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335A - 방진 서스펜딩 장치 - Google Patents

방진 서스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335A
KR20210024335A KR1020190102906A KR20190102906A KR20210024335A KR 20210024335 A KR20210024335 A KR 20210024335A KR 1020190102906 A KR1020190102906 A KR 1020190102906A KR 20190102906 A KR20190102906 A KR 20190102906A KR 20210024335 A KR20210024335 A KR 20210024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onnection
coupled
hook
hoo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604B1 (ko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아이
Priority to KR102019010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6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방진 서스펜딩 장치가 개시된다. 이는 구조 형강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와,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 각각에 각기 대응하여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와, 복수개의 연결부들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의 각각과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진부재가 개재되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방진 서스펜딩 장치{DUSTPROOF SUSPENSION DEVICE}
본 발명은 방진 서스펜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산업 시설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진동의 전달을 억제하면서 다른 얹혀지는 요소를 지지할 수 있는 방진 서스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시설의 구조물은 주로 H빔과 같은 구조용강으로 구축되며, 배선이나 배관의 배치를 위해 설비를 지면으로부터 띄워서 지지하도록 선반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반도체 제조와 같이 미세 공정이 요구되는 산업 시설에서는 미세한 진동도 최종 생산품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구조물에 놓여지는 설비들에 방진 장치를 설치한다. 방진 장치는 다른 설비로부터의 진동이 전달되지 해당 설비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설비로부터 발생되는 진동도 다른 설비나 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산업 시설에서는 추가적인 요소들을 더 배치하기 위해 구조물에 서스펜딩 구조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서스펜딩 구조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요소에서도 진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서스펜딩 구조도 방진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방진 기능이 부여된 서스펜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진 서스펜딩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구조 형강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 상기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 각각에 각기 대응하여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들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의 각각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진부재가 개재된다.
상기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 각각은: 일단에 상기 구조 형강의 플랜지의 일단부위를 감싸는 후크를 가지고 타단이 상기 구조 형강의 플랜지의 타단부위를 오버하도록 연장된 메인 바; 및 상기 구조 형강의 플랜지의 타단부위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메인 바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커버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 각각의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커버 바의 결합체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후크 결합부의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커버 바의 결합체 부위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가지는 연결링; 상기 후크 결합부와 상기 연결링을 결합하는 제1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의 상기 홀 내면과 상기 후크 결합부 사이에 제1 방진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유닛은 상기 연결링과 상기 후크 결합부를 관통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와 상기 후그 결합부의 사이에 제2 방진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각각은 하단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노출된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연결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 시설의 구조물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서스펜딩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서스펜딩 장치는 방진 부재를 포함하여, 서스펜딩 장치에 안착되는 디바이스로부터의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고, 역으로 외부의 진동이 서스펜딩 장치에 안착된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특히, 서스펜딩 장치에 모터, 펌프 등과 같은 요소를 배치한다면 산업 시설의 진동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진 서스펜딩 장치의 개별 현수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개별 현수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별 현수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방진 서스펜딩 장치와 그에 안착된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방진 서스펜딩 장치는 개별 현수 유닛을 복수개와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모터, 펌프 등과 같은 요소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현수 장치이다. 지지 플레이트의 복수 지점을 개별 현수 유닛들을 이용하여 H빔, I빔과 같은 구조용 형강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특히 본 발명의 서스펜딩 장치는 개별 현수 유닛이 방진 부재를 포함하여 진동의 전달을 억제한다. 따라서 산업 시설에서 모터나 펌프와 같은 진동이 발생되는 요소를 진동 전달을 억제하면서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 시설은 H빔과 같은 구조용 형강을 이용하여 선반형 지지 구조를 설치한 후 그 위에 각종 설비를 배치한다. 선반형 지지구조의 하부에는 각종 배관이나 배선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조용 형강을 이용하는 산업 시설의 지지 구조는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 진동 전달이 매우 잘 이루어진다. 어느 설비에서 발생된 진동이 형강체를 타고 그대로 다른 설비에 전달된다. 반도체 제조와 같이 다수의 미세 공정이 진행되는 산업 시설에서는 진동 발생의 억제, 및 발생된 진동의 전달 억제를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모터나 펌프와 같이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요소의 경우에는 별도의 진동 전달을 억제한 서스펜딩 장치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딩 장치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스펜딩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를 구조물에 결합하는 복수개의 현수 유닛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현수 유닛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진 서스펜딩 장치의 개별 현수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개별 현수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별 현수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방진 서스펜딩 장치와 그에 안착된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서스펜딩 장치에 채용되는 현수 유닛 각각은 후크 결합부(1), 연결부(2), 및 제1 방진부재(3)를 포함한다.
후크 결합부(1)는 본 발명의 서스펜딩 장치를 구조 형강(H)에 결합하는 요소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구조 형강(H)은 H빔, I빔과 같이 플랜지부를 가지는 구조 형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크 결합부(1)는 메인 바(11)와 커버 바(12)를 포함한다. 메인 바(11)는, 도 4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일단에 구조 형강(H)의 플랜지부의 일단 부위를 감싸는 후크를 가지고 타단이 구조 형강(H)의 플랜지의 타단부위를 오버하도록 연장된다. 커버 바(12)는 구조 형강(H)의 일부분이 메인 바(11)와의 사이에 놓여지도록 하는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커버 바(12)가 메인 바(11)에 결합될 때, 메인 바(11)와 커버 바(12) 사이에는 구조 형강(H)의 플랜지의 일부가 개재된 상태가 된다. 메인 바(11)와 커버 바(12)를 결합하기 위해, 메인 바(11)와 커버 바(12)에는 제1 및 제2 나사홀(131, 132)가 각각 구비되고, 제1 및 제2 나사홀(131, 132)에는 제1 및 제2 볼트(141, 142)가 나사 결합된다. 또한 후크 결합부(1)의 메인 바(11)와 커버 바(12)에는 연결부(2)와의 결합 시에 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151)이 각각 구비된다. 체결홀(151)로는 제3볼트(221)가 통과하여 너트(223)와 결합함으로써 연결부(2)와 후크 결합부(1)를 결합하게 된다.
후크 결합부(1)의 체결홀(151)에는 바람직하게는 나사 관통홀(41)을 가지는 제2 방진부재(4)가 삽입되고, 제3볼트(221)가 나사 관통홀(41)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2)와 후크 결합부(1)가 결합될 때, 제3볼트(221)가 직접적으로 후크 결합부(1)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제2 방진부재(4)는 그 외형이 체결홀(151)에 딱 맞도록 형성되면 유격을 완화할 수 있다.
복수개의 연결부(2) 각각은 연결링(21), 제1결합유닛(221-223), 및 제2결합유닛(2411-244)을 포함한다.
연결링(21)은 후크 결합부(1)가 삽입되는 결합홀(211)을 가진다. 연결링(21)의 결합홀(211)은 후크 결합부(1), 특히 메인 바(11)와 커버 바(12)의 결합 부위가 삽입되어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결합부(1)와 연결링(21)의 사이에는 제1 방진부재(3)가 배치되어 후크 결합부(1)와 연결부(2) 사이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제1 방진부재(3)는 연결링(21)의 홀과 후크 결합부(1) 사이에 딱 맞는 형상과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방진부재(3)는 후크 결합부(1)의 양측면과 상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진부재(3)는 또한 나사 관통홀(31)을 가져서 제1결합유닛(221-223)의 제3볼트(2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결합유닛(221-223)은 연결부(2)와 후크 결합부(1)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유닛이다. 제1결합유닛(221-223)은 제3볼트(221), 너트(223), 그리고 그들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부재(224, 225, 226, 227)과 플레이트(2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22)와 메인 바(11) 사이에는 방진 패드(251)가 더 배치되어 플레이트(222)와 메인 바(11) 간의 진동의 전달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한다.
제2결합유닛(241-244)은 연결링(21)의 하단부위에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5)의 연결을 제공한다. 제2결합유닛(241-244)는 제4볼트(241), 너트(242), 및 와셔부재(243, 244)를 포함한다.
연결부(2)의 연결링(21)에는 제1결합유닛의 제3볼트(221)가 결합되는 나사홀(213)과 제2결합유닛의 제4볼트(241)이 결합되는 나사홀(215)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는 상술한 개별 현수 유닛들이 지지 플레이트(5)을 구조 형강(H)의 플랜지부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 및 5에서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개별 현수 유닛들의 다수개가 지지 플레이트(5)의 복수 위치에 연결되어 지지한다. 이때, 제1 방진부재(3) 및 제2 방진부재(4)가 후크 결합부(1)와 연결부(2) 사이에서 진동의 전달을 억제한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5)에 모터 펌프와 같이 진동을 유발하는 요소가 안착되더라도 진동의 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후크 결합부, 2: 연결부, 3: 제1 방진부재 4: 제2 방진부재, 5: 지지 플레이트, 11: 메인 바, 12: 커버 바, 21: 연결링, 31, 41: 나사 관통홀, 131, 132: 제1 및 제2 나사홀, 141, 142: 제1 및 제2 볼트, 151: 체결홀, 211: 결합홀, 213, 215: 나사홀, 221: 제3볼트, 223: 너트, 224, 225, 226, 227, 243, 244: 와셔부재, 241: 제4볼트, 242: 너트, 251: 방진 패드

Claims (6)

  1. 방진 서스펜딩 장치로서:
    구조 형강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
    상기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 각각에 각기 대응하여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들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의 각각과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진부재가 개재되는 것인 방진 서스펜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 각각은:
    일단에 상기 구조 형강의 플랜지의 일단부위를 감싸는 후크를 가지고 타단이 상기 구조 형강의 플랜지의 타단부위를 오버하도록 연장된 메인 바; 및
    상기 구조 형강의 플랜지의 타단부위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 메인 바의 상기 타단에 결합되는 커버 바;를 포함하는 것인 방진 서스펜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후크 결합부 각각의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커버 바의 결합체 부위에 결합되는 것인 방진 서스펜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 각각은:
    상기 후크 결합부의 상기 메인 바와 상기 커버 바의 결합체 부위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가지는 연결링;
    상기 후크 결합부와 상기 연결링을 결합하는 제1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의 상기 홀 내면과 상기 후크 결합부 사이에 제1 방진부재가 배치된 것인 방진 서스펜딩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유닛은 상기 연결링과 상기 후크 결합부를 관통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와 상기 후그 결합부의 사이에 제2 방진부재가 배치된 것인 방진 서스펜딩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각각은 하단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노출된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연결유닛에 결합되는 것인 방진 서스펜딩 장치.


KR1020190102906A 2019-08-22 2019-08-22 방진 서스펜딩 장치 KR10226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06A KR102260604B1 (ko) 2019-08-22 2019-08-22 방진 서스펜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06A KR102260604B1 (ko) 2019-08-22 2019-08-22 방진 서스펜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335A true KR20210024335A (ko) 2021-03-05
KR102260604B1 KR102260604B1 (ko) 2021-06-09

Family

ID=7516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906A KR102260604B1 (ko) 2019-08-22 2019-08-22 방진 서스펜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6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630A (ja) * 1995-04-21 1996-11-05 Riken Kaki Kogyo Kk 索条吊下げ用金具
JP2001342602A (ja) * 2000-06-01 2001-12-14 Kanko Eng Kk 鉄道レールの騒音低減法及びその装置
JP2008031634A (ja) * 2006-07-26 2008-02-14 Tachikawa Blind Mfg Co Ltd 間仕切りパネルのハンガーレール取付装置
KR101520407B1 (ko) * 2014-09-05 2015-05-18 송수종 보수가 용이한 철도 탈선 방지를 위한 레일 가드 고정 구조 및 그 고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1630A (ja) * 1995-04-21 1996-11-05 Riken Kaki Kogyo Kk 索条吊下げ用金具
JP2001342602A (ja) * 2000-06-01 2001-12-14 Kanko Eng Kk 鉄道レールの騒音低減法及びその装置
JP2008031634A (ja) * 2006-07-26 2008-02-14 Tachikawa Blind Mfg Co Ltd 間仕切りパネルのハンガーレール取付装置
KR101520407B1 (ko) * 2014-09-05 2015-05-18 송수종 보수가 용이한 철도 탈선 방지를 위한 레일 가드 고정 구조 및 그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604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48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774285B1 (ko) 구면와셔와 압축스프링과 면진블록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1664679B1 (ko) 방진장치
RU2282080C1 (ru) Виброизол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станков
KR20210024335A (ko) 방진 서스펜딩 장치
US20120045273A1 (en) Connecting device
KR101774284B1 (ko) 탄력 지지된 수평축과 회전식 브라켓에 의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RU2303720C1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резиновый дл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JPH07139589A (ja) 防振架台
JP200236285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床装置
JP2016211216A (ja) 天井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200000026A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WO2015174260A1 (ja) エンジン装置支持構造、及び、エンジン装置設置方法
JP2008255587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の高耐震構造
JP2018066126A (ja) 接続構造
KR102174840B1 (ko) 방진 장치
JP2008124359A (ja) 電気機器の梯子取付構造
KR200328688Y1 (ko) 발전설비의 진동감쇄장치
KR102214469B1 (ko) 변압기용 방진 및 방음장치
JPH0651579U (ja) 防振装置
JP7274941B2 (ja) 機械台、及びエレベーター
KR100418788B1 (ko) 로봇 엥커링 플레이트 구조
KR20090011764U (ko) 지진이나 진동으로부터 반도체장비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고정구조
JP2022173948A (ja) 取付構造およびモータフレーム
JP3330566B2 (ja) 地震に対する保持機構又は損害回避として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