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313A -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313A
KR20210020313A KR1020190099418A KR20190099418A KR20210020313A KR 20210020313 A KR20210020313 A KR 20210020313A KR 1020190099418 A KR1020190099418 A KR 1020190099418A KR 20190099418 A KR20190099418 A KR 20190099418A KR 20210020313 A KR20210020313 A KR 20210020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closing
supply
supply closing
upp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633B1 (ko
Inventor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주)아남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남자동기 filed Critical (주)아남자동기
Priority to KR102019009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6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4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되며, 호퍼로부터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부턴테이블; 및 회전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보다 아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턴테이블로부터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혼합내용물수용부가 장착된 하부턴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의 바닥면에는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낙하되는 상부공급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턴테이블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공급배출구의 하단을 폐쇄하는 상부공급폐쇄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턴테이블과 상기 상부턴테이블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부가 상기 상부공급배출구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상기 상부공급배출구와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의 개방된 상단이 연통되는 경우, 상기 상부턴테이블에 수용된 내용물이 낙하되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에 수용되는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An automatic packaging device with suppling various contents in a rotary manner}
본 발명은 로터리식으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포함된 상태의 포장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수용된 다수의 상부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더불어 상부턴테이블의 아래에 위치된 하나의 하부턴테이블을 회전시키면서, 다수의 상부턴테이블에 수용된 내용물이 순서대로 낙하되어 회전되는 하나의 하부턴테이블로 수용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하나의 하부턴테이블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일시적으로 포장용기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이 충진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한 포장용기는 자동포장장치에 의해 제조되는데, 자동포장장치에서 일정한 내용물이 수용부에 공급되어 수용되는 과정 및 이러한 수용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과정 등이 자동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단위 포장용기가 제조된다.
일례로, 자동포장장치에서 스틱포장용기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과정으로, 포장지가 연속으로 공급되고, 공급되는 포장지가 둥글게 형성되면서 세로로 형성되는 가장자리 부분이 열융착되어 세로접착면이 형성되어 관 형태로 제조되고, 일정 간격마다 가로로 열융착되어 가로접착면이 형성되어 제조된다. 포장용기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열융착되어 가로접착면이 형성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내용물이 포장용기 내부로 공급되고, 이후 포장용기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열융착되어 가로접착면이 형성되어 포장용기 내부가 밀봉된다.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가로접착면에서 커팅이 이루어져 단위 스틱포장용기가 제조된다.
최근에는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포함된 포장용기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즉, 종래에는 한 종류의 내용물만이 포함된 상태이지만, 한 번에 여러 곡물 등을 섭취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기호가 변함에 따라, 하나의 단위 포장용기에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포함되도록 하는 자동포장장치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연히 하나의 단위 포장용기에 여러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하나의 포장용기에 여러 내용물을 공급하는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9672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또는 액상의 내용물을 쉽고 간편하게 포장할 수 있는 동시에 내용물을 별도의 혼합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포장장치에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이미 혼합된 상태에서 포장용기에 공급되는 바, 포장용기에 공급되기 전에 여러 내용물을 혼합하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필요하고, 여러 내용물을 혼합한 후에 혼합된 내용물을 포장용기에 공급해야 하는 절차가 필요하고, 나아가 포장용기에 여러 내용물이 가능한 층층이 쌓이는 상태로 공급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전혀 적용할 수 없는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여러 내용물이 가능한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의 포장용기에 여러 내용물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나아가 포장용기의 내측에서 가능한 여러 내용물이 층층이 쌓이는 상태로 공급될 수 있는, 따라서 소비자가 포장용기에 공급된 내용물 또는 내용물의 양을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는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자동포장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내용물이 혼합되지 않고 순서대로 쌓인 상태로 포장용기에 공급될 수 있는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여러 내용물을 별도로 혼합하는 과정이 없이 여러 내용물을 공급하되 순서대로 공급되도록 하여, 여러 내용물이 혼합된 상태가 아닌 가능한 층층이 쌓인 상태로 포장용기에 공급될 수 있는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는, 회전되며, 호퍼(10)로부터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부턴테이블(100); 및 회전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보다 아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턴테이블(100)로부터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장착된 하부턴테이블(20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바닥면에는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낙하되는 상부공급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을 폐쇄하는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과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와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개방된 상단이 연통되는 경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낙하되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아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는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에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걸림에 따라,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아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되, 상기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난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상기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에 걸림에 따라,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폐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는,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상부공급폐쇄판(142);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 및 일측이 상기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 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을 지지하는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과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 사이의 상기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중간부분이 상기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에 걸림에 따라,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을 축으로 상기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에 연결된 상기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일측이 상기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부에 걸림에 따라,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을 축으로 상기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폐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상태의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을 폐쇄하는 하부공급폐쇄부(24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아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는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에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가 걸림에 따라,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가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아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되,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부터 벗어난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가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부에 걸림에 따라,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가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폐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는,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하부공급폐쇄판(242);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의 외측면을 감싸는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 및 일측이 상기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 위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을 지지하는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과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 사이의 상기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중간부분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에 걸림에 따라,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을 축으로 상기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이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개방되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에 연결된 상기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일측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에 걸림에 따라,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을 축으로 상기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이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폐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중심에 연결된 상부회전축(170);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중심에 연결된 하부회전축(270); 상기 하부회전축(270)에 결합된 하부기어(280); 및 상기 상부회전축(170)에 결합된 상부기어(180)를 더 포함하며,
모터의 작동으로 하부회전축(27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부기어(280)가 회전되고, 상기 하부기어(28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부기어(280)에 기어맞물린 상기 상부기어(180)가 회전되고, 상기 상부기어(180)의 회전으로 상기 상부회전축(170)이 회전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은 다수이며, 다수의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에는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다수로 동일한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다수의 상부턴테이블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순서대로 하부턴테이블의 혼합내용물수용부에 수용된 이후, 혼합내용물수용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포장용기에 공급되는 바,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가능한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장용기에서 가능한 층층이 쌓인 상태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하나의 포장용기에 공급되되,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내용물이 조절되거나 내용물이 혼합되도록 가능한 층층이 쌓인 상태로 공급되는 바,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포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턴테이블에 수용된 내용물이 공급되고, 하부턴테이블에 수용된 내용물이 낙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상부턴테이블에 수용된 내용물의 공급이 폐쇄되고, 하부턴테이블에 수용된 내용물의 공급이 폐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포장장치는 상부턴테이블(100) 및 하부턴테이블(200)을 포함한다.
회전되는 상부턴테이블(100)에는 호퍼(10)로부터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된다. 이러한 상부턴테이블(100)은 다수이며,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일 수 있다.
다수의 상부턴테이블(100) 각각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서로 다르다. 즉, 각각의 호퍼(10)에서 낙하된 내용물이 각각의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되되, 각각의 호퍼(10)에서 낙하된 내용물이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되는 내용물 각각 다르다.
각각의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각각의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한 위치에서 배출되고 낙하되어 하부턴테이블(200)의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다. 하부턴테이블(200)은 상부턴테이블(100)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다수의 상부턴테이블(100)이 각각 회전되면서, 각각 일정한 위치에서 수용된 내용물이 낙하되는데, 낙하되는 일정한 위치에 하부턴테이블(200)에 장착된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위치되어, 상부턴테이블(200)로부터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된다.
즉,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됨에 따라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회전되고, 회전되는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어느 한 상부턴테이블(200)의 아래에 위치되어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되고, 계속 회전되면서 다른 한 상부턴테이블(200)의 아래에 위치되어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면서, 결국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회전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순서대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다. 이때, 다수의 상부턴테이블(100) 각각도 회전된다. 이후,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일시적으로 혼합내용물수용부(220)로부터 낙하되어 포장용기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턴테이블(100)은 다수이나 하부턴테이블(200)은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회전되는 다수의 상부턴테이블(100)의 아래를 거치면서 각각의 상부턴테이블(100)에서 낙하되는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순서대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다. 층층이 쌓인 상태로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로부터 낙하되어 포장용기에 공급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부턴테이블(100) 및 하부턴테이블(200)의 일례를 설명한다.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어느 하나의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회전되는 어느 하나의 상부턴테이블(100)의 아래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어느 하나의 상부턴테이블(100)에서 낙하되는 내용물이 그 아래에 위치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다. 이후, 하부턴테이블(200)이 계속 회전하여 다시 상술한 어느 하나의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다른 상부턴테이블(100)의 아래에 위치되면서, 다른 상부턴테이블(100)에서 낙하되는 내용물을 수용한다. 이후, 회전되면서 또 다른 상부턴테이블(100)의 아래에 위치되면서 또 다른 내용물을 수용한다. 3개의 상부턴테이블(100)을 거친 이후,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쌓인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로부터 낙하되어 포장용기에 공급된다.
다수의 상부턴테이블(100) 각각의 바닥면에는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낙하되도록 구성된 상부공급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내용물이 낙하되어야 할 위치에서 내용물이 이러한 상부공급배출구(120)로 배출되어 낙하된다. 상부공급배출구(120)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공급배출구(120)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내용물의 양을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홀의 크기를 조절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부공급배출구(120)에 맞는 일정한 크기의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내용물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줄이고자 하는 경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체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체로 교체함으로써 상부공급배출구(120)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수의 상부턴테이블(100) 각각에는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부공급배출구(120)를 폐쇄하는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공급폐쇄부(140)는 회전되는 동안 상부공급배출구(120)를 폐쇄하여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나,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내용물을 배출하여 낙하시키는 경우에는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나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되도록 한다.
상부공급배출구(120)와 그 아래에 위치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개방된 상단과 연통되어,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낙하되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다.
상부공급폐쇄부(140)는 상부공급폐쇄판(142),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 및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을 포함한다.
상부공급폐쇄판(142)은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되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을 폐쇄한다.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되어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낙하된다.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은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다. 즉,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로 아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은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이라면 고정결합된 위치는 상관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부공급배출구(120)보다 상부턴테이블(100)의 중심방향으로 더 안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턴테이블(100)의 상부회전축(170)과 상부공급배출구(120) 사이의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은 상부공급폐쇄판(142)를 지지한다.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은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로 위치된다.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의 탄성력으로 후술할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결국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은, 아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판 형태로서, 상부공급폐쇄판(142)과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을 연결한다.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일측이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의 외측면에서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의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일측이 위로 밀린 상태로 유지된다.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타측은 상부공급폐쇄판(142)에 연결되어, 상부공급폐쇄판(142)을 지지한다.
결국,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에 의해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지지되되,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의 탄성력으로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상부공급폐쇄부(140)에 의해 상부공급배출구(120)가 개폐되는 수단으로,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아래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 및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가 위치된다.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는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된다.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됨에 따라,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이 원주를 형성한다.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 및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의 상단면은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된다. 다만, 평면도 상에서 상술한 원주를 기준으로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는 외측으로 더 벗어난 상태로 위치되며,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는 상술한 원주에서 중심방향으로 조금 안쪽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 및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는 상부턴테이블(100)의 상부회전축(170)의 하우징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회전축(170)의 회전에 의해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지만, 내측에서 상부회전축(170)이 회전되는 상부회전축(170)의 하우징은 고정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하우징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연결된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 및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는, 상부턴테이블(100)의 회전에 불구하고,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과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 사이의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중간부분이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에 걸림에 따라,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을 축으로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이 회전되면서,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결국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된다. 개방된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낙하된다.
이후,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고,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에 연결된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일측이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부에 걸림에 따라,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을 축으로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이 회전된다. 즉,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위치됨으로써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다시 폐쇄된다.
결국, 하부턴테이블(200)에 장착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개방된 상단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아래에 위치되기 전에,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중간부분이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에 걸려, 회전 계속 중에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공급배출구(120)로부터 벗어나고, 상부공급배출구(120)와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개방된 상단이 연통됨에 따라 내용물이 낙하되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다. 이후, 상부공급배출구(120)로부터 상부공급폐쇄판(142)이 벗어나 상태에서 계속 회전되어,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일측이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에 걸리면서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을 폐쇄한다.
하나의 하부턴테이블(200)에는 상부턴테이블(100)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된 내용물을 수용하는 다수의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혼합내용물수용부(220)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혼합내용물수용부(22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하단이 개방된 그릇 형태일 수 있다.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낙하되어야 할 위치에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 낙하되어 포장용기로 공급된다.
혼합내용물수용부(220)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여러 종류의 내용물의 양을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의 크기를 조절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맞는 일정한 크기의 중공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줄이고자 하는 경우, 중공체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중공체로 교체함으로써 혼합내용물수용부(220)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여러 종류의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수의 하부턴테이블(200) 각각에는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을 폐쇄하는 하부공급폐쇄부(24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공급폐쇄부(240)는 회전되는 동안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을 폐쇄하여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나,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을 배출하여 포장용기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나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개방되도록 한다.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의 아래에 위치된 포장용기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낙하되어 포장용기에 공급된다.
하부공급폐쇄부(240)는 하부공급폐쇄판(242),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 및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을 포함한다.
하부공급폐쇄판(242)은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을 폐쇄한다.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개방되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낙하된다.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은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다. 즉,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로 아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은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이라면 고정결합된 위치는 상관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장착된 위치보다 하부턴테이블(200)의 중심방향으로 더 안쪽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회전축(270)과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장착된 부분 사이의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하부공급폐쇄판(242)을 지지한다.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은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로 위치된다.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의 탄성력으로 후술할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결국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한다.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은, 아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판 형태로서, 하부공급폐쇄판(242)과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을 연결한다.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일측이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의 외측면에서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의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일측이 위로 밀린 상태로 유지된다.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타측은 하부공급폐쇄판(242)에 연결되어, 하부공급폐쇄판(242)을 지지한다.
결국,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에 의해 하부공급폐쇄판(242)이 지지되되,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의 탄성력으로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된다.
하부공급폐쇄부(240)에 의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개폐되는 수단으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아래에 고정된 상태로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 및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가 위치된다.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는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된다.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됨에 따라,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이 원주를 형성한다.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 및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의 상단면은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되되, 평면도 상에서 상술한 원주를 기준으로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는 상술한 원주로부터 외측으로 더 벗어난 상태로 위치되며,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는 상술한 원주에서 중심방향으로 조금 안쪽에 위치될 수 있다.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 및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는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회전축(270)의 하우징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즉, 하부회전축(270)의 회전에 의해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지만, 내측에서 하부회전축(270)이 회전되는 하부회전축(270)의 하우징은 고정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하우징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연결된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 및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는, 하부턴테이블(200)의 회전에 불구하고,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과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 사이의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중간부분이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에 걸림에 따라,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을 축으로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이 회전되고,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결국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개방된다. 개방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배출되어 포장용기에 공급된다.
이후,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고,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에 연결된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일측이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부에 걸림에 따라,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을 축으로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이 회전된다. 즉,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회전되는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됨으로써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다시 폐쇄된다.
결국, 아래에 위치된 포장용기가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의 아래에 위치되기 전에,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중간부분이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에 걸려, 회전 계속 중에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부터 벗어나고,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개방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낙하되어 포장용기에 공급된다. 이후,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부터 하부공급폐쇄판(242)이 벗어나 상태에서 계속 회전되어,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일측이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에 걸리면서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을 폐쇄한다.
상부턴테이블(100)은 중심에 연결된 상부회전축(17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하부턴테이블(200)은 중심에 연결된 하부회전축(27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부회전축(170)에 상부기어(180)가 결합되며, 하부회전축(270)에 하부기어(280)가 결합된다. 모터의 작동으로 동력이 하부회전축(270)으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하부회전축(270)의 회전으로 하부기어(280)가 회전되고, 하부기어(280)의 회전으로 하부기어(280)와 기어맞물리는 상부기어(180)가 회전된다. 상부기어(180)의 회전으로 이와 결합된 상부회전축(170)이 회전됨에 따라 결국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된다.
따라서, 상부턴테이블(100)이 다수인 경우, 하나의 하부회전축(270)의 회전으로 다수의 상부턴테이블(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하부회전축(270)의 회전으로 회전되는 하부기어(280)에 기어맞물리는 다수의 상부기어(270)가 회전됨에 따라 각각의 상부기어(270)에 결합된 상부회전축(170)이 회전되어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된다.
일실시예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공급되도록 회전되는 상부턴테이블 및 하부턴테이블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은 3개의 회전되는 각각의 상부턴테이블(100)에서 다수의 상부공급배출구(120) 중 어느 하나의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만이 개방된 상태이고, 나머지 상부공급배출구(120)는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폐쇄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을 폐쇄하는 상부공급폐쇄판(142)이 그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으로,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이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에 걸리면서, 상부공급폐쇄판(142)이 그 어느 하나의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이다. 즉, 아래에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개방된 상단이 위치되고, 그 위에 위치된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된 상태이다. 내용물이 낙하되어 그 아래에 위치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다.
상부턴테이블(100) 및 하부턴테이블(200)이 계속 회전되면서, 각각의 상부턴테이블(100)에서의 다음의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되고, 하부턴테이블에서의 다음의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아래에 위치되면서 내용물이 낙하되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다.
이때, 각각의 상부공급배출구(120)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은 개방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런 방식으로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됨에 따라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회전되면서 각각의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된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낙하되면서 수용된다.
이후,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각각의 상부턴테이블(100)의 상부공급배출구(120)를 거치면서,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는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수용된다. 최종적으로,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에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이 걸리면서,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난다.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된 여러 종류의 내용물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의 아래에 위치된 포장용기에 공급된다.
도 5는,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상부공급폐쇄판(142)에 의해 다시 폐쇄되는 상태 및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하부공급폐쇄판(242)에 의해 다시 폐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를 지난 상부공급폐쇄부(140)에서,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일측(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에 결합된 일측)이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에 걸리면서, 기존 회전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시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밀착되면서 이동된다. 더 회전되면서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을 폐쇄한다.
하부턴테이블(200)에서도 마찬가지로,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를 지난 하부공급폐쇄부(240)에서,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일측(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에 결합된 일측)이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에 걸리면서, 기존 회전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시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된다. 더 회전되면서 하부공급폐쇄판(242)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을 폐쇄한다.
하부회전축(270)의 회전속도, 하부기어(280) 및 상부기어(180)의 크기,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 및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의 위치 및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 및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의 위치 등이 조절되어, 각각의 상부턴테이블(100)의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되는 위치의 아래에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상부공급배출구(120)로붙 배출되어 낙하되는 내용물이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서 벗어나지 않고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모두 수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포장용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면포장용기. 스틱포장용기 또는 분말포장용기 뿐만 아니라, 자동포장장치로 제조되는 포장용기에 있어서 다종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장용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호퍼
100: 상부턴테이블
120: 상부공급배출구
140: 상부공급폐쇄부
142: 상부공급폐쇄판 144: 상부공급폐쇄연결판 146: 상부공급폐쇄지지봉
147: 상부공급폐쇄스프링
162: 상급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
164: 상급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
170: 상부회전축
180: 상부기어
200: 하부턴테이블
220: 혼합내용물수용부
240: 하부공급폐쇄부
242: 하부공급폐쇄판 244: 하부공급폐쇄연결판 246: 하부공급폐쇄지지봉
247: 하부공급폐쇄스프링
262: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
264: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
270: 하부회전축
280: 하부기어

Claims (8)

  1. 회전되며, 호퍼(10)로부터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상부턴테이블(100); 및
    회전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보다 아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턴테이블(100)로부터 낙하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장착된 하부턴테이블(20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바닥면에는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낙하되는 상부공급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을 폐쇄하는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과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와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개방된 상단이 연통되는 경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낙하되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에 수용되는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아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는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에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걸림에 따라,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되는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아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되, 상기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난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상기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에 걸림에 따라,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가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폐쇄되는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부(140)는,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상부공급폐쇄판(142);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 및
    일측이 상기 상부공급폐쇄스프링(147) 위에 위치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을 지지하는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과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 사이의 상기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중간부분이 상기 상부공급배출구개방용 걸림돌출부(162)에 걸림에 따라,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을 축으로 상기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개방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에 연결된 상기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의 일측이 상기 상부공급배출구폐쇄용 걸림돌출부(164)부에 걸림에 따라, 상기 상부공급폐쇄지지봉(146)을 축으로 상기 상부공급폐쇄연결판(144)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공급폐쇄판(142)이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의 하단이 폐쇄되는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상태의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을 폐쇄하는 하부공급폐쇄부(24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아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는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에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가 걸림에 따라,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가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개방되는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아래에서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되,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부터 벗어난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가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부에 걸림에 따라,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가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폐쇄되는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공급폐쇄부(240)는,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하부공급폐쇄판(242);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된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의 외측면을 감싸는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 및
    일측이 상기 하부공급폐쇄스프링(247) 위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을 지지하는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과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 사이의 상기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중간부분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개방용 걸림돌출부(262)에 걸림에 따라,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을 축으로 상기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이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개방되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에 연결된 상기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의 일측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폐쇄용 걸림돌출부(264)에 걸림에 따라, 상기 하부공급폐쇄지지봉(246)을 축으로 상기 하부공급폐쇄연결판(244)이 회전되면서, 상기 하부공급폐쇄판(242)이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에 밀착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의 하단이 폐쇄되는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의 중심에 연결된 상부회전축(170);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의 중심에 연결된 하부회전축(270);
    상기 하부회전축(270)에 결합된 하부기어(280); 및
    상기 상부회전축(170)에 결합된 상부기어(180)를 더 포함하며,
    모터의 작동으로 하부회전축(27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부기어(280)가 회전되고, 상기 하부기어(28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부기어(280)에 기어맞물린 상기 상부기어(180)가 회전되고, 상기 상부기어(180)의 회전으로 상기 상부회전축(170)이 회전되며,
    상기 상부턴테이블(100)은 다수이며,
    다수의 상기 상부공급배출구(120)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턴테이블(200)에는 상기 혼합내용물수용부(220)가 다수로 동일한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는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KR1020190099418A 2019-08-14 2019-08-14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KR102265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18A KR102265633B1 (ko) 2019-08-14 2019-08-14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18A KR102265633B1 (ko) 2019-08-14 2019-08-14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313A true KR20210020313A (ko) 2021-02-24
KR102265633B1 KR102265633B1 (ko) 2021-06-16

Family

ID=7468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418A KR102265633B1 (ko) 2019-08-14 2019-08-14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6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3651A (ja) * 1991-08-24 1994-05-06 Furukawa Seisakusho:Kk 電子計量装置
JP2001002002A (ja) * 1999-06-17 2001-01-09 Topack Co Ltd 連続粉剤包装機の計量枡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3651A (ja) * 1991-08-24 1994-05-06 Furukawa Seisakusho:Kk 電子計量装置
JP2001002002A (ja) * 1999-06-17 2001-01-09 Topack Co Ltd 連続粉剤包装機の計量枡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633B1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705A (en) Dry condiment dispensing system
KR101245907B1 (ko) 벌크 재료를 보관 및 언로딩하기 위한 컨테이너
US8444012B2 (en) Single piece device for storing, metering and mixing a powder with a diluent
US9635971B2 (en) System of a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oduct and a machine for dosing the product
EP3040289B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RU2484752C2 (ru) Пополняемый контейнер многокра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меняемый к машине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JP5285700B2 (ja) 入れ物を接続システムに固定するためのポートシステム
US20060226035A1 (en) Multimix bottle
KR100407551B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210020313A (ko)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US20050150902A1 (en) Cap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20240041700A1 (en) Portable milk powder container
US1291759A (en) Measuring and dispensing machine.
KR200235884Y1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101560310B1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JP2014024598A (ja) 粉末定量&小出し容器
KR101635471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60129683A (ko) 휴대용 혼합 커피 분말 공급기
KR200359025Y1 (ko) 분말 혼합 공급장치
JPH11149587A (ja) 飲料供給機
KR20170079453A (ko) 누름식 진공 형성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RU2575439C2 (ru) Система из контейнер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дозирования продукта и аппарата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продукта
KR20160023520A (ko) 내용물 수취장치
JP2000251145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供給装置
KR20030002389A (ko) 분말혼합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