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520A - 내용물 수취장치 - Google Patents

내용물 수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520A
KR20160023520A KR1020140167795A KR20140167795A KR20160023520A KR 20160023520 A KR20160023520 A KR 20160023520A KR 1020140167795 A KR1020140167795 A KR 1020140167795A KR 20140167795 A KR20140167795 A KR 20140167795A KR 20160023520 A KR20160023520 A KR 20160023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opening
plate member
passage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1602B1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수 filed Critical 박현수
Priority to KR102014016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60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 수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 본체에 적용되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하되, 통과 칸막이부는 용기 본체의 내용물 보관부와 통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함과 함께, 통과 공간과 수취 공간을 조절하여 수요량 외의 내용물이 수취되는 것을 제한하며, 일정 범위 내에서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내용물의 수취 공간을 제한함에 연동되어 필요 이상의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취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수취장치{CONTENTS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내용물 수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과 공간을 가변시키며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일정 범위 내에서 내용물의 통과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고,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함에 연동되어 통과 공간과 수취 공간을 조절하여 수요량 외의 내용물이 수취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내용물 수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형, 분말 또는 액상 등의 내용물이 보관되는 포장용기는 상부 외주연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이 용기본체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주연에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개폐 기구(마개)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사용되는 개폐 기구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하며, 그 형태에 따라 쓰임새 또한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용기 개폐 기구의 경우 캡 형태로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상면은 판판한 형태를 취하며 외주면 테두리에는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개폐 기구를 개방 시에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용기 개폐 기구에 대해서는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60697호(고안의 명칭: 뚜껑을 이용한 삼중용기)에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사용자가 내용물 습득을 위해 매번 포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므로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수요량(需要量) 만큼 꺼내기 불편한 점이 있다.
포장용기 내의 내용물의 잔류량이 적을 때는, 포장용기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포장용기를 주의 집중하여 기울이는 등 사용이 번거롭고 인출되는 내용물이 포장용기 내부의 하부에 있을 때 내용물을 손으로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포장용기 내에서 내용물을 낱개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기가 제시된 바 있으나, 현재 고안되어 사용 중인, 포장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지지하는 심대가 있고, 포장용기 몸체가 위아래 이동하여 심대에 의하여 내용물 일부가 포장용기 상부의 통과구로 나오도록 하는 펌프식 용기는, 뚜껑 부분을 포함한 포장용기 몸체 전체를 최대한 상향으로 옮기고 다시 하향 이동해야 해서 작동을 위한 조작 거리가 크고, 내용물 전부를 들었다가 내려놓아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포장용기에는 각종 음식물, 약품 또는 물품 등이 담겨 제공되고 있으며, 통상의 포장용기에 제공되는 개폐 기구는 개폐를 위한 기능 이외에는 별 다른 기능이 없다. 또한, 일정량의 내용물을 습득하기 위하여 개폐 기구를 개방한 후 사용하는 이유로 부득이하게 포장용기 내부의 내용물 전체가 쉽게 노출되어 오염 물질이 침투하거나 공기와 접촉되어 쉽게 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내용물의 정량만을 습득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포장용기 내에 집어넣어 내용물을 잡거나, 포장용기를 기울여 일부 내용물을 손바닥에 붓고 다시 남은 내용물을 포장용기 내에 수납하는 관계로 내용물이 쉽게 외부 오염에 노출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과 공간을 가변시키며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수취(收取)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하여 내용물을 정량 통과함에 연동되어 통과 공간을 폐쇄하여 더 이상의 내용물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포장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에서 고형물인 내용물을 정량씩 배출하면서 용기의 내용물 통과측을 막도록 단수 또는 복수 개로 연결되는 개폐판을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안정적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내용물 통과측을 번갈아 막는 개폐판의 개폐를 위한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개폐 반응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 통과수단과 별개로 구비되는 내용물 수취부가 내용물 통과수단을 통과한 내용물이 대기 수납공간으로 필요 이상 유입되는 것을 저항하여, 대기 수납 공간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요량이 되게 하는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통과 공간을 가변시키며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하고, 통과한 내용물을 수취하는 단계에서 필요 이상의 내용물 유입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수요량 수취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내용물의 통과 수취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하는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의 개폐 기구에 내용물 대기 수납공간을 제공하여 고형, 분말 또는 액상 등의 내용물을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개구부를 가지는 내용물 대기 수납공간을 갖는 개폐 기구를 제공하여, 상기 별도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용물 대기 수납공간의 내용물을 인출함으로써, 내용물 용기 본체 내부의 내용물 전체가 쉽게 노출되어 오염 물질이 침투하거나 공기와 접촉되어 쉽게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구분하여 보관토록 하여 사용자가 정해진 기간에 인출해야 할 수량의 파악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고, 포장용기 개폐 기구가 다단 또는 양방향으로 구성될 경우 복수의 사용자가 내용물을 각자의 개폐 기구를 통해 얻게 됨으로써 위생 관리와 정량 인출의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는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는: 용기 본체에 적용되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용기 본체의 내용물 보관부와 통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하여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서 이동된 내용물의 수취 수요량이 상기 내용물 보관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을 통과하는 내용물을 수취하는 내용물 수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통과하는 내용물을 받으며, 수취 수요량 외의 내용물의 잔류를 제한하도록 저항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통과된 내용물을 통과 방향 상부에서 저항하는 저항상판부재와, 통과 방향 측면에서 저항하는 저항측판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저항상판부재와 상기 저항측판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되며, 상기 내용물의 통과 후 잔류량을 일정량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내용물 수취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구획되어지는 내용물 수취부의 내용물 수취 공간의 조절을 통해, 상기 내용물 수취부에 수취되는 내용물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개방홀 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개방홀이 개방 시,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보관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을 통과 시, 상기 내용물이 내용물 수취 공간을 제외한 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을 연결하고, 내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홀을 갖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개폐판부재; 및 상기 개폐판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개방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수취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축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회동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회동 고정부에 연결된 상기 축 회동부재의 회동 각도는 상기 축회동 고정부에 구비되는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기 위한 대기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과 칸막이부에 형성되는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대기 수납부가 일부 통하고,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를 통과하는 내용물을 수취하는 내용물 수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통과하는 내용물을 받으며, 수취 수요량 외의 내용물의 잔류를 제한하도록 저항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통과된 내용물을 통과 방향 상부에서 저항하는 저항상판부재와, 통과 방향 측면에서 저항하는 저항측판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저항상판부재와 상기 저항측판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되며, 상기 내용물의 통과 후 잔류량을 일정량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한쪽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고정되지 않아 형태가 변형되며, 일정 부위에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 공간이 형성되는 가변 작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 수납부는 용기 본체에 적용되는 내용물 수취장치의 내부에서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개방홀은 상기 개폐판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내용물의 무게에 의한 누름, 상기 하우징의 흔들림시, 또는 상기 개폐판부재의 자중에 의한 회동으로 개방되어 상기 내용물의 통과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축 회동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통공 공간인 통공부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회동부재는 상기 개폐판부재와 일체이거나, 상기 개폐판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회동부재는 상기 축회동 고정부에 연결되어, 자중 방향과 내용물의 누름 방향으로 회동되려는 상기 개폐판부재를 힌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방향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되지 않아 회동에 의해 상기 개방홀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을 받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하부에 상기 대기 수납부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수취부 내로 유입되지만, 상기 내용물 수취부를 제외한 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의 상부면은 상기 내용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내용물 수취부에 의해 수취된 내용물이 상기 상부면에 구비되는 대기턱의 내부 영역에 집중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내용물 수취부 내부에 고정된 돌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통과 칸막이부를 통과하는 내용물이 상기 돌출물에 저항되어 내용물 수취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통과 칸막이부의 내용물 통과 방향에 구비되어, 수요에 해당되는 내용물을 정량 수취 안내하기 위한 정량 수취 수단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상기 통과 칸막이부에 구비되어, 수요에 해당하는 내용물을 정량 통과 안내하여 수취하기 위한 정량 통과 수단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수취장치를 통해 수취되는 내용물을 받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서로 인접되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동되어 개방된 상기 개방홀을 닫는 막음판부재를 더 포함하여, 내용물이 상기 개폐판부재를 누름시, 상기 내용물은 상기 개폐판부재의 젖혀짐에 따라 개방된 상기 개방홀로 유입되며, 상기 막음판부재는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동되어 상기 개방홀을 닫음에 따라 정량 이상의 내용물이 상기 개방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축 회동부재는 상기 개폐판부재와 상기 막음판부재 사이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가이드판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내용물은 상기 가이드판부재에 의해 상기 개폐판부재로 유입되기 전에 제한 유도되고, 상기 내용물이 상기 가이드판부재를 압박하여 상기 개폐판부재를 개방시킴으로써 통과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개방홀의 진입측면에 측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측판부재는 내용물이 상기 막음판부재를 따라 상기 개폐판부재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개방홀의 내측면 또는 상기 측판부재는 상기 개폐판부재가 상기 개방홀을 막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서포트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막음판부재는 상기 개폐판부재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에 접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에 연결되며,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가지는 통과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상기 통과틀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개방부에 대응되게 통과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의 회동시, 상기 개폐판부재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상기 통과 공간이 있는 상기 통과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자유단에서 상기 통과틀의 상기 개방부 상부와 하부와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판부재가 이동하면서 상기 차단부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상기 통과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이나, 상기 개폐판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통과틀에 연결되는 개폐유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통과틀과 연결된 상기 자유단 또는 상기 개폐유도부의 회동시, 상기 자유단 또는 상기 개폐유도부의 구속면이 접할 때까지 위치 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판부재의 운동량이 조절되면서 상기 통과 공간이 일정 크기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축회동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배치 위치의 상측 테두리, 둘레면, 내측면 및 하측 테두리 중 어느 한 곳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이 상기 통과 칸막이부 측으로 유입 안내되도록 하는 유입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안내부재는 상기 통과 칸막이부 측으로 통공되는 가이드홀을 통공하며, 상기 가이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상기 개방홀을 개방하여 내용물이 통과 후 복귀하여 상기 개방홀을 폐쇄하도록 돕는 복원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작동에 의해 통과되는 상기 내용물을 사용자가 취득하기 쉬운 위치로 유도 이동시키는 내용물유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유도부재는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으로부터 통과되는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유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유도부재는 표면이 상기 유입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부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서 수취된 후 인출 대기하는 대기 수납부로 나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 기구는: 용기 본체에 적용되는 개폐 기구로서, 상기 개폐 기구는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기 위한 대기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구는 대기 수납부가 구비되는 개폐 기구 몸체와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용기 본체의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대기 수납부가 일부 통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되고,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하여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를 통해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된 수요량의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보관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을 통과하는 내용물을 수취하는 내용물 수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수취부 형상의 저항에 의해,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을 통과하는 내용물의 상기 내용물 수취부 내 잔류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통과된 내용물을 통과 방향 상부에서 저항하는 저항상판부재와, 통과 방향 측면에서 저항하는 저항측판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저항상판부재와 상기 저항측판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되며, 상기 내용물의 통과 후 잔류량을 일정량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내용물 수취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구획되어지는 내용물 수취부의 내용물 수취 공간의 조절을 통해, 상기 내용물 수취부에 수취되는 내용물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개방홀 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개방홀이 개방 시,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보관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을 통과 시, 상기 내용물이 내용물 수취 공간을 제외한 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대기 수납부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개폐 기구 몸체와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개방홀을 가지면서, 상기 개방홀이 일정 높이 솟아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대기 수납부를 형성하면서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이 상기 개폐 기구의 대기 수납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한쪽이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고정되지 않아 형태가 변형되며, 일정 부위에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 공간이 형성되는 가변 작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의 통과는 상기 가변 작동판의 고정되지 않은 한쪽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통과 공간이 넓어지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변 작동판은 상기 고정부재에 접하여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고정되지 않아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재는 서로 인접되는 복수 개로 배치되어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상기 통과 칸막이부에 구비되어 수요에 해당되는 내용물을 정량 통과 안내하기 위한 정량 통과부로 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작동판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개폐판부재; 및 상기 개폐판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개방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통과 안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내용물을 담는 내용물 보관부 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수취 유도하는 내용물 수취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수취장치는,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개방측에 구비되고,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수취 안내하기 위한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기 위한 대기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내용물 보관부와 상기 대기 수납부가 일부 통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하여 내용물을 이동시키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대기 수납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용물이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하고,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된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보관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기 수납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해 통과되는 내용물의 일정량만을 수취하기 위한 형태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통과된 내용물을 통과 방향 상부에서 저항하는 저항상판부재와, 통과 방향 측면에서 저항하는 저항측판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저항상판부재와 상기 저항측판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촉되며, 상기 내용물의 통과 후 잔류량을 일정량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 수취부는, 상기 내용물 수취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내용물 수취부에 수납되는 내용물의 양을 제한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내용물이 상기 개방홀을 통과하여 상기 대기 수납부로 이동시, 상기 내용물 수취부를 제외한 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수취부 내로 유입되지만, 상기 내용물 수취부를 제외한 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을 연결하고, 내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홀을 갖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개폐판부재; 및 상기 개폐판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부재가 회동되며 상기 개방홀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통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수취장치는 용기 본체에 적용되는 내용물 수취장치이고, 상기 내용물 수취장치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인출 대기하기 위한 상기 대기 수납부와, 상기 내용물 통과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내용물 보관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는 종래 기술과 달리 용기에서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의 내용물을 정량씩 배출하면서 용기의 내용물 통과측을 막도록 개폐판을 구비하거나 개방부를 가지는 통과틀을 구비하여 내용물의 수요량 통과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내용물 통과측을 번갈아 막는 개폐판의 개폐를 위한 회동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개폐 반응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통과 공간을 가변시키며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하여 내용물을 정량 통과함에 연동되어 통과 공간을 폐쇄하여 더 이상의 내용물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리 형태로서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가지는 통과틀에 분리판을 연결하여 개방부의 개방 정도에 따라 개방부의 안쪽 통과 공간으로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통과 칸막이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칸막이부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칸막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 및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칸막이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4 및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통과 칸막이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32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칸막이부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칸막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4 및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칸막이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40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3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4 및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를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포장용기가 세워졌을 때 개폐 기구가 개폐되는 쪽을 '상부(또는 상측)'로 설명하고, 포장용기를 기울였을 때 개폐 기구가 개폐되는 쪽을 '전방'이라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1)는 내용물 보관부(113), 하우징(110) 및 통과 칸막이부(120)를 포함한다.
내용물 보관부(113)는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내용물 보관부(113)는 내용물을 담거나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된다. 물론, 내용물 보관부(113)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내용물을 담은 내용물 보관부(113)의 통과측에 구비된다. 즉, 하우징(110)의 하측은 내용물 보관부(113)에 연결된다. 이때, 내용물은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으로 한다.
특히, 하우징(110)은 내용물 보관부(113)의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내용물 보관부(113)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하우징(110)은 내용물 보관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내용물 보관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외형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통공부(121a)를 형성한다.
그리고, 통과 칸막이부(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 보관부(113)에 담긴 내용물을 정량(定量)이나 수요량(需要量)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량'은 동일 개수나 양, 및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이동되는 양이나 개수를 의미한다. '수요량'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개수)으로서 '정량'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상측에 커버(30)를 구비한다. 커버(30)는 통과 칸막이부(120)를 통해 정량씩 이동되는 내용물을 받는다. 커버(30)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110)은 용기 본체의 내용물 보관부(113)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개폐 기구(110)로서, 별도의 내용물 보관부(113)의 내용물 통과측에 구비되어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개폐 기구(11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 보관부(113)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커버(30)는 개폐 기구(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30)으로 기능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통과 칸막이부(120)는 개폐 기구(110) 내부에 설치되거나,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통과 칸막이부(120)는 고정부재(121) 및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통공부(121a) 내측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 내측 특히, 통공부(121a)를 구획한다. 즉, 하우징(110)의 통공부(121a)는 고정부재(121)에 의해 나뉘어진다. 다시 말해서, 통공부(121a)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보관부(113)와, 내용물 보관부(113)에서 정량 통과된 후 인출 대기하는 대기 수납부(115)로 나뉘어진다. 내용물 보관부(113)는 내용물 보관부(113)의 내측으로 개방되고, 대기 수납부(115)는 커버(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때, 고정부재(121)는 통공부(121a) 내측에 구비되는데, 형성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부재(121)는 개방홀(122)을 통공한다. 개방홀(122)은 하우징(110)의 대기 수납부(115)와 내용물 보관부(113)를 연결하여 내용물이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방홀(122)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개방홀(122)은 평면상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편의상, 사각형으로 도시한다.
또한,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내측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홀(122)을 통해 내용물을 정량씩 통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홀(122)에 접하여 내용물을 정량씩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폐판부재(124), 축 회동부재(125), 축회동 고정부(125a), 막음판부재(127) 및 가이드판부재(102)를 포함한다.
축 회동부재(125)는 개폐판부재(124)와 축회동 고정부(125a)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때, 축 회동부재(125)는 고정부재(121)에 회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개폐판부재(124)에 결합되어 개폐판부재(124)가 함께 회동하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축 회동부재(125)는 개폐판부재(124)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개폐판부재(124)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축회동 고정부(125a)는 고정부재(121)에 구비된다. 특히, 축회동 고정부(125a)는 개방홀(122)측에서 고정부재(121)에 구비된다.
그리고, 축회동 고정부(125a)는 축 회동부재(125)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래서, 개폐판부재(124)가 자중이나 내용물의 가압에 의해 개방홀(122)을 개폐하는 동작에 연동되어 축 회동부재(125)가 회동된다. 축 회동부재(125)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원통 형상으로 도시한다.
특히,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데,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으나, 개폐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간단히 하기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의 마주하는 내부 양측을 기준으로 서로 회동되며 개방홀(122)의 중앙 부위를 개폐한다. 다시 말해서, 개방홀(122)은 개폐판부재(124)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124a)이 내용물의 무게에 의한 누름, 또는 하우징(110)의 흔들림시 개폐판부재(124)의 자중에 의해 회동되며 개방되어 통과 공간(112c)이 형성된다.
아울러, 개폐판부재(124)와 축 회동부재(125)가 각각 한 쌍씩 구비되는 경우, 개폐판부재(124)가 개방시,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축 회동부재(125)가 구비되는 않은 부위인 측면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집중적으로 쏠리거나, 진입한 내용물이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축 회동부재(125)가 구비되지 않은 개방홀(122)의 진입측에는 측판부재(104)가 구비된다. 측판부재(104)는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축 회동부재(125) 사이의 부위로 내용물이 개폐판부재(124)측으로 집중되거나, 진입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측판부재(104)는 내용물이 막음판부재(127)를 따라 개폐판부재(124)로 수요량 유입되고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측판부재(104)는 개방홀(122)의 진입측면에서 고정부재(121)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고정부재(12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측판부재(10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측판부재(104)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편의상, 측판부재(104)는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축회동 고정부(125a)는 개방홀(122)측에서 고정부재(121)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고정부재(12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측판부재(10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측판부재(104)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편의상, 측판부재(104)는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축 회동부재(125)는 고정부재(121) 또는 측판부재(10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편의상, 축 회동부재(125)는 측판부재(10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마주하는 측판부재(104) 중 어느 하나의 측판부재(104)에는 한 쌍의 축회동 고정부(125a)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축회동 고정부(125a)는 대응되는 축 회동부재(125)를 회동 가능하게 축 삽입한다. 아울러, 축회동 고정부(125a) 각각의 타측은 다른 하나의 측판부재(104)에 거치된다. 그래서, 축 회동부재(125)와 개폐판부재(124)는 축회동 고정부(125a)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거나 닫는다.
또는, 축회동 고정부(125a)가 축 회동부재(125)에 구비되어 측판부재(104)에 축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장용기(1)가 세워지거나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한 쌍의 개폐판부재(124)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개폐판부재(124)의 회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개폐판부재(124)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블록(302)이 형성된다. 서포트블록(302)은 개폐판부재(124)를 지지함으로써 개폐판부재(124)가 초기 상태에서 하측으로 임의적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포트블록(302)은 측판부재(104)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포장용기(1)가 기울어지거나 거꾸로 세워져 내용물이 통과하는 상태일 때, 개폐판부재(124)가 젖혀지며 개방홀(122)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개폐판부재(124)가 너무 젖혀지면, 포장용기(1)가 초기 상태로 세워질 경우, 개폐판부재(124)는 초기 상태로 미복귀하거나 복귀 응답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개폐판부재(124) 각각은 개방홀(122) 개방을 위해 젖혀지는 각도가 제한되어야 한다. 즉, 개폐판부재(124)를 통해 개방홀(122)의 개방을 위한 축 회동부재(125)의 회전량이 제한되어야 한다. 그래서, 축 회동부재(125)는 각각 둘레면에 복원부재(304)를 구비한다. 복원부재(304)가 고정부재(121)의 상측면에 접하면서, 축 회동부재(125)는 회전되고, 개폐판부재(124)는 젖혀지며 개방홀(122)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복원부재(304)는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판부재(124)가 내용물의 누름과 자중에 의해 개방홀(122)을 개방시, 복원부재(304)가 고정부재(121)에 저항함에 따른 완충 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한, 복원부재(304)가 탄성 복원력을 가짐에 따라, 개폐판부재(124)가 다시 닫히는 응답성이 향상된다. 물론, 복원부재(304)의 개수,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축 회동부재(125)에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막음판부재(127)는 개폐판부재(124)에 인접되게 구비된다. 그래서, 막음판부재(127)는 대응되는 개폐판부재(124)에 연동되어 회동된다.
즉, 막음판부재(127)는 축 회동부재(125)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막고 있을 때, 막음판부재(127)는 내용물이 개폐판부재(124) 측으로 유입되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개방할 때, 막음판부재(127)는 내용물이 더 이상 개방홀(122)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개방홀(122)을 막는 역할을 한다. 물론, 막음판부재(127)는 축 회동부재(125)에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크기 및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축 회동부재(125) 각각은 가이드판부재(10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판부재(102)는 각 축 회동부재(125)의 둘레면을 따라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이드판부재(102)의 길이(L2)는 개폐판부재(124)의 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된다.(L1>L2) 그래서, 가이드판부재(102)는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 보관부(113)의 기울임으로 인해 내용물이 누르거나 부딪히는 힘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개폐판부재(124)의 개방 응답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마주하는 가이드판부재(102) 사이로 소량이 개폐판부재(124)로 이동함으로써, 내용물은 정량 통과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용물 보관부(113) 또는 하우징(110) 내측에는 유입안내부재(130)가 구비된다. 편의상, 유입안내부재(130)는 판 형상으로서 하우징(110)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유입안내부재(130)는 개방홀(122)에 대응되는 가이드홀(132)을 통공한다. 특히, 유입안내부재(130)는, 내용물 통과를 위해 내용물 보관부(113)를 기울였을 때,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의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세워져 있는 막음판부재(127) 사이의 내측으로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유입안내부재(130)는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부재(136)를 연장 형성한다. 테두리부재(136)는 내용물 보관부(113)의 상측 둘레면을 삽입한다. 즉, 테두리부재(136)는 내용물 보관부(113)의 상측 둘레면에 조립된다. 물론, 테두리부재(136)는 내용물 보관부(113)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테두리부재(136)는 내용물 보관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내용물 보관부(113)는 테두리부재(136)를 제거 후 내용물 보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하측이 테두리부재(136)의 외측 둘레면에 접하게 끼움 조립된다. 그래서, 유입안내부재(130)는 하우징(11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유입안내부재(130)는 내용물 보관부(113)에 저장된 내용물이 가이드홀(132)로 집중되도록 경사면(134)을 형성한다. 그리고, 유입안내부재(130)는 막음판부재(127)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막음판부재(127)와 소정 유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개방홀(122)을 막음판부재(127)가 막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홀(132)을 통과한 내용물이 개방홀(122)로 통과되고, 개방홀(122)을 막음판부재(127)가 회전하여 닫은 상태에서는 내용물이 가이드홀(132)을 통과하지 않도록, 유입안내부재(130)는 막음판부재(127)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즉, 유입안내부재(130)는 세워진 상태의 막음판부재(127) 및 측판부재(104)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내용물이 개방홀(122)을 통해 통과되지 않고 유입안내부재(130)와 고정부재(121) 사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하우징(110)은 고정부재(121)의 개방홀(122)을 통해 통과되는 내용물이 포장용기 외부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30)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커버(30)에 의해 대기 수납부(115) 공간으로 이동된 내용물을 커버(30) 개방 후 꺼낸다. 커버(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하우징(110)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하우징(110)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거나 하우징(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며 개폐될 수도 있다. 물론, 커버(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처럼, 사용자가 내용물 보관부(113)를 기울이거나, 반대로 세우는 등 사용 상태로 하게 되면,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의 내용물은 하우징(110)의 유입안내부재(130)의 경사면(134)을 따라 가이드홀(132)을 통과해서 가이드판부재(102)와 개폐판부재(124)에 접하게 된다.
이때, 개폐판부재(124)는 고정부재(121)의 개방홀(122)을 막고 있고, 막음판부재(127)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이며, 가이드판부재(102)가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 사이에 위치한다.
내용물은 단부가 소정 유격된 가이드판부재(102)에 부딪히거나 가압하면서 가이드판부재(102) 사이를 통해 일정량(일정개수)만이 개폐판부재(124)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내용물이 가이드판부재(102)를 먼저 밀기 때문에, 개폐판부재(124)는 개방 응답성이 향상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6에서처럼, 일정량의 내용물이 가이드판부재(102) 및 개폐판부재(124)를 누르게 되면, 개폐판부재(124)가 젖혀지며 개방홀(122)이 개방된다.
이때, 복원부재(304)가 고정부재(121)에 탄성적으로 저항하면서, 축 회동부재(125)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게 된다.
특히, 막음판부재(127)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받은 상태에서, 막음판부재(127)가 닫힘에 연동되어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개방한다. 그래서, 더 이상의 내용물이 개방홀(122)을 통해 통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7에서처럼, 사용자가 내용물 보관부(113)를 초기 상태로 세우게 되면, 개방홀(122)을 막고 있는 막음판부재(127)가 자중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내용물 보관부(113)를 세우지 않는 경우에도 개폐판부재(124)는 복원부재(304)의 탄성 복원에 의해 축 회동부재(125)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특히, 개폐판부재(124)가 서포트블록(302)에 접할 때까지, 축 회동부재(125)는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복원부재(304)의 탄성 복원이 작동하는 구성과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커버(30)를 열고 내용물을 꺼낸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1)는 내용물 보관부(113), 하우징(110) 및 통과 칸막이부(120)를 포함한다.
내용물 보관부(113) 및 하우징(11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하우징(110)은 개방된 일측이 커버(30)의 개폐에 의해 실질적으로 밀폐되거나, 커버(30) 없이 내용물 수취부(181)만 구비되어 밀폐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과 칸막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1) 및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특히, 통과 칸막이부(120)는 회동에 의한 개폐로 내용물을 내용물 보관부(113)의 외측으로 통과 유도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내용물 수취장치(10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과 별개로 내용물 수취부(141)를 포함한다. 내용물 수취부(141)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이 필요한 수요량 이상으로 대기 수납부(115)로 유입되는 것을 저항하여, 결과적으로 잔류하는 내용물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요량이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0)은 개폐 기구(110)로서, 내용물 보관부(113)의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용기 본체의 내용물 보관부(113)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 기구(11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대기 수납부(115)를 갖도록 형성되어 포장 용기(1)의 저장된 내용물을 나누어 수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30)는 개폐 기구(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30)으로 기능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통과 칸막이부(120)는 개폐 기구(110) 내부에 설치되거나,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내용물 수취부(181)는 저항상판부재(182), 저항측판부재(183)를 포함하며, 제 5실시예와 같이 구획부재(184), 차단부재(185), 유입부재(186), 대기턱(187) 및 대기부(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용물은 내용물 수취부(181)에 구비되는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촉되며, 개방홀(122)을 통과한 내용물의 잔류량을 제한한다.
저항상판부재(182)는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고, 저항측판부재(183)는 하우징(110), 저항상판부재(182), 고정부재(121)나 커버(3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저항측판부재(183)가 내용물 통과 방향을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개방되는 커버(30)가 구비되는 경우, 커버(30)를 개방시에 함께 이동해서 내용물을 집을 때 간섭이 되지 않도록 커버(3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는 내용물의 통과 방향과 통과 측면 방향에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판부재(124), 축 회동부재(125), 축회동 고정부(125a), 막음판부재(127) 및 가이드판부재(102)를 포함한다.
또한, 내용물 보관부(113) 또는 하우징(110) 내측에는 유입안내부재(130)가 구비된다. 편의상, 유입안내부재(130)는 판 형상으로서 하우징(110)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유입안내부재(130)는 내용물 보관부(113)에 저장된 내용물이 가이드홀(132)로 집중되도록 경사면(134)을 형성한다. 유입안내부재(130)는 막음판부재(127)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막음판부재(127)와 소정 유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개방홀(122)을 막음판부재(127)가 막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홀(132)을 통과한 내용물이 개방홀(122)로 통과되고, 개방홀(122)을 막음판부재(127)가 회전하여 닫은 상태에서는 내용물이 가이드홀(132)을 통과하지 않도록, 유입안내부재(130)는 막음판부재(127)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즉, 유입안내부재(130)는 세워진 상태의 막음판부재(127) 및 측판부재(104)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내용물이 개방홀(122)을 통해 통과되지 않고 유입안내부재(130)와 고정부재(121) 사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포장용기(1)가 세워지거나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한 쌍의 개폐판부재(124)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측판부재(104) 또는 개방홀(122)의 내측면에는 개폐판부재(124)를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해 서포트블록(302)이 형성된다. 서포트블록(302)은 개폐판부재(124) 각각을 지지함으로써 개폐판부재(124)가 초기 상태에서 하측으로 임의적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포트블록(302)은 측판부재(104)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포장용기(1)가 기울어지거나 거꾸로 세워져 내용물을 통과하는 상태일 때, 개폐판부재(124)가 젖혀지며 개방홀(122)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개폐판부재(124)가 너무 젖혀지면, 포장용기(1)가 초기 상태로 세워질 경우, 개폐판부재(124)는 초기 상태로 미복귀하거나 복귀 응답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개폐판부재(124) 각각은 개방홀(122) 개방을 위해 젖혀지는 각도가 제한되어야 한다. 즉, 개폐판부재(124)가 고정부재(121)에 대해 예각 범위 내에서 회동되며 젖혀지도록, 개방홀(122)의 크기가 조절된다. 다시 말해서, 개폐판부재(124)는 서포트블록(302)에서 개방홀(122)의 개방을 위해 예각만큼 회동 후 개방홀(12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고정부재(121)에 접하여 정지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 보관부(113)가 초기 상태로 세워지게 되면, 개방홀(122)을 막고 있는 막음판부재(127)가 자중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응답성이 향상된다. 특히, 개폐판부재(124)가 서포트블록(302)에 접할 때까지, 축 회동부재(125)는 회전된다.
이 후, 사용자는 커버(30)를 열고 내용물을 꺼낸다.
특히, 내용물 보관부(113)가 뒤집혀지거나 기울여질 경우, 내용물은 고정부재(121)의 통과 공간(112c)을 통과 후 대기 수납부(115)로 이동(유입)된다. 이때, 대기 수납부(115)의 내측 공간이 통과 공간(112c)보다 넓기 때문에, 내용물이 대기 수납부(115) 측으로 많이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 수납부(115)는 통과 공간(112c)에 대응되게 내용물 수취부(181)를 구비한다.
내용물 수취부(181)는 통과 공간(112c)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통과 공간(112c)을 통과하는 내용물이 집중적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은 내용물 수취부(181)의 협소해진 내부 공간에 의해 내용물의 과다 유입이 방지된다. 물론, 내용물 수취부(18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1)는 내용물 보관부(113), 하우징(110) 및 통과 칸막이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 및 내용물 보관부(113)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통과 칸막이부(120)는 고정부재(121) 및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통과 칸막이부(120)는 하우징(110)의 둘레면 즉, 통공부(121a)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통공부(121a) 내측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 내측 특히, 통공부(121a)를 구획한다. 그리고, 고정부재(121)는 통과 칸막이부(120)가 있는 개방홀(122)을 통공한다. 이때, 개방홀(122)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내벽으로 구성되거나, 내측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홀(122) 측에 구비되어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내용물을 수요량씩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폐판부재(124), 축 회동부재(125), 축회동 고정부(126) 및 막음판부재(127)를 포함한다.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의 내측면 또는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내용물 보관부(113)가 세워진 초기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닫아 내용물의 임의적 통과 및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내용물 보관부(113)가 뉘어지거나 반대로 세워진 사용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는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젖혀지면서 개방홀(122)을 개방하게 됨으로써, 내용물은 통과된다. 이때, 내용물은 개방홀(122)이 개방시 정량씩 통과된다.
개폐판부재(124)는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젖혀지면서 내용물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도록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폐판부재(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편의상, 개폐판부재(124)는 삼각 형상으로 도시한다. 물론, 개폐판부재(124)는 개수와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축회동 고정부(125a)는 축 회동부재(125)에 연결되어 개폐판부재(124) 각각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부재(121)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는, 축회동 고정부(126)가 축 회동부재(125)와 일체화되어 있는 각각의 개폐판부재(124)에 연결되어, 개폐판부재(124) 각각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부재(121)에 연결할 수 있다.
예로서, 고정부재(121)는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면에 축회동 고정부(125a)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면'은 내용물 보관부(113)를 미사용 상태로 세워놓았을 때 상부를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이다.
그리고, 축 회동부재(125)는 개방홀(122)을 닫고 있는 상태의 개폐판부재(124) 각각의 상면에 구비된 채 대응되는 축회동 고정부(125a)에 연결된다. 그래서, 개폐판부재(124)는 축 회동부재(125)를 따라 이동된다. 물론, 축 회동부재(125)와 축회동 고정부(125a)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축 회동부재(125)는 개폐판부재(124)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개폐판부재(124)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축회동 고정부(125a)는 고정부재(121)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부재(121)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막음판부재(127)는 개폐판부재(124) 각각에 구비된다. 그래서, 막음판부재(127) 각각은 대응되는 개폐판부재(124)에 연동되어 회동된다.
특히,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닫고 있을 때, 막음판부재(127)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을 때, 막음판부재(127)는 개방홀(122)을 닫는 상태가 된다.
막음판부재(127)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개폐판부재(124) 측으로 유입된 상태에서, 막음판부재(127)가 닫힘과 함께 개폐판부재(124)가 개방됨으로써, 개폐판부재(124) 측으로 유입된 내용물이 통과된다.
일대일 대응되는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는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막음판부재(127)는 내용물이 통과 못할 정도로만 개방홀(122) 공간을 닫으면 되기 때문에, 개폐판부재(124) 수량보다 적게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양(개수)의 내용물이 개폐판부재(124)를 누르게 되면, 개폐판부재(124)는 젖혀지면서 개방홀(122)을 개방한다. 이에 연동되어, 막음판부재(127)가 개방홀(122)을 막게 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은 정량씩만 개방홀(122)을 통해 통과된다.
개방홀(122)을 통해 통과된 내용물은 커버(30)에 수용된다. 아울러, 내용물 보관부(113)가 미사용 상태인 세워놓는 방향으로 다시 기울어지면, 개폐판부재(124)는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의 자중에 의한 회동으로 인해 개방홀(122)을 닫게 된다. 그래서, 커버(30)에 수용된 내용물은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로 투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 각각이 개방홀(122)을 개방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대해 수직 또는 예각만큼 세워진다. 이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 각각의 닫힘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예로서, 개폐판부재(124)의 개방시,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축회동 고정부(125a)는 스토퍼(129)를 구비한다. 스토퍼(129)는 축회동 고정부(125a)에 돌출되어 개폐판부재(124)에 연결된 축 회동부재(125)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스토퍼(12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막음판부재(127)의 개방시, 개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막음판부재(127)는 개방홀(122)의 개방상태에서 고정부재(121)에 접하는 지지부재(128)를 구비한다. 지지부재(128)는 막음판부재(127)가 일정 각도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개폐판부재(124)와 막음판부재(127)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지지부재(128)는 개폐판부재(124)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지지부재(12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유입안내부재(130)는, 내용물 보관부(113)를 기울였을 때,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의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세워져 있는 막음판부재(127) 내측으로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유입안내부재(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고, 가이드홀(132)을 통공한다. 이때, 유입안내부재(130)는 개방홀(122)과 일치되도록 가이드홀(132)을 통공한다. 아울러, 유입안내부재(130)는 가이드홀(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134)을 형성한다. 특히, 경사면(134)은 가이드홀(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유입안내부재(130)에 형성된다. 경사면(134)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경사면(134)은, 내용물 보관부(113)를 기울였을 때,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유입안내부재(130)는 고정부재(121)와 하나의 구성으로 일체화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에서처럼, 사용자가 내용물 보관부(113)를 기울이거나, 반대로 세우는 등 사용 상태로 하게 되면,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의 내용물은 하우징(110)의 유입안내부재(130)의 경사면(134)을 따라 가이드홀(132)을 통과해서 개폐판부재(124)에 접하게 된다.
이때, 개폐판부재(124)는 고정부재(121)의 개방홀(122)을 막고 있고, 막음판부재(127)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이다.
내용물은 정량이 개폐판부재(124)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7에서처럼, 일정량의 내용물이 개폐판부재(124)를 누르게 되면,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개방하도록 젖혀지게 되며, 통과 공간(112c)이 확보된다.
이때, 스토퍼(129)가 고정부재(121)에 접할 때까지, 축 회동부재(125)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개폐판부재(124)는 개방홀(122)을 개방하게 된다.
특히, 막음판부재(127)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받은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개방함에 연동되어 막음판부재(127)가 닫히게 된다. 그래서, 더 이상의 내용물이 개방홀(122)을 통해 통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8에서처럼, 개폐판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홀(122)을 개방하고 있었던 막음판부재(127)가 개방홀(122)을 닫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더 이상 개방홀(122)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개방홀(122)을 통과한 내용물은 커버(30)에 수용된다.
이 후, 사용자가 내용물 보관부(113)를 초기 상태로 세우게 되면, 개방홀(122)을 막고 있는 막음판부재(127)가 자중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개폐판부재(124)는 복원부재(304)의 탄성 복원에 의해 축 회동부재(125)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특히, 개폐판부재(124)가 서포트블록(302)에 접할 때까지, 축 회동부재(125)는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후, 사용자는 커버(30)를 열고 내용물을 꺼낸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는 고정부재(121)를 포함한다.
특히, 고정부재(121)에는 통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젖혀지며 내용물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폐판부재(124)가 구비된다.
축 회동부재(125)는 개폐판부재(124)의 개방홀(122) 가장자리 측에서 개폐판부재(124)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부재(121)에 연결하고, 개폐판부재와 일체화될 수 있다.
축회동 고정부(125a)는 고정부재(121)의 개방홀(122) 가장자리로서, 개폐판부재(124)는 축회동 고정부(125a)인 개방홀(122) 가장자리에 개폐판부재(124)의 일단인 축 회동부재(125)가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개폐판부재(124)는 하우징(110)의 상하 뒤집혀짐 또는 기울어짐에 의해 자중 방향과 내용물의 누름 방향으로 젖혀지게 된다.
아울러, 개폐판부재(124)는 축회동 고정부(125a)를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축회동 고정부(125a)는 축 회동부재(125)의 고정부재(121) 연결측에 형성되는 접힘선이나 막음질 또는 개폐판부재(124)의 절개선이 끝나는 외주부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개폐판부재(124)의 개수 및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1)는 내용물 보관부(113), 하우징(110), 내용물 수취부(181) 및 통과 칸막이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과 통과 칸막이부(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개방된 일측이 커버(30)의 개폐에 의해 실질적으로 밀폐되거나, 커버(30) 없이 내용물 수취부(181)만 구비되어 밀폐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통과 칸막이부(120)는 회동에 의한 개폐로 내용물을 내용물 보관부(113)의 외측으로 통과 유도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내용물 수취 장치(10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과 별개로 내용물 수취부(141)를 포함한다. 내용물 수취부(141)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이 필요한 수요량 이상으로 대기 수납부(115)로 유입되는 것을 저항하여, 결과적으로 잔류하는 내용물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요량이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0)은 개폐 기구(110)로서, 내용물 보관부(113)의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용기 본체의 내용물 보관부(113)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 기구(11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대기 수납부(115)를 갖도록 형성되어 포장 용기(1)의 저장된 내용물을 나누어 수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30)는 개폐 기구(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30)으로 기능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통과 칸막이부(120)는 개폐 기구(110) 내부에 설치되거나,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내용물 수취부(181)는 저항상판부재(182), 저항측판부재(183), 구획부재(184), 차단부재(185), 유입부재(186), 대기턱(187) 및 대기부(188)를 포함한다.
내용물은 내용물 수취부(181)에 구비되는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촉되며, 개방홀(122)을 통과한 내용물의 잔류량을 제한한다.
저항상판부재(182)는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고, 저항측판부재(183)는 하우징(110), 저항상판부재(182), 고정부재(121)나 커버(3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저항측판부재(183)가 내용물 통과 방향을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개방되는 커버(30)가 구비되는 경우, 커버(30)를 개방시에 함께 이동해서 내용물을 집을 때 간섭이 되지 않도록 커버(3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는 내용물의 통과 방향과 통과 측면 방향에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구획부재(184)는 내용물 수취부(181)의 공간을 구획하여 개방홀(122)을 통과하는 내용물의 잔류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구획부재(184)는 구획되어지는 상기 내용물 수취부(181)의 실질적인 내용물 수취 공간을 조절하여 내용물 수취부(181)에 수취되는 내용물의 양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구획부재(184)는 커버(30) 측에서 고정부재(121)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내용물 수취부를 구획하는 다양한 방향과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차단부재(185)는 고정부재(121)의 상면 방향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차단부재(185)는 내용물 통과 방향을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돌출된다. 이때, 차단부재(185)는 내용물이 개방홀을 통과 후 내용물 수취부(181)를 제외한 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대기부(188)는 대기 수납부(115)의 일부분에 해당된다.
또한, 내용물 수취부(181)는 유입부재(186)를 포함한다.
유입부재(186)는 개방홀을 통과한 내용물이 내용물 수취부(181)로 유도되고, 유도 부위를 제외한 부위로 유입 방지되도록, 내용물 수취부(181)에 포함된다. 유입부재(186)는 구획부재(184)와 유격되도록 커버(3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유입부재(18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부재(121)의 상부면 즉, 커버(30)를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은 내용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부면에 구비되는 대기턱(187)은 내용물을 대기부(188)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대기 수납부(115) 내부에서 내용물은 대기부(188)에 위치하며 인출 대기한다.
대기턱(187)은 고정부재(121)의 개방홀(122) 가장자리를 따라 커버(30) 방향으로 돌출된다. 물론, 대기턱(187)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폐판부재(124) 및 축 회동부재(125)를 포함한다.
개폐판부재(124)는 고정부재(121)의 개방홀(122)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0)이 기울어질 때, 개폐판부재(124)는 자중 및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개방홀(122)을 개방한다. 반대로, 하우징(110)이 똑바로 세워지면, 개폐판부재(124)는 자중에 의해 개방홀(122)을 닫는다.
또한, 축 회동부재(125)는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축 회동부재(12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110)이 세워진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24)가 개방홀(122)을 닫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토퍼(129)를 구비한다.
즉, 개폐판부재(124)는 자중 및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축 회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개방홀(122)을 개방한다.
반대로, 개폐판부재(124)는 자중에 의해 축 회동부재(125)를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홀(122)을 막는다. 이때, 스토퍼(129)가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접함으로써, 개폐판부재(124)는 타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도 25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장치(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1)는 통과 칸막이부(120), 통과칸막이부 하우징(250) 및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통과 칸막이부(12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 및 고정부재(253)를 포함한다.
내용물 보관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11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 보관부(113)에 담긴 내용물을 정량(定量)씩 이동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상측에 커버(30)를 구비한다. 커버(30)는 통과 칸막이부(120)를 통해 정량씩 이동되는 내용물을 받는다. 커버(30)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폐판부재(242), 축 회동부재(145), 축회동 고정부(252) 및 통과틀(258)을 포함한다.
통과칸막이부 하우징(250)은 하우징(110)의 개방측 둘레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통과칸막이부 하우징(250)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통과칸막이부 하우징(250)은 교체를 위해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통과칸막이부 하우징(250)은 내용물 보관부(113)의 외측에 씌여지며, 하우징(110)은 통과칸막이부 하우징(250)을 덮게 된다.
통과틀(258)은 개폐판부재(242)에 연결되며,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251)를 갖는다. 그리고, 개폐판부재(242)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242a)이 통과틀(258)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개방부(251)에 대응되게 내용물의 통과 공간(112c)이 형성된다.
축 회동부재(245)가 개폐판부재(242)를 지지하고, 축 회동부재(245) 일측에 회동걸림부(254)를 구비한다.
회동걸림부(254) 각각은 축회동 고정부(252)에 걸린 채 개폐판부재(242)의 회동시 피벗 역할을 한다. 즉, 회동걸림부(254)는 축 회동부재(245)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어 축회동 고정부(252)에 걸린 채 자중 방향과 내용물의 누름 방향으로 회동되려는 개폐판부재(242)를 힌지 연결한다. 이때, 회동걸림부(254)는 축 회동부재(245) 각각에 다양한 형상으로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축회동 고정부(252)는 고정부재(253)에 연결된다. 이때, 축회동 고정부(25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링 형상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축회동 고정부(252)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부재(253)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축회동 고정부(25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유격되게 구성되는 연결 리브인 고정부재(253)에 연결된다. 따라서, 축회동 고정부(252)는 고정부재(253)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물론, 축회동 고정부(252)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축회동 고정부(252)는 고정부재(253)의 배치 위치의 상측 테두리, 둘레면, 내측면 및 하측 테두리 중 어느 한 곳에 위치 고정된다.
특히, 개폐판부재(242)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축회동 고정부(252)에 연결되어 통과 공간(112c)을 형성함으로써 정량의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폐판부재(242)와 연결된 축 회동부재(245) 각각은 일측이 축회동 고정부(25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하우징(110)을 내용물 통과를 위해 흔들 경우, 개폐판부재(242)의 타측은 서로 벌어지며 통과 공간(112c)이 확보된다. 따라서, 내용물은 하우징(110)의 내용물 보관부(113)로부터 확보된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통과된다. 편의상, 개폐판부재(242)는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개폐판부재(242) 각각의 타측은 서로 구속되어 통과 공간(112c)의 개방량이 조절되어야 한다. 이는, 개폐판부재(242)가 과도하게 젖혀짐으로써 초기 위치로 복귀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통과 공간(112c)의 개방량을 조절함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폐유도부재(256) 및 통과틀(258)을 포함한다.
개폐유도부재(256)는 축 회동부재(245) 각각의 타측에 구비된다. 물론, 개폐유도부재(256)는 축 회동부재(245) 각각에 다양한 형상으로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개폐유도부재(256)와 축 회동부재(245)가 일체로 제작되어 개폐판부재(242)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개폐판부재(242)가 축 회동부재(245)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통과틀(258)은 개폐유도부재(256) 각각을 걸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통과틀(258)은 개폐판부재(242)의 회동시 개폐유도부재(256)에 접한 채 위치 이동된다. 즉, 초기 상태에서 개폐판부재(242)가 회동되며 통과 공간(112c)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개폐유도부재(256)는 통과틀(258)을 따라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 28 참조) 이에 따라, 개폐판부재(242)는 타측끼리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통과틀(258)은 개폐판부재(242) 각각의 회동량을 조절하여 내용물의 통과를 위한 통과 공간(112c)을 확보한다.
개폐판부재(142)는 통과 공간(112c) 안쪽으로 차단부(146)가 형성된다.
아울러, 개폐판부재(242)가 개방되며 통과 공간(112c)을 확보한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복귀시, 개폐판부재(242) 각각은 초기인 닫힘 위치로 복귀해야 하고, 빠른 개방을 위해 통과 공간(112c)을 소정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때, 통과 공간(112c)은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통과될 수 없는 크기이다. 그래서, 통과틀(258)은 개폐판부재(242) 각각의 닫힘 위치 복원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통과틀(258)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편의상, 링 형상으로 도시한다. 통과틀(258)과 개폐유도부재(256)는 서로 구속한다.
*한편, 개폐판부재(242) 각각은 통과틀(258)에 구속된 채 자중에 의한 회동 응답성이 향상되도록 통과 공간(112c)에 인접한 가장자리에 볼록부(244)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이 초기 상태로 세워질 경우, 볼록부(244)는 개폐판부재(242)를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응답성 향상을 위한 무게추 역할을 한다. 물론, 볼록부(2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충분히 공간이 확보된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통과되는 내용물이 커버(30)에 의해 외부로 배출 방지된 채 대기 수납부(115)에 저장된다.
이때, 내용물유도부재(260)는 충분히 통과 공간(112c)의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개폐판부재(242)와 접하지 않도록 개폐판부재(242)에 근접되도록 하우징(110) 내측에 구비된다. 이는, 내용물유도부재(260)가 개폐판부재(242)의 회동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통과되는 내용물이 유입홀(262)을 통해 개폐판부재(242)와 내용물유도부재(26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내용물유도부재(260)는 표면이 유입홀(262)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내용물유도부재(260)의 커버(30)측 표면은 유입홀(262)에서 중앙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내용물 보관부(113)가 초기 상태로 바로 세워질 경우, 통과된 내용물이 유입홀(262) 가까운 곳인 내용물유도부재(260)의 중앙 자리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집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수취 장치(100)를 구비하는 포장용기(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8에서처럼, 사용자가 내용물 보관부(113)를 기울이거나, 반대로 세우는 등 사용 상태로 하게 되면,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의 내용물은 개폐판부재(242)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며 개폐판부재(242)를 내용물의 통과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개폐판부재(242)는 볼록부(244)의 자중에 의해 신속히 서로 벌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내용물 통과를 위한 통과 공간(112c)이 충분히 확보된다.
내용물은 통과 공간(112c)을 통해 개폐판부재(242)를 통과 후 커버(30)로 낙하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9에서처럼, 사용자가 내용물 보관부(113)를 초기 상태로 세우게 되면, 서로 벌어진 개폐판부재(242)는 볼록부(244)의 자중에 의해 신속히 모여지며 통과 공간(112c)을 좁히게 된다. 이로 인해, 내용물은 통과 공간(112c)을 통해 임의적으로 통과되지 않게 된다.
이 후, 사용자는 커버(30)를 열고, 내용물을 꺼낸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도 30 내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정량 통과 기능을 갖는 포장용기(1)는 하우징(110) 및 통과 칸막이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과 다른 실시예에서의 내용물 보관부가 하나의 구성으로 일체화되어 있으나, 분리 결합될 수 있는 구조(예를 들어, 나사선 회전결합이나 강제 끼움 등)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이 별도로 유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편의상, 통과 칸막이부(12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 충전을 위해 바닥이나 둘레면을 개폐 가능한 구조이거나, 스냅(snap, 똑딱단추) 형태로도 개폐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하우징(110)은 별도의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 통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내용물 보관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외형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통공부(121a)를 형성한다.
그리고, 통과 칸막이부(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10) 또는 내용물 보관부에 담긴 내용물을 정량(定量)씩 통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30)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110)은 별도의 내용물 보관부(113)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개폐기구(110)로서, 별도의 내용물 보관부(113)의 내용물 통과측에 구비되어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개폐 기구(11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 보관부(113)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커버(30)는 개폐 기구(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30)으로 기능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통과 칸막이부(120)는 개폐 기구(110) 내부에 설치되거나, 내용물 보관부(11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통과 칸막이부(120)는 고정부재(121) 및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통공부(121a) 내측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 내측 특히, 통공부(121a)를 구획한다. 즉, 하우징(110)의 통공부(121a)는 고정부재(121)에 의해 나뉘어진다. 다시 말해서, 통공부(121a)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보관부(113)와, 내용물 보관부(113)에서 수요량 통과된 후 인출 대기하는 대기 수납부(115)로 나뉘어진다. 내용물 보관부(113)는 내용물 보관부(113)의 내측으로 개방되고, 대기 수납부(115)는 커버(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때, 고정부재(121)는 통공부(121a) 내측에 구비되는데, 형성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부재(121)는 개방홀(122)을 통공한다. 개방홀(122)은 하우징(110)의 대기 수납부(115)와 내용물 보관부(113)를 연결하여 내용물이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방홀(122)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내측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고정부재(121)는 통과 칸막이부(120)와 접해있는 하우징(110) 내벽으로서 하우징(110)과 일체화되어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홀(122)을 통해 내용물을 수요량씩 통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하우징(110) 내벽의 전체 개방 공간인 개방홀(1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내용물을 수요량씩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폐판부재(142), 축 회동부재(143), 축회동 고정부(125a) 및 통과틀(258)을 포함하고, 축회동 고정부(125a)는 연결 관통공(164) 및 걸림돌기(166)를 포함한다.
축회동 고정부(125a)는 고정부재(121)에 연결된다. 특히, 축회동 고정부(125a)는 개방홀(122)측에서 고정부재(121)에 연결된다. 이때, 축회동 고정부(125a)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링 형상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축회동 고정부(125a)는 개폐판부재(14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축회동 고정부(125a)는 고정부재(121)와 일체화될 수 있고, 하우징(110)의 내벽과 일체화될 수도 있다.
개폐판부재(142)는 개방홀(122)의 내측면 또는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내용물 보관부(113)가 세워진 초기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42)는 개방홀(122)을 닫아 내용물의 임의적 통과 및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내용물 보관부(113)가 뉘어지거나 반대로 세워진 사용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42)는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젖혀지면서 통과공간(112c)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내용물은 통과된다. 이때, 내용물은 개방홀(122) 내부에 있는 통과 공간(112c)의 확보된 공간에 의해 수요량씩 통과된다.
개폐판부재(142)는 통과 공간(112c)을 형성할 수 있도록 축회동 고정부(125a)에 구비된다. 특히, 개폐판부재(142)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축회동 고정부(125a)에 연결되어 통과 공간(112c)을 형성함으로써 수요량의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폐판부재(142)와 연결된 축 회동부재(143) 각각은 일측이 축회동 고정부(125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하우징(110)을 내용물 통과를 위해 흔들 경우, 개폐판부재(142)의 타측은 서로 벌어지며 통과 공간(112c)이 확보된다. 따라서, 내용물은 확보된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용물 보관부(113)로부터 통과된다. 편의상, 개폐판부재(142)는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개폐판부재(142)는 개방홀(122)의 내측면 또는 개방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내용물 보관부(113)가 세워진 초기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42)는 개방홀(122)을 닫아 내용물의 임의적 통과 및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내용물 보관부(113)가 뉘어지거나 반대로 세워진 사용 상태에서, 개폐판부재(142)는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젖혀지면서 통과공간(112c)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내용물은 통과된다. 이때, 내용물은 개방홀(122) 내부에 있는 통과 공간(112c)의 확보된 공간에 의해 수요량씩 통과된다.
개폐판부재(142)는 통과 공간(112c)을 형성할 수 있도록 축회동 고정부(125a)에 구비된다. 특히, 개폐판부재(142)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축회동 고정부(125a)에 연결되어 통과 공간(112c)을 형성함으로써 수요량의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폐판부재(142)와 연결된 축 회동부재(143) 각각은 일측이 축회동 고정부(125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하우징(110)을 내용물 통과를 위해 흔들 경우, 개폐판부재(142)의 타측은 서로 벌어지며 통과 공간(112c)이 확보된다. 따라서, 내용물은 확보된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용물 보관부(113)로부터 통과된다. 편의상, 개폐판부재(142)는 서로 분리된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개폐판부재(142)는 축 회동부재(143)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판부재(142)는 축 회동부재(143)와 하나의 구성으로 일체화되어 있으며, 개폐판부재(142)가 축 회동부재(143)와 하나의 구성으로 축회동 고정부(125a)에 회동 연결된다.
축회동 고정부(125a)는 고정부재(121)에 연결된다. 특히, 축회동 고정부(125a)는 개방홀(122)측에서 고정부재(121)에 연결된다. 이때, 축회동 고정부(125a)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링 형상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축회동 고정부(125a)는 개폐판부재(14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축회동 고정부(125a)는 고정부재(121)와 일체화될 수 있고, 하우징(110)의 내벽과 일체화될 수도 있다.
한편, 개폐판부재(142)의 개방시, 개폐판부재(142)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140)은 유입안내부재로서 기능하게 되며, 내용물 보관부(113)를 기울였을 때,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통과 공간(112c)이 있는 통과틀(258) 방향으로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하우징(110)의 내벽인 고정부재(121)에 일측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다른 한쪽이 회동하여,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내용물이 빠지지 않으나 일정 부위에는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 공간(112c)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폐판부재(142)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140)을 포함한다.
또한, 내용물의 통과는 개폐판부재(142)의 고정되지 않은 타측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회동함에 따라 통과 공간(112c)이 넓어지면서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개폐판부재(142)의 고정되지 않은 타측은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기울이거나 흔드는 경우 개폐판부재(142)의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통과틀(258)은 개폐판부재(142)에 연결되며,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251)를 갖는다. 그리고, 개폐판부재(142)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242a)이 통과틀(258)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개방부(251)에 대응되게 내용물의 통과 공간(112c)이 형성된다.
개폐판부재(142)는 통과 공간(112c) 안쪽으로 차단부(146)가 형성된다.
여기서, 내용물 통과는 개폐판부재(142)가 변형되면서 차단부(146)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내용물이 개방부(251) 안쪽의 통과 공간(112c)으로 통과된다.
또한, 개폐판부재(142)의 차단부(146)에는 개폐판부재(142)가 통과틀(258)에 형성된 연결공(1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걸림부(144)가 더 형성된다.
차단부(146)의 끝단은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과시 저항하는 역할을 하여 수요량 통과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통과틀(258)의 바디(151)에는, 개폐판부재(142)의 끝단부가 관통하되, 이탈하지 않도록 걸리면서, 개폐판부재(142)의 변형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연결공(15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축회동 고정부(125a)의 몸체(162)는 둘레부를 따라 개폐판부재(142)의 끝단부가 관통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리는 연결 관통공(164)이 형성된다.
축회동 고정부(125a)는 몸체(162)의 바깥 둘레부를 따라 다수로 돌출되어 포장용기(1)의 하우징(110) 내벽에 몸체(162)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돌기(166)를 더 형성한다.
통과 공간(112c)은 통과틀(258)을 관통하며 일단이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통과틀(258)의 가변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봉(170)을 더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봉(170)은 돌출부(172)를 구비하고, 돌출부(172)는 통과틀(258)의 아래면을 지지하여 주도록 형성된다.
개폐판부재(142)의 고정되지 않은 다른 한쪽이 회동하여 하우징(110)의 대기 수납부(115) 방향으로 개방됨에 따라 통과 공간(112c)이 넓어지면서 내용물을 통과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포장용기(1)를 잡은 사용자가 포장용기(1)를 전방으로 흔들면, 통과틀(258)이 전방으로 순간 전진하면서 통과틀(258)의 통과 공간(112c)을 막고 있던 개폐판부재(142)의 길이 끝단부가 통과틀(258)의 외경에 가깝게 되어 통과틀(258)의 내경이 개방되고, 통과 공간(112c)을 통하여 통과되어 내용물의 통과가 이루어진다.
특히, 개폐판부재(142)는 통과틀(258) 내측의 상부, 하부 및 내부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단부(146)를 구비한다. 그래서, 개폐판부재(142)가 이동하면서 차단부(146)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과한다.
이때, 개폐판부재(142)가 통과틀(258)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도시하지는 않지만, 별도의 개폐유도부를 통해 통과틀(258)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36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는 개폐 기구(105)와, 개폐 기구(105)로 개폐되는 용기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에 적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 기구(105)는 포장용기(1)에 적용되어 대기 수납부(115)를 형성한다. 대기 수납부(115)는 개폐 기구(105)의 내부에 형성되어, 용기본체(200)와는 별도의 대기 수납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를 위하여 개폐 기구(105)는 대기 수납부(115)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통과 칸막이부(120)를 포함한다.
대기 수납부(115)에 별도로 수납되는 내용물은 개폐 기구(105)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통과 칸막이부(120)를 통하여 용기본체(200)의 내용물을 대기 수납부(115)에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통과 칸막이부(120)는 내용물 보관부(113)와 대기 수납부(115)가 일부 통하여, 내용물 보관부(113)의 내용물이 대기 수납부(115)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통과 칸막이부(120)는 대기 수납부(115)로 이동된 내용물이 내용물 보관부(113)로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 기구(105)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보관부인 대기 수납부(115)를 갖도록 형성되어 용기본체(200)의 저장된 내용물을 나누어 수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 기구(105)는 상단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11)가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도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기구(105)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을 보관하는 대기 수납부(115)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커버(30)와, 하우징(110)의 대기 수납부(115)가 형성되도록 대기 수납부(115)와 용기본체(200)의 저장 공간인 내용물 보관부(113)를 분할하여 경계를 이루는 통과 칸막이부(12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200)는 개폐 기구(105)가 개폐되도록 상단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01)가 형성되고, 바닥부(202)는 밀폐되도록 형성되며, 안쪽에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보관부(113)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결합은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 기구는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사용량만큼 개폐 기구의 내용물 대기 수납공간에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 및 사용할 수 있어 용기본체의 내용물 전체가 쉽게 노출되어 오염 물질이 침투하거나 공기와 접촉되어 쉽게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쉽게 내용물의 일정량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38 내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1)는 개폐 기구(105)와, 개폐 기구(105)로 개폐되는 용기본체(2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개폐 기구(105)를 갖는 포장용기(1)의 구성이라는 점에서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개폐 기구(105)는 내부 안쪽에 대기 수납부(115)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커버(30)와, 하우징(110)의 대기 수납부(115)가 형성되도록 대기 수납부(115)와 용기본체(200)의 저장 공간을 분할하여 경계를 이루는 통과 칸막이부(120)를 포함하고, 통과 칸막이부(120)는 개방홀(141)을 가지면서, 개방홀(141)이 일정 높이 솟아오르도록 형성된다.
개방홀(141)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본체(200)의 내용물 보관부(113)에서 하우징(110)의 내용물 보관부인 대기 수납부(115)로 이동할 수 있다.
내용물 보관부(113)에 있던 내용물은 포장용기를 크게 기울이거나 흔드는 경우, 하우징(110)의 내용물 보관부인 대기 수납부(115)로 이동하는 것이며, 일단 이동 후에는 개방홀(141)이 일정 높이 높은 곳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다시 개방홀(141)을 통하여 용기본체(200)로 돌아가지는 않게 되며, 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개폐 기구(105) 밖으로 인출할 때에도 내용물 보관부(113)에 있는 내용물은 인출되지 않게 된다.
특히,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1)는 개폐 기구(105)와, 개폐 기구(105)로 개폐되는 용기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용기에 적용된다.
개폐 기구(105)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을 보관하는 대기 수납부(115)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커버(30)와, 하우징(110)의 대기 수납부(115)가 형성되도록 대기 수납부(115)와 용기본체(200)의 저장 공간을 분할하여 경계를 이루면서 형태가 달라지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용기본체(200)의 내용물이 개폐 기구(105)로 통과된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의 변형에 의해 용기본체(200)의 내용물이 개폐 기구(105)로 통과하는 방법과 달리, 제 2실시예와 제 5실시예와 같이 개폐 기구(105) 내부에 내용물 수취부를 구비하여 용기본체(200)에서 개폐 기구(105)로 이동한 내용물이 개폐 기구(105)에 사용자가 수요로 하는 양만큼 수취 잔류하도록 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은 고정부재(121)에 한쪽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고정되지 않아 형태가 변형되되,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내용물이 빠지지 않으나 일정 부위에는 내용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 공간(112c)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폐판부재(142)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140)과, 고리 형태로서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251)를 가지는 통과틀(258)을 가진다.
또한, 개폐판부재(142)는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이 통과틀(258)과 연결되면서, 개방부(251) 내에 통과 공간(112c)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개방부(251) 안쪽으로 차단부(146)가 형성되고, 내용물 통과는 개폐판부재(142)가 변형되면서 통과틀(258)의 개방부(251)에 형성된 차단부(146)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내용물이 개방부(251) 안쪽의 통과 공간(112c)을 통해 이동한다.
다시 말해, 개폐판부재(142)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통과틀(258)과 연결되고, 개방부(251) 내에 내용물의 통과 공간(112c)이 형성되며, 개폐판부재(142)의 회동시, 개폐판부재(142)로 구성되는 가변 작동판(140)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통과 공간이 있는 통과틀(258)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개폐판부재(142)는 개방부(251) 내부 방향으로 차단부(146)를 구비하고, 내용물은 개폐판부재(142)가 이동하면서 통과틀(258) 내측의 차단부(146)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개방부(251)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개폐판부재(142)의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은 사용자가 용기본체(200)를 흔들거나 기울이는 경우 개폐판부재(142) 자유단(242a)의 자중에 의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는 것이며, 차단부(146)는 그 자유단(242a)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과시 저항하는 역할을 하여 정량 통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과틀(258)의 몸체(151)는 개폐판부재(142)의 끝단부가 관통하되 이탈하지 않도록 걸리면서, 개폐판부재(142)의 변형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연결 관통공(153)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판부재(142)의 차단부(146)에는 개폐판부재(142)가 통과틀(258)에 형성된 연결 관통공(1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걸림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통과틀(258)은 원형의 고리 형태일 수 있으나, 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또한, 통과틀(258)은 자중에 의한 운동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이면 적당하나,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도 무방하다.
한편, 개폐 기구(105)는 둘레부를 따라 개폐판부재(142)의 끝단부가 관통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리는 연결 관통공(164)이 형성되며, 둘레부는 내벽에 고정되고, 개폐판부재(142)가 칸막이 둘레부 내벽 또는 용기본체(200)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 고정구(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걸림 고정구(160)의 바깥 둘레부를 따라 다수로 돌출되어 용기본체(200)의 내벽에 걸림 고정구(160)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돌기(16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의 통과는 개폐판부재(142)의 고정되지 않은 상기 다른 한쪽이 개폐 기구(105)의 대기 수납부(115) 방향으로 변형됨에 따라 통과 공간(112c)이 넓어지면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포장용기를 잡은 사용자가 용기를 전후방으로 흔들게 되면 포장용기 내의 통과틀(258)이 전방으로 순간 전진하면서 통과틀(258)의 개방부(251)를 막고 있던 개폐판부재(142)의 길이 끝단부가 통과틀(258)의 외경에 가깝게 되어 통과틀(258) 내경이 개방되도록 열리면서 용기를 흔드는 관성에 의해 용기 안쪽에 있는 내용물이 전방 통과틀(258)의 개방부(251)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면서 내용물 통과가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용기를 흔드는 것이 익숙하게 되면 사용자의 흔드는 힘과 흔드는 시간의 조절로 정량만을 더 쉽게 통과시킬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44 내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개폐 기구(105)를 갖는 포장용기는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용기 본체 내에 형성되도록, 개폐 기구(105)의 하부는 용기 본체(20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고,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칸막이부(120)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용기 본체(200)와 결합된 형태일 수 있고,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개폐 기구(105)가 용기 본체(200)의 상하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개폐 기구(105)가 연속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용기 본체(200) 내에 형성되면 용기의 대기 수납 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며, 통과 칸막이부(120)가 탈착이 가능한 경우 내용물에 따라 적절한 통과 칸막이부(120)를 선택하여 결합 가능하고, 대기 수납부의 세척도 용이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포장용기 30: 커버
100: 내용물 수취장치 105: 개폐 기구
110: 하우징 113: 내용물 보관부
115: 대기 수납부 120: 통과 칸막이부
121, 253: 고정부재 122: 개방홀
123: 내용물 통과수단 124, 142, 242: 개폐판부재
124a, 242a: 자유단 125, 143, 245: 축 회동부재
125a, 126, 252: 축회동 고정부
127: 막음판부재 129: 스토퍼
130: 유입안내부재 132: 가이드홀
134: 경사면 140: 가변 작동판
181: 내용물 수취부 182: 저항상판부재
183: 저항측판부재 184: 구획부재
185: 차단부재 250: 통과칸막이부 하우징
254: 회동걸림부 256: 개폐유도부재
258: 통과틀

Claims (1)

  1. 용기 본체에 적용되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통과 칸막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과 칸막이부는 용기 본체의 내용물 보관부와 통하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보관부의 내용물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수취장치.
KR1020140167795A 2014-11-27 2014-11-27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10180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795A KR101801602B1 (ko) 2014-11-27 2014-11-27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795A KR101801602B1 (ko) 2014-11-27 2014-11-27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813A Division KR20160023420A (ko) 2013-08-27 2014-08-22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385A Division KR20160023624A (ko) 2015-12-22 2015-12-22 내용물 수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520A true KR20160023520A (ko) 2016-03-03
KR101801602B1 KR101801602B1 (ko) 2017-11-29

Family

ID=5553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795A KR101801602B1 (ko) 2014-11-27 2014-11-27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0246A (zh) * 2019-05-10 2021-06-15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粉末用的包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6454B2 (ja) * 2006-05-30 2011-1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錠剤容器
JP5120890B2 (ja) * 2008-04-30 2013-01-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錠剤容器
KR100978528B1 (ko) * 2009-12-08 2010-08-27 에이엠지 컴퍼니 리미티드 알약 정량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0246A (zh) * 2019-05-10 2021-06-15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粉末用的包装设备
CN112960246B (zh) * 2019-05-10 2023-06-16 湖南京舟股份有限公司 一种粉末用的包装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602B1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3155B2 (ja) 内容物受取装置、開閉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EP2835075B1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CA2771351C (en) Dispensing cap for a container
US20060226035A1 (en) Multimix bottle
US8028865B2 (en)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EP3580144B1 (en) Dispenser
KR20160023520A (ko) 내용물 수취장치
KR101560310B1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60023624A (ko) 내용물 수취장치
KR20160023420A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20160046266A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60104512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104513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104531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5686411B2 (ja) 定量栓
KR101311199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20160070565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150106315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101621756B1 (ko)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KR101635471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101606341B1 (ko) 내용물 대기 수납 공간을 갖는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20180048359A (ko) 통과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KR20180048287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30097610A (ko)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