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614B1 -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614B1
KR101638614B1 KR1020140156417A KR20140156417A KR101638614B1 KR 101638614 B1 KR101638614 B1 KR 101638614B1 KR 1020140156417 A KR1020140156417 A KR 1020140156417A KR 20140156417 A KR20140156417 A KR 20140156417A KR 101638614 B1 KR101638614 B1 KR 101638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unit
code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013A (ko
Inventor
안진섭
박기환
최재규
최형욱
Original Assignee
(주)매직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직에코 filed Critical (주)매직에코
Publication of KR2015008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75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30/00IoT infrastructure
    • G16Y30/10Security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 H04L43/028Capturing of monitoring data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7Graphical ident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사물기기(internet of things)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지원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구입한 사물기기를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고,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과 로직에 따른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관리서버에서 저작 및 생성하고, 사물기기의 센서들이 센싱하는 정보들 중에서 의미 있는 정보들만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송수신부와,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와, 상기 토큰 생성부가 생성한 토큰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토큰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토큰 검증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네크워크에 연결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토큰이 포함된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 인코더와, 상기 QR코드 인코더가 생성한 QR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통신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QR코드에서 토큰을 추출하는 QR코드 디코더를 포함하는 사물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토큰 검증부에서 상기 토큰 생성부가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토큰과 상기 사물기기의 상기 QR코드 디코더가 추출하여 전송하는 토큰이 동일한 것으로 검증하면, 해당 사물기기를 사용 가능하도록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서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사물기기(internet of things)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지원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구입한 사물기기를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고,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과 로직에 따른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관리서버에서 저작 및 생성하고, 사물기기의 센서들이 센싱하는 정보들 중에서 의미 있는 정보들만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의 생산자/소비자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어 왔다. 미래에는 가전, 센서 등 우리 주변의 사물까지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물 주변의 환경 정보, 사물 자체의 정보도 공유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즉, IoT를 지원하는 사물인터넷 기기(이하 '사물기기'라 함)는 향후 급속히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되고 있다.
IoT를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 상호작용, 정보공유가 가능해지면, 사물 스스로 판단하는 지능형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기업은 비용절감, 나아가 녹색 성장을 위한 그린 IT를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가 될 수 있다. 이러한, IoT 시대가 도래하면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IoT를 지원하는 사물기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을 통해 센서, 가전기기 등 IoT를 지원하는 사물기기에 접속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IoT를 지원하는 사물기기들은 사용 전에 기기를 활성화시킬 목적으로 관리서버에 사물기기의 등록을 먼저 하게 된다. 이때, 사물기기의 라벨에 적혀있는 제품번호(시리얼넘버)를 입력한다.
그러나 제품번호는 일반적으로 문자열이 알파벳과 숫자 또는 특수문자가 섞여 있어 사용자가 입력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사물기기를 자신의 계정 정보와 연결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물기기의 등록시에 특정 계정으로 기기 활성화를 시켜서 사물기기가 등록을 시도한 계정의 사용자의 것임을 명시해야 하기 때문에 단지 제품의 번호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것 이상의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제품의 번호를 어떤 규칙(예: 일렬로 )으로 만들어 부여할 경우, 해당 제품을 가지고 있지 않는 사용자가 등록을 할 수 있어서 정작 제품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등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은 보통 사물기기에 들어있게 되거나 또는 사물기기로 해당 로직을 다운로드하여 구동하게 된다. 보편적으로는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이 사물기기 내에 들어있는 경우로 사물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로직을 변경할 수 없다. 또한 보다 진보된 사용법으로는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을 사물기기로 다운로드할 경우인데, 사물기기가 저사양일 경우 한 개 이상의 로직을 동시에 구동하기에 하드웨어상의 제약사항이 발생한다.
그리고 사물기기는 보통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들을 구비하는데, 현재의 기술은 센서 정보를 수집하는 부분과 센서 정보를 모아서 서버 혹은 중간 데이터 수집 노드를 통해서 전송하는 기술에 집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센서 정보를 어떻게 전송하기 전에 보관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을 없는 상태이다
센서마다 특정이 있어서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의미가 없다. 또 서비스에 따라서 측정을 할 수는 있어도 의미적으로 필요가 없는 데이터가 있다. 이렇게 측정해야 하는 범위가 있을 때 기존의 방법은 모든 데이터를 그대로 쌓아서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필요없는 데이터, 의미 없는 데이터를 기록, 보관, 전송하게되는 문제가 있다.
각 센서들을 주기적으로 감지된 값들을 전송한다. 이 값은 작은 데이터이지만 그 주기에 따라서 많은 량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들은 데이터의 raw 값을 그대로 쌓아서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서 저장해야하는 데이터량이 너무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기술은 각 센서 값(raw data)을 저장, 전송하기 때문에 센서의 이상 여부를 빠르게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참고로, 사물인터넷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91729호 "사물인터넷 보안시스템 및 방법", 공개특허 제10-2014-0059768호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 공개특허 제10-2014-0076948호 "사물인터넷에서의 데이터 메시지 교환 장치 및 방법" 등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물기기의 사용을 위해서 관리서버에 등록해야 할때 사물기기의 시리얼 번호(또는 바코드나 QR코드)를 단말기(예, 스마트폰)와 사물기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를 매개로 해서 쉽고 빠르며 안전하게 관리서버에 등록하고, 단말기(스마트폰)로 로그인을 해서 사용자에 관한 1차 인증이 이루어지고, 이후 실제 사물기기를 통해서 관리서버에 등록을 하는 2차 인증을 하게 되어서 타인이 등록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을 관리서버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저작을 할 수 있어서 사물기기를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제어 가능하고, 로직을 관리서버에서 구동시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사물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저사양 사물기기에서도 다수의 복잡한 로직들을 실행할 수 있고,
사물기기에 구비되는 센서들의 센싱 정보의 수집과 저장 및 전송 방법에 관한 정책을 관리서버로부터 받아 정책에 따라 센서들의 정보를 수집 및 필터링하여 의미 있는 정보들만을 효율적으로 사물기기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송수신부와,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와,
상기 토큰 생성부가 생성한 토큰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토큰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토큰 검증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네크워크에 연결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토큰이 포함된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 인코더와,
상기 QR코드 인코더가 생성한 QR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통신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QR코드에서 토큰을 추출하는 QR코드 디코더를 포함하는 사물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토큰 검증부에서 상기 토큰 생성부가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토큰과 상기 사물기기의 상기 QR코드 디코더가 추출하여 전송하는 토큰이 동일한 것으로 검증하면, 해당 사물기기를 사용 가능하도록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사물기기 각각에 대한 시리얼넘버가 저장되고, 상기 토큰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해당 사물기기의 시리얼넘버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토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을 저작하는 저작부와,
상기 저작부에서 저작된 로직이 등록되고, 등록된 로직에 따른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사물기기로 전송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물기기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를 필터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필터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가 전송하는 정책데이터에 따라 상기 필터의 필터링을 제어하는 정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은 2중 인증으로 안전한 안정하게 사물기기를 관리서버에 등록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고, 사물기기의 카메라가 QR코드를 촬영하여 간편하게 사물기기를 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고,
사물기기를 구동시키는 로직을 사용자가 관리서버에서 직접 Drag and Drop 방식으로 간편하게 저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 저작된 로직들을 수정 가능하며 다른 사용자의 저작된 로직들도 사용자의 사물기기로 인식 및 수정이 가능하고, 로직에 따른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사물기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관리서버에 구비되어서 저사양 사물기기에서도 복잡한 복수의 로직들을 실행시킬 수 있고,
또한, 사물기기의 센서에서 감지되는 센싱 정보의 수집 범위, 저장 방법, 전송 방법 등에 대한 정책을 관리서버에서 설정하여, 센서의 특성에 따라서 유효한 센싱 정보가 수집, 저장 및 전송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3 은 Io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물기기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은 사물기기(10), 관리서버(20), 단말기(3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사물기기(10)로 도면에서는 조명 스탠드를 도시하고 있지만, 사물기기(10)는 우리들의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사물들, 예를 들면, 전화기, 에어콘, 선풍기, TV, PC, 시계, 형광등 등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사물기기(10)는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13)(예; Wi-Fi모듈)과, 주변의 정보를 감지하여 취득하는 센서(11a,b,c)와, 사물기기(10)의 본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12)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사물기기(10)에는 본 발명에 따라 IoT 기기로 사용하기 전에 기기를 활성하시킬 목적으로 관리서버(20)에 안전하고 간편하게 등록을 할 수 있도록 카메라(14)와 QR코드 디코더(18)(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사물기기(10)에는 상기 센서(11a,b,c)들이 감지하는 센싱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디코더(18)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해서 필터(17)와 정책모듈(16)과, 압축모듈(19) 등이 구비된다.
상기 사물기기(10)에 장착되는 센서(11a,b,c)로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주변의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인감지센서,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물기기(10)에 장착되는 카메라(14)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30)(예; 스마트폰)의 표시부(31)에 디스플레이되는 QR코드를 촬영하고, 상기 QR코드 디코더(18)(15)는 상기 카메라(14)가 촬영한 QR코드 이미지에서 토큰 정보를 추출하고, 더블어 QR코드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ID, 사물기기(10)의 시리얼넘버 등을 더 추출할 수 있다.
사물기기(10)를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하고, 사물기기(10)에 장착된 센서(11a,b,c)가 센싱하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사물기기(10)는 센서(11a,b,c) 등에서 취득되는 정보를 자체 메모리(18)에 저장하고 또한 관리서버(20)로 전송을 하는데, 실시간으로 취득되는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것은 필요 없고 무의미한 정보를 기록, 보관, 전송하는 것으로서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물기기(10)에서 실시간으로 취득되는 정보들 중에서 유의미한 정보만을 추려 보관하고 전송한다.
사물기기(10)의 센서(11a,b,c) 등에서 실시간으로 취득되는 정보들 중에서 유의미한 정보만을 추리기 위해서 사물기기(10)에는 필터(17)와 정책모듈(16)이 구비되며 관리서버(20)에는 정책설정부가 구비되고, 유의미한 정보로 메모리(18)에 저장된 정보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물기기(10)에는 압축모듈(19)이 구비된다.
상기 관리서버(20)의 정책설정부(26)는 사물기기(10)의 특성에 따른 센서(11a,b,c) 등의 정보의 수집 범위, 저장 방법, 전송 방법 등에 대한 정책을 설정하고, 설정된 정책을 사물기기(10)로 전송한다.
상기 정책설정부(26)에 설정되는 정책에는 센서(11a,b,c)와 액추에이터(12) 등의 각각의 ID, 구동여부(온오프 시간), 정보 수집 범위의 최소 값과 최대 값, 정보의 수집 간격, 정보의 전송 시간 등이 포함된다.
상기 사물기기(10)의 정책모듈(16)은 상기 관리서버(20)의 정책설정부(26)가 전송한 정책을 등록하여 관리하고, 등록된 정책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필터(17)로 전송하여 필터(17)가 제어신호에 따라 사물기기(10)의 센서(11a,b,c)와 액추에이터(12) 등을 구동시키고, 구동에 따라 취득되는 정보에서 유의미한 정보만을 추려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필터(17)는 상기 정책모듈(16)이 전송하는 정책데이터에 따라 센서(11a,b,c)들을 구동시키고, 센서(11a,b,c)들이 감지하는 전송하는 정보, 즉, 수집되는 정보를 정책데이터에 따라 필터링하여 유효한 정보만을 걸러내어 메모리(18)에 저장시키고, 메모리(18)에 저장된 정보가 통신모듈(13)을 통해 관리서버(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17)는 센서(11a,b,c) 등에서 실시간으로 취득되는 정보에서 정책으로 설정된 수집범위에 있는 정보만을 걸러낸다. 예를 들면, 1~100의 값을 센싱하는 센서(11a,b,c)가 있는 경우에 50~70의 값을 수집 범위로 설정한 경우에, 센서(11a,b,c)에서 40, 50, 51, 70, 90의 값이 센싱되는 경우에 40, 90은 수집범위를 벗어나서 걸러지고 50, 51, 70은 수집범위 내에 있어 수집된다.
그리고 이때, 40, 50, 51, 70, 90의 값을 최소의 비트로 저장될 수 있도록 이들은 수집범위의 최저 값과의 차로 저장되고, 수집범위를 벗어나는 값은 오류(-1)로 저장된다. 즉, 수집범위 최저 값이 50과의 차인 -1, 0, 1, 20, -1의 값으로 저장된다.
이렇게 수집된 센서(11a,b,c) 등의 정보는 메타데이터와 함께 메모리(18)에 저장된다. 상기 메타데이터에는 버전, 센서(11a,b,c) ID, 기준 시간, 수집범위의 최소 값과 최대 값, 수집간격, 데이터 사이즈 등이 포함된다.
상기 압축모듈(19)은 센서(11a,b,c)별로 수집되어 저장된 정보과 메타데이터를 압축하여 센서(11a,b,c)블럭을 만들고, 버전과 센서(11a,b,c) 블럭 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메타블럭에 센서(11a,b,c)블럭을 붙여 전송블럭을 만들어서 상기 통신모듈(13)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3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고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기로서, 근래에 생활 필수품이 되고 있는 스마트폰이 대표적인 상기 단말기(30)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기 지원 시스템을 지원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애플리케이션에는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 인코더(35)가 구비된다.
그리고 단말기(30)에는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33)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31)가 구비된다. 스마트폰에는 통신부(33)와 표시부(31)가 이미 구비되어 있는 바, 스마트폰을 단말기(30)로 사용할 때에는 본 발명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만을 탑재시키면 된다.
상기 관리서버(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물기기(10)에 연결되어서 원격에서 사물기기(10)를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서버(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서 상기 사물기기(10)와 단말기(3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수신부(23)와, 사물기기(10)의 등록을 위한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27)와, 생성한 토큰과 수신된 토큰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토큰 검증부(28)와, 상기 토큰 생성부(27)에서 생성한 토큰과, 시장에 출시된 사물기기(10)들 각각에 대한 시리얼 넘버와, 사물기기(10)를 통한 IoT 서비스를 받기 위한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들의 회원정보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20)는 IoT 서비스를 받기 위해 등록한 사물기기(10)를 관리서버(20)에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저작부(21)와, 구동부(22)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PC나 단말기(30)를 이용해 관리서버(20)의 저작부(21)에 접속하여 사물기기(10)를 제어하는 로직을 저작할 수 있다.
로직은 사용자가 쉽게 저작할 수 있도록 Drag and Drop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작부(21)에서 제공하는 화면에 사물기기(10)에 구비되는 센서(11a,b,c), 액추에이터(12), 조명 등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아이콘을 드래그(Drag)해서 로직에 따른 단계의 로직블럭 상의 위치에 놓는(Drop) 방식으로 로직을 저작하도록 하여,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직접 로직을 쉽게 저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사용자들이 저작한 로직들도 화면을 제공하여서, 사용자가 그 로직을 자신의 로직에 이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식된 로직을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동부(22)는 상기 저작부(21)에서 저작된 로직을 저장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로직에 따른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23)를 통해 사물기기(10)로 전송한다. 구동신호를 전송받은 사물기기(10)는 구동신호에 따라서 센서(11a,b,c), 액추에이터(12) 등이 구동된다.
도3은 사물기기(10)를 사용하기 전에 활성화시키기 위해 관리서버(20)에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사물기기(10)를 관리서버(20)에 등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3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관리서버(20)에 접속하고, 로그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한다.
사용자 인증 후에는 사물기기(10)의 라벨에 적혀있는 시리얼넘버를 단말기(30)에 입력하고 관리서버(20)로 전송하여 등록을 시도한다. 여기서, 시리얼넘버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질 수도 있지만, 바코드나 QR코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숫자와 문자로 이루어진 시리얼넘버는 단말기(30)의 키보드로 입력하고, 바코드나 QR코드는 단말기(30)의 리더기가 읽어 입력하거나 또는 카메라(14)가 촬영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단말기(30)로부터 시리얼넘버를 전송받은 관리서버(20)는 그 시리얼넘버가 사용 가능한 것인지 확인한다. 즉, 이미 다른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시리얼넘버이거나 데이터베이스(29)에 저장되지 않은 시리얼넘버는 사용할 수 없는 시리얼넘버는 사용할 수 없는 시리얼넘버로서 이때는 사용자의 단말기(30)에 그 내용을 전송한다.
사용 가능한 시리얼넘버로 확인되면, 토큰 생성부(27)가 토큰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29) 저장하고 또한 생성된 토큰을 단말기(30)로 전송한다.
토큰을 전송받은 단말기(30)는 QR코드 인코더(35)에서 토큰이 포함된 QR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QR코드를 표시부(31)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QR코드에는 토큰 이외에 사용자가 로그인한 계정 ID, 사물기기(10)의 시리얼넘버 등이 더 포함된다.
QR코드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사물기기(10)에 구비되는 버튼을 누르거나 기타 다른 방법을 통해 사물기기(10)가 '기기 등록 모드"가 되도록 한 후에, QR코드를 사물기기(10)에 구비되는 카메라(14)가 촬영하도록 한다.
카메라(14)를 통해 QR코드가 인식되면, 사물기기(10)의 QR코드 디코더(18)(15)는 QR코드에서 토큰, 사용자의 ID, 시리얼넘버 등을 추출하고, 추출한 시리얼넘버와 사물기기(10)의 시리얼넘버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시리얼넘버가 일치하면, 추출한 토큰을 관리서버(20)로 전송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토큰을 전송받은 관리서버(20)는 토큰 검증부(28)에서 전송받은 토큰과 데이터베이스(29)에 저장되어 있는 생성 토큰과 비교하여, 일치되면 해당 사물기기(10)를 등록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사물기기(10)의 관리서버(20)에의 등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PC나 단말기(30)를 이용해 관리서버(20)에 접속하고, 관리서버(20)의 저작부(21)에 접근하여 사물기기(10)의 모니터링과 제어 및 관리를 위한 로직을 저작한다.
상기 관리서버(20)의 저작부(21)는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로부터 해당 사물기기(10)를 확인하고, 사용자는 저작부(21)가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사물기기(10)의 센서(11a,b,c)와 액추에이터(12) 등의 아이콘을 Drag and Drop 방식으로 로직 블록에 배치시켜 로직을 손쉽게 저작할 수 있다.
관리서버(20)의 저작부(21)에서 저작된 로직은 사물기기(10)의 센서(11a,b,c)와 엑추에이터 등을 제어한다. 또한 조건문과 타이머 등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로직을 설계가능하다. 소셜 컴포넌트를 통해 사물기기(10)의 센서(11a,b,c)나 엑추에이터 정보를 소셜미디어에 개재할 수 있다. 생성된 로직은 사용자의 사물기기(10)에 해당하는 구동부(22)로 이동되어 직접 제어할 수도 있고, 다른 사용자의 로직에도 이식되어 다른 사용자의 사물기기(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서버(20)의 구동부(22)는 사용자와 사물기기(10)의 정보를 기반으로 저작된 로직들을 관리한다. 저작된 로직을 설치하거나 삭제 가능하며, 구동하거나 정지가능하다. 저작된 로직은 관리서버(20)의 송수신부(23)를 통해 연결된 사물기기(10)를 확인하여 구동을 수행한다. 하나의 사물기기(10)에는 다수의 저작된 로직들이 동시에 구동가능하다. 동작중인 로직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정지 및 재개 가능하다. 저작된 로직은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싱기 관리서버(20)의 송수신부(23)는 등록된 사물기기(10)의 접속을 관리하고 사물기기(10)의 구동을 위한 구동신호와 정보 요청신호 등의 제어문을 전달한다. 사물기기(10)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송수신부(23)로 접속을 시도하고 관리서버(20)의 송수신부(23)는 사물기기(10)로부터 요청들어온 접속을 관리한다. 또한 관리서버(20)의 구동부(22)로부터 온 요청을 사물기기(10)로 전달하거나 사물기기(10)로부터 발생한 데이터를 관리서버(20)의 구동부(22)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송수신부(23)와 사물기기(10)는 24시간 연결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제어 가능하다. 또한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바로 관리서버(20)의 구동부(22)로 전달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사물기기
11a,b,c : 센서 13 : 통신모듈
14 : 카메라 15 : QR코드 디코더
16 : 정책모듈 17 : 필터
18 : 메모리 19 : 압축모듈
20 : 관리서버
21 : 저작부 22 : 구동부
23 : 송수신부 26 : 정책설정부
27 : 토큰 생성부 28 : 토큰 검증부
29 : 데이터베이스
30 : 단말기
33 : 통신부 35 : QR코드 인코더

Claims (4)

  1.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송수신부와,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와,
    상기 토큰 생성부가 생성한 토큰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토큰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토큰을 비교하여 검증하는 토큰 검증부를 포함하는 관리서버;

    네크워크에 연결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토큰이 포함된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 인코더와,
    상기 QR코드 인코더가 생성한 QR코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통신모듈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QR코드에서 토큰을 추출하는 QR코드 디코더를 포함하는 사물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토큰 검증부에서 상기 토큰 생성부가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토큰과 상기 사물기기의 상기 QR코드 디코더가 추출하여 전송하는 토큰이 동일한 것으로 검증하면, 해당 사물기기를 사용 가능하도록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사물기기 각각에 대한 시리얼넘버가 저장되고, 상기 토큰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해당 사물기기의 시리얼넘버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토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물기기를 제어하는 로직을 저작하는 저작부와,
    상기 저작부에서 저작된 로직이 등록되고, 등록된 로직에 따른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사물기기로 전송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기기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를 필터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필터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가 전송하는 정책데이터에 따라 상기 필터의 필터링을 제어하는 정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KR1020140156417A 2014-01-08 2014-11-11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KR101638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130 2014-01-08
KR1020140002131 2014-01-08
KR20140002131 2014-01-08
KR20140002129 2014-01-08
KR20140002130 2014-01-08
KR1020140002129 2014-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013A KR20150083013A (ko) 2015-07-16
KR101638614B1 true KR101638614B1 (ko) 2016-07-20

Family

ID=5388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417A KR101638614B1 (ko) 2014-01-08 2014-11-11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723B1 (ko) * 2015-08-27 2016-06-1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게이트웨이 및 동작 방법
KR101716855B1 (ko) * 2015-10-20 2017-03-15 주식회사 뉴로메카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페어링 방법
KR102505663B1 (ko) 2015-11-18 2023-03-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ri 브로드캐스팅 기반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WO2017164446A1 (ko) * 2016-03-25 2017-09-2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IoT 기반의 센서 데이터 분석 및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7176051A1 (ko) * 2016-04-06 2017-10-12 (주)이스톰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 기기를 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12012B1 (ko) * 2016-10-28 2018-10-2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자격 토큰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85531B1 (ko) 2019-01-09 202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Em 신호의 특징을 등록하여 외부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적용한 전자 장치
KR20210026001A (ko) * 2019-08-28 2021-03-10 (주)아이티공간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대량의 기기 예지 보전 서비스 방법
KR102338354B1 (ko) * 2021-03-25 2021-12-13 주식회사 한컴코드게이트 기념품에 삽입되는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관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16647750B (zh) * 2023-04-24 2024-09-03 北京代码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平面图像获取方法、系统及终端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074B1 (ko) 2011-04-15 2012-05-23 소프트포럼 주식회사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인증서 이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67B1 (ko) * 2010-09-13 2013-03-20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코퍼레이션즈 휴대기기를 이용한 제품의 사후관리방법
KR101234962B1 (ko) * 2011-01-14 2013-02-19 주식회사 에스원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074B1 (ko) 2011-04-15 2012-05-23 소프트포럼 주식회사 영상코드를 이용한 단말간 인증서 이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013A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614B1 (ko)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CN101946267B (zh) 匹配通信设备
CN103365957B (zh) 基于邻近度和连接的照片共享
CN104838642B (zh) 用创建者身份或场景标记媒体的方法和设备
CN103189864B (zh) 用于确定个人的共享好友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CN103561072B (zh) 一种基于互联网的云数据处理方法及云数码相框
CN102714767A (zh) 信息终端装置、信息终端装置的操作方法及其程序
CN103914969A (zh) 移动终端装置以及控制电器设备的方法
TWI571833B (zh) 監測服務裝置、電腦程式產品、藉由影像監測提供服務之方法及藉由影像監測啓用服務之方法
CN106961655A (zh)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检测伪造通告器的装置和方法
JP2007174166A (ja) リモコン兼用携帯端末、およびav機器の遠隔制御方法
CN103944870B (zh) 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092926A (zh) 一种数码相机及该相机的图像保密方法
CN102822813A (zh) 基于辅助体验的配对
US2015029611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374797B1 (ko) 영유아를 위한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4932451A (zh) 一种多设备协同控制方法及装置
US201702515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WO2015111178A1 (ja) 空気調和機操作システム
KR101392126B1 (ko) 디브이알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6961664A (zh) 通信连接控制方法、装置及蓝牙键盘
CN106331337A (zh) 终端外设的启动方法及装置
KR101683294B1 (ko) 분실 단말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TWM431517U (en) Display with mobile communication
CN104850582A (zh) 一种索引式增强现实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