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731A - 결속기 - Google Patents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731A
KR20210023731A KR1020200103852A KR20200103852A KR20210023731A KR 20210023731 A KR20210023731 A KR 20210023731A KR 1020200103852 A KR1020200103852 A KR 1020200103852A KR 20200103852 A KR20200103852 A KR 20200103852A KR 20210023731 A KR20210023731 A KR 20210023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handle
staple driver
staple
staples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다구치
겐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결속기는, 스테이플이 수용되는 메인 핸들과, 메인 핸들에 지지되어 스테이플을 타출 가능한 스테이플 드라이버와, 메인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처 암을 구비하고, 클린처 암은, 타출된 스테이플을 클린치하는 클린처를 갖고 있다.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메인 핸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클린처를 향해 스테이플을 타출하는 타출부와, 타출부를 메인 핸들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갖고 있다. 설치부는, 타출부의 측연으로부터 메인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결속기{BINDING MACHINE}
본 발명은,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재배할 때의 결속 작업에 원예용 결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이, 포도, 토마토, 배, 자두 등의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의 덩굴이나 줄기를 지주나 네트 등에 결속하기 위해서, 원예용 결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결속기는, 스테이플을 하나씩 타출하기 위한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22403호 공보에는, 스테이플 매거진의 사출구의 치수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원예용 결속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222403호 공보의 도 4에는, 스테이플을 타출하기 위한 판 형상의 드라이버(78)가 도시되어 있다. 스테이플 드라이버(78)는, 결속기 본체(4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설되어 있는 테이프 홀더(44)에 지지되는 기계 연결부(결속기에 설치되는 부분)와, 기계 연결부로부터 절곡되어, 스테이플 매거진부(60)를 향해 연장되는 타출부를 구비하는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결속용 테이프를 사용하여 결속하는 결속기의 경우, 결속용 테이프에 스테이플을 관통시켜 결속용 테이프를 철하는 동작에 수반되는 부하는 매우 작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조작 핸들을 움켜짐으로써 클린처로부터 스테이플 드라이버에 작용하는 힘은, 스테이플 드라이버의 굽힘 부분에 가해지는 부하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스테이플 드라이버의 굽힘 부분이 파손되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반복해서 사용해도 파손되기 어려운 내구성이 높은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구비한 결속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결속기는, 스테이플이 수용되는 메인 핸들과, 메인 핸들에 지지되어 스테이플을 타출 가능한 스테이플 드라이버와, 메인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처 암을 구비하고 있다. 클린처 암은, 스테이플 드라이버에 의해 타출된 스테이플을 클린치하는 클린처를 갖고 있다.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메인 핸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클린처를 향해 스테이플을 타출하는 타출부와, 타출부를 메인 핸들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갖고 있다. 설치부는, 타출부의 측연(側緣)으로부터 메인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결속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테이프를 파지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테이프를 인출한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피결속물을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스테이플의 타출을 개시한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테이플의 타출 중의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스테이플의 타출을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의 결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스테이플의 타출을 개시한 상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테이플의 타출을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스테이플 드라이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와셔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지,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예용 결속기(10)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속기(10)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편의적으로, 결속용 테이프 TP가 수용되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으로부터, 테이프 홀더(28A)가 연장되고, 테이프 TP가 인출되는 결속기(10)의 선단에 마련되는 테이프 가이드(28B)를 향하는 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우측 방향)을, 「전방」이라 칭하고, 반대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좌측 방향)을, 「후방」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테이프 TP가 테이프 가이드(28B)로부터 인출되어,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 파지 유닛(56)을 향하는 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상방)을, 「상방」이라 칭하고, 반대측(도 1에 있어서의 지면 하방)을 「하방」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결속기(10)의 주요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그 후, 결속기(10)의 특징적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원예용 결속기(10)는, 예를 들어 농작물(「피결속물 S」의 일례)의 유인 결속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결속기(10)는, 메인 핸들(20)과,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과,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처 암(50)과, 클린처 암(5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핸들(70)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핸들(20)은, 가늘고 긴 직선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메인 핸들(20)은, 테이프 반송 유닛(28)과, 테이프 절단부(30)와,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인 핸들(20)의 후단부에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이 설치된다. 메인 핸들(20)과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릴 위에 권회된 테이프 TP(이하, 권회된 테이프 TP를, 테이프 릴 TR(「권회된 결속용 테이프」의 일례)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수용하기 위한 기구이다.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은,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핸들(20)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반송 유닛(28)은, 테이프 홀더(28A)와, 테이프 가이드(28B)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홀더(28A)는, 테이프 매거진 유닛(26)으로부터 테이프 가이드(28B)까지 테이프 TP를 반송하기 위한 경로이며,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부설되어 있다. 테이프 홀더(28A)는, 테이프 TP의 한쪽 표면을 마주 보는 저부와, 테이프 TP의 다른 쪽 표면(이하, 테이프 TP의 다른 쪽 표면을 「이면」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을 마주 보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다. 저부와 덮개부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 X를 따르는 일변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가이드(28B)(도 2로부터 도 8 참조)는, 테이프 TP의 선단을 테이프 홀더(28A)로부터 상방측으로 가이드하여 인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테이프 가이드(28B)는, 테이프 홀더(28A)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테이프 가이드(28B)는, 삽입 관통한 테이프 TP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테이프 TP의 표면, 이면, 양측부 각각의 적어도 일부를 마주 보는 벽면을 갖고 있다.
테이프 절단부(30)는, 테이프 TP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30A)과, 절단날(30A)을 로크 및 로크 해제하기 위한 로크 기구(30B)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날(30A)을 교환할 때는, 로크 기구(30B)로 로크 해제를 행하여 절단날(30A)을 분리한다. 절단날(30A)은, 테이프 가이드(28B)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대기 상태 및 파지 동작 시에 후방을 향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다. 결속 동작을 실행할 때는, 테이프 가이드(28B)가 테이프 캐치(60)의 선단부(60B)에 압박되어, 테이프 가이드(28B)와 절단날(30A)은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회동하고, 절단날(30A)의 날끝 상방이 테이프 TP에 면하도록 이동한다.
또한, 테이프 TP를 절단하기 위한 기구로서, 다양한 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테이프 TP를 테이프 가이드(28B)와 연동해서 회동함으로써, 테이프 TP를 절단하도록 해도 되며, 테이프 가이드(28B) 및 절단날(30A)을 직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절단날(30A)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테이프 TP를 절단하도록 해도 되며, 테이프 가이드(28B) 등 테이프 TP를 구속하는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정지하는 절단날(30A)에 테이프 TP가 절단되도록 해도 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의 스테이플 수용부(23) 전단 부근에 면하도록 메인 핸들(20)에 설치된 판형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스테이플 ST를 하나만 타출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스테이플 ST의 폭과 대략 동일한 두께 또는 스테이플 ST의 폭보다도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클린처 암(50)에 압하됨으로써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메인 핸들(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메인 핸들(20)에 설치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상단은, 상대적으로,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의 공간에 진입하여,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의 선두의 스테이플 ST를 상방으로 타출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타출된 스테이플 ST는, 테이프 TP를 관통한 후에, 클린처(54)에 클린치된다. 스테이플 ST의 절곡된 다리부는, 스테이플 ST의 크라운부(100)와의 사이에서, 중첩된 2매의 테이프 TP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가늘고 긴 직선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의 후단부는, 메인 핸들(20)의 후단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 회전 각도가 작기 때문에,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메인 핸들(20)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은, 스테이플 ST를 수용하기 위한 스테이플 수용부(23)와, 푸셔 유닛(24)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플 수용부(23)는,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스테이플 ST를 수용하기 위해서,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저면과, 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벽면과, 선두의 스테이플 ST의 측면이 압박되는 전방벽면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에는, 복수의 스테이플 ST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접하는 스테이플 ST는, 예를 들어 서로 접착제로 접속되고, 전체적으로 일렬의 스테이플군을 구성할 수 있다.
푸셔 유닛(24)은, 스테이플 수용부(23)에 수용된 스테이플 ST를 전방으로 압박하기 위해서 스테이플 수용부(23)에 대해서, 예를 들어 삽입 발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이다. 푸셔 유닛(24)은, 복수의 스테이플 ST 중, 후단부의 스테이플 ST를 전방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과,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상방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푸셔 유닛(24)을 스테이플 수용부(23)로부터 발출하여,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상방을 개방시킴으로써, 상방으로부터 스테이플 ST를 스테이플 수용부(23) 내에 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클린처 암(50)은, 후단부 부근에 마련된 회전축부(11)에 의해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또한,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메인 핸들(20)과의 각도가 커지는 방향(클린처 암(50)이 후술하는 폐쇄 방향 θ2와는 반대측으로 열리는 개방 방향 θ1)으로 가압되어 설치되어 있다. 클린처 암(50)은, 암부(52)와, 클린처(54)와, 테이프 파지 유닛(56)(「파지부」의 일례)을 구비하고 있다. 암부(52)는, 메인 핸들(20)과의 사이에 C자형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이르기까지 곡선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클린처(54)는, 스테이플 ST의 다리부를 절곡하여 클린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클린처(54)는,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과의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인 전술한 개방 방향 θ1과는 반대측으로 닫히는 폐쇄 방향 θ2로 회동했을 때,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클린처 암(50)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의해 타출된 스테이플 ST의 다리부는, 클린처(54)에 의해 클린치되어 내측으로 절곡된다. 클린처 암(50)에 마련되고, 결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클린처(54)를 포함하는 구성을 「결속부」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클린처(54)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테이프 파지 유닛(56)은, 메인 핸들(20)의 선단 테이프 가이드(28B)로부터 인출된 테이프 TP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테이프 파지 유닛(56)은, 클린처 암(50)의 암부(52)의 선단에 마련된다. 테이프 파지 유닛(56)은, 로크 플레이트(58)와, 테이프 캐치(60)와, 테이프 플레이트(62)를 갖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58)는, 일단부측에 마련된 축부(58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과 함께, 타단측이 코일 스프링(59)에 의해 테이프 캐치(60)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58)는, 코일 스프링(59)의 가압에 의해, 테이프 캐치(60)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테이프 캐치(60)를 로크하고, 테이프 캐치(60)를 테이프 플레이트(62)로부터 이격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테이프 캐치(60)는, 축부(60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비틀림 코일 스프링(61)에 의해 테이프 플레이트(62)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테이프 캐치(60)는, 테이프의 인출 시에 로크 플레이트(58)에 의한 로크가 해제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61)의 가압에 의해, 끝이 가는 형상을 이루는 선단부(60B)가 테이프 플레이트(62)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플레이트(62)는, 테이프 캐치(6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선단부가 로크 플레이트(58)로부터 테이프 절단부(30)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 테이프 플레이트(62)는, 연장 돌출된 부위와 테이프 캐치(60)의 선단부(60B)에서 테이프 TP를 끼움 지지한다. 테이프 TP가 파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핸들(70)을 움켜쥐는 힘을 약화시키면,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클린처 암(50)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테이프 가이드(28B)를 개재하여 테이프 TP를 상방으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 핸들(7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이며, 그 대략 중간의 축부(70A)가 클린처 암(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단부가 메인 핸들(2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를 힘점, 클린처 암(50)과의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고, 메인 핸들(20)에 설치되는 전단부를 작용점으로 하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 조작 핸들(70)의 개폐 동작에 수반되어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개폐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결속기(10)의 동작]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결속기(10)의 동작을 설명한다. 클린처 암(50)은,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상시 가압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조작 핸들(70)과 메인 핸들(20)을 움켜쥠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까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테이프 TP(도 4 참조)를 인출하기 위해서, 클린처 암(50)의 테이프 파지 유닛(56)이 테이프 TP를 파지하는 파지 동작이 실행된다.
그 후, 메인 핸들(20)의 움켜쥠을 약화시켜 클린처 암(50)을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TP를 파지한 상태에서 클린처 암(50)의 테이프 파지 유닛(56)과 메인 핸들(20)의 테이프 가이드(28B)가 서로 이격하게 되어, 클린처 암(50)과 메인 핸들(20)의 사이에 테이프 TP가 붙여진 상태로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붙여진 테이프 TP의 외측으로부터 묘목이나 가지 등의 피결속물 S를 집어 넣고, 클린처 암(50)을 다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결속물 S를 결속하는 테이프 TP의 테이프 루프가 형성된다. 클린처 암(50)에 압박됨으로써,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의해 스테이플 ST가 타입된다.
이에 의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결속물 S를 결속하는 테이프 루프의 양단부가 스테이플 ST로 결착된다. 또한, 절단날(30A)에 의해 테이프 TP가 절단되어, 결속 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1회째의 움켜쥠 동작에서는 파지 동작이 실행되고, 2회째의 움켜쥠 동작에서는 결속 동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이 파지 동작과 결속 동작을 교대로 실행함으로써, 피결속물 S를 결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결속기(10)의 특징적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스테이플 ST의 타출을 개시한 상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스테이플 ST의 타출을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핸들(20)의 저벽(200)은, 테이프 반송 유닛(28)의 테이프 홀더(28A)에 면한 하면(200B)과,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2)에 면한 상면(200A)을 갖고 있다.
상면(200A)에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린처(54)를 향해 선두의 스테이플 ST를 타출하는 타출부(33)와, 타출부(33)를 메인 핸들(2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4)와, 저벽(200)과 타출부(33) 사이에 마련되는 와셔 부재(백업 와셔)(35)를 갖고 있다. 와셔 부재(35)는, 열처리를 실시하여 내마모성을 높인 금속 부품이며, 저벽(200)보다도 마모되기 어렵다. 마찰 계수를 내리기 위해서, 와셔 부재(35)의 표면에 실리콘 그리스 등을 도포해도 된다.
타출부(33)의 선단(상단)(33D)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해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전방벽면을 구성하는 클린처 가이드(25)에 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수용부(23)에 수용된 스테이플 ST는, 푸셔 유닛(24)의 가압력에 의해 클린처 가이드(25)에 눌려져 있다. 선두의 스테이플 ST와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선단(33D)은, 모두 클린처 가이드(25)에 의해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 X에 있어서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선두의 스테이플 ST의 크라운부에 타출부(33)의 선단(33D)이 대향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사시도이다. 타출부(33)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메인 핸들(20)의 저벽(20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타출부(33)는, 해당 타출부(33)의 4변을 구성하는 선단(33D), 기단(33P), 측연(33L, 33R)을 갖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출부(33)의 선단(33D)은 스테이플 ST에 대향하고 있다. 선단(33D)과는 반대측의 기단(하단)(33P) 또는 그 근방의 부분은, 저벽(200) 또는 해당 저벽(200)에 부설된 와셔 부재(35)에 맞닿아 있다. 환언하면, 타출부(33)는, 타출부(33)의 일단부인 기단(33P)이 메인 핸들(20) 등에 맞닿고, 타출부(33)의 타단부인 선단(33D)이 스테이플 ST에 면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기단(33P) 및 그 근방의 부분은, 「타출부의 메인 핸들측에 배치된 단부」의 일례를 이룬다.
설치부(34)는, 타출부(33)의 측연(33L, 33R)에 각각 마련되고, 메인 핸들(20)의 선단부(201)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설치부(34)는, 타출부(33)의 기단(33P)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설치부(34)에는, 가압 수단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36)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341)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341)는, 설치부(34)의 상연(上緣)에 마련되고, 결속기(10)의 회전축부(11)의 축방향 Y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6)(「가압 수단」의 일례)은, 축적한 상태에서 메인 핸들(20)의 축부(37)에 지지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6)은, 메인 핸들(20)의 선단부(201)를 향하는 방향으로 걸림 결합부(341)를 가압함과 함께, 메인 핸들(20)의 저벽(200)의 상면(200A)으로부터 하면(200B)을 향하는 방향으로 걸림 결합부(341)를 가압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 X에 있어서, 메인 핸들(20)의 회전축부(11)로부터 선단부(201)를 향하는 방향(전향)을 제1 방향 X1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 X와 회전축부(11)의 축방향 Y 양쪽에 직교하는 높이 방향(상하 방향) Z에 있어서, 저벽(200)의 상면(200A)으로부터 하면(200B)을 향하는 방향(하향)을 제2 방향 Z2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메인 핸들(20)의 상측에 설치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서 볼 때, 제2 방향 Z2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메인 핸들(20)에 근접하는 방향이 된다.
타출부(33)의 기단(33P) 및 그 근방의 부분을 포함하는 단부(기단부)(332)는, 메인 핸들(20)측에 배치되어 있다. 클린처 암(50)을 닫히는 폐쇄 방향 θ2로 회동시킨 상태(예를 들어, 도 8 참조)에 있어서, 단부(332)는, 제1 위치 P1에 위치하고 있다. 클린처 암(50)을 열리는 개방 방향 θ1로 회동시킨 상태(예를 들어, 도 2 참조)에 있어서, 단부(332)는, 제1 위치 P1보다도 메인 핸들(20)의 선단에 가까운 제2 위치 P2에 위치하고 있다. 즉,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 X를 따라 전후로 미끄럼 이동하고, 근소하지만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결속기(10)에 의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ST를 타출하는 타출부(33)에 대하여, 스테이플 ST로부터의 반력이 작용하는 선단(33D)으로부터, 메인 핸들(20)에 지지된 기단(33P)까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곧바로 연장되는 평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종래의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기단측이 L자형으로 구부러진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굽힘부가 메인 핸들(20)의 저벽(200)에 지지되어 있다. 굽힘부를 통해 스테이플 ST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들이고 있었기 때문에, 반복해서 변형되는 굽힘부에 피로 현상에 의한 크랙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는, 타출부(33)가 곧은 평판형이기 때문에, 굽힘부를 통하지 않고 스테이플 ST로부터의 반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결속기(10)를 반복해서 사용해도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파손되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타출부(33)의 선단(33D)은,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움직임에 추종해서 전후로 변위한다. 종래의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스테이플 드라이버 그 자체가 변형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제1 실시 형태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단부(332)가 메인 핸들(20)의 저벽(200)이나 저벽(200)에 고정된 와셔 부재(35) 위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테이플 드라이버(32) 그 자체를 변형시키지 않아도 타출부(33)의 선단(33D)을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움직임에 추종시킬 수 있다. 결속기(10)를 반복해서 사용해도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파손되기 어렵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재료에 대하여, 굽힘에 대한 반복 내구성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저렴한 재료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방향 X1, Z2로 가압되어 있으며, 스테이플 수용부(23)의 전방벽면으로부터 선단(33D)이 이격되지 않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가압 수단은, 스테이플 드라이버(32)와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 따로따로 교환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의 사항에 대한 기술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실시 형태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제1 방향 X1 및 제2 방향 Z2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제2 실시 형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6)이 아니라, 자석(38, 39)(「가압 수단」의 일례)에 의해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가압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자석에 끌어 당겨지는 강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제1 방향 X1로 가압하는 자석(제1 자석)(38)은, 타출부(33)보다도 제1 방향 X1로 진행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타출부(33)에 전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축부(37)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제2 방향 Z2로 가압하는 자석(제2 자석)(39)은, 타출부(33)보다도 제2 방향 Z2로 진행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하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와셔 부재(35)에 자석(39)이 매립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위치 P1(도 8 참조)과 제2 위치 P2(도 2 참조)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비하여, 탄성 변형하는 부재가 감소하기 때문에, 결속기(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 실시 형태는, 와셔 부재(35)에, 타출부(33)가 와셔 부재(35)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규제, 즉 타출부(33)가 메인 핸들(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클린처 암(50)이 회동하는 방향 θ1, θ2에 있어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35S)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부(35S)는, 와셔 부재(35)의 표면(35A)과 이면(35B)을 관통하는 관통부(35S)로서 구성되고, 이 관통부(35S)에, 타출부(33)의 기단(33P)측에 형성된 규제 구조(332N, 332W, 35S)가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타출부(33)가 와셔 부재(35)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규제부(35S)가 없으면, 만일 스테이플 막힘이 발생하여, 클린처 암(50)이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열리는 개방 방향 θ1로 회동하면(제1 실시 형태의 도 7 참조), 막힌 스테이플 ST와 함께 타출부(33)를 들어올려(와셔 부재(35)로부터 이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스테이플 ST의 타출을 완료한 상태(제1 실시 형태의 도 10 참조)로부터 스테이플 매거진 유닛(23)이 원래의 위치(방향 θ1)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타출부(33)에 부하가 걸려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규제부(35S)를 마련하고, 거기에 규제 구조(332N, 332W, 35S)를 끼워 맞춤으로써, 스테이플 막힘이 발생해도 타출부(33)가 와셔 부재(35)로부터 이격하는 것(들어 올려지는 것)이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규제 구조(332N, 332W, 35S)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마련된 협폭부(332N) 및 광폭부(332W)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와셔 부재(35)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셔 부재(35)에는, 협폭부(332N)를 삽입 관통시키는 슬릿으로서의 관통부(규제부)(35S)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으로서의 관통부(규제부)(35S)는, 와셔 부재(35)의 표면(35A) 및 이면(35B)을 관통하고, 메인 핸들(20)의 선단부(201)(도 2에 도시함)를 향하는 제1 방향 X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와셔 부재(35)는, 체결 나사에 의해 메인 핸들(20)의 저벽(200)에 고정되어 있다(제1 실시 형태의 도 9 참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타출부(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부(332N) 및 광폭부(332W)는, 타출부(33)의 기단부(332)에 마련되어 있다. 메인 핸들(20)의 폭 방향 Y(도 1에 도시함)에 있어서, 협폭부(332N)는, 슬릿(35S)보다도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폭부(332W)는, 협폭부(332N)의 선단(하단)에 마련되고, 협폭부(332N) 및 슬릿(35S)보다도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35S)에 협폭부(332N)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 있어서, 광폭부(332W)의 양단부는, 와셔 부재(35)의 이면(35B)측으로부터 와셔 부재(35)에 대향하고 있다. 스테이플 막힘이 발생해서 타출부(33)가 끌어당겨지면, 광폭부(332W)가 와셔 부재(35)의 이면(35B)에 맞닿고, 타출부(33)의 이동이 규제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4 실시 형태는, 규제부와 규제 구조의 형상이 제3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시한 예에서는, 타출부(33)에 개구부의 일례인 슬릿(33S)이 형성되고, 해당 슬릿(33S)에 와셔 부재(35)의 선단부(규제부)(352)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셔 부재(35)의 선단부(352)가 타출부(33)의 슬릿(33S)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타출부(33)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슬릿(33S) 대신에, 바닥이 있는 오목부를 타출부(33)에 형성하고, 오목부에 와셔 부재의 선단부(352)가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타출부(33)의 이동을 규제하여 타출부(33)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5 실시 형태는, 규제부 및 규제 구조의 형상이 제3 및 제4 실시 형태와 다르다. 제5 실시 형태는, 와셔 부재(35)의 표면(35A)에 굴곡형의 홈(예를 들어, 단면 L자형의 홈)으로서 오목부(규제부)(35SS)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35SS)에 타출부(33)의 기단부에 마련된 규제 구조(332X)가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규제 구조(332X)는, 오목부(35SS)에 끼워 맞춰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 구조(332X)는, 타출부(33)의 기단(33P) 및 그 근방을 포함하는 기단부에 형성되고, 타출부(33)의 기단부로부터 와셔 부재(35)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구부러지도록 연장 돌출되어 있다. 즉, 타출부(33)의 기단부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5SS)에 그와 같은 규제 구조(332X)를 끼워 맞춤으로써 타출부(33)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3 및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타출부(33)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그리고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및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치환 또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테이프 루프의 양단을 결착하는 수단으로서 스테이플 ST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수단에 의해 테이프 루프를 결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결속기(10)는, 스테이플(ST)이 수용되는 메인 핸들(20)과, 메인 핸들(20)에 지지되어 스테이플(ST)을 타출 가능한 스테이플 드라이버(32)와, 메인 핸들(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처 암(50)을 구비하고 있다. 클린처 암(50)은, 스테이플 드라이버(32)에 의해 타출된 스테이플(ST)을 클린치하는 클린처(54)를 갖고 있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메인 핸들(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클린처(54)를 향해 스테이플(ST)을 타출하는 타출부(33)와, 타출부(33)를 메인 핸들(2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34)를 갖고 있다. 설치부(34)는, 타출부(33)의 측연(33L, 33R)으로부터 메인 핸들(20)의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클린처 암(50)은, 해당 클린처 암(50)과 메인 핸들(20)의 각도가 작아지는 폐쇄 방향(θ2)과, 폐쇄 방향(θ2)과는 반대 방향으로 열리는 개방 방향(θ1)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클린처 암(50)을 폐쇄 방향(θ2)으로 회동시켰을 때 스테이플(ST)을 타출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32)는, 타출부(33)의 메인 핸들(20)측에 배치된 단부(332)가, 클린처 암(50)을 폐쇄 방향(θ2)으로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P1)에 위치해도 된다. 단부(332)가, 클린처 암(50)을 개방 방향(θ1)으로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P1)보다도 메인 핸들(20)의 선단부(201)에 가까운 제2 위치(P2)에 위치하도록, 메인 핸들(20)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메인 핸들(20)은, 스테이플 드라이버(3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미끄럼 이동하는 표면(35A)을 갖는 와셔 부재(35)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와셔 부재(35)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메인 핸들(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35S)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규제부(35S)는,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35SS)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오목부(35SS)는, 표면(35A)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규제부(35S)는, 표면(35A)과 표면(35A)과는 반대측의 이면(35B)을 관통하는 관통부(35S)를 갖고 있어도 된다. 타출부(33)는, 관통부(35S)를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타출부(33)는, 관통부(35S)를 관통하는 협폭부(332N)와 해당 협폭부(332N)보다도 광폭으로 형성된 광폭부(332W)를 갖고 있어도 된다. 광폭부(332W)의 적어도 일부는 이면(35B)에 대향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타출부(33)는, 와셔 부재(35)에 대향하는 위치에, 와셔 부재(35)가 끼워 맞춤 가능한 개구부(33S)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규제부(352)는, 와셔 부재(35)가 개구부(33S)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메인 핸들(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타출부(33)는, 와셔 부재(35)에 대향하는 위치에, 와셔 부재(35)가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33S)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규제부(352)는, 와셔 부재(35)가 오목부(33S)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스테이플 드라이버(32)가 메인 핸들(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메인 핸들(20)은, 가압 부재(36, 37)를 갖고 있어도 된다. 가압 수단(36, 37)은, 스테이플 드라이버(32)를, 메인 핸들(20)의 선단부(201)를 향하는 제1 방향(X1)으로 가압함과 함께, 메인 핸들(20)에 근접하는 제2 방향(Z2)으로 가압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복 사용해도 파손되기 어려운 내구성이 높은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구비한 결속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스테이플이 수용되는 메인 핸들과,
    상기 메인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플을 타출 가능한 스테이플 드라이버와,
    상기 메인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처 암이며,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에 의해 타출된 상기 스테이플을 클린치하는 클린처를 갖는 클린처 암
    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상기 메인 핸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린처를 향해 상기 스테이플을 타출하는 타출부와,
    상기 타출부를 상기 메인 핸들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
    를 가지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타출부의 측연으로부터 상기 메인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결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처 암은, 상기 메인 핸들과의 각도가 작아지는 폐쇄 방향과, 해당 폐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열리는 개방 방향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상기 폐쇄 방향으로 상기 클린처 암을 회동시켰을 때 상기 스테이플을 타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상기 타출부의 상기 메인 핸들측에 배치된 단부가, 상기 클린처 암을 상기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타출부의 상기 메인 핸들측에 배치되는 단부가, 상기 클린처 암을 상기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보다도 상기 메인 핸들의 선단부에 가까운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결속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핸들은,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미끄럼 이동 가능한 표면을 갖는 와셔 부재를 갖는, 결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부재는,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상기 메인 핸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는, 결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인, 결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표면에 형성되는, 결속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표면과 상기 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갖고,
    상기 타출부는,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결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출부는,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협폭부와, 해당 협폭부의 선단에 마련되어 해당 협폭부보다도 광폭으로 형성된 광폭부를 갖고,
    상기 광폭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면에 대향하고 있는, 결속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출부는, 상기 와셔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와셔 부재가 끼워 맞춤 가능한 개구부를 갖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와셔 부재가 상기 개구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상기 메인 핸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결속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출부는, 상기 와셔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와셔 부재가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를 갖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와셔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상기 메인 핸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결속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핸들은,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상기 메인 핸들의 선단부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가압함과 함께,
    상기 메인 핸들에 근접하는 제2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갖는, 결속기.
  13. 스테이플이 수용되는 메인 핸들과,
    상기 메인 핸들에 지지되고, 상기 스테이플을 타출 가능한 스테이플 드라이버와,
    상기 메인 핸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클린처 암이며,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에 의해 타출된 상기 스테이플을 클린치하는 클린처를 갖는 클린처 암
    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상기 메인 핸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린처를 향해 상기 스테이플을 타출하는 타출부와,
    상기 타출부를 상기 메인 핸들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
    를 가지며,
    상기 타출부는, 메인 핸들에 지지되는 기단과, 스테이플에 대향하는 선단을 갖고, 선단으로부터 기단까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곧바로 연장되어 있는, 결속기.
KR1020200103852A 2019-08-23 2020-08-19 결속기 KR20210023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3228 2019-08-23
JPJP-P-2019-153228 2019-08-23
JPJP-P-2020-055104 2020-03-25
JP2020055104A JP7422981B2 (ja) 2019-08-23 2020-03-25 結束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731A true KR20210023731A (ko) 2021-03-04

Family

ID=7471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52A KR20210023731A (ko) 2019-08-23 2020-08-19 결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7422981B2 (ko)
KR (1) KR20210023731A (ko)
CN (1) CN112400553A (ko)
AU (1) AU2020220150A1 (ko)
BR (1) BR102020017156A2 (ko)
TW (1) TWI8253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99289A (zh) * 2021-05-08 2022-11-08 深圳市农科创网络有限公司 捆扎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7292A (en) * 1938-06-15 1941-06-24 Rikur K Kurt Richter G M B H Plierlike stapling machine
US2920324A (en) * 1958-09-11 1960-01-12 Bostitch Inc Fastener applying machine
EP0865334B1 (en) * 1996-08-28 2004-04-21 THOMAS & BETTS CORPORATION Cable tie installation tool
EP1413192B1 (en) * 2001-07-11 2014-04-30 Max Co., Ltd.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CN101779585A (zh) * 2009-01-21 2010-07-21 赵南善 农业用捆绑器
US9736997B2 (en) * 2014-01-02 2017-08-22 Nam Sun CHO Binding machine for agriculture
JP6740737B2 (ja) * 2016-06-15 2020-08-19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38568B2 (ja) * 2016-06-15 2020-01-29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702008B2 (ja) 2016-06-15 2020-05-27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73041B2 (ja) * 2016-06-15 2020-03-25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77090B2 (ja) * 2016-06-15 2020-04-08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77091B2 (ja) * 2016-06-15 2020-04-08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35860A (ja) 2021-03-04
CN112400553A (zh) 2021-02-26
AU2020220150A1 (en) 2021-03-11
JP7422981B2 (ja) 2024-01-29
TWI825345B (zh) 2023-12-11
TW202110708A (zh) 2021-03-16
BR102020017156A2 (pt)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044B1 (ko) 캡 및 캡 유닛
US7124561B2 (en) Tape guide device for gardening buncher
EP3782460A1 (en) Binding machine
KR20210023731A (ko) 결속기
EP3794937B1 (en) Binding machine
KR20210023735A (ko) 결속기
EP3782461B1 (en) Binding machine
JP7342521B2 (ja) 結束機
JP7422982B2 (ja) 結束機
JP6673042B2 (ja) 園芸用結束機
JP2021031120A (ja) 結束機
JP6946689B2 (ja) 園芸用結束機
JP4081657B2 (ja) 園芸用結束機のテープ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