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391A -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391A
KR20210022391A KR1020190101843A KR20190101843A KR20210022391A KR 20210022391 A KR20210022391 A KR 20210022391A KR 1020190101843 A KR1020190101843 A KR 1020190101843A KR 20190101843 A KR20190101843 A KR 20190101843A KR 20210022391 A KR20210022391 A KR 20210022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olar panel
vehicle
panel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솔
김상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1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2391A/ko
Priority to US16/796,598 priority patent/US11332019B2/en
Priority to DE102020202485.5A priority patent/DE102020202485A1/de
Priority to CN202010165634.8A priority patent/CN112422077A/zh
Publication of KR2021002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3Converting light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photo-volta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01L31/02013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comprising output lead wires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3Materials or fluids with speci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05Ceiling panel lif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4Tumblers
    • E05B15/143Tumblers elastic, e.g. formed by a sp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88Springs
    • G01N2203/0292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27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fixed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는, 차량용 패널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태양전지패널; 상기 태양전지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 상기 차량용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극;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을 상기 차량용 패널에 대해 완충적으로 지지하는 완충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완충기구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로 이동함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위치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외면이 상기 차량용 패널의 외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외면이 상기 차량용 패널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위치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PHOTOVOLTAIC PANEL MOUNT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제로 에미션 자동차에 관한 환경규제에 기인하여 차량 전자화가 두드러지게 진행되고 있다. 차량 전자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차량은 다양한 전자기구, 전자부품 등을 가지므로, 차량의 요구 전력량이 점차 증가한다.
이에, 차량용 메인 배터리와 같은 주 전력원 이외에 보조 전력원이 차량에 탑재하는 기술이 연구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태양전지패널이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다. 이때, 태양전지패널(photovoltaic panel)은 본넷(bonnet), 트렁크도어, 루프(roof) 등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차량용 패널에 장착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태양전지패널이 차량용 패널의 표면에 장착되고, 태양전지패널이 전기도전성 와이어를 통해 차량용 충전기, 차량용 배터리, 기타 다양한 전자기구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차량용 패널은 그 내부 공간이 협소하므로 전기도전성 와이어의 연결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차량용 패널 중에서 차량 본넷은 보행자가 충돌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이고, 태양전지패널이 차량 본넷에 장착된 경우에는 보행자가 차량 본체과 충돌할 경우에는 보행자에게 육체적 상해를 줄 뿐만 아니라 전기 감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글래스기반 패키징(glass based packaging)이 태양전지패널에 적용될 경우 보행자의 안전이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본넷에 장착되는 태양전지패널은 글래스 기반 패키징 소재를 적용하지 못하므로 소재 선택의 제한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보행자가 태양전지패널과 직접적으로 충돌할 경우 감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태양전지패널과 차량용 패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간소화할 수 있고, 외력이 태양전지패널에 가해질 때 태양전지패널을 탄성적으로 완충함과 더불어 태양전지패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전기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는,
차량용 패널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태양전지패널;
상기 태양전지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
상기 차량용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극;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을 상기 차량용 패널에 대해 완충적으로 지지하는 완충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기구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로 이동함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외면이 상기 차량용 패널의 외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외면이 상기 차량용 패널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위치이다.
상기 완충기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된 로드를 가진 지지부재;
상기 로드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진 수용부재; 및
상기 로드의 둘레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수용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전극지지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지지블록은 비도전체이며, 상기 전극지지블록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은 와이어를 통해 상기 태양전지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전극지지블록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전극지지블록은 상기 제1전극이 부착된 제1면과, 상기 제1면 위에 위치한 제2면과,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제2면, 가이드면은 제2전극을 향해 면할 수 있다.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은 차량용 패널에 부착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탄성변형부를 통해 연결된 전극탭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제1전극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전극탭 사이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정점 및 상기 정점으로부터 서로 다른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 탄성레그를 가지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탄성레그 및 상기 제2탄성레그는 상기 정점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레그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정점을 연결하며, 상기 제2탄성레그는 상기 정점과 상기 전극탭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충기구가 태양전지패널을 차량용 패널에 대해 완충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태양전지패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충격에 의해 외력이 태양전지패널에 가해질 때 태양전지패널의 외면은 완충기구의 수축에 의해 차량용 패널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함몰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태양전지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태양전지패널의 외면은 완충기구의 복원에 의해 차량용 패널의 외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행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패널이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기구에 의해 완충될 수 있으므로 태양전지패널에 적용되는 패키징 소재의 제한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글래스 기반 패키징 소재, 플라스틱 기반 패키징 소재 등과 같이 다양한 패키징 소재가 태양전지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지지블록이 태양전지패널의 가장자리에 제공되고, 외력에 의해 태양전지패널이 차량용 패널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전극지지블록은 태양전지패널의 제1전극 및 차량용 패널의 제2전극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기 감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패널 어셈블리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태양전지패널이 차량용 패널에 장착된 상태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태양전지패널에 외력이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패널 어셈블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어셈블리는 외측패널(10), 내측패널(20), 및 태양전지패널(100)을 포함한다.
외측패널(10)은 차량의 실외공간을 향하는 패널이고, 내측패널(20)은 차량의 실내공간을 향하는 패널이다. 외측패널(10)과 내측패널(20)은 그 내부에 캐비티를 한정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외측패널(10)과 내측패널(20)은 적절한 강도 및 강성 등을 가진 강판 등과 같은 도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측패널(10)은 태양전지패널(100)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개구(11)를 가질 수 있다.
내측패널(20)은 구조적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21)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내측패널(20)의 개구(21)들은 원형의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100)은 제1방향(D1)을 따라 외측패널(10)의 장착개구(1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전지패널(100, photovoltaic panel)은 복수의 PV셀(Photovoltaics cell)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태양전지모듈(110, photovoltaics moudle)과, 태양전지모듈(110)의 외면을 보호하는 보호층(120)과, 태양전지모듈(110)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110)의 외면은 태양에 노출되는 면이고, 태양전지모듈(110)의 내면은 외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면이다. 보호층(120) 및 지지층(130)은 절연체, 비도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호층(13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력(F)이 태양전지패널(100)에 인가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태양전지패널(100)은 제1방향(D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태양전지패널(100)은 외력(F) 및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위치(P1)는 외력(F)이 태양전지패널(100)에 인가되지 않는 조건에서, 태양전지패널(100)의 외면(즉, 보호층(120)의 외면)이 차량용 패널의 외측패널(10)의 외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flush with)하거나 외측패널(10)의 외면과 인접한 위치일 수 있다(도 2 참조). 제2위치(P2)는 외력(F)이 태양전지패널(100)에 인가되는 조건에서, 태양전지패널(100)의 외면(즉, 보호층(120)의 외면)이 차량용 패널의 외측패널(10)의 외면으로부터 내측패널(20)을 향해 함몰되는(recessed) 위치일 수 있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전지패널(100)은 완충기구(40)를 통해 차량용 패널에 대해 완충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완충기구(40)는 태양전지패널(100)이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복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탄성연결기구(40)는 태양전지패널(100)이 제1위치(P1) 및 제2위치(P2) 사이로 이동함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완충기구(40)는 외력이 태양전지패널(100)에 가해질 때 태양전지패널(100)이 차량용 패널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제2위치(P2)로 이동함을 허용하고, 외력이 제거될 때 복원력에 의해 차량용 패널의 외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1위치(P1)로 복원됨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완충기구(40)는 지지부재(41), 수용부재(46), 및 스프링(4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1)는 헤드부(42) 및 헤드부(42)로부터 연장된 로드(4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42)는 태양전지패널(100)의 지지층(130)에 고정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100)은 지지층(130)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47)를 가질 수 있으며, 돌기(47)는 헤드부(42)가 결합되는 결합홈(48)을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40)의 헤드부(42)가 결합홈(48)에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41)는 태양전지패널(10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로드(43)는 헤드부(42)로부터 내측패널(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특히, 로드(43)는 돌기(47)를 관통하여 내측패널(2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rod 42 extends through coupling protrusion 47 toward the inner panel 20)
수용부재(46)는 내측패널(20)를 관통하여 외측패널(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수용부재(46)는 내측패널(20)에 고정될 수 있다. 수용부재(46)는 지지부재(40)의 로드(42)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재(46)의 수용공간은 태양전지패널(100)과 함께 이동하는 로드(42)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길이 및 직경 등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45)은 태양전지패널(1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로드(42)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스프링(45)은 로드(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장 내지 압축될 수 있다. 스프링(45)은 태양전지패널(100) 및 수용부재(46)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프링(45)의 상단은 태양전지패널(100)의 돌기(47)와 접촉할 수 있으며, 스프링(45)의 하단은 수용부재(46)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외력(F)이 태양전지패널(100)에 가해지지 않으면 스프링(45)은 신장되고(is extended), 이에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태양전지패널(100)은 제1위치(P1)로 이동한다. 도 3과 같이 외력(F)이 태양전지패널(100)에 가해지면 스프링(45)은 압축되고(is compressed), 이에 태양전지패널(100)은 제2위치(P2)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완충기구(40)가 태양전지패널을 차량용 패널에 대해 완충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태양전지패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태양전지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완충기구(40)의 복원력에 의해 태양전지패널이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행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고, 태양전지패널에 적용되는 패키징 소재의 제한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고상품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전극(61)이 도전성 와이어(65, conductive wire)를 통해 태양전지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전극(62)은 외측패널(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2전극(62)은 제1전극(62)과 전기적으로 연결 내지 차단될 수 있다.
전극지지블록(50)이 태양전지패널(100)의 가장자리에 장착될 수 있고, 전극지지블록(50)은 제1전극(61)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전극지지블록(50)은 태양전지패널(100)의 지지층(13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거나 지지층(130)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지지블록(50)은 절연체, 비도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지지블록(50)은 지지층(130)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패널(20)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전극지지블록(50)은 태양전지패널(100)로부터 연장된 도전성 와이어(65) 및 제1전극(61)을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100)이 완충기구(40)의 스프링(45)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1위치(P1)로 이동할 때, 전극지지블록(50)은 제1전극(61) 및 제2전극(6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태양전지패널(100)이 제1위치(P1)로 이동할때, 전극지지블록(50)의 하단은 차량용 패널의 내측패널(20)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향으로 이동하고, 태양전지패널(100)의 제1전극(61)은 외측패널(10)의 제2전극(62)과 접촉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100)이 외력에 의해 제2위치(P2)로 이동할 때 전극지지블록(50)은 제1전극(61) 및 제2전극(6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과 같이 태양전지패널(100)이 제2위치(P2)에 이동할 때, 전극지지블록(50)의 하단은 차량용 패널의 내측패널(20)과 상대적으로 근접하거나 접촉하도록 하향으로 이동하고, 태양전지패널(100)의 제1전극(61)은 외측패널(10)의 제2전극(62)과 접촉하지 않는다.
제1전극(61)은 도전성 와이어(65)를 통해 태양전지모듈(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와이어(65)는 태양전지모듈(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1전극(61)은 도전성 와이어(65)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태양전지패널(100)로부터 연장된 도전성 와이어(65)는 전극지지블록(50) 내에 인서트 내지 매립(inserted or embedded)되고, 제1전극(61)은 도전성 와이어(65)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지지블록(50)은 제1전극(61)이 부착된 제1면(51)과, 제1면(51) 위에 위치한 제2면(52)과, 제1면(51) 및 제2면(52)을 연결하는 가이드면(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51), 제2면(52), 및 가이드면(53)은 제2전극(62)을 향해 면할 수 있고, 가이드면(53)이 제1면(51)의 상단과 제2면(52)의 하단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면(51) 및 제2면(52)은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면(51) 및 제2면(52)은 다른 경사각으로 경사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면(51), 제2면(52), 가이드면(53)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1전극(61)이 제1면(51)에 부착됨으로서 제1면(51)은 전도성영역이 될 수 있고, 제2면(52) 및 가이드면(53)은 비도전성영역이 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전성 와이어(65)가 전극지지블록(50) 내에 인서트 내지 매립됨으로써 도전성 와이어(65)는 전극지지블록(5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제1전극(61)이 전극지지블록(50)의 제1면(51)에 부착됨으로써 제1전극(61)은 전극지지블록(5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전극(62)은 차량용 패널의 외측패널(10)에 부착된 베이스부(31)와, 베이스부(31)의 단부에 탄성변형부(36)를 통해 연결된 전극탭(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 탄성변형부(36), 전극탭(32)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31)는 외측패널(10)의 내면(10a)에 부착될 수 있고, 베이스부(31)의 일단은 탄성변형부(36)를 통해 전극탭(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31)의 타단은 차량용 충전기, 차량용 배터리, 다양한 전자기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변형부(36)는 베이스부(31) 및 전극탭(32) 사이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변형부(36)는 정점(33) 및 정점(33)으로부터 서로 다른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 탄성레그(34, 35)를 가질 수 있다. 제1탄성레그(34)는 베이스부(31)의 일단과 정점(33)을 연결할 수 있고, 제2탄성레그(35)는 정점(33)과 전극탭(32)을 연결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100)의 이동에 따라 제1탄성레그(34) 및 제2탄성레그(35)는 정점(33)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제1탄성레그(34) 및 제2탄성레그(35) 사이의 교차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태양전지패널(100)이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 제1 및 제2 탄성레그(34, 35)는 정점(33)을 기준으로 서로 간에 상대적으로 벌어짐으로써 제1탄성레그(34) 및 제2탄성레그(35) 사이의 교차각도는 최대 교차각도이고, 태양전지패널(100)이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 제1 및 제2 탄성레그(34, 35)는 정점(33)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오무려짐으로써 제1탄성레그(34) 및 제2탄성레그(35) 사이의 교차각도는 최소 교차각도이다.
제1탄성레그(34) 및 제2탄성레그(35) 사이의 최대 교차각도는 전극지지블록(50)의 제2면(52) 및 가이드면(53) 사이의 각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태양전지패널(100)의 이동에 따라 탄성변형부(36)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고, 태양전지패널(100)이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 전극탭(32)과 제1전극(61) 사이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극탭(32)은 탄성변형부(36)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전극탭(32)은 탄성변형부(36)의 제2탄성레그(35)에 대해 일정각도로 절곡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100)이 제2위치(P2)로부터 제1위치(P1)로 이동할 때, 전극탭(32)은 제2면(52)으로부터 가이드면(53)을 따라 제1면(51)으로 이동함으로써 탄성변형부(36)의 제1탄성레그(34) 및 제2탄성레그(35)이 벌어지고, 이에 전극탭(32)이 제1전극(61)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태양전지패널(100)이 제1위치(P1)로부터 제2위치(P2)로 이동할 때, 전극탭(32)이 제1면(51)으로부터 가이드면(53)을 따라 제2면(52)으로 이동함으로써 탄성변형부(36)의 제1탄성레그(34) 및 제2탄성레그(35)이 오무려지고, 전극탭(32)이 전극지지블록(50)의 비도전영역인 제2면(52)과 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전극(62)과 제1전극(6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제1면(51), 제2면(52), 가이드면(53) 각각은 전극탭(32)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지지블록이 태양전지패널의 가장자리에 제공되고, 외력에 의해 태양전지패널이 차량용 패널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전극지지블록은 태양전지패널의 제1전극 및 차량용 패널의 제2전극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기 감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외측패널 20: 내측패널
31: 베이스부 32: 전극탭
33: 정점 34: 제1탄성레그
35: 제2탄성레그 36: 탄성변형부
40: 완충기구 41: 지지부재
42: 헤드부 43: 로드
45: 스프링 46: 수용부재
50: 전극지지블록 51: 제1면
52: 제2면 53: 가이드면
61: 제1전극 62: 제2전극
100: 태양전지패널 110: 태양전지모듈
120: 보호층 130: 지지층

Claims (11)

  1. 차량용 패널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태양전지패널;
    상기 태양전지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전극;
    상기 차량용 패널에 부착되고, 상기 제1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전극;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을 상기 차량용 패널에 대해 완충적으로 지지하는 완충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기구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로 이동함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외면이 상기 차량용 패널의 외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외면이 상기 차량용 패널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위치인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된 로드를 가진 지지부재;
    상기 로드가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진 수용부재; 및
    상기 로드의 둘레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수용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전극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극지지블록은 비도전체이며, 상기 전극지지블록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지지하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와이어를 통해 상기 태양전지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전극지지블록 내에 매립되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극지지블록은 상기 제1전극이 부착된 제1면과, 상기 제1면 위에 위치한 제2면과,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을 연결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제2면, 가이드면은 제2전극을 향해 면하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차량용 패널에 부착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탄성변형부를 통해 연결된 전극탭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제1전극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전극탭 사이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는 정점 및 상기 정점으로부터 서로 다른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 탄성레그를 가지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탄성레그 및 상기 제2탄성레그는 상기 정점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레그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정점을 연결하며, 상기 제2탄성레그는 상기 정점과 상기 전극탭을 연결하는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KR1020190101843A 2019-08-20 2019-08-20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KR20210022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43A KR20210022391A (ko) 2019-08-20 2019-08-20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US16/796,598 US11332019B2 (en) 2019-08-20 2020-02-20 Photovoltaic panel mounting system for a vehicle
DE102020202485.5A DE102020202485A1 (de) 2019-08-20 2020-02-27 Photovoltaik-Paneelbefestigungssystem für ein Fahrzeug
CN202010165634.8A CN112422077A (zh) 2019-08-20 2020-03-11 用于车辆的光伏板安装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43A KR20210022391A (ko) 2019-08-20 2019-08-20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391A true KR20210022391A (ko) 2021-03-03

Family

ID=7449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843A KR20210022391A (ko) 2019-08-20 2019-08-20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32019B2 (ko)
KR (1) KR20210022391A (ko)
CN (1) CN112422077A (ko)
DE (1) DE102020202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7932B (zh) * 2023-10-17 2023-12-22 四川航天职业技术学院(四川航天高级技工学校) 一种利用太阳能储能的新能源车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0655C1 (ko) * 1990-06-29 1991-05-02 Webasto Ag Fahrzeugtechnik, 8035 Stockdorf, De
DE19813324B4 (de) * 1998-03-26 2004-07-22 Webasto Systemkomponenten Gmbh Solardeckel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DE19937220C1 (de) 1999-08-06 2001-03-01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Fahrzeugdach mit verstellbarem Verschlußelement
WO2009005805A2 (en) * 2007-07-03 2009-01-08 Solasta, Inc. Distributed coax photovoltaic device
US20120048349A1 (en) * 2009-01-09 2012-03-01 Solopower, Inc. Flexible solar modules and manufacturing the same
CN102218984B (zh) 2010-04-14 2015-04-01 银娜珐天窗系统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天窗
US8757567B2 (en) * 2010-05-03 2014-06-24 Sunpower Corporation Bracket for photovoltaic modules
KR200474466Y1 (ko) 2013-05-16 2014-09-23 주성엔지니어링(주) 차량용 대시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37717B1 (ko) 2014-11-04 2016-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루프의 태양전지 배선 시스템
US9573449B2 (en) 2014-12-01 2017-02-21 Hyundai Motor Company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sunroof
KR20160068338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체 일체형 태양전지
US10171027B2 (en) * 2015-03-02 2019-01-01 Sunpower Corporation Photovoltaic module mount
KR101662549B1 (ko) 2015-07-02 2016-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루프의 전기전달장치
US20180268697A1 (en) * 2015-12-28 2018-09-20 Tao Lin Portable wireless automotive anti-collision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693027B2 (en) * 2016-01-13 2020-06-23 Alta Devices, Inc. Method for interconnecting solar cells
KR102018721B1 (ko) * 2016-05-31 2019-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KR101767340B1 (ko) 2016-06-01 2017-08-11 (주)천일염업사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보닛 차광막조립체
US11139776B2 (en) * 2016-07-01 2021-10-05 Sunpower Corporation Photovoltaic panel having a distributed support frame
JP6533207B2 (ja) * 2016-12-12 2019-06-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9515175A (zh) * 2017-09-20 2019-03-26 天津市禧福珑电动自行车有限公司 一种防碰撞的电动车发电装置
KR20200079915A (ko) 2018-12-26 2020-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패널의 태양전지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패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32019B2 (en) 2022-05-17
CN112422077A (zh) 2021-02-26
US20210053447A1 (en) 2021-02-25
DE102020202485A1 (de)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0195B2 (en) Device for fastening and electrical contacting of a vehicle window pane
JP5694454B2 (ja) 太陽光発電ソーラーパネル用接続箱
US9840217B2 (en) Impact sensor assembly for active hood system
CN112659926B (zh) 机动车辆的储能组件和包括这种储能组件的机动车辆
US8336911B2 (en)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safety arrangement
EP2871694B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same
US10797294B2 (en) Wire routing structure and busbar module
KR20210022391A (ko) 차량용 태양전지패널 장착구조
KR10265048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0266045B2 (en) Battery retaining device
JP6350859B2 (ja) 太陽光発電装置
JP532892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12022355U (zh) 充电桩、自动导引车以及充电系统
CN102892635B (zh) 高电压单元的保护结构
CN111710806A (zh) 电池组模块和机动车
CN107135622B (zh) 一种太阳能的电气设备箱
RU2580874C2 (ru) Модуль для обработки геофизических данных, соединитель и подсборка
KR100776670B1 (ko) 탄성복원력을 구비한 볼라드
JP2555855B2 (ja) 道路標識柱
CN201699224U (zh) 接地弹片结构
KR102484924B1 (ko) 변형방지구조를 갖는 어스단자
CN113258343A (zh) 一种集成正负极连接器
CN220562521U (zh) 一种后背门缓冲装置
CN216529183U (zh) 保护框及包括其的电池箱
CN215680868U (zh) 高密封性汽车用电池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