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249A -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249A
KR20150143249A KR1020140141884A KR20140141884A KR20150143249A KR 20150143249 A KR20150143249 A KR 20150143249A KR 1020140141884 A KR1020140141884 A KR 1020140141884A KR 20140141884 A KR20140141884 A KR 20140141884A KR 20150143249 A KR20150143249 A KR 20150143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price
interest
product
e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22,60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363806A1/en
Publication of KR2015014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품 가격 결정 장치는 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보인 행위나 특성에 기초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고, 이 고객 관심도에 기초하여 상품의 가격을 결정한다. 기존의 방법에 따라서 기초 가격을 먼저 결정한 다음 고객 관심도와 필요한 경우에는 판매량을 반영하여 이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상품의 가격은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전자 정보 라벨 태그에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Product price deci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information label system}
전자 정보 라벨(Electronic Information Label, EIL)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EIL 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표시되는 상품 가격을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할인 마트, 백화점, 아울렛, 소매점 등과 같은 상품 유통 매장에서는 상품 가격을 포함한 상품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종이 라벨(paper label)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종이 라벨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슈 및 단점이 최근에 부각되고 있다. 일례로, 환경 문제의 중요성 증가에 따라서 종이 라벨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 파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종이 라벨의 제작이나 관리에 따른 비용이 계속 발생하고, 재질의 특성상 종이 라벨은 훼손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이 라벨은 적시에 상품 관련 정보가 갱신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품 관련 정보의 갱신이 지연됨으로 인하여 고객과의 마찰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이 라벨과 관련되어 부각되는 이슈 및 단점을 해결하고 또한 판매되는 많은 상품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전자 정보 라벨(Electronic Information Label, EIL)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EIL 시스템은 ESL(Electronic Shelf Label)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EIL 시스템은 전자 정보 라벨 장치인 EIL 태그를 통하여 상품명, 상품 가격 등과 같은 상품 관련 정보를 전자적으로 표시하는 시스템으로서, 상품 관련 정보는 EIL 태그와 연동되어 있는 EIL 서버가 생성하여 EIL 태그로 제공한다. 이러한 EIL 시스템에 의하면, EIL 태그는 EIL 서버로부터 상품 가격을 포함한 상품 관련 정보를 소정 포맷의 데이터(예컨대, 이미지 파일)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므로, 상품 가격 등의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EIL 서버에서 변경된 정보가 포함된 새로운 상품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EIL 태그로 전송하면 EIL 태그에는 변경된 정보들이 바로 표시될 수 있다.
매장에서는 다양한 상품이 전시되어 판매되며 그 중에는 계절 상품(seasonal product)도 포함된다. 계절 상품은 성수기(peak season), 예컨대 특정 계절에 대부분의 수요가 발생하는 상품으로서, 성수기가 지나서 비수기가 되면 수요가 거의 없거나 미미하다. 이러한 계절 상품은 성수기 또는 그 이전에는 매장 전체 매출액 대비 상당한 판매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비수기에는 재고 관리에 따른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성수기에서의 판매량의 증가를 통해서 매장 이익을 증가시키고 또한 비수기에서의 재고 관리 비용 등과 같은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계절 상품에 대한 효율적인 판매 전략, 즉 효율적이고 시기 적절한 가격 결정이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계절 상품은 계절이나 환경 변화에 따라서 제품의 판매량에 변동이 발생하고 또한 성수기가 지나게 되면 그 판매량이 급격히 줄어든다. 이를 고려하여, 계절 상품은 이익의 극대화를 위하여 성수기 이전에는 고가로 판매를 시작하며, 비수기에서의 재고 관리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가격을 단계적으로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가격 결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격 결정 방식은 단순히 판매 시점에 따른 판매량 예측만을 기준으로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를 반영한 효율적인 매장 운영이 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시기적 또는 계절적으로는 성수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다른 요인들에 의하여 고객들의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할인 판매를 한다면, 매장에서는 그 만큼 판매 이익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상품, 특히 계절 상품과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수요의 변화가 큰 상품에 대한 효율적인 가격 결정을 통해 판매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계절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실제 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여 가격을 결정한다. 실제 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위하여, 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보여준 행위나 특성을 통하여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적응적으로 가격을 결정한다. 그리고 해당 제품의 실시간 판매량에 관한 정보 또는 목표 판매량과 실시간 판매량의 차이도 가격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먼저, 기존의 방법에 따라서 기초 가격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경시적 요구(historical demand)를 바탕으로 기초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기초 가격은 기간별로 목표 가격을 설정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목표 판매량도 같이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여 수요를 예측하고 예측 수요(predicted demand)에 기초하여 최종 가격을 결정한다. 수요 예측 및/또는 최종 가격의 결정에는 실시간 판매량에 관한 정보도 함께 반영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가격은 기초 가격에 기초하여 이를 증감하는 형태, 즉 기초 가격을 업데이트하는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고객 관심도는 물론 판매량 등이 변화하여 예측 수요도 달라지게 되므로 그에 따라서 최종 가격도 달라질 수 있다.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고객들의 관심이나 행위를 파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 상의 제품 페이지에 대한 접속 횟수 및/또는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 상에서 제품이 언급된 횟수 등과 같이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정보가 고객 관심도 파악의 일 지표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매장 내에서 실제 일어나고 있는 고객의 행위나 특성에 기초하여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고 이를 수요 예측에 활용할 수 있다. 고객 관심도의 파악에는 매장에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장치(예컨대, 근접 통신 기능이 구비된 EIL 태그, 터치 인식 기능이 구비된 EIL 태그, 디지털 광고판, 영상 감시 장치, 근접 센서, 실내 위치 정보 서비스 서버 등)가 활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의하면, 해당 상품의 EIL 태그에 대한 접촉 빈도를 통해 고객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EIL 태그에는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예컨대, 터치스크린 기능)이나 스위치를 적용하거나 또는 EIL 태그에 있는 근접 통신(NFC) 타겟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의하면, 디지털 광고판에 광고되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통해 고객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광고판에는 광고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근접 센서 또는 카메라 등이 추가로 부착되거나 또는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감시 장치(CCTV)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의하면, 매장 내에서의 고객의 위치 정보 또는 트래픽 정보를 통해 고객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열대에 설치된 근접 센서나 매장 내의 CCTV를 활용하거나 또는 고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추적 시스템(예컨대, 매장에서 고객이 사용하는 상품 운송 카트 등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치함)을 활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가격 결정 장치는 전자 정보 라벨(EIL) 시스템이 구비된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가격을 결정하여 EIL 시스템에 제공하는 장치로서, 기초 가격 결정부, 관심도 평가부, 및 최종 가격 결정부를 포함한다. 기초 가격 결정부는 상품의 경시적 수요 예측에 기초하여 기초 가격을 결정한다. 관심도 평가부는 매장을 방문한 고객들이 상품에 대하여 표시하는 관심이나 행위에 의하여 표출되는 고객 관심도를 실시간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최종 가격 결정부는 관심도 평가부에 의하여 평가된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를 반영하여 기초 가격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서 최종 가격을 결정한다. 일 양상에 의하면, 상품 가격 결정 장치는 상품의 실시간 판매량을 분석하기 위한 판매량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최종 가격 결정부는 판매량 분석부에 의한 실시간 판매량도 같이 반영하는 최종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가격 결정 방법은 전자 정보 라벨(EIL) 시스템이 구비된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우선, 상품의 경시적 수요 예측에 기초하여 기초 가격을 결정한다. 그리고 매장을 방문한 고객들이 상품에 대하여 표시하는 관심이나 행위에 의하여 표출되는 고객 관심도를 실시간으로 평가한다. 또한,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를 반영하여 기초 가격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서 EIL 시스템을 통해 표시될 최종 가격을 결정한다. 일 양상에 의하면, 상품의 실시간 판매량을 분석하여 최종 가격을 결정하는데 함께 활용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양상들에 의하면, 기존의 가격 결정에 활용되는 정보는 물론 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매장에서 보여 주는 다양한 행위나 특성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요를 예측한 다음 상품 가격을 결정하므로 효율적인 재고 관리는 물론 판매 이익의 극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객 관심도가 높은 제품은 기존 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결정하여 판매 이익의 극대화를 도모한다. 반면, 고객 관심도가 낮은 제품은 기존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결정하여 재고 관리에 따른 부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매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매장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기초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경시적 수요의 일례와 예측 수요의 일례를 각각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EIL 태그의 표시된 상품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된 경우에 제품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양상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디지털 광고판을 통하여 상품을 검색하는 화면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c는 매장에서의 고객 트래픽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가격 결정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를 기술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그 기술적 사상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정보 라벨(Electronic Information Label, EIL)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100)은 EIL 서버(110),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Gateway, 120), 및 다수의 EIL 태그(130)를 포함한다.
EIL 서버(110)는 EIL 시스템(100)의 관리 장치로서 EIL 태그(130)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품명, 상품 가격 등과 같은 상품 관련 정보를 소정의 포맷으로 생성하여 EIL 태그(130)로 전달한다. 상품 관련 정보는 EIL 서버(110)의 외부 장치, 예컨대 고객 시스템(customer system) 또는 판매자 서버(retailer server)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및/또는 내부의 데이터베이스(DB, 도 2의 참조번호 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EIL 서버(110)는 게이트웨이(120)들과 내부 네트워크, 예컨대 내부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20)는 EIL 서버(110)와 EIL 태그(13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120)들은 매장 내부에 적절한 토폴로지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일례로 매장 내 천장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120)들 각각은 전체 EIL 태그(130)들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의 EIL 태그(130)가 EIL 서버(110)와 통신하는 것을 중계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복수의 EIL 태그(130)와 통신한다. 이를 위하여, 게이트웨이(120)는 EIL 태그(130)와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2.4GHz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게이트웨이(120)는 유무선 변환장치로서, EIL 서버(110)와 EIL 태그(130)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데, 예를 들어 EIL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상품 관련 정보를 무선으로 EIL 태그(130)로 전달할 수 있다.
EIL 태그(130)는 전자 정보 라벨 장치로서 미리 결정된 소정의 규격 또는 포맷을 가진다. EIL 태그(130)의 규격 또는 포맷은 EIL 시스템 사이의 호환을 위하여 표준화될 수 있으나,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EIL 태그(130)는 7개의 획으로 숫자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7 세그먼트 태그 및/또는 상품 가격 외 상품명, 바코드, 로고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태그일 수 있다.
일 양상에 의하면, EIL 태그(130)는 슬립 상태를 유지하다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wake-up)되어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EIL 서버(110)로부터 수신해야 할 상품 관련 정보(예컨대, 업데이트된 가격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있을 경우, EIL 태그(130)는 EIL 서버(110)로부터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송신된 상품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다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수신해야 할 상품 관련 정보가 없을 경우는 곧바로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이러한 EIL 태그(130)는 함께 진열된 동일 상품들에 대해 할당되어 그 동일 상품들에 대한 상품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하나의 EIL 태그(130)에는 하나의 상품에 대한 상품 관련 정보가 표시되거나 또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EIL 태그(130)의 표시 화면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상품의 상품 관련 정보는 EIL 태그(130)의 표시 화면에서 분할된 소정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매장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장 시스템은 EIL 시스템(100),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 및 고객 시스템(Customer System, 310)을 포함한다. 그리고 매장 시스템은 경시적 요구 데이터베이스(Historical demand DB, 320),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330),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 서버(Indoor Positioning Service(IPS) server, 340), 디지털 광고판(digital signage, 350), 광고판 서버(signage server, 360), 및 웹 서버(Web server, 370)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사용자(400)는 매장 시스템의 일부라기 보다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전화(mobile phone)를 사용하는 고객을 가리킨다. 이러한 매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의 기본적인 기능은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도 2의 매장 시스템에 포함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가 EIL 시스템(100)이나 고객 시스템(310)과 별개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단지 기능적인 구분에 기초한 것이다. 매장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는 EIL 시스템(100)이나 고객 시스템(310)의 일부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매장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가격 결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는 EIL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상품 관련 정보 중에서 상품 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계절 상품의 경우에, 기존에는 통상적으로 경시적 요구(historical demand)에 기반하여 온도와 날씨 예측과 같은 기후 요인을 포함한 외부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상품 가격이 결정되었다. 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품, 특히 계절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실제 수요, 즉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고 반영하여 가격을 결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는 기초 가격 결정부(210), 관심도 결정부(220), 판매량 분석부(230), 및 최종 가격 결정부(24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의 구성 요소들은 단지 그 기능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물리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일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체 구성 요소들이 각각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의 기초 가격 결정부(210)는 먼저 기존의 방법에 따라서 기초 가격을 결정한다. '기초 가격'이란 외부 환경 요인이 반영된 경시적 수요 예측에 기초하여 1차적으로 결정되는 가격이다. 그리고 외부 환경 요인은 예측된 온도와 날씨 등과 같은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 상품의 경우에는 장마가 지속되는 기간, 무더위가 예상되는 기간 및 최고 온도, 강수 확률, 회사들의 집중 여름 휴가 기간 등이 외부 환경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겨울 상품의 경우에는 추위 정도나 적설량 등이 외부 환경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초 가격에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서 평가된 고객의 관심도에 따른 실질적인 수요가 반영되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의 방법'이란 원가, 설문 조사, 시장 조사, 예년의 가격 변동이나 매출 등에 기초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기존의 방법의 일례로, 기초 가격 결정부(210)는 경시적 요구 데이터베이스(Historical demand DB, 3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시적 요구(historical demand)를 바탕으로 기초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경시적 요구 데이터베이스는 예년의 가격 변동이나 매출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례로, 기초 가격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서 판매 가격을 설정하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초 가격의 결정과 함께 부가적으로 목표 판매량도 연동되어 설정될 수 있다.
도 4a는 기존의 방법의 일례에 따라서 기초 가격 결정부(210)가 계절 상품의 기초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계절 상품은 성수기(peak season)가 되기 이전, 즉 프리-시즌(pre-season) 동안에 수요가 조금씩 증가하다가 성수기의 초기에 최대 수요가 발생하며, 그 이후에는 다시 조금씩 수요가 감소한다. 그리고 시즌이 지나면, 즉 오프-시즌(off-season)이 되면 수요가 거의 없어지는 양상을 나타낸다. 도 4a에는 이것이 경시적 요구(historical demand)로 표시된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경시적 요구에 기초하여 상품 판매 가격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성수기가 되기 이전에는 신상품 발매에 따른 고가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일부 상품의 경우에는 사전 주문의 형식으로 가격 할인 이벤트를 실시하기도 하지만, 여기에서는 이러한 이벤트 적용의 문제는 논외로 한다)이며, 그에 따라서 기초 가격도 높게 설정된다. 그리고 성수기가 되면 정상적인 가격으로 기초 가격을 유지하다가, 성수기가 지나면 일정 할인율을 적용하여 기초 가격을 낮춤으로써 판매 촉진을 유도하여 재고 부담을 줄이려고 시도한다. 도 4a에는 이러한 기초 가격의 변동 과정이 경시적 고정 가격(Historical Fixed Price)으로 표시된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격 정책은 단지 시기만을 기준으로 판매량을 예측하는 것이어서 고객들의 실제 수요 변화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실제로 수요가 많은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시기적으로 성수기가 지났다는 이유로 낮은 가격으로 가격을 고정시키거나 또는 실제로 수요가 없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시기적으로 성수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높은 가격으로 가격을 고정시키는 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다. 전자의 경우에,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수요 증가로 충분히 발생 가능한 수익 증가를 놓치게 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판매 감소에 따른 재고량 증가로 인하여 재고 관리에 따른 관리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는 실시간으로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여 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한 다음 이에 기초하여 최종 가격을 결정한다. 최종 가격의 결정을 위한 수요 예측에는 고객 관심도는 물론 판매량 정보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최종 가격의 결정 과정은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의 최종 가격 결정부(240)의 기능일 수 있다. 그리고 최종 가격 결정부(240)가 최종 가격을 결정하는데 이용하는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는 것은 관심도 평가부(22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최종 가격 결정부(240)가 고객 관심도 이외에 최종 가격을 결정하는데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의 판매량을 파악하는 것은 판매량 분석부(2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계절 상품(seasonal product)의 경우에 특정 기간 내에 수요가 집중되므로, 해당 기간의 판매 및 재고 관리가 수익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계절 상품의 경우에 과거 판매량 등과 같은 경시적 요구(historical demand)를 기반으로 판매 가격 및 판매 수량을 기획하지만,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실제 수요량은 변화할 수 있다. 예측 수요량과 실제 수요량이 차이가 나는 것은 계절 상품이 아닌 일반 상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상품, 특히 계절 상품은 이러한 변화 가능한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정확하게 수요량을 예측하고 이에 기초하여 판매 가격 및 판매 수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4b는 계절 상품에 대한 경시적 수요의 일례와 예측 수요의 일례를 각각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도 4b에서 경시적 수요 그래프는 기존의 방법에 따라서 성수기를 기준으로 한 계절 상품에 대한 시간에 따른 수요의 변화를 보여 주는 것이며, 예측 수요 그래프는 고객 관심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을 함께 고려한 시간에 따른 수요의 변화를 보여 주는 그래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한 예측 수요는 경시적 수요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계절 상품의 경우에, 기존에는 예상 기온(해당 계절의 추위나 더위의 강도)이나 날씨(비가 오는 날이 많은지 아니면 무더운 날이 많은지 또는 황사나 미세 먼지 등이 많이 발생하는지 등) 등과 같은 환경 변화가 주로 수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부정확한 장기 날씨 예보에 기초한 것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환경 변화가 반드시 수요에 반영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정확한 수요 예측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매장 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장치들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고 이것으로 수요 예측, 즉 예측 판매량 결정에 활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는 관심도 평가부(220)를 구비한다. 관심도 평가부(220)는 특정 상품에 대하여 고객들이 표출 또는 표현하는 관심이나 행위를 평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정보를 활용하여 고객 관심도를 파악한다. 이러한 고객들의 관심이나 행위는 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매장에서 표출하는 관심이나 행위, 고객들의 특성(그리고 이러한 고객의 관심, 행위, 특성은 매장 시스템에 구비된 장치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매장의 외부나 내부에서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 폰(400)을 이용하여 해당 매장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특정 제품을 클릭하는 행위나 SNS와 같은 소셜 미디어 상에서 제품이 언급된 횟수 등과 같이 현재 상품의 예측 수요를 파악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정보 등도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 때, 웹 페이지를 관리하는 웹 서버(370)를 통해 제품 검색 빈도 정보가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로 전달되어 관심도 평가부(220)에서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경쟁사 가격 변화와 관련된 정보나 연관도가 높은 상품에 대한 지표도 해당 상품의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한 웹 서핑의 경우에는 실질적인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한 SNS에서 언급되는 경우도 구매 의사와는 관련이 없을 수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매장 외부에서 벌어지는 행위로 인한 지표는 높은 비중을 두기 어렵다. 반면,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경우에는 상품에 대한 실제 구매 의사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실시예의 일 양상에 의하면, 매장 내부에서 일어나는 고객의 행위나 특성을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한 주요한 지표로 활용한다.
이러한 지표 중의 하나는 EIL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EIL 태그(130)에 대한 고객의 인터액션 횟수, 예컨대 EIL 태그(130)에 대한 접촉 빈도가 될 수 있다. 즉, 관심도 평가부(220)는 상품의 EIL 태그(130)에 대한 고객의 접촉 빈도를 통해 고객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다. EIL 태그(130)에 대한 접촉은 고객이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접촉을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객이 가지고 있는 소정의 장치(예컨대, 스마트 폰)를 이용하여 EIL 태그(130)를 인증/확인하거나 또는 EIL 태그(130)와 통신을 하는 것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근접 통신(NFC) 리더를 이용하여 EIL 태그(130)에 포함된 NFC 타겟을 판독하거나 또는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NFC 타겟을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 통신(NFC) 리더에 판독시키는 행위 등도 EIL 태그(130)에 대한 접촉의 일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는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 폰을 이용한 능동적인 행위가 요구되므로, 다른 경우에 비하여 고객 관심도에서 차지하는 가중치를 높게 부여할 수도 있다. EIL 태그(130)에 대한 접촉이 있을 경우에, EIL 시스템(100), 보다 구체적으로 EIL 서버(110)로부터 제품 상세 정보에 대한 접속 정보가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로 입력되어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EIL 태그(130)에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5a에는 이러한 EIL 태그(13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EIL 태그에는 'Manager's Special Offer'라는 타이틀로 판매되는 4개의 상품(Bolero Pants, Flower Jeans, Black Tops, R. Cardigans)에 대한 상품명과 가격이 EIL 태그(130)의 화면의 소정 영역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고객이 이 EIL 태그(130)에 개시되어 있는 상품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품(도 5a에서는 Flower Jeans)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재질이나 제품 특성, 제조국, 사이즈 정보 등)가 EIL 태그(130)의 화면 전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EIL 태그(130)에는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예컨대, 터치스크린 기능)이나 스위치가 적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 해당 제품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면 무조건 관심도 점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 정보가 표시된 이후에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예컨대,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또는 고객이 추가적으로 상세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접촉하거나 또는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상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NFC 타겟을 판독하는 경우 등)에 관심도 점수가 증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매장을 방문한 고객의 관심도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지표 중의 다른 하나는 디지털 광고판(digital signage, 350)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즉,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광고판(350)에 광고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통해 고객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광고판 서버(signage server, 360)는 광고 노출에 관한 정보 및/또는 이에 표출된 고객 관심 행위 정보를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로 전달하여 관심도 평가부(220)가 고객 관심도를 판단하는데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매장, 특히 소매(retail) 매장에는 다수의 디지털 광고판(350)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디지털 광고판(350)을 통하여 다양한 상품에 대한 광고 및 프로모션 정보가 제공되는데, 광고되는 상품에 대하여 고객이 보인 관심 행위를 인지하여 이를 고객 관심도를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고객의 관심 행위는 다양하게 표출될 수 있으며 표출되는 양태에 따라서 파악하는 메커니즘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광고판(350)에 제공되어 노출되는 모든 광고가 아니라 고객이 일정 시간 이상 시청하는 광고의 상품에 대해서만 고객의 관심 행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고객이 주의를 기울여 보지 않는 광고의 경우에는 고객의 관심이 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광고판(350)에는 광고되고 있는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근접 센서 또는 디지털 광고판(350)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 또는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감시 장치(CCTV)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객의 안구를 인식하는 장치를 활용하여 고객이 디지털 광고판(350)에 집중하는 시간을 산출함으로써 고객 관심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지털 광고판(350)에 대한 고객의 적극적인 행위가 있는 경우에 고객의 관심 행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광고판에 추가적인 기능이 요구될 수 있는데, 디지털 광고판(350)에 표시되는 제품에 대한 제품 검색 기능이나 바 코드 판독(bar code reading)이 가능하도록 바 코드를 표시하는 기능이 더 필요할 수도 있다. 도 5b는 디지털 광고판을 통하여 상품을 검색하는 화면의 일례를 보여 주는 것으로, 운동화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지털 광고판에 표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매장을 방문한 고객의 관심도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지표 중의 또 다른 하나는 매장 내에서의 고객 위치 정보 또는 고객의 트래픽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관심도 평가부(220)는 특정 시간에 많은 고객이 붐비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장시간 머무르는 위치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이나 및/또는 고객들의 트래픽의 집중되는 위치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은 고객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지만, 고객의 적은 위치이거나 고객이 머무르는 시간이 짧은 위치에 진영되어 있는 상품이나 고객들의 트래픽이 많지 않은 위치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은 고객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5c는 매장에서의 고객 트래픽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일례를 보여 주는 것으로, 매장 평면도에서 상대적으로 붉은 색 계통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 고객 트래픽이 많은 영역을 나타낸다.
이를 위하여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 서버(Indoor Positioning Service(IPS) server, 340, 도 2 참조)가 활용될 수 있다. 요즘 IP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솔류션이 제공되고 있다. 실내에서 고객의 위치 정보를 얻게 되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고객이 특정 제품군에 머무르는 빈도 및 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해당 제품군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 파악이 가능하다. 만일, IPS 서버(340)를 활용하는 것만으로 실질적인 고객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다면, 매장의 진열대 등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330, 도 2 참조)나 CCTV 등을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계절 상품이 배치되어 있는 지역만 특별히 근접 센서나 CCTV 등을 설치하여 고객의 트래픽을 파악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의 판매량 분석부(230)는 해당 상품의 판매량을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판매량 분석부(230)는 실시간으로 절대적인 상품 판매량을 분석하거나 또는 이전 판매량에 비교한 상대적인 증감치를 분석할 수도 있다. 그리고/또는 판매량 분석부(230)는 기초 가격 결정부(210)에서 설정한 기간별 목표 판매량과 실제 판매량을 비교하여 그 과부족 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실시간 판매량 정보나 설정된 목표 판매량에 관한 정보는 고객 시스템(310)의 POS(Point Of Sales)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최종 가격 결정부(240)는 해당 상품의 최종 판매 가격을 결정하여 EIL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EIL 시스템(100)으로 전달된 최종 판매 가격은 해당 상품의 EIL 태그(130)에 표시될 수 있다. 최종 가격 결정부(240)는 적어도 관심도 평가부(220)에서 수신된 고객 관심도 정보를 활용하여 최종 가격을 결정한다. 이 때, 결정되는 최종 가격은 기초 가격 결정부(210)에서 결정되어 수신되는 기초 가격을 기준으로 하여 더 증가시키거나 또는 더 감소시키거나 또는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최종 가격 결정부(240)가 최종 가격을 결정할 때는 판매량 분석부(230)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판매량 정보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상품 가격 결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품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후술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가 특정 상품, 특히 계절 상품의 상품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상품 가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경시적 요구를 예측 또는 추정하여 기간별 기초 가격을 설정한다(S10). 본 단계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의 기초 가격 결정부(2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초 가격 결정은 이전 시즌의 월별 가격 및 판매량 정보 등을 포함한 경시적 요구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기초 가격 결정부(210)는 해당 상품의 기간별 가격 및 목표 판매량을 설정한다. 설정된 가격 및 목표 판매량은 고객 시스템(310)의 POS 시스템에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고객 시스템(310)에 설정된 상품 가격을 포함한 상품 정보는 EIL 서버(110)로 전달되어 EIL 태그(130)의 화면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고객의 관심도 평가를 수행한다(S20). 본 단계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의 관심도 평가부(2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관심도 평가부(220)는 매장에 방문한 고객들의 행위나 특성에 기초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평가한다. 일례로, EIL 태그(130)가 터치 스크린 기능 및/또는 스위치 기능을 갖는 경우라면, 고객의 접촉이 있는 경우에 제품의 상세 정보를 EIL 태그(13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EIL 서버(110)는 이러한 고객의 접촉이 있는 것만으로도 고객의 관심이 있는 것으로 카운트하거나 또는 해당 제품의 상세 정보가 일정 시간 이상 노출되는 경우에만 카운트하거나 또는 상세 정보가 노출된 상태에서 고객의 추가적인 행위(NFC 태깅이나 바코드 리딩, 또는 추가적인 EIL 태그(130)에의 접촉 등)가 있는 경우에만 카운트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고객의 디지털 광고판(350)을 통해 제품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EIL 태그(130)의 NFC 기능을 통해 NFC 태깅을 하거나 이를 통하여 제품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에도 고객의 관심 행위가 있는 것으로 카운트할 수도 있다(카운트의 주체는 광고판 서버(360)이거나 또는 EIL 서버(110)이거나 또는 웹 서버(370)일 수 있다). 디지털 광고판(350)의 경우에는 광고로 표시되는 제품들 중에서 고객이 특별히 집중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관심을 보이는 제품에 대해서만 카운트를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광고판(350)은 이에 설치된 카메라를 활용하거나 또한 필요하다면 안구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이 관심을 가지고 광고를 보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PS 서버(340) 및/또는 근접 센서(330)를 활용하여 고객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하여 고객이 특정 상품 영역에 머무르는 트래픽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관심도를 평가할 수도 있다. 이 때, 실시간 고객 위치 정보 수집이 불가능하다면, 근접 센서(330)나 CCTV를 계절 상품 진열 구역에 선별적으로 장착하여 해당 제품군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선별적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 S20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상품의 판매량도 분석할 수 있다. 판매량 분석은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의 판매량 분석부(2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판매량 분석부(230)는 해당 상품의 판매량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목표 판매량이나 예전 판매량과의 차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는 해당 상품의 최종 가격을 결정하며, 결정된 최종 가격 정보는 EIL 태그(13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EIL 서버(110)로 전달한다(S30). 상품 가격 결정 장치(200)에서 결정된 최종 가격 정보가 EIL 서버(110)로 전달되는데 있어서, 고객 시스템(310)의 POS가 매개될 수 있다. 즉, 최종 가격 정보가 POS에 등록되고 이에 등록된 최종 가격 정보가 다른 상품 정보와 함께 EIL 서버(1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품 가격 결정 장치(240)는 관심도 평가부(220)로부터 전달되는 고객 관심도를 통해서 해당 상품에 대한 잠재적인 고객 수요의 추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고객 관심도는 EIL 서버(110), IPS 서버(340), 웹 서버(370), 광고판 서버(360) 등을 통해서 수집되는 정보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품 가격 결정 장치(240)는 필요한 경우에는 판매량 분석부(230)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실시간 판매량 정보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상품 가격 결정 장치(240)는 고객의 관심도에 기초한 잠재적인 고객 수요는 물론 실시간 판매량에 기초하여, 기초 가격 결정부(210)로부터 전달받은 기초 가격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해당 상품의 최종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객 관심도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잠재적인 고객 수요 정보, 기초 가격 설정 당시에 설정에 목표 판매량, 및 해당 제품에 대한 실제 판매량 등을 종합하여, 기초 가격을 수정함으로써 최종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잠재 고객 추정치 및/또는 실제 판매량이 초기 목표 판매량에 비하여 작은 경우에는 기초 가격이 높게 설정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기초 가격을 내리는 방향으로 최종 가격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잠재 고객 추정치 및/또는 실제 판매량이 초기 목표 판매량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기초 가격이 낮게 설정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기초 가격을 올리는 방향으로 최종 가격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Claims (16)

  1. 전자 정보 라벨(EIL) 시스템이 구비된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가격을 결정하여 상기 EIL 시스템에 제공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경시적 수요 예측에 기초하여 기초 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 가격 결정부;
    상기 매장을 방문한 고객들이 상기 상품에 대하여 표시하는 관심이나 행위에 의하여 표출되는 고객 관심도를 실시간으로 평가하기 위한 관심도 평가부; 및
    상기 관심도 평가부에 의하여 평가된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를 반영하여 상기 기초 가격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서 최종 가격을 결정하는 최종 가격 결정부를 포함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도 평가부는 상기 상품의 EIL 태그에 대한 고객의 접촉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빈도는 고객이 상기 EIL 태그에 직접 접촉하는 횟수와 고객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상기 EIL 태그에 포함되어 있는 근접 통신(NFC) 타겟에 대하여 NFC 태깅을 수행하는 횟수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도 평가부는 디지털 광고판에 광고되고 있는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 행위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도 평가부는 상기 디지털 광고판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 센서, 상기 디지털 광고판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및 상기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감시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관심 행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도 평가부는 상기 매장 내에서의 고객들의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상기 매장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IPS) 서버를 활용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실시간 판매량을 분석하기 위한 판매량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 가격 결정부는 상기 판매량 분석부에 의한 실시간 판매량도 같이 반영하는 상기 최종 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장치.
  9. 전자 정보 라벨(EIL) 시스템이 구비된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경시적 수요 예측에 기초하여 기초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매장을 방문한 고객들이 상기 상품에 대하여 표시하는 관심이나 행위에 의하여 표출되는 고객 관심도를 실시간으로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 관심도를 반영하여 상기 기초 가격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서 상기 EIL 시스템을 통해 표시될 최종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상품의 EIL 태그에 대한 고객의 접촉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빈도는 고객이 상기 EIL 태그에 직접 접촉하는 횟수와 고객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상기 EIL 태그에 포함되어 있는 근접 통신(NFC) 타겟에 대하여 NFC 태깅을 수행하는 횟수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단계에서는 디지털 광고판에 광고되고 있는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 행위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디지털 광고판에 설치되어 있는 근접 센서, 상기 디지털 광고판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및 상기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영상 감시 장치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고객의 관심 행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매장 내에서의 고객들의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 관심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상기 매장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 위치 추적 서비스(IPS) 서버를 활용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
  16.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실시간 판매량을 분석하기 위한 판매량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 가격 결정부는 상기 판매량 분석부에 의한 실시간 판매량도 같이 반영하는 상기 최종 가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가격 결정 방법.
KR1020140141884A 2014-06-11 2014-10-20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150143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22,601 US20150363806A1 (en) 2014-06-11 2015-05-27 Product pricing apparatus for electronic information label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116 2014-06-11
KR20140071116 2014-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249A true KR20150143249A (ko) 2015-12-23

Family

ID=5508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884A KR20150143249A (ko) 2014-06-11 2014-10-20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32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994A1 (ko) * 2016-01-12 2017-07-20 (주)올윈웨어 가치 정보에 기반한 아이템의 판매 조건 결정 방법 및 장치
CN111985972A (zh) * 2020-08-27 2020-11-24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果蔬店家的果蔬价格动态调整系统及其实现方法
CN112395918A (zh) * 2019-08-16 2021-02-23 浙江汉朔电子科技有限公司 货架物品识别方法、装置及系统
KR20220022544A (ko) * 2020-08-19 2022-02-28 이니그마(주)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994A1 (ko) * 2016-01-12 2017-07-20 (주)올윈웨어 가치 정보에 기반한 아이템의 판매 조건 결정 방법 및 장치
CN112395918A (zh) * 2019-08-16 2021-02-23 浙江汉朔电子科技有限公司 货架物品识别方法、装置及系统
CN112395918B (zh) * 2019-08-16 2024-03-01 汉朔科技股份有限公司 货架物品识别方法、装置及系统
KR20220022544A (ko) * 2020-08-19 2022-02-28 이니그마(주) 고객 수요 기반의 가격 조정 시스템
CN111985972A (zh) * 2020-08-27 2020-11-24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果蔬店家的果蔬价格动态调整系统及其实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5532B2 (ja) デジタル情報収集および解析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US9949085B2 (en) System for collection, analytics, and display of indoor positioning data
US6703934B1 (en) Method for dynamic pricing of goods and services
US20150363806A1 (en) Product pricing apparatus for electronic information label system and method therefor
Burke The third wave of marketing intelligence
Haans et al. “One-deal-fits-all?” On category sales promotion effectiveness in smaller versus larger supermarkets
US20120271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delivery of advertising content to a consumer based on the consumer's indication of interest in an item or service available in a retail environment
US8438060B2 (en) Dynamic online experience modification and inventory optimization based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geo-location parameter
US201001382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l store shelf stock monitoring, predicting, and reporting
US2007006722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cking consumers in a store environment
Kaur et al. Influence of technological advances and change in marketing strategies using analytics in retail industry
JPWO2020008938A1 (ja) 販売促進システムおよび販売促進方法
KR102090174B1 (ko)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591807B2 (ja) ラベル管理システム、ラベル管理方法、及びラベル管理プログラム
WO2004104951A1 (en) Trolley tracker
KR20150143249A (ko)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을 위한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
CN206340058U (zh) 一种基于视频流和rfid的实体店商品销售管理系统
CN111492385A (zh) 停车管理系统
KR20160001578A (ko) 상품 가격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210025250A (ko)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80052307A (ko) 맞춤 이벤트 생성을 통한 영업점 관리 서버
US20160055491A1 (en) Object opinion registering device for guiding a person in a decision making situation
KR20150139758A (ko) 계절상품 가격 갱신 장치 및 방법
Sigala RFID applications for integrating and informationalizing the supply chain of foodservice operators: perspectives from Greek operators
JP2007079939A (ja) 顧客情報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