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087A - 단말 - Google Patents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087A
KR20210021087A KR1020217002408A KR20217002408A KR20210021087A KR 20210021087 A KR20210021087 A KR 20210021087A KR 1020217002408 A KR1020217002408 A KR 1020217002408A KR 20217002408 A KR20217002408 A KR 20217002408A KR 20210021087 A KR20210021087 A KR 20210021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version
division
band
inversio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713B1 (ko
Inventor
유종 리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제1 분할체, 제2 분할체, 적어도 두개의 제1 반전 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전 밴드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하며; 제1 반전 밴드의 제1단은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제1 반전 밴드의 제2단은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제2 반전 밴드의 제1단은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제2 반전 밴드의 제2단은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제2 반전 밴드는 제1 반전 밴드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단말이 안 폴딩 상태에 있을 때, 제1 분할체의 스크린과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은 동일한 평면에 있고, 제1 반전 밴드는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의 외표면에 접합되며, 제2 반전 밴드는 제2 분할체 또는 제1 분할체의 외표면에 접합된다.

Description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6월 27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201810678425.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수요를 더 충족시키기 위하여, 폴딩 가능한 기기들이 나타났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폰을 예로 하면, 관련 기술 중의 폴딩 기기의 방안은 모두 두개의 분할체 사이에 회전축 및 힌지를 추가하여 폴딩 스크린의 폴딩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관련 기술 중의 폴딩 기기에는 회전축이 설계되므로, 이음새의 간격이 크고 또한 해당 이음새의 간격을 작게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정교도 정밀도가 낮고; 또한 점유하는 공간이 크고, 전체 기기의 두께를 얇게 만들기 힘들며; 회전축의 기구가 복잡하고, 제조 난도가 높아, 제품 성본이 증가하는 것을 조성하며; 또한 폴딩 기기의 폴딩 반전은 회전축 및 힌지에 의존하여서만이 실현될 수 있고, 회전축 위치만이 폴딩 반전할 수 있으며, 형식이 단일하며, 제품이 동일하다.
본 개시의 목적은 관련 기술 중 폴딩 단말의 정밀도가 차하고, 생산 성본이 높으며, 전체 기기가 비교적 두꺼우며, 또한 폴딩 반전 형태가 단일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말은 제1 분할체, 제2 분할체, 적어도 두개의 제1 반전 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전 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제1단은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제2단은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제1단은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제2단은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는 상기 제1 반전 밴드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단말이 안 폴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과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은 동일한 평면에 있고, 상기 제1 반전 밴드는 상기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의 외표면에 접합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는 상기 제2 분할체 또는 제1 분할체의 외표면에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외표면은 상기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 상에서 대응하는 스크린과 상대적으로 설치되며, 또한 대응하는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과 제2 측변을 연결하는 표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반전 밴드와 제2 반전 밴드를 이용하여 제1 분할체와 제2 분할체를 연결하는 것을 통하여, 스플릿 무축 양변이 모두 폴딩 가능한 폴딩 스크린의 단말을 구현하며; 무축 폴딩의 폴딩 설계를 통해 폴딩 전개를 구현하고, 제조 난이도를 낮추며, 생산 성본을 절약하며; 폴딩 상태의 이음새의 간격이 감소되어, 제품의 정교도 정밀도를 높이며; 또한 회적축이 점유하는 두께, 너비 공간이 없어, 전체 기기의 두께를 더 얇게 만들 수 있으며, 또한 좌우 양변은 폴딩 반전할 수 있으며, 폴딩 반전은 자유롭고 제한되지 않으며, 형태의 변화가 다양하며, 제품 외관 컬러는 폴딩 방향에 따라 2가지 컬러 사이에서 전환 변화할 수 있으며; 안 폴딩될 때 두개의 스크린(두개 분할체의 스크린)은 하나의 평면 스크린으로 스플라이스되고, 완전히 폴딩한 후 두 분할체는 긴밀하게 결합되며, 두개의 스크린은 안에 중접되어, 깨지거나 긁히지 않고 잘 보호되어 있으며; 그리고, 두개의 스크린은 하나의 평면으로 스플라이스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그 중의 하나의 스크린을 따로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폴딩 반전의 상태는 모두 일체화 외관 효과이며, 불필요한 외부 볼록 형체가 없으며; 관련 기술에서 폴딩 단말의 정밀도가 차하고, 생산 성본이 높으며, 전체 기기의 두께가 두꺼우며, 또한 폴딩 반전의 형식이 단일한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관련 기술 중의 폴딩 단말의 구조 개략도1이다.
도 2는 관련 기술 중의 폴딩 단말의 구조 개략도2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1 반전 밴드 또는 제2 반전 밴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의 폴딩 상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의 안 폴딩 오픈 상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의 오른쪽으로부터 오픈하는 상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의 왼쪽으로부터 오픈하는 상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반전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개시는 관련 기술 중 폴딩 단말의 정밀도가 차하고, 생산 성본이 높으며, 전체 기기가 비교적 두꺼우며, 또한 폴딩 반전 형태가 단일한 문제에 견주어, 단말을 제공하며,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할체(1), 제2 분할체(2), 적어도 두개의 제1 반전 밴드(3)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전 밴드(4)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1단(5)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2단(6)은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1단(7)은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2단(8)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4)는 상기 제1 반전 밴드(3)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단말이 안 폴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9)과 제2 분할체(2)의 스크린(10)은 동일한 평면에 있고, 상기 제1 반전 밴드(3)는 상기 제1 분할체(1) 또는 제2 분할체(2)의 외표면에 접합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4)는 상기 제2 분할체(2) 또는 제1 분할체(1)의 외표면에 접합되며;
여기서, 상기 외표면은 상기 제1 분할체(1) 또는 제2 분할체(3) 상에서 대응하는 스크린과 상대적으로 설치되며, 또한 대응하는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과 제2 측변을 연결하는 표면이다(제1 분할체의 외표면은 제1 분할체 상에서 제1 분할체의 스크린과 상대적으로 설치되며, 또한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과 제2 측변을 연결하는 표면이며; 제2 분할체의 외표면은 제2 분할체 상에서 제2 분할체의 스크린과 상대적으로 설치되며, 또한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과 제2 측변을 연결하는 표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단말은 제1 반전 밴드와 제2 반전 밴드를 이용하여 제1 분할체와 제2 분할체를 연결하는 것을 통하여, 스플릿 무축 양변이 모두 폴딩 가능한 폴딩 스크린의 단말을 구현하며; 무축 폴딩의 폴딩 설계를 통해 폴딩 전개를 구현하며, 제조 난이도를 낮추고, 생산 성본을 절약하며; 폴딩 상태의 이음새의 간격이 감소되어, 제품의 정교도 정밀도를 높이며; 또한 회적축이 점유하는 두께, 너비 공간이 없어, 전체 기기의 두께를 더 얇게 만들 수 있으며, 또한 좌우 양변은 폴딩 반전할 수 있으며, 폴딩 반전은 자유롭고 제한되지 않으며, 형태의 변화가 다양하며, 제품 외관 컬러는 폴딩 방향에 따라 2가지 컬러 사이에서 전환 변화할 수 있으며; 안 폴딩될 때 두개의 스크린(두개 분할체의 스크린)은 하나의 평면 스크린으로 스플라이스되고, 완전히 폴딩한 후 두 분할체는 긴밀하게 결합되며, 두개의 스크린은 안에 중접되어, 깨지거나 긁히지 않고 잘 보호되어 있으며; 그리고, 두개의 스크린은 하나의 평면으로 스플라이스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그 중의 하나의 스크린을 따로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폴딩 반전의 상태는 모두 일체화 외관 효과이며, 불필요한 외부 볼록 형체가 없으며; 관련 기술에서 폴딩 단말의 정밀도가 차하고, 생산 성본이 높으며, 전체 기기의 두께가 두꺼우며, 또한 폴딩 반전의 형식이 단일한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과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은 인접하여 평행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반전 밴드는 상기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의 외표면에 접합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는 상기 제2 분할체 또는 제1 분할체의 외표면에 접합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전 밴드(3)와 제2 반전 밴드(4)는 모두 두층의 보강보호층(11) 및 상기 두층의 보강보호층(11) 사이의 연성회로 기판층(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성회로 기판층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라인 및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전원 라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분할체 반전을 실현하는 것을 보장하는 동시에, 전기 에너지와 데이터의 전송을 실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수는 2개이고,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수는 하나이며, 상기 제2 반전 밴드(4)는 2개의 상기 제1 반전 밴드(3) 사이에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분할체 반전을 실현하는 것을 보장하는 동시에, 될수록 자원을 절약하여(될수록 적은 반전 밴드를 이용하는 것을 통하여), 분할체 반전이 순조롭게 실현되도록 보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1단(5)의 너비와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1단(7)의 너비의 합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9)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의 길이와 같으며;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9)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의 길이는,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10)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의 길이와 같으며;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2단(6)의 너비와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2단(8)의 너비의 합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9)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의 길이와 같으며;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9)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의 길이는,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10)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의 길이와 같다.
따라서, 분할체의 강도를 일정한 정도로 보장할 수 있으며(반전 밴드의 너비를 될수록 늘리는 것을 통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할체(1) 및 제2 분할체(2)의 외표면은 모두 아치형 표면이다.
따라서, 분할체의 반전 및 반전 밴드와 분할체의 긴밀한 접합에 더 편리하며, 안전한 사용을 보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할체(1)의 외표면과 상기 제2 분할체(2)의 외표면은 형상이 일치하며, 또한 안 폴딩 길이가 같다.
따라서, 반전 밴드의 설계에 더 편리하며, 같은 반전 밴드를 이용하면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비고정 부분(13)의 길이는 상기 제1 분할체(1) 또는 제2 분할체(2) 외표면의 안 폴딩 길이와 같으며; 및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비고정 부분(14)의 길이는 상기 제1 분할체(1) 또는 제2 분할체(2)의 외표면의 안 폴딩 길이와 같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비고정 부분(13)은 제1 분할체(1)의 제1 측변과 연결된 제1단(5) 및 제2 분할체(2)의 제2 측변과 연결된 제2단(6) 이외의 기타 자유롭게 활동가능한 부분을 가리키며;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비고정 부분(14)은 제2 분할체(2)의 제1 측변과 연결된 제1단(7) 및 제1 분할체(1)의 제2 측변과 연결된 제2단(8) 이외의 기타 자유롭게 활동가능한 부분을 가리킨다.
따라서, 분할체 반전의 충분성을 보장할 수 있고, 반전 밴드의 길이가 모자라 분할체가 제대로 반전될 수 없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1단(5)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9)과 외표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2단(6)은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10)과 외표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10)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반전 밴드의 연결 강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제1 반전 밴드가 사용 과정 중 연결이 견고하지 못해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와 분리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1단(7)은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10)과 외표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2단(8)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9)과 외표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9)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반전 밴드의 연결 강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제1 반전 밴드가 사용 과정 중 연결이 견고하지 못해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와 분리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이하 두개의 제1 반전 밴드, 하나의 제2 반전 밴드, 제1 분할체 및 제2 분할체의 외표면이 모두 아치형 표면인 것을 예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에 대해 진일보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에 견주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한가지 스플릿 무축 양변이 모두 폴딩 가능한 폴딩 스크린의 전자 기기 설계 방식을 구현하며; 무축 폴딩의 폴딩 설계를 통해 폴딩 전개를 구현하여, 제조 난이도가 낮아지며; 폴딩 상태의 이음새의 간격이 감소되어, 제품의 정교도 정밀도를 높이며; 또한 회적축이 점유하는 두께, 너비 공간이 없어, 전체 기기의 두께를 더 얇게 만들 수 있으며, 또한 좌우 양변은 폴딩 반전할 수 있으며, 폴딩 반전은 자유롭고 제한되지 않으며; 형태의 변화가 다양하며, 제품 외관 컬러는 폴딩 방향에 따라 2가지 컬러 사이에서 전환 변화할 수 있다. 안 폴딩될 때 두개의 스크린은 하나의 평면 스크린으로 스플라이스되고, 완전히 폴딩한 후 두 분할체는 긴밀하게 결합되며, 두개의 스크린은 안에 중접되어, 깨지거나 긁히지 않고 잘 보호되어 있다. 두개의 스크린은 하나의 평면으로 스플라이스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그 중의 하나의 스크린을 따로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폴딩 반전의 상태는 모두 일체화 외관 효과이며, 불필요한 외부 볼록 형체가 없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분할체 사이에 연결된 연성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층(12)과 FPC층 정반면에 설치된 보강보호층(11)으로 이루어진 반전 밴드(제1 반전밴드(3) 및 제2 반전 밴드(4))로서, 반전 밴드의 양단은 두 분할체의 두개의 커버의 배면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양쪽의 것은 상부 커버의 아래쪽 및 하부 커버의 위쪽 양끝에 고정되며, 중간의 것은 상부 커버의 위쪽 가장자리 중간 및 하부 커버의 아래쪽 가장자리 중간에 고정되며(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1단(5)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2단(6)은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1단(7)은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2단(8)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4)와 상기 제1 반전 밴드(3)는 간격을 두고 설치됨), 그 다음 양면으로 뒤집을 수 있다.
반전 밴드의 길이는 분할체 외관 표면의 안 폴딩 길이와 관련되고, 실제 제품은 긴밀하게 묶여 당겨지지 않으며, 도 3은 당겨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며, 이러한 3개의 반전 밴드이다. 반전 밴드는 각각의 분할체 표면을 접합 및 뒤쫓아 롤링 반전에 따라 두 스크린의 오픈 및 결합을 실현한다. 무축의 반전 밴드는 매우 얇고 점유하는 너비 공간이 작고, 안 폴딩될 때 두 스크린 사이의 간격은 매우 작으며, 외관의 정밀도는 큰 제고를 가진다.
즉, 두 분할체는 반전 밴드와 연결되어 일체 폴딩 기기를 형성하며; 반전 밴드는 FPC층과 두층의 보강보호층을 가지며, 여기서 FPC층은 데이터 및 전원을 전송하고, 두 분할체 사이의 상호 작용을 실현하며, 반전 밴드의 양단은 각각 제1 분할체(1) 및 제2 분할체(2)의 부동한 측변에 고정되며(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반전 밴드는 분할체의 길이를 3등분하며(즉, 제1 반전 밴드의 너비는 제2 반전 밴드의 너비와 같고, 세개의 반전 밴드의 너비의 합은 분할체 측변의 길이와 같다), 3등분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제1 분할체(1)와 제2 분할체(2)는 자유롭게 반전될 수 있고, 반전될 때 반전 밴드는 각 분할체의 외관 표면에 밀착하며(상기 제1 반전 밴드(3)는 상기 제1 분할체(1) 또는 제2 분할체(2)의 외표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반전 밴드(4)는 상기 제2 분할체(2) 또는 제1 분할체(1)의 외표면에 접합된다), 두 분할체 외관 표면의 운동 궤적은 분할체 외관 표면의 외형선이며, 외형선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두 분할체는 반전 운동 시 분할체 외관 표면과 반전 밴드는 밀착되어 동기 운동을 하며, 반전 밴드는 각각 하나의 분할체의 내변과 또 다른 분할체의 외변에 고정되기 때문에(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1단(5)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반전 밴드(3)의 제2단(6)은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1단(7)은 상기 제2 분할체(2)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반전 밴드(4)의 제2단(8)은 상기 제1 분할체(1)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4)와 상기 제1 반전 밴드(3)는 간격을 두고 설치됨), 운동 시 두 외변 반전 밴드(제1 반전 밴드(3))와 중간의 반전 밴드(제2 반전 밴드(4))는 역방향으로 운동하여 두 분할체 외관 표관에 접합하며, 두 분할체를 껴안고 흩어지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반전 밴드는 두 분할체 데이터 및 전원을 전송하는 작용, 분할체를 묶는 작용 및 가이드 분할체를 반전하는 작용을 가지고, 또한 제1 반전 밴드와 제2 반전 밴드는 상이한 컬러를 취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기기 두가지 외관 컬러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반전 밴드의 길이는 분할체 외관 표면의 안 폴딩 길이와 관련되고, 반전 밴드의 역방향 묶임은, 단말이 폴딩 상태에서 오픈할 때 좌우 양쪽으로 모두 오픈될 수 있으며(도 7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도면과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예시적일 뿐, 한정적이 아니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시사 하에, 본 개시의 주지 및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 하에, 본 개시를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0)

  1. 단말에 있어서,
    제1 분할체, 제2 분할체, 적어도 두개의 제1 반전 밴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전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제1단은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제2단은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제1단은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제2단은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는 상기 제1 반전 밴드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단말이 안 폴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과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은 동일한 평면에 있고, 상기 제1 반전 밴드는 상기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의 외표면에 접합되며, 상기 제2 반전 밴드는 상기 제2 분할체 또는 제1 분할체의 외표면에 접합되며;
    상기 외표면은 상기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 상에서 대응하는 스크린과 상대적으로 설치되며, 또한 대응하는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과 제2 측변을 연결하는 표면인 것인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밴드와 제2 반전 밴드는 모두 두층의 보강보호층 및 상기 두층의 보강보호층 사이의 연성회로 기판층을 포함하는 것인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수는 두개이고,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수는 하나이며, 상기 제2 반전 밴드는 두개의 상기 제1 반전 밴드 사이에 설치되고, 두개의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동일한 것인 단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제1단의 너비와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제1단의 너비의 합은,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의 길이와 같으며;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의 길이는,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의 길이와 같으며;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제2단의 너비와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제2단의 너비의 합은,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의 길이와 같으며;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의 길이는,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의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체 및 제2 분할체의 외표면은 모두 아치형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체의 외표면과 상기 제2 분할체의 외표면은 형상은 일치하며, 또한 안 폴딩 길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비고정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 외표면의 안 폴딩 길이와 같으며; 및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비고정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 분할체 또는 제2 분할체 외표면의 안 폴딩 길이와 같으며;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비고정 부분은 제1 분할체의 제1 측변과 연결된 제1단 및 제2 분할체의 제2 측변과 연결된 제2단 이외의 기타 자유롭게 활동가능한 부분을 가리키며;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비고정 부분은 제2 분할체의 제1 측변과 연결된 제1단 및 제1 분할체의 제2 측변과 연결된 제2단 이외의 기타 자유롭게 활동가능한 부분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제1단은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과 외표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제1 반전 밴드의 제2단은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과 외표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제1단은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과 외표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1 측변에 연결되며; 및/또는
    상기 제2 반전 밴드의 제2단은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과 외표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분할체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의 제2 측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 기판층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라인 및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전원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217002408A 2018-06-27 2019-06-20 단말 KR102466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678425.6A CN108833632B (zh) 2018-06-27 2018-06-27 一种终端
CN201810678425.6 2018-06-27
PCT/CN2019/092035 WO2020001356A1 (zh) 2018-06-27 2019-06-20 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087A true KR20210021087A (ko) 2021-02-24
KR102466713B1 KR102466713B1 (ko) 2022-11-11

Family

ID=6413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408A KR102466713B1 (ko) 2018-06-27 2019-06-20 단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12149A1 (ko)
EP (1) EP3817345B1 (ko)
JP (1) JP2021529345A (ko)
KR (1) KR102466713B1 (ko)
CN (1) CN108833632B (ko)
ES (1) ES2967400T3 (ko)
WO (1) WO2020001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3632B (zh) * 2018-06-27 2020-09-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9764A1 (de) * 2004-11-19 2006-05-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Zusammenklappbares schwenkgelenkloses Gerät der Informations- oder Kommunikationstechnik
US20080137271A1 (en) * 2006-11-22 2008-06-12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ouble acting hinge arrangement
CN102710823A (zh) * 2012-05-23 2012-10-03 华为终端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
CN102982744A (zh) * 2012-12-17 2013-03-20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led显示模组
KR20160009890A (ko) * 2014-07-17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60023471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60121178A (ko) * 2015-04-10 201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6495B2 (en) * 2010-06-01 2014-09-09 Intel Corporation Hinged dual panel electronic device
US9086845B2 (en) * 2013-02-26 2015-07-21 Superior Communications, Inc. Folio case
CN104076874B (zh) * 2013-03-29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柔性转轴、开合装置和笔记本电脑
CN104916231B (zh) * 2015-06-25 2018-0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CN105065431B (zh) * 2015-07-20 2017-12-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柔性连接装置
CN106487953A (zh) * 2015-08-26 2017-03-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翻开型移动终端的连接机构及折叠式手机
CN105611006B (zh) * 2015-12-29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屏的可折叠终端
CN108833632B (zh) * 2018-06-27 2020-09-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9764A1 (de) * 2004-11-19 2006-05-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Zusammenklappbares schwenkgelenkloses Gerät der Informations- oder Kommunikationstechnik
US20080137271A1 (en) * 2006-11-22 2008-06-12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ouble acting hinge arrangement
CN102710823A (zh) * 2012-05-23 2012-10-03 华为终端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
CN102982744A (zh) * 2012-12-17 2013-03-20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led显示模组
KR20160009890A (ko) * 2014-07-17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60023471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60121178A (ko) * 2015-04-10 201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67400T3 (es) 2024-04-30
EP3817345A4 (en) 2021-08-18
EP3817345B1 (en) 2023-12-06
US20210112149A1 (en) 2021-04-15
JP2021529345A (ja) 2021-10-28
CN108833632A (zh) 2018-11-16
WO2020001356A1 (zh) 2020-01-02
CN108833632B (zh) 2020-09-25
KR102466713B1 (ko) 2022-11-11
EP3817345A1 (en) 202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9422B1 (en) Folding component and mobile terminal
KR102063283B1 (ko) 모바일 단말의 폴더블 메커니즘 및 모바일 단말
KR20210044288A (ko) 회전 샤프트 및 회전 샤프트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7483723B2 (en) Flexible conductors connected between two part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2837480C (en)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KR101841570B1 (ko) 듀얼디스플레이 접이식단말기
CN105491193A (zh) 一种具有柔性屏的可折叠终端
WO2011121956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電流低減方法
KR20080035709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US11922831B2 (en) Electronic device
KR101754584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EP1422593A1 (en) Flexible conductors connected between two part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10021087A (ko) 단말
KR2019008483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CN113404767A (zh) 折叠铰链、折叠铰链机构及移动终端
CN107210012A (zh) 一种柔性显示屏及终端设备
JPWO2006088013A1 (ja) 携帯端末装置
KR20210006929A (ko) 회전축 및 전자 기기
CN110493388A (zh) 可折叠电子装置
CN111711717A (zh) 动轴行星齿轮折叠屏手机
CN112993528B (zh) 电子设备
KR100747458B1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CN213342300U (zh) 可折叠机构、显示装置及电子设备
CN213365988U (zh) 一种可折弯显示装置
CN207782884U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