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962B1 -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962B1
KR101234962B1 KR1020110004124A KR20110004124A KR101234962B1 KR 101234962 B1 KR101234962 B1 KR 101234962B1 KR 1020110004124 A KR1020110004124 A KR 1020110004124A KR 20110004124 A KR20110004124 A KR 20110004124A KR 101234962 B1 KR101234962 B1 KR 10123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onic device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dimensional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326A (ko
Inventor
박창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1000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9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판독 단말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발급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구입되는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상기 2차원 바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d)상기 전자기기에 이상 발생시 또는 점검시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e)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인식된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독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f)상기 전자기기가 철거 또는 반납되는 경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판독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g)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2차원 바코드 및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 또는 추가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wo-dimensional bar code}
본 발명은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소비자가 구입한 제품에 대한 서비스 제공시, 제품 제조사는 고객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고객 DB로부터 알아내거나, 고객이 콜센터 등으로 전화를 하는 경우에는 고객에게 계약처 명이나 전화번호 또는 주소를 물어보아 고객의 정보를 일일이 물어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객 정보는 현장에서 바로 확인하기가 어려웠고, 고객에게 일일이 물어 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현재 고객 전화번호로 고객을 찾을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사무실의 경우 대표전화 번호가 전송되거나 고객 휴대폰 번호가 바뀌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바로 고객 정보를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판독 단말기를 통하여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해당 고객의 계약정보를 확인하여 고객에게 응대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객이 전자기기에 이상 또는 문의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촬영하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함과 동시에 서비스 서버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필요 시에 편리하게 상담받을 수 있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범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식하여 저장한 다음, 원격지에서도 2차원 바코드를 선택하면 실시간으로 방범기기의 관할 경비구역의 방범상황을 체크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판독 단말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발급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구입되는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상기 2차원 바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d)상기 전자기기에 이상 발생시 또는 점검시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e)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인식된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독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f)상기 전자기기가 철거 또는 반납되는 경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판독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g)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2차원 바코드 및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 또는 추가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판독단말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발급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구입되는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상기 2차원 바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d)상기 전자기기에 이상 발생시 또는 문의사항 발생시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이를 관리하는 업체의 콜 센터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e)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콜 센터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f)상기 전자기기가 철거 또는 반납되는 경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판독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g)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2차원 바코드 및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 또는 추가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b-1)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1)단계에서, b-2)사용자가 원격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2차원 바코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이를 관리하는 업체의 콜 센터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b-3)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콜 센터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b-4)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는 소정 관할 영역을 경비하는 방범기기일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는 상기 방범기기의 세트, 해제, 순회, 보수, 정상, 이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및 계약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독 단말기를 통하여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해당 고객의 계약정보를 확인하여 고객에게 응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전자기기에 이상 또는 문의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촬영하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함과 동시에 서비스 서버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필요 시에 편리하게 상담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범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식하여 저장한 다음, 원격지에서도 2차원 바코드를 선택하면 실시간으로 방범기기의 관할 경비구역의 방범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의 b)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의 서비스 서버의 물류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300), 데이터 베이스(310), 판독 단말기(130),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120)를 관리한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제품(이하, 전자기기라 함)(120)의 외부에 부착되어 그 전자기기(120)의 제품을 인증하는 2차원 바코드가 후술하는 판독단말기(13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의하여 인식된 후, 그 인식된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통신부(미도시)와 서버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중계기(200)를 통한 데이터통신을 통하여 상기 판독단말기(13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서버(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예를 들면,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한 정보)를 사용자, 즉 고객 CRT번호(즉, 전자기기의 단말번호)나 계약번호와 같이 고객별로 리스트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1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판독 단말기(13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전화로 연결되어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콜센터(예를 들면,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센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CRM 센터는 현재의 고객과 미래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하여 마케팅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통해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도록 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을 적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들에 대한 마케팅 활동(예를 들면, 제품 관련 상담 등)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판독 단말기(13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자동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직접 또는 상기 콜센터를 통하여 사용자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120)에 대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10)는,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120)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즉,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310)는 상기 서버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2차원 바코드에 대하여 고객 CRT번호(즉, 전자기기의 단말번호)나 계약번호 별로 리스트화된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게 된다.
상기 판독 단말기(130)는,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한다. 즉, 상기 판독 단말기(130)의 사용자, 즉 상기 전자기기(120)를 점검하는 담당자는 상기 판독 단말기(130)에 연결된 판독기(121)를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120)의 외부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게 하고, 이렇게 판독된 2차원 바코드의 정보를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상기 2차원 바코드에 대한 사용자, 즉 고객의 정보를 상기 판독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독 단말기(130)는 웹 카메라 등의 이미지 촬상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셀룰라 폰(cellul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판독 단말기(130)는 광학 스캐너 등의 이미지 판독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판독기(121)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웹 카메라 및 광학 스캐너 등의 이미지 판독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셀룰라 폰(cellul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인식하게 되며, 이렇게 인식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중계기(200)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 연결된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의 b)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의 서비스 서버의 물류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판독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측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a)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구입되는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S100), b)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00), c)상기 2차원 바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S300), d)상기 전자기기에 이상 발생시 또는 점검시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400), 및 e)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인식된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독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자기기의 외부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서비스 제공업체의 점검원이 판독단말기를 통하여 인식하여 이렇게 인식된 정보에 해당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아 이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보면서 고객에게 응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a)단계(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업체에서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최초 구입시 상기 전자기기를 인증하는 2차원 바코드를 발급한다. 또한, 상기 a)단계는, 해당 전자기기에 대하여 발급된 각각의 2차원 바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a)단계는, 상기와 같이 발급된 2차원 바코드를 전자기기에 부착한 다음, 판독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인식하게 된다.
상기 b)단계(S200)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판독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b)단계(S200)는 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즉, 고객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와 함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판독단말기를 사용하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점검자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각각의 단말기에 마련된 웹 카메라 및 광학 스캐너 등의 이미지 판독 수단을 이용한 2차원 바코드값과 키패드 등의 정보입력 수단에 의하여 직접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는 후술하는 d)단계(S4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b)단계(S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1)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250), b-2)사용자가 원격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2차원 바코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이를 관리하는 업체의 콜 센터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S260), b-3)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콜 센터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70), b-4)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는 소정 관할 영역을 경비하는 방범기기일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는 상기 방범기기의 세트, 해제, 순회, 보수, 정상, 이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된 2차원 바코드는 그 이미지가 인식된 다음 디코딩 과정을 거쳐 코드값을 추출한 후 메모리에 저장되게 되고, 그런 다음 사용자가 상기 저장된 코드값에 해당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된 다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콜 센터에 자동 연결되게 된다. 만일 이렇게 인식된 코드값이 직접 입력 방식에 의해 인식되었다면, 상기 디코딩 과정은 생략되고 바로 서비스 서버로 전송된 다음 상기 콜 센터와 자동 연결되게 된다.
상기 c)단계(S300)에서는, 상기 판독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2차원 바코드 정보와 사용자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한다. 상기 c)단계(S300)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서비스 제공업체의 판독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인식하게 한 후, 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즉, 고객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와 함께 전송받은 후, 이러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전송된 정보(예를 들면,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한 정보)를 사용자, 즉 고객 CRT번호나 계약번호와 같이 고객별로 리스트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하여 등록 및 저장하게 된다.
상기 d)단계(S400)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에 이상 발생시 또는 점검시 해당 점검자는 상기 판독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이렇게 인식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e)단계(S500)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송된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독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즉, 이러한 e)단계(S500)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판독단말기로부터 상기 2차원 바코드에 대한 인식 정보를 전송받아, 이러한 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된 전자기기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판독단말기에 전송하여 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f)상기 전자기기가 철거 또는 반납되는 경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판독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S600), 및 g)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2차원 바코드 및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 또는 추가분류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기기가 철거 또는 반납 되는 경우, 철거 또는 반납된 전자기기의 외부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판독단말기를 통하여 인식한 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전자기기의 철거 또는 반납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고, 기존에 설치되었던 고객 및 계약처의 전자기기 정보에서 자동으로 삭제 또는 추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및 계약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과는 달리 고객이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외부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인식하여 이렇게 인식된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함과 동시에 빠르게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a)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구입되는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S100'), b)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00'), c)상기 2차원 바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S300'), d)상기 전자기기에 이상 발생시 또는 문의사항 발생시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이를 관리하는 업체의 콜 센터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S400'), 및 e)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콜 센터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이동통신 단말기 120: 전자기기
130: 판독단말기 200: 중계기
300: 서비스 서버 310: 데이터 베이스

Claims (7)

  1.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판독 단말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발급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구입되는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상기 2차원 바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리스트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d)상기 전자기기에 이상 발생시 또는 점검시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e)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인식된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상기 판독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f)상기 전자기기가 철거 또는 반납되는 경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판독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g)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2차원 바코드 및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자동으로 삭제 또는 추가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b-1)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1)단계에서,
    b-2)사용자가 원격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2차원 바코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이를 관리하는 업체의 콜 센터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b-3)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콜 센터가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b-4)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2.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를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전자기기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판독단말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발급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구입되는 전자기기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상기 인식된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와 함께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상기 2차원 바코드와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리스트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d)상기 전자기기에 이상 발생시 또는 문의사항 발생시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이를 관리하는 업체의 콜 센터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e)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콜 센터가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f)상기 전자기기가 철거 또는 반납되는 경우,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상기 판독단말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판독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g)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2차원 바코드 및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자동으로 삭제 또는 추가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단계에서,
    b-1)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2차원 바코드를 인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1)단계에서,
    b-2)사용자가 원격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2차원 바코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이를 관리하는 업체의 콜 센터에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
    b-3)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콜 센터가 상기 사용자의 CRT번호 또는 계약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2차원 바코드가 부착된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b-4)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소정 관할 영역을 경비하는 방범기기일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는 상기 방범기기의 세트, 해제, 순회, 보수, 정상, 이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10004124A 2011-01-14 2011-01-14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3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24A KR101234962B1 (ko) 2011-01-14 2011-01-14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24A KR101234962B1 (ko) 2011-01-14 2011-01-14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326A KR20120087326A (ko) 2012-08-07
KR101234962B1 true KR101234962B1 (ko) 2013-02-19

Family

ID=4687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124A KR101234962B1 (ko) 2011-01-14 2011-01-14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614B1 (ko) * 2014-01-08 2016-07-20 (주)매직에코 사물인터넷 지원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912A (ko) * 2001-09-11 2003-03-19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제품의 보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912A (ko) * 2001-09-11 2003-03-19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제품의 보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326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066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transaction request from device
KR20130038102A (ko)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CN103563346A (zh) 用于建立通信会话的系统和方法
KR102274107B1 (ko) 무인 키오스크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드라이브 스루 주문 방법
CN103971273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3582169B (zh) 多层网络连线通信系统、智能终端装置及其通信方法
KR101234962B1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02114B1 (ko) 스마트 공사 관리 시스템
CN103310316A (zh) 基于手持移动终端的汽车物流pdi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KR20160014127A (ko)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135499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6323A (ko) 무선단말기와 연동되는 pos시스템
KR101491023B1 (ko) 중개대상물의 실물확인 정보가 제공되는 온라인 중개시스템의 중개방법
KR20130082555A (ko) 큐알코드를 활용한 주문방법 및 주문시스템
KR102174499B1 (ko) 렌트카 및 카쉐어링 제공하는 주유소 운영 시스템
CN102685027A (zh) 用于提供基于感兴趣的人的网络服务的方法和装置
KR101462121B1 (ko) 이종망 연동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1577A (ko) 홈쇼핑 상품 주문 방법 및 서버
KR20080022850A (ko) 단말장비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89780B1 (ko) 매장 주문 처리 방법
KR20170039463A (ko) 사용자 장치, 비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54817B1 (ko) Cpns 환경에서 단말 인식 및 접속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306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ss of portable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81353B1 (ko) 원격 주문서비스 제공 장치
KR102154740B1 (ko) 디바이스로부터의 결제 요청을 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