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250A -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250A
KR20210025250A KR1020190105005A KR20190105005A KR20210025250A KR 20210025250 A KR20210025250 A KR 20210025250A KR 1020190105005 A KR1020190105005 A KR 1020190105005A KR 20190105005 A KR20190105005 A KR 20190105005A KR 20210025250 A KR20210025250 A KR 20210025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big data
user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김종부
박지환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스랩 filed Critical (주)케이에스랩
Priority to KR1020190105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250A/ko
Publication of KR20210025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장 내에 설치된 전자표기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따른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사용자의 만족도, 선호도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Big data analysis based on electronic price notation system Personalized marketing service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장 내에 설치된 전자표기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따른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사용자의 만족도, 선호도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ESL(Electronic Shelf Label) 시스템은 ESL의 NFC 무선통신 태그(이하, ESL 태그라 함)를 이용하여 POS(point of sale) 장치와 연동하여 상품의 가격정보를 안내함과 더불어 단위당 가격, 세일 가격, 정상 가격, 상품 진열 위치 표시, 포인트 정보, 진열 수량 등 다양한 판촉 정보를 부가 표시하여 상품 구매와 매장 운영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ESL 시스템에 구비되는 ESL 태그(전자라벨)는 가격 정보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업데이트에 필요한 정보는 ESL 태그(전자라벨)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받도록 구성되며, 전달받은 정보는 ESL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출력 고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ESL 시스템은 단순히 진열된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할인정보 등 관리서버 등에 기설정된 정보에 대해서만 고시하고 있는 바, 이와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고객에게 전달하기에는 부족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더 많은 상품에 관련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1312호 2016.02.0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매장 내에 설치된 전자표기장치의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표기장치와 NFC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의 조작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마켓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매장 내에 진열된 상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표기하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부(11)이 구비되는 전자표기장치(10); 상기 전자표기장치(10)의 태그부(11)을 태그하여 상품정보를 관리서버(30)로 요청하며, 태그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20); 및 매장 내 진열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태그된 상품에 대한 태그 정보를 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며,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자표기장치(10)는,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상품정보를 전달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화면 출력부; 상기 수신부와 화면 출력부를 제어하는 ESL 제어부; 대상상품의 인식코드가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기(20)와 근거리 통신에 의해 상기 인식코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되는 태그부;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품에 대한 정보로서, 관리자에 의해 기설정되어 상기 관리서버(30)에 입력된 상품정보가 출력되는 기본 출력부(12); 및 매장 내 구매자의 행동에 의해 누적 저장된 빅데이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가 분석함으로써 도출되는 정보인 서비스 정보가 표기되는 서비스 출력부(13);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른 상품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가 전자표기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신호가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추적 및 분석하는 위치정보 요청부; 사용자 단말기(20)가 태그함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30)로 전송되는 정보와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부;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의 운영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 위치정보 요청부, 빅데이터 저장부, 빅데이터 분석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판매량, 태그횟수, 태그위치, 시기(계절, 요일), 가격, 재구매 횟수, 재구매 주기, 리뷰점수를 파라미터로 하여 판매순위, 대상상품의 태그율, 상품정보 확인율, 대상상품의 실구매율, 시기별 판매실적, 재구매 횟수(주기), 대상상품에 대한 만족도, 추천상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도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추천상품 리스트는, 대상 상품의 태그 횟수를 태그 위치 별로 추출하며, 대상 상품의 태그 횟수가 2번째로 많은 위치의 상품부터 n번째로 많은 상품을 1차 추천 제품군으로 선정하고, 이후, 상기 1차 추천 제품군 중에서 평가 척도 값이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상품을 1차 추천 제품군으로부터 제거하여 2차 추천 제품군으로 선정하며, 상기 2차 추천 제품군의 상품은 평가 척도 값이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생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추천상품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조작에 의해 리뷰점수 순, 구매율 순, 재구매 순 또는 만족도 순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품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요청한 상품의 진열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전달받으며, 이를 매장의 지도 정보에 표기하여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출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재구매 주기를 분석하여, 대상상품의 재구매 주기에 사용자가 주문을 하지 않은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해당 상품을 미리 주문 발송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을 통지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구매목록(장바구니)에 대상상품을 추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대상 상품을 태그한 위치를 분석하여 적절한 정보를 서비스 정보로서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실구매자인 소비자의 인지도나 호감도가 반영되는 태그 이력, 태그 위치, 구매 이력 등을 고려하여 추천 상품 리스트를 형성하고 있는 바, 추천 상품 리스트의 신뢰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가격표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개략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표기장치의 실시 예의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조작 화면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매장지도 정보로서, 태그거리를 추출하는 실시예의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매장지도 정보로써, 대상상품의 진열위치를 안내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장 내에 설치된 전자표기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에 따른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사용자의 만족도, 선호도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가격표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개략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표기장치의 실시 예의 도면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조작 화면 실시예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매장지도 정보로서, 태그거리를 추출하는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매장지도 정보로써, 대상상품의 진열위치를 안내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장 내에 진열된 상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표기하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부(11)이 구비되는 전자표기장치(10); 상기 전자표기장치(10)의 태그부(11)을 태그하여 상품정보를 관리서버(30)로 요청하며, 태그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20); 및 매장 내 진열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태그된 상품에 대한 태그 정보를 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며,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표기장치(ESL)(10)는 상기 관리서버(3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관리서버(30) 내에 저장된 상품정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수신부, 화면 출력부, ESL 제어부, 태그부(11)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상품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수신부가 전송받은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이며, 상기 ESL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와 화면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태그부(11)는 대상상품의 인식코드가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기(20)와 근거리 통신에 의해 상기 인식코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코드는 각 상품에 대응되는 고유 코드로서 저장되며, 이에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 클라이언트코드(client code), 보안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표기장치(10)에는 각각 특정 인식코드가 부여되는 바, 사용자 단말기(20)가 상기 태그부(11)을 태그하게 되면, 해당 태그부(11)에 대응되는 인식코드가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이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여 상기 인식코드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부(11)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근거리 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품정보에는 상품의 명칭, 가격정보, 할인율, 제조사, 단위 무게당 가격(식품), 유통기한(식품), 입고날짜, 광고, 대상 상품의 이벤트 정보, 할인쿠폰, 원산지, 영양성분(식품), 상품판매순위, 태그순위 등 상품에 대한 기본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표기장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상기한 정보들 중 관리자가 선택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출력부는 기본정보가 출력되는 기본 출력부(12)와 분석에 의해 도출된 서비스 정보가 출력되는 서비스 출력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매장 내 구매자의 행동에 의해 누적 저장된 빅데이터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도출되는 정보로서, 상품판매순위, 태그순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 기본정보와 서비스 정보는 관리서버(30)로부터 전달받아 화면에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서비스 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표기되며, 업데이트시, 업데이트 일자가 함께 출력 표기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전자표기장치(10)(ESL)는 종래의 종이 등으로 이루어진 가격표를 대신하는 것인 바, 상품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는데, 소비자(구매자)의 편의성을 위해 대응되는 상품이 진열된 반경 20cm 이내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자표기장치(10)에는 각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가 표기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가 바코드를 리딩(reading)하게 되면 상기 바코드에 대응되는 상품의 상품정보가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표기장치(10)에는 관리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는 점등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점등부가 동작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비로서,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스마트 워치, 노트북, PMP, PD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인식부, 화면 표시부, 단말기 통신부,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는 상기 태그부(11)을 태그하여 인식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를 상기 태그부(11)에 근접시킴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와 전자표기장치(10)가 NFC 태그에 의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자표기장치(10)로부터 인식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모바일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관리서버(3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인식부에 의해 전달받은 인식코드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전달하되, 관리서버(30)로부터 상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화면 표시부는 관리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상품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 단말기 통신부 및 화면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으로 이루어져,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함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사용자 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의 실시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다양한 조작 버튼이 존재하며, 상기 조작 버튼을 클릭함에 따라 관리서버(30)로부터 적절한 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입력창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창에 상품에 대한 정보(명칭, 제조사 등)를 입력하면 이에 매칭되는 상품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전달받아 화면 표시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상품정보와 함께 서비스 정보도 함께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는 상품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빅데이터화 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 및 전자표기장치(10)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30)는 서버 통신부, 위치정보 요청부, 빅데이터 저장부, 빅데이터 분석부, 서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른 상품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전자표기장치(10)와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부연하면, 매장 내에는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40)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표기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는 배치된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게이트웨이(40)와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웨이(40)는 상기 관리서버(30)와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전자표기장치(10), 사용자 단말기(20)는 관리서버(30)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게이트웨이(40)가 복수(다수)의 전자표기장치(10) 및 사용자 단말기(2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지그비(zigbe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요청부는 상기 서버 통신부가 전자표기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신호가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추적 및 분석하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요청신호는 상기 전자표기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가 상기 관리서버(30)로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인 바, 본 발명에서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전자표기장치(10)와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 정보를 빅데이터화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마켓팅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정보 요청부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기(20)와 게이트웨이(4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송수신 신호의 세기 또는 전자표기장치(10)와 게이트웨이(4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송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의 크기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 및 전자표기장치(10)의 위치를 추정 도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실내에서 무선통신시 신호의 강도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의 경우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는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20)를 태그함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30)로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함은 물론이고, 상기 상품정보가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입력 저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는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상품정보 저장부, 태그위치 저장부, 태그이력 저장부, 구매이력 저장부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20)가 전자표기장치(10)를 태그함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은 고객별(성별, 연령 등), 상품별, 제품군별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카테고리는 상기에서 언급하는 카테고리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관리서버(30)에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품정보 저장부는 매장 내 진열된 상품의 명칭, 가격정보, 할인율, 제조사, 단위 무게당 가격(식품), 유통기한(식품), 입고날짜, 광고, 대상 상품의 이벤트 정보, 할인쿠폰, 원산지, 영양성분(식품), 상품의 위치(지도) 등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매장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이는 해당 매장의 관리자가 미리 입력 저장되며, 이는 제품군별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정보는 다른 매장에 진열된 상품들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면, 이때, 다른 매장이란 대상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동일한 이름을 갖는 브랜드의 다른 지점 또는 서로 상이한 브랜드의 각 지점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상품의 위치(지도)의 경우, 관리자가 관리서버(30)에 직접 설정 저장할 수 있는데, 이때, 진열된 상품의 정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위치정보 요청부로부터 전달받은 상품의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직접 매장 내 진열상태를 확인한 뒤,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태그이력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이 태그한 상품 이력과 태그한 시간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도록 한다. 이는 고객별(연령, 성별), 상품별, 제품군별 등으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상기 태그위치 저장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정보 요청부에 의해 도출된 전자표기장치(10)와 사용자 단말기(20)의 태그 위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는 시간순으로 순차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구매이력 저장부는 POS장치로부터 고객별로 구매한 상품의 이력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품군, 구매 일자, 구매 지역, 동일 상품의 구매 횟수 등의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분류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고객에 대한 정보는 해당 매장에 대한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한 구매 이력이 있는 모든 고객에 대한 정보로서, 일반적으로 멤버쉽 회원 등에 대한 개개인의 정보가 이에 해당하며, 각 고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구축되는 빅데이터들은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는 고객의 연령, 성별 등을 구분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POS장치는 통신장치에 의해 상기 관리서버(3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의 운영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에 의해 추출 생성되는 서비스 정보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서버 통신부, 위치정보 요청부, 빅데이터 저장부, 빅데이터 분석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전자표기장치(10)는 매장 내의 선반에 구비되는 것인 만큼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된 상품정보가 제한적인 바,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가 대상물품과 대응하는 태그부(11)을 태그하면 관리서버(30)로부터 상품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부연하면, 전자표기장치(10)의 태그부(11)에는 대상상품에 대한 요청코드가 미리 저장되는 바, 사용자 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을 켠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20)를 태그부(11)측에 근접하게 태그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가 요청코드를 인식하여 이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태그부(11)이 상품의 바코드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바코드 리더기를 사용하여 대상상품을 인식하게 되며, 인식된 바코드의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관리서버(30)는 전달받은 인식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상품의 정보를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게 되며, 추출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서 요청하는 정보에 따라 빅데이터를 복수 개의 파라미터로 다양하게 분석하며, 분석에 따른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판매량, 태그횟수, 태그위치, 시기(계절, 요일), 가격, 재구매 횟수, 재구매 주기, 신고횟수 등을 파라미터로서 사용하며, 판매순위, 대상상품의 태그율, 상품정보 확인율, 대상상품의 실구매율, 시기별 판매실적, 재구매 횟수(주기), 타지점 판매가격 정보, 대상상품에 대한 만족도, 추천상품 리스트 등의 서비스 정보를 도출하여 관리자 또는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매순위는 제품군 별로 특정 기간 중 누적 구매이력이 가장 많은 상품을 1순위로 하여 순차적으로 표기함으로써 도출하며, 순위가 높을수록 대상상품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상품의 태그율은 동일 제품군 중 대상상품을 태그한 비율로서, 이는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에 누적 저장된 태그이력을 이용하여 도출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태그이력으로부터 대상상품이 속한 제품군의 총 태그 횟수(Ta)와 대상상품의 총 태그 횟수(Tb)를 추출하고, 이를 Ta에 대한 Tb의 비율을 수치로 환산하여 태그율 데이터를 추출 생성한다.
상기 태그율은 대상 상품에 대한 인지도 및 관심도의 척도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태그율이 높을수록 대상상품이 속한 제품군 중 대상상품의 인지도 및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대상상품의 태그율을 이용하여 대상상품이 속한 제품군의 태그율에 따른 선호도 순위리스트 등을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서비스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대상상품의 실구매율은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대상상품을 구매한 비율로서,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에 누적 저장된 태그이력과 구매이력을 이용하여 도출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태그이력으로부터 대상상품의 총 태그 횟수(Tb)를 추출하고, 구매이력으로부터 사용자가 대상상품을 구매한 횟수(Sa)를 추출하며, 이를 총 태그 횟수 Tb에 대한 대상상품의 구매횟수 Sa의 비율을 수치로 환산하여 실구매율 데이터를 추출 생성하여 구매선호도의 척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값이 높을수록 대상상품에 대한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재구매 횟수는 상기 구매이력으로부터 설정된 기간 동안 대상상품을 구매한 횟수를 추출한 것으로서, 대상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의 척도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재구매 횟수 값이 클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재구매 주기는 상기 구매이력으로부터 2회 이상 구매한 이력이 있는 경우, 선택되는 하나의 구매일로부터 바로 다음 구매일까지 걸린 시간을 추출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일(day)로 표기하여 대상상품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의 척도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재구매 주기 값이 작을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타지점 판매가격 정보는 상기 상품정보로부터 현 매장의 대상상품의 가격과 대상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매장의 판매가격을 추출하여 생성한 것으로서,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표, 그래프 등의 서비스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대상상품에 대한 만족도는 파라미터들(태그율, 실구매율, 재구매 횟수, 가격, 태그거리, 재구매 주기, 신고횟수)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태그율, 실구매율, 재구매 횟수, 가격에 비례하고, 태그간격(태그거리), 재구매 주기 및 신고횟수에 반비례하며, 상기 만족도 수치가 높을수록 대상상품에 대한 실구매자의 평가가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상품의 만족도는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되도록 한다.
만족도 =
Figure pat00001
상기 대상상품의 만족도 값은 높을수록 실구매자의 호감도가 높은 상품인 것으로 판단하며, 이때, 상기 식에서 각 파라미터값에 대한 함수들은 각각의 파라미터값에 대한 함수식을 이용하여 수치를 환산 추출한 것이다.
f1(태그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 제품군 중 대상상품을 태그한 비율에 대한 환산 수치로서, f1(태그율) = Tb/Ta*100을 만족한다.
f2(실구매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상품의 총 태그횟수에 대한 판매횟수의 비율에 대한 환산 수치로서, f2(실구매율) = Sa/tb*100 을 만족한다.
f3(재구매 횟수)는 설정된 기간 동안 재구매한 횟수(Sr)에 대해 환산한 수치로서, f3(재구매 횟수) = Sr*a1+b1을 만족한다. 여기서, a1과 b2은 재구매 횟수에 대한 함수값을 환산하기 위한 환산계수로서 관리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f4(가격)는 대상상품의 가격 경쟁력에 대한 환산 수치로서, 대상상품이 속한 제품군의 평균 판매가격(Pa)에 대한 대상상품의 가격(Ps)의 비율로 환산하며, f4(가격) = Ps/Pa*a4를 만족한다. 이때, a4는 환산계수이며, 이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f5(태그거리)는 대상상품의 진열위치와 마지막 태그위치의 차이에 대한 환산 수치로서, 대상상품의 진열 지점을 P1(x1, y1)라 하고, 대상상품의 마지막 태그위치를 P2(x2, y2)라 할 때, P1과 P2 사이의 직선거리 D를 추출하여 표기하며, f5(태그거리) = {(x1-x2)^2+(y1-y2)^2}^(1/2)를 만족한다.
f6(재구매주기)는 설정된 기간 동안 대상상품을 다시 구매한 주기에 대한 환산 수치로서, 이는 복수 개의 구매일을 최신 날짜 순으로 D(n), D(n-1), ...D3, D2, D1이라 할 때, 인접한 한 쌍의 구매일(D(n-1), D(n)) 중 상대적으로 후반인 구매일(Dn)에서 직전의 구매일(Dn-1)의 차를 절대값으로 표기하는데, f6(재구매주기) = (|(Dn-1)-(Dn)|+|(Dn-2)-(Dn-1)|+.....+|(D2-D1)|)*a2/(n-1)를 만족하며, 재구매한 이력이 없는 경우, 상기 값은 1로 환산된다. 이때, a2는 환산계수이며, 이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f7(리뷰점수)는 상품을 실제로 구매한 실 구매자가 해당 상품에 대한 호감도를 수치로 환산한 것으로서, 1 ~ 10 점 중 사용자가 입력한 수치로 표기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리뷰점수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이 가능하며, 수치 입력과 함께 상품에 대한 사용자 의견을 함께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추천상품 리스트는 상기 대상상품에 대한 만족도와 태그위치 정보에 의해 결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매장 내에서 대상상품을 태그한 경우, 상품을 태그한 위치 정보를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있는데, 상품을 태그한 위치에 따라 실구매자들의 선호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에서 A상품을 태그한 횟수를 위치 별로 추출하며, A상품이 가장 많이 태그된 위치는 A상품이 진열된 위치인 바, 상기 태그 위치들 중 태그 횟수가 두 번째로 많은 위치의 상품부터 n번째까지의 상품을 1차 추천 제품군으로 선정한다.
이때, 태그 횟수가 2 ~ n번째인 상품 중 동일 제품군의 상품이 아닌 경우, 상기 추천 상품 목록에서 해당 상품을 제외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에 따라 동일 제품군 상품 중 A상품의 구매시 가장 많이 비교되는 대상군의 상품이 추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1차 추천 제품군 중에서 평가 척도 값이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상품을 1차 추천 제품군으로부터 제거하여 2차 추천 제품군으로 선정하며, 상기 2차 추천 제품군의 상품은 만족도값이 높은 순, 구매이력이 많은 순, 리뷰점수 순, 또는 재구매 횟수가 많은 순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정렬하여 추천상품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1차 추천 제품군은 단순히 태그율이 높은 것을 기준으로 추출하게 되는데, 이때, 평가 척도 값인 리뷰점수와 만족도 값이 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경우, 이는 상품에 대한 신뢰성 및 호감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바, 이러한 상품은 추천 제품군에서 제외하여 2차 추천 제품군을 형성함에 따라 추천상품 리스트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추천상품 리스트는 리뷰점수 순, 구매율 순, 재구매 순, 만족도 순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정렬이 가능하며, 이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는 고객의 연령, 성별에 따라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들은 다양한 시각정보로서 제작되어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된 리스트에서 특정 상품을 클릭함으로써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요청하며,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다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상상품의 만족도, 태그율, 실구매율 등 상기의 파라미터값들을 이용하여 판매 전략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품의 경우, 다양한 이벤트 프로모션을 개최하여 판매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매장 내 상품들의 태그율 및 태그 위치 정보에 따라 매장 관리자가 다양하게 진열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그율이 낮은 상품을 태그율이 높은 상품이 배치된 위치로 진열위치를 변경하여 상품의 노출 빈도를 높임에 따라 판매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태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진열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태그 위치 정보가 시간순으로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바,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각 사용자별 태그 위치 정보를 매장 지도에 시간 순으로 표기하여 사용자별 이동 경로 정보를 형성하며, 고객의 이동 경로 정보를 취합하여 상대적으로 유동이 많은 위치에 프로모션 상품을 구비하거나, 상대적으로 유동이 적은 위치에 배치된 상품의 진열 위치를 유동이 많은 위치로 변경하는 등 상품의 진열을 위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경로 정보는 연령, 성별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예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매장 내에서 실구매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조작하는 행동에 추출되는 정보들을 빅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여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사용자 단말기(20) 및 전자표기장치(10)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한 서비스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업데이트 기간은 n시간 또는 n일로 관리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매장 내 이용객은 실구매자의 행동에 의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지는 바, 더욱 신뢰성 있는 쇼핑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재구매 주기에 따른 상품을 추천하거나 소비자가 주문을 하지 않더라도 미리 상품을 배송하는 정기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분석부에서는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분석하여 재구매 주기를 도출하여 빅데이터로서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관리서버는 재구매가 이루어진 상품에 대한 추천상품 리스트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재구매 주기를 분석하여, 대상상품의 재구매 주기에 사용자가 주문을 하지 않은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해당 상품을 미리 주문 발송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을 통지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구매목록(장바구니)에 대상상품을 추가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신청하지 않더라도 대상물품에 대한 정기 배송이 자동으로 신청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하거나, 대상물품을 사용자가 다시 재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대상상품에 대한 구매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한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의 조작하여 해제하거나 설정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매장 내에서 상품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며, 검색된 상품이나, 상기 서비스 정보로서 제공되는 상품들의 클릭하게 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들이 시각 정보로서 제공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품들의 진열위치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품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요청한 상품의 진열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전달받게 되며, 이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의 지도 정보에 표기하여 안내정보를 생성하면, 상기 안내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출하여 사용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에서 대상상품이 진열된 위치로의 최단경로가 상기 안내정보에 표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내정보는 일정시간, 예를 들어, 1초 ~ 3초 간격으로 상기 관리서버(3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 정보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 중인지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는 대상상품의 진열위치와 업데이트되는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가 점차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가 대상물품과 인접한 위치, 구체적으로는 대상상품이 진열된 구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관리서버(30)는 대상물품과 대응되는 전자표기장치(10)가 점등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전자표기장치(10)는 상기 점등신호에 따라 발광하면서 대상상품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전자표기장치(10)의 점등부는 다양한 색상으로 점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30)는 점등신호의 송출시, 발광색을 결정하여 송출하도록 하며, 결정된 발광색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 전달하여 이와 대응되는 색으로 발광하는 전자표기장치(10)를 사용자가 더욱 쉽게 대상물품이 진열된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는 하나의 구역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가 진입하여 대상물품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파악되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발광하도록 발광색을 각각 결정하여 송출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 전자표기장치
11 : 태그부 12 : 기본출력부
13 : 서비스 출력부
20 : 사용자 단말기
30 : 관리서버
40 : 게이트웨이

Claims (9)

  1. 매장 내에 진열된 상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표기하며,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부(11)이 구비되는 전자표기장치(10);
    상기 전자표기장치(10)의 태그부(11)을 태그하여 상품정보를 관리서버(30)로 요청하며, 태그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전달받는 사용자 단말기(20); 및
    매장 내 진열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태그된 상품에 대한 태그 정보를 저장하여 빅데이터화하며,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표기장치(10)는,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상품정보를 전달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화면 출력부;
    상기 수신부와 화면 출력부를 제어하는 ESL 제어부;
    대상상품의 인식코드가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기(20)와 근거리 통신에 의해 상기 인식코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되는 태그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품에 대한 정보로서, 관리자에 의해 기설정되어 상기 관리서버(30)에 입력된 상품정보가 출력되는 기본 출력부(12); 및
    매장 내 구매자의 행동에 의해 누적 저장된 빅데이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가 분석함으로써 도출되는 정보인 서비스 정보가 표기되는 서비스 출력부(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른 상품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가 전자표기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신호가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추적 및 분석하는 위치정보 요청부;
    사용자 단말기(20)가 태그함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30)로 전송되는 정보와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부;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의 운영 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 위치정보 요청부, 빅데이터 저장부, 빅데이터 분석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판매량, 태그횟수, 태그위치, 시기(계절, 요일), 가격, 재구매 횟수, 재구매 주기, 리뷰점수를 파라미터로 하여 판매순위, 대상상품의 태그율, 상품정보 확인율, 대상상품의 실구매율, 시기별 판매실적, 재구매 횟수(주기), 대상상품에 대한 만족도, 추천상품 리스트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천상품 리스트는,
    대상 상품의 태그 횟수를 태그 위치 별로 추출하며, 대상 상품의 태그 횟수가 2번째로 많은 위치의 상품부터 n번째로 많은 상품을 1차 추천 제품군으로 선정하고, 이후, 상기 1차 추천 제품군 중에서 평가 척도 값이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상품을 1차 추천 제품군으로부터 제거하여 2차 추천 제품군으로 선정하며, 상기 2차 추천 제품군의 상품은 평가 척도 값이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추천상품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조작에 의해 리뷰점수 순, 구매율 순, 재구매 순 또는 만족도 순으로 정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품정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요청한 상품의 진열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전달받으며, 이를 매장의 지도 정보에 표기하여 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재구매 주기를 분석하여, 대상상품의 재구매 주기에 사용자가 주문을 하지 않은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해당 상품을 미리 주문 발송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을 통지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구매목록(장바구니)에 대상상품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105005A 2019-08-27 2019-08-27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25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005A KR20210025250A (ko) 2019-08-27 2019-08-27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005A KR20210025250A (ko) 2019-08-27 2019-08-27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250A true KR20210025250A (ko) 2021-03-09

Family

ID=7517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005A KR20210025250A (ko) 2019-08-27 2019-08-27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25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807B1 (ko) * 2021-03-30 2021-12-20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58695B1 (ko) * 2022-06-22 2022-10-26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월드 유망 아이템 선정 시스템
KR20230013463A (ko) * 2021-07-19 2023-01-26 최영진 스마트오더바 장바구니 결제 시스템
CN117391823A (zh) * 2023-12-11 2024-01-12 广州宇中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自学习的用户偏好信息自动推送方法
CN117391823B (zh) * 2023-12-11 2024-05-10 广州宇中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自学习的用户偏好信息自动推送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12A (ko) 2014-07-21 2016-02-01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12A (ko) 2014-07-21 2016-02-01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807B1 (ko) * 2021-03-30 2021-12-20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393010B1 (en) 2021-03-30 2022-07-19 Coupang Corp. Operat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for offering item inform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supporting thereof
WO2022211154A1 (ko) * 2021-03-30 2022-10-06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013463A (ko) * 2021-07-19 2023-01-26 최영진 스마트오더바 장바구니 결제 시스템
KR102458695B1 (ko) * 2022-06-22 2022-10-26 주식회사 제이에이치월드 유망 아이템 선정 시스템
CN117391823A (zh) * 2023-12-11 2024-01-12 广州宇中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自学习的用户偏好信息自动推送方法
CN117391823B (zh) * 2023-12-11 2024-05-10 广州宇中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自学习的用户偏好信息自动推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174B1 (ko)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Erdmann et al. Digital inbound marketing: Measuring the economic performance of grocery e-commerce in Europe and the USA
Li et al. Online versus bricks-and-mortar retailing: a comparison of price, assortment and delivery time
KR101707982B1 (ko) 매장에 방문한 고객을 위한 매장 단말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16192B2 (ja)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装置の制御方法、情報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出力システム
KR20210025250A (ko)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4170519A (zh) 智能设备辅助的商务
KR102135288B1 (ko) 구매이력 기반 구매 지원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03875010A (zh) 智能支付系统
Kaur et al. Influence of technological advances and change in marketing strategies using analytics in retail industry
KR102199197B1 (ko) 신상정보 기반 상품 추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872220B1 (ko) 네트워크 기반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장치
JP2010505183A (ja) 棚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60445B1 (ko) 시장조사 및 분석 시스템
KR101775995B1 (ko) 정보 분석 장치 및 정보 분석 방법
US20150178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using offline transaction information
KR20180104961A (ko) 고객 행동 기반의 오프라인 쇼핑몰 매장 추천 시스템 및 매장 추천 방법
US20150363806A1 (en) Product pricing apparatus for electronic information label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60001578A (ko)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160132310A (ko) 웹서비스 사용자의 검색 행태에 기반한 능동형 프랜차이즈창업 지원방법
US20180300734A1 (en) System and method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KR102170092B1 (ko)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5995A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 엔에프씨 융합 전자가격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11399A (ko) 웰빙간식 서브스크립션 시스템
KR20150143249A (ko)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