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241A - VR Fishing Game System - Google Patents

VR Fishing Gam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241A
KR20210023241A KR1020190103187A KR20190103187A KR20210023241A KR 20210023241 A KR20210023241 A KR 20210023241A KR 1020190103187 A KR1020190103187 A KR 1020190103187A KR 20190103187 A KR20190103187 A KR 20190103187A KR 20210023241 A KR20210023241 A KR 20210023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shing
image
situ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건
김종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9010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241A/en
Publication of KR2021002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2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8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35Virtual f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which comprises: a display unit worn by a user and displaying a virtual image of a fishing situation to the user; a fishing rod gripped and controlled by the user; a sensing unit sensing movement of the fishing rod controlled by the user;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providing the virtual image to the display unit, wherein a fishing rod object moved to correspond to the fishing rod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is included in the virtual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senses the fishing rod controlled by the user to provide the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shing situation to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xperience a more realistic and interesting fishing situation game.

Description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VR Fishing Game System}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VR Fishing Game System}

본 발명은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낚시상황을 가상으로 즐길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virtually enjoy a fishing situation.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많이 하는 게임 중 하나인 낚시 게임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게임 방식과 스크린을 이용하여 실제 낚시를 즐기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스크린 낚시 장치가 있다.In general, a fishing game, one of the games that the public plays a lot, includes a game method using an application of a terminal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creen fishing device that enables an experience as if enjoying actual fishing using a screen.

허나 상기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낚시 게임의 경우는 터치방식에 의존하여 현실과 동떨어져 실제 낚시하는 느낌이 없고 입질감도 느낄수 없으며,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스크린 낚시 장치의 경우에는 실제 낚시를 하는 듯한 체험을 할 수 있으나 장소에 제약이 크며 다수의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해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ishing game using the above application, there is no real fishing feeling and the texture of the bite as it is far from reality depending on the touch method, and in the case of a screen fishing devic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 real fishing experien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because it is limited in place and requires a number of additional devices.

등록특허공보 제10-1247446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낚시 게임 방법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47446: Fishing game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낚시대를 감지하여 낚시상황에 대응되는 가상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a fishing situation to a user by detecting a fishing rod manipulated by a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낚시 상황에 대한 가상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낚시대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낚시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가상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상영상에는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낚시대에 대응되게 움직이는 낚시대 오브젝트가 포함되는 영상처리유닛을 구비한다.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worn by a user, and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virtual image of a fishing situation to the user, a fishing rod gripped and operated by the user, and the user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fishing rod manipulated by and providing the virtual image to the display, wherein the virtual image includes a fishing rod object that moves to correspond to the fishing rod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낚시대상 수역에 상기 낚시대 오브젝트에 연결된 낚시줄에 설치된 바늘을 던지는 캐스팅 상황에 대한 제1가상영상, 상기 낚시대 오브젝트에 연결된 낚시줄에 설치된 찌가 상기 낚시대상 수역에 부유하는 웨이팅 상황에 대한 제2가상영상, 물고기가 상기 낚시줄에 연결된 미끼를 건드리는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 및 상기 물고기가 상기 낚시줄에 연결된 바늘을 문 상태에서 상기 물고리를 낚는 릴링상황에 대한 제4가상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 first virtual image of a casting situation in which a needle installed on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object is thrown in the fishing target water area, and a float installed on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object is suspended in the fishing target water area. A second virtual image of a situation, a third virtual image of a bite situation in which a fish touches a bait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and a reeling situation in which the fish catches the hook with a needle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A fourth virtual image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은 상기 낚시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릴과, 일단부가 상기 릴에 권취되는 원줄과, 상기 원줄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질 상황 또는 릴링 상황에 대한 촉감을 상기 낚시대에 전달하는 촉감생성부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el installed on the fishing rod and rota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a main line whose one end is wound around the reel,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line is connected to the biting situation or It further comprises a tactile genera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tactile sense of the reeling situation to the fishing rod.

상기 촉감생성부는 상기 사용자를 기준으로 다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줄의 타단부가 권취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원줄을 권취하거나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상기 원줄을 권출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부와,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제3가상영상 또는 제4가상영상을 디스플레이부로 전달시 상기 입질상황 또는 릴링상황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유닛 및 드럼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The tactile feeling generating unit includes a moving unit that moves in multiple directions based on the user, a winding drum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and winding the other end of the main string, and the main string is wound on the winding drum or the A drum rotation unit that rotates the winding drum to unwind the original line from the winding drum,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transmits the third virtual image or the fourth virtual image to the display unit to correspond to the biting situation or the reeling situation.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and the drum rotation unit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은 상기 감지유닛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낚시대가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기준각도 이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사용자가 캐이스팅하는 캐스팅 시점으로 판단하고, 상기 캐스팅 시점 이후, 상기 낚시대의 스윙속도를 토대로 캐스팅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캐스팅 시점 이후에, 상기 캐스팅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원줄이 상기 권취드럼에 감기도록 상기 드럼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거리 산출부에서 상기 캐스팅 시점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casting time at which the user casts is determined when the fishing rod is erected above a preset reference angle from the groun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unit. After the point of time, further comprising a distanc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the casting distance based on the swing speed of the fishing rod, the control module after the casting point, so that the main line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asting distance. The drum rotation unit may be controlled,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provide the first virtual image to th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as the casting time poin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은 상기 릴에 권취되거나 상기 릴로부터 권출되는 상기 원줄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릴에 설치되는 원줄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릴링상황에 대한 제4가상영상을 제공할 경우, 상기 원줄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캐스팅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원줄이 상기 릴에 권취되는 동안 상기 제4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4가상영상은 물고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려고 움직이는 상황에 대한 제1세부영상, 상기 물고기와 대치 상황에 대한 제2세부영상 및 상기 물고기가 상기 사용자 측으로 이동되는 상황에 대한 제3세부영상이 무작위로 반복되도록 제작된다. 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line detection unit installed on the reel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line wound on the reel or unwound from the reel, the image processing unit is the reeling situation In the case of providing a fourth virtual image of the original line, the fourth virtual image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while the original line is wound around the reel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a preset casting distance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riginal line detection unit. The fourth virtual image is a first detailed image of a situation in which a fish moves away from the user, a second detailed imag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fish is confronted, and a third detail imag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fish moves toward the user. It is produced so that the video is repeated at random.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제1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원줄이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유닛을 작동시키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제2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이동유닛 및 드럼회전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제3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제3세부영상에 포함된 물고기에 대응되게 상기 탑승유닛에 단위거리만큼 인접되게 상기 이동유닛을 이동시킨다.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first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moving unit while the winding drum is stopped so as to prevent the main line from being unwound from the winding drum. ,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secon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the moving unit and the drum rotating unit are stopped, and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thir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the third detailed image The moving unit is moved to be adjacent to the boarding unit by a unit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fish included i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은 상기 원줄에 설치되어 상기 원줄에 작용하는 장력 변화를 측정하는 장력측정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제1세부영상 또는 제2세부영상을 제공할 경우, 상기 장력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원줄에 작용하는 장력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변화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3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ension measuring sensor installed on the main line to measure a change in tension acting on the main line,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the first detailed image or the first detailed image as the display unit. In the case of providing a second detailed image, the third detailed image may be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tension change value acting on the main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change value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nsion measurement sensor. .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촉감이 상기 낚시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교번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회전부를 제어한다.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ing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module rotates the winding drum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tactile feeling of the bite of the fish can be transmitted to the fishing rod. The drum rotation unit is controlled to rotate alternat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은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촉감이 상기 낚시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 또는 원줄에 설치되는 입질 생성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ing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the movement of the fish so that the tactile feeling of the bite of the fish can be transmitted to the fishing rod. It may further include a bite generation unit installed in the unit or the line.

상기 입질 생성부는 상기 원줄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로드와, 상기 타격로드를 회전시키는 로드 회전부와, 상기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원줄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로드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로드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1타격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bite generation unit generates a striking ro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so as to strike the main line, a rod rotating part that rotates the striking rod, and a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ing situation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When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a first strik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d rotation unit so that the strike rod rotates alternately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so as to strike the main line.

상기 입질 생성부는 상기 원줄이 관통될 수 있도록 통과로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관에 설치된 관 회전부와, 상기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지지관이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상기 관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2타격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bite generation unit has a passageway formed to allow the main line to pass through, a support pipe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a tube rotation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pipe to rotate the support pipe, and the image When the processing unit provides a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ing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a second hitting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tube rotation unit so that the support tube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은 프레임과, 상기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공간이 마련되는 탑승부재와, 상기 탑승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탑승부재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구동부와, 상기 탑승부재를 기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대해 기울어지게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탑승 제어부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frame, a boarding member provided with a boarding space for the user to board, and the boarding member to the frame, so that the posture of the boarding member can be changed. And a boarding control part controlling the driving part to drive the boarding membe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ame according to a preset pattern.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낚시대를 감지하여 낚시상황에 대응되는 가상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사실적이고, 흥미로운 낚시 상황 게임을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a more realistic and interesting fishing situation game because it can detect a fishing rod operated by the user and provide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shing situation to the user.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가상영상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의 입질 생성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질 생성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질 생성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of Figure 1,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virtual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of FIG. 1,
4 is a side view of a bite generation unit of a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bite quality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 bite quality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1 and 2 illustrate a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낚시 상황에 대한 가상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는 탑승유닛(120)과,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낚시대(130)와, 상기 낚시대(130)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릴(131)과, 일단부가 상기 릴(131)에 권취되는 원줄(140)과, 상기 원줄(14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질 상황 또는 릴(131)링 상황에 대한 촉감을 상기 낚시대(130)에 전달하는 촉감생성부(150)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낚시대(13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유닛(160)과, 상기 사용자가 캐스팅할 경우, 캐스팅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17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로 상기 가상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상영상에는 상기 감지유닛(16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낚시대(130)에 대응되게 움직이는 낚시대 오브젝트가 포함되는 영상처리유닛(18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100 is worn by a user, and a display unit 110 that displays a virtual image of a fishing situation to the user, and a boarding unit 120 on which the user is boarded. And, a fishing rod 130 that is gripped and operated by the user, a reel 131 installed on the fishing rod 130 and rotated by the user's operation, and a main line 140 wound around the reel 131 at one end. ), and a tactile generating unit 15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line 140 to transmit tactile sensation for the biting situation or the reel 131 ring situation to the fishing rod 130, and manipulated by the user. A sensing unit 16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fishing rod 130, a distance calculating unit 170 for calculating a casting distance when the user casts, and the virtual image to the display unit 110 The virtual image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180 including a fishing rod object moving corresponding to the fishing rod 130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160.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본체에 설치되어 영상처리유닛(180)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영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위에서 낚시를 하는 사람이 낚시 수역 또는 찌를 바라보는 1인칭 시점의 영상이 적용된다. Although the display unit 11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body worn on the user's head, the display module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displaying an image to the user,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n audio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an audio signal. In this case, the virtual image provided by the display unit 110 to the user is an image of a first-person view in which a person who fishes on a ship looks at a fishing water or float as shown in FIG. 3.

본체는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소정의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모듈은 본체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본체를 착용시 사용자의 눈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야에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본체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머리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The body is formed with a hol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ser's head can be inserted, and a cushion membe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provide a predetermined cushioning feeling. The display module is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and is disposed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when the user wears the main body to output an image to the user's field of view.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head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detect movement of the user's head.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처리유닛(180)으로부터 영상을 제공받는다. 통신부는 영상처리유닛(180)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디스플레이모듈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는 영상처리유닛(180)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음향출력부에 제공한다. 음향출력부는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본체에 설치된 스피커가 적용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n image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to the display modul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sound signal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and provides it to the sound output unit.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the sound signal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speak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is applied.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얼굴에 착용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 HM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unit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head mounted display (HMD) worn by the user on the face.

탑승유닛(120)은 프레임(121)과, 상기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공간이 마련되는 탑승부재(122)와, 상기 탑승부재(122)를 상기 프레임(121)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탑승부재(122)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구동부(123)와, 상기 탑승부재(122)를 기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프레임(121)에 대해 기울어지게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123)를 제어하는 탑승 제어부(124)를 구비한다. The boarding unit 120 supports the frame 121, a boarding member 122 provided with a boarding space for the user to board, and the boarding member 122 to the frame 121, and the boarding A driving unit 123 capable of changing the posture of the member 122 and a board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23 to drive the boarding member 122 in an inclined manner with respect to the frame 121 according to a preset pattern ( 124).

상기 프레임(121)은 사용자가 낚시게임을 하기 위해 입장하는 체험부스(미도시)에 설치된다. 상기 탑승부재(122)는 구동부(123)에 의해 프레임(121)의 상부에 지지되며, 낚시용 보트와 같은 소형 선박의 형태로 형성된다. 탑승부재(122)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공간이 마련된다. The frame 121 is installed in an experience booth (not shown) where a user enters to play a fishing game. The boarding member 122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21 by the driving unit 123,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small ship such as a fishing boat. A boarding space for a user to board is provided above the boarding member 122.

구동부(123)는 하단이 프레임(121)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탑승부재(122)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125)를 구비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25)는 공급되는 전기 또는 유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린더와 같은 유압장치가 적용된다. The driving unit 123 includes a plurality of actuators 125 whose lower end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21,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rotatably installed under the boarding member 122. The actuator 125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supplied electricity or hydraulic pressure, and a hydraulic device such as a cylinder generally used in the related art is applied.

탑승 제어부(124)는 탑승부재(122)에 탑승한 탑승자가 바다 또는 강 위에 떠있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프레임(121)에 대해 상기 탑승부재(122)가 기울어지게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123)를 제어한다. The boarding control unit 124 allows the boarding member 122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ame 121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so that the occupant who boarded the boarding member 122 can experience such as floating on the sea or river. The driving unit 123 is controlled to be driven.

낚시대(130)는 소정길이 연장되며, 일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원줄(1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고리가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에 인접된 위치의 낚시대(130)에 상기 릴(131)이 설치되어 있다. The fishing rod 130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gripping part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is provided at one end, and a plurality of support ring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support the main line 140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 The reel 131 is installed on the fishing rod 13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gripping part.

상기 릴(131)은 손잡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하여 원줄(140)을 감거나 풀 수 있다. 이때, 릴(131)에는 상기 릴(131)에 권취되거나 상기 릴(131)로부터 권출되는 상기 원줄(140)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원줄 감지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줄 감지부(13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원줄(140)이 감기는 릴(131)의 드럼에 설치되어 해당 드럼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 및 상기 엔코더에서 산출된 드럼의 회전수를 토대로 상기 릴(131)로부터 권출되거나 릴(131)에 권취되는 원줄(140)의 길이를 산출하는 길이 산출모듈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산출모듈은 기저장된 릴(131)의 드럼의 원주길이와, 엔코더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릴(131)로부터 권출되거나 릴(131)에 권취되는 원줄(140)의 길이를 산출한다. The reel 131 can be wound or unwinded by a user manipulating the reel 131 through a handle. At this time, the reel 131 is provided with a line detection unit 132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line 140 that is wound around the reel 131 or unwound from the reel 131. Although the original line detection unit 132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n encoder that is installed on the drum of the reel 131 on which the original line 140 is wound and measure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um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um calculated by the encoder are measured. As a basis, a length calculation module is provided for calculating the length of the main string 140 unwound from the reel 131 or wound around the reel 131. The calculation module calculates the length of the main string 140 unwound from the reel 131 or wound around the reel 131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drum of the reel 131 and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ncoder.

상기 낚시대(130) 및 릴(131)은 낚시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낚시대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fishing rod 130 and the reel 131 are generally used for fishing,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원줄(140)에는 상기 원줄(140)에 작용하는 장력 변화를 측정하는 장력측정센서(1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력측정센서(14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원줄(140)에 작용하는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 로드셀이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tension measuring sensor 141 for measuring a change in tension acting on the original line 140 is installed in the main line 140. Although the tension measurement sensor 141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load cell may be applied to measure the tension acting on the main string 140.

촉감생성부(150)는 상기 사용자를 기준으로 다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유닛(151)과, 상기 이동유닛(1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줄(140)의 타단부가 권취되는 권취드럼(152)과, 상기 권취드럼(152)에 상기 원줄(140)을 권취하거나 상기 권취드럼(152)으로부터 상기 원줄(140)을 권출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152)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부(153)와, 상기 영상처리유닛(180)에서 후술되는 제3가상영상 또는 제4가상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로 전달시 상기 입질상황 또는 릴(131)링상황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유닛(151) 및 드럼회전부(153)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54)을 구비한다. The tactile feeling generation unit 150 includes a moving unit 151 that moves in multiple directions based on the user, and a winding drum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151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string 140 is wound. (152), and a drum rotation unit 153 for rotating the winding drum 152 so as to wind the circle 140 on the winding drum 152 or to unwind the circle 140 from the winding drum 152. ), and the moving unit 151 to correspond to the biting situation or the reel 131 ring situation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transmits a third virtual image or a fourth virtual image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display unit 110 And a control module 154 for controlling the drum rotation unit 153.

이동유닛(151)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다수의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바퀴들 중 일부를 회동시켜 케이스의 이동방향을 조향할 수 있는 조향유닛과, 상기 구동바퀴를 회전시키는 바퀴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때, 이동유닛(151)은 체험부스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모형 자동차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moving unit 151 includes a case, a steering unit capable of steer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case by rotating some of the driving wheels and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installed in the case, and a wheel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driving wheel. do. At this time, since the mobile unit 151 is a model car that can be moved within the experience booth,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도 4에는 이동유닛(19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mobile unit 190 is shown in FIG. 4.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유닛(190)은 탑승유닛(120)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체험부스 내에 설치된 제1레일(191)과, 상기 제1레일(19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블럭(192)과, 상기 제1레일(191)을 따라 제1블럭(192)을 이동시키는 제1작동부와, 상기 제1블럭(192)들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2레일(193)과, 상기 제2레일(193)에,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권취드럼(152)이 설치되는 제2블럭(194)과, 상기 제2레일(193)을 따라 제2블럭(194)을 이동시키는 제2작동부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ving unit 19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from the boarding unit 120, and the first rail 191 installed in the experience booth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irst rail 191 E, a plurality of first blocks 192 respectively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irst operation part for moving the first block 192 along the first rail 191, and the first block 192 ), the second rail 193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rail 193,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on which the winding drum 152 is installed ( 194 and a second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second block 194 along the second rail 193.

제1작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레일(191) 상부에 설치되며, 제1레일(19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제1렉기어와, 상기 제1렉기어에 치합될 수 있도록 제1블럭(19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1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블럭(192)에 설치된 제1회전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2작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레일(193) 상부에 설치되면, 제2레일(19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제2렉기어와, 상기 제2렉기어에 치합될 수 있도록 제2블럭(19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2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블럭(194)에 설치된 제2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제1 및 제2작동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블럭(192) 및 제2블럭(194)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Although the first operating un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first rack gear installed on the first rail 191 and having a plurality of gear teeth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rail 191, and the first rack A first pinion gear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block 19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ear, and a first rotating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block 192 so as to rotate the first pinion gear. Although the second operation un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installed on the second rail 193, a second rack gear having a plurality of gear teeth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rail 193, and the second A second pinion gea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lock 194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a second rotary motor installed on the second block 194 to rotate the second pinion gear.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unit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oving means may be applied to move the first block 192 and the second block 194.

권취드럼(152)은 이동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원줄(140)의 타단부에 권취되어 있다. 권취드럼(152)의 회전에 따라 원줄(140)은 권취드럼(152)에 권취되거나 권취드럼(152)으로부터 권출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권취드럼(152)에는, 권취드럼(152)에 권취되거나 권치드럼으로부터 권출되는 원줄(140)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길이 측정부(155)를 구비한다. 상기 길이 측정부(155)는 권취드럼(152)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권취드럼(152)에 권취되거나 권취드럼(152)으로부터 권출되는 원줄(140)의 길이를 산출한다. The winding drum 15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body, and is wound on the other end of the circle 14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the winding drum 152 rotates, the main string 14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152 or is unwound from the winding drum 152.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inding drum 152 is provided with a length measuring unit 155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main string 140 wound on the winding drum 152 or unwound from the winding drum. The length measuring unit 155 detect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winding drum 152 and calculates the length of the main string 140 that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152 or unwound from the winding drum 152.

드럼회전부(153)는 상기 권취드럼(152)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15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드럼회전부(153)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권취드럼(152)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The drum rotation unit 153 is provided on the winding drum 152 and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winding drum 152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Meanwhile, the drum rotating part 153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rotating means capable of rotating the winding drum 152 may be used.

제어모듈(154)은 사용자가 보다 사실감있는 낚시게임을 체험할 수 있도록 낚시 상황에 따라 상이한 촉감을 상기 낚시대(13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이동유닛(151) 및 드럼회전부(153)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영상처리유닛(180)의 작동과 함께 더욱 상세히 후술한다. The control module 154 controls the moving unit 151 and the drum rotating part 153 to transmit different tactile feelings to the fishing rod 130 according to fishing conditions so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a more realistic fishing game. , 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감지유닛(160)은 낚시대(130)의 스윙속도, 자세 등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낚시대(130)에 설치되는 속도감지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유닛(160)은 측정대상의 속도 및 자세를 감지하기 위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싱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지유닛(160)은 감지된 정보를 영상처리유닛(180)에 전달한다. The detection unit 160 includes a speed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installed on the fishing rod 130 to detect the swing speed and posture of the fishing rod 130. The sensing unit 160 is a sensing means generally used in the related art to detect the speed and postur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ensing unit 160 transmits the sensed information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거리 산출부는 상기 감지유닛(160)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낚시대(130)가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기준각도 이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사용자가 캐이스팅하는 캐스팅 시점으로 판단하고, 상기 캐스팅 시점 이후, 상기 낚시대(130)의 스윙속도를 토대로 캐스팅 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거리 산출부는 캐스팅 시점 이후에, 감지유닛(160)으로부터 낚시대(130)의 스윙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스윙속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캐스팅 거리를 산출하여 영상처리유닛(180)에 전달한다. When the fishing rod 130 is erected above a preset reference angle from the groun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ing unit 160,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determines that the casting time is cast by the user, and after the casting time, The casting distan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swing speed of the fishing rod 130. At this time,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wing speed of the fishing rod 130 from the detection unit 160 after the casting time, calculates the casting distance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wing speed, and processes the image. It is transmitted to the unit 180.

영상처리유닛(18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로 상기 가상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상영상에는 상기 감지유닛(16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낚시대(130)에 대응되게 움직이는 낚시대 오브젝트가 포함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virtual image to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virtual image includes a fishing rod object moving corresponding to the fishing rod 130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160. Included.

여기서, 영상처리유닛(180)은 상기 낚시대상 수역에 상기 낚시대 오브젝트에 연결된 낚시줄에 설치된 바늘을 던지는 캐스팅 상황에 대한 제1가상영상, 상기 낚시대 오브젝트에 연결된 낚시줄에 설치된 찌가 상기 낚시대상 수역에 부유하는 웨이팅 상황에 대한 제2가상영상, 물고기가 상기 낚시줄에 연결된 미끼를 건드리는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 및 상기 물고기가 상기 낚시줄에 연결된 바늘을 문 상태에서 상기 물고리를 낚는 릴(131)링상황에 대한 제4가상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한다. 영상처리유닛(18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includes a first virtual image of a casting situation in which a needle installed on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object is thrown in the fishing target water body, and a float installed on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object is the fishing target water area. A second virtual image for a weighting situation floating in, a third virtual image for a bite situation in which a fish touches the bait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and the fish catching the hook while the hook is biting the hook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The fourth virtual image of the reel 131 ring situation is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10.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영상처리유닛(180)은 거리산출부(170)에서, 상기 사용자가 캐스팅하는 캐스팅 시점으로 판단되면, 상기 캐스팅 상황에 대한 제1가상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상영상은 낚시대(130)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움직이는 낚시대 오브젝트가 포함되며, 거리산출부(170)에서 산출된 캐스팅 거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낚시대 오브젝트에 연결된 낚시줄 오브젝트 또는 해당 낚시줄에 연결된 찌 오브젝트를 위치시킨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transmits a first virtual image of the casting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110 when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170 determines that the casting time is cast by the user. Here, the first virtual image includes a fishing rod object that moves in the same manner as the movement of the fishing rod 130,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sting distanc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170, a fishing line object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object or a corresponding Place the float object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이때, 제어모듈(154)은 탑승유닛(12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초기위치에 상기 이동유닛(151)을 이동시킨 다음, 상기 캐스팅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원줄(140)이 상기 릴(131)로부터 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152)에 원줄(140)이 감기도록 상기 드럼회전부(153)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154)은 상기 캐스팅 시점 이후에, 상기 캐스팅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원줄(140)이 상기 권취드럼(152)에 감기도록 상기 드럼회전부(153)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모듈(154)은 길이 측정부(155)로부터 상기 권취드럼(152)에 권취되는 원줄(140)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54 moves the moving unit 151 to an initial position spaced from the boarding unit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main string 140 is moved to the reel 131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asting distance. The drum rotation part 153 is operated so that the main string 14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152 so that it can be unwound from the winding drum 152.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module 154 controls the drum rotation unit 153 so that the main string 14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152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asting distance after the casting time point. .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154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main string 140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152 from the length measuring unit 155.

영상처리유닛(180)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1가상영상이 출력된 이후에, 상술된 웨이팅 상황에 대한 제2가상영상을 제공한다. 상기 제2가상영상에는 찌 오브젝트가 정지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first virtual image is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a second virtual image for the above-described weighting situ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at object is maintained in a still state in the second virtual image.

영상처리유닛(180)은 제2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웨이팅 시간 이후에, 상술된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웨이팅 시간은 영상처리유닛(180)에 의해 무작위로 설정된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third virtual image for the above-described bite quality to the display unit 110 afte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rom the point at which the second virtual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Here, the weighting time is set randomly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이때, 제어모듈(154)은 상기 영상처리유닛(180)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시 상기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촉감이 상기 낚시대(1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15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교번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회전부(153)를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ing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110, the control module 154 transmits the touch of the bite of the fish to the fishing rod 13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um rotation unit 153 to rotate the winding drum 152 by alternating predetermined angl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it can be rotated.

그리고, 영상처리유닛(180)은 제3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된 시점에서 상기 낚시대(130)가 기설정된 기준속도 이상으로 움직이거나 상기 장력측정센서(141)에서 감지된 장력이 챔질 기준 장력 이상일 경우, 사용자가 챔질 동작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술된 릴(131)링상황에 대한 제4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한다. 이때, 영상처리유닛(180)은 릴(131)링상황에 대한 제4가상영상을 제공할 경우, 상기 원줄 감지부(132)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캐스팅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원줄(140)이 상기 릴(131)에 권취되는 동안 상기 제4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moves the fishing rod 130 at a time when the third virtual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or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speed, or the tension detected by the tension measurement sensor 141 is When the tens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tens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performed the chamfering operation, and the fourth virtual image of the reel 131 ring condition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10. At this time,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fourth virtual image of the reel 131 ring situation,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reset casting distance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riginal line detection unit 132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virtual image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10 while the main line 140 is wound on the reel 131.

여기서, 제4가상영상으로서 물고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려고 움직이는 상황에 대한 제1세부영상, 상기 물고기와 대치 상황에 대한 제2세부영상 및 상기 물고기가 상기 사용자 측으로 이동되는 상황에 대한 제3세부영상이 시간순으로 무작위로 반복되도록 설정된다. Here, as the fourth virtual image, a first detailed image of a situation in which a fish moves away from the user, a second detailed image of a situation where the fish is confronted, and a third detailed imag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fish moves toward the user. It is set to repeat randomly in chronological order.

이때, 제어모듈(154)은 상기 영상처리유닛(180)에서 상기 제1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시, 상기 원줄(140)이 상기 권취드럼(152)으로부터 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152)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유닛(151)을 작동시킨다. 이때, 이동유닛(151)은 탑승유닛(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되, 좌우방향으로도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영상처리유닛(180)은 제1세부영상을 기설정된 제1단위시간만큼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하며, 상기 제1단위시간은 램덤하게 설정된다. At this time,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first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10, the control module 154 prevents the main string 140 from being unwound from the winding drum 152. The moving unit 151 is operated while the winding drum 152 is stopped. In this case, the moving unit 151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arding unit 120, but it is preferable to mov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well. Here,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first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10 for a predetermined first unit time, and the first unit time is randomly set.

또한, 제어모듈(154)은 상기 영상처리유닛(180)에서 상기 제2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시 상기 이동유닛(151) 및 드럼회전부(153)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고기가 물속에서 버티고 있는 것과 같은 상황을 경험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처리유닛(180)은 제2세부영상을 기설정된 제2단위시간만큼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하며, 상기 제2단위시간은 램덤하게 설정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54 stops the moving unit 151 and the drum rotation unit 153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secon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10. Thus, the user can experience a situation like a fish holding out in water. Here,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secon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10 for a predetermined second unit time, and the second unit time is randomly set.

그리고, 제어모듈(154)은 상기 영상처리유닛(180)에서 상기 제3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시 상기 제3세부영상에 포함된 물고기에 대응되게 상기 탑승유닛(120)에 단위거리만큼 인접되게 상기 이동유닛(151)을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유닛(151)은 제3세부영상에서 물고기가 사용자에 접근하는 것에 대응되게 시간이 경과할수록 탑승유닛(120)에 가까워지도록 제어모듈(154)에 의해 작동된다. 여기서, 이동유닛(151)은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움직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단위거리는 영상처리유닛(180)에 의해 램덤하게 설정된다. In addition,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thir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10, the control module 154 provides the boarding unit 120 to correspond to the fish included in the third detailed image. The moving unit 151 is moved adjacent to each other by a unit distance. At this time, the mobile unit 151 is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154 so as to become closer to the boarding unit 120 as time elapses corresponding to the fish approaching the user in the third detailed image. Here, the moving unit 151 may be moved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Here, the unit distance is randomly set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한편, 영상처리유닛(18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로 상기 제1세부영상 또는 제2세부영상을 제공할 경우, 상기 장력측정센서(141)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원줄(140)에 작용하는 장력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변화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3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한다. 즉, 원줄(140)에 인가되는 장력 변화 값이 기준 변화값 이상이면, 사용자가 힘으로 물고기를 끌어올리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제3세부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하고, 제어모듈(154)은 제3세부영상에 대응되게 상기 탑승유닛(120)에 단위거리만큼 인접되게 상기 이동유닛(151)을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the first detailed image or the secon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10, the original line 140 is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nsion measuring sensor 141. When the tension change value acting 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change value, the third detailed image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10. That is, if the tension change value applied to the main line 14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hang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pulls up the fish with force and provides the thir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control module 154 Moves the moving unit 151 to be adjacent to the boarding unit 120 by a unit distance to correspond to the third detailed image.

영상처리유닛(180)은 제4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캐스팅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원줄(140)이 상기 릴(131)에 권취되면, 낚시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낚시 완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제어모듈(154)은 이동유닛(151)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어모듈(154)은 이동유닛(151)의 이동에 따라 낚시대(1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권취드럼(152)으로부터 원줄(140)이 권출되도록 회전드럼부를 제어한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indicates that fishing is complete when the main line 140 is wound around the reel 131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a preset casting distance from the point at which the fourth virtual image is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It determine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fishing comple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control module 154 moves the moving unit 151 to an initial posi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54 controls the rotating drum so that the main line 140 is unwound from the winding drum 152 in order to prevent the fishing rod 130 from mov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151.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낚시대(130)를 감지하여 낚시상황에 대응되는 가상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사실적이고, 흥미로운 낚시 상황 게임을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detect the fishing rod 130 operated by the user and provide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shing situation to the user, so it is more realistic and interesting fishing situ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xperience the gam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20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5 shows a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200)은 상기 영상처리유닛(180)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시 상기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촉감이 상기 낚시대(1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151) 또는 원줄(140)에 설치되는 입질 생성부(21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a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e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110, th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200 provides a tactile sense of the bite of the fish. It further includes a bite quality generating unit 210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151 or the main line 140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fishing rod 130.

상기 입질 생성부(210)는 상기 원줄(140)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15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로드(211)와, 상기 타격로드(211)를 회전시키는 로드 회전부와, 상기 상기 영상처리유닛(180)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시 상기 원줄(140)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로드(21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로드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1타격 제어부(212)를 구비한다. The bite generation unit 210 includes a striking rod 211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151 so as to strike the main string 140, and a rod rotating part that rotates the striking rod 211,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provides a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ing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110, the striking rod 211 is alternately forward or reversed so that the main string 140 can be hit. And a first hitting control unit 212 for controlling the rod rotation unit so as to be rotated.

타격로드(211)는 하단부가 권취드럼(152)에 인접된 위치의 이동유닛(15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원줄(140)을 접촉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타격로드(211)의 상단부에는 원줄(140)에 대한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접촉판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판은 타격로드(211)의 단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iking rod 21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15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inding drum 152 at the lower end,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end can contact the main line 140. A contact plat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iking rod 211 so as to expand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circular line 140. The contact plat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riking rod 211.

로드 회전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타격로드(2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타격로드(211)의 하단부에 설치된 회전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모터는 제1타격 제어부(212)에 의해 제어된다. 제1타격 제어부(212)는 상기 제3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면, 상기 원줄(140)을 타격할 수 있도록 로드 회전부를 작동시켜 타격로드(211)를 회동시킨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od rotation unit includes a rotating moto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triking rod 211 so as to rotate the striking rod 211. The rotating motor is controlled by the first hitting control unit 212. When the third virtual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the first hitting control unit 212 rotates the hitting rod 211 by operating the rod rotation unit to hit the main line 140.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질 생성부(22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6 illustrates a bite quality generator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입질 생성부(220)는 상기 원줄(14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통과로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유닛(15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관(221)과, 상기 지지관(221)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관(221)에 설치된 관 회전부(미도시)와, 상기 상기 영상처리유닛(180)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시 상기 지지관(221)이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상기 관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2타격 제어부(22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bite generation unit 220 has a passageway formed so that the main line 140 can pass through, a support pipe 22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151, and the support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a tube rotation unit (not shown) installed on the support tube 221 so as to rotate the tube 221 and a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ing situation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180 When provided to, the support pipe 221 is provided with a second hitting control unit 222 for controlling the tube rotation unit so that i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지지관(221)은 소정길이 연장되며, 중앙부에 상기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관(221)은 연결봉에 의해 이동유닛(151)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봉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가 상기 지지관(221) 하측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이동유닛(151)에 회전가능하게 연장된다. 이때, 연결봉은 길이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이동유닛(151)에 설치된다. The support pipe 221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through path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support pipe 221 is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151 by a connecting rod. The connecting ro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pe 221,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extended to the moving unit 151. At this time, the connecting rod is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151 so as to rotate around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관 회전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연결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봉의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제2타격 제어부(22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2타격제어부는 상기 제3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면, 원줄(140)을 비틀 수 있도록 상기 연결봉이 회전되도록 관 회전부를 작동시킨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ube rotation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so as to rotate the connecting rod. The driving motor is controlled by the second hitting control unit 222. When the third virtual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the second hit control unit operates the tube rotation unit so that the connecting rod rotates so that the main line 140 can be twist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110: 디스플레이부
120: 탑승유닛
121: 프레임
122: 탑승부재
123: 구동부
124: 탑승 제어부
125: 액츄에이터
130: 낚시대
131: 릴
132: 원줄 감지부
140: 원줄
141: 장력측정센서
150: 촉감생성부
151: 이동유닛
152: 권취드럼
153: 드럼회전부
154: 제어모듈
155: 길이 측정부
160: 감지유닛
170: 거리산출부
180: 영상처리유닛
100: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110: display unit
120: boarding unit
121: frame
122: boarding member
123: drive unit
124: boarding control
125: actuator
130: fishing rod
131: reel
132: circle line detection unit
140: circle line
141: tension measurement sensor
150: tactile feeling generation unit
151: mobile unit
152: winding drum
153: drum rotating part
154: control module
155: length measuring unit
160: detection unit
170: distance calculation unit
180: image processing unit

Claims (13)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낚시 상황에 대한 가상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낚시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낚시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유닛;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가상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상영상에는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낚시대에 대응되게 움직이는 낚시대 오브젝트가 포함되는 영상처리유닛;을 구비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A display unit worn by a user and displaying a virtual image of a fishing situation to the user;
A fishing rod gripped and operated by the user;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fishing rod manipulated by the user;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the virtual image to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virtual image includes a fishing rod object that moves to correspond to the fishing rod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낚시대상 수역에 상기 낚시대 오브젝트에 연결된 낚시줄에 설치된 바늘을 던지는 캐스팅 상황에 대한 제1가상영상, 상기 낚시대 오브젝트에 연결된 낚시줄에 설치된 찌가 상기 낚시대상 수역에 부유하는 웨이팅 상황에 대한 제2가상영상, 물고기가 상기 낚시줄에 연결된 미끼를 건드리는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 및 상기 물고기가 상기 낚시줄에 연결된 바늘을 문 상태에서 상기 물고리를 낚는 릴링상황에 대한 제4가상영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processing unit
A first virtual image of a casting situation in which a needle installed on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object is thrown in the target water area, a second virtual image about a weighting situation in which a float installed on a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object is floating in the fishing target water area A virtual image, a third virtual image of a bite situation in which a fish touches a bait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and a fourth virtual image of a reeling situation in which the fish bites the hook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릴;
일단부가 상기 릴에 권취되는 원줄;
상기 원줄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질 상황 또는 릴링 상황에 대한 촉감을 상기 낚시대에 전달하는 촉감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 reel installed on the fishing rod and rota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One end of which is wound around the reel;
A tactile gen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line and transmitting a tactile sense for the biting situation or the reeling situation to the fishing rod; further comprising,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생성부는
상기 사용자를 기준으로 다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원줄의 타단부가 권취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상기 원줄을 권취하거나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상기 원줄을 권출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부; 및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제3가상영상 또는 제4가상영상을 디스플레이부로 전달시 상기 입질상황 또는 릴링상황에 대응되게 상기 이동유닛 및 드럼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tactile feeling generation unit
A moving unit moving in multiple directions based on the user;
A winding drum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string is wound;
A drum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winding drum so as to wind the main string on the winding drum or unwind the main string from the winding drum;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and the drum rotation unit to correspond to the biting condition or the reeling condition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transmits the third virtual image or the fourth virtual image to the display unit.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낚시대가 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기준각도 이상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사용자가 캐이스팅하는 캐스팅 시점으로 판단하고, 상기 캐스팅 시점 이후, 상기 낚시대의 스윙속도를 토대로 캐스팅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캐스팅 시점 이후에, 상기 캐스팅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원줄이 상기 권취드럼에 감기도록 상기 드럼회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거리 산출부에서 상기 캐스팅 시점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unit, when the fishing rod is erected above a preset reference angle from the ground, it is determined as the casting time at which the user casts, and after the casting time, the casting distance based on the swing speed of the fishing rod Further comprising a; distanc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drum rotation unit so that the main line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asting distance after the casting time point,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first virtual image to th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as the casting time point,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릴에 권취되거나 상기 릴로부터 권출되는 상기 원줄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릴에 설치되는 원줄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릴링상황에 대한 제4가상영상을 제공할 경우, 상기 원줄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캐스팅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원줄이 상기 릴에 권취되는 동안 상기 제4가상영상이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4가상영상은 물고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려고 움직이는 상황에 대한 제1세부영상, 상기 물고기와 대치 상황에 대한 제2세부영상 및 상기 물고기가 상기 사용자 측으로 이동되는 상황에 대한 제3세부영상이 무작위로 반복되도록 제작된,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a line detection unit installed on the reel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line wound on the reel or unwound from the reel,
The image processing unit
When the fourth virtual image for the reeling situation is provided, the fourth virtual image is displayed while the original line is wound around the reel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a preset casting distance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riginal line detection unit. Is provided to the department,
The fourth virtual image includes a first detailed image of a situation in which a fish moves away from the user, a second detailed imag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fish is confronted, and a third detailed imag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fish moves toward the user. Built to repeat at random,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제1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원줄이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유닛을 작동시키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제2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이동유닛 및 드럼회전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제3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제3세부영상에 포함된 물고기에 대응되게 상기 탑승유닛에 단위거리만큼 인접되게 상기 이동유닛을 이동시키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module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first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the moving unit is operated while the winding drum is stopped so as to prevent the main line from being unwound from the winding drum,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secon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the moving unit and the drum rotating unit are stopped,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thir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moving the moving unit to be adjacent to the boarding unit by a unit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fish included in the third detailed image,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줄에 설치되어 상기 원줄에 작용하는 장력 변화를 측정하는 장력측정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처리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상기 제1세부영상 또는 제2세부영상을 제공할 경우, 상기 장력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원줄에 작용하는 장력 변화 값이 기설정된 기준 변화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3세부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A tension measuring sensor installed on the main line to measure a change in tension acting on the main line; further comprising,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first detailed image or the secon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the tension change value acting on the main line based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nsion measurement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change value , Providing the third detailed image to the display unit,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촉감이 상기 낚시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교번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드럼회전부를 제어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a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ing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module rotates the winding drum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tactile feel of the bite of the fish can be transmitted to the fishing rod. Controlling the drum rotation unit to rotate alternately,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촉감이 상기 낚시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 또는 원줄에 설치되는 입질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a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e condition to the display unit, a bite quality generation unit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or the main line so that the tactile sense of the bite bite of the fish can be transmitted to the fishing rod; Equipped,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질 생성부는
상기 원줄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로드;
상기 타격로드를 회전시키는 로드 회전부; 및
상기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원줄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로드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로드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1타격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bite generation unit
A striking ro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so as to strike the main line;
A rod rotation unit that rotates the striking rod; And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e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the first strike for controlling the rod rotation unit so that the strike rod rotates alternately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main line can be hit With a control unit;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질 생성부는
상기 원줄이 관통될 수 있도록 통과로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유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관에 설치된 관 회전부; 및
상기 상기 영상처리유닛에서 상기 입질 상황에 대한 제3가상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시 상기 지지관이 소정 각도 회동되도록 상기 관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2타격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bite generation unit
A support pipe having a passageway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main line,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ing unit;
A tube rotation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tube to rotate the support tube; And
A second hitt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tube rotation unit so that the support tube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image processing unit provides a third virtual image of the biting situation to the display unit,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공간이 마련되는 탑승부재;
상기 탑승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탑승부재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구동부; 및
상기 탑승부재를 기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대해 기울어지게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탑승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상현실 낚시게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rame;
A boarding member provided with a boarding space for the user to board;
A driving unit that supports the boarding member on the frame and is capable of changing a posture of the boarding member; And
A board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boarding member is driven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ame according to a preset pattern; including,
Virtual reality fishing game system.


KR1020190103187A 2019-08-22 2019-08-22 VR Fishing Game System KR202100232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87A KR20210023241A (en) 2019-08-22 2019-08-22 VR Fishing Gam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87A KR20210023241A (en) 2019-08-22 2019-08-22 VR Fishing Gam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41A true KR20210023241A (en) 2021-03-04

Family

ID=7517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187A KR20210023241A (en) 2019-08-22 2019-08-22 VR Fishing Gam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324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446B1 (en) 2011-08-12 2013-03-25 여동석 Fishing game mothod using portable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446B1 (en) 2011-08-12 2013-03-25 여동석 Fishing game mothod using portabl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784B1 (en) Screen fishing apparatus and fishing game system using the same
JP7197268B2 (en) Game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101869220B1 (en) VR Based Swimming Assist System Using Head Mount Display
WO2006070741A1 (en) Fishing simulated experience device and rendering device
KR102167356B1 (en) Game fishing System for having reel
WO2016111577A1 (en) Fishing game device
JP2024025802A (en) Game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5322686B2 (en) Game device provided with turntable input operation device
JP7421737B2 (en) Control program, game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360939B2 (en) Video-game-use simulated-experience remote control button
KR101885784B1 (en) Fishing simulator using remote fishing
KR20210023241A (en) VR Fishing Game System
JP6742388B2 (en) Control program, game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06006362A1 (en) Game machine
KR102287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golf impact
KR102422272B1 (en) Simulation fishing system
KR102136598B1 (en) Apparatus for virtual fishing simulation
KR20210026586A (en) System for virtual reality sports
TW201503938A (en) 360 degrees-surrounding virtual reality of fishing system
JP3751626B2 (en) Game device
KR102351526B1 (en) Virtual fishing experience system
KR102351532B1 (en) Virtual fishing experience method
KR102603407B1 (en) Reel fishing game apparatus
US20230067732A1 (en) Motorized paddling simulator
TWI684478B (en) Fishing game machin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