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189A -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189A
KR20210021189A KR1020190099641A KR20190099641A KR20210021189A KR 20210021189 A KR20210021189 A KR 20210021189A KR 1020190099641 A KR1020190099641 A KR 1020190099641A KR 20190099641 A KR20190099641 A KR 20190099641A KR 20210021189 A KR20210021189 A KR 20210021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rray
catheter
biopsy
targe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435B1 (ko
Inventor
김준기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9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4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61B2010/045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025/0024Expandable catheters or she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61M2025/0085Multiple injection needles protruding axially, i.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theter, from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5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1Bladder and/or ureth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가 개시된다.
액체류 주입 장치는 생검 채널과, 생체의 타겟을 푸시할 때, 액체류를 타겟에 주입하기 위해 생검 채널에 제공되는 니들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INJECTION APPARATUS USING MEEDLE ARRAY FOR LIQUID INJECTION}
본 발명은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류(약물, 시술이나 진단을 위한 다양한 시약, 세포치료제, 줄기 세포 등)를 생체의 조직층에 주입하기 위해서는, 주사기(Syringe)의 바늘을 생체의 조직층에 삽입한 후, 주사기에 힘을 가해 주사기에 수용된 액체류를 조직층에 주입한다.
그런데, 조직층에 삽입되는 바늘의 깊이는, 주사기를 조작하는 사람 손의 힘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조직층에 대한 바늘의 정교한 깊이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단위 시간당 액체류의 주입량이 부족하면, 바늘의 직경을 크게 하여 세포 주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바늘의 직경이 커지면, 조직층에 삽입되는 바늘의 조절 가능한 깊이(depth)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주사기를 통해 액체류를 생체의 조직층에 주입할 때, 주사기에 의한 바늘 구멍이 생체에 발생되거나, 바늘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생체의 굴곡 부위를 따라 이동이 쉽지 않고, 바늘이 휘어버릴 수 있다.
특히, 생체 조직층에는 수백 마이크로 두께 내에 표피층, 결합층, 근육층, 중피층, 분비층(Urothelium, Lamina propria, Muscular layer 및 Serosa)등의 다양한 층이 분포되어 있는데, 주사기를 통해서는 원하는 조직층에 액체류를 정확하게 주입하기 쉽지 않다.
공개특허공보 10-2008-0009911호(2008. 01. 30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체류를 조직층 내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는, 생검 채널; 및 생체의 타겟을 푸시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 입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카테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 유닛은 액체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의 단부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을 푸시할 때, 상기 액체류를 상기 타겟에 주입하는 니들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테터는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입출 가능한 카테터 채널부; 및 상기 카테터 채널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카테터 채널부의 단부에서 확장 연장되는 카테터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 확장부는 상기 카테터 채널부의 일측부에서 편심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 유닛은 상기 니들 어레이의 단부에 도포되고, 상기 니들 어레이가 상기 타겟을 푸시할 때, 시간에 따라 상기 생체에서 녹아내리는 커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 어레이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겟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 마련되는 생검 램프; 및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상기 타겟을 촬영하는 생검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 유닛은 상기 타겟에 대한 상기 생검 카메라의 촬영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스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 어레이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니들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서 착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는, 생검 채널; 및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를 생체의 타겟에 푸시할 때, 액체류를 상기 타겟에 주입하는 니들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겟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 마련되는 생검 램프; 및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상기 타겟을 촬영하는 생검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니들 어레이의 단부에 도포되고, 상기 니들 어레이가 상기 타겟을 푸시할 때, 시간에 따라 상기 생체에서 녹아내리는 커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 어레이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 어레이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니들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착탈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체류를 생체의 원하는 타겟(조직층)의 깊이 및 위치에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니들이 배치되는 어레이 니들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생체의 타겟에 주입되는 세포 또는 약제의 주입량을 증가시키고 넓은 타겟 영역에 주입 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생검 채널(내시경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생체의 굴곡 부위에 대해서도 카테터 유닛의 자유로운 이동 및 삽입이 가능하고, 생체의 타겟에 대해서 액체류의 주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가 방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니들이 조직층에 얕게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니들이 조직층에 깊게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카테터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카테터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카테터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가 방광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니들이 조직층에 얕게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니들이 조직층에 깊게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류 주입 장치(10)는, 생검 채널(100), 카테터 유닛(200), 생검 램프(300) 및 생검 카메라(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검 채널(100)은 생체(C: 일 예로, 방광벽 조직)의 타겟 까지 이동될 수 있다. 생검 채널(100)은 내시경 검사/시술에 사용되는 내시경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생검 채널(100)은 통상의 내시경 채널에 적용되는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생검 채널(100)은 내시경 검사/시술에 사용되는 내시경 채널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생검 채널(100)은 액체류를 생체(C)의 타겟으로 주입하기 위한 별도의 채널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액체류'라는 용어는 약물, 시술이나 진단을 위한 다양한 시약, 세포치료제, 줄기 세포 등을 포함하고, '액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치료약제/세포제를 감싸는 반액체(하이드로젤 등과 같은 반고체)까지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정의된다.
생검 채널(100)의 끝단에는 생검 램프(300) 및 생검 카메라(400)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생검 채널(100)의 끝단에는 카테터 유닛(200)이 입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생검 채널(100)은 단부가 "ㄱ"자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형 채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생검 채널(100)의 단부가 "ㄱ"자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생검 채널(100)의 단부가 직선형 또는 다른 형태의 굴곡형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카테터 유닛(200)은 생검 채널(100)의 끝단에서 인출된 후, 생체(C)의 타겟에 대해서 수직방향(대향되는 방향)으로 푸시할 수 있다.
카테터 유닛(200)은 액체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카테터(210)와, 타겟을 푸시할 때, 액체류를 타겟에 주입하는 니들 어레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210)는 생검 채널(100)의 끝단에서 입출 가능한 관(pip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카테터(210)는 생검 채널(100)의 끝단에서 입출되는 길이 조절을 통해, 생체(C)의 타겟(조직층)에 삽입되는 깊이를 일관되게 조절할 수 있다.
니들 어레이(220)는 카테터(210)의 단부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2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니들(221)은 카테터(210)의 단부 상에서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니들(221)은 카테터(210)의 넓은 단부 면적 상에서 이격 배치되므로, 생체(C)의 타겟에 대한 액체류의 주입 경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결국, 타겟에 대한 액체류의 주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니들 어레이(220)는 카테터(21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니들 어레이(220)는 카테터(210)의 단부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니들 어레이(220)가 카테터(210)의 단부에서 착탈 가능하면, 액체류를 주입하고자 하는 타겟의 깊이 따라, 그 깊이에 적합한 길이의 니들(221)을 갖는 니들 어레이(220)로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듯이, 타겟의 깊이가 조직층의 얕은 위치인 경우, 그 깊이에 해당되는 짧은 길이의 니들(221)을 갖는 니들 어레이(22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듯이, 타겟의 깊이가 조직층의 깊은 위치인 경우, 그 깊이에 해당되는 긴 길이의 니들(221)을 갖는 니들 어레이(220)가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니들(221)은 전체적으로 뾰족한 원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니들(221)의 중앙에는 생체(C)의 타겟에 액체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홀은 액체류의 크기/용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주입홀의 직경은 100 ㎛ ~ 150 ㎛일 수 있다.
생검 램프(300)는 생검 채널(100)의 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생검 램프(300)는 특정 파장을 사용하여 광역학 치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검 램프(300)에는 광치료 치료 목적을 위한 복합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생검 램프(300)는 생체(C)의 타겟을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생검 카메라(400)의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생검 카메라(400)는 생검 채널(100)의 단부에서 생체(C)의 타겟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생검 카메라(40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생검 카메라(40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생체(C)의 타겟에 액체류를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생검 카메라(400)의 영상 이미지를 통해, 생체(C)의 타겟 부위에서 발생되는 출혈이나 누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생검 카메라(400)는 내시경 검사/시술에 사용되는 내시경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생검 채널(100)은 통상의 내시경 카메라에 적용되는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카테터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류 주입 장치(10)에서, 카테터(210)는 카테터 채널부(211)와 카테터 확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 채널부(211)는 생검 채널(100)의 끝단에서 입출 가능한 관(pipe)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카테터 확장부(212)는 카테터 채널부(21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카테터 채널부(211)의 단부에서 확장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테터 확장부(212)는 보다 많은 니들(221)이 배치 가능한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카테터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류 주입 장치(10)에서, 카테터(210)의 카테터 확장부(212)는 카테터 채널부(211)의 일측부에 편심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카테터 유닛(200)의 카테터 확장부(212)로 인해, 생검 카메라(400)의 시야가 가려져 생체(C)의 타겟에 대한 촬영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카테터 유닛(200)은 생검 채널(100)의 단부에서 스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카테터 확장부(212)에 의해 생검 카메라(400)의 촬영 간섭이 발생되면, 생검 카메라(400)의 촬영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방향으로 카테터 유닛(200)을 스핀(회전)시킴으로써, 카테터 확장부(212)로 인한 생검 카메라(400)의 촬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류 주입 장치(10)에서, 카테터(210)는 카테터 채널부(211), 카테터 확장부(212) 및 커버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였을 때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원용한다.
커버제(230)는 니들(221)의 막힘, 오염 또는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니들 어레이(220)의 단부에 도포될 수 있다. 커버제(230)는 생체(C) 내 열 및 수분에 의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녹아 내리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니들 어레이(220)가 생체(C)의 타겟을 푸시할 때, 커버제(23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체(C)의 열 및 수분에 의해 녹아내리므로, 니들 어레이(220)는 니들(221)의 막힘, 오염 또는 손상 없이, 액체류를 생체(C)의 타겟에 주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제(230)는 생체(C)에서 녹아 내릴 수 있는 성분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커버제(230)는 카테터 유닛(200)이 생체(C)의 타겟을 푸시할 때, 카테터 유닛(200)의 압력에 의해, 니들 어레이(220)의 단부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의 카테터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에 따른 액체류 주입 장치(10)에서, 니들 어레이(220)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221a)가 형성된 복수의 니들(2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단차부(221a)가 니들(221)의 원주를 따라 니들(221)의 측벽에 형성되지만, 니들(221)에는 하나 이상의 단차부(221a)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니들(221)에 단차부(221a)가 형성되면, 각각의 단차부(221a) 별로 가압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결국, 니들(221)에 단차부(221a)를 이용하면, 생체(C)의 타겟에 삽입되는 길이가 손쉽게 조절될 수 있으며, 타겟의 일관된 깊이에 액체류가 주입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액체류 주입 장치는, 생검 채널(100), 니들 어레이(220), 생검 램프(300) 및 생검 카메라(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생검 채널(100)은 내시경 검사/시술에 사용되는 내시경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생검 채널(100)은 단부가 "ㄱ"자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형 채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생검 채널(100)의 단부가 "ㄱ"자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생검 채널(100)의 단부가 직선형 또는 다른 형태의 굴곡형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생검 채널(100)은 생체(일 예로, 방광벽 조직)의 타겟까지 이동될 수 있다. 생검 채널(100)의 끝단에는 니들 어레이(220), 생검 램프(300) 및 생검 카메라(400)가 장착될 수 있다.
니들 어레이(220)는 생검 채널(100)의 단부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2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니들(221)은 생검 채널(100)의 단부 외주연 상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니들(221)은 생검 채널(100)의 단부 외주연상에서 이격 배치되므로, 생체(C)의 타겟에 대한 액체류의 주입 경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결국, 타겟에 대한 액체류의 주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니들 어레이(220)는 생검 채널(10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니들 어레이(220)는 생검 채널(100)의 단부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니들 어레이(220)가 카테터(210)의 단부에서 착탈 가능하면, 액체류를 주입하고자 하는 타겟의 깊이 따라, 그 깊이에 적합한 길이의 니들(221)을 갖는 니들 어레이(220)로 교체할 수 있다.
각각의 니들(221)은 전체적으로 뾰족한 원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니들(221)의 중앙에는 생체(C)의 타겟에 액체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또한, 니들 어레이(220)의 단부에는 니들(221)의 막힘, 오염 또는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제가 도포될 수 있다. 커버제는 생체 내 열 및 수분에 의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녹아 내리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니들 어레이(220)가 생체의 타겟을 푸시할 때, 커버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체의 열 및 수분에 의해 녹아내리므로, 니들 어레이는 니들(221)의 막힘, 오염 또는 손상 없이, 액체류를 생체의 타겟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니들 어레이(220)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니들(2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니들(221)에 단차부가 형성되면, 각각의 단차부 별로 가압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결국, 니들(221)에 단차부를 이용하면, 생체의 타겟에 삽입되는 길이가 손쉽게 조절될 수 있으며, 타겟의 일관된 깊이에 액체류가 주입될 수 있다.
생검 램프(300)는 특정 파장을 사용하여 광역학 치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검 램프(300)에는 광치료 치료 목적을 위한 복합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생검 램프(300)는 생체(C)의 타겟을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생검 카메라(400)의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생검 카메라(400)는 생검 채널(100)의 단부에서 생체(C)의 타겟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생검 카메라(40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류를 생체의 원하는 타겟의 깊이 및 위치에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고, 니들이 배치되는 어레이 니들의 면적을 증가시켜, 생체의 타겟에 주입되는 세포 주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카테터 유닛을 생검 채널을 이용하므로, 생체의 굴곡 부위에 대해서도 자유로운 이동 및 삽입이 가능하고, 생체의 타겟에 대한 액체류의 주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생검 채널 200 : 카테터 유닛
210 : 카테터 211 : 카테터 채널부
212 : 카테터 확장부 220 : 니들 어레이
221 : 니들 221a :단차부
300 : 생검 램프 400 : 생검 카메라

Claims (13)

  1. 생검 채널; 및
    생체의 타겟을 푸시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 입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카테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 유닛은
    액체류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의 단부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을 푸시할 때, 상기 액체류를 상기 타겟에 주입하는 니들 어레이;를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입출 가능한 카테터 채널부; 및
    상기 카테터 채널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카테터 채널부의 단부에서 확장 연장되는 카테터 확장부를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확장부는
    상기 카테터 채널부의 일측부에서 편심되게 연결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유닛은
    상기 니들 어레이의 단부에 도포되고, 상기 니들 어레이가 상기 타겟을 푸시할 때, 시간에 따라 상기 생체에서 녹아내리는 커버제를 더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어레이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 마련되는 생검 램프; 및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상기 타겟을 촬영하는 생검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유닛은
    상기 타겟에 대한 상기 생검 카메라의 촬영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스핀 가능한,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어레이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니들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서 착탈 가능한,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9. 생검 채널; 및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를 생체의 타겟에 푸시할 때, 액체류를 상기 타겟에 주입하는 니들 어레이;를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 마련되는 생검 램프; 및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상기 타겟을 촬영하는 생검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어레이의 단부에 도포되고, 상기 니들 어레이가 상기 타겟을 푸시할 때, 시간에 따라 상기 생체에서 녹아내리는 커버제를 더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어레이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된 복수의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어레이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니들로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생검 채널의 단부에서 착탈 가능한,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KR1020190099641A 2019-08-14 2019-08-14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KR102316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641A KR102316435B1 (ko) 2019-08-14 2019-08-14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641A KR102316435B1 (ko) 2019-08-14 2019-08-14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189A true KR20210021189A (ko) 2021-02-25
KR102316435B1 KR102316435B1 (ko) 2021-10-25

Family

ID=7473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641A KR102316435B1 (ko) 2019-08-14 2019-08-14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886B1 (ko) * 2021-03-29 2021-12-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액체류 주입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102A (ko) * 2006-01-20 2006-04-27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 시스템
US20070049863A1 (en) * 2003-01-14 2007-03-01 Jahns Scott E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stitial injection of biologic agents into tissue
KR20080009911A (ko) 2006-07-25 2008-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주입용 주사기
JP2015192872A (ja) * 2014-03-26 2015-11-05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角質層に留まるマイクロニードル
KR101891398B1 (ko) * 2016-07-19 2018-08-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니들,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9863A1 (en) * 2003-01-14 2007-03-01 Jahns Scott E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stitial injection of biologic agents into tissue
KR20060036102A (ko) * 2006-01-20 2006-04-27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 시스템
KR20080009911A (ko) 2006-07-25 2008-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주입용 주사기
JP2015192872A (ja) * 2014-03-26 2015-11-05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角質層に留まるマイクロニードル
KR101891398B1 (ko) * 2016-07-19 2018-08-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니들,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886B1 (ko) * 2021-03-29 2021-12-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액체류 주입 장치
WO2022211246A1 (ko) * 2021-03-29 2022-10-0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액체류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435B1 (ko) 202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8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target tissues within the ears
KR101195997B1 (ko) 광섬유와 카메라를 이용한 카테터
KR101508067B1 (ko)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
US6454790B1 (en) Treatment for Barrett's syndrome
KR101499433B1 (ko) 주사기능이 구비된 내시경
US20170252537A1 (en) Endoscope sheath and endoscope injection positioning device
KR20150050525A (ko) 여성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한 벌킹제 애플리케이터
KR102316435B1 (ko)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KR20160075907A (ko) 슬라이딩 장착유닛이 구비된 약물주입기
CN113766939A (zh) 用于输送药物的鼓室内注射器装置和针以及使用方法
KR101484491B1 (ko)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WO2017033712A1 (ja) 医療用装置
JP6282554B2 (ja) レーザー治療器
KR101787691B1 (ko) 일회용 내시경 장치
KR102337886B1 (ko) 액체류 주입 장치
KR101613271B1 (ko) 카테터
KR101592341B1 (ko) 밴딩 가능한 니들이 구비된 약품주입기
KR101742484B1 (ko) 범용적 약품용기 결합이 가능한 약물주입 시술기기
KR101698353B1 (ko) 착탈식 약물용기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기
KR101820387B1 (ko)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
KR101693216B1 (ko) 영상 카테터
KR20110033892A (ko) 카데터 및 카데터 조립체
JP5973654B2 (ja) 縫合用ビード、縫合針、サイドサクションキャ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内視鏡用臓器縫合器具
KR20150043258A (ko) 카테터
KR20210115644A (ko) 2종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