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845A -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845A
KR20210025845A KR1020190105697A KR20190105697A KR20210025845A KR 20210025845 A KR20210025845 A KR 20210025845A KR 1020190105697 A KR1020190105697 A KR 1020190105697A KR 20190105697 A KR20190105697 A KR 20190105697A KR 20210025845 A KR20210025845 A KR 2021002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lange
plate
notch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진
이강현
정정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845A/ko
Priority to US16/734,736 priority patent/US11414804B2/en
Publication of KR2021002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1/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within an enclosing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에 형성된 전단 플랜지와 후단에 형성된 후단 플랜지를 포함하며, 후단 플랜지에 인접하게 마련된 복수의 결합 구멍을 포함하는 드럼; 드럼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면판; 및 드럼의 후단에 설치되며, 드럼의 복수의 결합 구멍과 대응하는 복수의 후면 구멍을 포함하는 후면판;을 포함하며, 드럼의 후단 플랜지와 후면판에는 드럼에 대한 후면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후단 위치결정기구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이의 제작방법{Drum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에 사용되는 드럼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시 물을 수용하는 세탁조를 포함한다. 세탁조는 세탁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세탁조는 원통 형상의 드럼, 드럼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면판, 및 드럼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면판으로 구성되는 드럼 조립체로 구현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는 드럼 조립체를 제작할 때, 원통 형상의 드럼의 전단과 후단에 전면판과 후면판을 삽입한다. 그 후, 전면판과 후면판을 시밍 지그(seaming jig)에 고정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전면판과 후면판을 드럼의 전단과 후단에 조립한다.
이때, 드럼의 후면판과 드럼의 후단부 각각에는 플랜지 샤프트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후면판을 드럼의 후단에 고정할 때, 후면판의 복수의 구멍과 드럼 후단부의 복수의 구멍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드럼 조립체의 제작 과정에서 작업자가 후면판의 복수의 구멍과 드럼의 후단부의 복수의 구멍을 어긋나게 조립하면, 후면판에 플랜지 샤프트를 설치할 때, 나사 또는 볼트의 체결이 완전하게 되지 않는 세탁조 제조 불량이 발생한다.
또는, 후면판을 드럼의 후단에 결합하는 시밍 공정에서 회전력에 의해 후면판이 드럼에 대해 미끌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세탁조의 제조 불량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드럼의 복수의 구멍과 후면판의 복수의 구멍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면판에 플랜지 샤프트를 나사나 볼트로 고정할 때, 나사나 볼트가 아예 체결되지 않거나, 완전히 체결되지 않는 제조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드럼에 후면판 또는 전면판을 설치할 때, 후면판 또는 전면판의 복수의 구멍과 드럼의 복수의 구멍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후면판 또는 전면판이 드럼에 대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이러한 드럼 조립체를 구비하는 세탁기, 및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에 관련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에 형성된 전단 플랜지와 후단에 형성된 후단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후단 플랜지에 인접하게 마련된 복수의 결합 구멍을 포함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면판; 및 상기 드럼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의 복수의 결합 구멍과 대응하는 복수의 후면 구멍을 포함하는 후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와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드럼에 대한 상기 후면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후단 위치결정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노치; 및 상기 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판이 상기 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의 적어도 한 개의 돌기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2개의 노치; 및 상기 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2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판이 상기 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판의 상기 적어도 2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2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후면판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노치; 및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판이 상기 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는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판에는 플랜지 샤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 샤프트의 플랜지 측면에는 상기 후면판의 복수의 후면 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은 상기 전단 플랜지에 인접하게 마련된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기 드럼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대응하는 복수의 전면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와 상기 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드럼에 대한 상기 전면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단 위치결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노치; 및 상기 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이 상기 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의 적어도 한 개의 돌기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전면판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노치; 및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이 상기 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는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에는 볼 밸런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은, 프레스 가공으로 평판 형상의 드럼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드럼 시트를 원통 형상으로 감고, 접하는 상기 드럼 시트의 양 측단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드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양단을 90도로 벤딩하여 전단 플랜지와 후단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전단에 전면판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후단에 후면판을 삽입하는 단계; 및 시밍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을 상기 드럼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는 적어도 한 개의 노치가 마련되며,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드럼의 후단에 상기 후면판을 삽입할 때, 상기 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가 상기 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는 상기 드럼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은 상기 드럼의 복수의 결합 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후면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판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후면 구멍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은 상기 드럼의 상기 후면판에 플랜지 샤프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은 상기 전단 플랜지에 인접하게 마련된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상기 전단 플랜지에 마련된 적어도 한 개의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기 드럼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대응하는 복수의 전면 구멍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은 상기 드럼의 상기 전면판에 볼 밸런서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는 전단 위치결정기구와 후단 위치결정기구를 이용하여 드럼에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하므로, 전면판의 복수의 전면 구멍과 후면판의 복수의 후면 구멍이 드럼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 및 결합 구멍과 어긋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 공정에서, 전면판에 설치된 볼 밸런서와 후면판에 설치된 플랜지 샤프트를 볼트 또는 나사로 체결할 때, 볼트나 나사가 체결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체결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에 의하면, 전단 위치결정기구와 후단 위치결정기구를 이용하여 드럼에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하므로, 전면판과 후면판을 드럼의 전단 플랜지와 후단 플랜지에 시밍 공정으로 고정할 때, 전면판과 후면판이 드럼에 대해 미끌어져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후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후면판을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후면판의 돌기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후면판의 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도 6a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결합되는 후면판의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에 결합되는 후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후단 위치결정기구의 다른 예로 드럼에 형성된 구멍과 후면판에 형성된 돌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0b는 도 10a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구멍에 후면판의 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후단 위치결정기구의 다른 예로 드럼에 형성된 암돌기와 후면판에 형성된 수돌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암돌기에 후면판의 수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전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의 전면판을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4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전면판의 돌기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전면판의 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5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b는 도 15a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결합되는 전면판의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에 결합되는 전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가 설치된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a 내지 도 19i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를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사용자 기기와 제2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후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후면판을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후면판의 돌기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후면판의 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1)는 드럼(10), 전면판(20), 후면판(30), 및 후단 위치결정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이 개방되어 있다. 드럼(10)은 전단에 마련된 전단 플랜지(11)와 후단에 마련된 후단 플랜지(12)를 포함한다. 전단 플랜지(11)는 드럼(10)의 전단부를 드럼(10)의 측면에 대해 대략 90도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단 플랜지(11)는 드럼(10)의 전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L-벤딩(L-bend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후단 플랜지(12)는 드럼(10)의 후단부를 드럼(10)의 측면에 대해 대략 90도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단 플랜지(12)는 드럼(10)의 후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를 L-벤딩(L-bend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드럼(10)의 측면에는 후단 플랜지(12)에 인접하게 복수의 결합 구멍(13)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구멍(13)은 후면판(30)에 설치되는 플랜지 샤프트(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결합 구멍(13)은 플랜지 샤프트(70)에 대응하여 드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전면판(20)은 중앙에 개구(21)가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드럼(10)의 전단, 즉 전방 개구(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전면판(20)은 드럼(10)의 전방 개구(15)에 삽입되며 원형의 개구(21)가 마련된 돌출부(22), 돌출부(2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23), 및 테두리(23)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시밍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판(20)의 돌출부(22)를 드럼(10)의 전방 개구(15)에 삽입하여, 전면판(20)의 테두리(23)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접촉하도록 한 후, 전면판(20)의 시밍부(24)를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시밍(seaming)하면, 전면판(20)이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고정된다.
후면판(30)은 드럼(10)의 후단, 즉 후방 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후면판(30)은 드럼(10)의 후방 개구를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후면판(30)은 드럼(10)의 후방 개구를 막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부(31), 중앙부(3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33), 및 테두리(33)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시밍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판(30)의 후면(30b)의 중앙부(31)에는 플랜지 샤프트(70)가 설치되는 플랜지 홈(35)(도 19h 참조)이 마련된다. 여기서, 후면판(30)의 전면(30a)은 드럼(1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을 말하고, 후면판(30)의 후면(30b)은 드럼(10)의 외측을 향하는 면을 말한다. 따라서, 후면판(30)의 중앙부(31)의 전면에는 플랜지 홈(35)을 형성하는 돌출부(36)가 마련된다. 또한, 후면판(30)의 후면(30b)에는 중앙부(31)의 둘레로 원형 벽(32)이 형성된다. 원형 벽(32)의 바깥 지름은 드럼(10)의 후단의 안 지름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 홈(35)과 연결된 원형 벽(32)에는 플랜지 샤프트(7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후면 구멍(37)이 마련된다.
후면판(30)의 원형 벽(32)을 후방 개구에 삽입하여 후면판(30)의 테두리(33)가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접촉하도록 한 후, 후면판(30)의 시밍부(34)를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시밍하면, 후면판(30)이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고정된다.
플랜지 샤프트(70)(도 19h 참조)는 세탁기의 구동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면판(30)에 고정되는 플랜지(71)와 플랜지(71)의 중심부(72)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샤프트(7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71)는 샤프트(75)가 설치되는 중심부(7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3개의 다리부(73)를 포함한다. 플랜지(71)의 3개의 다리부(73)는 중심부(72)를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71)의 3개의 다리부(73)는 후면판(30)의 원형 벽(32)의 안 지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후면판(30)의 플랜지 홈(35)(도 19h 참조)은 플랜지(71)의 중심부(72)와 3개의 다리부(7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랜지(71)를 후면판(30)의 플랜지 홈(35)에 결합한 경우, 후면판(30)의 원형 벽(32)에 접촉하는 플랜지(71)의 3개의 다리부(73)의 일단에는 복수의 체결 구멍(74)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플랜지(71)의 한 개의 다리부(73)에 2개의 체결 구멍(74)이 마련된다. 따라서, 플랜지 샤프트(70)에는 6개의 체결 구멍(74)이 마련된다. 이때, 체결 구멍(74)은 볼트나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 샤프트(70)가 설치되는 후면판(30)의 원형 벽(32)의 측면에는 플랜지(71)의 3개의 다리부(73)에 형성된 6개의 체결 구멍(74)에 대응하는 6개의 후면 구멍(37)이 마련된다. 이때, 플랜지(71)의 한 개의 다리부(73)의 2개의 체결 구멍(74)에 대응하는 2개의 후면 구멍(37)은 인접하게 형성된다. 인접한 2개의 후면 구멍(37)은 다른 인접한 2개의 후면 구멍(37)과 다리부(73)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후면판(30)이 결합되는 드럼(10)의 후단, 즉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 부근에는 후면판(30)의 6개의 후면 구멍(37)에 대응하도록 6개의 결합 구멍(13)이 마련된다.
따라서, 드럼(10)의 후단부의 6개의 결합 구멍(13)과 후면판(30)의 6개의 후면 구멍(37)이 일치하도록 후면판(30)을 드럼(10)의 후단에 설치하고, 후면판(30)의 6개의 후면 구멍(37)과 플랜지 샤프트(70)의 6개의 체결 구멍(74)이 일치하도록 플랜지 샤프트(70)를 후면판(30)에 설치하면, 6개의 체결요소(77), 즉 6개의 볼트나 나사로 플랜지 샤프트(70)를 드럼(10)의 후면판(30)에 고정할 수 있다.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드럼(10)의 후방 개구에 후면판(30)을 삽입할 때, 후면판(30)의 6개의 후면 구멍(37)이 드럼(10)의 후단부에 마련된 6개의 결합 구멍(13)과 일치되도록 후면판(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와 후면판(3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마련되는 2개의 노치(41)와 후면판(30)에 마련되며 2개의 노치(41)에 삽입되는 2개의 돌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마련되는 2개의 노치(41)는 드럼(10)의 후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 구멍(13)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며, 후면판(30)에 마련된 2개의 돌기(42)는 복수의 후면 구멍(37)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후면판(30)에 마련된 2개의 돌기(42)와 복수의 후면 구멍(37) 사이의 위치 관계는 드럼(10)에 마련된 2개의 노치(41)와 복수의 결합 구멍(13)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후면판(30)의 2개의 돌기(42)가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의 2개의 노치(41)에 삽입되도록 후면판(30)을 드럼(10)의 후방 개구에 삽입하면, 후면판(30)의 복수의 후면 구멍(37)과 드럼(10)의 복수의 결합 구멍(13)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후면판(30)의 2개의 돌기(42)가 드럼(10)의 2개의 노치(41)에 결합되면, 후면판(30)이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대해 미끌어지거나 회전하는 것을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노치(41)는 각각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의 가장자리에 직사각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노치(41)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2개의 노치(41)는 드럼(10)의 후단부에 형성된 2개의 결합 구멍(13)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 구멍(13)이 드럼(10)의 측면에 형성된 용접선(14)을 중심으로 선대칭이 되도록 마련된 경우에는, 후단 플랜지(12)에 형성되는 2개의 노치(41)도 드럼(10)의 용접선(14)을 중심으로 선대칭이 되도록 마련된다.
후면판(30)의 2개의 돌기(42)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의 2개의 노치(41)의 폭(W1)에 대응하는 폭(W2)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돌기(42)는 후면판(30)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면판(30)의 돌기(42)와 후면 구멍(37) 사이의 거리(L2)(도 5a 참조)는 드럼(10)의 노치(41)와 결합 구멍(13) 사이의 거리(L1)(도 5a 참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기(42)는 후면판(30)의 테두리(33)에 형성된다. 2개의 돌기(42)는 후면판(30)의 테두리(33)의 일부를 바닥이 평평한 U자 형상, 즉, 일측면이 테두리(33)에 연결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개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를 일정 각도 굽혀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직사각형 형상의 절개부, 즉 돌기(42)의 폭(W2)은 노치(41)에 삽입될 수 있으며, 후면판(30)의 후면 구멍(37)과 드럼(10)의 결합 구멍(13)의 위치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노치(41)의 폭(W1)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2개의 노치(41)를 형성하고, 후면판(30)에 이에 대응하는 2개의 돌기(42)를 형성하면, 후면판(30)의 2개의 돌기(42)가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의 2개의 노치(4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의 2개의 노치(41)에 2개의 돌기(42)가 일치하도록 후면판(30)을 위치시킨 후, 후면판(30)이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접촉하도록 삽입한다. 그러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30)의 2개의 돌기(42)가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의 2개의 노치(4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후면판(30)의 돌기(42)가 드럼(10)의 노치(41)에 삽입되면, 후면판(30)의 복수의 후면 구멍(37)과 드럼(10)의 복수의 결합 구멍(13)이 일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드럼(10)의 2개의 노치(41)가 2개의 결합 구멍(13)의 양측에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노치(4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개의 노치(41)는 조립시 드럼(10)에 대한 후면판(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드럼(10)과 후면판(30)에 마련되는 노치(41)와 돌기(42)의 다른 예를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결합되는 후면판의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2개의 노치(41)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드럼(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약 180도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후면판(30)에 마련되는 2개의 돌기(42)는 드럼(10)의 2개의 노치(4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기(42)는 후면판(30)의 테두리(33)에 후면판(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약 180도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드럼(10)에 형성되는 노치(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에 모따기(4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치(41)에 모따기(43)를 형성하면, 후면판(30)을 드럼(10)의 후방 개구(16)에 삽입할 때, 후면판(30)의 돌기(42)가 드럼(10)의 노치(41)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모따기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이상에서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마련된 노치(41)와 후면판(30)에 마련된 돌기(42)가 후단 위치결정기구(40)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상술한 구조와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러한 구조의 후단 위치결정기구(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에 결합되는 후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1)의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2개의 돌기(42')가 형성되고, 후면판(30)에 2개의 노치(41')가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2개의 돌기(42')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후면판(30)에 형성된 2개의 노치(41')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2개의 돌기(42')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드럼(10)에 형성된 2개의 돌기(42')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후단 위치결정기구(40)의 후면판(30)에 형성된 돌기(42)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2개의 돌기(42')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후단 위치결정기구(40)의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형성된 2개의 노치(41)의 위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의 2개의 돌기(42')는 드럼(10)의 복수의 결합 구멍(13)과 일정한 위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2 개의 노치(41')는 후면판(30)에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형성된 2개의 돌기(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2개의 노치(41')는 후면판(30)의 테두리(33)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2개의 노치(41')는 후면판(30)의 테두리(33)에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노치(41')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후단 위치결정기구(40)의 후면판(30)에 형성된 2개의 돌기(42)의 위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후면판(30)의 2개의 노치(41')와 복수의 후면 구멍(37) 사이의 위치 관계는 드럼(10)의 2개의 돌기(42')와 복수의 결합 구멍(13)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후면판(30)의 2개의 노치(41')가 드럼(10)의 2개의 돌기(42')와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후면판(30)을 드럼(10)의 후방 개구(16)에 삽입하면, 드럼(10)의 2개의 돌기(42')가 후면판(30)의 2개의 노치(41')에 삽입된다. 그러면, 후면판(30)이 드럼(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미끌어지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면판(30)의 복수의 후면 구멍(37)과 드럼(10)의 복수의 결합 구멍(13)이 일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후단 위치결정기구(40)가 2개의 노치(41,41')와 2개의 돌기(42,42')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후단 위치결정기구(40)를 구성하는 노치(41,41')와 돌기(42,42')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드럼(10)에 대한 후면판(30)의 회전을 방지하고 후면판(30)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후단 위치결정기구(40)를 구성하는 노치(41,41')와 돌기(42,42')의 개수는 한 개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후단 위치결정기구(40)를 구성하는 노치(41,41')와 돌기(42,42')의 개수는 적어도 한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후단 위치결정기구(40)가 노치(41,41')와 돌기(42,42')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후단 위치결정기구(4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0a 내지 11b를 참조하여, 후단 위치결정기구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후단 위치결정기구의 다른 예로 드럼에 형성된 구멍과 후면판에 형성된 돌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구멍에 후면판의 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형성된 구멍(45)과 후면판(30)에 형성된 원형 돌기(46)를 포함한다. 후단 플랜지(12)에 형성된 구멍(45)은 후면판(30)의 원형 돌기(4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후단 플랜지(12)의 구멍(45)과 후면판(30)의 원형 돌기(46)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후면판(30)을 드럼(10)의 후방 개구에 삽입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30)의 원형 돌기(46)가 드럼(10)의 구멍(45)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구멍(45)과 원형 돌기(46)로 형성된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결합된 후면판(30)의 복수의 후면 구멍(37)과 드럼(10)의 복수의 결합 구멍(13)이 일치되도록 하며, 후면판(30)이 드럼(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미끌어지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후단 위치결정기구의 다른 예로 드럼에 형성된 암돌기와 후면판에 형성된 수돌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암돌기에 후면판의 수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형성된 암돌기(47)와 후면판(30)에 형성된 수돌기(48)를 포함한다. 후단 플랜지(12)에 형성된 암돌기(47)는 후면판(30)의 수돌기(48)가 삽입될 수 있도록 후면판(30)을 마주하는 면은 오목한 홈으로 형성된다. 암돌기(47)와 수돌기(48)는 반구형, 돔형, 원추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단 플랜지(12)의 암돌기(47)와 후면판(30)의 수돌기(48)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후면판(30)을 드럼(10)의 후방 개구(16)에 삽입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30)의 수돌기(48)가 드럼(10)의 암돌기(47)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암돌기(47)와 수돌기(48)로 형성된 후단 위치결정기구(40)는 결합된 후면판(30)의 복수의 후면 구멍(37)과 드럼(10)의 복수의 결합 구멍(13)이 일치되도록 하며, 후면판(30)이 드럼(1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미끌어지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와 후면판(30)에 후단 위치결정기구(40)가 마련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와 전면판(20)에 전단 위치결정기구(5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전단 위치결정기구를 갖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전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전면판을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전면판의 돌기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전면판의 돌기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드럼(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이 개방되어 있다. 드럼(10)은 전단에 마련된 전단 플랜지(11)와 후단에 마련된 후단 플랜지(12)를 포함한다. 전단 플랜지(11)는 드럼(10)의 전단부가 드럼(10)의 측면에 대해 대략 90도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단 플랜지(11)는 드럼(10)의 전단에서부터 일정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L-벤딩(L-bend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후단 플랜지(12)는 드럼(10)의 후단부가 드럼(10)의 측면에 대해 대략 90도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단 플랜지(12)는 드럼(10)의 후단에서부터 일정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L-벤딩(L-bend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드럼(10)의 측면에는 전단 플랜지(11)에 인접하게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은 전면판(20)에 설치되는 볼 밸런서(6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은 볼 밸런서(60)에 대응하여 드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드럼(10)의 측면에는 후단 플랜지(12)에 인접하게 복수의 결합 구멍(13)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구멍(13)은 후면판(30)에 설치되는 플랜지 샤프트(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결합 구멍(13)은 플랜지 샤프트(70)에 대응하여 드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후면판(30)은 드럼(10)의 후단, 즉 후방 개구(1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후면판(30)은 드럼(10)의 후방 개구(16)를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판(30)은 상술한 실시예의 후면판(3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후면판(30)은 드럼(10)의 후방 개구를 막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부(31), 중앙부(3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33), 및 테두리(33)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시밍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판(30)의 후면(30b)의 중앙부(31)에는 플랜지 샤프트(70)가 설치되는 플랜지 홈(35)(도 19h 참조)이 마련된다. 여기서, 후면판(30)의 전면(30a)은 드럼(1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을 말하고, 후면판(30)의 후면(30b)은 드럼(10)의 외측을 향하는 면을 말한다. 따라서, 후면판(30)의 중앙부(31)의 전면에는 플랜지 홈(35)을 형성하는 돌출부(36)가 마련된다. 또한, 후면판(30)의 후면(30b)에는 중앙부(31)의 둘레로 원형 벽(32)이 형성된다. 원형 벽(32)의 바깥 지름은 드럼(10)의 후단의 안 지름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 홈(35)과 연결된 원형 벽(32)에는 플랜지 샤프트(7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후면 구멍(37)이 마련된다.
후면판(30)의 원형 벽(32)을 후방 개구에 삽입하여 후면판(30)의 테두리(33)가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접촉하도록 한 후, 후면판(30)의 시밍부(34)를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시밍하면, 후면판(30)이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에 고정된다.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와 후면판(30)에 후단 위치결정기구(40)가 마련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조를 갖는 전면판(20)과 전단 위치결정기구(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전면판(20)은 중앙에 개구(21)가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드럼(10)의 전단, 즉 전방 개구(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전면판(20)은 드럼의 전방 개구(15)에 삽입되며 원형의 개구(21)가 마련된 돌출부(22), 돌출부(2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테두리(23), 및 테두리(23)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시밍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판(20)의 돌출부(22)를 드럼(10)의 전방 개구(15)에 삽입하여, 전면판(20)의 테두리(23)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접촉하도록 한 후, 전면판(20)의 시밍부(24)를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시밍하면, 전면판(20)이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고정된다.
전면판(20)의 돌출부(22)의 전면, 즉 드럼(10)을 마주하지 않는 돌출부(22)의 외면에는 볼 밸런서(60)가 설치되는 링 형상의 홈(25)이 마련된다. 또한, 돌출부(22)의 측면에는 볼 밸런서(60)의 복수의 고정 구멍(61)(도 19f 참조)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면 구멍(27)이 마련된다. 복수의 고정 구멍(61)은 볼 밸런서(6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전면 구멍(27)도 돌출부(22)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볼 밸런서(60)에 6개의 고정 구멍(61)이 마련되는 경우, 전면판(20)의 돌출부(22)에 6개의 전면 구멍(27)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다.
또한,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은 전면판(20)의 돌출부(22)에 마련된 복수의 전면 구멍(27)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전면판(20)에 마련된 6개의 전면 구멍(27)에 대응하도록 드럼(10)에는 6개의 전단 결합 구멍(17)이 전단 플랜지(11)에 인접한 영역에 드럼(10)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10)의 전방 개구(15)에 전면판(20)을 삽입하고,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 및 볼 밸런서(60)의 복수의 고정 구멍(61)을 일치시키면,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에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볼 밸런서(60)를 드럼(10)과 전면판(20)에 고정할 수 있다.
전단 위치결정기구(50)는 드럼(10)의 전방 개구(15)에 전면판(20)을 삽입할 때,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 예를 들면, 6개의 전면 구멍(27)이 드럼(10)의 전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 예를 들면, 6개의 전단 결합 구멍(17)과 일치되도록 전면판(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단 위치결정기구(50)는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와 전면판(2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 위치결정기구(50)는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마련되는 2개의 노치(51)와 전면판(20)에 마련되며 2개의 노치(51)에 결합되는 2개의 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마련되는 2개의 노치(51)는 드럼(10)의 전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며, 전면판(20)에 마련된 2개의 돌기(52)는 복수의 전면 구멍(27)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전면판(20)에 마련된 2개의 돌기(52)와 복수의 전면 구멍(27) 사이의 위치 관계는 드럼(10)에 마련된 2개의 노치(51)와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 사이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면판(20)의 2개의 돌기(52)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2개의 노치(51)에 삽입되도록 전면판(20)을 드럼(10)의 전방 개구(15)에 삽입하면,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과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전면판(20)의 2개의 돌기(52)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마련된 2개의 노치(51)에 결합되면, 전면판(20)이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노치(51)는 각각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가장자리에 직사각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노치(51)는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2개의 노치(51)는 드럼(10)의 전단부에 형성된 1개의 전단 결합 구멍(17)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전단 결합 구멍(17)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형성된 제1노치(51)와 원주 방향으로 제1거리(S1)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제2노치(51)는 제1노치(51)와 원주 방향으로 제2거리(S3)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면판(20)의 2개의 돌기(52)는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2개의 노치(51)의 폭(G1)에 대응하는 폭(G2)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돌기(52)는 전면판(20)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전면 구멍(27)은 전면판(20)의 테두리(23)에 형성된 제1돌기(52)와 원주 방향으로 제1거리(S2)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제2돌기(52)는 제1돌기(52)와 원주 방향으로 제2거리(S4)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판(20)의 제1거리(S2)와 제2거리(S4)는 드럼(10)의 제1거리(S1)와 제2거리(S3)와 동일하게 형성한다(즉, S1=S2, S3=S4).
또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기(52)는 전면판(20)의 테두리(23)에 형성된다. 2개의 돌기(52) 각각은 전면판(20)의 테두리(23)의 일부를 바닥이 평평한 U자 형상, 즉, 일측면이 테두리(23)에 연결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개하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를 일정 각도 굽혀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직사각형 형상의 돌기(52)의 폭(G2)은 노치(5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전면판(20)의 전면 구멍(27)과 드럼(10)의 전단 결합 구멍(17)의 위치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노치(51)의 폭(S1)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2개의 노치(51)를 형성하고, 전면판(20)에 이에 대응하는 2개의 돌기(52)를 형성하면, 전면판(20)의 2개의 돌기(52)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2개의 노치(51)에 삽입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2개의 노치(51)에 2개의 돌기(52)가 일치하도록 전면판(20)을 위치시킨 후, 전면판(20)이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접촉하도록 삽입한다. 그러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20)의 2개의 돌기(52)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2개의 노치(5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전면판(20)의 돌기(52)가 드럼(10)의 노치(51)에 삽입되면,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과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이 일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드럼(10)의 2개의 노치(51)가 1개의 결합 구멍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노치(5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개의 노치(51)는 조립시 드럼(10)에 대한 전면판(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드럼(10)과 전면판(20)에 마련되는 노치(51)와 돌기(52)의 다른 예를 도 15a 및 도 15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의 노치에 결합되는 전면판의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2개의 노치(51)는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드럼(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약 180도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판(20)에 마련되는 2개의 돌기(52)는 드럼(10)의 2개의 노치(5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돌기(52)는 전면판(20)의 테두리(23)에 전면판(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약 180도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형성되는 노치(51)는 도 7에 도시된 후단 플랜지(12)의 노치(41)와 동일하게 입구부에 모따기 가공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단 플랜지(11)의 노치(51)에 모따기 가공을 하면, 전면판(20)을 드럼(10)의 전방 개구(15)에 삽입할 때, 전면판(20)의 돌기(52)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노치(51)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단 위치결정기구(50)가 2개의 노치(51)와 2개의 돌기(52)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전단 위치결정기구(50)를 구성하는 노치(51)와 돌기(52)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단 위치결정기구(50)는 드럼(10)에 대한 전면판(20)의 회전을 방지하고 전면판(20)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전단 위치결정기구(50)를 구성하는 노치(51)와 돌기(52)의 개수는 각각 한 개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단 위치결정기구(50)를 구성하는 노치(51)와 돌기(52)의 개수는 적어도 한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마련된 노치(51)와 전면판(20)에 마련된 돌기(52)가 전단 위치결정기구(50)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전단 위치결정기구(5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단 위치결정기구(50)는 상술한 구조와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조의 전단 위치결정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드럼에 결합되는 전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1)의 전단 위치결정기구(50)는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2개의 돌기(52')가 형성되고, 전면판(20)에 2개의 노치(51')가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2개의 돌기(52')는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전면판(20)에 형성된 2개의 노치(5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2개의 돌기(52')는 전단 플랜지(11)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드럼(10)에 형성된 2개의 돌기(52')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전면판(20)에 형성된 돌기(52)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2개의 돌기(52')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형성된 2개의 노치(51)의 위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2개의 돌기(52')는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2 개의 노치(51')는 전면판(20)에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에 형성된 2개의 돌기(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2개의 노치(51')는 전면판(20)의 테두리(23)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2개의 노치(51')는 전면판(20)의 테두리(23)에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노치(51')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전면판(20)에 형성된 2개의 돌기(52)의 위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전면판(20)의 2개의 노치(51')와 복수의 전면 구멍(27) 사이의 위치 관계는 드럼(10)의 2개의 돌기(52')와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면판(20)의 2개의 노치(51')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2개의 돌기(52')와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면판(20)을 드럼(10)의 후방 개구(16)에 삽입하면, 드럼(10)의 2개의 돌기(52')가 전면판(20)의 2개의 노치(51')에 삽입된다. 그러면, 전면판(20)이 드럼(1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미끌어지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과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이 일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전단 위치결정기구(50)가 노치(51,51')와 돌기(52,52')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단 위치결정기구(50)는 도 10a 내지 11b에 도시된 후단 위치결정기구(40)와 동일하게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1)에 의하면, 전단 위치결정기구(50)와 후단 위치결정기구(40)를 이용하여 드럼(10)에 전면판(20)과 후면판(30)을 결합하므로,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과 후면판(30)의 복수의 후면 구멍(37)이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 및 결합 구멍(13)과 어긋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1)의 제작 공정에서, 전면판(20)에 설치된 볼 밸런서(60)와 후면판(30)에 설치된 플랜지 샤프트(70)를 볼트 또는 나사로 체결할 때, 볼트나 나사가 체결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체결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1)에 의하면, 전단 위치결정기구(50)와 후단 위치결정기구(40)를 이용하여 드럼(10)에 전면판(20)과 후면판(30)을 결합하므로, 전면판(20)과 후면판(30)을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와 후단 플랜지(12)에 시밍 공정으로 고정할 때, 전면판(20)과 후면판(30)이 드럼(10)에 대해 미끌어져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를 구비한 세탁기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가 설치된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본체(110),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 조립체(1), 및 본체(110)의 전면(111)에 설치되며, 본체 전면(111)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의 전면(111)에는 세탁물을 넣거나 뺄 수 있도록 개구가 마련되며, 도어(120)는 본체(110)의 전면(111)에 마련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전면(111)에 힌지로 설치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드럼 조립체(1)가 설치된다. 드럼 조립체(1)는 드럼(10)의 전방 개구(15)가 본체(110)의 전면 개구와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드럼 조립체(1)의 내부에는 회전조(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조는 일단이 개방된 원통의 용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조는 드럼 조립체(1)의 후면판(30)에 설치된 플랜지 샤프트(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도어(120)를 개방하면, 본체(110)의 전면 개구를 통해 회전조의 내부가 개방되어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물을 넣거나 뺄 수 있다. 도어(120)를 닫으면, 본체(110)의 전면 개구가 닫히고, 회전조의 일단이 차단되므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기(100)의 구조는 세탁조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럼 조립체(1)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에서는 드럼 조립체(1)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드럼 세탁기(100)를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1)는 드럼 조립체(1)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자동 세탁기(미도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9a 내지 도 19i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공정을 설명한다.
도 19a 내지 도 19i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를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을 형성하기 위해 평판 형상의 드럼 시트(5)를 가공한다. 드럼 시트(5)는 스테인레스판과 같은 금속판을 절단하고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한다.
드럼 시트(5)에는 볼 밸런서(6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과 플랜지 샤프트(7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 구멍(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 시트(5)에는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51)와 후단 위치결정기구(40)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51)는 드럼 시트(5)에 형성된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과 일정한 위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며, 후단 위치결정기구(40)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41)는 드럼 시트(5)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구멍(13)과 일정한 위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 관계는 상술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a는 드럼 시트(5)에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51)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볼 밸런서(60)를 사용하지 않는 세탁기의 경우에는 드럼 시트(5)에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51)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어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시트(5)를 드럼(10)으로 만든다. 구체적으로, 드럼 시트(5)를 원통 형상으로 감아 드럼 시트(5)의 양 측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한 후, 서로 접촉하는 드럼 시트(5)의 양 측단을 용접(14)으로 접합하여 드럼(1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의 양단에 전단 플랜지(11)와 후단 플랜지(12)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벤딩기를 사용하여 드럼(10)의 양단을 90도로 벤딩하면, 드럼(10)의 전단과 후단에 전단 플랜지(11)와 후단 플랜지(12)가 형성된다. 그러면, 전단 플랜지(11)에는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2개의 노치(51)가 위치하고, 후단 플랜지(12)에도 후단 위치결정기구(40)의 2개의 노치(41)가 위치한다.
한편, 드럼(10)을 제작할 때, 별도의 공정에서 전면판(20)과 후면판(30)을 제작한다. 전면판(20)과 후면판(30)도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면판(20)을 제작할 때, 전단 위치결정기구(50)의 적어도 한 개의 돌기(5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전면판(20)에는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과 대응하는 복수의 전면 구멍(27)과 전단 플랜지(11)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노치(5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52)를 형성한다. 이때, 전면판(20)에 마련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52)와 복수의 전면 구멍(27)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술한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51)와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또한, 후면판(30)을 제작할 때, 후단 위치결정기구(40)의 적어도 한 개의 돌기(4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후면판(30)에는 드럼(10)의 복수의 결합 구멍(13)과 대응하는 복수의 후면 구멍(37)과 후단 플랜지(12)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노치(4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42)를 형성한다. 이때, 후면판(30)에 마련된 적어도 한 개의 돌기(42)와 복수의 후면 구멍(37)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술한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41)와 복수의 결합 구멍(13)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어서,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의 전단, 즉, 전단 플랜지(11)가 마련된 전방 개구(15)에 전면판(20)을 삽입한다. 이때, 전면판(20)의 적어도 한 개의 돌기(52)가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51)와 일치하도록 한 후, 전면판(20)을 드럼의 전단에 결합한다. 그러면,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이 드럼(10)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17)과 일치하게 된다.
또한, 드럼(10)의 후단, 즉 후단 플랜지(12)가 마련된 후방 개구에 후면판(30)을 삽입한다. 이때, 후면판(30)의 적어도 한 개의 돌기(42)가 드럼(10)의 후단 플랜지(12)의 적어도 한 개의 노치(41)와 일치하도록 한 후, 후면판(30)을 드럼(10)의 후단에 결합한다. 그러면, 후면판(30)의 복수의 후면 구멍(37)이 드럼(10)의 복수의 결합 구멍(13)과 일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20)와 후면판(30)이 삽입된 드럼(10)을 시밍 지그(200)에 장착하고, 시밍 지그(200)를 이용하여 전면판(20)과 후면판(30)을 드럼(1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시밍 지그(200)를 사용하여 전면판(20)의 시밍부(24)가 드럼(10)의 전면 플랜지(11)에 시밍되도록 하고, 후면판(30)의 시밍부(34)가 드럼(10)의 후면 플랜지(12)에 시밍되도록 한다. 그러면, 전면판(20)과 후면판(30)이 각각 드럼(10)의 전단 플랜지(11)와 후단 플랜지(12)에 고정되게 된다.
이어서, 도 1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20)에 볼 밸런서(6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볼 밸런서(60)를 전면판(20)의 돌출부의 전면에 마련된 링 형상의 홈(25)에 삽입한다. 이때, 볼 밸런서(60)의 복수의 고정 구멍(61)은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과 일치하도록 설치한다. 볼 밸런서(60)의 복수의 고정 구멍(61)이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과 일치하도록 하면, 볼 밸런서(60)의 복수의 고정 구멍(61)은 드럼(10)의 전단 결합 구멍(17)과 일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67)를 드럼(10)의 전단 결합 구멍(17)에 체결한다. 이때, 드럼(10)의 전단 결합 구멍(17), 전면판(20)의 복수의 전면 구멍(27), 및 볼 밸런서(60)의 복수의 고정 구멍(61)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나사(67)를 드럼(10)의 전단 결합 구멍(17)에 체결하면, 드럼(10), 전면판(20) 및 볼 밸런서(60)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어서, 1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30)에 플랜지 샤프트(7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플랜지 샤프트(70)를 후면판(30)의 후면(30b)에 마련된 플랜지 홈(35)에 삽입한다. 그러면, 플랜지 샤프트(70)의 3개의 다리부(73)에 마련된 복수의 체결 구멍(74)은 후면판(30)의 플랜지 홈(35)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후면 구멍(37)과 일치된다. 플랜지 샤프트(70)의 복수의 체결 구멍(74)이 후면판(30)의 복수의 후면 구멍(37)과 일치되면, 플랜지 샤프트(70)의 복수의 체결 구멍(74)은 드럼(10)의 결합 구멍(13)과 일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9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나사 또는 볼트(77)를 드럼(10)의 결합 구멍(13)에 체결한다. 이때, 드럼(10)의 결합 구멍(13), 후면판(30)의 복수의 후면 구멍(37), 및 플랜지 샤프트(70)의 복수의 체결 구멍(74)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나사(77)를 드럼(10)의 결합 구멍(13)에 체결하면, 드럼(10), 후면판(30) 및 플랜지 샤프트(70)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드럼 조립체 5; 드럼 시트
10; 드럼 11; 전단 플랜지
12; 후단 플랜지 13; 결합 구멍
14; 용접선 15; 전방 개구
17; 전단 결합 구멍 20; 전면판
21; 개구 22; 돌출부
23; 테두리 24; 시밍부
30; 후면판 31; 중앙부
32; 원형 벽 33; 테두리
34; 시밍부 35; 플랜지 홈
40; 전단 위치결정기구 41; 노치
42; 돌기 50; 후단 위치결정기구
51; 노치 52; 돌기
60; 볼 밸런서 70; 플랜지 샤프트
71; 플랜지 75; 샤프트
100; 세탁기 110; 본체
111; 본체 전면 120; 도어

Claims (20)

  1.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에 형성된 전단 플랜지와 후단에 형성된 후단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후단 플랜지에 인접하게 마련된 복수의 결합 구멍을 포함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면판; 및
    상기 드럼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의 복수의 결합 구멍과 대응하는 복수의 후면 구멍을 포함하는 후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와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드럼에 대한 상기 후면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후단 위치결정기구가 마련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노치; 및
    상기 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판이 상기 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의 적어도 한 개의 돌기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의 입구는 모따기 가공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2개의 노치; 및
    상기 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2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판이 상기 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판의 상기 적어도 2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2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노치는 상기 드럼의 측면에 형성된 용접선을 중심으로 선대칭으로 형성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노치는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 원주방향으로 180도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후면판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노치; 및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판이 상기 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는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에는 플랜지 샤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 샤프트의 플랜지 측면에는 상기 후면판의 복수의 후면 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 구멍이 마련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전단 플랜지에 인접하게 마련된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기 드럼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대응하는 복수의 전면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와 상기 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드럼에 대한 상기 전면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단 위치결정기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노치; 및
    상기 전면판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이 상기 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의 적어도 한 개의 돌기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위치결정기구는,
    상기 전면판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노치; 및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이 상기 전단 플랜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는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에는 볼 밸런서가 설치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프레스 가공으로 평판 형상의 드럼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드럼 시트를 원통 형상으로 감고, 접하는 상기 드럼 시트의 양 측단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드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양단을 90도로 벤딩하여 전단 플랜지와 후단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전단에 전면판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후단에 후면판을 삽입하는 단계; 및
    시밍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을 상기 드럼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는 적어도 한 개의 노치가 마련되며,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드럼의 후단에 상기 후면판을 삽입할 때, 상기 후면판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가 상기 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삽입되도록 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후단 플랜지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는 상기 드럼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은 상기 드럼의 복수의 결합 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후면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판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후면 구멍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드럼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기 후면판에 플랜지 샤프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전단 플랜지에 인접하게 마련된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일정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상기 전단 플랜지에 마련된 적어도 한 개의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은 상기 드럼의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과 대응하는 복수의 전면 구멍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전면 구멍 사이의 위치 관계는 상기 전단 플랜지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노치와 상기 복수의 전단 결합 구멍의 위치 관계와 동일한,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기 전면판에 볼 밸런서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의 제작방법.
KR1020190105697A 2019-08-28 2019-08-28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10025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97A KR20210025845A (ko) 2019-08-28 2019-08-28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이의 제작방법
US16/734,736 US11414804B2 (en) 2019-08-28 2020-01-06 Washing machine drum assembly,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97A KR20210025845A (ko) 2019-08-28 2019-08-28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45A true KR20210025845A (ko) 2021-03-10

Family

ID=7468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697A KR20210025845A (ko) 2019-08-28 2019-08-28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14804B2 (ko)
KR (1) KR20210025845A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5404A (en) * 1995-11-17 1998-06-16 Whirlpool Corporation Balance ring attachment in an automatic washer
US5746070A (en) * 1996-06-07 1998-05-05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Plastic and stainless steel horizontal axis spin tub
KR100232789B1 (ko) 1997-06-07 1999-12-01 윤종용 키폰시스템의 그룹단축다이얼 지정 방법
US7444843B2 (en) * 2002-05-17 2008-11-04 Umud Esat Ozturk Drum
KR100657465B1 (ko) * 2004-05-15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드럼 제작 방법
KR100805231B1 (ko) 2006-11-24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428485B1 (ko) 2008-01-03 2014-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FR2931170B1 (fr) * 2008-05-16 2012-11-02 Lg Electronics Inc Machine a linge a tambour et contrepoids.
KR101631545B1 (ko) * 2009-12-02 2016-06-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드럼 및 이를 가지는 드럼세탁기
KR20150074758A (ko) 2013-12-24 2015-07-0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세탁조
KR102305833B1 (ko) * 2014-02-04 202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DE102017112136A1 (de) * 2017-06-01 2018-12-06 Miele & Cie. Kg Flanschwellenvorrichtung und Wasch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4804B2 (en) 2022-08-16
US20210062387A1 (en)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8336B1 (en) Lever-type connector
KR20120099242A (ko) 힌지 결합 장치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743654B1 (ko) 건물 소방용 이경소켓 고정장치
EP3633259B1 (en) Pipe fitting joint assembly
KR20210025845A (ko) 세탁기용 드럼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66753B1 (ko) 구성요소 사이의 개선된 연결
KR102102952B1 (ko) 연료라인 커넥터 어셈블리
TWI707089B (zh) 吊扇及其吊架
US11859746B2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tubular objects
KR200296127Y1 (ko) 도어랫치 어셈블리의 스핀들 설치구조
US7237976B2 (en) Key-engaging part structure
KR200494932Y1 (ko) 레버핸들 조립체
US20240044169A1 (en) Lock Handle and Rotating Shaft Combination Mechanism
CN114412289B (zh) 定位装置以及锁具
US20240167405A1 (en) Exhaust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10724363U (zh) 旋转变压器转子与转轴间的连接结构
KR102224291B1 (ko)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
JP3239616U (ja) 延長コンセント
KR102361702B1 (ko)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WO2024067572A1 (en) Connector assembly
US20240136883A1 (en) Motor
KR200146691Y1 (ko) 도어용 힌지장치
WO2022049946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2556771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240034337A (ko) 레버 타입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