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702B1 -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 Google Patents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702B1
KR102361702B1 KR1020210056783A KR20210056783A KR102361702B1 KR 102361702 B1 KR102361702 B1 KR 102361702B1 KR 1020210056783 A KR1020210056783 A KR 1020210056783A KR 20210056783 A KR20210056783 A KR 20210056783A KR 102361702 B1 KR102361702 B1 KR 10236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ap
protrusion
flo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호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8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axially into the pipe o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16L3/24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the special member being inserted in the profiled gir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포트와 냉각수 공급용 호스와의 조립 전에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호스에 삽입되는 호스캡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호스의 유입구에 끼워지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원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호스의 유입구에 끼워지는 상기 삽입부의 타이트한 끼임을 유도하기 위한 돌기부;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냉각수포트 근처에 형성되는 주변홀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동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스캡에 유동방지수단을 도입하여 호스에 호스캡을 삽입한 후, 냉각수포트의 근처에 형성된 주변홀에 유동방지수단을 거치시킴으로써 호스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Hose cap with motion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호스캡에 유동방지수단을 도입하여 호스에 호스캡을 삽입한 후, 냉각수포트의 근처에 형성된 주변홀에 유동방지수단을 거치시킴으로써 호스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호스캡은 냉각수포트와 냉각수 공급용 호스와의 조립 전에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호스의 유입구에 끼워지는 구성품이다.
특히 트랜스밋션의 경우에 냉각수 공급을 위해 냉각수 공급용 호스를 트랜스밋션의 냉각수포트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호스 조립 후, 고객사에 납품하는 경우 호스로부터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호스의 유입구에 호스캡(HC)을 삽입하여 납품을 하게 된다.
다만 기존의 호스캡은 호스의 유입구에 끼워진 채로만 납품을 하게 되어 호스가 유동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5630호(2017.11.02.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스캡에 유동방지수단을 도입하여 호스에 호스캡을 삽입한 후, 냉각수포트의 근처에 형성된 주변홀에 유동방지수단을 거치시킴으로써 호스의 유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동방지수단의 거치부재의 단면 형상이 호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거치부재와 주변홀간의 결합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제작되어 주변홀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거치부재의 사이즈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제품의 주변홀에도 범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스캡의 돌기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원주면을 기준으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호스캡의 회전 유동을 억제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은 냉각수포트와 냉각수 공급용 호스와의 조립 전에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호스에 삽입되는 호스캡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호스의 유입구에 끼워지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원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호스의 유입구에 끼워지는 상기 삽입부의 타이트한 끼임을 유도하기 위한 돌기부;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냉각수포트 근처에 형성되는 주변홀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동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주변홀에 끼워지는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주변홀의 형상에 대한 가변성을 위해 비원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도방지수단은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주변홀에 끼워지는 거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주변홀의 형상에 대한 가변성을 위해 호(弧) 형상 또는 상기 거치부재의 결합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부의 원주면상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의 결합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장방형 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는 상기 호스의 유입구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진 후, 원주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호스의 조립 시, 조립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캡에 유동방지수단을 도입하여 호스에 호스캡을 삽입한 후, 냉각수포트의 근처에 형성된 주변홀에 유동방지수단을 거치시킴으로써 호스의 유동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동방지수단의 거치부재의 단면 형상이 호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거치부재와 주변홀간의 결합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제작되어 주변홀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거치부재의 사이즈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제품의 주변홀에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스캡의 돌기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원주면을 기준으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호스캡의 회전 유동을 억제하여 호스캡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캡에서 거치부재의 구현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캡의 각도조절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캡의 돌기부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캡의 적용례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HC)은 바디(10)와, 삽입부(20)와, 돌기부(30) 및 유동방지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호스캡(HC)은 냉각수포트와 냉각수 공급용 호스와의 조립 전에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호스의 유입구에 끼워지는 구성품이다. 특히 트랜스밋션의 경우에 냉각수 공급을 위해 냉각수 공급용 호스를 트랜스밋션의 냉각수포트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호스 조립 후, 고객사에 납품하는 경우 호스로부터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호스의 유입구에 호스캡(HC)을 삽입하여 납품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호스캡(HC)은 호스의 유입구에 끼워진 채로만 납품을 하게 되어 호스가 유동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냉각수 공급용 호스(1)의 유입구에 호스캡(HC)을 삽입하되, 호수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유동방지수단(40)을 도입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스캡(HC)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스캡(HC)은 바디(10)의 중앙 부분에 삽입부(20)가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바디(10)는 원반 형태로 구성되고, 삽입부(20)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디(1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바디(10)와 삽입부(20)는 형상으로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다 할 것인데, 통상적인 호스(1)의 구조를 고려할 때, 바디(10)와 삽입부(20)는 예시한 형상의 통상적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호스캡(HC)은 호스(1)의 단부측, 즉 유입구에 삽입부(20)가 끼워져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삽입부(20)의 단부는 테이퍼진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호수(1)의 유입구에 삽입부(20)가 결합되는 경우 유입구로 삽입부(20)의 진입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돌기부(30)는 삽입부(20)의 원주면상에 형성되어 호스(1)의 유입구에 끼워지는 삽입부(20)의 타이트한 끼임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돌기부(30)는 삽입부(20)의 원주면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삽입부(20)의 결합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장방형 돌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돌기부(30)는 삽입부(20)가 호스(1)의 유입구에 삽입되는 경우 타이트한 결합을 유도함으로써 삽입부(20)가 호스(1)의 유입구에서 빠지거나 회전을 통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다만 돌기부(30)의 돌기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호스(1)의 유입구에 삽입부(20)가 끼워진 후, 원주방향으로의 유동, 즉 회전이 방지되도록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4의 (a)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가 교번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제작되거나, 또는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돌기와 타측에 형성된 돌기가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도록 하여 호스(1)의 유입구에 삽입부(20)가 끼워진 후,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돌기들에 의하여 회전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삽입부(20)의 원주방향으로의 유동을 상호 보완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호스 내지 삽입부(20)가 외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돌기들 중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돌기에 의하여 저항력이 발생하여 호스(1) 내지 삽입부(20)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돌기부(30)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들은 도 (4)의 (b) 도시와 같이 돌기들의 단부면을 서로 다른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여 호스캡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수단(40)은 바디(10)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노출되고, 냉각수포트 근처에 형성된 주변홀(3)에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유도방지수단은 상기 바디(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1)와, 상기 연결부재(41)의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주변홀(3)에 끼워지는 거치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연결부재(41)는 바디(10)에 연결되어 바디(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거치부재(43)는 연결부재(41)의 단부에 연결되어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거치부재(43)의 절곡 각도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대략 연결부재(41)에 직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연결부재(41)와 직각을 이룰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호스(1)의 유입구에 삽입부(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주변홀(3)에 거치부재(43)를 삽입하여 호스(1)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거치부재(43)는 첨부된 도 2의 도시와 같이 호(弧) 형상(도 2의 (a) 참조)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원통 형상(도 2의 (b) 참조)으로 제작되되, 거치부재(43)와 주변홀(3)과의 결합방향으로 거치부재(43)에 절개부(43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유동방지수단(40)에 의하여 호스(1)의 유동을 방지하는 경우 주변홀(3)은 트랜스밋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한데, 트랜스밋션 이외의 제품에 형성된 주변홀(3)의 사이즈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거치부재(43)가 호 형상이나, 또는 원통 형상에서 절개부(43a)가 형성되어 거치부재(43)를 주변홀(3)에 삽입하는 경우 거치부재(43)의 사이즈를 주변홀(3) 사이즈에 맞도록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용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치부재(43)가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거치부재(43)의 원주방향 쪽으로 가변시키거나, 또는 거치부재(43)에 절개부(43a)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거치부재(43)의 양단부 부분이 중첩되도록 하여 거치부재(43)의 원주방향 사이즈를 줄이듯이 가변하여 주변홀(3) 사이즈에 맞추어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수단(40)은 각도조절부(45)의 도입을 통해 호스캡(HC)이 삽입된 호스(1)가 거치된 상태에서 유동성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주변홀(3)의 설치위치에 따라 호스캡(HC) 내지 호스캡(HC)이 삽입된 호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한 각도조절부(45)는 바디(10)의 외측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45a)과, 연결부재(41)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45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도조절부(45)를 위해 연결부재(41)는 바디(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부에 회전축 기능을 하는 고정핀(47)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장부재(41a)가 구비된다. 따라서 연장부재(41a)는 고정핀(47)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각도조절부(45)의 결합홈(45a)은 바디(10)의 외측면, 즉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소정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45a)의 형성 각도에 따라 유동방지수단(40)의 선회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각도조절부(45)의 결합돌기(45b)는 연결부재(41)에 형성되어 결합홈(45a)에 삽입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연장부재(41a)에 의하여 각도조절부(45)가 바디(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지만, 결합돌기(45b)가 결합홈(45a)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결합홈(45a)과 결합돌기(45b)에 상호 대응되도록 이탈방지부(45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탈방지부(45c)는 결합돌기(45b)의 단부에 단면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동시에 결합홈(45a)의 입구를 단턱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결합홈(45a)으로부터 결합돌기(45b)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스캡(HC)을 호스(1)에 삽입하는 경우 방향성을 특정하기 위해 위치결정부(50)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결정부(50)는 바디(10)의 외측면을 일정 부분 절개한 형태, 즉 홈 형태로 제작하여 호스캡(HC)을 호스(1)와 삽입하는 경우 호스캡(HC) 내지 호스(1)가 특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HC : 호스캡
1 : 호스 3 : 주변홀
10 : 바디
20 : 삽입부
30 : 돌기부
40 : 유동방지수단
41 : 연결부재 41a : 연장부재
43 : 거치부재 43a : 절개부
45 : 각도조절부 45a : 결합홈
45b : 결합돌기 45c : 이탈방지부
47 : 고정핀
50 : 위치결정부

Claims (5)

  1. 냉각수포트와 냉각수 공급용 호스(1)와의 조립 전에 냉각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호스(1)에 삽입되는 호스캡(HC)에 있어서,
    바디(1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호스의 유입구에 끼워지는 삽입부(20);
    상기 삽입부(20)의 원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호스(1)의 유입구에 끼워지는 상기 삽입부(20)의 타이트한 끼임을 유도하기 위한 돌기부(30); 및
    상기 바디(10)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냉각수포트 근처에 형성되는 주변홀(3)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동방지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30)는 상기 삽입부(20)의 원주면상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20)의 결합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장방형 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는 상기 호스의 유입구에 상기 삽입부(20)가 끼워진 후, 원주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40)은
    상기 바디(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1)와,
    상기 연결부재(41)의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주변홀(3)에 끼워지는 거치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거치부재(43)는 상기 주변홀(3)의 형상에 대한 가변성을 위해 호(弧) 형상 또는 상기 거치부재(43)의 결합방향으로 절개부(43a)가 형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40)은
    상기 바디(10)의 외측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45a)과, 상기 연결부재(41)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45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5b)로 이루어진 각도조절부(45)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부(45)는 상기 유동방지수단(40)이 상기 바디(10)의 원주면상에서 소정 각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호스(1)의 조립 시, 조립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위치결정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KR1020210056783A 2021-04-30 2021-04-30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KR10236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83A KR102361702B1 (ko) 2021-04-30 2021-04-30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83A KR102361702B1 (ko) 2021-04-30 2021-04-30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702B1 true KR102361702B1 (ko) 2022-02-14

Family

ID=8025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83A KR102361702B1 (ko) 2021-04-30 2021-04-30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7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596U (ja) * 1992-04-02 1993-11-05 株式会社ゼクセル 配管用盲キャップの構造
JPH0678696U (ja) * 1993-04-19 1994-11-04 ジーエーシー株式会社 チューブコネクタの密封キャップ
JPH0725396U (ja) * 1993-10-22 1995-05-12 マックス株式会社 エアカップリングの防塵カバー
JPH07330012A (ja) * 1994-06-15 1995-12-19 Arai Pump Mfg Co Ltd 封止栓装置
KR200152364Y1 (ko) * 1996-11-12 1999-07-15 김창만 관밀폐마개
KR101795630B1 (ko) 2015-10-20 2017-11-08 서달수 사출성형기 냉각수 누수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596U (ja) * 1992-04-02 1993-11-05 株式会社ゼクセル 配管用盲キャップの構造
JPH0678696U (ja) * 1993-04-19 1994-11-04 ジーエーシー株式会社 チューブコネクタの密封キャップ
JPH0725396U (ja) * 1993-10-22 1995-05-12 マックス株式会社 エアカップリングの防塵カバー
JPH07330012A (ja) * 1994-06-15 1995-12-19 Arai Pump Mfg Co Ltd 封止栓装置
KR200152364Y1 (ko) * 1996-11-12 1999-07-15 김창만 관밀폐마개
KR101795630B1 (ko) 2015-10-20 2017-11-08 서달수 사출성형기 냉각수 누수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0666B1 (en) Sealing pin and grommet fastener accommodating two directional offset
US6860758B1 (en) Snap fitting electrical connector
US6020557A (en) Conduit connector assembly with angled conduit gripping means
CA2260538A1 (en) Conduit connector assembly spring clip having scalloped shaped conduit gripping end
US20080191471A1 (en) Plug-In Connection Provided With an Angle-Locking Device
US6884105B2 (en) Connector with snap collar latching
KR102361702B1 (ko) 유동방지구조의 호스캡
EP3211254B1 (en) Spherical bearing
US9291292B2 (en) Keyed coupling assembly and kit
US10829915B2 (en) Panel assembly and a tap device with the panel assembly
US20100001514A1 (en) Housing type pipe joint
US6811345B2 (en) Fastener assembly with self centering antirotation elements
CN109428435B (zh) 线缆盒及电动机
US5613871A (en) Pinch preventive connector
JP2009083403A (ja) 塗膜転写具
JP7093565B2 (ja) 逆止弁ユニットの取付構造
EP3769378B1 (en) Contact system having a contact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ontact system
CN210018111U (zh) 具有旋转锁定机构的连接器
JP2005044717A (ja) ランプソケット
KR200372659Y1 (ko) 건축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JP2007165234A (ja) 電気機器用取付具
JP5132875B2 (ja) クランプジョイントシステム
EP1116546A2 (en) Welding construction
JP3279156B2 (ja) バヨネットマウント
US11435012B2 (en) Elbow screw joi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