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570A - 다용도 선반 - Google Patents

다용도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570A
KR20210026570A KR1020190107539A KR20190107539A KR20210026570A KR 20210026570 A KR20210026570 A KR 20210026570A KR 1020190107539 A KR1020190107539 A KR 1020190107539A KR 20190107539 A KR20190107539 A KR 20190107539A KR 20210026570 A KR20210026570 A KR 2021002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frame
horizontal member
fixing b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427B1 (ko
Inventor
최진산
Original Assignee
최진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산 filed Critical 최진산
Priority to KR102019010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4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rawing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은, 다수의 지지슬롯이 관통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부재; 양단이 상기 지지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연결되는 수평부재; 상기 지지슬롯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고정틀; 및 상기 고정틀에 경사진 상태로 삽입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가 상기 고정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를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고정바 및 고정틀이 상기 수평부재의 저면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평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용도 선반 {MULTIPURPOSE SHELF}
본 발명은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용도 선반은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즉, 책 이외에도 기타 소규모 장식품을 함께 보관하기도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물론 별도의 장식장을 이용하기도 하나 최근 장식장과 책장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선반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책장, 장식장 등 기타 제반 수납가구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특히 이러한 다용도 선반은 부피가 커서 이동 및 취급이 어려운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분해된 상태에서 판매 및 배송되고, 이를 가정 및 사무실에서 직접 조립할 수 있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공개 20-2013-0002724호(종래기술 1)에는 다용도 선반에 있어서, 상하로 적어도 하나 이상 이격 위치하도록 수평 설치되는 선반과, 상기 각 선반 사이에 전방이 개구된 사각 박스 형태로 각 층에 적어도 둘 이상이 삽입되어 지지 설치되는 책꽂이 블럭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가변형 다용도 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1은 사각박스형태의 책꽃이 블럭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 부품수가 많고 관리가 어려운 것은 물론, 그에 따라 제조 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공개 20-2012-0007732호(종래기술 2)에는 좌우에 형성되는 좌우측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마감판과, 상기 좌우측판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후판을 조립시켜 내측에 다수의 선반을 조립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선반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판의 후단부 중앙에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측판홈과; 상기 후판의 좌,우 단부측 후면에 후판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좌우측 후판홈과; 상기 측판홈과 좌우측 후판홈에 삽입되며, 상기 좌우측판의 후단부와 상기 후판의 좌우측 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직연결부재 및; 상기 후판을 상하 다단으로 연결 고정함과 더불어 좌우측판의 내면의 전후방에 설치된 선반 지지핀에 양단이 걸리는 선반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수평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2는 선반을 지지핀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선반의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나아가 선반의 가로 폭 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조립성이 우수한 다용도 선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의 가로 폭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선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은, 다수의 지지슬롯이 관통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부재; 양단이 상기 지지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연결되는 수평부재; 상기 지지슬롯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고정틀; 및 상기 고정틀에 경사진 상태로 삽입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가 상기 고정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를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고정바 및 고정틀이 상기 수평부재의 저면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평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일측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평부재를 수직부재의 지지슬롯에 삽입하고, 고정바 및 고정틀을 이용하여 수평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편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 수직부재를 배치하고 그 내측에 또 다른 수직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이 수직부재가 수평부재를 따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고 고정바 및 고정틀을 이용하여 고정을 이루게 되므로 수평부재의 가로 폭의 조절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틀에 고정바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바를 수평부재와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고정바 및 고정틀이 수평부재를 함께 가압함에 따라 수평부재가 지지슬롯의 상단에 밀착되면서 수평부재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의 고정틀 및 고정바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의 고정바가 고정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의 고정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의 고정틀(40) 및 고정바(3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의 고정바(30)가 고정틀(40)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의 고정바(3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은, 다수의 지지슬롯(12)이 관통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부재(10); 양단이 상기 지지슬롯(12)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재(10)와 연결되는 수평부재(20); 상기 지지슬롯(12)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체결부(14)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고정틀(40); 및 상기 고정틀(40)에 경사진 상태로 삽입되는 고정바(3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30)가 상기 고정틀(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30)를 상기 수평부재(20)와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고정바(30) 및 고정틀(40)이 상기 수평부재(20)의 저면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평부재(2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수직부재(1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으로, 수평부재(20)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슬롯(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슬롯(12)은 수평부재(20)가 복수로 마련될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직부재(10)와 수직부재(10)의 사이에 수평부재(20)가 배치되고, 수평부재(20)의 양단이 수직부재(10)에 형성된 지지슬롯(12)에 삽입되어 수평부재(20)를 수직부재(10)가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바(30)는 수직부재(10)와 수평부재(20)를 상호 체결하여 수직부재(10)에 연결된 수평부재(20)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지지슬롯(12)의 일측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 형성된 체결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틀(4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마련됨에 따라 체결부(1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4)와 고정틀(40)은 고정틀(40)에 고정바(30)가 경사진 상태로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부재(20)와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4)에 결합된 고정틀(40)에 고정바(30)가 경사진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후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30)를 수평부재(20)와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수평부재(20)의 위치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정틀(40)을 구비하여 수직부재(10)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도 체결부(14)에 고정틀(40)을 결합한 다음, 고정틀(40)에 고정바(30)를 결합하는 방식을 통해 수평부재(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 수직부재(10)를 배치하고 그 내측에 또 다른 수직부재(10)를 배치함으로써 이 수직부재(10)가 수평부재(20)를 따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고 고정바(30) 및 고정틀(40)을 이용하여 고정을 이루게 되므로 수평부재(20)의 가로 폭의 조절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40)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고정돌기(4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30)의 일측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돌기(42)가 결합되는 결합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틀(40)에 삽이돌기가 형성되고, 고정바(30)에 결합홈(32)이 형성됨으로써 고정틀(40)과 고정바(3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40)은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틀(40)은 가공하기 쉬우며, 내충격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재질을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틀(40) 내에서 고정바(30)가 회전할 때에, 수평부재(20)의 하중을 견디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고정틀(40)의 형태가 일부 변형되면서 고정바(30)에 의해 수평부재(2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바(30)는 실시하기에 따라 고정틀(40)에 삽입되는 부분이 고정틀(40)과 마찬가지로 ABS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40)에 고정바(3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바(30)를 수평부재(20)와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고정바(30) 및 고정틀(40)이 수평부재(20)를 가압함에 따라 수평부재(20)가 지지슬롯(12)의 상단에 밀착되면서 수평부재(20)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다용도 선반
10 : 수직부재
12 : 지지슬롯
14 : 체결부
20 : 수평부재
30 : 고정바
32 : 결합홈
40 : 고정틀
42 : 고정돌기

Claims (3)

  1. 다수의 지지슬롯이 관통 형성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부재;
    양단이 상기 지지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부재와 연결되는 수평부재;
    상기 지지슬롯의 일측에 함몰 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고정틀; 및
    상기 고정틀에 경사진 상태로 삽입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가 상기 고정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를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고정바 및 고정틀이 상기 수평부재의 저면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평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의 일측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KR1020190107539A 2019-08-30 2019-08-30 다용도 선반 KR10226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39A KR102260427B1 (ko) 2019-08-30 2019-08-30 다용도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539A KR102260427B1 (ko) 2019-08-30 2019-08-30 다용도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70A true KR20210026570A (ko) 2021-03-10
KR102260427B1 KR102260427B1 (ko) 2021-06-02

Family

ID=7514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539A KR102260427B1 (ko) 2019-08-30 2019-08-30 다용도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4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669A (ja) * 2001-02-20 2002-08-27 Asuberu Kk パイプ棚
US20090294391A1 (en) * 2008-05-29 2009-12-03 Michael Goldin Shelf assembly for customizable furniture
KR20110041314A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옥동 선반 지지체
KR101464442B1 (ko) * 2013-07-08 2014-11-27 최진산 다용도 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669A (ja) * 2001-02-20 2002-08-27 Asuberu Kk パイプ棚
US20090294391A1 (en) * 2008-05-29 2009-12-03 Michael Goldin Shelf assembly for customizable furniture
KR20110041314A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옥동 선반 지지체
KR101464442B1 (ko) * 2013-07-08 2014-11-27 최진산 다용도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427B1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88844A (en) Modular toy structure
KR102260427B1 (ko) 다용도 선반
KR101464442B1 (ko) 다용도 선반
US20130057125A1 (en) Multifunctional storage box
JP5419552B2 (ja) ユニット本棚
KR200473086Y1 (ko) 헹거가 장착된 조립식 플라스틱 수납박스.
JPH07163427A (ja) 家具組立てキット
KR200447120Y1 (ko) 책장의 연결구조
KR102186586B1 (ko) 무볼트 프레임가구
KR20080073184A (ko)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US20120181904A1 (en) Multifunctional storage box
KR101794156B1 (ko) 못을 쓰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고 높낮이, 넓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꽂이
JP5948163B2 (ja) デスクサイド書棚
KR101212315B1 (ko) 조립식 가구
KR102091361B1 (ko) 선반용 고정 장치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CN111345615B (zh) 用于抽屉前部的安装装置
JP2022063959A (ja) モバイル用スタンド
KR200482790Y1 (ko) 적층 조립식 서가
CN217471527U (zh) 一种便于组装拆卸的塑胶抽屉
KR200301876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150003434U (ko) 책장용 중간수직연결부재와 중간부 측판 및 후판의 연결구조
KR20040038942A (ko) 레일 및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책선반(서가)
EP2247219B1 (en) Modular furnishing structure unlimitately composable in different forms for different uses
KR0126563Y1 (ko) 다목적 조립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