서는 평상시 통기용 도어(9)가 열려 있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통기용 도어(9)는 아크 가스의 압력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회전식 도어 구조는 반발력에 의해 재개방되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상 상태에서 개방되고 아크 사고시 폐쇄되는 통기용 도어를 갖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은 전력기기를 수용하는 제1 격실; 상기 제1 격실의 일면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환기를 위해 개방되고 상기 전력기기의 아크 사고시에는 상기 아크의 차단을 위해 폐쇄되는 통기용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통기용 도어는, 다수의 제1 통기홀을 갖는 고정판; 및 다수의 제2 통기홀을 갖는 이동판;을 포함하고, 아크 사고시, 상기 이동판을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정상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통기홀은 상기 다수의 제1 통기홀에 연통되고, 아크 사고시 상기 이동판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통기홀과 제2 통기홀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 통기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부의 폭은 상기 제1 통기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제2 통기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부의 폭은 상기 제2 통기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통기홀의 폭은 상기 제2 통기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폭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1 격실의 상부 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아크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하고, 타단이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는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부 패널과 자성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 부재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자성 부재와 이동판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격실의 일면에는 상기 이동판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기용 도어는 상기 제1 격실에 인접한 제2 격실의 인접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정상상태에서 환기가 요구되는 격실의 통기용 도어가 개방 상태에 놓이고, 아크 발생시에는 상기 통기용 도어가 닫힘으로써, 평상시에는 환기구로서 아크 사고시에는 아크 차단판으로서의 이중적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기용 도어는 아크의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아크 사고시 신속하게 통기용 도어가 폐쇄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통기용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닫힘으로써 재개방의 위험이 없다.
또한, 상기 통기용 도어는 아크가 사라지면 다시 개방되어 환기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격실이 외부에 인접한 경우에는 아크 사고시 외부의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통기용 도어의 작용도로서 도 5는 정상 상태, 도 6은 아크 차단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일부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통기용 도어의 작용도로서 도 5는 정상 상태, 도 6은 아크 차단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은 차단기(20)를 수용하는 제1 격실(13); 상기 제1 격실(13) 또는 상기 제1 격실(13)에 인접한 제2 격실(16)의 일면(인접면)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환기를 위해 개방되고 상기 차단기(20)의 아크 사고시에는 상기 아크의 차단을 위해 폐쇄되는 통기용 도어(40,45)가 구비되고, 상기 통기용 도어(40.45)는 다수의 제1 통기홀(41)을 갖는 고정판(40); 및 다수의 제2 통기홀(46)을 갖는 이동판(45);을 포함하고, 아크 사고시, 상기 이동판(45)을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고, 개방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통기홀(46)은 상기 다수의 제1 통기홀(41)에 연통되고, 아크 사고시 상기 이동판(45)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통기홀(41)과 제2 통기홀(46)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전반(10)의 외함(enclosure, cabinet)(11)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0)의 외함은 복수 개의 격실(compartment)로 구획된다. 이러한 예로 배전반(10)의 외함(11)은 제1 격실(차단기실)(13), 제2 격실(아크 배출실)(16), 제3 격실(저압기기실)(14), 제4 격실(변압기실)(12), 제5 격실(모선 및 케이블실)(1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압 배전반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다단 배전반은 2개 이상의 단에 각각 마련되는 격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단으로 구성된 배전반의 외함이 도시되어 있다. 배전반 외함(11)의 제1단(하단)에 설치된 격실을 제4 격실(변압기실)(12)이라 하고, 제2단(중간단)에 설치되는 격실을 제1 격실(차단기실)(13)이라고 하기로 한다. 제4 격실(12)과 제1 격실(13)에는 각각 인입출 가능한 전력기기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기로는 차단기(20) 또는 변압기가 될 수 있다. 즉, 제1 격실(13)에는 차단기(20)가 인입 설치되고, 제4 격실(12)에는 변압기가 인입 설치될 수 있다.
제1 격실(13)의 상부에는 제3 격실(저압기기실)(Low Voltage Compartment)(14)이 마련된다. 이때, 제3 격실(14)은 제4 격실(12) 및 제1 격실(13)의 길이(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3 격실(14)에는 저압용 기기나 계기용 변압기나 변류기 또는 부속 기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4 격실(12)과 제1 격실(13)의 후방에는 제5 격실(모선 및 케이블실)(bus bar and cable compartment)(15)이 마련된다.
제3 격실(14)과 모선 및 케이블실(15) 사이에는 공기 통로 또는 아크 배출 통로가 되는 제2 격실(아크 배출실)(16)이 마련된다.
제2 격실(16)의 좌,우 측면 및 하면은 전부 또는 부분 개방된다. 즉, 제2 격실(16)의 좌,우 측면 및 하면에는 각각 개방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격실(16)은 하방의 제1 격실(13)에서 발생하는 아크 가스가 하면 개방부를 통해 유입될 뿐 아니라 좌,우 측방으로 흐를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제2 격실(16)의 하면(17)에는 개방부(17a)가 마련된다. 개방부(17a)에 의해 제1 격실(13)의 상면은 개방된다. 즉, 개방부(17a)는 제1 격실(13)에서 발생하는 아크 가스의 배출 통로가 된다. 제1 격실(13)에서 아크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개방부(17a)를 통해 제2 격실(16)로 들어가고, 이후 아크 가스는 제2 격실(16)의 상부덮개(18)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제1 격실(13)의 상면과 제2 격실(16)의 하면은 서로 공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격실(13)의 상면을 구성하는 패널은 제2 격실(16)의 하면(17)을 구성하는 패널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격실(14)과 제2 격실(16)은 제1 격실(13)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력기기는 제1단의 제4 격실(12) 또는 제2단의 제1 격실(13)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기기로서 차단기(20)가 제2단의 제1 격실(13)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차단기(20)는 주회로부(통전부 또는 차단부)(21), 주회로부(21)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차단기 터미널(22,23), 주회로부(21)의 전면에 설치되는 조작부(24)를 포함한다.
제1 격실(13)의 전면에는 도어(13a)가 구비되어 여닫을 수 있다.
제1 격실(13)의 후면에는 터미널 부싱(28,29)이 복수 개 마련되어 각각 차단기 터미널(22,23)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격실(13)의 상면(제3 격실(14) 및 제2 격실(16)의 하면)에는 상부 패널(17)이 구비된다. 각 격실은 상,하면,전,후면,좌,우측면이 각각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은 인접한 격실에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격실(13)의 상부 패널(17)은 제2 격실(16)의 하부 패널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각 패널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격실(16)의 후면 패널(19)에 통기용 도어(40,45)가 설치된다. 통기용 도어(40,45)는 정상 상태에서는 통기홀(41,46)이 개방되어 인접한 격실과 연통되고, 사고 전류 발생시에는 통기홀(41,46)이 폐쇄되어 아크가 인접한 격실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보호한다.
통기용 도어(40,45)은 고정판(40)과 이동판(45)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40)은 후면 패널(19)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판(40)에는 제1 통기홀(41)이 복수 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통기홀(41)은 복수 개가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통기홀(41)은 제1 플레이트부(42)와 구분된다. 여기서, 인접한 2개의 제1 통기홀(41)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1 플레이트부(42)라고 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부(42)의 폭(w1)은 제1 통기홀(41)의 폭(w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판(45)은 후면 패널(19)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동 방향은 후면 패널(19)의 길이 방향(도면에서 상하 방향)을 따른다. 이동판(45)은 고정판(40)에 면접하도록 설치된다. 즉, 정상상태에서 이동판(45)은 고정판(40)에 포개어진채 설치될 수 있다.
이동판(45)에는 제2 통기홀(46)이 복수 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통기홀(46)은 복수 개가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통기홀(46)은 제2 플레이트부(47)와 구분된다. 여기서, 인접한 2개의 제2 통기홀(46)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을 제2 플레이트부(47)라고 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 플레이트부(47)의 폭(v1)은 제2 통기홀(46)의 폭(v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통기홀(41)의 폭은 제2 통기홀(46)의 폭과 같도록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부(42)의 폭은 제2 플레이트부(47)의 폭과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상 상태에서 이동판(45)의 제2 통기홀(46)은 고정판(40)의 제1 통기홀(41)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통기홀(41)과 제2 통기홀(46)은 연통되어 인접한 격실 사이에 공기의 순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사고 전류 차단시, 이동판(45)은 후면 패널(19)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제2 통기홀(46)이 제1 통기홀(41)로부터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통기홀(41)은 제2 플레이트부(47)에 의해 폐쇄되고, 제2 통기홀(46)은 제1 플레이트부(42)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통기홀(41,46)은 폐쇄되어 인접한 격실 사이에 공기나 가스의 순환은 차단된다.
이동판(45)이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동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동부의 예로 아크 가스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구동되는 자성부재를 들 수 있다.
제1 격실(13)의 상부 패널(17)의 하면에 자성 부재(5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성 부재(50)는 아마추어(armature) 등 금속성 부재일 수 있다. 자성 부재(50)의 일단(51)은 상부 패널(1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52)에는 이동판(45)이 연결되어 아크 사고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터미널 방향으로 흡인되면서 이동판을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동판(45)의 위치를 고정하고 복귀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부재(70)가 마련된다. 탄성 부재(70)는 자성 부재(50)와 상부 패널(17)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탄성 부재(70)의 일단은 상부 패널(17)의 일부에 고정되고, 탄성 부재(70)의 타단은 자성 부재(5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70)는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판(45)과 자성 부재(50)의 운동 사이에 융통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링크 부재(60)가 마련될 수 있다. 링크 부재(60)의 일단은 이동판(45)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링크 부재(60)의 타단은 자성 부재(5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링크 부재(60)에 의해 이동판(45)의 직선 이동이 보장된다.
이동판(45)의 직선 이동을 보장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가이드(80)가 마련된다. 가이드(80)는 후면 패널(19)에 돌출되는 'ㄱ'자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상 상태에서 고정판(40)과 이동판(45)은 나란히 배치된다. 이때, 이동판(45)의 제2 통기홀(46)은 고정판(40)의 제1 통기홀(41)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므로, 제1 통기홀(41)과 제2 통기홀(46)을 통해 인접한 격실(예를 들면 제2 격실과 제5 격실) 사이에 공기의 순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사고 전류가 발생하여 차단기(20)가 작동하면, 차단기(20)의 차단기 터미널(22,23)에서는 아크가 발생한다. 이 아크 주변에 생기는 자기력에 의해 자성 부재(50)는 흡입되어 회전하고, 링크 부재(60)를 거쳐 이동판(45)이 하방으로 끌려내려온다. 따라서, 제2 통기홀(46)과 제1 통기홀(41)은 어긋나게 되어 통기용 도어(40,45)는 폐쇄되어 아크가 제5 격식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크가 사라지면 자기력도 사라지고, 탄성 부재(7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판(45)은 상방으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정상상태에서 환기가 요구되는 격실의 통기용 도어가 개방 상태에 놓이고, 아크 발생시에는 상기 통기용 도어가 닫힘으로써, 평상시에는 환기구로서 아크 사고시에는 아크 차단판으로서의 이중적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기용 도어는 아크의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아크 사고시 신속하게 통기용 도어가 폐쇄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통기용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닫힘으로써 재개방의 위험이 없다.
또한, 상기 통기용 도어는 아크가 사라지면 다시 개방되어 환기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격실이 외부에 인접한 경우에는 아크 사고시 외부의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3 제1 격실 16 제2 격실
20 차단기 40 고정판
41 제1 통기홀 42 제1 플레이트부
45 이동판 46 제2 통기홀
47 제2 플레이트부 50 자성 부재
60 링크 부재 70 탄성 부재

Claims (8)

  1. 전력기기를 수용하는 제1 격실;
    상기 제1 격실의 일면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환기를 위해 개방되고 상기 전력기기의 아크 사고시에는 상기 아크의 차단을 위해 폐쇄되는 통기용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통기용 도어는,
    다수의 제1 통기홀을 갖는 고정판; 및
    다수의 제2 통기홀을 갖는 이동판;을 포함하고,
    아크 사고시, 상기 이동판을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정상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제2 통기홀은 상기 다수의 제1 통기홀에 연통되고, 아크 사고시 상기 이동판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통기홀과 제2 통기홀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 통기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부의 폭은 상기 제1 통기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제2 통기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부의 폭은 상기 제2 통기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기홀의 폭은 상기 제2 통기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폭은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제1 격실의 상부 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아크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하고, 타단이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는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부 패널과 자성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자성 부재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자성 부재와 이동판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실의 일면에는 상기 이동판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 도어는 상기 제1 격실에 인접한 제2 격실의 인접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KR1020190107577A 2019-08-30 2019-08-30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KR102638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77A KR102638229B1 (ko) 2019-08-30 2019-08-30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CN202010355886.7A CN112448298B (zh) 2019-08-30 2020-04-29 配电柜的通风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77A KR102638229B1 (ko) 2019-08-30 2019-08-30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83A true KR20210026583A (ko) 2021-03-10
KR102638229B1 KR102638229B1 (ko) 2024-02-19

Family

ID=7473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577A KR102638229B1 (ko) 2019-08-30 2019-08-30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8229B1 (ko)
CN (1) CN1124482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346A (ko) 2022-03-14 2023-09-21 한국전력공사 덕트 설비, 덕트 설비를 구비한 배전 스테이션, 덕트 설비의 작동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816A (ja) * 1994-06-13 1995-12-22 Nissin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ギヤ
KR20150076392A (ko) * 2013-12-26 2015-07-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방압 통로 구조물이 구비된 배전반
JP2016127794A (ja) * 2014-12-30 2016-07-11 シュナイダー エレクトリック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部アークの処理方法
KR20170104878A (ko) * 2016-03-08 2017-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커버가 구비된 기중차단기
KR20190099937A (ko) * 2018-02-20 2019-08-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4743C1 (de) * 2001-03-20 2002-11-28 Siemens Ag Elektrische Schaltanlage mit einer Lüftungsvorrichtung und Lüftungsvorrichtung mit zwei Lüftungselementen
US8419141B2 (en) * 2011-01-27 2013-04-16 Eaton Corporation Switchgear door latching system
CN102231487A (zh) * 2011-04-15 2011-11-02 山东爱普电气设备有限公司 低压抽屉式开关柜的泄压防暴装置
CN202142788U (zh) * 2011-08-02 2012-02-08 唐山盾石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配电柜防爆泄压装置
CN106783371B (zh) * 2017-01-06 2018-12-14 安徽通球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断路器的真空灭弧室结构
CN207021545U (zh) * 2017-05-27 2018-02-16 国网河南省电力公司郑州供电公司 一种可移动户外防雨配电箱
CN207339031U (zh) * 2017-11-13 2018-05-08 徐加朋 一种具有灭火功能的防尘散热电力柜
CN107863708A (zh) * 2017-11-13 2018-03-30 湖南湘讯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具有灭火功能的防尘散热电力柜
CN108173151A (zh) * 2018-01-25 2018-06-15 江苏铭安电气有限公司 一种变压器用开关柜柜门
CN109038270A (zh) * 2018-08-20 2018-12-1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沧州供电分公司 一种自动泄压配电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6816A (ja) * 1994-06-13 1995-12-22 Nissin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ギヤ
KR20150076392A (ko) * 2013-12-26 2015-07-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방압 통로 구조물이 구비된 배전반
JP2016127794A (ja) * 2014-12-30 2016-07-11 シュナイダー エレクトリック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部アークの処理方法
KR20170104878A (ko) * 2016-03-08 2017-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커버가 구비된 기중차단기
KR20190099937A (ko) * 2018-02-20 2019-08-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346A (ko) 2022-03-14 2023-09-21 한국전력공사 덕트 설비, 덕트 설비를 구비한 배전 스테이션, 덕트 설비의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48298A (zh) 2021-03-05
CN112448298B (zh) 2023-01-06
KR102638229B1 (ko) 202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7098B2 (en) Medium voltage switchgear enclosure
US7952857B1 (en) Arc-resistant switchgear enclosure with ambient air ventilation system
US7974078B2 (en) Electrical enclosure assembly having venting system
US8733855B2 (en) Arc resistant switchgear modular compartment for instrumentation and circuit breakers
US8482903B2 (en) Front accessible switchgear assembly
KR102064422B1 (ko) 다단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US11637414B2 (en) Three phase switchgear using single phase equipment in single casing
PL194508B1 (pl) Wyłącznik wielobiegunowy
EP3667690A1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5210978B2 (ja) スイッチギヤの換気装置
KR20150038477A (ko) 스위치 기어
KR102638229B1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KR200494261Y1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US11637415B2 (en) Arc ventilation system of distributing board
US10665410B2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ctive arc control features
KR102160052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US20140160640A1 (en) Panelboard moveable insulator
US9413142B2 (en) Panelboard insulative plenum
US11670919B2 (en) Three phase switchgear or control gear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KR102435410B1 (ko) 배전반
KR102164799B1 (ko)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KR20180069579A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US20080116046A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case and terminal shield therefor
JPH10248123A (ja) 多段積載遮断器収納スイッチギ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