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291B1 -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291B1
KR102224291B1 KR1020190020516A KR20190020516A KR102224291B1 KR 102224291 B1 KR102224291 B1 KR 102224291B1 KR 1020190020516 A KR1020190020516 A KR 1020190020516A KR 20190020516 A KR20190020516 A KR 20190020516A KR 102224291 B1 KR102224291 B1 KR 102224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box
housing
concentricity
circumferential surface
powe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584A (ko
Inventor
김순창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1Gearings, speed selectors, clutch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공구의 하우징내에 장착되는 기어박스의 동심도를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맞추어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외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편(21)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편(2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13)이 형성되어서 기어박스(20)와 구동모터의 동심도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Electric Power Tool that Enables Automatic Alignment of the Concentricity of the Gearbox}
본 발명은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공구의 하우징내에 장착되는 기어박스의 동심도를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맞추어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는 외장을 이루는 하우징과, 이러한 하우징의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조립성을 위해 통상적으로 2개로 분할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 전방측에는 기어박스가 마련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어박스는 모터의 전방측에 구비되어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전동공구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의 기어박스 조립구조는 하우징의 전면에 기어박스를 접하도록 하고, 나사를 이용하여 조립하여 결합되도록 하였는데, 하우징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모터의 축으로부터 기어박스까지 동력전달이 이루어질때, 동심도가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동력전달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공구는 하우징의 전면에 약간 노출된 상태로 기어박스를 결합하는데, 기어박스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리브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리브와 조립되면서 위치를 고정시켜준 상태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어박스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동심도가 더욱 나빠져서 편향되어 전동공구 전체의 구동축인 모터축 및 기어박스간의 정렬상태가 오정렬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오정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전면에 기어박스를 접하고 나사로 고정하는 구조의 전동공구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전동공구는 기어박스를 접하고 나사로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공차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와의 동심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없어 편차가 발생하여 모터의 구동시 정확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 제 5937940호(발행일 : 2016.6.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동공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전면 내부에 기어박스를 조립하면 자동적으로 동심도가 맞추어지고, 2차로 외부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기어박스 및 하우징이 동시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동심도의 자동 정렬이 가능하고, 확실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의 외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편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서 기어박스와 구동모터의 동심도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의 결합편은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일측면은 곡선면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안착홈의 안쪽에는 상기 기어박스의 결합편이 안착되도록 하는 저지편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안착홈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삽입부의 결합공과 결합편의 결합공 및 저지편에 결합하여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동공구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전면 내부에 기어박스를 조립하면 자동적으로 동심도가 맞추어지고, 2차로 외부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로 기어박스 및 하우징이 동시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동심도의 자동 정렬이 가능하고, 확실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공구에서 기어박스가 하우징과 분리된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기어박스가 하우징안에 삽입된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정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결합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공구(1)는 전동공구의 외장을 이루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 전면측에 구비되는 기어박스(20)로 이루어진다.
물론, 기어박스(20)의 안쪽에는 모터(M)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로서, 하우징(10)은 2개로 분할되어서 제 1,2분할 하우징(10a)(10b)으로 조립되는 구조이고, 그립부(11) 및 하부에 배터리(B)가 장착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박스(20)는 도면의 편의상 내부 구조물에 대해서는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어박스(20)는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편(21)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결합편(21)은 기어박스(20)의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결합편(21)이 기어박스(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결합편(21)에는 결합공(21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결합편(21)의 일부는 하기 설명하는 하우징(10) 내주면에 형성되는 안착홈(13)에 안착시 밀착되도록 하는 곡선면(21b)이 형성되고, 상기 곡선면(21b)의 반대측에는 직선면(21c)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결합편(21)에 형성되는 다른 위치의 결합공(21d)은 기어박스(20)에 버텀 하우징(40)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박스(20)와 버텀 하우징(40)을 상호 체결하기 위해 상기 기어박스(20)의 외주면과 상기 버텀 하우징(4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접하여 체결되는 체결편(24)들이 형성되고, 결합공(21d)에 나사가 체결되어 기어박스(20)의 체결편(24)과 버텀 하우징(40)의 체결편이 상호 접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20)의 외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형성된 체결편(24)의 외측에 결합편(21)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30)가 결합되도록 하는 삽입부(12)가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부(12)는 외부에서 보았을때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돌출된 구조를 가지고, 하우징(10)의 내부로 관통되는 결합공(12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부(12)의 결합공(12a) 안쪽 위치에 상기 기어박스(20)의 결합편(21)이 위치하도록 하는 안착홈(13)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홈(13)의 앞쪽에는 삽입부(12)의 결합공(12a)이 위치하고, 안착홈(13)의 뒷쪽에는 상기 기어박스(20)의 돌출된 결합편(21)이 삽입되어 정위치가 되도록 하는 저지편(14)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저지편(14)에는 소정 깊이의 결합홈(14a)이 형성되어서 결합공(12a)을 관통하여 체결부재(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홈(13)은 곡선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기어박스(20)의 결합편(21)의 곡선면(21b)이 확실하게 밀착되어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에 갖추어지는 모터는 하우징(10)내에 장착되는 기어박스(20)와 동심도가 일치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0)의 내부에 기어박스(20)의 조립시, 기어박스(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편(21)이 하우징(10) 내주면의 안착홈(13)에 삽입되면서 정위치로 배치되어서 그 후방에 배치되는 모터와의 동심도가 자동적으로 맞추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따른 기어박스로의 동력전달시, 확실한 동력전달이 가능해지므로, 전동공구로서의 사용시, 보다 원활한 상태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1 : 전동공구
10 : 하우징
10a : 제 1분할 하우징
10b : 제 2분할 하우징
11 : 그립부
12 : 삽입부
12a : 결합공
13 : 안착홈
14 : 저지편
14a : 결합홈
20 : 기어박스
21 : 결합편
21a : 결합공
21b : 곡선면
21c : 직선면
21d : 결합공
30 : 체결부재
40 : 버텀 하우징
B : 배터리
M : 모터

Claims (4)

  1. 구동모터가 구비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20);
    상기 기어박스(20)와 버텀 하우징(40)을 상호 체결하기 위해 상기 기어박스(20)의 외주면과 상기 버텀 하우징(4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접하여 체결되는 체결편(24)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외주면에는 간격을 두고 상기 체결편(24)의 외측에 복수의 결합편(21)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편(2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13)이 형성되어서 기어박스(20)와 구동모터의 동심도가 일치되도록 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결합편(21)은 결합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3)에 삽입되는 일측면은 곡선면(21b)이 형성되며,
    안착홈(13)의 안쪽에 상기 기어박스(20)의 결합편(21)이 안착되도록 상기 체결편(24)이 지지되는 저지편(14)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2)에 안착홈(13)과 연통되는 결합공(12a)이 형성되며, 체결부재(30)가 삽입부(12)의 결합공(12a)과 결합편(21)의 결합공(21a)을 통해 저지편(14)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20516A 2019-02-21 2019-02-21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 KR102224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516A KR102224291B1 (ko) 2019-02-21 2019-02-21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516A KR102224291B1 (ko) 2019-02-21 2019-02-21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584A KR20200102584A (ko) 2020-09-01
KR102224291B1 true KR102224291B1 (ko) 2021-03-09

Family

ID=7245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516A KR102224291B1 (ko) 2019-02-21 2019-02-21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8178A (ja) 2002-07-25 2004-02-26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のフロントカバー保持機構
JP2007527977A (ja) 2004-03-03 2007-10-04 ブラック アンド デッカー インク. 多段速度動力工具変速機
US20130025899A1 (en) 2011-07-29 2013-01-31 Kuehne Brent A Multispeed power tool
JP2015223658A (ja) 2014-05-27 2015-12-14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及び回転打撃工具
US20170157753A1 (en) 2015-12-03 2017-06-08 Makita Corporation Electric power tool with vibration mechanism
JP2017113809A (ja) 2015-12-21 2017-06-29 株式会社マキタ 回転工具
WO2018011207A1 (de) * 2016-07-11 2018-01-18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n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940B2 (ja) 1979-02-26 1984-09-1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食品のマイクロ波加熱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8178A (ja) 2002-07-25 2004-02-26 Hitachi Koki Co Ltd 電動工具のフロントカバー保持機構
JP2007527977A (ja) 2004-03-03 2007-10-04 ブラック アンド デッカー インク. 多段速度動力工具変速機
US20130025899A1 (en) 2011-07-29 2013-01-31 Kuehne Brent A Multispeed power tool
JP2015223658A (ja) 2014-05-27 2015-12-14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及び回転打撃工具
US20170157753A1 (en) 2015-12-03 2017-06-08 Makita Corporation Electric power tool with vibration mechanism
JP2017100259A (ja) * 2015-12-03 2017-06-08 株式会社マキタ 震動機構付き電動工具
JP2017113809A (ja) 2015-12-21 2017-06-29 株式会社マキタ 回転工具
WO2018011207A1 (de) * 2016-07-11 2018-01-18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n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584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1455B2 (en) Driving force member
EP0698449B1 (en) Power tool with modular driv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of modular drive system
US4140365A (e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housing
US8047057B2 (en) Output mode switching apparatus
JPH03540B2 (ko)
US8814710B2 (en) Torque transmission assembly and coupling
US5890931A (en) Polariz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US2007011158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fastening device
KR102224291B1 (ko) 기어박스의 동심도 자동 맞춤이 가능한 전동공구
CN107476842B (zh) 一种机油泵驱动结构、汽车发动机及车辆
KR101876071B1 (ko) 자동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허브와 오일 펌프 기어의 연결 구조
US5964604A (en) LIF connector
US4564306A (en) Furniture fitting
US6171125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olenoids on vehicle transmissions
CN215247191U (zh) 微型电机及垃圾桶
JP4214762B2 (ja) トルク伝達具の組み付け方法
EP4044409A1 (en) Motor brush, motor and washing machine
JP2010019363A (ja) オルダム継手
US10454335B2 (en) Motor housing
CN219685360U (zh) 稳定传动的电批
KR101978051B1 (ko) 등속조인트
KR200278237Y1 (ko) 유니버설 조인트
CN218728618U (zh) 一种用于鼓芯的驱动结构及硒鼓结构
CN214686336U (zh) 装配工具
KR100384201B1 (ko) 단자고정용 프론트 홀더의 감착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