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001A -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001A
KR20210026001A KR1020190106170A KR20190106170A KR20210026001A KR 20210026001 A KR20210026001 A KR 20210026001A KR 1020190106170 A KR1020190106170 A KR 1020190106170A KR 20190106170 A KR20190106170 A KR 20190106170A KR 20210026001 A KR20210026001 A KR 2021002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site
measuring device
purchas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공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공간 filed Critical (주)아이티공간
Priority to KR1020190106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001A/ko
Priority to PCT/KR2020/009658 priority patent/WO2021040237A1/ko
Publication of KR2021002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 관리하는 측정기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구매하는 구매단계(S10);와, 상기 측정기를 구매한 구매자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가입정보를 입력하고 회원 가입하여 구매자 고유의 계정을 획득하는 가입단계(S20);와, 구매자는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구매한 측정기 고유의 시리얼넘버를 기재하여 측정기를 등록하는 등록단계(S30);와, 기기의 작동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측정기를 예지 보전하고자 하는 기기에 설치하는 설치단계(S40);와, 관리 사이트는 기기에 설치된 측정기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받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 관리하는 관리단계(S50);와, 관리 사이트는 측정기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기기의 상태를 판단하며,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등록된 측정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그 측정기가 설치된 기기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검출 출력단계(S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기기의 작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측정기를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 측정기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할 수 있는 관리 사이트를 구축하고, 그 구축된 관리 사이트는 인터넷망을 통해 구매자가 구매한 측정기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측정기에서 전송하는 기기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로 접속하는 구매자에게 출력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구현함으로, 중소기업 등과 같은 소규모도 설비 공장에서 측정기의 구입만으로 기기의 예지 보전 서비스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예지 보전시스템의 시장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기 및 관리 사이트를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는 예지 보전시스템을 원하는 고객에게 손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 고객층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How to service a large number of device predictive maintenance services}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의 작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측정기를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 측정기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할 수 있는 관리 사이트를 구축하고, 그 구축된 관리 사이트는 인터넷망을 통해 구매자가 구매한 측정기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측정기에서 전송하는 기기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로 접속하는 구매자에게 출력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구현함으로, 중소기업 등과 같은 소규모도 설비 공장에서 측정기의 구입만으로 기기의 예지 보전 서비스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예지 보전시스템의 시장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비의 자동화 과정을 위해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은 안정적인 작동이 매우 중요하다.
일 예로, 대규모 생산 공장의 설비에는 수십, 수백 개의 기기가 설치되어 서로 연동 동작하면서 제품을 연속 생산하게 되는데, 만약 다수의 기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기가 고장이 발생하면 설비의 동작이 전체적으로 중단되는 엄청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다운 타임의 발생으로 기기의 수리비용뿐만 아니라, 설비가 중단되는 동안 낭비되는 운영비와 비즈니스 효과에 의해 엄청난 손실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최근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 관리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연간 산업 안전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총 10만 명 수준으로 집게 되고 있으며, 이를 비용으로 환산시 연간 18조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집계되고 있다.
이러한 예기치 않은 다운 타임 비용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전 예지 보전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실시간으로 기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이상징후가 의심되면 경보하여 기기의 점검이나 관리 및 교체가 수행되도록 유도하여 갑작스러운 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막대한 금전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예지 보전방법을 개발 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예지 보전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은 자본력이 다소 낮은 중소기업에서 구축하여 운영하기에 금전적으로 다소 부담스러워 중소기업 등과 같은 소규모 설비 공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시스템 구현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기의 작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측정기를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 측정기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할 수 있는 관리 사이트를 구축하고, 그 구축된 관리 사이트는 인터넷망을 통해 구매자가 구매한 측정기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측정기에서 전송하는 기기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로 접속하는 구매자에게 출력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구현함으로, 중소기업 등과 같은 소규모도 설비 공장에서 측정기의 구입만으로 기기의 예지 보전 서비스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예지 보전시스템의 시장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측정기 및 관리 사이트를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는 예지 보전시스템을 원하는 고객에게 손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 고객층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은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 관리하는 측정기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구매하는 구매단계(S10);와, 상기 측정기를 구매한 구매자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가입정보를 입력하고 회원 가입하여 구매자 고유의 계정을 획득하는 가입단계(S20);와, 구매자는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구매한 측정기 고유의 시리얼넘버를 기재하여 측정기를 등록하는 등록단계(S30);와, 기기의 작동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측정기를 예지 보전하고자 하는 기기에 설치하는 설치단계(S40);와, 관리 사이트는 기기에 설치된 측정기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받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 관리하는 관리단계(S50);와, 관리 사이트는 측정기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기기의 상태를 판단하며,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등록된 측정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그 측정기가 설치된 기기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검출 출력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단계(S50)는 상기 측정기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고유 IP 주소가 입력되며, 상기 측정기는 반복적으로 인터넷망을 통한 관리 사이트로 접속을 시도하는 접속과정(S51)과, 인터넷이 연결되어 상기 측정기가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로 접속되면 상기 측정기는 수집되는 기기에 대한 측정정보를 관리 사이트로 전송하는 전송과정(S52)과, 상기 측정기로부터 측정정보를 전송받은 관리 사이트는 상기 측정기의 고유 시리얼넘버와 매칭되는 고유의 공간을 클라우드 서버에 개설하고, 그 공간에 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과정(S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출력단계(S60)는 상기 측정기가 설치되는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기기의 작동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보는 관리 사이트에 정상상태 베이스 정보로 수집 저장되는 제1수집과정(S61)과, 상기 측정기가 설치되는 기기가 고장 전인 상태에서 기기의 작동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보는 관리 사이트에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로 수집 저장되는 제2수집과정(S62)과, 상기 관리단계(S50)의 전송과정(S52)에서 실시간 상기 측정기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는 관리 사이트의 판별부에서 상기 제1,2수집과정에서 수집되는 정상 및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와 대비하여 실시간 기기에 대한 상태(컨디션)를 검출하되, 그 검출되는 실시간 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측정기 고유의 시리얼넘버와 매칭되게 개설되는 클라우드 서버의 고유 공간에 저장되도록 하는 판별과정(S63)과,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등록된 측정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그 측정기 고유의 시리얼넘버와 매칭되게 개설된 클라우드 서버의 고유 공간에 저장된 기기의 컨디션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자가 실시간 기기의 상태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출력과정(S6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입단계(S20)에서 구매자가 입력하는 가입정보에는 구매자의 휴대폰 정보가 포함되어 입력되며,
상기 검출 출력단계(S60)의 판별과정(S63)에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이 기기의 점검이나 관리가 요구되는 경보상황으로 검출되면 관리 사이트에서 상기 측정기 구매자의 휴대폰으로 문자 또는 전화로 경보하여 기기의 용이한 예비보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기기의 작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측정기를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 측정기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할 수 있는 관리 사이트를 구축하고, 그 구축된 관리 사이트는 인터넷망을 통해 구매자가 구매한 측정기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측정기에서 전송하는 기기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로 접속하는 구매자에게 출력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구현함으로, 중소기업 등과 같은 소규모도 설비 공장에서 측정기의 구입만으로 기기의 예지 보전 서비스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예지 보전시스템의 시장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기 및 관리 사이트를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는 예지 보전시스템을 원하는 고객에게 손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 고객층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의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의 블럭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의 개념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100)은 구매단계(S10)와, 가입단계(S20)와, 등록단계(S30)와, 설치단계(S40)와, 관리단계(S50)와, 검출 출력단계(S6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매단계(S10)는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를 운영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 관리하는 측정기(1)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구매하는 단계이다.
즉, 구매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공장의 기기에 사용될 적합한 측정기(1)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선택하여 구매하는 과정이며, 이때 측정기(1)를 특정할 수 있는 측정기(1) 고유의 시리얼넘버가 구매자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측정기(1)는 기기의 작동정보를 측정 수집하는 장치로 기기의 종류 및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요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측정기(1)는 기기의 작동에 소모되는 전류 값이나 기기에서 발생되는 진동, 열원 등의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장치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입단계(S20)는 상기 측정기(1)를 구매한 구매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가입정보를 입력하고 회원 가입하여 구매자 고유의 계정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측정기(1)를 구매한 구매자는 관리 사이트(10)를 통해 기기의 예지 보전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관리 사이트(10)에 접속 가입하여 구매자 고유의 계정을 획득하는 단계로, 이때 입력하는 가입정보에는 구매자의 휴대폰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하여 관리 사이트(10)의 판별부(12)를 통해 기기의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이러한 감지정보를 휴대폰으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단계(S30)는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자신이 구매한 측정기(1) 고유의 시리얼넘버를 기재하여 측정기(1)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즉, 구매자가 자신의 계정으로 관리 사이트(10)를 접속하여 측정기(1)를 등록하면 관리 사이트(10)에서 구매자 계정으로 측정기(1)를 소속시켜 측정기(1)의 용이한 관리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관리 사이트(10)에서는 등록된 측정기(1)에서 전송하는 측정정보의 수신을 허가하여 측정기(1)에서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수집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구매자는 관리 사이트(10)에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자신 소유의 측정기(1)를 통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 정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단계(S40)는 기기의 작동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측정기(1)를 예지 보전하고자 하는 기기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상기 측정기(1)를 기기에 설치하면 상기 측정기(1)는 실시간으로 기기의 작동정보를 측정 수집하고, 그 수집된 측정정보를 상기 관리 사이트(10)로 전송하는데, 이러한 전송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의 상기 관리단계(S50)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단계(S50)는 관리 사이트(10)는 기기에 설치된 측정기(1)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받아 클라우드 서버(11)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로,
상기 측정기(1)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고유 IP 주소가 입력되며, 상기 측정기(1)는 반복적으로 인터넷망을 통한 관리 사이트(10)로 접속을 시도하는 접속과정(S51)과, 인터넷이 연결되어 상기 측정기(1)가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10)로 접속되면 상기 측정기(1)는 수집되는 기기에 대한 측정정보를 관리 사이트(10)로 전송하는 전송과정(S52)과, 상기 측정기(1)로부터 측정정보를 전송받은 관리 사이트(10)는 상기 측정기(1)의 고유 시리얼넘버와 매칭되는 고유의 공간을 클라우드 서버(11)에 개설하고, 그 공간에 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과정(S53)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기(1)는 최초 제작시 관리 사이트(10)로 접속할 수 있는 고유 IP 주소(경로)가 입력되어 설계되며, 상기 측정기(1)가 작동시 자동으로 측정된 정보를 상기 관리 사이트(10)로 전송하기 위해 반복적(주기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관리 사이트(10)로 접속을 시도하는데, 만약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측정기(1)는 측정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관리 사이트(10)로 접속되는 순간에 관리 사이트(10)로 측정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전송되어 상기 클라우드 서버(11)에 저장된 정보는 기기의 컨디션을 검출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되는데, 이에 대한 것은 아래의 상기 검출 출력단계(S60)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 출력단계(S60)는 관리 사이트(10)는 측정기(1)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기기의 상태를 판단하며,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등록된 측정기(1)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그 측정기(1)가 설치된 기기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측정기(1)가 설치되는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기기의 작동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보는 관리 사이트(10)에 정상상태 베이스 정보로 수집 저장되는 제1수집과정(S61)과, 상기 측정기(1)가 설치되는 기기가 고장 전인 상태에서 기기의 작동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보는 관리 사이트(10)에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로 수집 저장되는 제2수집과정(S62)과, 상기 관리단계(S50)의 전송과정(S52)에서 실시간 상기 측정기(1)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는 관리 사이트(10)의 판별부(12)에서 상기 제1,2수집과정(S61,S62)에서 수집되는 정상 및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와 대비하여 실시간 기기에 대한 상태(컨디션)를 검출하되, 그 검출되는 실시간 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측정기 고유의 시리얼넘버와 매칭되게 개설되는 클라우드 서버(11)의 고유 공간에 저장되도록 하는 판별과정(S63)과,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등록된 측정기(1)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그 측정기(1) 고유의 시리얼넘버와 매칭되게 개설된 클라우드 서버(11)의 고유 공간에 저장된 기기의 컨디션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자가 실시간 기기의 상태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출력과정(S6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수집과정(S61,S62)에서 수집 저장되는 정상 및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는 관리 사이트(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이며, 상기 측정기(1)가 다양한 기기에 설치 사용될 수 있는 특성상, 상기 관리 사이트(1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양한 기기에 대한 정상 및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가 저장 관리됨은 물론이며, 상기 측정기(1)가 설치되는 기기에 해당하는 정상 및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를 선택 추출하여 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기반으로 사용함은 물론이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기(1)에서 수집된 측정정보가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10)로 전송되면 상기 판별부(12)에서 측정기(1)가 설치된 기기에 해당하는 정상 및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와 측정정보를 대비하여 실시간 기기의 컨디션(상태)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는 클라우드 서버(11)에 저장 관리한다.
일 예로, 정상 및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기(1)의 측정정보 값이 설정된 임계값에 근접, 초과 등의 결과치를 통해 기기의 컨디션을 검출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한정하여 기기의 컨디션을 검출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11)에 저장된 기기의 컨디션 정보는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요청하면, 곧바로 전송 제공하여 구매자가 실시간으로 기기의 컨디션 정보를 신속하고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구매자는 상기와 같은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 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체계적인 점검/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기기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기(1)에서 전송하는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컨디션을 판별하는 상기 판별부(12)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임계값을 기반으로 정보를 비교하여 기기의 상태를 검출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입단계(S20)에서 구매자가 입력하는 가입정보에는 구매자의 휴대폰 정보가 포함되어 입력되며,
상기 검출 출력단계(S60)의 판별과정(S63)에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이 기기의 점검이나 관리가 요구되는 경보상황으로 검출되면 관리 사이트에서 상기 측정기 구매자의 휴대폰으로 문자 또는 전화로 경보하여 기기의 용이한 예비보전을 유도한다.
즉, 구매자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로 로그인하여 자신이 등록한 측정기(1)기 설치된 기기의 컨디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사이트(10)로 접속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기기에 대한 컨디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데, 이때 관리 사이트(10)의 판별부(12)를 통해 기기의 이상징후가 검출되는 위급한 상황의 경우엔 상기 관리 사이트(10)는 구매자의 휴대폰(2)으로 문자/전화를 발신 경보하여 구매자가 기기의 점검/수리를 신속하게 수행하여 기기의 고장으로 인해 설비의 동작이 전체적으로 중단되어 발생할 수 있는 엄청난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100)은 기기의 작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측정기(1)를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 측정기(1)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할 수 있는 관리 사이트(10)를 구축하고, 그 구축된 관리 사이트(10)는 인터넷망을 통해 구매자가 구매한 측정기(1)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측정기(1)에서 전송하는 기기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검출하고, 그 검출정보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10)로 접속하는 구매자에게 출력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구현함으로, 중소기업 등과 같은 소규모도 설비 공장에서 측정기(1)의 구입만으로 기기의 예지 보전 서비스를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예지 보전시스템의 시장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측정기(1) 및 관리 사이트(10)를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는 예지 보전시스템을 원하는 고객에게 손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 고객층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100)은 다음과 같이 기기의 예지 보전을 서비스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는 기기의 작동정보를 수집하는 측정기(1)를 구입한 후에 상기 측정기(1)를 관리하는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하여 본인 고유의 계정을 획득한다.
이때, 구매자는 회원 가입 과정에서 자신의 휴대폰(2) 정보를 입력한다. (S10), (S20)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는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자신이 구매한 측정기(1) 고유의 시리얼넘버를 기재하여 측정기(1)를 등록한 후, 그 측정기(1)는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에 설치한다. (S30), (S40)
그러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기(1)는 기기의 작동정보를 측정 수집하고, 그 측정정보를 관리 사이트(10)로 전송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는데,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10)로 접속되면 측정정보를 전송하게 되며, 이렇게 전송되는 측정정보는 관리 사이트(10)의 클라우드 서버(11)에 저장 관리된다. (S50)
그런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사이트(10)의 판별부(12)는 기기의 정상 및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와 상기 측정기(1)를 통해 측정 전송된 측정정보와 대비하여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을 판별하며, 그 판별정보는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에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요청하면 전송 제공하여 구매자가 실시간 기기의 컨디션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기기의 안정적인 점검/관리를 유도하게 된다. (S60)
만약,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로 접속하지 않아 기기의 컨디션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판별부(12)에서 기기의 이상징후를 검출하면 곧바로 구매자의 휴대폰(2)으로 문자 또는 전화로 경보하여 기기의 신속한 점검/관리를 유도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측정기 2. 휴대폰
10. 관리 사이트 11. 클라우드 서버
12. 판별부
S10. 구매단계 S20. 가입단계
S30. 등록단계 S40. 설치단계
S50. 관리단계 S51. 접속과정
S52. 전송과정 S53. 저장과정
S60. 검출 출력단계 S61. 제1수집과정
S62. 제2수집과정 S63. 판별과정
S64. 출력과정
100.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Claims (4)

  1.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를 운영 관리하는 운영업체에서 관리하는 측정기(1)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구매하는 구매단계(S10);
    상기 측정기(1)를 구매한 구매자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가입정보를 입력하고 회원 가입하여 구매자 고유의 계정을 획득하는 가입단계(S20);
    구매자는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구매한 측정기 고유의 시리얼넘버를 기재하여 측정기(1)를 등록하는 등록단계(S30);
    기기의 작동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측정기(1)를 예지 보전하고자 하는 기기에 설치하는 설치단계(S40);
    관리 사이트(10)는 기기에 설치된 측정기(1)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받아 클라우드 서버(11)에 저장 관리하는 관리단계(S50); 및
    관리 사이트(10)는 측정기(1)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기기의 상태를 판단하며,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등록된 측정기(1)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그 측정기가 설치된 기기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검출 출력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계(S50)는,
    상기 측정기(1)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고유 IP 주소가 입력되며, 상기 측정기(1)는 반복적으로 인터넷망을 통한 관리 사이트(10)로 접속을 시도하는 접속과정(S51)과,
    인터넷이 연결되어 상기 측정기(1)가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사이트(10)로 접속되면 상기 측정기(1)는 수집되는 기기에 대한 측정정보를 관리 사이트(10)로 전송하는 전송과정(S52)과,
    상기 측정기(1)로부터 측정정보를 전송받은 관리 사이트(10)는 상기 측정기(1)의 고유 시리얼넘버와 매칭되는 고유의 공간을 클라우드 서버(11)에 개설하고, 그 공간에 측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과정(S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출력단계(S60)는,
    상기 측정기(1)가 설치되는 기기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기기의 작동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보는 관리 사이트(10)에 정상상태 베이스 정보로 수집 저장되는 제1수집과정(S61)과,
    상기 측정기(1)가 설치되는 기기가 고장 전인 상태에서 기기의 작동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보는 관리 사이트(10)에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로 수집 저장되는 제2수집과정(S62)과,
    상기 관리단계(S50)의 전송과정(S52)에서 실시간 상기 측정기(1)에서 수집 전송되는 측정정보는 관리 사이트(10)의 판별부(12)에서 상기 제1,2수집과정(S61,S62)에서 수집되는 정상 및 고장상태 베이스 정보와 대비하여 실시간 기기에 대한 상태(컨디션)를 검출하되, 그 검출되는 실시간 기기의 상태 정보는 상기 측정기(1) 고유의 시리얼넘버와 매칭되게 개설되는 클라우드 서버(11)의 고유 공간에 저장되도록 하는 판별과정(S63)과,
    구매자가 관리 사이트(10)에 접속하여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등록된 측정기(1)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그 측정기 고유의 시리얼넘버와 매칭되게 개설된 클라우드 서버(11)의 고유 공간에 저장된 기기의 컨디션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자가 실시간 기기의 상태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출력과정(S6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단계(S20)에서 구매자가 입력하는 가입정보에는 구매자의 휴대폰 정보가 포함되어 입력되며,
    상기 검출 출력단계(S60)의 판별과정(S63)에서 기기의 실시간 컨디션이 기기의 점검이나 관리가 요구되는 경보상황으로 검출되면 관리 사이트(10)에서 상기 측정기(1) 구매자의 휴대폰(2)으로 문자 또는 전화로 경보하여 기기의 용이한 예비보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KR1020190106170A 2019-08-28 2019-08-28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KR20210026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170A KR20210026001A (ko) 2019-08-28 2019-08-28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PCT/KR2020/009658 WO2021040237A1 (ko) 2019-08-28 2020-07-22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170A KR20210026001A (ko) 2019-08-28 2019-08-28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001A true KR20210026001A (ko) 2021-03-10

Family

ID=7468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170A KR20210026001A (ko) 2019-08-28 2019-08-28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6001A (ko)
WO (1) WO20210402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2465A (ja) * 2005-03-14 2006-09-21 Omron Corp 製造装置の予知保全装置、並びに、製造装置の予知保全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38614B1 (ko) * 2014-01-08 2016-07-20 (주)매직에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KR101677358B1 (ko) * 2015-01-28 2016-11-18 주식회사 엑센솔루션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주조 설비에 대한 고장 예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7028383A (ja) * 2015-07-17 2017-02-02 Kddi株式会社 センサ収容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管理サーバ、センサ収容方法及びセンサ収容プログラム
KR101859070B1 (ko) * 2016-03-14 2018-05-18 (주)다울 대규모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237A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7807B2 (en) Using augmented reality to create an interface for datacenter and systems management
CN109857020A (zh) 远程运维管理系统
CN108259241A (zh) 一种云平台监控系统的异常定位方法和装置
JP2005508543A (ja) 規則に適合させるシステムと方法
JP4936713B2 (ja) 電気事故情報提供システム、電気事故情報提供方法、および、電気事故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05049223A (zh) 一种电力通信网缺陷故障处理决策辅助分析方法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KR100679118B1 (ko) 설비의 최적관리기법을 이용한 시설자산관리 및 에이에스피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169692A (zh) 一种设备隐患处理系统、方法、电子设备及介质
JP2017207894A (ja) 統合監視運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27888B1 (ko) 스마트 배전반 관리 시스템
CN114793132A (zh) 一种光模块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181786B (zh) 一种巡检应用的配置方法、装置及设备
JP2009009538A (ja) 運転状況分析方法および運転状況分析システム
KR20210026001A (ko)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CN107250931B (zh) 能源服务推荐引擎
JP2015191444A (ja) 修理支援システム及び修理部品選定方法
JP2018022371A (ja) メンテナンス方法、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8022372A (ja) メンテナンス方法、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7180390B (zh) 用于数据处理的设备
CN110875832A (zh) 异常业务监控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108883A (ko) 사물 인터넷과 아이티 기술을 이용한 건물 설비 안전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37350B1 (ko) Ict 기반의 전기안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JP5204075B2 (ja) 運転状況分析方法および運転状況分析システム
CN107067137A (zh) 一种电力营销计量班日常业务管理控制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