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102A - 내시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시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102A
KR20060036102A KR1020067001317A KR20067001317A KR20060036102A KR 20060036102 A KR20060036102 A KR 20060036102A KR 1020067001317 A KR1020067001317 A KR 1020067001317A KR 20067001317 A KR20067001317 A KR 20067001317A KR 20060036102 A KR20060036102 A KR 20060036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ndoscope
connector
main body
pip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417B1 (ko
Inventor
도시아끼 노구찌
히또시 하세가와
마사노리 고쪼
에이리 스즈끼
히사시 구로시마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4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4Electrical cabl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7Optical cabl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9Tubes or pip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의 세정ㆍ소독을 보다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내시경 시스템이고, 적어도 각종 관로를 일부에 집약하여 구성한 본체 유닛과,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며, 본체 유닛에 집약되어 있는 각종 관로에 연통하는 각종 관로를 갖는 관로 유닛을 구비한 내시경과, 적어도 내시경이 구비하는 각종 관로를 통해 유체의 공급 혹은 흡인 등의 제어를 행하는 펌프ㆍ전자 밸브 제어 유닛을 갖는 내시경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내시경, 조작부, 삽입부, 유니버설 코드, 스콥 커넥터, 방수 캡

Description

내시경 시스템 {ENDOSCOPE SYSTEM}
본 발명은 체강 내에 삽입부가 삽입되고, 검사ㆍ처치 종료 후에 그 삽입부 등의 세정ㆍ소독을 행하여 재사용되는 내시경을 갖는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은 조작부(2)와, 삽입부(3)와, 유니버설 코드(4)로 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 내에는 예를 들어, 송기ㆍ송수 관로(1a), 흡인 관로(1b)를 겸하는 처치구 채널(1c), 송기 관로(1d) 및 송수 관로(1e) 등의 각종 관로나, 도시하지 않은 각종 신호선, 전선이나 라이트 가이드 파이버 등이 삽통되어 있었다.
유니버설 코드(4)의 기단부에는 스콥 커넥터(5)가 설치되어 있다. 스콥 커넥터(5)에는 전기 커넥터(5a),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5b) 및 송기구 부재(5c) 혹은 흡인구 부재(5d)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5a)에는 내시경(1)의 외부 장치인 도시하지 않은 내시경 제어 장치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5b)에는 외부 장치인 내시경용 광원 장치가 접속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5a)는 방수 캡(6)이 장착 가능한 구조이다. 즉, 내시경(1)의 세정ㆍ소독시에 있어서는 방수 캡(6)이 전기 커넥 터(5a)에 장착된다. 이 점에 따라, 전기 커넥터(5a)의 방수성이 보존된다.
조작부(2)에는, 시술자가 전방에서 송기ㆍ송수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송기ㆍ송수 버튼(7)과, 흡인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흡인 버튼(8)이 설치되어 있다. 송기ㆍ송수 버튼(7)은 송기ㆍ송수 실린더(9a)에 장착되고, 흡인 버튼(8)은 흡인 실린더(9b)에 장착된다.
조작부(2)의 삽입부(3)측에는 흡인 관로(1b)의 일부가 분기된 분기부(10)가 설치되어 있다. 분기부(10)에는, 시술 중에 처치를 행하기 위한 처치구를 삽발하기 위한 겸자구(11)가 설치되어 있다. 겸자구(11)는 처치구가 삽통 가능한 슬릿(12a)을 갖는 겸자 마개(12)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삽입부(3)의 선단부, 본 도면에 있어서는 선단부면에는 송기/송수를 행하기 위한 송기ㆍ송수용 개구(3a) 및 흡인용 개구와 처치구 도출구를 겸하는 처치구용 개구(3b)가 설치되어 있다. 송기ㆍ송수용 개구(3a)에는 관로(1a)의 단부가 연통하고, 처치구용 개구(3b)에는 처치구 채널(1c)의 단부가 연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내시경(1)을 검사 등 종료 후에 세정ㆍ소독을 행할 때에는, 전술한 내시경(1)의 구조에 따라서 세정ㆍ소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즉, 내시경(1)의 송기ㆍ송수 관로(1a), 흡인 관로(1b), 처치구 채널(1c), 송기 관로(1d), 송수 관로(1e) 내의 세정ㆍ소독을 행하기 위해, 세정용 브러시(13)를 한 쪽의 개구인 예를 들어 실린더(9a, 9b)나 겸자구(11) 등으로부터 삽입하고, 다른 쪽의 개구인 송기ㆍ송수용 개구(3a), 처치구용 개구(3b), 흡인구 부재(5d) 등으로부터 돌출시켜 관로 내를 세정해야만 한다.
그러나, 세정용 브러시(13)를 삽입하는 위치가 내시경(1)의 여러 가지 부위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나, 내시경(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관로에 급격하게 굴곡하는 부분 혹은 분기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등 관로 구조가 복잡함으로써, 세정용 브러시(13)를 삽발하여 행하는 세정ㆍ소독 작업은 시간이 드는 번거로운 것이었다.
또한, 내시경(1)에는 내시경 제어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컨트롤 유닛 등에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5a)가 존재하고, 세정ㆍ소독을 행할 때에는 그 전기 커넥터(5a)에 반드시 방수 캡(6)을 부착할 필요가 있었다. 드물게, 방수 캡(6)의 부착을 잊어 버림으로써, 내시경(1)의 내부에 세정액 등의 액체가 침입하여, 이 내시경(1)에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25093호 공보에는 송기관, 송수관의 브러싱 세정이 용이하고,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연성 튜브를 이용하지 않고 관로를 전자 밸브 유닛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관로를 갖는 내시경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 내시경 시스템에서는 송기ㆍ송수관의 브러싱 세정을 쉽게 하기 위해, 라이트 가이드 접속 단부, 송기관의 접속구 및 송수관의 접속구를 케이블[상기 도1 유니버설 코드(4)에 대응]의 커넥터부[상기 도1 스콥 커넥터(5)에 대응] 내에 정리하여 배치하고 있었다. 또한, 커넥터부 내에 있어서의 송기관, 송수관을 상기 케이블을 향해 바로 형성 배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커넥터부는 광원/전자 밸브 장치(상기 내시경 제어 장치에 대응)에 접속된다. 또한, 내시경 내의 송기 관로 및 송수 관로를 선단부로부터 상기 커넥터까지 독립된 관로로 구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내시경 시스템에서는 세정용 브러시를 삽입하는 부재가 여러 가지 위치로 분산되어 있는 것, 관로에 굴곡하는 부분이나 분기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것, 전기적 커넥터에 반드시 방수 캡을 부착할 필요가 있는 것 등, 내시경 본체를 세정ㆍ소독하는 작업은 번잡하여 수고가 가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로를 삽입부에 집약하고, 그 집약된 각 관로의 굴곡도를 작게 하는 동시에, 분기부를 적게 하여 내시경의 세정ㆍ소독을 보다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내시경 시스템은 적어도 각종 관로를 일부에 집약하여 구성한 본체 유닛 및 이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상기 본체 유닛에 집약되어 있는 각종 관로에 연통하는 각종 관로를 갖는 관로 유닛을 구비한 내시경과, 적어도 상기 내시경이 구비하는 각종 관로를 통해 유체의 공급 혹은 흡인 등의 제어를 행하는 펌프ㆍ전자 밸브 제어 유닛을 갖는 내시경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에 의해, 본체 유닛에 대해 관로 유닛을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펌프ㆍ전자 밸브 제어 유닛에 의해, 유체의 공급이나 흡인 등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내시경 사용 후에 있어서는 관로 유닛을 본체 유닛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각 관로가 구성이 단순하고 또한 거리가 짧은 관로가 되기 때문에 세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한 관로 유닛은 디스포저블이다. 이 점에 의해, 예를 들어 내시경 사용 후에 있어서는 본체 유닛으로부터 제거한 관로 유닛을 폐기한 후, 본체 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관로 내에만 세정하면 좋기 때문에, 번거로운 작업으로부터 해방된다.
도1은 종래의 내시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내시경에 설치되어 있는 관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체부 유닛과 유니버설 코드 유닛과의 접속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5는 내시경을 본체부 유닛과, 유니버설 코드 유닛과, 관로 유닛으로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스콥 커넥터의 전기계, 광계, 관로계와 멀티 커넥터의 전기계, 광계, 관로계와의 접속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스콥 커넥터를 멀티 커넥터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내시경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스콥 커넥터의 전기계, 광계, 관로계와 멀티 커넥터의 전기계, 광계, 관로계와의 접속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1은 스콥 커넥터의 전기계와 멀티 커넥터의 전기계와의 접속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12는 스콥 커넥터를 멀티 커넥터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스콥 커넥터의 광계와 멀티 커넥터의 광계와의 접속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4는 스콥 커넥터 및 멀티 커넥터의 별도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5는 전기 메스의 어스 접속을 행하는 고주파 접속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6은 스콥 커넥터 및 멀티 커넥터의 별도의 구성예의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은 멀티 커넥터부에 배치되는 스콥 커넥터가 회전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8은 스콥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9는 멀티 커넥터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0은 원판 형상 부재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1은 코일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2는 멀티 커넥터부에 배치된 스콥 커넥터가 회전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내지 도8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시스템(100)은 내시경(20)과 내시경 제어 장치(71)로 주로 구성된다. 내시경 제어 장치(71)에는 후술하는 멀티 커넥터(72)가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20)은, 소위 가늘고 긴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 삽입부(이하, 삽입부라 약칭함)(21) 및 내시경 조작부(이하, 조작부라 약칭함)(22)를 포함하는 본체부 유닛(23)과, 유니버설 코드 유닛(이하, 코드 유닛이라 약칭함)(24)과, 관로 유닛(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 유닛(23)과 코드 유닛(24)과는 도면 중 접속부 A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 유닛(23)과 관로 유닛(25)은 도면 중의 접속부 B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드 유닛(24)과 관로 유닛(25)과는 도면 중의 접속부 C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시경(20)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 유닛(23)과, 코드 유닛(24)과, 관로 유닛(25)이 모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내시경 검사 종료 후의 세정ㆍ소독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 유닛(23)과, 코드 유닛(24)과, 관로 유닛(25)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거된 관로 유닛(25)에 대해서는 폐기되고, 본체부 유닛(23) 및 코드 유닛(24)에 대해 세정ㆍ소독이 행해진다. 즉, 관로 유닛(25)은 디스포저블이다.
본체부 유닛(23), 코드 유닛(24) 및 관로 유닛(25)의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본체부 유닛(23)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체부 유닛(23)의 삽입부(21)에 관로로서 예를 들어, 송기/송수 관로(26)와 전방부 송수 관로(27)와, 흡인 관로(28)가 설치되어 있다. 송기/송수 관로(26)는 내시경 검사시에 체강 내에 공기를 이송하기 때문에, 혹은 내시경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광학 렌즈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세정하기 위한 물을 이송하기 위한 관로이다. 관로 중도부에는 분기부(26a)가 형성되고, 2개의 관로(26b, 26c)로 분리되어 있다. 전방 부송수 관로(27)는 체강 내의 관찰 부위를 향해 송수를 행하여 관찰 시야를 확보 혹은 양호하게 하기 위한 관로이다. 흡인 관로(28)는, 검사 중에 체강 내의 오염물을 흡인하는, 혹은 체강 내환부의 조직 채취(생검이라고도 함)를 행하기 위한 처치구를 삽입하기 위한 관로이다. 이러한 관로(26, 27, 28)의 일단부는 내시경 삽입부(21)의 선단부(29)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관로(26b, 26c, 27, 28)의 타단부는 조작부(22)와의 경계부 근방인 삽입 기단부측면에 구성된 관로 유닛 연결부(30)에 집약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29)로부터 관로 유닛 연결부(30)에 도달하는 각 관로(26, 27, 28)는 대략 직선적으로 삽입부(21)에 삽통되어 있다.
삽입부(21)의 선단부(29)에는 내시경상을 촬상하기 위한 전하 결합 소자(이하, CCD라 약기함)(31)가 설치되어 있다. CCD(31)로부터는 구동 신호 및 광전 변환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CCD용 신호선(32)이 연장되어 있다. 또, 이 선단부(29)에는 조명광을 공급하는 라이트 가이드(33)의 선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조명 광학계를 향하고 있다. 또한, 전기적 처치를 행하는 전기 메스를 사용할 때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어스선의 역할을 다 하는 어스선용 전선(34)이 배치되어 있다.
CCD용 신호선(32)은 삽입부(21) 내 및 조작부(22) 내를 경유하여, 이 조작부(22) 내에 설치되어 있는 도면 중의 사선으로 나타내는 제어 유닛(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유닛(35)에는 CCD에 대한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 외에, 전원 회로 및 만곡부의 앵글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 및 각종 센서 신호를 구동/처리하는 구동 처리 회로 등의 각종 주변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유닛(35)에는 조작부(22)에 설치되어 있는 줌 스위치(36), 프리즈 스위치(37), 송기/송수 스위치(38)나 흡인 스위치(39)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줌 스위치(36)는 내시경 검사시에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관찰 화상의 확대를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프리즈 스위치(37)는 관찰 화상의 프리즈를 지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송기/송수 스위치(38)는 송기/송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흡인 스위치(39)는 흡인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상기 본체부 유닛(23)과 상기 코드 유닛(24)과의 접속 수단은 마그넷 구조, 혹은 기계적 커넥터 구조이다.
제어 유닛(35)으로부터는 예를 들어 신호선(35a, 35b)이 연장되어 있다. 이들 신호선(35a, 35b), 상기 어스선용 전선(34)의 기단부 및 상기 라이트 가이드(33)의 기단부는 조작부(22)의 기단부 측면에 구성된 코드 유닛 연결부(이하, 코드 연결부라 약기함)(40)에 집약되어 있다.
또, 본 도면에 있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고 있지만, 본체부 유닛(23) 에는 삽입부(21)의 선단부(29)를 예를 들어 상하 방향 혹은 좌우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예를 들어 복수의 만곡 부재를 연속 접촉하여 구성된 만곡부, 앵글 와이어, 앵글 레버, 앵글 로크 레버 등으로 구성되는 앵글 조작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앵글 조작 수단의 구성 및 작용은 종래의 내시경과 마찬가지의 구조이다.
다음에, 코드 유닛(24)의 구성을 설명한다.
코드 유닛(24)은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코드부(41)와, 본체부 유닛 연결부(이하, 본체 연결부라 약기함)(42)와, 스콥 커넥터(43)로 구성되어 있다. 스콥 커넥터(43)에는 커넥터 배치부(43a)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배치부(43a)에는 상기 관로 유닛(25)의 후술하는 제2 관로 커넥터부(52)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코드 유닛(24)에는 라이트 가이드(44)와, 전기 메스용의 어스선용 전선(45)과, 신호선(46)과, 전원선(47) 등이 삽통된다.
본체 연결부(42)는 본체부 유닛(23)에 설치되어 있는 코드 연결부(4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콥 커넥터(43)는 멀티 커넥터(7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콥 커넥터(43)에는 전원 단자(47a), 신호 전송용 단자(46a), 어스 단자(이하, E 단자라 약기함)(45a) 및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관로 유닛(25)의 구성을 설명한다.
관로 유닛(25)은 디스포저블이다. 관로 유닛(25)은, 제1 관로 커넥터부(51)와, 제2 관로 커넥터부(52)와, 유연성을 갖는 관로 본체(5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관로 커넥터부(51)에는 겸자 마개(54)가 설치되어 있다. 관로 유닛(25) 에는 상기 송기/송수 관로(26)의 기단부측을 구성하는 관로(26a, 26b)에 연통하는 제1 관로(55a) 및 제2 관로(55b)와, 상기 전방 부송수 관로(27)에 연통하는 제3 관로(56)와, 흡인 관로(28)에 연통하는 제4 관로(5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관로 커넥터부(51)는, 본체부 유닛(23)에 구성되어 있는 관로 유닛 연결부(30)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성이다. 제1 관로 커넥터부(51)에는, 예를 들어 고무 및 실리콘 등 탄성 부재의 탄성력 혹은 마그넷이 갖는 자력, 혹은 수지 부재, 금속 부재로 구성되는 기계적 결합부 등으로 구성되는 착탈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로 유닛 연결부(30)와, 제1 관로 커넥터부(51)와는 원터치로 착탈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관로 유닛 연결부(30)에 대해 제1 관로 커넥터부(51)를 연결함으로써, 제1 관로(55a)와 관로(26a)가, 제2 관로(55b)와 관로(26b)가, 제3 관로(56)와 전방 부송수 관로(27)가, 제4 관로(57)와 흡인 관로(28)가 연통 상태가 된다.
또, 제1 관로 커넥터부(51)에는 처치구가 삽입/발거되는 개구부(58)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4 관로(57)에는 제1 관로 커넥터부(51)에 있어서 분기부(57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4 관로(57)는 분기부(57a)에 있어서 개구부(58)에 연통하는 제1 구멍(57b)과 흡인 관로(28)에 연통하는 제2 구멍(57c)으로 분기하고 있다.
겸자 마개(54)는 개구부(58)를 폐색하도록 제1 관로 커넥터부(51)에 마련된다. 겸자 마개(54)는 내시경 관찰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58)를 폐색한다. 내시경 관찰 중에 처치구를 사용할 때에는, 겸자 마개(54)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슬릿으로부터 처치구를 삽입한다.
제2 관로 커넥터부(52)의 단부면으로부터는 제1 관로(55a), 제2 관로(55b), 제3 관로(56) 및 제4 관로(57)의 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제2 관로 커넥터부(52)는 스콥 커넥터(43)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배치부(43a)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접속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도3,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체부 유닛(23)과 코드 유닛(24)과의 접속부 A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 A를 구성하는 코드 연결부(40)와 본체 연결부(42)와는 전원의 공급을 행하는 전원 전송부(40a, 42a)와, 영상 신호 등의 전기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신호 전송부(40b, 42b)와, 조명광의 전송을 행하는 조명광 전송부(40c, 42c)와, 어스선 접속부가 되는 전선 접속부(40d, 42d)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전송부(40a, 42a) 및 신호 전송부(40b, 42b)는 트랜스를 이용한 비접촉형의 전자 유도 결합 수단인 비접촉 전력 전송부 및 비접촉 신호 전송부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코드 연결부(40)의 전원 전송부(40a)에는 전압 제어 IC(61)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62)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비접촉 전력 전송부를 구성하기 위한 트랜스(T1)를 구성하는 2차측(60a)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 연결부(42)의 전원 접속부(42a)에는 제1 트랜스(T1)를 구성하는 1차측(60b)과, 상기 전원 단자(47a)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에 의해 스위칭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 유닛(63) 이 설치되어 있다.
코드 연결부(40)의 신호 전송부(40b)에는 트랜스(T2)를 구성하는 2차측(60c)과, 트랜스(T2)를 구동시키는 본체부측 신호 전송 유닛(64)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체 연결부(42)의 신호 전송부(42b)에는 트랜스(T2)를 구성하는 1차측(60d)과, 트랜스(T2)에 의해 전송된 CCD에 관한 신호, 앵글 제어 신호나 각종 센서 신호를 재생하여 스콥 커넥터(43)에 전송하는 코드측 신호 전송 유닛(65)이 설치되어 있다.
또, 트랜스(T1)의 2차측(60a)은 전압 제어 IC(61)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62)에 접속되고 제어 유닛(3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측 신호 전송 유닛(64)도 제어 유닛(3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트랜스(T1, T2)의 1차측(60b, 60d)과 2차측(60a, 60c)과는 절연 구조이고, 또한 방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코드 연결부(40)의 조명광 전송부(40c)에는 광학 전송 수단인 광 커넥터(66)가 마련되고, 본체 연결부(42)의 조명광 전송부(42c)에는 광학 전송 수단인 광 커넥터(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점에 의해, 코드 유닛(24)에 설치되어 있는 라이트 가이드(44)에 의해 전송되는 조명광이, 광 커넥터(67) 및 광 커넥터(66)를 통해 본체부 유닛(23)에 설치되어 있는 라이트 가이드(33)에 전송된다.
또, 라이트 가이드(33)의 코드 연결부(40)측의 단부에 라이트 가이드(33)로부터 분기된 분기 라이트 가이드(33a)를 마련하고 있다. 이 분기 라이트 가이드(33a)의 단부면측의 소정 위치에는 보조 광원으로서의 LED(6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점에 의해, 내시경 선단부로부터 조사되는 관찰광의 광량을 LED(68)로 보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LED(68)는 내시경(20)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에 접속된다.
코드 연결부(40)의 전선 접속부(40d)에는 전기 접점(69)이 마련되고, 본체 연결부(42)의 전선 접속부(42d)에는 전기 접점(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점에 의해, 코드 유닛(24)에 설치되어 있는 어스선용 전선(45)과 본체부 유닛(23)에 설치되어 있는 어스선용 전선(34)이 전기 접점(69) 및 전기 접점(7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코드 연결부(40) 및 본체 연결부(42)에는 마그넷이 갖는 자력, 혹은 수지 부재 및 금속 부재로 구성되는 기계적 결합부 등으로 구성되는 착탈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 유닛(23)에 코드 연결부(40)를 마련하고, 코드 유닛(24)에 본체 연결부(42)를 마련함으로써,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 유닛(23)과 코드 유닛(24)을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 유닛(23)의 코드 연결부(40) 및 코드 유닛(24)의 본체 연결부(42)에 있어서는, 전기적인 접속부를 구성하는 전기 메스용의 전선 접속부(40d, 42d)를 전기 접점을 마련하여 구성하고, 다른 전기적인 접속부를 구성하는 전원 전송부(40a, 42a) 및 신호 전송부(40b, 42b)를, 트랜스를 갖는 비접촉형의 비접촉 전력 전송부 및 비접촉 신호 전송부로 구성함으로써, 접속부에 있어서의 전기 접점을 가능한 한 적게 하여 내시경을 세정ㆍ소독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였던 녹의 발생 등, 내성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도3 및 도5를 참조하여 관로 유닛(25)과 본체부 유닛(23)과의 접속부 B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내시경(20)을 구성하는 본체부 유닛(23)에 설치되어 있는 각 관로(26, 27, 28)의 일단부는 선단부(29)에 집약되고, 타단부는 삽입부(21)와 조작부(22)와의 대략 경계 근방인 관로 유닛 연결부(30)에 집약되어 있다. 덧붙여, 선단부(29)로부터 관로 유닛 연결부(30)까지 연장되는 관로(26, 27, 28)의 중도부로부터 세정ㆍ소독시의 작업성을 복잡하게 시키는 요인이었던 실린더부 및 굴곡부를 배제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관로 유닛 연결부(30)와 제1 관로 커넥터부(51)가 원터치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 유닛(25)을 제거한 상태의 본체부 유닛(23)에는 선단부(29)로부터 관로 유닛 연결부(30)까지의 사이에 대략 직선적으로 길이 치수가 종래에 비해 단축된 관로(26, 27, 28)가 분산되는 일없이 집약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 유닛(23)에 관로 유닛 연결부(30)를 마련하고, 관로 유닛(25)에 제1 관로 커넥터부(51)를 마련함으로써,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 유닛(23)과 관로 유닛(25)을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관로 유닛(25)을 본체부 유닛(23)으로부터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 유닛(23)에는 실린더부의 배제된 대략 직선적인 관로(26a, 26b, 27, 28)가 집약하여 설치됨으로써, 이들 관로(26a, 26b, 27, 28)의 세정ㆍ소독 작업을 신속하면서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3,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제2 관로 커넥터부(52)가 배치된 스콥 커넥터(43)와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멀티 커넥터(72)와의 접속부 C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3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콥 커넥터(43)에는 전기계의 접속부인 전원 단자(47a), 신호 전송용 단자(46a), E 단자(45a) 및 광계의 접속부인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가 마련되고, 커넥터 배치부(43a)에는 관로계의 접속부인 관로 유닛(25)의 제2 관로 커넥터부(52)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 단자(47a)는 내시경 제어 장치(7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내시경(20)측에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신호 전송용 단자(46a)는 본체부 유닛(23)과 내시경 제어 장치(71) 사이에서 CCD(31)의 신호나, 앵글 제어 신호 및 각종 센서 신호 등을 전달하기 위한 단자이다.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는 내시경 제어 장치(71)로부터 공급되는 관찰시에 사용하는 관찰광을 내시경(20)으로 도입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E 단자(45a)는 전기 메스용의 어스선이 접속되는 단자이다.
한편,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멀티 커넥터(7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스콥 커넥터(43)가 접속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커넥터(72)에는 전기계의 접속부인 전기계 커넥터(73)와, 광계의 접속부인 광계 커넥터(74)와, 관로계의 접속부인 관로계 커넥터(75)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계 커넥터(73)에는 전원 단자(47a), 신호 전송용 단자(46a) 및 E 단자(45a)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광계 커넥터(74)에는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가 접속된다. 관로계 커넥터(75)는 제2 관로 커넥터부(52)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관로 (55a), 제2 관로(55b), 제3 관로(56) 및 제4 관로(57)가 연결된다.
또, 부호 76은 광원 장치이다. 이 광원 장치(76)에는 램프(도시되지 않음), 집광 렌즈(도시되지 않음), 교축 등이 설치되어 있고, 램프로 발생된 조명광이 집광 렌즈, 교축을 통과하여 광계 커넥터(74)의 소정 위치에 집광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스콥 커넥터(43)를, 화살표로 나타내도록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멀티 커넥터(72)에 근접하고 있고, 또한 스콥 커넥터(43)를 멀티 커넥터(72) 내에 압입해 간다. 그렇게 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터치로 스콥 커넥터(43)와 멀티 커넥터(72)가 접속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전기계 커넥터(73)와 전원 단자(47a), 신호 전송용 단자(46a) 및 E 단자(45a)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광계 커넥터(74)와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가 소정의 상태로 접속된다. 또한, 관로계 커넥터(75)와, 제1 관로(55a), 제2 관로(55b), 제3 관로(56) 및 제4 관로(57)가 연통한 상태로 연결된다.
즉, 스콥 커넥터(43)를 멀티 커넥터(72)에 접속하는 동시에,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전기계, 광계 및 관로계와, 내시경(20)의 전기계, 광계 및 관로계와의 접속도 동시,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점에 의해, 종래의 내시경 시스템과 같이 각종 관로를 접속하는 작업이나, 상기 커넥터를 접속하는 작업 등을, 각각 행함으로 해소되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도8을 참조하여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제어 장치(71)에는 전기 광원 장치(76), 램프 점등용 전원 유닛(77), 영상 신호 처리 유닛(78), 광원 제어 유닛(79), 펌프ㆍ 전자기 밸브 제어 유닛(80), 송기 송수용 펌프(81), 부송수용 보틀(82), 흡인용 보틀(83), 송기 송수용 펌프(84), 부송수용 펌프(85), 흡인용 펌프(86), 송수용 전자 밸브(87), 송기용 전자 밸브(88), 전원 유닛(9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부호 91은 패널 제어 유닛이다. 부호 92는 장치 내 송수용 관로이다. 부호 93은 장치 내 송기 관로이다. 부호 94는 장치 내 부송수 관로이다. 부호 95는 장치 내 흡인 관로이다.
램프 점등용 전원 유닛(77)은 광원 장치(76)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의 점등 상태를 제어한다. 영상 신호 처리 유닛(78)은 제어 유닛(35)에 대응하는 각종 신호의 처리 및 제어를 행한다. 광원 제어 유닛(79)은 영상 신호 처리 유닛(78), 램프 점등용 전원 유닛(77)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기초로 도시하지 않은 교축 제어 유닛을 제어하여 관찰광의 밝기 조정인 조광 등을 자동 제어하는 동시에, 내시경(20)에 전원을 공급한다.
펌프ㆍ전자기 밸브 제어 유닛(80)은 각각의 펌프(84, 85, 86) 및 전자 밸브(87, 8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송기/송수 스위치(38)나 상기 흡인 스위치(39)의 조작에 대응하여, 송기/송수, 흡인, 부송수 등을 동작시키도록 직접적으로 각 펌프(84, 85, 86)나 각 전자 밸브(87, 88)를 제어한다. 따라서, 종래의 내시경과 같이 실린더를 마련하는 일 없이 송기/송수, 흡인, 부송수 등의 관로가 단순한 구성이 된다.
전원 유닛(90)은 펌프ㆍ전자기 밸브 제어 유닛(80), 광원 제어 유닛(79), 영상 신호 처리 유닛(78) 및 램프 점등용 전원 유닛(77) 등 장치 전체에 전원을 공급 한다. 패널 제어 유닛(91)은 내시경 제어 장치(71)에 마련되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나 설정을 행하기 위한 패널을 제어한다. 이 패널 제어 유닛(91)은 광원 제어 유닛(79), 영상 신호 처리 유닛(78)에 접속되고, 장치 전체를 컨트롤하도록 되어 있다.
송기 송수용 보틀(81)에는 송기 송수용 펌프(84)가 접속되고, 부송수용 보틀(82)에는 부송수용 펌프(85)가 접속되고, 흡인용 보틀(83)에는 흡인용 펌프(86)가 접속되어 있다. 송수용 전자 밸브(87) 및 송기용 전자 밸브(88)는 송기 송수용 펌프(84)와 송기 송수용 보틀(81) 및 제2 관로 커넥터부(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내시경 시스템(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내시경 시스템(100)에 의해 내시경 검사를 실시할 때, 전준비로 하여 본체부 유닛(23)의 관로 유닛 연결부(30)에 관로 유닛(25)의 제1 관로 커넥터부(51)를 접속한다. 이 점에 의해, 관로 유닛(25)의 관로(55a, 55b, 56, 57)와 본체부 유닛(23)의 관로(26a, 26b, 27, 28)가 소정의 연통 상태가 된다.
또한, 본체부 유닛(23)의 코드 연결부(40)에 코드 유닛(24)의 본체 연결부(42)를 접속한다. 이 점에 의해, 트랜스(T1)를 갖고 구성되는 비접촉 전력 전송부에 의해 전원의 전송을 행할 수 있는 상태, 트랜스(T2)를 갖고 구성되는 비접촉 신호 전송부에 의해 신호가 전송되는 상태, 라이트 가이드(44)에 의해 전송되는 조명광이 광 커넥터(67) 및 광 커넥터(66)를 통해 라이트 가이드(33)에 전송되는 상태 및 어스선용 전선(45)과 어스선용 전선(34)이 전기 접점(69) 및 전기 접점(7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관로 유닛(25)의 제2 관로 커넥터부(52)를 코드 유닛(24)을 구성하는 스콥 커넥터(43)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배치부(43a)에 부착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내시경(20)이 구성된다.
다음에, 내시경(20)의 스콥 커넥터(43)를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멀티 커넥터(72)에 접속한다. 멀티 커넥터(72)에 대해 스콥 커넥터(43)를 원터치로 접속함으로써,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전기계, 광계 및 관로계와, 내시경(20)의 전기계, 광계 및 관로계와의 접속이 한 번의 접속 동작으로 완료하여 내시경 시스템(100)의 셋업이 완료된다.
이어서, 내시경 검사를 개시하기 위해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한다. 그렇게 하면, 내시경(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광원 제어 유닛(79)이 코드 유닛(24) 내의 구동 회로 유닛(63)을 동작시킨다. 이 점에 의해, 절연된 트랜스(T1)를 통해 본체부 유닛(23) 내의 전압 제어 IC(61)가 작동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자계 및 전파 등에 의해 신호가 전송되면, 내시경(20) 내의 제어 유닛(35)이 작동 상태가 되고, 예를 들어 CCD(31)가 구동된다. 그렇게 하면, CCD 구동신호가 제어 유닛(35)을 경유하여 본체부측 신호 전송 유닛(64)에 전달되고, 본체부측 신호 전송 유닛(64) 내부에 있어 CCD 구동 신호가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또한 본체부측 신호 전송 유닛(64) 내에 마련된 A/D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신호는 절연된 트랜스(T2)를 통해 코드 유닛(24)의 코드측 신호 전송 유닛(65)에 자계 및 전파 등에 의해 신호 전송된다. 그 후, 스콥 커넥터(43)의 신호 전송용 단자(46a),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멀티 커넥터(72)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계 커넥터(73)를 경유하여 영상 신호 처리 유닛(78)에 전송되어 소정의 영상 신호에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영상 신호가 이 영상 신호 처리 유닛(78)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에 출력됨으로써, 화면 상에 내시경 관찰 영상이 투영되어 내시경 관찰을 행할 수 있다.
또, 전기 신호 전송은 반드시 A/D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아날로그 신호에 의한 전송이라도 좋다. 또한, CCD 구동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본체부측 신호 전송 유닛(64)은 아니라, 코드측 신호 전송 유닛(65)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 유닛(35)이 작동 상태인 것에 의해, 본체부 유닛(23)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스위치(36, 37, 38, 39)를 조작함으로써, 송기/송수, 전방(부)송수, 흡인, 줌 렌즈 관찰, 화상 프리즈 등의 각종 기능을 지시하는 신호가 내시경 제어 장치(71)에 전송된다.
덧붙여, 제어 유닛(35)이 작동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LED(68)도 점등되어 내시경 관찰에 필요한 조명광을 보조적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만일 내시경 제어 장치(71) 내의 광원 장치(76)의 램프가 수명 등으로 불점등 상태로 되어 버린 경우라도, 내시경 화상의 관찰을 속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내시경 검사 종료 후 내시경(20)의 세정ㆍ소독에 대해 설명한다.
내시경 검사 종료 후,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한다. 그리고, 내시경 제어 장치(71)와 내시경(20)을 별도의 부재로 한다. 즉, 멀티 커넥터(72)로부터 스콥 커넥터(43)를 제거한다.
다음에, 관로 유닛(25)의 제2 관로 커넥터부(52)를 스콥 커넥터(43)의 커넥터 배치부(43a)로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관로 유닛(25)의 제1 관로 커넥터부(51)를 본체부 유닛(23)의 관로 유닛 연결부(30)로부터 제거한다. 즉, 관로 유닛(25)을 본체부 유닛(23) 및 코드 유닛(24)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관로 유닛(25)을 폐기한다. 이 점에 의해, 관로 유닛(25) 내의 관로를 세정ㆍ소독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어서, 코드 유닛(24)의 본체 연결부(42)를 본체부 유닛(23)의 코드 연결부(40)로부터 제거한다. 이 점에 의해, 코드 유닛(24)과 본체부 유닛(23)이 분리된 상태가 된다. 코드 유닛(24)에는 송기 관로 등의 각종 관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다. 이로 인해, 코드 유닛(24)에 대해서는 외표면만을 세정ㆍ소독하면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코드 유닛(24)에 있어서는, 종래의 내시경에 비교하여 전기 접점이 매우 적다. 이로 인해, 세정ㆍ소독시 물약 등에 의한 내성면에서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전자 내시경으로서는 스콥 커넥터의 전기 접점이 약 20개 이상이었던 데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이기 때문에 1/4 이하로 격감하고 있다. 이 점에 의해, 종래 기술로 채용되어 있던 전기 접점끼리의 접촉에 의한 전기 신호의 전송 및 전원의 공급에 있어서의 불량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 유닛(23)에 대해서는 외표면의 세정ㆍ소독 외에, 관로(26a, 26b, 27, 28) 내의 세정ㆍ소독을 행한다. 본체부 유닛(23)에 있어서도, 코드 유닛(24)과의 접속 부분에는 전기 접점이 어스선용의 하나인 것이다. 또한, 삽입부(21)에 있어서는, 종래의 내시경의 관로 구성과 비교하여 길이 치수가 짧고, 또한 대략 직선적으로 실린더부가 배제되어 있는 관로(26, 27, 28)이며, 이들 관로(26a, 26b, 27, 28)의 단부가 관로 유닛 연결부(30)에 집약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ㆍ소독을 신속하면서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9 내지 도13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3의 A부에서 나타낸 비접촉 전력 전송부 및 비접촉 신호 전송부를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멀티 커넥터(172)에 마련되는 전기계 커넥터와, 코드 유닛(24)의 스콥 커넥터(143)와의 전기계의 접속부로 적용한다.
그리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0A)에서는 코드 유닛(24)과 본체부 유닛(23)을 일체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코드 유닛(24)에 해당하는 부분을 유니버설 코드(124)라 부르고, 유니버설 코드(124) 내에 본체부 유닛(23)으로부터 연장하는 라이트 가이드(33), 어스선용 전선(34) 및 신호선(35a, 35b)이 삽통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20A)은 유니버설 코드(124)를 연장하는 본체부 유닛(23)과, 관로 유닛(25)에 의해 구성된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스콥 커넥터(143) 및 멀티 커넥터(172)가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콥 커넥터(143)에는 전원 공급의 전송을 행하기 위한 트랜스(T1)를 구성하는 2차 코일(101)과,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을 행하기 위한 트랜스(T2)를 구성하는 2차 코일(102)과, 상기 E 단자(45a)와, 상기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멀티 커넥터(172)에는 트랜스(T1)를 구성하는 1차 코일(103)과, 트랜스(T2)를 구성하는 1차 코일(104)과, 상기 전기계 커넥터(73)와, 상기 광계 커넥터(74)와, 상기 관로계 커넥터(75)가 설치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콥 커넥터(143)에 구성되는 트랜스(T1)의 2차 코일(101)측에는 전압 제어 IC(61)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6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트랜스(T1)의 1차 코일(103)측에는 전압 제어 IC(61)를 포함하는 전원 회로(62)에 내시경 제어 장치(71)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1차 코일(103)을 스위칭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 유닛(6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트랜스(T2)의 2차 코일(102)측에는 트랜스(T2)를 구동하는 커넥터측 신호 전송 유닛(164)이 마련되고, 1차 코일(104)측에는 상기 트랜스(T2)에 의해 전송된 CCD의 신호, 앵글 제어 신호 및 각종 센서 신호를 재생하여 영상 신호 처리 유닛(78)에 전송하는 장치측 신호 전송 유닛(165)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스콥 커넥터(143)에 있어서도, 멀티 커넥터(172)에 압입해 감으로써,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터치로 스콥 커넥터(143)가 멀티 커넥터(172)에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 때, 동시에 내시경 제어 장치(71)측의 전기계, 광계 및 관로계와, 내시경(20A)측의 전기계, 광계 및 관로계가 접속된다.
또, 전원 회로(62) 및 커넥터측 신호 전송 유닛(164)은, 상기 본체부 유닛(23)의 조작부(22)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유닛(3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명광의 광학 전송 수단을, 상기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의 단부면에 광원 장치(76)로부터의 조명광을 집광시키는 구성 대신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장치(76)로부터의 조명광을 라이트 가이드(105)에 의해 전송하고, 그 전송된 조명광을 광 커넥터(67, 66)에 의해, 라이트 가이드(33)에 전송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멀티 커넥터(172) 및 스콥 커넥터(143)를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덧붙여, 스콥 커넥터(143) 내에, 라이트 가이드(33)로부터 분기된 분기 라이트 가이드(33a)를 마련하고, 이 분기 라이트 가이드(33a)의 단부면에 대해 내시경 선단부로부터 조사되는 관찰광의 광량을 보충하는 보조 광원으로서의 LED(68)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 LED(68)는 내시경(20A)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에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콥 커넥터(143)를 구비한 내시경(20A)과 멀티 커넥터(172)를 구비한 내시경 제어 장치(71)로 구성되는 내시경 시스템(100A)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는 전준비로 하여 본체부 유닛(23)의 관로 유닛 연결부(30)에 관로 유닛(25)의 제1 관로 커넥터부(51)를 접속한다. 또한, 관로 유닛(25)의 제2 관로 커넥터부(52)를 코드 유닛(24)을 구성하는 스콥 커넥터(143)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배치부(43a)에 부착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완료함으로써, 내시경(20A)이 구성된다.
다음에, 내시경(20A)의 스콥 커넥터(143)를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멀티 커넥터(172)에 접속한다. 그렇게 하면, 트랜스(T1)를 갖고 구성되는 비접촉 전력 전송부에 의해 전원의 전송을 행할 수 있는 상태, 트랜스(T2)를 갖고 구성되는 비접촉 신호 전송부에 의해 신호가 전송되는 상태,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전기계 커넥터(73), 광계 커넥터(74) 및 관로계 커넥터(75)와 내시경(20)의 E 단자(45a),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 및 관로(55a, 55b, 56, 57)가 접속된 상태가 된다. 즉, 멀티 커넥터(172)와 스콥 커넥터(143)를 접속하는 한 번의 동작으로, 전기계, 광계 및 관로계의 접속을 행하여 내시경 시스템(100A)의 셋업이 완료된다.
이어서,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한다. 그렇게 하면, 내시경(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 제어 유닛(79)이 장치 내의 구동 회로 유닛(63)을 동작시키고, 절연되어 구성된 트랜스(T1)를 통해 스콥 커넥터(143) 내의 전압 제어 IC(61)가 작동되어 내시경(20A)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내시경(20) 내의 제어 유닛(35)이 작동 상태가 됨으로써, CCD(31)를 구동하여 CCD 구동 신호가 제어 유닛(35)을 경유하여 커넥터측 신호 전송 유닛(164)에 전달된다.
CCD 구동 신호는 커넥터측 신호 전송 유닛(164) 내부에 있어서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또한 커넥터측 신호 전송 유닛(164) 내에 마련된 A/D 변환기에 의해 디 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신호는 절연되어 구성된 트랜스(T2)를 통해 장치측 신호 전송 유닛(165)에 자계 및 전파 등에 의해 신호 전송되고,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영상 신호 처리 유닛(78)에 전송되어 내시경 관찰을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내시경 검사 종료 후 내시경의 세정ㆍ소독에 대해 설명한다.
내시경 검사 종료 후,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한다. 그리고, 내시경 제어 장치(71)와 내시경(20)을 별도의 부재로 한다. 즉, 멀티 커넥터(72)로부터 스콥 커넥터(43)를 제거한다. 또한, 관로 유닛(25)의 제2 관로 커넥터부(52)를 스콥 커넥터(43)의 커넥터 배치부(43a)로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관로 유닛(25)의 제1 관로 커넥터부(51)를 본체부 유닛(23)의 관로 유닛 연결부(30)로부터 제거한다. 즉, 관로 유닛(25)을 본체부 유닛(23) 및 코드 유닛(24)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관로 유닛(25)을 폐기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유니버설 코드(124)를 연장하는 본체부 유닛(23)의 세정ㆍ소독을 행한다. 이때, 유니버설 코드(124) 및 본체부 유닛(23)의 외표면과, 각 관로(26a, 26b, 27, 28) 내의 세정ㆍ소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니버설 코드(124)에 있어서는, 종래의 내시경에 비교하여 전기 접점이 매우 적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전자 내시경으로서는 스콥 커넥터의 전기 접점이 약 20개 이상이었던 데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1/20 이하의 하나인 것이다. 이 점에 의해, 세정ㆍ소독시 물약 등에 의한 내성면에서의 영향을 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그 밖의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 내시경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를 병용하고, 양자의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14 내지 도16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9 및 도10에서 도시한 스콥 커넥터(143)의 E 단자(45a)와 멀티 커넥터(172)의 전기계 커넥터(73)와의 접속 부분의 구성이 다르다.
본 실시 형태의 스콥 커넥터(243)와 멀티 커넥터(272)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콥 커넥터(243)에는, 상기 2차 코일(101, 102)과, 상기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와, 고주파 접속 수단을 구성하는 내시경측 전기 접속부(20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멀티 커넥터(272)에는 상기 1차 코일(103, 104)과, 상기 광계 커넥터(74)와, 상기 고주파 접속 수단을 구성하는 장치측 전기 접속부(202)가 설치되어 있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측 전기 접속부(201) 및 장치측 전기 접속부(202)는 금속 등의 도전체(204)에 유전체(203)를 배치하여 콘덴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전체(204)와 유전체(203)로 구성된 내시경측 전기 접속부(201)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202)는 직류적으로 절연되고, 또한 방수 구조로 멀티 커넥터(272) 및 스콥 커넥터(243)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스콥 커넥터(243)를 멀티 커넥터(272)에 압입함으로써,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터치로 스콥 커넥터(243)가 멀티 커넥터 (272)에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 때, 동시에 내시경 제어 장치(71)측의 전기계, 광계 및 관로계와 내시경(20A)측의 전기계, 광계 및 관로계가 접속된다.
또, 전기 메스의 출력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350 ㎑ 이상이며, 도16에 도시하는 전기적 접속 상태에 있어서의 도전체(204)와 유전체(203)와의 구성에 의한 컨덴서 구조에 있어서는 고주파적으로 충분히 낮은 임피던스가 된다. 이로 인해, 내시경측 전기 접속부(201)와 장치측 전기 접속부(202)에 의해, 전기 메스의 어스 전극으로서 문제가 없는 레벨에서의 접속이 가능하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콥 커넥터(243)에 있어서는, 유니버설 코드(124)를 연장하는 본체부 유닛(23)의 세정ㆍ소독을 행할 때, 유니버설 코드(124)에 있어서는 전기 접점 구조를 없애어 물약 등에 대한 내성면에서의 영향을 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도17 내지 도22까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14 및 도16에서 도시한 스콥 커넥터(243)와 멀티 커넥터(272)와의 전기적인 접속 부분 및 광계의 접속 부분을 회전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콥 커넥터(343)와 제2 관로 커넥터부(52)는 별도의 부재의 부재이다.
스콥 커넥터(343)는 외장 부재(301)와 원판 형상 부재(302)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외장 부재(301)는 절연 부재로 형성되고, 이 외장 부재(301)의 선단부면측의 소정 위치에 원판 형상 부재(302)가 배치된다. 외장 부재(301)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2개의 주요 홈(303, 304)이 형성되어 있다.
원판 형상 부재(302)의 중앙부에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가 배치된다. 원판 형상 부재(302)에는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를 중심으로 하여 트랜스(T1)를 구성하는 2차 코일(305)과, 트랜스(T2)를 구성하는 2차 코일(306)이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다. 트랜스(T1)와 트랜스(T2) 사이에는 트랜스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확보하는 절연 부재(30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연 부재(307)에는 트랜스 상호의 누설 자속에 의한 신호의 악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실드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 트랜스(T1)는 비접촉 전원 접속부용이며, 트랜스(T2)는 비접촉 신호 전송부용이다.
한편, 도17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제어 장치(71)에는 커넥터부(372)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부(372)는 스콥 커넥터(343)가 배치되는 전기계와 광계를 겸하는 멀티 커넥터부(311)와, 제2 관로 커넥터부(52)가 배치되는 관로계 커넥터부(312)를 갖고 있다.
멀티 커넥터부(311)는 외장을 구성하는 원통형 부재(313)와, 원통형 부재(313)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 바닥면에 배치되는, 상기 원판 형상 부재(302)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 부재(314)로 구성된다. 원통형 부재(313)의 중앙부에는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에 대응하는 광계 커넥터(74)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형 부재(313)의 내부 공간(313a) 내에는 스콥 커넥터(343)가 배치된다. 원통형 부재(313)의 내부 공간(313a)은 스콥 커넥터(343)가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44a)를 중심으로 하고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 부재(313)의 내주면에는 볼 플런저(317)가 복수개 배치된다. 이들 볼 플런저(317)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압박 부재에 의해 중심축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는 볼은, 외장 부재(301)의 주요 홈(303, 304)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스콥 커넥터(343)를 멀티 커넥터부(311)에 압입함으로써, 스콥 커넥터(343)는 내부 공간(313a)에 소정의 접속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또한, 스콥 커넥터(343)의 착탈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원통형 부재(313)의 바닥면에는 트랜스(T1)를 구성하는 1차 코일(315)과, 트랜스(T2)를 구성하는 1차 코일(316)이 광계 커넥터부(314)를 중심으로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다. 트랜스(T1)와 트랜스(T2) 사이에는 상기 절연 부재(307)가 설치되어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원판 형상 부재(302)는, 외주측으로부터 차례로 트랜스(T1)를 구성하는 T1 구성용 보빈(321) 및 T1용 코어 부재(322)와, 실드 부재를 포함하는 절연 부재(307)와, 트랜스(T2)를 구성하는 T2 구성용 보빈(3) 및 T2용 코어 부재(324)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1 구성용 보빈(321) 및 T2 구성용 보빈(323)에는 코일(325)이 권취되어, 각각의 트랜스(T1, T2)의 2차 코일(305, 306)이 형성된다. 또한, 원판 형상 부재(302)는 스콥 커넥터(343)를 구성하는 외장 부재(301) 의 선단측부에 예를 들어 충전재(도시되지 않음)를 주입하여 부착된다. 그리고, 멀티 커넥터부(372)와 접촉하는 선단부면에는 덮개(도시되지 않음)를 씌운 상태로, 절연 처리 및 방수 처리가 실시된다. 한편, 원판 형상 부재(314)는 멀티 커넥터부(311)를 구성하는 원통형 부재(313)의 바닥부에 예를 들어 충전재(도시되지 않음)를 주입하여 부착된다. 스콥 커넥터(343)와 접촉하는 면에는 덮개(도시되지 않음)를 씌운 상태로, 절연 처리 및 방수 처리가 실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20A)의 스콥 커넥터(343)를 내시경 제어 장치(71)의 멀티 커넥터부(311)에 접속하는 동시에, 제2 관로 커넥터부(52)를 관로계 커넥터부(312)에 접속하여 내시경 시스템(100A)의 셋업이 완료된다.
스콥 커넥터(343)와 멀티 커넥터부(311)는, 이 상태에 있어서 스콥 커넥터(343)가 회전해도 라이트 가이드(44a) 및 광계 커넥터부(314)가 중앙에 위치하고, 이 라이트 가이드(44a) 및 광계 커넥터부(314)에 대해 동심원 상에 배치된 비접촉 전원 접속부를 구성하는 트랜스(T1) 및 비접촉 신호 전송부를 구성하는 T2에 의해 전력 및 전기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콥 커넥터(343)가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된 경우라도, 확실하게 전력 및 전기 신호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 중에 본체부 유닛(23)을 삽입 방향에 대해 회전시키는 수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 점에 의해, 예를 들어 대장 검사에 내시경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관찰 중에 내시경 본체를 삽입 방향에 대해 회전시킨다는 수기를 행하면 서, 복잡한 대장의 형상에 대해 보다 확실하면서 단시간에 삽입시켜 관찰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 시스템은 본체부 유닛에 집약된 각 관로의 굴곡도를 작게 하는 동시에, 분기부를 적게 하여 내시경의 세정ㆍ소독을 보다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각종 관로를 일부에 집약하여 구성한 본체 유닛 및 이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상기 본체 유닛에 집약되어 있는 각종 관로에 연통하는 각종 관로를 갖는 관로 유닛을 구비한 내시경과,
    적어도, 상기 내시경이 구비하는 각종 관로를 통해 유체의 공급 혹은 흡인 등의 제어를 행하는 펌프ㆍ전자 밸브 제어 유닛을 갖는 내시경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한 관로 유닛은 디스포저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한 관로 유닛은 흡인 관로, 송기 관로, 송수 관로, 부송수 관로 중 어느 하나 혹은 2개 이상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한 관로 유닛에 흡인 관로를 마련하는 구성에 있어서, 이 관로 유닛의 흡인 관로의 일부에 분기부를 마련하고, 이 분기부에 연통하는 제1 구멍에 처치구가 삽탈 가능한 겸자 마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 유닛의 측부로부터, 내부에 상기 본체 유닛이 갖는 전기적 기능부로부터 연장하는 신호선 및 광학적 기능부로부터 연장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삽통한 유니버설 코드를 연장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관로 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 유닛의 관로와 착탈 가능하고, 상기 관로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유니버설 코드의 단부에 마련되는 스콥 커넥터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6. 전기적 기능부, 광학적 기능부 및 각종 관로를 일부에 집약하여 구성되는 본체 유닛과, 이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상기 본체 유닛에 집약되어 있는 각종 관로에 연통하는 관로를 갖는 관로 유닛,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고, 상기 본체 유닛이 갖는 전기적 기능부로부터 연장하는 신호선 및 광학적 기능부로부터 연장하는 라이트 가이드가 삽통하여 단부에 스콥 커넥터를 갖는 유니버설 유닛을 구비한 내시경과,
    상기 내시경이 구비하는 관로를 통해 유체의 공급 혹은 흡인의 제어를 행하는 펌프ㆍ전자 밸브 제어 유닛과, 상기 내시경이 구비하는 전기적 기능부의 제어를 행하는 신호 처리 유닛과, 상기 내시경이 구비하는 광학적 기능부의 제어를 행하는 광원 장치, 광원 제어 유닛 및 램프 점등용 전원 유닛을 갖는 내시경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유니버설 코드 유닛과의 접속부에, 전자 유도ㆍ결합 수단에 의해 전력을 전송하는 비접촉 전력 전송부 및 전자 유도ㆍ결합 수단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는 비접촉 신호 전송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유니버설 코드 유닛과의 접속부에,
    또한, 광학적 에너지를 결합하는 광학 전송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에 착탈 가능한 구성의 유니버설 코드 유닛에, 전원 공급용의 전원선, 영상 신호 전송용의 신호선, 전기 메스용의 어스선용 전선, 광 공급용의 라이트 가이드 중 어느 2개 이상이 삽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메스용의 어스선용 전선과의 신호 전송 수단을, 고주파 접속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11. 전기적인 기능부, 광학적인 기능부, 유체적인 기능부 및 2개의 연결부를 갖는 본체부 유닛과,
    이 본체부 유닛과 접속되어, 상기 본체부 유닛이 갖는 기능부의 제어를 행하 는 내시경 제어 장치와,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 유닛이 갖는 하나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시경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유체적인 기능을 구성하는 관로 유닛과,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 유닛이 갖는 다른 하나의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시경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기능부, 광학적인 기능부 및 유체적인 기능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유니버설 코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KR1020067001317A 2006-01-20 2004-02-16 내시경 시스템 KR100850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1317A KR100850417B1 (ko) 2006-01-20 2004-02-16 내시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1317A KR100850417B1 (ko) 2006-01-20 2004-02-16 내시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102A true KR20060036102A (ko) 2006-04-27
KR100850417B1 KR100850417B1 (ko) 2008-08-04

Family

ID=3714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317A KR100850417B1 (ko) 2006-01-20 2004-02-16 내시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97B1 (ko) * 2006-11-07 2007-11-05 주식회사 액츠비전 독립된 흡인구 관로 유닛을 구비한 의료용 내시경
KR20210021189A (ko) * 2019-08-14 2021-02-2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793B2 (ja) * 1997-03-25 2003-01-20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管路分離型内視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997B1 (ko) * 2006-11-07 2007-11-05 주식회사 액츠비전 독립된 흡인구 관로 유닛을 구비한 의료용 내시경
KR20210021189A (ko) * 2019-08-14 2021-02-2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니들 어레이를 이용한 액체류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417B1 (ko) 200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1100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4461101B2 (ja) 内視鏡システム
US10463231B2 (en) Endoscope
EP1859723B1 (en) Insertion section for endoscope
EP1870014B1 (en) Endoscope insertion portion
EP1834572B1 (en) Endoscope-use insertion unit
US5888191A (en) Conduit-separated endoscope system
JP2005279253A (ja) 内視鏡
EP3175771A1 (en) Endoscope
KR100850417B1 (ko) 내시경 시스템
JP2007209395A (ja) 内視鏡
KR100822111B1 (ko) 내시경 시스템
JP4350652B2 (ja)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2000014633A (ja) 内視鏡システム
JP4441232B2 (ja) 外付けチャン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内視鏡装置
JP4868870B2 (ja) 内視鏡
JP3655986B2 (ja) 内視鏡の管路構造
CN211130966U (zh) 十二指肠专用清洗灌流器套件
JP4708628B2 (ja) 電子内視鏡
JP2006191986A (ja) 内視鏡用挿入部および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