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387B1 -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387B1
KR101820387B1 KR1020150148791A KR20150148791A KR101820387B1 KR 101820387 B1 KR101820387 B1 KR 101820387B1 KR 1020150148791 A KR1020150148791 A KR 1020150148791A KR 20150148791 A KR20150148791 A KR 20150148791A KR 101820387 B1 KR101820387 B1 KR 10182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ug
light
flow path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649A (ko
Inventor
고철웅
전경진
장인훈
한상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4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3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83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 A61M5/31585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rotational translation, i.e. movement of piston rod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user activated actuator and the piston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e.g. an injection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약물용액이 유동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인접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빛을 전달하는 광전달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상기 광전달부와 상기 유로의 단부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니들유닛, 일측에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유로와 상기 광전달부가 각각 결합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약물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유로와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약물용액을 제공하는 약물용기,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광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전달부로 빛을 전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전달부를 통해 이미지를 전달받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영상측정유닛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약물용기 내부에 수용된 약물용액이 상기 니들유닛을 통해 인체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유닛을 포함하는 약물주입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Drug Infusion Device Having Separated Needle Unit}
본 발명은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가 내장된 니들유닛이 몸체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약물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는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주사기로 약물을 생체의 조직 또는 혈관에 주입하는 시술로서, 약제의 투여에 있어 내복이나 외용하는 방법에 비해 효과가 빠른 점, 고농도의 이용이 가능한 점, 내복할 수 없는 환자에게도 약제의 투여가 가능한 점 등의 이점을 갖는 효과적인 처치수단의 하나이다.
이러한 주사의 종류로는 피부의 표피와 진피 사이에 주사하는 피내주사, 피하조직에 약제를 투여하는 피하주사, 피부보다 심층인 근육에 약제를 투여하는 근육주사, 정맥에 직접 약제를 주입하는 정맥주사 등이 있으며, 보통 악품용액의 주입은 주사기를 직접 취급하여 주사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종래에는 환자의 신체에 직접 시술자가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약물용액을 투여하는 형태의 약물주입기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약물주입기 형태는 인체 내부에서 삽입니들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신체상의 주사부위를 눈으로 짐작하여 주사하였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순수하게 감이나 짐작을 통해서 약물용액의 주입위치를 조절하였기 때문에 약물용액의 정확한 투여위치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시술 시 주사바늘이 삽입되는 신체상의 주사부위를 정확히 가늠하기 어려워 시술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정확한 시술이 필요한 경우 고가의 약물이 낭비되거나 그 효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심지어는 재 주사를 행하여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약물주입기의 삽입니들에 별도의 광섬유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주사부위의 이미지를 확인하였으나, 약물주입기의 삽입니들이 1회의 사용만으로도 오염이 발생하여 연속적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811588호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물주입기의 반복 사용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광섬유가 구비되며 별도의 결합부를 통해 간단하게 몸체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니들유닛을 구비하여,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환자의 신체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약물주입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기는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약물용액이 유동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인접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빛을 전달하는 광전달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상기 광전달부와 상기 유로의 단부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니들유닛, 일측에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유로와 상기 광전달부가 각각 결합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약물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유로와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약물용액을 제공하는 약물용기,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광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전달부로 빛을 전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전달부를 통해 이미지를 전달받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영상측정유닛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약물용기 내부에 수용된 약물용액이 상기 니들유닛을 통해 인체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전달부는 복수 개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일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전달하는 발광라인 및 나머지는 상기 니들유닛의 타측 영상을 상기 촬영부로 전달하는 촬영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라인 및 상기 촬영라인은 상기 결합부상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유로가 연결되는 제1결합돌기, 상기 촬영라인이 연결되는 제2결합돌기 및 상기 발광라인이 연결되는 제3결합돌기를 포함하며, 각각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약물용기와 연통되는 제1장착홈, 상기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촬영부와 연결되는 제2장착홈 및 상기 제3결합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광원과 연결되는 제3장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상기 제3장착홈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함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용기는 상기 몸체상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약물용기가 상기 장착부와 연통되도록 연통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노즐은 상기 약물용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약물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별도의 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측정유닛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측정유닛은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며 별도의 외부기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약물용기에 수용된 상기 약물용액을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유로로 공급하는 구동모터, 길게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상에서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약물용기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부에 약물용기 및 영상측정유닛을 포함하며 니들유닛을 통해 인체 내부의 이미지를 확인하여 약물용기를 주입하는 약물용기에 있어서, 니들유닛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니들유닛의 교체를 통해 능동적으로 환자에게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니들유닛의 결합부 및 결합부와 결합되는 장착부가 각각 결함홈 및 결합돌기를 가지며, 이미지를 전달하는 광전달부와 약물용액이 유동하는 유로가 독립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니들유닛의 착탈을 구현함과 동시에 광전달부와 몸체를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약물주입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약물주입기에서 결합부와 장착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약물주입기에서 결합부와 장착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약물주입기에서 영상측정유닛의 발광라인과 촬영라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약물주입기에서 약물이 주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약물주입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약물주입기에서 결합부와 장착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약물주입기에서 결합부와 장착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약물주입기에서 영상측정유닛의 발광라인과 촬영라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약물주입기에서 약물이 주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니들유닛(100)을 구비한 약물주입기는 니들유닛(100)을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환자의 사용부위에 알맞도록 교체하거나, 니들유닛(100)의 교체만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니들유닛(100)을 구비한 약물주입기는 크게 니들유닛(100), 몸체(200), 약물용기(300), 영상측정유닛(400) 및 주입유닛(500)을 포함한다.
상기 니들유닛(100)은 사용자가 환자의 인체 내부에 삽입하여 시야를 확보하거나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유로(120)와 광전달부(130)가 구비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에 결합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유로(120)는 상기 니들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기 약물용기(300)에 수용된 약물용액이 유동하여 환자의 인체 내부로 투여된다.
한편, 상기 광전달부(130)는 상기 니들유닛(100) 내부에서 상기 유로(120)와 별도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니들유닛(100)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광전달부(130)는 광섬유 다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니들유닛(100)의 타단부로 빛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전달부(130)는 상기 유로(120) 내부에서 배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120)와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니들유닛(100)의 타단을 통해 인체 내부로 삽입되어 빛을 전달하거나, 영상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니들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가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타단부가 사용자의 신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로(120) 내부에는 별도의 가이드부(122)가 구비되어 상기 광전달부(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22)는 상기 유로(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이 방사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광전달부(130)를 고정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상기 가이드부(122)는 원통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유로(120) 내에서 상기 광전달부(130)의 일부를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니들유닛(100)은 일단부에 결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광전달부(130)와 상기 유로(120)의 단부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니들유닛(100)과 상기 몸체(200)가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니들유닛(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기 몸체(200)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광전달부(130) 및 상기 유로(120)에 각각 대응하도록 별도로 구성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200)상에 각각이 분리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니들유닛(100)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유로(120) 및 상기 광전달부(130)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결합부(110)에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0)가 후술하는 상기 몸체(20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유로(120) 및 상기 광전달부(130)는 각각 상기 약물용기(300)와 상기 영상측정유닛(4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전달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410)으로부터 전달된 빛을 상기 니들유닛(100)의 타측으로 전달하는 발광라인(132) 및 상기 니들유닛(100)의 타측 영상을 상기 영상측정유닛(400)으로 전달하는 촬영라인(13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전달부(130)는 복수 개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일부가 상기 발광라인(132)을 이루고 나머지가 상기 촬영라인(134)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부(110)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120)가 연결되는 제1결합돌기(112), 상기 촬영라인(134)이 연결되는 제2결합돌기(114) 및 상기 발광라인(132)이 연결되는 제3결합돌기(116)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니들유닛(100)은 내부에 상기 유로(120), 상기 촬영라인(134) 및 상기 발광라인(132)이 각각 독립적으로 길게 배치되며 각각의 단부가 상기 제1결합돌기(112) 내지 상기 제3결합돌기(116)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110)가 후술하는 상기 몸체(2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촬영라인(134)과 상기 발광라인(132)은 상기 영상측정유닛(400)에 연결되고 상기 유로(120)는 상기 약물용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돌기(112) 내지 상기 제3결합돌기(116)는 상기 니들유닛(100)의 타측 방향으로 동일하게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200)는, 사용자가 그립하여 약물주입을 하며, 내부에 상기 약물용기(300), 상기 영상측정유닛(400) 및 상기 주입유닛(500)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써, 일측에 상기 결합부(110)에 대응하여 상기 유로(120)와 상기 광전달부(130)가 각각 결합되는 장착부(21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200)는 하부에 사용자가 그립하는 핸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약물용기(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측정유닛(400) 및 상기 주입유닛(500)이 함께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200)는 일측에 상기 결합부(110)가 결합되는 별도의 장착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210)는 상기 결합부(1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110)와 결합 시 상기 제1결합돌기(112) 내지 제3결합돌기(116)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 개의 장착홈(212, 214, 216)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212, 214, 216)은 복수 개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110)가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유로(120), 상기 촬영라인(134) 및 상기 발광라인(132)이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장착부(2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부(210)는 상기 결합부(110)에 구비된 상기 제1결합돌기(112) 내지 상기 제3결합돌기(116)의 개수 및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장착홈(212, 214 216)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210)는 상기 제1결합돌기(112)가 삽입되는 제1장착홈(212), 상기 제2결합돌기(114)가 삽입되는 제2장착홈(214) 및 상기 제3결합돌기(116)가 삽입되는 제3장착홈(2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장착홈(212) 내지 상기 제3장착홈(216)의 위치 및 크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돌기(112) 내지 상기 제3결합돌기(116)에 대응하며, 상기 결합부(110)와 마주보는 경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110)와 상기 장착부(210)가 결합되며 상기 니들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광전달부(130) 및 상기 유로(120)가 상기 몸체(200) 내부에 연통된다.
한편, 상기 제1장착홈(212)은 상기 수용공간(230)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약물용기(300)와 연통되고, 상기 제2장착홈(214)은 및 상기 제3장착홈(216)은 후술하는 상기 영상측정유닛(40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200)가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210)를 통해 상기 니들유닛(10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약물용기(300)와 상기 영상측정유닛(400)이 상기 니들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상기 몸체(200) 내부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30)에 장착되는 상기 약물용기(300)와 상기 장착부(210)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노즐(220)이 구비되며, 상기 약물용기(300)가 상기 몸체(200)에 삽입 시 상기 연통노즐(220)에 의해 상기 장착부(2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노즐(220)은 일반적인 관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약물용액이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노즐(220)은 길이방향에 따른 내부에 상기 약물용기(300)에에서 배출되는 상기 약물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1-way밸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물용기(300)는 상기 몸체(200) 내부에서 상기 수용공간(2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내부에 약물용액을 수용하여 후술하는 주입유닛(500)에 의해 상기 약물용액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약물용기(300)는 상기 몸체(200) 내부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210)와 연통되어 상기 니들유닛(100)의 결합 시 상기 유로(1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약물용기(300)는 상기 제1장착홈(212)에 연결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112)가 상기 제1장착홈(21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유로(120)와 상기 약물용기(300)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약물용기(300)는 상술한 상기 연통노즐(220)에 의해 상기 제1장착홈(212)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물용기(300)는 상기 몸체(200) 내부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니들유닛(100)과 상기 몸체(200)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유로(120)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영상측정유닛(400)은 상기 몸체(200)상에 구비되며 상술한 상기 장착부(210)에 의해 상기 결합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니들유닛(100)으로 빛을 전달하거나 이미지를 촬영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측정유닛(400)은 상술한 상기 니들유닛(100)을 통해 빛을 인체 내부로 전달하는 전달하는 광원(410), 상기 니들유닛(100)에서 이미지를 전달받아 촬영하는 촬영부(420) 및 상기 촬영부(42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410)은 상기 장착부(2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유닛(100)의 결합 시 상기 광전달부(1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광원(4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장착홈(216)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3장착홈(216)에 상기 제3결합돌기(116)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발광라인(132)과 연통되어 빛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광원(410)은 상기 니들유닛(100)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발광하며 상기 제3결합돌기(116)의 삽입 시 상기 제3결합돌기(116)의 끝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촬영부(420)는 상기 몸체(20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니들유닛(100)을 통해 전달되는 이미지를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부(420)는 상기 장착부(210)에 구비된 상기 제2장착홈(214)과 연결되며, 상기 제2결합돌기(114)가 상기 제2장착홈(214)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니들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촬영라인(134)을 통해 이미지를 전달받는다.
상기 촬영부(420)는 일반적인 카메라나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라인(134)을 통해 전달되는 이미지를 촬영 및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430)는 상기 몸체(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부(42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430)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표시부(430)가 상기 몸체(200)와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별도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몸체(200)상에 구비되며 별도의 외부기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4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어댑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영상측정유닛(400)은 상기 장착부(210)와 연결되며, 상기 장착부(210)에 상기 니들유닛(100)이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광전달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니들유닛(100)의 끝단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입유닛(500)은 상기 약물용기(300)에 수용된 약물용액을 상기 유로(120)를 통해 인체로 주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입유닛(500)은 상기 몸체(20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약물용기(300) 내부에 수용된 약물용액이 상기 니들유닛(100)을 통해 인체로 주입되도록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주입유닛(500)은 별도의 조작수단(미도시)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조작수단을 조작함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약물용기(300)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약물용기(300)에 수용된 상기 약물용액은 상기 제1결합돌기(112)와 상기 유로(120)를 거치며 주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유닛(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30), 회전샤프트(510) 및 가압부재(520)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30)가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샤프트(510)는 상기 구동모터(530)에 연결되며 길게 형성되어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30)가 회전함과 동시에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520)는 상기 회전샤프트(510)상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샤프트(510)의 회전 시 상기 회전샤프트(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약물용기(30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53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가압부재(520)가 상기 약물용기(300)를 가압하여 상기 약물용액이 상기 유로(12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기는 상기 약물용액이 수용된 상기 약물용기(300)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약물용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측정유닛(400)을 통해 니들유닛(100)의 끝단부 위치를 확인하며 약물용액을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들유닛(100)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삽입니들의 교차만으로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착부(210)와 상기 결합부(110)의 단순 결합만으로도 상기 광전달부(130)와 상기 유로(120)가 각각 상기 영상측정유닛(400) 및 상기 약물용기(300)와 손쉽게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니들유닛
110: 결합부
120: 유로
130: 광전달부
200: 몸체
210: 장착부
220: 연통노즐
230: 수용공간
300: 약물용기
400: 영상측정유닛
410: 광원
420: 촬영부
430: 표시부
500: 주입유닛
510: 회전샤프트
520: 가압부재
530: 구동모터

Claims (11)

  1.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약물용액이 유동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인접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빛을 전달하는 광전달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상기 광전달부와 상기 유로의 단부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니들유닛;
    일측에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여 상기 유로와 상기 광전달부가 각각 결합되는 장착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약물용액을 수용하고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유로와 연통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약물용액을 제공하는 약물용기;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광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전달부로 빛을 전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전달부를 통해 이미지를 전달받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영상측정유닛;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약물용기 내부에 수용된 약물용액이 상기 니들유닛을 통해 인체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전달부는 복수 개의 광섬유로 구성되어 일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전달하는 발광라인 및 나머지는 상기 니들유닛의 타측 영상을 상기 촬영부로 전달하는 촬영라인을 포함하며 각각이 상기 결합부상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유로가 연결되는 제1결합돌기, 상기 촬영라인이 연결되는 제2결합돌기 및 상기 발광라인이 연결되는 제3결합돌기를 포함하며, 각각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는 상기 결합부에 구비된 상기 제1결합돌기 내지 상기 제3결합돌기에 대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몸체에서 상기 니들유닛의 분리 시 상기 몸체에서 상기 촬영부가 함께 분리되는 약물주입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약물용기와 연통되는 제1장착홈, 상기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촬영부와 연결되는 제2장착홈 및 상기 제3결합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광원과 연결되는 제3장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제3장착홈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함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용기는,
    상기 몸체상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약물용기가 상기 장착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노즐은,
    상기 약물용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약물용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별도의 역류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약물주입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측정유닛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약물주입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측정유닛은,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며 별도의 외부기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유닛은,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약물용기에 수용된 상기 약물용액을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유로로 공급하는 구동모터;
    길게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상에서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약물용기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약물주입기.
KR1020150148791A 2015-10-26 2015-10-26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 KR10182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91A KR101820387B1 (ko) 2015-10-26 2015-10-26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791A KR101820387B1 (ko) 2015-10-26 2015-10-26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49A KR20170048649A (ko) 2017-05-10
KR101820387B1 true KR101820387B1 (ko) 2018-01-23

Family

ID=5874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791A KR101820387B1 (ko) 2015-10-26 2015-10-26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284A (ko) * 2021-04-30 2022-11-08 제이에스케이바이오메드 (주) 약물 주입기용 어댑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0220A (ja) * 2003-03-18 2006-09-07 キーナン,ジェームズ 超音波可視性を向上させた医療機器
KR100811588B1 (ko) * 2007-03-26 2008-03-11 한국화학연구원 자동비디오점적기
US20080103564A1 (en) 2005-08-17 2008-05-01 Burkinshaw Brian D Method for repairing intervertebral disc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0220A (ja) * 2003-03-18 2006-09-07 キーナン,ジェームズ 超音波可視性を向上させた医療機器
US20080103564A1 (en) 2005-08-17 2008-05-01 Burkinshaw Brian D Method for repairing intervertebral discs
KR100811588B1 (ko) * 2007-03-26 2008-03-11 한국화학연구원 자동비디오점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49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89296B2 (en) Single use device for delivery of cartridge drugs
JP6181692B2 (ja) 痛み量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US10751472B2 (en) Drug injecting implement equipped with sliding attachment unit
CN110234265B (zh) 手持式外科内窥镜
KR101709733B1 (ko) 멀티니들을 구비한 주사용 인젝터
KR101820387B1 (ko) 착탈식 니들유닛을 구비한 약물주입기
KR101734939B1 (ko) 카트리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기
AU2019302697A1 (en) Medical device for transcutaneously inserting a cannula into a body tissue
US200800861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drug
KR101698353B1 (ko) 착탈식 약물용기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기
KR101742484B1 (ko) 범용적 약품용기 결합이 가능한 약물주입 시술기기
KR101628349B1 (ko) 시린지 교체형 자동투약기
KR101520020B1 (ko) 시야확보가 가능한 약품주입장치
KR101592341B1 (ko) 밴딩 가능한 니들이 구비된 약품주입기
TWI611820B (zh) 光纖注射及抽吸裝置
CN110382023B (zh) 具有筒的帽组件
KR101734940B1 (ko) 슬라이딩 분리형 니들유닛을 구비한 관찰경
CN217138666U (zh) 一次性配药用注射器
KR20230139695A (ko) 주사액 주입기
AU2014200639B2 (en) Single use device for delivery of cartridge drugs
KR20230139696A (ko) 주사액 주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