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32Y1 - 레버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레버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32Y1
KR200494932Y1 KR2020200002688U KR20200002688U KR200494932Y1 KR 200494932 Y1 KR200494932 Y1 KR 200494932Y1 KR 2020200002688 U KR2020200002688 U KR 2020200002688U KR 20200002688 U KR20200002688 U KR 20200002688U KR 200494932 Y1 KR200494932 Y1 KR 200494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rt
mounting plate
mounting
jaw
receiv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2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5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locking the handl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6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버부와 장착 플레이트 간의 조립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레버핸들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연결축이 구비된 핸들부; 상기 연결축이 관통하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영역의 일측면에는 일정길이만큼 장착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장착턱에 대향하는 상기 수용영역의 타측면에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기 수용영역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상기 핸들부의 상기 연결축이 관통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평면 상에는 걸림 포스트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기 장착턱과 맞물리는 장착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커버부의 수용영역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에 측면으로부터 체결되는 무두볼트에 의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일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버부의 걸림턱에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걸림홈이 밀착되어 고정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레버핸들 조립체{LEVER HANDLE ASSEMBLY}
본 고안은 레버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조립이 용이한 레버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에는 레버핸들 도어락이 설치되고 있다. 레버핸들 도어락은 도어의 외측에 장착되며 실외측 핸들이 구비된 외측 본체,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며 실내측 핸들이 구비된 내측 본체, 외측 본체와 내측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핸들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데드 볼트 및/또는 래치볼트를 포함하는 모티스, 그리고 외기와 모티스 사이에 구비되어 외기에 구비된 핸들의 회전력을 모티스로 전달하는 회전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레버핸들 조립체의 구성도로서, 종래의 레버핸들 조립체(101)는 도 1a와 같이 도어(10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커버부(105)가 장착된다. 커버부(105)에는 내외측 레버(103)가 각각 장착된다. 또한 실내측의 커버부(105)에는 잠금핀(106)이 설치된다. 이 잠금핀(106)는 실내측에서 잠금설정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레버(103)를 조작하여 도어(100)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실외측의 커버부(105)에는 잠금핀(106)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공구 등이 삽입되는 해제공(107)이 형성된다.
또한 도어(100)의 측면에는 레버(103)의 동작에 의해 래치볼트(111)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래치모듈(110)이 장착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실내측의 커버부(105)와 실외측의 커버부(105)의 사이에는 래치 모듈(110)이 연결되는데, 커버부(105)에는 레버(103)의 작동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전달유닛(120)이 구비되고, 이 전달유닛(120)은 래치모듈(110)에 연결되어 레버(103)의 회전에 의해 래치모듈(110)에서 래치볼트(111)가 인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하여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레버핸들 조립체는 통상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105)가 외부에 완전 노출되는 구성으로서 제품 디자인 설계에 있어서 제약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특히 근래 들어 도어핸들 등에 인테리어적 요소가 대두되면서 외부에 노출되는 커버부(105)에 대한 다양한 디자인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커버부(105)는 볼트 체결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볼트 체결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져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4-0017905호(공개일자: 2014년 2월 12일)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커버부와 장착 플레이트 간의 조립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레버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결축이 구비된 핸들부; 상기 연결축이 관통하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영역의 일측면에는 일정길이만큼 장착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장착턱에 대향하는 상기 수용영역의 타측면에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기 수용영역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상기 핸들부의 상기 연결축이 관통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평면 상에는 걸림 포스트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기 장착턱과 맞물리는 장착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커버부의 수용영역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에 측면으로부터 체결되는 무두볼트에 의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일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버부의 걸림턱에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걸림홈이 밀착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는 레버핸들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부의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수용영역 내의 측면에는 수직으로 직선면을 갖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측벽에 맞닿는 형태를 갖는 평탄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두볼트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장착턱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장착홈에 맞닿게 장착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커버부를 장착플레이트에 간편하며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장치 구조를 단순화하고 시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레버핸들 조립체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핸들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핸들 조립체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핸들 조립체의 커버부에 장착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핸들 조립체의 커버부에서 장착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핸들 조립체의 커버부에 장착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레버핸들 조립체(10)는 핸들부(11), 커버부(20), 장착 플레이트(30), 코일 스프링(41), 스토퍼 부재(42), 및 고정링(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11)는 연결축(12)을 구비하며, 연결축(12)에는 슬롯홈(13)이 형성되고, 연결축(12)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4)이 형성된다.
커버부(2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의 저면에는 원형을 이루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영역(27)이 형성된다. 이 수용영역(27)의 중앙에는 핸들부(11)의 연결축(12)이 관통하는 개방영역(24)이 형성된다. 이 개방영역(24)을 기준으로 수용영역(27)의 양측 벽에는 장착턱(22)과 걸림턱(23)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장착턱(22)의 수용영역(27)을 형성하는 측벽으로부터 돌출하게 형성된다. 또한 걸림턱(23)도 마찬가지로 측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턱(23)의 양측으로는 수직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된 측벽(26)이 형성된다. 한편 수용영역(27)의 평면 상에는 핀홀(25)이 형성된다. 이 핀홀(25)은 내부 잠금 핀(미도시)가 설치되는 구멍이다.
커버부(20)의 수용영역(27)으로 장착플레이트(30)가 결합된다. 장착플레이트(30)는 커버부(20)의 장착턱(22)이 수용되는 장착홈(32)을 구비한다. 또한 버부(20)의 걸림턱(23)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걸림홈(33)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측벽(26)에 대응하도록 장착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평탄면(36)이 형성된다.
또한 장착플레이트(30)의 평면 상에는 핀홀(25)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35)이 형성되어 내부 잠금 핀이 이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장착플레이트(30)의 평면 상에는 걸림 포스트(31)가 형성된다. 또한 장착플레이트(30)의 중앙에는 연결공(34)이 형성되고, 이 연결공(34)으로 핸들부(11)의 연결축(12)이 관통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레버핸들 조립체(10)의 결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핸들부(11)의 연결축(12)은 커버부(20)의 개방영역(24)을 관통하고, 장착플레이트(30)의 연결공(34)을 관통한다. 이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41)이 연결축(12)에 삽입되고, 연결축(12)의 슬롯홈(13)에는 스토퍼 부재(42)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스토퍼 부재(42)의 지지턱(42c,42d)은 연결축(12)의 슬롯홈(13)에 끼워져서 핸들부(11)의 회전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 부재(4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 부재(42)에는 제1 걸림단(42a)과 제2 걸림단(42b)이 형성된다. 이들 걸림단(42a,42b)은 장착플레이트(30)의 걸림포스트(31)에 의해 간섭된다. 즉 핸들부(11)는 연결축(12)에 결합된 스토퍼부재(42)에 의해 회전반경이 일정각도로 제한되게 된다. 또한 연결축(12)에 끼워진 코일 스프링(41)에 의해 핸들부(11)가 일측으로 회전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스토퍼부재(42)의 전방으로는 스토퍼 부재(42)의 고정을 위해 고정링(43)이 핸드부(11)의 연결축(12)의 고정홈(14)에 장착된다.
한편 커버부(20)의 수용영역(27)에 장착플레이트(30)가 장착되면 커버부(20)의 측벽(특히 장착턱이 형성된 측벽)으로 무두볼트(B)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무 두볼트(B)가 커버부(20)의 측벽을 관통하여 장착플레이트(30)을 일측으로 밀어내면, 장착 플레이트(30)의 평탄면(36)은 커버부(20)의 측벽(26)에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측벽(26)에 형성된 걸림턱(23)은 장착 플레이트(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홈(33)을 구속하게 된다(도 7의 상태).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커버부(20)의 측면에 무두볼트(B)를 체결하여 수용영역(27)에 수용된 장착플레이트(30)를 일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장착 플레이트(30)의 걸림홈(33)이 커버부(20)의 걸림턱(23)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장착플레이트(30)는 커버부(20)에 무두볼트(B)의 체결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걸림턱(23)에 의해 걸림홈(33)이 구속되는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다양한 형태의 커버부(20)를 장착 플레이트(30)에 고정함에 있어 다수의 볼트나 체결요소가 요구되거나 복잡한 결합구조가 요구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커버부를 장착플레이트에 간편하며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시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레버핸들 조립체
11: 핸들부
12: 연결축
13: 슬롯홈
14: 고정홈
20: 커버부
22: 장착턱
24: 개방영역
25: 핀홀
26: 측벽
27: 수용영역
30: 장착 플레이트
32: 장착홈
33: 걸림홈
34: 연결공
35: 관통홀
36: 평탄면
37: 걸림단
41: 코일 스프링
42: 스토퍼부재
42c: 제1 지지턱
42b: 제2 지지턱
43: 고정링

Claims (3)

  1. 연결축이 구비된 핸들부;
    상기 연결축이 관통하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영역의 일측면에는 일정길이만큼 장착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장착턱에 대향하는 상기 수용영역의 타측면에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기 수용영역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상기 핸들부의 상기 연결축이 관통되는 연결공이 형성되며, 평면 상에는 걸림 포스트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기 장착턱과 맞물리는 장착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커버부의 수용영역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에 측면으로부터 체결되는 무두볼트에 의해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일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커버부의 걸림턱에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걸림홈이 밀착되어 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무두볼트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장착턱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상기 장착홈에 맞닿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기 수용영역 내의 측면에는 수직으로 직선면을 갖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측벽에 맞닿는 평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핸들 조립체.
  3. 삭제
KR2020200002688U 2020-07-23 2020-07-23 레버핸들 조립체 KR200494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88U KR200494932Y1 (ko) 2020-07-23 2020-07-23 레버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688U KR200494932Y1 (ko) 2020-07-23 2020-07-23 레버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932Y1 true KR200494932Y1 (ko) 2022-02-08

Family

ID=8025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688U KR200494932Y1 (ko) 2020-07-23 2020-07-23 레버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3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061U (ko) * 2009-07-23 2011-01-31 강윤구 도어 손잡이 지지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061U (ko) * 2009-07-23 2011-01-31 강윤구 도어 손잡이 지지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948A (en) Cylindrical lockset
US20090314042A1 (en) Door Lock With Large Handle
US6779370B2 (en) Securit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7900489B2 (en) Lock assembly
KR102042596B1 (ko) 방화도어용 도어록
KR200494932Y1 (ko) 레버핸들 조립체
US20180363322A1 (en) Push-pull passage lock housing
US20170306654A1 (en) Mortise device
KR101755226B1 (ko) 도어 레버의 일체형 스핀들
US6357807B1 (en) Door lock
KR102371729B1 (ko) 도어락의 안전 핸들 구조체
CN212837223U (zh) 一种轴向闭锁机构及锁具
KR102188250B1 (ko) 방화문용 도어록 장치
KR20020089139A (ko) 튜블라형 도어록의 래치볼트 작동구조
CN108027195B (zh) 把手及冷冻器
US9670693B2 (en) Interchangeable lock assembly
KR100577730B1 (ko) 래치 조립체
KR20200001831U (ko) 도어락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KR102385362B1 (ko) 도어용 래치기구
CN219993418U (zh) Led显示装置及其的锁具和箱体组件
KR102318630B1 (ko) 도어록용 래치 어셈블리
US11414804B2 (en) Washing machine drum assembly,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4089252A1 (en) Fitting for an openable element
KR970008772B1 (ko) 레버형 도어록
KR200474293Y1 (ko) 컴팩트 핸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